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526Y1 - 선 국 장 치 - Google Patents

선 국 장 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526Y1
KR800001526Y1 KR760005737U KR760005737U KR800001526Y1 KR 800001526 Y1 KR800001526 Y1 KR 800001526Y1 KR 760005737 U KR760005737 U KR 760005737U KR 760005737 U KR760005737 U KR 760005737U KR 800001526 Y1 KR800001526 Y1 KR 800001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hannel
tuning
channel door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5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이찌 니시무라
가요미쯔 노우마
요시히사 후지오까
Original Assignee
이와마 가즈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마 가즈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to KR760005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526Y1/ko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 국 장 치
도면은 본 원고안을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자동조식 선국장치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도는 이 텔레비전 수상기의 외관사시도.
제 2 도는 이 전자동조식 선국장치의 조작부의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채널문짝에서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이 조작부의 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 Ⅳ-Ⅳ선 단면도.
제 5 도는 조작부의 요부확대 사시도.
제 6 도는 라벨케이스의 정면도.
제 7 도는 스위치케이스의 정면도.
제 8 도는 채널문짝이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의 베즐의 요부(凹部)의 횡단면도.
제 9 도는 채널문짝이 열려진 상태에 있어서의 베즐의 요부의 횡단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의 베즐의 요부의 사시도.
본원 고안은 선국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각 채널마다 프리세트 가능한 프리세트 튜우너를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자선국기구에 사용해서 매우 적합한 선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리세트튜우너를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자선국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12개의 채널에 대응하는 선택버튼과, 이들 선택버튼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는 12개의 프리세트용의 조정손잡이 등이, 캐비닛의 전면에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12개의 선택버튼과, 그리고 이들 선택버튼에 대응하는 12개의 프리세트다이얼등이 캐비닛의 전면의 매우 큰 스페이스를 점하게 되며, 디지인상 커다란 제약을 받게 되어 있었다.
또 프리세트 가능한 선국장치에 있어서는, 선택버튼에 대응하는 채널표시의 숫자나 기호를 임의로 교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선국장치를 캐비닛의 전면에 부착해 버리면, 채널표시의 수자나 기호를 임의로 교환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워지며, 또는 불가능해진다. 이것은 프리세트 튜우너의 기능을 반감시켜 버리게 된다.
본원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시정하려고 이루어진 것으로서,
a. 기틀, 예컨대 베슬(Vessel)과,
b. 이 기틀에 형성된 요부(凹部)와,
c. 이 요부를 폐색하기 위한 개폐자재의 뚜껑체(蓄體), 예컨대 채널문짝과,
d. 이 뚜껑체에 부착되며, 또한 복수의 채널중 소정의 채널을 선택컨기 위해 개개의 채널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채널 선택수단과,
e. 상기 요부내에 배설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선택수단이 각각 대응하고 있는 프리세트 조작다이얼, 파인튜우닝 손잡이등의 복수의 채널 조정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선택수단을 조작하는 동시에, 상기 뚜껑체를 연 상태에서 상기 조정수단을 조작하도록 구성한 선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원고안에 관한 선국장치에 의하면, 캐비닛의 전면에 커다란 스페이스를 차지하는 일이 없으며, 게다가 채널표시의 수자나 기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다음에 본 원고안을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자동조식 선국장치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면 패널부(10)를 향해서 오른쪽에는, 제 1 도에 나타낸 것처럼 전자동조식 선국장치(13)가 배설되어 있다. 이 전자동조식 선국장치(13)의 조작부(14)는 전면 패널부(10)의 오른쪽으로 형성된 요부(11)를 덮고 있는 개폐자재의 채널문짝(12)의 배면에 유니트로되어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요부(11)안에는 프리세트 튜우너(15)가 배설되어 있다.
먼저 전자동조식 선국장치(13)의 조작부(14)에 대해 설명하자면, 이 조작부(14)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나타낸 것처럼, 케이스(16)와, 프린트기판(17)과, 이 프린트기판(17)상에 일열로 나란히 배설되어 있는 12개의 내온관(18)과, 상기 케이스(16)내에 조입되어 있는 스위치케이스(19)와, 이 스위치케이스(19)에 형성된 안내공(案內孔)(20)내에 접동자재로 감합되어 있는 12개의 선국버튼(21)과, 이 선국버튼(21)과 상기 프린트기판(17)과의 사이에 개장( 介奬)되어 있는 12개의 스프링접점(22)과, 상기 스위치케이스(19)에 형성된 12개의 구형개구(矩形開口)(23)에 대응해서 "1"에서 "12"까지의 수자가 백발(白拔)로 형성된 인디케이터라벨(24)을 유지하고 있는 라벨케이스(25)와, 상기 선국버튼(21)이 관통하는 12개의 관통공(26)과 상기 12개의 인디케이터라벨(24)을 외측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12개의 투명창(27)을 갖춘 표시 플레이트(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6)에는 그 양측부(兩側部)에 관통공(31)을 갖춘돌편(32)이 케이스(1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선국장치(13)를 유니트로 하여 조립한 후에 이돌편(32)의 관통공(31)에 비스를 삽통시켜서, 채널문짝(12)의 보스부(12a)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16)의 내측의 저면에는 한쌍의 벽부(壁部)(33)(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벽부(33)(34)는 프린트기판(17)을 케이스(16)의 전면에 대해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보지하는 것으로서, 스페이서 역활을 담당하고 있다.
케이스(16)의 저면에는 또한 가늘고 긴 세개의 도광체(導光體)(35)(36)(37)가 용착(溶着)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이들 도광체(35)(36)(37)에는 각각 네온관(18)에 대응하는 위치에 네개씩의 원주상돌기부(38)(39)가 그들의 표리(表裏)에 형성되어 있다(제 4 도 참조). 이들의 돌기부(38)(39)안에서 표면측의 돌기부(38)는 제 4 도에 나타낸 것처럼 네온관(18)과 대응해서 프린트기판(17)에 형성된 개구(40)에 대향하고 있으며, 또 뒷면의 돌기부(39)는 케이스(16)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41)에 감합되어 있다. 이 도광체(35)(36)(37)는 검사 및 후술하는 프리세트때에 매우 편리한 것으로서, 네온관의 점등의 유무를 유무를 케이스(16)의 뒷면측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6)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것처럼, 그 측부(側部)에 리이드선(43)을 유도하기 위한 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리이드선(43)은 프린트기판(17)의 뒷면에 형성된 패터언의 단부에 접속되어서, 4채널분씩 속선(束線)된 후에 이 개구부(42)를 통해서 케이스(16)의 외측에 유도되어서, 코넥터(44)와 접속되어 있다.
이 코넥터(44)는 텔레비전 수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다른 코넥터와 접속되어서, 네온관(18)에 급전(給電)하도록 되어 있다.
프린트기판(17)에는, 제 6 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네온관(18)의 점멸(點滅)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기구의 고정접점으로서 기능해야 할 핀접점(45)이 네온관 1개에 대해서 한쌍씩, 합계 12쌍 설치되어 있다(제 2 도 참조). 이들 핀접점(45)은 그 접점부분(45a)이 프린트기판(17)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이 프린트기판(17)을 관통해서 이 프린트기판(17)의 뒷면측에 형성된 패터언(46)(4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프린트기판(17)에는 상기 선국버튼(21)의 하단면(下端面)에 이 선국버튼(21)과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각부(脚部)(48)(49)를 안내하기 위한 한쌍의 관통공(50)(51)이 이 선국버튼(21)의 수에 해당하는 쌍만큼 즉 12쌍형성되어 있다. 또 프린트기판(17)의 상기 패터언(46)에는 네온관(18)의 한쪽의 리이드(52)가 접속되어 있다. 네온관(18)의 다른 쪽의 리이드(53)는 이 프린트기판(17)에 형성된 다른 패터언(54)과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이 프린트기판(17)과 선국버튼(21)과의 사이에 개장(介裝)되는 스프링접점(22)에 대해 설명하자면, 이 스프링접점(22)은 특히 제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형의 판(板)스프링에 한쌍의 대칭인 L자상의 절삭(切削)을 설치해서 형성한 것이다. 이 결과 스프링접점(22)에는 한쌍의 구형(矩形)의 접점부분(55)과 궁형(弓形)으로 변형하고 있는 브리지 부분(56)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이 브리지부분(56)과 접점부분(55)에 끼어 있는 한쌍의 슬릿상의 부분에는 선국버튼(21)에 형성되어 있는 각부(48)(49)가 삽통된다. 이 각부(48)(49)는 다시 프린트기판(17)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관통공(50)(51)에 접동자재로 유감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접점(22)의 브리지부분(56)은 선국버튼(21)의 하단면에 형성된 압압부(押壓部)(57)에 의해서 압압됨으로써 스프링접점(22)을 탄성변형시켜서, 구형의 접점부분(55)을 편접점(45)의 접점부분(45a)에 접촉시킨다. 선국버튼(21)에는 다시 상기 각부(48)(49)의 측부에 있어서도 압압부(58)(59)가 연설(連設)되어 있다. 이들 압압부(58)(59)는 선국버튼(21)의 압압동작시에 접점부분(55)과 접촉하여, 이 부분을 보조적으로 압압해서 스위치동작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이 선국버튼(21)에는 그 양측부에 안내용의 돌조(突條)(60)가 각각 한쌍씩 형성되어 있다. 이들돌조(60)는 스위치케이스(19)에 형성된 안내공(20)에 형성된 안내용의 가이드홈(61)과 계합해서, 이 선국버튼(21)의 왕복동작을 확실히 행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스위치 케이스(19)에 유지되어 있는 라벨케이스(25)에 대해서 제 6 도 및 제 7 도에 의해 설명하자면, 이 라벨케이스(25)는 합성수지에 의해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라벨케이스(25)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12개의 구멍(矩形)의 개구(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64)에는 "1"에서 "12"까지의 수자가 각각 백발(白拔)로 형성되어 있는 인디케이터라벨(24)이 착탈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인디케이터라벨(24)을 유지하고 있는 라벨케이스(25)의 측부에는 상하에 한쌍의 철기부(凸起部)(65)(6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철기부(65)(66)의 측부에는 각각 슬릿상 개구(6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두개의 철기부(65),(66)중, 윗쪽의 철기부(65)는 이 라벨케이스(25)가 스위치케이스(19)에 형성된 유지홈(68)에 삽입될때에 그 삽입깊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7 도에 나타낸 것처럼 유지홈(68)의 일측부(一側部)에는 자상의 요함부(凹陷部)(69)가 형성되어 있으며, 라벨케이스(25)가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이 철기부(65)는 요함부(69)와 계합하고, 이 위치에서 라벨케이스(25)는 유지홈(68)내에 올바르게 유지된다.
한편, 아래쪽의 철기부(66)는, 라벨케이스(25)가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제 7 도에 나타낸 것처럼 슬립상 개구(67)에 의해서 탄성변형해서, 유지홈(68)의 측면을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서 라벨케이스(25)를 그 폭방향에 대해서 유지홈(68)내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보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라벨 케이스(25)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이 전자선국장치(13)의 조작부(14)가 스피이커(도시치 않음)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스피이커의 진동에 의해서 라벨케이스(25)가 유지홈(68)내에서 진동하는 것을 저지하는데 있다.
다음에 이 전자동조식 선국장치(13)의 조작부(14)를 유지하고 있는 채널문짝(12)의 회동기구 및 이 채널문짝(12)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는 프리세트튜우너(15)의 조작부에 대해서 제8도∼제10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부(14)는 케이스(16)내에 조립되어 수납된 상태에서, 이 케이스(16)에 형성된 돌편(32)과 채널문짝(12)의 보스부(12a)등에 의해서, 이 케이스(16)를 비스로 채널 문짝(12)에 고착유지함으로써 채널문짝(12a)의 배면에 유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채널문짝(12)의 배면의 상하에는 한쌍의 돌기(71)(72)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돌기(71)(72)에는 베슬(Vesse)(70)에 고착된 지점핀(73)이 감합하여 있다. 이것에 의해서 채널문짝(72)은 개폐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 채널문짝(12)에 고착되어 있는 케이스(16)의 측부(側部)에는 상하로 돌편(74)이 연설되어 있다. 이 돌편(74)에는 소공(小孔)(7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소공(75)에는 커버(76)의 상하에 연설된 핀(77)이 감합하고, 이것에 의해서 커버(7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커버(76)는 프리세트튜우너(15)의 조작시에, 케이스(16)의 측부에 도출되어 있는 리이드선을 속선(束線)해서 이루어진 케이블(78)에 손이 닿는다든지, 캐비닛내부에 손이 들어가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 커버(76)의 내측에는 가아드(79)가 고정해서 배설되어 있다. 이 가아드(79)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내부에 손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가동(可動)인 케이블(78)을 텔레비전 수상기의 내부의 소정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가이드(79)의 저부에는 절삭(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삭(80)에 의해서 케이블(78)은 내부로 유도되고 있다. 또 이 가아드(79)에는 가이드판(81)이 연설되어 있다. 이 가이드판(81)은, 채널문짝(12)을 닫을 때에 커버(76)의 핀(77)이 지점핀(7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커버(76)의 선단이 케이블(78)에 걸려서, 채널문짝(12)의 회동을 저지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즉 제 9 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서서히 채널문짝(12)을 회동시켜 가면, 커버(76)는 가이드판(81)에 당접하며, 다시 채널문짝(12)을 회동시키면 커버(76)는 핀(77)을 중심으로 해서 제 8 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커버(76)는 케이블(78)에서 그 선단이 떨어져서, 케이블(78)을 위한 소정의 공간이 확보된다.
다음에 프리세트 튜우너(15)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 8 도 및 제 9 도에 나타낸 것처럼, 채널문짝(12)의 배면에는 베슬(70)에 의해서 요부(凹部)(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82)에는 12개의 프리세트볼름의 조작손잡이(83)가 제 8 도 및 제 9 도에 있어서 지면(紙面)에 수직으로 일렬로 배설되어 있다. 더구나 이 12개의 조작손잡이(83)의 각각은 상기 12개의 선택버튼(21)과 같은 높이방향으로 일치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요부(82)의 배면측에는 상기 조작손잡이(83)에 대응해서 12개의 프리세트볼름(84)이 배설되어 있다. 조작손잡이(83)는 2중손잡이로 되어 있으며, 내측의 손잡이(83a)는 저항값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며, 또 외측(外側)의 손잡이(83b)는 밴드의 절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조작손잡이(83)가 설치되어 있는 베슬(70)의 요부(82)에는 착탈가능하게 오조작방지 커버(85)가 배설되어 있으며, 손잡이(83)를 조작할때 이외는 커버(85)에 의해서 손잡이(83)는 덮여 있다. 또한 이 커버(85)는 계합클릭(係合 click)(85a)과 돌핀(85b)에 의해서 베슬(70)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12개의 조작손잡이(83)의 측부에는 제 10 도에 나타낸 것처럼 각각 A에서 L까지의 문자가 요부(82)의 표면에 각설(刻設)되어 있다. 한편 채널문짝(12)의 뒷면측에 유지되어 있는 케이스(16)의 배면에 설치된 12개의 개구(41)와 감합하고 있는 도광체(35)의 12개의 원주상 돌기부(39)의 측부에도 똑같은 A에서 L까지의 문자가 각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채널문짝(12)의 표면측에 배설되어 있는 12개의 선국버튼(21)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손잡이(83)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베슬의 요부(82)의 표면측이며, 상기 조작손잡이(83)의 측부에는 일렬로 예컨대 5개의 조정손잡이(86)가 배설되어 있다. 이들 조정용손잡이(86)은 색도(色度) 조정등의 각종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조정손잡이(86)를 이 요부에 설치함으로써, 전면(前面)패닐(10)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에 의한 전자선국장치(13)의 선국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채널문짝(12)에 형성된 개구(87)(제 2 도 참조)에 돌출되고 있는 소망의 채널수에 대응하는 선국버튼(21)의 전단면을 손가락으로 눌러서, 이 선국버튼(21)에 형성된 돌조(突條)(60)가 스위치케이스(19)의 안내공(20)에 형성된 가이드홈(61)내를 접동하기 때문에, 이 선국버튼(21)의 왕동동작은 원활하게 행하여진다.(제 2 도, 제 4 도 및 제 5 도 참조).
선국버튼(21)이 소정량 왕동하면, 이 선국버튼(21)에 형성되어 있는 압압부(57)가 스프링접점(22)의 브리지부분(56)과 당접하는 동시에, 각부(脚部)(48)(49)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압압부(58)(59)가 구형의 접점부분(55)에 당접하고,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접점(22)을 탄성변형시킨다. 이 때문에 구형의 접점부분(55)은 프린트기판(17)의 표면측으로 돌출해서 배설되어 있는 핀접점(45)의 접점부분(45a)과 접촉한다. 따라서 한쌍의 핀접점(45)은 스프링접점(22)을 통해서 도통상태로 된다.
이들 한쌍의 핀접점(45)은 각각 패터언(46) 및 (47)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패터언(46)과 (47)이 이들 한쌍의 핀접점(45)과 스프링접점(22)등을 통해서 도통상태로 된다. 네온관(18)의 한쪽의 리이드(52)는 패터언(46)과 접속되어 있으며, 또 다른 쪽의 리이드(53)는 패터언(54)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한쌍의 핀접점(45)사이가 도통상태로 되면 네온관(18)은 급전되어서 점등된다.
또한 패터언(46)과 패터언(47)과의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핀접점(45)과 스프링접점(22)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회로에 대해서 병열로 자기유지회로(도시치 않음)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선국버튼(21)에서 손가락을 떼어서, 선국버튼(21)을 스프링접점(22)의 복원력에 의해서 복동시켜도 네온관(18)은 도통상태로 유지된다. 이 자기유지회로의 자기유지는 다른 선국버튼(21)이 눌러졌을 때에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네온관(18)이 점등되면, 이 네온관(18)으로부터의 빛은 인디케이터라벨(24)의 백발(白拔)로 된 수자의 부분을 떠오르게 한다. 그리고 이 수자는 표시플레이트(28)의 투명창(27)을 통해서 외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네온관(18)으로부터의 빛은 프린트기판(17)에 형성된 개구(40)을 통해서 도광체(35)에 도달하므로, 도광체(35)가 빛난다. 이 도광체(35)의 원판상(丹板狀)돌기부(39)는 케이스(16)에 형성된 개구(41)와 감합하고 있기 때문에, 도광체(35)가 빛나고 있는 상태는 케이스(16)의 배면으로부터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프리세트 튜우너(15)의 프리세트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리세트조작은 채널문짝(12)을 연상태에서 행한다. 즉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나타낸 것처럼 채널문짝(12)의 손잡이(88)를 잡아당겨서, 지점핀(7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연다. 이것에 의해서 베슬(70)의 요부(82)대에 손을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채널문짝(12)의 뒷면측에 부착되어 있는 케이스(16)에는 커버(76)가 부착되며, 다시 그 깊숙한 곳에는 가아드(79)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캐비닛의 내부로는 손을 넣을 수 없다.
채널문짝(12)을 열면, 이번에는 오조작 방지커버(85)를 떼어내고, 조작손잡이(83)를 돌리면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프리세트하고 싶은 채널에 대응하는 선국버튼(21)을 미리 눌러두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조작에 대응해서 도광체(35)가 빛나며, 이 빛나고 있는 상태는 케이스(16)의 뒷면쪽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이 도광체(35)의 원주상(圓柱狀)돌기부(39)의 측부이며, 케이스(16)의 뒷면측 A에서 L까지의 문자가 각각 각설되어 있으며, 또 조작손잡이(83)의 측부에도 역시 A에서 L까지의 문자가 각각 각설되어 있다. 따라서 빛나고 있는 도광체(35)와 동일한 문자의 조작손잡이(83)를 조작하면 된다.
프리세트의 조작에 있어서는 먼저 외측의 손잡이(83b)를 돌려서 소망의 밴드로 절환한다. 이어서 내측의 손잡이(83a)를 돌려서 영상을 보면서 조정하여 소망의 채널에 대응하는 위치로 세트한다.
이 조작과 대응해서 스위치케이스(19)내에 유지되어 있는 라벨케이스(25)를, 이 상단부를 들고 발출(拔出)한다. 이 조작은 채널문짝(12)이 열러 있기 때문에 발출하는 방향에 아무것도 없으며,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세트한 위치에 대응하는 개구(64)에 유지되어 있는 인디케이터라벨(24)을 꺼내서, 프리세트한 채널의 표시가 되어 있는 다른 인디케이터라벨(24)을 같은 개구(64)에 부착한다.
이어서 라벨케이스(25)를 스위치케이스(19)의 유지홈(68)내에 삽입한다. 이 라벨케이스(25)삽입시의 삽입깊이의 결정은 이 라벨케이스(25)의 측부에 연설된 철기부(凸起部)(65)가 유기홈(68)에 형성된 요함부(凹陷部)(69)와 계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더구나, 라벨케이스(25)에 형성된 아래쪽의 철기부(66)가 슬릿상 개구(67)에 의해서 탄성변형하고, 이것에 의해서 유지홈(68)의 측면을 압압하기 때문에, 라벨케이스(25)는 유지홈(68)내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파지(把持)된다. 이 때문에 라벨케이스(25)는 스피커의 진동과 공진하여 진동하는 일이 없다.
또한 채널문짝(12)을 연상태에서 베슬(70)의 요부(82)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손잡이(86)마저도 조정할 수 있다. 이들의 조정이 끝나면 채널문짝(12)을 닫으면 된다. 이때에 스위치케이스(16)의 측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커버(76)는 가이드(79)의 가이드판(81)과 당접하여 핀(77)을 중심으로 하여 제 8 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이것에 의해서 케이블(79)에서 커버(76)는 그 선단이 떨어져서, 케이블(78)을 위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커버(76)의 선단이 케이블(78)에 걸려서, 채널문짝(12)의 회동을 지지하는 일은 없다.
이상 본원고안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원고안은 개폐자재인 뚜껑체(蓄體)에 채널선택수단을 부착하는 동시에, 이 뚜껑체에 의해서 덮여지는 요부내에 상기 선택수단에 대응하는 채널조정수단을 설치하도록 한 선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 고안에 의하면 캐비닛의 전면에 조정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이 때문에 이면(面)을 많이 간소화할 수가 있으며, 디자인적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또 조정수단은 뚜껑체의 내측의 요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뜻하지 않게 조정수단에 닿아서 고장나는 일도 없다.
다시 채널 선택수단은 개폐가능한 뚜껑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채널표시의 수자나 기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틀과, 이 기틀에 형성된 요부(凹). (11)와 이 요부를 폐색하기 위한 개폐자재인 채널문짝(12)에 부착되며, 또한 복수의 채널중의 소정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개개의 채널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선국버튼(21)에 있어서 요부(82)내에 배설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선국버튼(21)에 각각 대응하고 있는 복수의 조작손잡이(83)을 각각 구비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문짝(12)를 연 상태에서 상기 조작손잡이(83)를 조작하도록 구성한 선국장치.
KR760005737U 1976-09-04 1976-09-04 선 국 장 치 KR800001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5737U KR800001526Y1 (ko) 1976-09-04 1976-09-04 선 국 장 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5737U KR800001526Y1 (ko) 1976-09-04 1976-09-04 선 국 장 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526Y1 true KR800001526Y1 (ko) 1980-09-20

Family

ID=1920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5737U KR800001526Y1 (ko) 1976-09-04 1976-09-04 선 국 장 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5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1696A (en) Multi-function keyboard for remote control apparatus
US5075686A (en) Switch input device
KR800001526Y1 (ko) 선 국 장 치
US5610797A (en) Control panel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CA1044387A (en) Channel indicating apparatus
JP2000011791A (ja) リモコン装置
JPS6255253B2 (ko)
JPH0741060Y2 (ja) 初期設定用スイッチの取付構造
KR19990055516A (ko) 전자레인지의 콘트롤러장치
JPH06230869A (ja) キースイッチ
KR940005483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조작부 구조
JPS62150579A (ja) ラジオ受信機付カセツトテ−プレコ−ダ
KR0129471Y1 (ko) 연동 노브장치
JPH11213795A (ja) ホールド機能付き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KR930005638B1 (ko) 다기능 표시용 노브
JPH0735246Y2 (ja) スイツチノブの組付構造
JPH0388013A (ja) スイッチ入力装置
KR880002079Y1 (ko) 더블 카셋트 기기의 더빙장치
JP2022172530A (ja) スイッチ装置及び防災無線装置
KR200351402Y1 (ko) 전자제품의아이들버튼프레임구조
JPS62154422A (ja) 押釦装置
JP2533945Y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0126768Y1 (ko) 전자제품의 로터리형 스위치
KR100285522B1 (ko) 전자기기조작스위치의구조
KR930007693Y1 (ko) 전자기기의 스위치 선택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