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715B1 - 액체연료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연료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715B1
KR800001715B1 KR7401260A KR740001260A KR800001715B1 KR 800001715 B1 KR800001715 B1 KR 800001715B1 KR 7401260 A KR7401260 A KR 7401260A KR 740001260 A KR740001260 A KR 740001260A KR 800001715 B1 KR800001715 B1 KR 80000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liquid fuel
chamber
air
vaporiz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히꼬 나까시마
마고도 호리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마사하루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마사하루,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샤 filed Critical 마쓰시다 마사하루
Priority to KR740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5/00Burners in which liquid fuel evaporates in the combustion space, with or without chemical conversion of evaporated fuel
    • F23D5/02Burners in which liquid fuel evaporates in the combustion space, with or without chemical conversion of evaporated fuel the liquid forming a pool, e.g. bowl-type evaporators, dish-type evaporators
    • F23D5/04Pot-type evaporators, i.e. using a partially-enclosed combustion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연료 연소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가열체의 사시도.
본 발명은 옆으로 긴 형상의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화기능을 규일화하여 균등한 연소화염을 형성함과 동시에 기화기능의 퇴화(退化)방지 및 수명 배증(培增)을 도모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버어너케이스로, 하부에 통기구(2)가 있고, 내부에 송풍실(3)을 구성함과 동시에 옆으로 긴 형상의 버어너(4)를 수합하고 있다.
상기 버어너(4)는, 단면이 장방형으로 되고 양측벽에 복수개의 공기공(5)을 형성한 기화실(6)과, 이 상부에 연설되어 일측벽에만 공기공(7)을 형성한 혼합실(8)과, 혼합실(8)위에 형성한 공기공(9)이 있는 연소실(1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기화실(6) 내의 중앙에는, 기화실(6)을 좌우 2개의 실로 구획되도록 공기공(5)과 대향하여 착탈자재케 평판형상의 가열체(11)를 장비하고 있다.
이 가열체(11)는, 연료의 침투작용을 하는 자기 혹은 다공금속으로 된 내열성 다공물질이며 중앙부의 상하 대칭의 가장자리에는 연통부(12)가 절결(切欠) 형성되어 있다.
(13)은 기화실(6)의 아래쪽 중앙부에 개구한 연료공급 파이프,
(14)는 점화실(15)이 있는 점화 히이터이다.
이 점화 히이터(14), 연료공급 파이프(13) 및 연통부(12)는 각각 대향하고 있는 것이다.
(16)은 기화실(6)의 상부에 설치한 균압판(均壓板)으로, 안내구(17)에 의해 기화실(6)과 혼합실(8)을 연락하고 있다.
(18)은 연소실(9)내에 설치한 파이프 형상의 조연체이다.
다음에 상기한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있어서의 연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지 액체연료를 급유관(13)으로부터 급유하면, 기화실(6)의 바닥에 연료가 퍼진다.
한편, 송풍은 통기구(2), 송풍실(3)을 통해서 각 공기공(5)(7)(9)에서 각각 기화실(6), 혼합실(8) 및 연소실(10) 내에 공급된다. 이 시점에서 점화 히어터(14)에 통전하면 착화되어 연소한다. 가열체(11)는 기화실(6)의 고여있는 열과 연소화염을 직접 받아서 매우 고온체로 된다.
따라서 기화가스는 가열체(11)의 고온주벽에 닿아서 열분해되어 균일한 혼합과 연소반응의 촉진에 상응되는 고온미립의 가스체(기화가스형상)로 된다.
또 이에 덧붙여서 양측벽에서 분출되는 공기도 상기 가열체(11)에 잘 닿아서 고온공기로 된다.
따라서 좌우의 공기실(6)내에서는 고온의 가스체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하여 푸른 불꽃의 소(小) 연소를 계속한다.
즉 전술의 작용으로 가스화한 농도가 높은 가스체 속에 공기가 공급되므로, 혼합이 잘 되고 또 연소(산화)반응이 빨리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기화실(6)에서 연소될 수 없는 거의 고온가스체의 미연소가스는 기화실(6)에서, 균압판(16)의 안내구(17)를 통해 정류(整流)되어서 혼합실(8)에 유입한다.
이리하여 미연소가스는 다시 공기공(7)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을 하여 연소실(10) 내에 유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연소실(10)에서는 공기공(9)에서 집중적으로 대량의 공기가 공급되과 동시에 조연체(18)에 의해서 공기공(9)으로 부터의 공기와 미연소 가스와의 교반이 효과적으로 되기 때문에 혼합이 잘 되고 모든 미연소가스가 이 연소실(10)내에서 불완전 연소가스가 없는 푸른 불꽃의 연소가 전면에 형성되어 완전연소에 이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소를 하는 것이지만, 옆으로 긴 형상의 연소장치에 있어서는, 통기력에 좌우되어서 어찌하여도 중앙부에 복합가스가 집중되어, 이에 따라 연소도 중앙부에 집중한다.
따라서 연소효율, 열교환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
그러나 가열체(11)의 중앙부에 연통부(12)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화실(6) 중앙부에서의 증발량이 억제되고, 따라서 기화실(6)전반에 걸쳐서 균일화염의 연소가 되는 것이다.
또 가열체(11)를 장시간 사용하면 기화실(6) 바닥에 가까운 부분은, 액체연료에 접하고 있는 것(즉 모세관 현상이 심한 곳) 때문에, 어찌하여도 이 부분은 잔존물이나 타아르가 되기 쉽고, 가열체(11)의 하부는 타아르화 되거나, 눈이 막히거나 하여, 연료의 흡상특성이나, 기화특성이 열화된다.
한편, 상부는 상시 고온으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현상은 전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가열체(11)의 기화특성이나 연소열화가 생겼을 때, 상하를 교체하면, 신품의 것과 같은 특성이 복귀될 뿐이거나, 지금까지 타아르화되어 있던 부분은 연소화염이 닿아서 고온으로 되어, 이들의 연소작용으로 잔존물이나 타아르 등은 타서 없어지고, 깨끗하게 크리이닝되는 것이다.
또한 가열체(11)에 상하 대칭으로 연통부(12)를 설치한 것은, 조립 중, 연통부(12)를 상하 어느 곳으로 향해도 정상의 위치로 설정되므로, 조립방향을 지정할 필요없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소시에 있어서는, 가열체(11) 상부의 연통부(12)에서, 양측의 공기공(5)으로부터의 공기 흐름이 충돌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공기공(5)을 생략하거나 구멍 위치를 벗어나게 하면 기화특성이 견지되고 효과적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연료 연소장치는, 기화실내에서 가열체를 착설하여, 이 가열체의 상하에 연통부를 착설한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균일혼합에 의한 양호한 연소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옆으로 긴 형상의 기화실 전반에 걸쳐서 균일화염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가열체는 그 형상으로 보아 상하 교체가 가능하며,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에 있어서도 방향성이 없이, 작업성이 좋은 등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측벽에 복수개의 공기공을 형성하고 2개의 실로 구획하도록 상기 공기공과 대향하여 중앙에 착탈 자재케 중앙 상하면에 연통부를 형성한 평판형상의 내열 다공성 가열체를 구비한 횡장상의 기화실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KR7401260A 1974-01-22 1974-01-22 액체연료 연소장치 KR800001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260A KR800001715B1 (ko) 1974-01-22 1974-01-22 액체연료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260A KR800001715B1 (ko) 1974-01-22 1974-01-22 액체연료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715B1 true KR800001715B1 (ko) 1980-12-31

Family

ID=1919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1260A KR800001715B1 (ko) 1974-01-22 1974-01-22 액체연료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71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6633A (en) Low pollutant-high thermal efficiency burner
EP0072616B1 (en)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of the radiant type
KR800001715B1 (ko) 액체연료 연소장치
US3324921A (en) Wick type burner
KR200155549Y1 (ko) 가스렌지의 세라믹 그릴버너
KR100208308B1 (ko) 가스 버어너
JP2001074214A (ja) 多孔性の金属繊維織造で組織された多孔体板を利用した家庭用低公害・高効率リッチ・リーン燃焼ガスバーナー
KR970011171B1 (ko) 벽걸이형 가스스토브
JPS6130007Y2 (ko)
KR800001672Y1 (ko) 흡인 연소실을 형성한 가열장치
JPH03263506A (ja) 低窒素酸化物バーナ
KR200210397Y1 (ko) 응축 가스보일러의 표면연소버너
JPS6131764B2 (ko)
JPH0439507A (ja) 燃焼装置
JP2007024382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950004828Y1 (ko) 분젠식 팬히터의 버너구조
JPS6132566B2 (ko)
JPH109517A (ja) 燃焼装置
JPH08128607A (ja) 触媒を用いた予混合式ガスバーナ
KR20010000165A (ko) 응축 가스보일러의 표면연소버너
JPH0619211B2 (ja) 石油燃焼器
JPS6152511A (ja) 燃焼器
GB1454025A (en) Liquid fuel burner apparatus
JPS5864411A (ja) 燃焼装置
JPH0260922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