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2259Y1 - 경수연화 처리기 - Google Patents

경수연화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2259Y1
KR800002259Y1 KR2019800005385U KR800005385U KR800002259Y1 KR 800002259 Y1 KR800002259 Y1 KR 800002259Y1 KR 2019800005385 U KR2019800005385 U KR 2019800005385U KR 800005385 U KR800005385 U KR 800005385U KR 800002259 Y1 KR800002259 Y1 KR 800002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ion exchange
exchange resin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5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대
Original Assignee
신현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대 filed Critical 신현대
Priority to KR2019800005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2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2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2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수연화 처리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 2 도의 1, 제 3 도의 1, 제 4 도의 1은 각각 본 고안의 절환 콕크 회전축의 저면도.
제 2 도의 2, 제 3 도의 2, 제 4 도의 2는 동상의 각 평면도.
제 2 도의 3, 제 3 도의 3, 제 4 도의 3은 동상의 사시도인데, 제 2 도의 1, 2, 3은 제 3 도의 상태에서 축을 중심으로하여 우측으로 45도 회전시킨 상태의 도면이고,
제 4 도의 1, 2, 3은 제 3 도의 상태에서 반대로 축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45도 회전시킨 상태의 도면.
본 고안은 경수를 연수로 만드는 경수연화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주부들이라도 손쉽게 다룰수 있는 편리한 장치이면서도 높은 효율의 연화결과를 얻기 위하여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탈가능한 뚜껑을 갖인 단일용기(單一容器) 본체내에 그 저부중앙으로부터 제1급복수관(給復水管)을 돌설시키고 그 내주(內周)에 소요의 간격을 두고 이것보다 가늘고 긴 제2급복수관을 감입시켜 이중으로 장설하여 그 긴 부분을 제1급 복수관의 상부에 돌출시키고, 제1 및 제2급복수관의 밑에 설치된 급수구 및 복수구는 그 사이에 개재시킨 절환콕크의 조작에 의해 서로 연통(連通)될수 있게 하였다.
용기본체내에는 소정량의 이온교환수지를 봉입하여 경수가 하측 급수구에서 제1급복수관을 통과하여 그 원주에 천공된 구멍에서 방사상으로 사출되어 상부에 위치한 이온교환수지층을 고루고루 통과하는 동안에 완전히 연화된다음 제2급복수관을 통해 복수구에 배출되고, 이온 교환수지의 재생이 필요할때는 반대로 제2급복수관을 통해 물을 재생제(再生劑)와 같이 제 1급복수관 쪽으로 역류시켜 수지를 재생하도록 한 경수연화처리기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로서 연수용기 본체(1)의 두부(頭部)에는 착탈자재한 뚜껑(2)을 팩킹(3)을 통해 밀폐하고 이 뚜껑(2)는 이온교환수지(4)를 용기본체(1)에 봉입하는 경우와 수지(4)의 재생이 필요할때 재생자 (예컨대 식염수)를 투입할 경우에만 개구하고 연화 및 재생처리중에는 일체 폐구한다. 용기본체(1)의 저부중앙으로부터 직립 돌설한 원통상의 제1급복수관(5)의 내주에, 일정한 간격(S)을 두고 이것보다 가늘고 긴 제2급복수관(6)을 감입하여 이중으로 하고, 제1급복수관(5)보다 제2급복수관(6)의 긴 부분을 그 위에 돌출시켜 양자 모두 두부를 밀폐하고, 제1급복수관(5)의 상부 원주에 적당수의 구멍(C)을 천설하며, 또 제2급복수관(6)의 상부 원주에도 똑같이 적당수의 구멍(D)을 천설한다.
위의 구멍(C)(D)의 외주를 스크린망(E)으로 각각 권착시켜 이온교환수지(4)의 입자가 제1 및 제2급복수관(5)(6)내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 제1 및 제2급복수관(5)(6)의 하축에는 절환콕크(7)을 거쳐 제1급복수관(5)과 연통시키는 급수구(A)와, 제2급복수관(6)과 연통시키는 복수구(G)를 설치하고 급수구(A)에는 수도 꼭지(도시하지 않았음와 연결시키고, 복수구(G)에는 배수 꼭지(도시하지 않았음)를 연결시킨다.
제 2 도의 1, 제 3 도의 1, 제 4 도의 1은 절환콕크회전축(7)의 저면도, 제 2 도의 2, 제 3 도의 2, 제 4 도의 2는 동평면도, 제 2 도의 3 제 3 도의 3, 제 4 도의 3은 동사시도인데 제 2 도의 1,2,3은 제 3 도의 1,2,3의 상태에서 축을 중심으로해서 우축으로 45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제 4 도의 1,2,3은 제 3 도의 1,2,3의 상태에서 반대로 축을 중심으로 해서 좌측으로 45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원수를 연화시키는 경우의 회전축(7)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제 2 도의 1,2,3의 물의 흐름은 급수구(A)에서 회로(F)를 경유하여 절환콕크(7')의 개부구(I)를 거쳐 제2급복수관(6)에 들어가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제 3 도는 원수가 본체(1) 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축 회로(B)에서 (F)를 통과하여 복수구(G)로 배출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제 4 도의 1,2,3에 표시된 것은 급수구(A)에서 절환콕크회전축(7)의 회로(B)를 통과하여 절환콕크(7')의 개구부(H)를 경유해서 제1급복수관(5)에 들어가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용기본체(1)내에 소정량(약 80%)의 이온교환수지입자(4)(그 비중은 약 12)를 봉입하고, 급수구(A)에 처리용원수 또는 수도 꼭지에서 오는 호스를 접촉 고정한다.
회전축(7)에는 레바(11)를 장착하고 축(7)의 회전하는 각도를 재생, 원수, 소프트라고 표시한 눈금판(8)을 부착한다.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경수연화처리를 하는데는 절환콕크회전축(7)을 중심으로해 좌측으로 45도 회전시켜 급수구(A)에서 급수하면, 원수는 그 축의 회로(B)를 통과하여 개구부(H)를 경유하여 제1급복수관(5)에 들어간다.
제1급복수관(5)에 들어간 원수는 그 원주에 천공된 구멍(C)에서 이온교환수지입자(4)의 하층전체에서 팔방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확산하면서 상승하고 원수의 상승에 의한 수류에 의하여 이온교환수지입자(4)의 전체를 전도 이동시키면서 통과되므로 상부에 위치한 이온교환수지입자(4)를 100% 통과하여 극히 효율적으로 원수를 연화시키게 된다.
이렇게 처리된 연화수는 제2급복수관(6)의 구멍(D)으로 들어와 절환콕크의 개구부(I)를 경유하여 회전축(7)의 회로(F)를 경우 복수구(G)로 배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연화를 정지하면 상승한 이온교환수지입자(4)는 용기본체(1) 하부로 전도되면서 자연 낙하하여 항상 이 수지입자(4)와 물과의 접촉면을 다르게하여 연화능률을 높이게 된다.
본 고안은 용기본체(1)의 저부 중앙에서 돌출시킨 제1급복수관(5)의 내주에 일정한 간격(S)을 두고 이것보다 가늘고 긴 제2급복수관(6)을 삽입하여 이중으로하여, 긴 부분을 그 위에 돌출시켰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저한 연화작용을 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온교환수지입자(4)를 재생하려면, 전환콕크회전축(7)을 우측으로 45도 회전시켜 용기본체(1)의 뚜껑(2)을 열고 소요량의 식염 또는 식염수를 용기본체(1)내에 넣고 뚜껑(2)을 덮는다. 다음 급수구(A)에서 급수하면, 회전축(7)의 회로(F)를 경유하여 개구부(I)를 통과하고, 제2급복수관(6)을 상승하여 구멍(D)에서 팔방으로 유출하여 이온교환수지입자(4)의 전체가 식염과 함께 접촉하면서 흘러내려 제1급복수관(5)의 구멍(C)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서 개구부(H)를 통하여 축회로(B)에서 복수구(G)로 배출시켜 재생되는 것인데, 복수구(G)에서 물의 짠맛이 없어지면 재생은 완료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7)의 주조작에 의해 물(온수일때는 100℃까지 기능)의 순류(順流), 역류(逆流)에 의해 이온교환수지입자는 일정한 장소에 머물지 않고 전도이동되어 고체화되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경수연화처리기이다.

Claims (1)

  1. 착탈자재한 뚜껑(2)을 관착하고 이온교환수지(4)를 넣은 단일용기본체(1)에 있어서, 상부주벽에 다수의 구멍(C)을 천설한 제1급복수관(5)내에 일정간격(S)을 두고, 역시 상부주벽에 다수의 구멍(D)을 천설한 가늘고 긴 제2급복수관(6)을 이중으로 감삽시켜 그 위에 돌출시키고, 제1 및 제2급복수관(5),(6)의 하측에 설치한 급, 복수구(A),(G)와 개구부(H),(I)간에는 급복수회로(B),(F)를 형성한 절환콕크회전축(7)을 삽설하여서 된 경수연화처리기.
KR2019800005385U 1980-08-21 1980-08-21 경수연화 처리기 KR800002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5385U KR800002259Y1 (ko) 1980-08-21 1980-08-21 경수연화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5385U KR800002259Y1 (ko) 1980-08-21 1980-08-21 경수연화 처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579 Division 1979-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2259Y1 true KR800002259Y1 (ko) 1980-12-31

Family

ID=1921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5385U KR800002259Y1 (ko) 1980-08-21 1980-08-21 경수연화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22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92954A (en) Distributing valve
US2626675A (en) Sorbing tower
US31520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transferring ion exchange resin
NO150588B (no) Motstroems-fremgangsmaate til behandling av vaesker med en ioneutveksler og ioneutvekslerfilter til gjennomfoering av fremgangsmaaten
US2304453A (en) Water softener
KR800002259Y1 (ko) 경수연화 처리기
US2753302A (en) Water treating system
US3465880A (en) Compact water softener and brine storage tank
ES414278A1 (es) Procedimiento para efectuar procesos de intercambios de io-nes y de adsorcion.
US6290845B1 (en) Water softener tank
US1958176A (en) Portable water softener
US3454492A (en) Method of softening water and regenerating the base exchange bed
US1677891A (en) Water-softening apparatus
US2036634A (en) Water treating apparatus
KR100507852B1 (ko) 유량조절밸브와 원 터치식 재생탱크 개폐장치를 갖춘완전재생이 가능한 연수기
US1940720A (en) Water softener
JPH0135266Y2 (ko)
JP2576155B2 (ja) 複層式イオン交換装置
SU1114438A1 (ru) Ионитный фильтр смешанного действи
GB1239964A (en) Processes and apparatus for demineralising water
JPS5651247A (en) Regeneration of ion exchange resin used for refining sugar liquid
KR0127665Y1 (ko) 전자동세탁기의 연수제조장치
JPS5931311Y2 (ja) イオン交換装置
KR200255697Y1 (ko) 유량조절밸브와 원 터치식 재생탱크 개폐장치를 갖춘 완전재생이 가능한 연수기
JPS647990A (en) Condensate desal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