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304B1 - 절첩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절첩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304B1
KR810000304B1 KR7502227A KR750002227A KR810000304B1 KR 810000304 B1 KR810000304 B1 KR 810000304B1 KR 7502227 A KR7502227 A KR 7502227A KR 750002227 A KR750002227 A KR 750002227A KR 810000304 B1 KR810000304 B1 KR 81000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rod
wheels
legs
lever devic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오르다니 삐에르또
Original Assignee
치오르다니 삐에르또
라파엘 치오르다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오르다니 삐에르또, 라파엘 치오르다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치오르다니 삐에르또
Priority to KR750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유모차
제1도는 퍼진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배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유모차의 측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피붓트 부재들의 세부사시도.
제3도는 접히는 과정에서의 유모차의 몇몇 가동부분의 운동을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접힌상태의 유모차의 측면도.
제5도는 접힌상태의 유모차의 배면도.
제6도는 펴진상태의 유모차의 저면도.
제7도는 접힌상태의 유모차의 저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세부구조도.
본 발명은 절접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버스나 그와 비슷한 교통수단에서도 최대로 접은 상태로 지팡이같이 편리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고저 많은 시도가 행해져 왔다.
이러한 유모차들에는 관(管)부재 및 연결부들 같은 부분품이 많이 필요하며 그의 작동에 관한 세심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은 명확하다. 더우기, 그 관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분절부가 요구된다. 이러한 분절부들은 비용이 많이들며, 또한 파손되거나 움직이지 않게되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들 종래의 유모차들의 구조는 전반적으로 비교적 복잡하며 비용이들며 또한 다루기가 복잡하다. 이러한 종래의 결점은유 모차의 기본특성인 기동성에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은 목적은, 부분품의 갯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할뿐만 아니라 가벼운 프레임(frame)을 가지고 있고, 사용을 위해 펼친상태에서 시이트(seat)의 양측 사이가 넓으며 고리를 풀거나하는 특별한 육체적 노동이 없어도 단순한 한번의 조작으로 완전히 접을 수 있는 구조의 절접식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시이트부재와, 땅위에서 끌고 다닐 수 있게 설치된 바퀴들과, 끌거나 밀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손잡이와, 시이트부재 및 바퀴들을 지지하는 분절식 레버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그 레버장치의 구조가 접은 상태에서 편상태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 가능하게된 절접식 유모차에 있어서, 그 유모차에 상기 레버장치의 조절봉과, 그 조절봉의 적어도 일위치로부터 적어도 다른 유ㅟ치로 이동 가능하게 조절봉을 지지하는 지지체가 또한 설치되어있고, 상기 시이트 부재와 상기 바퀴들을 지지하는 상기 분절식 레버장치가 상기 지지체에 연결된 제1그룹의 분절식 구성부재와 상기 조절봉에 연결된 제2그룹의 분절식 구성부재를 가지고 있고, 조절봉이 그의 상기 일위치로 이동된 때 그 조절부에 의해 상기 분절식 레버장치와 상기 시이트 부재 및 바퀴들이 접힌 상태로 되고, 조절봉이 그의 상기 다른 위치로 이동된 때 레버장치와 상기 시이트 부재 및 바퀴들이 접힌 상태로 되고, 조절봉이 그의 상기 다른 위치로 이동된 때 그 조절볼에 의해 상기 분절식 레버장치와 상기 시이트 부재 및 바퀴들이 펴진상태로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유모차는, 평편한 구조로 되어 있고 강직한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져 있는 후면 받침대 1로 구성되는 종방향의 긴 지지체를 가지고 있고, 그 후면 받침대 1에는 무개를 가볍게 만들기 위한 구멍 1로 구성되는 종방향의 긴 지지체를 가지고 있고, 그 후면 받침대 1에는 무게를 가볍게 하기위한 구멍 101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의 배면에 속이빈 보강 리브(rib) 201이 취부되어있다. 후면 받침대 1의 하단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받침대에 대해 각이져 연장하여 시이트 지지체 1a를 형성하고, 그 시이트 지지체의 상측에 궁형(弓形) 플레이트 1b가, 가요성 백(bag)모양의 시이트 부재 21의 표면이 매끄럽게 되도록 머리가 나오지않는 리벳트(rivet)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시이트 지지체 1a의 후면에는 지지체 구조의 구성요소로서) 단일체의 구조물 30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단일체 구조물 301은 후면 받침대1의 하단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 그 단일체 구조물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8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일체 구조물 301은 그의 후방으로 향한면에 , 유모차의 접을 수 있는 다리 6, 7, 8 및 9를 위한 채널(channel)형 지지부제 2, 3, 4 및 5를 가지고 있다(제6도). 그 채널형 지지부재들의 종방향 중심선은 후술되는 조절봉 28에 대하여 하방으로 모두 분기되어 있다. 제2도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채널형 지지부재 4 및 5의 중심선은 후면 받침대 1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조절봉 28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가장수직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분기되어있으며, 채널형 지지부재 2 및 3의 중심선은 시이트 지지체 1a에 대하여 접선적이고 상기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연장하여 있다. 다리 6 및 9의 중심선들은 그 다리들이 사용을 위한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채널 지지부재 2 및 5의 중심선과 일치한다. 중공의 장방형 단면을 갖는 다리 6, 7, 8 및 9는 그들의 일단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형 지지부재 2, 3, 4 및 5내에서 그 채널형 지지부재들의 부시(bush)형의 구멍들 내에 지지된 피봇트 7에 의해 축지되어 있다. 그 부시형 구멍들 중 3개의 구멍 3'4'5'와 다리 7의 피봇트 7'만이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리 6과 7은 길이가 같고, 그 다리들의 단부에 2개의 앞바퀴 400들이 서로 무관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리 8과 9도 서로 길이가 같으나 앞다리들 보다는 조금 짧고, 다리 8 및 9도에도 역시 그의 단부에 뒷바퀴 401들이 서로 무관하게 설치된다.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에서, 다리 6, 7, 8 및 9의 경첩식 단부들은 각각의 채널 지지부재 2, 3, 4 및 5의 저벼에 계지되며, 이들 채널 지지부재들의 측벼들, 즉 플랜지(flange)들에 의해, 그 단부들이 휘어지거나 불필요하게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채널형 지지부재 2-5의 측벼들은, 그 지지부재내에 배치된 다리용의 피봇트들이 수평면, 즉 유모차가 펼친 상태일 때 그 유모차의 바퀴들이 땅위에 놓이는 면에 대하여 모두 평행 상태를 취하도록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채널형 지지부재는, 상기 피봇트가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유익하다. 그 피봇트 들은 채널형 지지부재들의 대칭면에 수직하여야 한다. 이들 대칭면은 수직이거나 또는 그 수직에 대해 경사져 있어도 좋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에서, 다리 6,7,8및 9를 접고 펼때 그 다리들과 바퀴 400 및 401은, 제6도 및 7도에 도시된 바퀴 400과 401의 각도 위치와 비교할 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축 주위에서 각(角)운동을 행하는 구성부재들을 가지고 있어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각운동에 의해, 제7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유모차를 접을 때 바퀴들을 상호 방해없이 보다 근접될 수 있다.
더우기, 접은 상태에서 앞다리 6,7은 뒷다리 8,9보다 길이가 더 길므로 바퀴 400위에 배치되어 검유 공간을 휠씬 더 감소시킨다.
분절식 연결봉 23,24,25 및 26의 일단은 블럭(block) 27의 각 돌출부에 축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다리 6,7,8 및 9의 중간지점에 축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블럭 27은 수직의 관형 조절봉 28의 하단에 리벳트(도시안됨)에 의해 부착되며, 그 조절봉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 그 조절봉은, 후면받침대 1의 배면에 서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배치된 부재 301,29 및 20내에 설치된 슬리이브(slleeve)형의 가이드 시이트들 내에서 축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봉 23,24,25 및 26의 단부들은 구부러져 있어 그 연결봉들에 수직인 피봇트형의 연장부를 형성하며, 또한 각 다리 및 블럭 27의 돌출부에 형성된 부시형 구멍들내에 축지되어 있다. 각 연결봉의 피봇트형 단부들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각 다리와 단일체구조물 사이의 경첩식 연결부의 경첩축에 평행한다. 그리하여, 예로써, 연결봉 24의 2개의 서로 상대되는 피봇트형 단부들은 서로 평행하며, 다리 7이 축지된 단일체구조물 301의 피봇트 7'로 나타내어지는 채널형 지지부재 2-5의 대칭면들 같은, 다리들의 경첩축들에 수직인 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대칭면은 수직에 대해 약간 경사지고 서로 집중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방식으로, 분절된 레버장치의 일부분이 제공되며, 그 레버장치에 의해 다리 6,7,8 및 9를 조절봉 28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우산과 같은 방식으로 접었다 폈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모차는 접을 수 있는 방식으로 백(bag)과 같은 시이트 부재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레버장치의 구성부품을 가지고 있다. 이들 추가 구성부품들은 후면 받침대 1의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측부 바아(bar) 12와 13이다.
유모차의 상단에서, 그 바아 12와 13은 U-형 링크(link) 16과 17에 의하여 전술한 레버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링크의 아암(arm) 16', 17'이 바아 12 및 13의 상단에 연결되며, 다른 아암 16", 17"는 후면받침대 1의 상단가까이에 제공된 돌출부재 20에 그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아암 16' 및 16"는 제2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 16a에 대하여 모두 수직이며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다. 그리하여, 바아 12는 아암 16' 및 16"주위에서 선회할 수 있고, 바아 13은 아암 17' 및 17"주위에서 선회할 수 있다. 실제로, 아암 16' 및 16", 17' 및 17"는 미아 12,13 및 돌출부재 20에 설치된 부시형 구명들내에 수용된 피봇트 들로서 작용한다.
바아 12 및 13의 하단은 다리 6 및 7의 하단가까이에서 L-형 피봇트 10 및 11에 의해 그 다리돌에 연결되어 있다. L-형 피봇트 10이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다. 피봇트 11도 피봇트 10과 같은 형태이다. 그리하여, 바아 12는 피봇트 10의 피봇트아암(arm) 10' 와 10"주위에서 다리 6에 대하여 상대 선회할 수 있으며, 다리 6은 경첩식 지지부재 2주위에서 선회한다. 다시말하면, L-형 피봇트 10 및 U-형 링크 16에 형성된 경첩식 연결부는 다리 6의 이동에 따라 바아 12가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경첩축들사이의 도시된 상호관계 및 그 축들의 각도위치는, 다리 6의 바퀴 400이 조절봉 28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는 다리 6의 펴짐이동시, 바아 12도 역시 조절봉 28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즉 후면받침대 1에 평행한 방향 및 그에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접는 상태에서는 그 반대운동이 일어난다. 바아 13과 다리 7에 대하여도 같은 작동이 행해지며 따라서 다리 6-9와 바아 12와 13을 포함하는 구조물이 우산같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바퀴가 연결된 다리 6-9의 단부는 조절봉 28에 접근 및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바아 12 및 13도 선로에 접근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유아의 팔걸이로 사용된다. 바아 12, 받침대 1, 링크 16 및 다리 6은 일종의 분절식 4변형체를 형성한다. 바아 13, 받침대 1, 링크 17 및 다리 7도 같은 형상을 이룬다.
시이트(seat)부재는 적합한 심이 넣어진 가요성재료의 포켓트(pocket) 21로 구성되어 있다. 그 시이트 부재는 후면 받침대 1의 전면과 바아 12와 13에 고정되어 시이트의 앉는 부분과 후면 받침대 1을 위한 라이닝(lining)을 형성한다. 발 받침대로 작용하는 가요성 밴드 22는 그의 양단이 바아 12와 13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조절봉 28은 하측으로부터 후면 받침대 1위로 연장하여 있으며 그의 말단부에는 유모차를 끌거나 밀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우산손잡이 형태의 2개의 손잡이 32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플라스틱 재료의 지지체 31이 설치되어 있다.
후면 받침대 1에 대한 봉 28의 축방향운동을 방지하는 수단이 또한 설치되어 있다. 그 수단은 상측 배면부에서 그 후면 받침대 1에 고정된 핸들 20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핸들에는 조절봉 28에 일렬로 천공된 적당한 구멍내에 삽설될 수 있는 핀 15를 가진 가동(可動)레버 14 .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삽설은 핸들의 부분 14와 고정부 사이에 위치한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유지된다.
유모차를 최대로 펼친 상태에서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횡부재 150이 바아 12와 13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그 횡부재는 양단이 분절식으로 되어있어 접을 수 있게되어 있고, 그의 중심부에서 연결부재 151에 분절식으로 설치된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분절식 횡부재 150은 바아 12와 13이 최대로 벌어진 상태에 있을때 실재 직선으로 된다. 접힌 상태에서, 그 분절식 횡부재 150은 연결부재 151에 서 예각을 이룬형으로 접힌다. 횡부재 150의 접히고 펼쳐지는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2개의 포오크(fork) 152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펼친 상태에서 일단이 횡부재 150의 중간위치에 걸린다. 각 포오크 152의 타단은 각각의 연결봉 23 또는 24에 고정되어 있다. 유모차를 접은 상태에서 포오크 152는 횡부재50으로 부터 벗어난다.
유모차의 절첩 및 개방조작은 다음과 같다.
유모차를 접을때는, 손잡이 32를 회전시켜 앞쪽으로 한데 모아(제 2,4 및 5도) 서로 평행하게 마주 보게 한다음 핸들 20과 손잡이 32를 움켜쥔다. 레버 14에 압력을 가해 핀 15를 조절봉 28의 구멍으로부터 빠지게하여 그 조절봉 28이 가이드 슬리이브(sleeve)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다음에 조절봉 28을 아래쪽으로 눌러주어 그에 고정되었던 블럭 27을 단일체 구조물 301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 그에 연결된 분절식 레버장치들의 상태는 유모차를 펼친 상태인 제2도와 반쯤 접은 상태인 제3도를 비교함으로써 잘 알 수 있는 바와같은 방식으로 된다. 반대로, 접은 상태에서부터 조절봉 28을 위쪽으로 올려줌으로써 블럭 27이 단일체 구조물 301쪽으로 이동된다.
유모차를 접고 펼칠때, 다리 6-9에 부착된 바퀴들의 전술한 바와같이 반경방향 이동 및 바아 12와 13의 선회 이동이 일어난다. 연결봉 23-26과 다리 6-9로 이루어진 분절식 레버장치는 사점(死點)을 가지고 있어 이 사점을 지나서 조절봉 28을 이동시키면 다리 6-9가 접히어 조절봉 28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분절식 레버장치의 구성부품의 칫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힌 상태에서 조절봉 28이 그 사점의 약간 상측에 위치하도록 선정된다. 그리하여, 레버장치는, 유모차에 유아를 태운 상태하에 최대로 펼친 상태로 유지할때, 즉 조절봉 28의 사점위치에 그 레버 장치를 유지시키는 경향이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조절봉 28을 사점위치를 넘어서까지 밀었을 때 레버장치의 구성부품에 최대 장력이 가해지고 이 장력은 사점위치를 넘어서자 마자 없어지는 반발 저항을 발생시킨다. 그리하여, 그 레버장치는 그 사점을 지나서 접힌 상태로 된때 스냅(snap)동작이 일어난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펼친위치에서 포오크 152는 횡부재 150에 대하여 하방으로 포오크의 상측 고리가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펼친 상태가 고정된다. 또한, 펼친 상태에서 핀 15는 조절봉 28의 하측 구멍들에 자동적으로 삽입되어 펼친상태를 추가로 고정시키게 된다. 접을때는, 조절봉 28의 구멍으로 부터 핀 15를 뽑은 후 그 조절봉 28을 아래쪽으로 밀어주어 포오크 152를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포오크 152의 하부 고리가 횡부재 150에 닿게하고 그 횡부재를 상향으로 밀어주어 횡부재 150의 2개의 부분들을 접히게하고 포오크 152로부터 벗어어나게 한다.
그리하여, 유아를 유모차에 태웠을 때, 그 분절식 횡부재는 바아 12 및13이 움직이지 않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유모차가 제4도 및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은 상태에 있을 때 가이드 채널 29내로 철회된 조절봉 28의 구멍에 핸들 20의 핀 15를 삽입함에 의해 핸들 32를 잡고 운반 도중에도 유모차 프레임의 중력에 의하여 펼쳐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관형부재들의 수가 최소의 필요 불가결한 숫자로 감소되고, 실제로 측부 봉, 다리 및 종방향봉들에만 관형부재가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된 관절부의 수도 감소되며 그 관절부의 작동도 훨씬 간단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유모차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보다 가벼워지고 가격도 저렴해진다.
더우기, 유모차의 가장 유익한 특징은, 유모차를 접은 상태에서 제3레버 및 16및 17과 분절부 10및 11의 크기와 다리 6 및 7의 퍼진 정도가 유모차의 전체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측부봉들의 상호 횡간격을 바람직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1)

  1. 적어도 1개의 시이트(seat)부재(21)와, 땅위에서 끌고 다닐 수 있게 설치된 바퀴(400, 401)들과, 끌거나 밀기 위한 손잡이부재(32)와, 시이트부재 및 바퀴들을 지지하고 접은 상태에서 편상태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분절식 레버장치로 구성된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 그 유모차에 상기 레버방치용의 조절봉(28)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조절봉의 적어도 일위치로 부터 적어도 다른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조절봉(28)을 지지하는 지지체(3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절식 레버장치가 상기 지지체에 연결된 제1그룹의 분절식 구성부재(6,7,8,9)와 상기 조절봉에 연결된 제2그룹의 분절식 구성부재(23, 24, 25, 26)로 이루어져있어, 상기 조절봉(28)이 그의 상기 일위치로 이동된때 그 조절봉에 의해 상기 분절식 레버장치와 상기 시이트 부재 및 바퀴들이 접힌 상태로 되고, 그 조절봉이 그의 상기 다른 위치로 이동된때, 그 조절봉에 의해 상기 분절식 레버장치와 상기 시이트부재 및 바퀴들이 펴진 상태로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KR7502227A 1975-10-13 1975-10-13 절첩식 유모차 KR81000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227A KR810000304B1 (ko) 1975-10-13 1975-10-13 절첩식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227A KR810000304B1 (ko) 1975-10-13 1975-10-13 절첩식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304B1 true KR810000304B1 (ko) 1981-03-30

Family

ID=1920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227A KR810000304B1 (ko) 1975-10-13 1975-10-13 절첩식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30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6069A (en) Collapsible baby stroller
US3995882A (en) Folding support structure
US4681340A (en) Child's folding pushchair
EP0027374B1 (en) Baby carriage
AU2001284231B2 (en) Collapsible pushchair/carrier
US6692015B2 (en) Stroller with folding frame and retractable handlebar
US4007947A (en) Baby carriage foldable in width and shortenable in height also having the seat-back inclinable in various positions
US7390012B2 (en) Folding baby buggy
JPS5832064B2 (ja) 乳母車
JP2020521669A (ja) ベビーカー
AU2001284231A1 (en) Collapsible pushchair/carrier
GB2139161A (en) Foldable baby carriage
US4775182A (en) Foldable beach chair or the like
EP1842760B1 (en) Collapsible stroller frame
US4265466A (en) Baby carriage
USRE31760E (en) Baby carriage
US2615725A (en) Folding gocart
KR810000304B1 (ko) 절첩식 유모차
US3953046A (en) Folding sport stroller or the like
CN211918800U (zh) 童车车架
CN107618558B (zh) 儿童推车
GB1584110A (en) Folding push-chairs
GB2145982A (en) Foldable push-chair
CN108583669B (zh) 双向折叠推车
GB2371477A (en) A linkage mechanism for a collapsibl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