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625B1 - 용광로의 장입장치 - Google Patents

용광로의 장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625B1
KR810000625B1 KR770001013A KR770001013A KR810000625B1 KR 810000625 B1 KR810000625 B1 KR 810000625B1 KR 770001013 A KR770001013 A KR 770001013A KR 770001013 A KR770001013 A KR 770001013A KR 810000625 B1 KR810000625 B1 KR 81000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blast furnace
pressure
charging
b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0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손 로날드
후랭크 웨이크포드 어네스트
Original Assignee
노오만 레슬리 호스케트
아이 에스 씨 스멜팅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만 레슬리 호스케트, 아이 에스 씨 스멜팅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오만 레슬리 호스케트
Priority to KR77000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62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광로의 장입장치
본 발명에 의해서 장입주기를 제어하는 회로의 도식도.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벨형 장입장치(double bell charging device)를 갖는 용광로의 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벨형 장입장치란 고형 장입물을 용광로내에 장입시키기 전에 받아두는 호퍼(hopper)로서 벨 또는 슬라이드(slide)형의 상부 및 하부 밀폐장치를 갖춘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호퍼를 가진 용광로에서는 이들 상부 밀폐장치 및 하부밀폐장치가 독립적으로 개폐(開閉)될 수 있어서 로(爐)의 가스가 대기중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용광로를 밀폐시키고 있는 동안 장입물을 먼저 호퍼에 장입시키고 난 다음에 용광로에 장입시킨다.
이러한 장치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호퍼의 상하부 구멍이 서로 개별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는 두 단일 벨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단일 벨 폐쇄장치는 여러가지로 할수가 있는데, 예컨대 링 및 플러그 벨(ring and plug bell)로서 중앙의 벨 또는 환형벨을 서로 개별적으로 상승 또는하강시켜서 용광로의 중앙이나 측면쪽으로 각각 장입물을 흘려 보낼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중벨형 장입장치에 있어서 주된 문제점들 중의 한가지는 호퍼가 이중으로 장입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하부벨이 하강되었을때 호퍼속의 장입물이 용광로속으로 떨어지지 못하거나, 또는 단지 일부만이 떨어질 경우에 발생한다. 따라서 하부벨이 다시 상승될 경우에는 걸리게 됨과 동시에 호퍼속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장입물 위에 또 다른 1회분의 장입물이 쌓이게 됨으로써 장입기어(charging gear)를 정지시킨다. 특히, 이러한 문제가 잘 일어나는 것은 링 및 플러그형 장입기어인데, 그 이유는 장입물을 통과시키는 구멍이 상당히 작아서 장입물이 그 구멍들을 아주 쉽사리 막아버리기 때문이다. 이중장입이 일어나면 하부벨을 정상의 폐쇄위치로 상승시킬 수 없게 됨과 아울러, 비교적 로의 상부 개스 온도가 높은(900°-1000°C정도) 아연제련 용광로의 경우에는 호퍼가 소형 용광로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하부 구멍을 갖춘 장입호퍼, 이 상하부 구멍을 개별적으로 열고 닫게끔 되어있는 밀폐장치, 노정공간(furnace tap space)의 개스압력을 탐지하기 위한 탐지장치에 연결되는 용광로 꼭대기의 개스압력 배출부, 및 상술한 탐지장치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부 밀폐장치의 개방을 억제하는 장치로 구성된 용광로 장입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용광로에 있어서 장입주기는 하부 밀폐장치, 예컨대 벨이 하강되었을때 장입물이 용광로속으로 떨어졌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신호에 따라서 조절된다. 본 발명은 용광로속으로 장입물이 떨어질때에는 노정의 개스압력이 갑자기 잠시동안 떨어졌다가 갑자기 상승한다는 사실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용광로는 아연제련 용광로가 적당하다.
압력 탐지장치로 측정한 노정의 압력은 전기신호로 변환되며, 이 신호의 변화율이 검치된 압력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자동적으로 측정된다.
압력탐지는 하부밀폐장치가 열릴때 시작하는 것이 적당하다. 탐지시간은 하부 밀폐장치가 열릴때부터 시작하여 1초이상 5초미만이 바람직하다.
노정압력은 장입기어 부근에 있는 용광로 지붕의 압력 배출부로 부터 압력을 받는 압력차 반응기에 의해 탐지된다. 이 반응기로 향한 두개의 압력 공급기는 노정공간과 통해 있는데, 그중 하나는 조정 가능한 침형 밸브(needle valve)를 통해서 노정공간과 통해 있다. 따라서 반응기는 노정의 압력이 급격히 변할때에만 반응하고 느린 변화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 침형 밸브가 그 반응기 양쪽간의 신속한 압력 균등화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송풍이나 적재량의 변화에 따르는 압력의 변화는 비교적 느리지만 장입물이 용광로속으로 떨어짐으로써 일어나는 변화는 그 장입물이 떨어질때 압력이 잠시동안 떨어졌다가 급격히 상승한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펄스의 존속기간은 보통 1-4초이다.
불필요한 압력변화를 배제하기 위해서는 압력 변화를 측정장치를 하부밀폐장치를 열고나서 부터 5초동안 작동하도록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존속기간이 반초 이하인 펄스는 무시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매초당 1-10주기의 가변 주파수를 갖는 클럭 오실레이터(clock oscillator)(1)에 의해서 바이스테이블(bistable)(2), 및 NAND게이트를 거쳐서 두개의 모노스테이블(monostable)(3,4)이 동작한다. 이들은 시간 신호를 얻기 위한 것이다.
노정압력에 의한 아날로그(analogue)신호는 두개의 샘플홀드증폭기(sample andbold amplifier)(5,6)로 가해진다. 첫번째 샘플을 취하는 시간과 두번째 샘플을 취하는 시간의 간력은 클럭오실레이터(1)의 주파수를 변경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만일 첫번째 샘플과 두번째 샘플을 취하는 사이에 노정압력의 변화가 생긴다면 그 두 신호간의 차는 증폭기(7)에 의해 증폭되어 옵토-아이소레이터(opto-isolator)(8)를 거쳐서 릴레이(relay)(9)로 공급된다. 노정압력의 작은변화는 작은 불규칙한 출력을 낼것이다. 샘플주기에 비해서는 짧다. 오랫동안에 걸쳐서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면, 작은 출력이 생긴다. 그러나 급격한 압력변화가 샘플주기에 비해 오랫동안 지속되면 큰 출력이 발생되어 릴레이(9)를 동작시킨다.
상부벨이 열리면 제동기(10)가 동작하여 장입물이 벨 공간내에 존재한다는 신호를 보낸다. 타이머(11)는 하부벨이 열릴때부터 5초동안 동작한다. 만약 이 기간 동안에 릴레이로 부터 노정압력의 급격한 상승(장입물이 용광로 속으로 떨어짐으로써 발생되는)을 나타내는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제동기가 꺼짐과 아울러 벨 공간속의 장입물의 존재를 알려주는 신호가 사라진다. 그러나, 릴레이로 부터 아무런 신호도 없으면 제동기는 계속 켜진 상태로 지속되어 벨 공간속으로 더이상의 장입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하부벨이 열리기 시작했을때로 부터 5초이내에 릴레이로 부터받은 신호들만이 제동기를 꺼버린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구멍을 갖춘 장입호퍼(charge popper), 그 상하부 구멍을 개별적으로 열고 닫는 작용을 하게끔 되어있는 밀폐장치, 노정공간(furnace top space)의 개스압력을 탐지하기 위한 탐지장치에 연결되는 용광로 꼭대기의 개스압력 배출부, 및 상술한 탐지장치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부밀폐장치를 개방 또는 억제하는 장치로 구성된 용광로의 장입장치(blast furnace charging apparatus).
KR770001013A 1977-04-28 1977-04-28 용광로의 장입장치 KR81000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1013A KR810000625B1 (ko) 1977-04-28 1977-04-28 용광로의 장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1013A KR810000625B1 (ko) 1977-04-28 1977-04-28 용광로의 장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625B1 true KR810000625B1 (ko) 1981-06-10

Family

ID=1920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01013A KR810000625B1 (ko) 1977-04-28 1977-04-28 용광로의 장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62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497894A (en) Mixing of gases
KR810000625B1 (ko) 용광로의 장입장치
ES451416A1 (es) Un dispositivo para muestrear gases procedentes de un horno.
GB1203177A (en) Discharge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entrifugals separators
GB1535944A (en) Catalyst sampling method
JPS5582706A (en) Device for charging blast furnace
US3772504A (en) Apparatus for operating a blast furnace
JPS54120157A (en) Method of detection trouble of elavator door
GB1303548A (ko)
GB1489147A (en) Device for sensing the level of coal charged into a coke oven
JPS5238284A (en) Valve leak detection device
ES308519A1 (es) Sistema para detectar la presencia de gases en un local cerrado
SU138071A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 истечен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бункера
JPS5450779A (en) Cover gas safety valve mechanism of reactor vessel
GB1206959A (en) Fluidic control for leak detection system
JPS5793832A (en) Opening control method of weighing hopper
JPS55100907A (en) Control of pressure at top of blast furnace
JPS554503A (en) Flow rate inspecting method at specified pressure loss time of gas cock with overflow preventing valve
SU1749235A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герметичности нижнего газоуплотнительного клапана бесконусного загруз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S5929943Y2 (ja) ベルレス高炉におけるシ−ル弁漏れ検知装置
ES476262A1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y manipulacion de las polvoraspropulsoras.
JPS52110393A (en) Test device for sampling tube
SU433211A1 (ko)
FR2194489A1 (en) Split bowl centrifuge equipped with electronic sensor - to detect sludge level and at a predetermined level actuate control circuit
JPS54141304A (en) Detecting method for level of charged material in blast furn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