KR810000650Y1 -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 - Google Patents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650Y1
KR810000650Y1 KR2019800001758U KR800001758U KR810000650Y1 KR 810000650 Y1 KR810000650 Y1 KR 810000650Y1 KR 2019800001758 U KR2019800001758 U KR 2019800001758U KR 800001758 U KR800001758 U KR 800001758U KR 810000650 Y1 KR810000650 Y1 KR 810000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de
jump
left end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1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진
Original Assignee
최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진 filed Critical 최순진
Priority to KR2019800001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650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확대단면도로서,
(a)도는 자동측정 표시부의 넓이뛰기전이 상태도이고,
(b)도는 자동측정 표시부의 넓이뛰기한 상태도이며,
(c)도는 넓이뛰기판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본원의 고안은 제자리 넓이뛰기 할 때 발의 착지점의 지지판의 상면에 1cm 간격으로 칸막이를 설하고, 그 내부에 각각 상면을 좁게 형성한 탄성 고무체를 설하고 그 사면에 구형체를 설하며, 그 상면에 매트를 설하고 그 좌측면에 구형체의 작동에 의하여 넓이뛰기 표시판이 밀려나오게 구성하여서 된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제자리 넓이뛰기는 학생들의 체력검사시의 필수 종목이고, 또한 도시의 좁은 공간에서의 적당한 운동인데 딱딱한 지상에서 넓이뛰기하면 발목이 상하는 일도 있어 넓이뛰기하는 곳에는 모래를 깔거나 스폰지가 들어있는 매트를 깔고 넓이뛰기를 하였는데 넓이뛰기 거리는 사람이 재어야 하는 불편이 있고 또한 측정시의 오차도 있었다.
본 고안자는 넓이뛰기운동을 함에 있어서 뛰는 사람의 발목이 상하는 일이 없고, 넓이뛰기 거리를 자동적으로 표시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 운반 및 보관하기 쉬운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를 얻기 위하여 본 고안을 안출하였는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부 각체(脚體)(2)상에 뜀판을 설하고 적당한 간격을 둔 각체상에 약 1m의 정사각형 판체(1)를 설하고 그 위에는 종으로 1cm 간격을 두고 칸막이(12)를 횡설하며, 그 칸막이(12) 내부에 각각 상광하협의 탄성고무체(3)를 설하고, 그 위에 경질수지로된 구형체(4)를 설하되 그 상면이 칸막이체(12)의 상면보다 약간 높게 설하여 구형체(4)의 상면이 약간 돌출되게 설하는데 그 우측단은 지지대 공간부(4″)에 끼우고 좌측단에는 하부로 절곡한 돌기(4′)를 설하며 그 상면에는 스폰지체(5)를 내장하고 그 표면에 튼튼한 천(6)을 피복한 매트를 재치하며, 매트 좌우 측면에는 “L”자형 틀(13) 안에 각재(15)를 설하고 전기한 매트를 볼트너트(14)로 각재(15)에 고정하며, 판체(1)의 좌측에 대판을 연설하고 그 위에 코일 스프링(7)을 설하며 그 좌단에는 거리 표시판(10)과 연설된 작동간(9)을 설하되 그 작동간 우측에는 끝단을 상측으로 구부린 스프링(9′)을 설하여, 거리표시판(10)을 우측으로 밀었을 때 스프링(9′) 끝단 절곡부가 그위에 씌워진 피복판(17)에 설하여져 있는 구멍에 걸리게 하며 거리표시판(10)의 좌측단에는 거리 표시판(10)을 우측으로 밀어줄 수 있는 작동판(8)을 설하고 그 좌측에 걸림턱(11)을 설하고 자동표시판(10)에는 뜀판과의 거리를 표시하여서 된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이다.
본 고안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작동판(8)을 우측으로 밀어 거리표시판(10)이 보이지 않게하고 각체(2) 후부상에 설한 뛰판위에서 제자리 넓이뛰기를 하면 발이 닿는 곳의 매트 하부에 설하여져 있는 구형체(4)는 전부 눌리우는데 이때 그 하부에 설하여져 있는 탄성고무체(3)가 수축되므로 구형체(4)의 좌단돌기(4′)가 거리 표시판과 일체로 설하여져 있는 작동간(9)의 스프링(9′)의 끝단의 절곡부를 눌러주어 그 부분이 피복판(17) 아래까지 밀려 하강하므로 작동간은 코일 스프링(7)의 힘에 의하여 좌측으로 밀려서 거리표시판(10)이 보이게 되는데 거리 표시판에는 뜀판 전면에서 부터의 거리가 기재되어 있어 제자리 넓이뛰기 한 거리가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표시된다.
다음 작동판(8)을 우측으로 밀어주면 작동간(9)의 스프링(9′) 끝단의 절곡부가 전부 피복판(17)의 구멍에 걸려서 거리표시판(10)이 밀려 나올 수 없으므로 다음 사람이 다시 제자리 넓이뛰기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는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시켰으므로 좁은 공간에서 제자리 넓이뛰기 운동을 안전하게 할수 있고, 그 넓이뛰기 거리를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단시간 내에 제자리 넓이뛰기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후에 적당한 장소에 옮겨 놓거나 운반하기도 편리한 등의 작용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대판(1) 위에 종으로 1cm 간격을 두고 칸막이(12)를 횡설하고, 그 내부에 각각 상광하협의 탄성고무체(3)를 설하고, 그 위에 구형체(4)를 설하며, 그 위에 매트를 설하되 구형체(4)의 우측은 지지대 공간부(4″)에 끼우고 좌측단에는 하부로 절곡된 돌기(4′)를 설하며, 판체(1)의 좌측 대판상에 코일스프링(7)을 설하고, 그 좌측에 작동간(9)을 설하되, 그 좌단에는 거리표시판(10)을 연설하고, 우측에는 끝단을 상측으로 구부린 스프링(9′)을 설하여 피복판(17) 상면의 구멍에 끼워질 수 있게 하여서 된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
KR2019800001758U 1980-03-20 1980-03-20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 KR810000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1758U KR810000650Y1 (ko) 1980-03-20 1980-03-20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1758U KR810000650Y1 (ko) 1980-03-20 1980-03-20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650Y1 true KR810000650Y1 (ko) 1981-06-05

Family

ID=1921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1758U KR810000650Y1 (ko) 1980-03-20 1980-03-20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6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594A (ko) * 1999-12-17 2001-07-05 최용실 제올라이트를 활용한 육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594A (ko) * 1999-12-17 2001-07-05 최용실 제올라이트를 활용한 육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101110B4 (en) Apparatus for indicating an activity of a person on a flexible mat of a trampoline
US4208050A (en) Jump measuring apparatus
Viitasalo Evaluation of explosive strength for young and adult athletes
TWI619474B (zh) 測量體重與平衡指數的組合裝置
KR20080004463A (ko) 체력 연령 측정 시스템
US3062542A (en) Balancer-bouncer exercising device
KR810000650Y1 (ko) 자동표시 제자리 넓이뛰기 측정기
US2521649A (en) Charging apparatus for football players
CN106422153B (zh) 一种基于柔性压力传感器的智能平衡木及其工作方法
Wardoyo et al. A development of force plate for biomechanics analysis of standing and walking
ES1055448U (es) Aparato gimnastico de ejercicios multiples.
US3313544A (en)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KR101316985B1 (ko) 멀리뛰기 기록 측정장치
KR200463120Y1 (ko) 신체 평형감각 트레이닝용 운동기구
US3201120A (en) Jumping board
KR101778657B1 (ko) 놀이기구
Karlsson et al. Height preferences of young children at play
KR101361469B1 (ko) 평균대용 널판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US4180260A (en) Exercise device
US2791431A (en) Game device projectors
US3837644A (en) Time and distance indicating balancing toy
KR101842563B1 (ko) 달 모양의 어린이 놀이시설
US2913896A (en) Adjustable angle traction tester
US3830492A (en) Amusement slide adapted to be used simultaneously by two persons
RU144815U1 (ru) Балансбор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