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370B1 -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370B1
KR810000370B1 KR7502787A KR750002787A KR810000370B1 KR 810000370 B1 KR810000370 B1 KR 810000370B1 KR 7502787 A KR7502787 A KR 7502787A KR 750002787 A KR750002787 A KR 750002787A KR 810000370 B1 KR810000370 B1 KR 810000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rame
contact plate
framewor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이께다
다께노리 이와사
오사무 미쯔이
Original Assignee
단노 다께시
아사히 엔지니어링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노 다께시, 아사히 엔지니어링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단노 다께시
Priority to KR750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
제1도는 제2도의 Ⅰ-Ⅰ 단면도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 단면도이며 골조물의 부분단면도.
제3도는 제1도, 제2도에 보인 접촉판의 사시도.
제4도는 접촉판 제조용 판자의 사시도.
제5도는 또 다른 장치의 도면으로 제2도와 유사하다.
제6도는 제7도의 Ⅵ-Ⅵ 단면도이며, 또 다른 장치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 단면도이고 골조물의 부분단면도.
제8도는 제6도, 제7도에 보인 접촉판 블록의 사시도.
제9도는 제6도, 제7도, 제8도에 보인 접촉판 블록에 비해 응용된 접촉판의 사시도.
제10도는 더욱 응용된 접촉판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종단면도.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는 샤프트와 그 위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원통의 구조물을 가지며, 골조물은 샤프트 주위에 원통공간을 둘러싸고, 골조물의 축단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 축 골조부를 포함하며, 원주위 등간격에서 골조물의 끝부분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된다. 원통공간은 골조물의 첨단 사이에서 바(bar)의 연장으로 인해 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각 부분은 선형(扇形) 단면으로 접촉판의 블록이 원활히 수수된다. 각 블록의 인접된 각 쌍의 접축판은 그 사이에서 유동로를 한정한다. 골조물 축단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축 골조부는 접촉판 블록을 선형부로부터 장입과 제거를 용이하게하고, 접촉판은 쉽게 설치되고 수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에 관한 것이고, "대기노출면을 갖는 통조림 처리"가 알 제이 범, 엠 더블유 코레인, 케이 에이 도스탈에 의해 발표되었다(미국 국립 환경조사국 발행 "환경보호기술시리즈" 1973. 4월).
이 논제는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의 시험조작 보고서였다.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가 회전샤프트에 설치된 1개 또는 그 이상의 원판층을 구성한다는 것이 보고되었고, 샤프트는 원판 표면이 회전되는 동안 처리 용액에 잠입하고 제거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미생물군은 원판에 부착되어 성장하고 이 집단은 회전되는 동안 원판의 노출로 인해 대기로 쓰여진다.
일본 특허 공개(49-19786 : 1974. 5. 20)는 일종의 이러한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를 발표했다. 이 접촉기는 원판 블록을 구성하고 있고, 각 원판은 복수의 선형판에 의해 형성되고, 선형판은 둥글게 조립되고, 기계적으로 판의 반경 방향을 따라 보지된다. 원판은 중앙에 개방부를 갖으며, 이러한 여러 원판이 축방향으로 조립되고 조립체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원판 블록이 형성되도록 견고히 보지된다. 여러 블록이 원판의 개방부를 관통하는 샤프트에 설치된다. 다수의 암이 샤프트에 부착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블록과 원판 사이에 한정된 공간으로 연장된다. 암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블록에 보지되고 블록을 샤프트에 견고히 부착시킨다.
전술한 기술에 의한 설치와 배열과 함께, 선형판이 먼저 제작되고 다시 원판으로 조립되는 것은 완전한 접촉판이 사용되는 연장에서 선형판을 조립하는 것이 좀 어렵기 때문이다. 부연하면, 다수의 원판으로 구성되는 블록은 실절적인 중량과 크기이다. 무거운 블록은 이것이 샤프트에 설치할 때와 수리하도록 제거할 때 취급이 매우 곤란하다. 더욱이, 다수의 원판이 볼트에 의해 블록을 형성토록 체결하기 위해 원판은 정빌하게 가공되어야 하고 축방향으로 볼트용 개방부 또는 구멍에 정확한 위치로 조립되도록 구멍은 축방향으로 나란하고, 볼트가 직선구멍에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각 블록은 항상 비교적 적은 수의 원판을 형성한다. 이것은 단일 샤프트의 설치될 블록의 수를 증가시키고, 결론적으로 측방향 암의 공간 셋트를 증가시키며, 암은 샤프트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인접한 블록쌍 사이에 한정된 공간으로 들어가며 결과로 블록과 샤프트 조립부의 무게를 증가하며 필요시 샤프트로부터 블록의 부착과 제거를 증가한다. 더욱이, 상술한 배설의 종래 기술의 장치는 각 원판 블록 사이에서 한정된 폐쇄공간을 포함하게 되고 이것은 장치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수선되는 개량된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샤프트와 전술한 샤프트 위에 설치되어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원형 골조물과, 샤프트에 부착된 축단을 포함하는 전술한 골조물과 골조물의 첨단 사이에 연장된 축 다수의 골조부와 항상 원주에 동일한 간격으로 골조의 축단의 외부끝 모서리 부분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된 골조물과, 항상 등각의 간격으로 배설되고 골조물의 축단사이에 연장되고 축단에 보지된 연장방법의 첫째 셋트와, 반경 방향으로 첫째 세트와 병열관계를 유지하는 두 번째 셋트와, 축골조부가 연장방법의 첫셋트와 조화하여 일반적으로 선형 단면을 가지는 다수의 부분으로 분활하도록 반경내부로 향하는 구조물과, 전술한, 각 부분을 원활하게 수수하고 서로 병열관계를 갖으며 배열된 다수의 접촉판을 구성하고 샤프트 축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개의 접촉판 블록과, 접촉판 양측이 전술한 첫째와 둘째 셋트의 연장방법의 원형으로 인접한 각 쌍에 의해 당첩되고 접촉판의 다른 쪽이 하나의 축골조부에 의해 당접되는 방법으로 형태와 크기가 형성되는 접촉판을 구성하는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가 제공된다.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는 일반적으로(10)에 의해 지지되고 샤프트(Shaft)(12)와 원형골조(13)을 가진다. 골조는 양단에 축(14), (16)을 갖으며 샤프트(12)에서 용접에 의해 확고히 부착된 원판(18), (20)이 축방향으로 설치된다. 다수의 암(arm)(22a), (22b), (22c)…(22l) 등은 원판에 견고히 부착되고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항상 등각 관계이고 제2도에 보인 바와 같다. 제1도의 암(24a)를 포함한 유사한 암도원판(20)에 반경방향으로 동일하게 확장된다. 암은 "L"자형 앵글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축 골조(26a), (26b), (26c), …(26l)은 항상 축방향으로 된 각 쌍의 반경 암과 제거할 수 있는 암의 외단 사이에서 샤프트(12)와 평행하게 확장된다.
각각의 축 골조는 "L"형 앵글을 가짐이 좋고, "L"의 한쪽 레그(leg)(26a')가 샤프트(12)의 축에 비해 반경방향으로 뻗쳐있고, 다른 한쪽 레그(26a")이 항상 샤프트(12)의 축에서 이루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향하도록 부착한다. 나머지 축 골조물의 "L"의 반경과 접선방향 레그는 (26b'), (26c')……(26ℓ')와 (26b"), (26c")……(26ℓ")로 지시된다. 신장 바(bar)(28a), (28c)……(28l)는 샤프트(12)와 항상 평행관계를 가진 원통 공간내에서 확장되고, 이들의 반대편 첨단에서 제2도에서처럼 중간지점에 반경암 (26a)-(26ℓ)를 부착한다.
반경 레그(26a')-(26ℓ')는 신장바(28a)-(28l)과 함께 골조물내에 제2도에 보인바처럼 선형(扇形) 단면을 가지는 다수의 부부(30a)-(30L)을 구성하도록 조화한다. 접촉기 평면의 블록(block)(32)은 축방향으로된 각각의 선형부(30a)-(30L)과 서로 밀폐접촉 관계를 원활하게 수수한다.
제3도에서, 각 접촉판의 블록은 서로 병열관계를 갖는 복수의 접촉판(34)을 구성하고, 각 인접한 접촉판(34)은 격소자(36)에 의해 간격을 갖는다. 격소자(36)을 갖는 접촉판(34)는 종래의 안정장치 방법인 용접, 접착, 또는 기계적인 방법과 같이 접촉판의 블록은 완전히 보호한다. 블록은 골조물내에 접촉판(34)이 샤프트(12)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배치한다. 유동로가 병열의 접촉판(34) 사이에 한정된다.
각각의 접촉판(34)는 본 발명의 상술된 장치에서 일반으로 직삼각형 형태를 가지고 삼각형의 양변(34a), (34b)는 축 골조부(26a와 26b)의 한쌍의 완곡으로 공백된 축 골조부(26a와 26b)의 "L"의 고반경 레그(예를 들면, 26a'와 26b')와 신장비(28a와 28b)의 한쌍에 완곡 공간에 의해서 구속되어 삼각형의 다른 한면(34c)는 축골조부(26a)의 접선레그(26a")에 의해 구속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블록(32)은 골조물이 회전되는 동안 선형부(예를 들면, 30a) 내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도면과 상술에서 골조물에 의해 둘러싸인 원통공간이 (30a)-(30L)까지 12부분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용으로 필수적은 아니다. 선형부의 수가 접촉판 제조에 의해 요구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부가해서, 완곡하게 배열된 일연의 접촉판이 동일 반경 평면에 배치되는 것이 항상 필요치는 않다. 일연의 완곡한 접촉판은 샤프트(12)의 축 방향에 고열되거나 우회될 수도 있다. 사실상, 일연의 완곡한 접촉판이 원이나 원판을 이루도록 함께 보호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이 생물학적인 접촉의 제조와 수선시에 접촉판 블록의 제거와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두개의 접촉판(34)은 제4도에 보인바 처럼 다각판(40)을 대각선으로 절단함으로 쉽게 마련되고 다각판(40)은 플라스틱, 목재, 금속판이나 이들 물질의 얇은 판으로 만든다. 생물학적 접촉기는 샤프트(12)가 탱크에 포함된 폐수 표면 위에 가볍게 확장되도록 배열되고,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매분 수회전 정도로 저회전되어 샤프트(12)주위에 접촉판의 블록(32)가 연속적으로 폐수내로 잠겨진다. 미생물군은 접촉판(34) 표면에 부착하여, 그곳에서 폐수를 정화하도록 성장한다. 이 미생물군은 접촉기가 회전되는 동안 접촉기가 대기에 노출됨으로 공기에 쏘여지고, 한 부분에서(예를 들면 30ℓ) 접촉판의 블록(32)가 물속으로 잠입될 때 원판(18)과 (20)의 회전은 축 골조부(26)의 "L"의 반경 레그(26a')의 한쌍의 축공간과 선형부(30ℓ)에 배치된 신장바(28a)를 통해 원활하게 전달된다.
블록(32) 상에 몇가지 난점이 발생한다면, 접촉기의 회전은 멈추거나 블록을 물 외부로 옮길수도 있다.
이때 블록을 위한 축 골조부는 골조부(12)로부터 블록이 제거되도록 제거된다. 이것은 축 골조부(26a-26ℓ)가 골조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어 쉽게 수행된다. 제거된 블록은 다른 블록에 의해 대치될 수도 있고 제거된 축골조부는 다시 골조물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되어 접촉기의조작이 복구될 수 있다. 제거된 블록은 간편하고 블록이 수선되는 장소로 쉽게 옮겨질 수 있다. 부가해서, 각 인접한 블록쌍의 사이가 축 방향으로 밀폐접촉판이 되어 종전 장치에 있든 막힌 공간의 생성을 막을 수 있다.
제5도 본 발명의 다른 장치를 설명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100)으로 지시되고 각각 선형부를 가지는 다수의 접촉판을 구성하는 블록(132)를 포함한다. 블록(132)는 골조(113)에 상술한 장치와 같이 부착한다. 골조(113)은 제1도, 제2도의 골조물(13)과 유사하고, 축 골조부(126a-126l)가 반경암(122a-122l)에 "L"형 단면의 레그 사이에서 결정된 챤넬이 항상 내부로 향하는 형태로 부착되는 것이 다르다. 첫 번 장치와 유사한 2번째 장치의 부분은 유사한 부분의 숫자에 100을 더하는 방법으로 나타난다.
제6도에서 제8도까지는 (200)으로 표시한 세 번째의 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200)는 첫 장치의 (13)과 유사한 골조물(213)을 가지며, 유사한 부분은 (200)을 첨가해서 나타냈고, 첫 번째 장치와 다른 부분은 하기에 설명된다.
축(212)는 한쌍의 원판(214)와 (216)에 확고히 지지되고 원판(214)와 (216) 사이에서 확장된 중공부(中空部)(227)를 포함한다. 제7도에서 본 바와 같이 신장바(228a), (228b), (228c)……(228ℓ)이 축골조부(226a-226ℓ)의 "L"형 단면부의 반경방향 레그와 반경방향으로 나열되고 용접에 의해 중공부(227)의 외부구 표면에 부착된다. 신장비(228a-228ℓ)의 각 축첨단은 원판(218)과 (22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다(도시않음). 신장바의 기능이 첫 번 장치의(28a-28ℓ) 기능과 같다는 것은 명백하다. 스테이(stay)(240a-240ℓ)가 접촉판 블록(232)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조물(213)의 각각의 완곡 공간쌍 사이에서 확장된다.
제6도에서 제8도까지에 보인바처럼 접촉판 각 블록(232)는 일반적으로 4각 돌기모양(236)을 형성하는 다수의 직삼각 접촉판(234)을 구성한다. 각각 인접된 접촉판의 반대 표면 돌기부가 서로 접촉한다. 돌기부(236)는 공간 뿐만 아니라, 각 접촉판의 표면적으로 증가하는 방법으로 유용하다.
제9도는 전술한 장치의 접촉판 블록의 변형을 설명한다. 접촉판의 변화된 블록은 일반적으로 (232)로 표시되고, 요철(凹凸) 접촉판(334)를 구성하며 이것은 접촉평판(335)에 둥근 돌기부(336)를 형성한다. 두 종류의 접촉판이 종으로 배열되어 요철 접촉판(334)의 돌기부(336)가 접촉평판(335)과 인접한 표면과 만나게 된다. 이 배열은 한 요철 접촉판이, 인접한 요철 접촉판의 당접된 표면에서 한접촉 평판이 두 요철판 사이에 삽입되지 않을 때, 리세스(recess)로 수수되는 것을 배제한다.
제10도, 제11도는 전술한 장치에서 사용된 접촉판 블록의 더 응용된 것을 설명하고, 이 응용은 (432)로 표시되고 각 블록(432)에서 종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접촉판(434), (435)를 구성한다. 각 접촉판(434)에 절단된 피라밋형의 돌기부(436)가 형성되고, 또 다른 종류의 각 접촉판(435)에는 절단된 피라밋형의 돌기부(437)가 접촉판(434)에 돌기부의 피치와 다른 피치로 배열되었고, 돌기부(436)보다 큰 간격을 가지며, 두 돌기부는 항상 같은 높이이다. 두 종류의 접촉판(434), (435)은 조립시 제11도에 보인 바와 같이 판사이에 확실한 통로를 한정하여, 이 조합은 돌기부를 갖는 접촉판 사이에 삽입될 평판이 불필요하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상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샤프트와, 전술한 샤프트 위에 설치되어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원형 골조물과, 샤프트에 부착된 축단을 포함하는 전술한 골조물과 골조물의 첨단 사이에 연장된 다수의 축 골조부와 항상 원주에 동일한 간격으로 골조물의 축단의 외부 끝 모서리 부분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된 골조물과, 항상 등각의 간격으로 배설되고 골조물의 축단 사이에 연장되고 축단에 보지된 연장방법의 첫째 셋트와, 반경 방향으로 첫째 셋트와 병열관계를 유지하는 두 번째 셋트와 축 골조부가 연장방법의 첫째 셋트와 조화하여 일반적으로 선형단면을 가치는 다수의 부분으로 분활하도록 반경내부로 향하는 구조물과, 전술한 각 부분을 원활하게 수수하고 서로 병열관계를 갖으며 배열된 다수의 접촉판을 구성하고 샤프트 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개의 접촉판 블록과 접촉판 양측이 전술한 첫째와 둘째 셋트의 연장방법의 원형으로 인접한 각 쌍에 의해 당접되고 접촉판의 다른 쪽이 하나의 골조부에 의해 당접되는 방법으로 형태와 크기가 형성되는 접촉판을 가지는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
KR7502787A 1975-12-20 1975-12-20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 KR810000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787A KR810000370B1 (ko) 1975-12-20 1975-12-20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787A KR810000370B1 (ko) 1975-12-20 1975-12-20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370B1 true KR810000370B1 (ko) 1981-04-24

Family

ID=1920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787A KR810000370B1 (ko) 1975-12-20 1975-12-20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37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7573A (en) Independently mounted thresher cutters
US2392113A (en) Fan wheel
DE69937402D1 (de) Getriebegehäuse
EP0541724A1 (en) Flexible drive transmitting coupling
US5425874A (en) Rotating contactor including cross flow media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KR860002665A (ko) 고탄성 축 커플링
US5279526A (en) Replaceable sprocket wheel assembly for modular link belt systems
US4613088A (en) Arrangement for reinforcing and spacing annular disks of a hammer rotor
KR810000370B1 (ko) 폐수처리용 회전식 미생물 접촉기
JPS56112839A (en) Thin steel plate for rotor core of motor
US5615732A (en) Air preheater with semi-modular rotor construction
GB1522200A (en)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for use in waste water treatment
US3358913A (en) Multi-section blower wheel
US3960991A (en) Rotary aerator
US2415033A (en) Centrifugal fan
EP0366477B1 (en) Rotary biological contactor
JPS6258234B2 (ko)
US3465815A (en) Heat exchanger assembly for air preheater
AU4450997A (en) Biological disk
US981500A (en) Drive-pulley.
CN215048983U (zh) 立体旋转式网状接触体总成
US2457264A (en) High-temperature fan
FR2390628A1 (fr) Accouplement pour la liaison rigide de deux organes coaxiaux, et application a un accouplement articule
US3081021A (en) Fabricated wheel and blade attachments
SU1615055A1 (ru) Гребной вин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