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534Y1 - 누전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누전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534Y1
KR810000534Y1 KR790005778U KR790005778U KR810000534Y1 KR 810000534 Y1 KR810000534 Y1 KR 810000534Y1 KR 790005778 U KR790005778 U KR 790005778U KR 790005778 U KR790005778 U KR 790005778U KR 810000534 Y1 KR810000534 Y1 KR 810000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ak
state
earth leakag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05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호
Original Assignee
윤욱현
금성계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욱현, 금성계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욱현
Priority to KR790005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5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534Y1/ko

Link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누전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제1도는 전원 인가시 본 고안에 의한 누전 차단기의 요부와 연동하는 링크부의 상태단면도.
제2도는 전원 인가시 본 고안에 의한 누전 차단기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과부하 또는 누전에 의한 전원 차단시 본 고안의 요부와 연동하는 링크부의 상태단면도.
제4도는 과부에 의한 전원 차단시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5도는 누전에 의한 전원 차단시의 요부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는 회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누전 혹은 과부하시에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그 차단상태를 부저로써 경보함과 동시에 표시창을 통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한 누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누전차단기에는 과부하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와 누전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의 2가지 기능을 갖춘것이 있긴 하지만, 이들은 전원 상태를 시각에 의해서만 구분해야 하므로 은폐된 곳이나 어두운 곳에서는 누건의 여부를 식별하기가 곤란하고, 특히 냉장고나 쇼우 케이스등의 기기 내부에 누전차단기를 단독으로 취부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시각에 의해 누전표시 기능만으로는 누전사고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시각에 의한 누전표시 기능만으로는 누전사고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냉장고내의 음식 및 물건이 변질 또는 상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과부하나 누전의 2경우에 이들을 구분하여 식별할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차단상태를 부저에 의해 경보토록 함으로써 신속한 사고처리를 행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의 차단동작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누전차단기를 소정의 전원측에 장설하여 레버핸들(1)을 제1도와 같이 “on”상태로 조작하여 놓으면 압지대(38)가 회동체(33)의 하부에 횡가된 지탱간(35)과 탄발대(37)를 동시에 압압하여 가동접점대(19)를 접속시킴으로써 전류를 소정의 쇼우케이스나 냉장고에 전한다. 이후에 회로의 입력단(R), (T)에 흐르는 정상전류가 이상조건에 의하여 과부하 전류로 돌변하게 되면, 열전대 바이메탈(16)이 열동작에 의해 차단이음봉(17)에 나합된 나사(17′)의 후단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θ각도 만큼 밀어줌으로써 차단이음봉(17)에 일체로 성형된 괘지(掛止)턱(32)을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체(33)의 상단에 있는 돌편(33′)이 괘지 상태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회동체(33)가 압지대(38)의 압지력에 밀려서 회동지검(34)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순간에 있어서의 압지대(38)의 상태를 제3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상태와 같다. 이후 압지대(38)가 순간적으로 스프링(19′), (37′)으 탄발력에 의하여 지지틀(30)으 홈을 따라 상승하는 동시에 가동 접점대(19)가 차단되며, 이 압지대(38)의 상승력에 의한-연접봉(38)과 연결핀(2)으로 구성되는-링크부의 링크 작용으로 인하여 레버핸들(1)이 “on”상태를 나타내는 좌측위치에서 “off”상태를 나타내는 우측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압지대(38)는 연접봉(40)과의 사이에 핀에 감설된 스프링(39)에 의하여 제5도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유지되고, 회동체(33)가 스프링(36)의 복귀력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다음 “on”동작을 위한 준비상태에 있게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바이메탈(16)은 원상으로 복귀하게되고, 차단이음봉(17)은 스프링(31)의 복귀력에 의하여 원상으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동작이 과전류에 의한 차단동작에 해당한다.
한편 제1도 및 2도와 같은 정상 동작 상태에 있는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에 누전이 발생하게 되면, 영상변류기(20)에 의해 검출되는 미소누전전류가 증폭부(21)를 통하여 증폭되어 여자 코일(18)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의하여 여자코일(18)에서 발생된 자력은 흡입판(12)을 제3도의 A′위치에서 B′위치로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흡입관(12)은 차단이음봉(17)을 ‘회동체(33)의 돌편(33′)이 괘지턱(32)에서 이탈될 수 있는, 각도까지 밀어준다. 따라서 돌편(33′)이 괘지턱(32)에서 이탈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회동체 및 링크부의 연동작용에 의하여 가동접점대(19)가 차단되고 레버핸들(1)이 “off”상태를 나타내는 우측위치로 회동됨으로써, 누전에 의한 차단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차단동작에 유기적으로 관련하여 과부하와 누전의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이를 부저를 통해 경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은 본 고안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과전류 또는 누전의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 것이다.
제2도에 보는 바와 같이, 공지의 레버핸들(1)하방에 설치된 연결핀(2)을 일측으로 연장하여 로울러(3)를 축설하고, 이 로울러(3)는 캠 구동용 링크(4)의 수평상단(4′)을 압압토록하여, 상기 캠 구동용 링크(4)의 수직부에는 장공(5)을 천설하여 가동핀(6)을 유삽하고, 또 캠(7)의 상면에는 황색, 적색, 백색등의 표시부(8)를, 그 하면에는 압압돌기(9)를 형성하였다. 이 압압돌기(9)의 하방에는 증폭부(21)를 구성하는 프린트기판의 커버(21′)를 장설하여 이 커버(21′)의 상부에 부저작동용 가동접촉자(10)를 설치함으로써 압압돌기(9)의 구동에 따라 고정접촉자(11)에 접리토록 하였으며, 또한 전기한 캠 구동용 링크(4)의 수평부말단(4″)의 상면이 흡입판(12)의 돌출턱(12′)의 접리토록 한 것으로, 도면중 13중 누전차단기 커버 상면에 설치된 표시창, 14는 캠 구동용 링크(4)의 탄발용 스프링, 15는 캠 구동용 링크(4)의 축지핀, 16은 열전대 바이메탈, 17은 차단이음봉, 17′는 차단이음봉에 나합되어 바이메탈(16)과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도록한 나사, 18은 여자코일, 제6도의 22는 부저, 23은 시험버튼, 24 및 25는 저항, 26은 본체케이스, 27은 본체 기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누전차단기의 레버핸들(1)을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on”상태로 조작하면, 연접봉(40) 및 압지대(38)로 구성되는 링크부가 탄발대(37)를 압압함으로써 가동접점대(19)를 접속시키며 따라서 전류가 정상적으로 통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성전류의 통전시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버핸들(1)하방의 연결핀(2)에 축설된 로울러(3)가 캠 구동용 링크(4)의 수평상단(4′)을 압압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캠(7)하방에 설치된 부저작동용 가동접촉자(10)와 고정접촉자(11)가 개로상태가 되어 부저가 울리지 않으며, 이때 표시창(13)에는 황색표시가 나타나게 된다.
만약 누전차단기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대 바이메탈(16)의 열팽창으로 차단이음봉(17)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θ각도 만큼 밀리게되어, 괘지턱(32)이 상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압지대(38)는 전술한 차단동작의 과정을 밟아 지지틀(30)의 홈을 따라 상승하는 동시에 연접봉(40)을 통하여 연결핀(2)에 반시계 방향의 회동력을 가함으로써 레버핸들(1)을 순간적으로 “on”상태에서 “off”상태로 전환시키면서 캠 구동용 링크(4)의 수평부(4′)를 압압하고 있는 로울러(3)의 압압을 해제시킨다.
이리하여 캠 구동용 링크(4)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4)의 복귀력에 의해 축지핀(15)을 기점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캠(7)을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이때 캠 구동용 링크(4)의 수평말단(4″)은 흡입판(12)의 돌출턱(12′)에 걸려 회동거리가 제한됨으로써 표시창(13)에는 적색 표시가 나타나는 동시에 캠(7) 하방의 돌기(9)가 부저작동용 가동접촉자(10)를 압압하여 고정접촉자(11)에 접속시키므로 부저(22)가 울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각에 의해 사고 발생을 파악하게 되고, 표시창(13)에 나타낸 색깔에 의하여 과전류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3도에서 A″위치에 있는 링크(4)는 제4도의 링크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상동작상태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과전류에 의한 바이메탈(16)의 열동작과는 달리 영상변류기(20)에서 검출된 미소전류가 증폭부(21)를 통해 증폭되어 여자코일(18)을 작동시키게 되며, 이에 의하여 흡입판(12)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위치에서 B′위치로 흡인됨과 동시에 이 흡입판(12)상단이 차단이음봉(17)을 밀어 주게 된다. 따라서 가동접점대(19)가 전술한 차단동작을 거쳐 차단되고 레버핸들(1)이 “on”상태에서 “off”상태로 전환하게 되어 로울러(3)가 캠 구동용 링크(4)의 압압을 해제하므로, 캠 구동용 링크(4)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판(12)의 지지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14)의 복귀력에 의해 축지핀(15)을 지점으로 반시계 방향의 최대 회동범위로 회동함으로써 캠(7)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제3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링크(4)의 위치(B″)는 제5도에 해당한다. 결과적으로 본체 케이스(26)위의 표시창(13)에는 백색표시가 나타나 누전에 의한 차단임을 표시하는 동시에, 캠(7)하방의 압압돌기(9)가 부저작동용 가동접촉자(10)를 압압하여 고정접촉자(11)에 접속시키므로 부저가 울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전상태를 청각 및 시각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누전차단기의 고장유무를 검사하기 위해 시험버튼(23)을 눌러서 부저의 울림을 확인하면 된다. 이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시험버튼(23)을 누르게 되면, 제6도의 회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락회로가 형성되므로, 전류가 증폭부(21)를 통하여 증폭되어 여자코일(18)을 구동하게 되고, 이 여자코일(18)에서 발생된 자력이 흡입판(12)을 흡하게 된다. 이 동작은 누전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캠(7)이 누전에 의한 차단인 백색을 표시하도록 회동하는 동시에 캠(7)의 하부에 형성된 압압돌기(9)가 가동접촉자(10)를 고정접촉자(11)에 접속시키므로 부저가 울리게 된다. 만일 이 경우에 부저가 울리지 않으면 누전차단기에 이상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공지의 누전 차단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누전차단기의 구조 및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로울러(3), 링크(4) 및 캠(7) 소자만을 사용하여 누전차단기의 기능을 확대한, 매우 실용적이며 경제적 이점이 매우 큰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레버핸들(1) 하방에 설치된 연결핀(2)을 일축으로 연장하여 로울러(3)를 측설하되, 이 로울러(3)는 캠 구동용 링크(4)의 수평상단(4′)을 압압토록 하고, 상기 캠 구동용 링크(4)의 수직부에는 장공(5)을 천설하여 가동핀(6)을 유삽하며, 상기 캠(7)의 상면에는 표시부(8)를 형성하고 그 하면에는 압압돌기(9)를 형성하여 이 돌기의 구동에 의해 부저 작동용 가동접촉자(10)를 고정접촉자(11)에 접리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KR790005778U 1979-09-21 1979-09-21 누전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KR810000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5778U KR810000534Y1 (ko) 1979-09-21 1979-09-21 누전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5778U KR810000534Y1 (ko) 1979-09-21 1979-09-21 누전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534Y1 true KR810000534Y1 (ko) 1981-05-22

Family

ID=1921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05778U KR810000534Y1 (ko) 1979-09-21 1979-09-21 누전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5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88B1 (ko) * 2007-06-19 2010-05-20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경보 부착 배선용 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88B1 (ko) * 2007-06-19 2010-05-20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경보 부착 배선용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0051A (en) Remote control circuit breaker
CA2470988A1 (en) Self testing digital fault interrupter
US4369435A (en) Fire detector and fire alarm system having circuitry to detect removal of one or more detectors at a signal station
KR100876535B1 (ko)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EP0437220B1 (en) Circuit breaker with leakage current detecting functions
US11342152B2 (en) Circuit breakers incorporating reset lockout mechanisms
JP2002133994A (ja) 回路しゃ断器
KR100475071B1 (ko) 차단기의 결상신호 표시장치
KR810000534Y1 (ko) 누전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JP4906517B2 (ja) 漏電遮断器
US5959518A (en)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EP0651416B1 (en) A circuit breaker
NZ242550A (en) Circuit breaker with alarm
EP3706154B1 (en) Low-voltage power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w-voltage power distribution device tripping
KR101537679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상태 표시 장치
JP3849344B2 (ja) 回路遮断器
JP2001160354A (ja) 漏電警報機能付き配線用遮断器
KR930000701Y1 (ko) 꽂음 접속식 누전차단기
AU673680B2 (en) Manual override mechanism for a remote controlled circuit breaker
JPH07161278A (ja) 回路遮断器
KR790001373Y1 (ko)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JPH06338246A (ja) 回路遮断器の状態検知機構
JP2659244B2 (ja) 漏電遮断器
JP2002216612A (ja) 漏電遮断器
CN100505465C (zh) 过电流保护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