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797Y1 - Print wheel for use in electronic printer - Google Patents

Print wheel for use in electronic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797Y1
KR800001797Y1 KR7904286U KR790004286U KR800001797Y1 KR 800001797 Y1 KR800001797 Y1 KR 800001797Y1 KR 7904286 U KR7904286 U KR 7904286U KR 790004286 U KR790004286 U KR 790004286U KR 800001797 Y1 KR800001797 Y1 KR 800001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print wheel
type
consonants
nu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42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창식
Original Assignee
구자경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경,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구자경
Priority to KR7904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79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797Y1/en

Links

Landscapes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전자식 프린터의 1열 프린트 휠Single Row Print Wheels in Electronic Printers

제 1 도는 한글 자모, 숫자, 부호 등을 분류시킨 분류표.1 is a classification table that classifies Hangul alphabet, numbers, codes and the like.

제 2 도는 한글의 조합유형의 분류 표시도.2 is a classification display of the combination type of Hangul.

제 3 도는 제 1 도 분류표 자소의 사용 빈도 순위표.3 is a frequency chart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class classification table.

제 4 도는 제 1 도 분류표 자소의 치수(Size)도표.4 is a size diagram of the first-class classification table.

제 5 도는 본 고안 프린트 휠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print wheel.

제 6 도는 제 5 도 일부 확대도.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제 7 도는 본 고안 프린트 휠에 배열된 자소 배열표.Figure 7 is a phoneme arrangement table arranged on the present invention print wheel.

제 8 도는 전자식 프린터시스템의 개략도.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nic printer system.

제 9 도는 전자식 프린터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printer.

제 10 도는 전자식 프린터의 구동장치 개략 사시도.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rive device of an electronic printer.

본 고안은 데이지(daisv)형 전자식 프린트 휠에 한글 자모와 숫자, 부호 등을 한글 조합 유형에 따라 군으로 분류함에 있어서 각 소자의 사용빈도 및 결합빈도와 치수(size)등을 고려하여 첨부도면에 의한 자소 배열 순서표의 순서 및 위치로 각기 스포우크(spnke)에 연속 배열시키어 한글의 자양을 좋게하고 인자속도를 증가시킨 한글자모, 숫자, 부호를 배열시킨 전자식 프린터의 1열 프린트 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Hangul alphabet, numbers, and symbols on a daisy-type electronic print wheel into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combination type,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device, coupling frequency and size, etc.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row print wheel of an electronic printer in which Hangul alphabet, numbers, and symbols are arranged to improve the quantification of Korean characters and increase the printing speed by sequentially arranging them on the spokes in the order and position of the phoneme arrangement sequence table.

본 고안에서 한글 자모, 숫자, 부호 등의 자양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서는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ㄱ, ㄴ, ㄷ, ㄹ, ㅁ, ㅂ…,',·- ? !로 분류한 용도를 살펴보면,In order to beautify the qualities of the Hangul alphabet, numbers, and symbol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b, c, d, ㅁ, ㅂ. , ', ·-? Looking at the uses classified as!,

1) 제 1 도 분류표에 의한 일련번호 1-19까지의 자음은 수평모음 앞에서 사용되는 자음군으로 이중 일련번호 2,3,4,5,6,12,13,16,17,18,19의 11개 자음은 수직모음 앞에서도 공통으로 사용되는 자음군인 것이고, 3,5,6,7,9,10,11,12,13,14,15의 11개는 받침군으로도 공용할 수 있게 분류하였고,1) Consonants with serial numbers 1-19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hart of FIG. 1 are consonant groups used in front of the horizontal vowels, of which the serial numbers 2,3,4,5,6,12,13,16,17,18,19 Eleven consonants are consonant groups commonly used in front of vertical vowels, and eleven of 3, 5, 6, 7, 9, 10, 11, 12, 13, 14, and 15 are classified as common. And

2) 제 1 도 분류표에 의한 일련번호 20-27까지의 자음은 수직모음 앞에서만 사용되는 자음군이고, 기타 자음은 상기의 1) 항에서와 같이 수평모음 앞에서 사용되는 자음군과 공용하게 하였고,2) Consonants up to serial numbers 20-27 according to FIG. 1 classification table are consonant groups used only in front of vertical vowels, and other consonants are shared with consonant groups used in front of horizontal vowels as in 1) above.

3) 제 1 도 분류표에 의한 일련번호 28-31까지는 빈도가 높은 단받침 자음군이므로 특별히 따로 분류하였고, 기타 받침은 상기의 1) 항에서와 같이 수평모음 앞에서 사용되는 자음을 이동시켜서 받침군으로 사용하게 하였고,3) The serial numbers 28-31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hart of 1 are classified separately because they are a high frequency of single support consonants, and the other supports are moved to the support group by moving the consonants used in front of the horizontal collection as in 1) above. To use,

4) 제 1 도 분류표에 의한 일련번호 32-까지의 이중 받침군을 분류하고, 빈도가 낮은 이중받침 ㄽ, ㄿ은 여기에서 삭제하고 다른 방법으로 자음을 조합하여 사용하게 하였고,4) The double support group up to serial number 32-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hart of FIG. 1 was classified, and the low support double support ㄽ and ㄿ were deleted here and other consonants were used in combination.

5) 제 1 도 분류표에 의한 일련번호 42-44의 중간모음군을 초성자음과 수직모음 사이에만 들어가게 분류하였고,5) The middle vowel group of serial number 42-44 according to the first degree classification table was classified so as to enter only between the initial consonant and the vertical vowel,

6) 제 1 도 분류표에 의한 일련번호 45-52의 수직모음군은 받침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하였고, 빈도가 극히 낮은 모음 "H"는 삭제하여 일련번호 59와 공용토록 하였고,6) The vertical collection group of serial numbers 45-52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hart of FIG. 1 is used when there is a bearing, and the vowel "H" with a very low frequency is deleted to be shared with the serial number 59.

7) 제 1 도 분류표에 의한 일련번호 53-61의 수직모음군은 받침이 없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하였다,7) The vertical collection group of serial number 53-61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hart of FIG. 1 is to be used when there is no support.

8) 제 1 도 분류표에 의한 일련번호 62-66의 수평모음군은 받침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하였고,8) The horizontal collection group of serial numbers 62-66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hart of FIG.

9) 제 1 도 분류표에 의한 일련번호 67-71의 수평모음군은 받침이 없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하였고,9) The horizontal collection group of serial number 67-71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hart of 1 is to be used when there is no support.

10) 제 1 도 분류표에 의한 일련번호 72-81의 10개는 숫자이고, 일련번호 82-96의 15개는 부호로서 분류표에 없는 부호 =, :, ", ;,는 상기 15개 부호중에서 -, ·, ', ",을 조합하여 인자할 수 있도록 하였다.10) Ten of the serial numbers 72-81 according to the first degree classification table are numbers, and fifteen of the serial numbers 82-96 are codes, and the symbols not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table =,:, ",;, are the above 15 codes. -, ·, ', ", In combination to make it possible to print.

이상에서와 같이 한글 자모, 숫자, 부호 등을 분류시킨 본 고안은 수평모음앞에 오는 자음군과 수직모음앞에 오는 자음군을 자양에 따라 필요하다고 판단된 것을 따로 구분하여 제 2 도의 도시한 바와같이 한글의 자양을 미려하게 인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한글의 자소를 조합하여 글자를 구성할때의 각 글자의 조합 유형을 보면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lassifies Korean consonants, numbers, and signs, separates the consonant group that comes before the horizontal vowel and the consonant group that comes before the vertical vowel according to the nourishment. When you look at the combination type of each letter when composing letters by combining the phonemes of each Hangul, as shown in Figure 2,

1형 : 자음+중간모음+수직단모음+받침Type 1: Consonant + Middle Bar + Vertical Bar + Bar

2형 : 자음+중간모음+수직장모음Type 2: Consonants + middle vowels + vertical vowels

3형 : 자음+수직단모음+받침Type 3: Consonants + vertical vowels + support

4형 : 자음+수직장모음Type 4: Consonant + Vertical Bar

5형 : 자음+수평단모음+받침Type 5: consonants + horizontal vowels + support

6형 : 자음+수평장모음Type 6: Consonants + Horizontal Bars

의 6가지 유형이 되는 것이다.There are six types of.

즉 1형은 "곽", 2형은 "과", 3형은 "각", 4형은 "가", 5형을 "곡", 6형은 "고"로 분류할 수 있어서 같은 "ㄱ"자라도 수직모음 및 수평모음 앞에서의 사용과 단받침과 이중받침에서의 사용되는 유형에 따라 한글자형이 미려하게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ype 1 can be classified as "Wang", type 2 as "and", type 3 as "angle", type 4 as "A", type 5 as "Song", and type 6 as "High". "Jharo can be displayed beautifully according to the type used in the vertical collection and the horizontal collection and the type used in the single and double bearings.

이렇게 한글 자모, 숫자, 부호등의 자양이 미려하게 되게 분류된 제 1 도에서 인자속도를 높히기 위하여서는 프린트 휠 표면에 각 자소의 빈도 순서와 글자 구성에 따른 결합 빈도에 따라 빈도가 높은 자소까지 배열하여 프린트 휠의 회동거리를 짧게 함으로 인자속도를 높이게 할 필요가 수반되었다.Thus, in order to increase the printing speed in the first diagram, which is classified as beautiful letters of Korean alphabet, numbers, and codes, the letters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 wheel with high frequenc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ch phoneme and the combin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 composition. There was a need to increase the print speed by shortening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print wheel.

따라서 사용빈도와 결합빈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문서, 신문, 잡지 등의 간행물에 무작위로 추출한 총 216,615자 중 557,494자소를 한글 자소 분류 및 잦기조사(한글기계화 연구소 1970.8)와 한글 잦기조사(한글기계화 연구소 1975.8)에 의하여 한글유형을 모은은 VVS(수직단모음), VVL(수직장모음), VHM(중간모음), VHS(수평단모음), VHL(수평장모음)으로 구분하고 자음은 중간모음 위에 사용되는 자음(C1), 수직단모음앞에 사용되는 자음(C2), 수직장모음앞에 사용되는 자음(C3), 수평단모음이나 수평장모음 위에 사용되는 자음(C4)과, 받침으로 사용되는 자음(C5)로 구분하여, 한글 빈도 조사 자소빈도를 조사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use and binding frequency, 557,494 of the 216,615 characters randomly extracted from general documents, newspapers, magazines, etc., were classified into Korean phonemes and frequent surveys (Hangul Mechanization Institute 1970.8) and Korean frequent surveys (Hangul mechanization). The Korean alphabet type is collected by VVS (vertical vowel), VVL (vertical vowel), VHM (middle vowel), VHS (horizontal vowel), VHL (horizontal vowel) and consonants are used on the middle vowel. Consonants (C 1 ), consonants used before vertical vowels (C 2 ), consonants used before vertical vowels (C 3 ), consonants used on horizontal vowels or horizontal long vowels (C 4 ), and consonants used as support ( C 5 ), and the frequency of Hangul frequency survey was investigated.

예를들면 빈도 순위 1위인 분류 순번 22번의 자형 「○」은 유형분류표에서 「C2」「C3」에 사용되며, 총 조사 자소 557,494자소중 30,324자소가 사용 5.439%의 사용율을 보였으며 1,000자소당 54,39자소가 사용되었다.For example, the letter # of the classification number 22, the No. 1 frequency ranking, is used for C 2 and C 3 in the classification table, and 30,324 of the total 557,494 elements were 5.439%, and 1,000 were used. 54,39 characters per element were used.

또 빈도순위 40위인 순번 14번인 자형 「ㅎ」은 유형 분류표에서 「C1」「C4」「C5」에 사용되며 총 조사 자소 557,494자소중 3,493자소가 사용 0.6265%의 사용율을 보였으며 1,000자소당 6,265자소가 사용되어 제 3 도와 같이 각 자소의 빈도수를 조사하였다.In addition, the number 14, the number 14, the frequency rank 40th, is used in the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table for C 1, C 4 and C 5 , with 3,493 elements out of a total of 557,494 elements surveyed, with a usage rate of 0.6265% and 1,000 characters. 6,265 elemental sugar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each elemental body as in the third plot.

이와 같이 빈도에 의하여 사용빈도 및 결합빈도가 높은 고빈도 자소군까지 배열하면 인자속도를 증빈시킬수는 있으나 활자와 활자사이 최소 간격을 넘어섬으로 성형상 문제점이 되고 프린트 휠의 회동작동이 불균형되어 회동시에 각 캐랙터의 범위를 벗어나 오타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By arranging up to high frequency phoneme group with high use frequency and binding frequency by frequency, printing speed can be increased, but it is a problem in forming by exceeding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letter and type, and rotation of print wheel is unbalanced.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risk of typos occurring outside the range of each character.

따라서 본 발명의 배열은 상기와 같은 빈도순서와 글자구성에 따른 결합빈도(예 자음 C2에 어떤 VVS가 많이오는가)에 따라 배열하되 프린트 휠의 성형상 폭이 큰 글자끼리 인접하면 각 글자판(character font)사이의 최소간격 범위를 넘어섬으로 성형상 문제를 고려하여 가능한한 빈도순서에 의한 인자속도를 최대한 살리는 범위에서, 각 캐랙터의 면적을 측정하여 휠의 불균형에 의한 회동속도의 오차로 오타되지 않도록 데이지형 프린트 휠의 동작균형도 고려하여 제 6 도와 같이 96캐랙터를 데이지 휠에 연속 배열하였다.Therefore, the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sequence and the combin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letter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ich VVS comes to the consonant C 2 a lot), but each letter plate (character when the large width of the shape of the print wheel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range that maximizes the printing speed by frequency order in consideration of the molding problem by exceeding the minimum interval between fonts, the area of each character is measured so that it cannot be mistaken due to the rotational speed error due to the wheel imbalance.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balance of the daisy type print wheel, 96 characters were continuously arranged on the daisy wheel as shown in FIG.

제 6 도의 96캐랙터의 배열순서를 완전하게 나타낸 것은 제 5 도의 프린트 휠 평면도와 같다.The arrangement sequence of the 96-characters of FIG. 6 is completely shown as the top view of the print wheel of FIG.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한글 자모, 숫자, 문자 등의 자양을 미려하게 하고 인자 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자소의 사용빈도와 치수 등을 고려하고 자소의 인자 빈도 및 글자구성에 따른 결합빈도에 따라 배열하되 자소면적에 의한 폰트(font)폭과 휠의 동작에 의한 균형에 맞도록 제 7 도의 배열 순서대로 데이지 휠의 96개 스포우크에 연속 배열시켜서 전자식 프린터를 이용하여 풀어쓰기 입력으로 모아쓰기 출력을 얻어 인자하게 되는 것인 바 제 8 도에서와 같은 전자식 프린터 시스템에 의하여 설명하면 키 보오드(key board)에서 들어오 데이타(data)를 씨·피·유(cpu)에서 모아 한글을 구성하고 이를 로직(Logic) 1,2로 보내 프린터 조정에 필요한 자형을 만들어 프린트 휠(print wheel), 캐리지(carriage), 플래튼(platen)등의 구동을 위한 증폭회로로 보내면, 이 신호가 증폭되어 프린트 휠, 캐리지, 플래튼을 구동시키고, 이중 프린트 휠과 캐리지의 구동위치는 변환기를 통해 서어보(servo)회로로 궤환되어 에러(error)가 발생하면 증폭 회로를 통하여 수정신호를 프린트 휠 및 캐리지 구동 서어보 모터(servo motor)로 보내어 정확한 위치를 잡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character composition of the phoneme in consideration of the use frequency and size of the phoneme in order to enhance the speed of printing and to enhance the speed of printing the Hangul alphabet, numbers, letters, etc. In order to balance the font width according to the font area and the wheel operation, it is continuously arranged in 96 spokes of the daisy wheel in the order of the arrangement of FIG. When explained by the electronic printer system as shown in FIG. 8, data from a key board is collected from C, PU, and Korean characters to form a logic ( Logic) and send it to the amplification circuit to drive print wheel, carriage, platen, etc. It is wide and drives the print wheel, carriage and platen, and the driving positions of the dual print wheel and the carriage are fed back to the servo circuit through the converter, and when an error occurs, a correction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amplification circuit. And it is sent to the carriage drive servo motor (servo motor) to be positioned correctly.

이와 같은 프린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프린트 휠의 구동으로 글자를 선택하고 캐리지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소의 좌, 우 위치를 정하고, 플래튼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소의 상, 하 위치를 정하게 되는 것이다.By using the printer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letters are selected by driving the print wheel, the carriage is controlled to determine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phoneme, and the platen is controlled to determin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phonem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한글 자모, 숫자, 부호 등을 한글 조합 유형에 따라 군으로 분류하고 사용빈도와 결합빈도 및 치수를 고려한 다음 각 캐랙터의 면적을 측정하여 프린트 휠의 균형을 잡아 휠의 회동오차를 방지하고, 제 5 도와 같이 해열하여 인자속도가 빠르고 글자의 자양도 좋게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Hangul alphabet, numbers, and symbols into groups according to the Hangul combination type, considers the frequency of use, coupling frequency, and dimensions, and then measures the area of each character to balance the print wheel and rotate the wheel. The error is prevented and it is resolved as in the fifth degree so that the printing speed is fast and the nourishment of the letters is also good.

Claims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한글 자모와 숫자 및 부호등을 자소의 인자 위치에 따라 균으로 분류시킨 것을 이용하여 프린트 휠상의 배열을 자소의 인자 빈도 및 결합빈도의 대소의 군으로 구분하고, 자소의 면적에 의한 폰트와 휠의 회동동작균형이 맞도록 제 7 도 배열표에서와 같은 순서와 위치로 배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프린터의 1열 프린트 휠.As shown in the figure, the arrangement on the print wheel is divided into subgroups of subfactor printing frequency and binding frequency by using the Hangul alphabet, numbers, signs, etc., classified as bacteria according to the subfactor printing position. A one-row print wheel of an electronic printer, characterized by arranging in the same order and position as in the arrangement table of FIG.
KR7904286U 1979-07-21 1979-07-21 Print wheel for use in electronic printer KR80000179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286U KR800001797Y1 (en) 1979-07-21 1979-07-21 Print wheel for use in electronic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286U KR800001797Y1 (en) 1979-07-21 1979-07-21 Print wheel for use in electronic pri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797Y1 true KR800001797Y1 (en) 1980-10-28

Family

ID=1921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286U KR800001797Y1 (en) 1979-07-21 1979-07-21 Print wheel for use in electronic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79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528873A (en) Mosaic printing apparatus
SE467654B (en) write device
US4963044A (en) Typewriter keyboard
JPS6033674B2 (en) Kanji typewriter type
KR910006031A (en) Character pattern forming device
US5007748A (en) Printer for bar code using thin and thick bar code fonts
EP0302063A4 (en) Reading system.
KR800001797Y1 (en) Print wheel for use in electronic printer
US3031647A (en) Storing of signals
ES251571A1 (en) Machine for typewriting, stenotyping or teleprinting, enabling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several character and space keys, single or multiple
US20090042172A1 (en) Reading system
GB1274620A (en) Improvements in font selecting system
KR810000818Y1 (en) Print wheel
JPS5511890A (en) Printing method
KR800001295B1 (en) Print wheel
KR960009365B1 (en) Font change device and hangul printing method
Lindley From hot type to video screens: Editors evaluate new technology
US20110189639A1 (en) Reading process
KR900001283B1 (en) Typewriter daisy wheel and it's printing method
JPS58128866A (en) Character forming method
JPS5781641A (en) Multiinput keyboard
JPH06115168A (en) Recording apparatus
KR910009445A (en) Full-function check issu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S5966791A (en) Automatic fair copy machine
JPS58132568A (en) Dot printing and dot pri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