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096B1 -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등에 있어서의 정압기구(定壓機構) - Google Patents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등에 있어서의 정압기구(定壓機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096B1
KR800001096B1 KR7700898A KR770000898A KR800001096B1 KR 800001096 B1 KR800001096 B1 KR 800001096B1 KR 7700898 A KR7700898 A KR 7700898A KR 770000898 A KR770000898 A KR 770000898A KR 800001096 B1 KR800001096 B1 KR 80000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platen
printing
lin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오 사또
Original Assignee
요오 사또
가부시끼가이샤 사또 겐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오 사또, 가부시끼가이샤 사또 겐규쇼 filed Critical 요오 사또
Priority to KR770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등에 있어서의 정압기구(定壓機構)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정압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제1도는 정압기구를 갖춘 핸드레이블러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그 평면도.
제3도는 핸드레버를 해제한 상태에 있어서 전면기틀을 제거한 측면도.
제4도는 요부 사시도.
제5도는 전면기틀을 제거하고, 핸드레버를 파악상태로 하여 정압후크가 이탈직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에서 인쇄기와 플래튼(platen)이 타인(打印)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
제7도는 타인즉후, 플래튼이 약간 떼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
제8도는 핸드레버가 해제되어서 정지 직전상태에서의 측면도.
제9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정압기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제9도는 전면 기틀을 제거하고, 핸드레버를 해제한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
제10도는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11도는 전면 기틀을 제거하고, 핸드레버를 파악하여 인쇄기와 플래튼이 타인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측면도.
제12도는 타인즉후 플래튼이 약간 떼어진 상태에서의 측면도.
제13도 내지 제26도는 활자면의 각도 조정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제13도는 본 장치를 갖춘 핸드레이블러의 중앙 단면도.
제14도 내지 제19도는 본 장치의 제1실시예로서,
제14도는 일부 절결한 인쇄기의 정면도.
제15도는 중앙 종단측면도.
제16도는 분해사시도.
제17도는 중앙 횡단측면도.
제18도는 각도조정이 정상적인 상태시에 있어서의 요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19도는 각도 미조정시에 있어서의 요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20도는 테이프상 레이블 연속체의 사시도.
제21도 및 제22도는 이 장치의 제2실시예로서,
제21도는 일부 절결한 인쇄기의 정면도.
제22도는 중앙 종단측면도.
제23도는 테이프상 레이블 연속체의 사시도.
제24도는 이 장치의 제3실시예의 중앙종단 측면도.
제25도는 종 실시예에서 행해진 3단방식의 인쇄에 있어서의 각도 미조정의 경우의 설명도.
제26도는 동 실시예에서 행해진 바아코오드 인쇄에 있어서의 다른 각도 미조정의 경우의 설명도.
제27도 내지 제32도는 잉크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제27도는 이 장치를 갖춘 핸드레이블러로서, 그 기틀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제28도는 본 장치의 요부사시도.
제29도는 정지상태의 측면도.
제30도는 다절(多節) 링크기구의 접촉핀에 타상부(打上部)가 접속상태인 측면도.
제31도는 인쇄기의 활자면에 잉크를 잉크로울러로 도포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
제32도는 다절링크 기구와 잉크로울러가 수납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33도 내지 제36도는 레이블 연속체의 삽통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는 데,
제33도는 이 장치를 갖춘 핸드레이블러의 배면도.
제34도는 이 장치의 사시도.
제35도는 레이블 연속체의 삽통이 완료한 후에 러크레버와 회동저개(底蓋)를 로크(lock)한 상태의 단측면도.
제36도는 레이블 연속체를 삽통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측면도.
제37도 및 제38도는, 이송 로울러의 타성 회전방지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제37도는 이 장치의 계지상태의 측면도.
제38도는 작동중의 측면도.
제39도 및 제40도는 레이블 연속체의 박리 조정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제39도는 이 장치의 조정전 상태의 단측면도.
제40도는 조정후 상태의 단측면도.
본 발명은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 : 휴대식레이블 인쇄첩부기)등에 있어서의 정압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 레이블러 그립(Grip)과 핸드레버(hand lever)의 작동에 의하여 레이블 연속체의 레이블편이 1매분의 길이씩 간헐적으로 플래튼(platen)위에 이송되고, 그 테이프상 연속체의 상하위치에 대설된 인쇄장치와 플래튼 양자가 각기 별개로 이동하여 레이블 상에 항상 일정한 인압(印壓)을 부여하고, 고정밀도의 인쇄를 행할 수 있는 핸드레이블러 등에 있어서의 인쇄시 정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핸드레이블러는 핸드레버를 세게 쥐었을 경우와 약하게 쥐었을 경우와는 인쇄장치의 레이블에 대한 인압이 다르고, 또한 핸드레버를 장시간 쥐고 있었을 경우와 순간적으로 쥐었다 놓았을 경우와는 비록 인압이 동일한 강도로 행해져도 레이블에 도포되는 잉크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한 인쇄정도의 인쇄를 항시 레이블에 행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종류의 핸드레이블러에 의하여 불선명하게 인쇄된 레이블일지라도, 가격표시등을 한 레이블은 육안으로 육감을 작용시킴으로써 고객이 상품을 구입한 경우의 판독과 기록 계원이 매상을 집계할 경우의 판독이 가능하게 되면 소극적으로는 사용상 지장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근년에 상기 기록 계원을 대신하여 콤퓨터에 접속된 광학문자 해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에 의하여, 레이블에 인쇄된 기계 해독가능 바아코우드, 또는 OCR 문자를 기계적으로 독취하여, 재고, 매상, 상품별의 판매경과 추구, 이익계산 등의 경영자료를 콤퓨터에 기억처리시키는 POS(point of sales)(판매시점정보관리) 시스템이 세계적으로 실시됨으로써, 레이블에 인쇄되는 인쇄정도는 늘 고도이어야 한다는 것이 엄격히 요망되게 되었다.
그러한 이유로, 핸드레버를 강하게 쥐어도, 약하게 쥐어도 늘 일정한 인압으로 인쇄장치의 활자면을 레이블에 누름과 동시에 핸드레버를 장시간 계속해서 쥐어도 혹은 순간적으로 쥐었다 놓아도, 항시 인쇄장치의 활자면이 일정시간 만큼, 더우기 동일한 인압으로 레이블에 접하도록 하여, 늘 정밀한 인쇄를 레이블에 행하는 정인압기구가 구비된 핸드 레이블러가 요망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핸드레버를 파악하면 핸드레버와 일체인 요오크에 고착된 인쇄 장치가 전체 회동도수중의 대부분(18도중의 17도)을 회동종료 하는동안 플래튼은 전연 운동하고 있지 않다가, 최후의 약간의 부분(1도)이 작동되는 동안 경량의 플래튼이 상동 및 하동을 급속히 행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1) 플래튼이 미동할뿐이므로 활자면이 레이블을 가볍게 미소로 압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중인쇄로 되지않고, 고정밀도의 인쇄가 얻어진다.
(2) 가볍고 미소한 압압이므로 활자를 오래 사용할 수가 있다.
(3) 플래튼을 미동시킬 만큼의 힘으로 되기 때문에 정압스프링을 오래동안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핸드레버의 파악력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조작하기가 용이하다.
(4) 플래튼을 장거리간 상하등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힌지부링크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레이블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5) 핸드레이블러를 콤펙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쉽다.
(6) 부품수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고장이 작고 염가로 할 수 있는 핸드 레이블러등에 있어서의 인쇄시의 정압기구를 제공하는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정압기구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로서 도시된 제3도 내지 제8도에 있어서, 우선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핸드레이블러에 대설된 기틀(36)이 후방에 연장되어서, 이 기틀(36)에 일체된 그립(1)과 핸드레버(2)는 대설되고, 기틀(36)에 축가된 추축(3)을 지점으로 하여 핸드레버(2)는 파악에 의하여 가동자재로 이루어져 있다. 핸드레버(2)의 선단은 연장되어서 두갈래진 요오크(4)로 되어 있고, 이 요오크(4)에는 그 폭방향에 병렬배열된 인자밴드를 갖춘 인쇄기(5)를 고착하고, 이 인쇄기(5)의 하부에는 레이블에 인쇄를 행하는 활자면(6a)가 배설되어 있다. 또, 이 핸드레버(2)를 해제할때에, 정지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7)이 그립(1)의 핀(8)과 핸드레버(2)의 취부구멍(9)간에, 괘지되어 있다.
다음에 핸드레버(2)의 추축(3)의 전면(제3도에 있어서 우측) 상부에는 축가된 로울러(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울러(10)와 접하는 후크(11)는 그 일단이 스프링(13)을 끼운 핀(12)에 추지되고, 그 계합부(11a)는 추축(3)에 추지된 한쌍의 작동아암(19) 사이에 가설된 계합핀(14)과 계탈자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계합부(11a)는 상기 스프링(13)에 의하여 계합핀(14)과 계합하는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계합핀(14)의 양외측에는 상기 한쌍의 작동아암(19)과 연동하는 한쌍의 스프링지지부재(15)를 가지며, 이 스프링지지부재(15)에는 각각 정압스프링(16)의 스프링지부(止部)(17)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정압스프링(16)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지부(17)에, 타단은 상기 요오크(4)의 스프링지부(18)에 각각 지착되고, 상기 작동아암(19)의 회동캠(20)을 설치한 선단은 추축(3)을 지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부세시켜져있다. 회동캠(20)은 각 작동아암(19)의 선단내측에 캠축(21)으로 회동자재로 부착하고 이 캠축(21)에 계장된 스프링(22)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고 그 한쪽이 상기 작동아암(19)에 설치된 스톱핀(24)에 접하여 있다. 또 이 회동캠(20)에는 플래튼아암(25)에 설치된 로울러(28)에 접하는 로울러(23)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플래튼아암(25)은 상기 각 회동캠(20)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테이프상 레이블 연속체(41)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로울러(60)의 추축(26)에 각기 추착되어서 요동자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양 플래튼아암(25) 사이에는 지지축(27)이 축가되고 이 지지축(27)의 돌설부에 상기 로울러(28)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플래튼아암(25)의 전부에는 테이프상 레이블 연속체(41)가 위치하여, 상기 인쇄기(5)의 활자면(6a)에 대설된 위치에 플래튼(30)면이 형성되고, 이 플래튼(30)면에는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의 누름스프링판(29)이 탄성적으로 보지되어 있다. 각 플래튼아암(25)에는 해제스프링(32)이 계장되어서 추축(26)을 중심으로 하여 플래튼아암(25)을 반시계방향으로 부세시키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 해제스프링(32)은 대향된 기틀(36)의 내벽에 설치된 핀(31)에 계장됨과 동시에 그 해제스프링(32)의 일단을 기틀(36)의 내벽에 설치된 계지핀(34)에, 그 타단을 플래튼아암(25)의 스프링 수부(33)에 각기 계지시켜 있다. 또, 상기 핸드레버(2)의 추축(3)의 부근에는 양작동아암(19)의 수부재(35)가 부설되어 있다. 또 로울상레이블 연속체(40)는 레이블보지부(37)에 보지되고, 여기에서 조출되어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로서 기체내부에 인도된다.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는 레이블가이드(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한 후, 핸드레버(2)의 조작에 의하여 이송로울러(60)로 1피치씩 조출되어서 플래튼(30)면에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이 정압기구의 작동에 대하여 제3도 및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정지상태를 도시하고 핸드레버(2)를 파악하면 제5도와 같이 인쇄기(5)가 일정 경사각을 가진상태로 변위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추축(3)을 지점으로 하여 핸드레버(2)의 선단에 설치된 요오크(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요오크(4)에 고정된 인쇄기(5)는 하강하지만, 이 하강운동의 처음 반(半)동작과 연동하여, 활자면(6a)에는 잉크로울러에 의하여 잉크가 도포되어 인쇄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하여 파악되는 핸드레버(2)는, 복귀스프링(7) 및 정압스프링(16)에 버티어 추축(3)을 지점으로 상승한다. 이때, 상기 양스프링(7)(16)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또 상승시키면 핸드레버(2)의 로울러(10)가 후크(11)의 접면(11b)에 접한다. 그렇게되면 이 후크(11)의 선단에 형성된 계합부(11a)는 핀(12)을 중심으로 압상되어서 스프링(13)의 탄성에 버티어 그 계합핀(14)과의 계합을 해제한다. 그 풀려지는 직전상태가 제5도의 상태로서 핸드레버의 경사각은 17°30′의 위치이다. 다음에 핸드레버(2)가 다시 약간 더 쥐어지면 제6도의 인쇄상태(핸드레버의 경사각 18°)로 변위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후크(11)는 계합핀(14)과의 계합이 풀림으로써 정압스프링(16)을 해제시키지만 그 스프링(16)에 축적되어 있었던 에너지에 의하여 계합핀(14)을 요오크(4)의 선단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계합핀(14)이 부착된 작동아암(19)은 추축(3)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작동아암(19)의 선단에 정착된 회동캠(20)의 로울러(23)가 플래튼아암(25)의 로울러(28)에 순간적으로 접한다. 이때 플래픈아암(25)은 이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해제스프링(32)의 탄성에 버티면서 추축(26)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압상)방향으로 회동되고, 플래튼(30)면에 재치된 테이프 상 레이블 연속체(41)의 레이블면이 인쇄기(5)의 활자면(6a)과 접하여 인쇄가 행해진다.
다음 레이블에 인쇄가 행해진 직후,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튼(30)면이 인쇄기(5)의 활자면(6a)에서 약간 떨어진 상태로 변위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단계에 있어서의 인쇄기(5)의 활자면(6a) 플래튼(30)면이 접한후, 플래튼(30)면은 플레튼아암(25)의 해제스프링(32)의 탄발작용에 의하여 하방으로 압하(押下)되고 상기 활자면(6a)에서 떨어진 상태로 된다. 이러한 경우, 플래튼의 로울러(28)는, 작동아암(19)의 회동캠(20)에 설치된 로울러(23)의 상방에 변위되고 동시에 로울러(23)의 외주면의 궤적(23a)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다음에 핸드레버(2)를 해제함으로써, 인쇄기(5)는 복귀스프링(7)의 복원에너지에 의하여 요오크(4)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8도의 복귀직전의 상태를 거쳐 제3도의 정지상태를 나타내고, 정압인쇄의 작동은 완료한다. 이경우, 인쇄기(5)의 요오크(4)가 복귀하는데 있어서 핸드레버(2)에 설치된 수부재(受部材)(35)가 작동아암의 접면(19a)에 접함으로써 이 작동아암(19)은 상기 요오크(4)와 공동하여 복귀위치로 되돌아 간다. 이러한 작동에 있어서 작동아암(19)을 원활히 복귀시키기 위하여 이 작동아암(19)에 설치한 회동캠(20)을 약간 회동시켜서 떨어지게 할 필요가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플래튼의 로울러(28)와 접하는 회동캠(20)의 로울러(23)가 궤적(23a)을 그리면서 복귀하는 관계로, 이 회동캠(20)은 플래튼아암(25)에 축지된 로울러(28)를 밀며 회동된다. 즉, 회동캠(20)은 캠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22)의 탄발력에 버티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작동아암(19)을 원활히 복귀시킨다. 또한, 작동아암(19)의 복귀시 회동된 회동캠(20)은 스톱핀(24)에 접할때까지 스프링(22)의 탄발력에 의하여 순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되돌아간다.
다음에 정압기구의 제2실시예로서 도시된 제9도 내지 제12도에 있어서 설명한다.
우선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핸드레버(2)는 추축(3)을 지점으로 하여 그립(1)에 대하여 협동자재로 되어있다. 핸드레버(2)의 선단은 연장되어서 두갈래진 요오크(4)로 되어 있고, 이 요오크(4)에 그 폭방향으로 병설시킨 인자밴드를 갖춘 인쇄기(5)를 고착하며, 이 인쇄기(5)의 하부에는 레이블에 인쇄를 행하는 활자면(6a)이 배설되어 있다. 또, 핸드레버(2)의 해제시에 정지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7)이 상기 그립(1)의 핀(8)과 핸드레버(2)에 설치한 부착공(9) 사이에 괘지되어 있다.
다음에 한쌍의 기틀(36) 사이에 가설된 추축(65)에는 테이프상 레이블 연속체(41)을 레이블 1매분에 상당하는 1피치씩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로울러(60)와, 이 로울러(60)의 양쪽에 배설되고 그리고 정압기구의 일부인 회전원반(63)이 감압되었으며, 이 이송로울러(60)와 양회전원반(63)은 별개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있다. 즉, 외주면에 이송돌기(62)가 설계된 이송로울러(60)의 양쪽면에는 원주위에 8등분으로 배열된 회동핀(61)이 설치되고 그리고 한쌍의 회전원반(63)의 외측면에는 원주위에 6등분으로 배열된 회동핀(6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회전원반(63)의 회동핀(64)에는 요오크(4)에 추착된 제1멈춤쇠(69))가 계탈자재로 되어있다. 이 제1 멈춤쇠(69)는 핀(70)에 추지되고 그리고 스프링(71)에 의하여 그 선단부(69a)가 회동핀(64)에 부세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송로울러(60)의 회동핀(61)에는 핸드레버(2)에 간접적으로 추착된 이송 멈춤쇠(67)가 계탈자재로 되어 있다. 이 이송멈춤쇠(67)는 핸드레버(2)의 전면에 설치된 지지체(66)에 제2 멈춤쇠(83)와 함께 추지되고, 스프링(68)에 의하여 그 선단부(83a)가 회동핀(61)에 부세되어 있다.
단음 한쌍의 아암부재(86)을 가진 플래튼(30a)은 상기 이송로울러(60) 및 회전원반(63)의 추축(65)에 추지되고 그 아암부재(86)상면의 凹부분(88)에 해제스프링(32a)이 수용되어 있다. 이 해제스프링(32a)의 상단은 기틀(36)에 형성되어 있는 수부(94)에 압접되어서 정지시에 있어서 플래튼(30a)은 해제스프링(32a)의 탄발력에 의하여 기틀(36)의 저부에 압하(押下)되어 있다. 플래튼(30a)에는 작동레버(72)가 그 부착핀(75)으로 추착되어 있다.
이 작동레버(72)는 기틀(36)에 추지핀(73)으로 요동자재로 추지되고 그 후단(제10도에 있어서)에 돌기(74)가 설치되고 이 돌기(74)가 상기 회전원반(63)의 회동핀(64a)에 접리자재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회전원반(63)에는 이송멈춤쇠(76)와 정압스프링(16a)을 갖춘 계탈링크(78)로 이루어지는 작동부재를 갖는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멈춤쇠(76)는 회전원반(63)의 회동핀(64)을 압접하여 이 회동핀(64)을 압접 이송하고 그 추지핀(77)은 계탈링크(78)의 감합공(79)에 감착하여 기틀에 천설된 L형의 계탈홈(91)내를 접동자재로 하고 있다. 또 이 계탈홈(91)의 세로홈은 이송멈춤쇠(76)를 위한 계지부(91a)로 되어있으며, 가로홈은 이송멈춤쇠(76)를 위한 접동부(91b)로 이루어져 있다.
계탈링크(78)에는 그 외측과 내측에 각기 돌설된 핀을 가지며, 외측핀(80a)은 기틀(36)에 천설될 안내홈(92)에, 내측핀(80b)은 제2멈춤쇠(83)의 멈춤부(83a)에 탄성 접하여 있다. 즉, 제2멈춤쇠(83)는 상기 이송멈춤쇠(67)와 함께 추지핀(84)에 의하여 지지체(66)에 추지되고 그리고 그 추지핀(84)에 개장된 스프링(85)의 압력으로 상기 계탈링크(78)의 내측핀(80b)에 멈춤부(83a)를 부세하고 있다. 또, 이 계탈링크(78)에는 스프링걸이(81)가 부설되고 이것과 기틀(36)의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걸이(93)간에 정압스프링(16a)이 장설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정압기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쇄기(5)와 플래튼(30a)은 제9도의 정지상태에서 제11도의 타인상태로 변위한다. 핸드레버(2)를 파악하면 그 요오크(4)가 복귀스프링(7)의 수축력에 버티면서 추축(3)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요오크(4)는 압하(押下)한다. 따라서 인쇄기(5)도 요오크(4)와 함께 하강하지만, 그 경우에 그 활자면(6a)에는 요오크(4)에 부착된 다절(多節)링크기구(200)로 이루어지는 잉크공급장치의 제1, 제2잉크 로울러(202)에 의하여 잉크가 도포된다. 또, 핸드레버(2)가 일정각도(17°30′)로 회동되며 그 회동이 종료할 때까지 최종점의 18도와의 사이는 인쇄기(5)의 하강과 플래튼(30a)의 상승이 동시에 행해져서 타인상태로 들어 간다. 즉, 요오크(4)와 함께 하강하는 제 1멈춤쇠(69)의 멈춤부(69a)가 회동핀(64)에 계합하여 회전 원반(6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같이 회전할때, 회전원반(63)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었던 회동판(64a)은 작동레버(72)에는 접하지 않고 이송 멈춤쇠(76)만을 압접하면서 회동하고, 이 이송멈춤쇠(76)의 추지핀(77)을 계탈홈(91)의 계지부(91a)에서 벗어나는 직전의 상태의 위치(핸드레버(2)가 약 17°30′)까지 이 이송멈춤쇠(76)를 압하한다. 다음에 핸드레버(2)를 약간 파악(경사각 18°) 함으로써 상기 회동핀(64a)의 궤적에 의하여 이송멈춤쇠(76)가 더 압하되어서 그 추지핀(77)이 계탈홈(91)의 횡상의 접동부(91b)로 이동한 순간, 정압스프링(16a)의 인장(引張) 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압접상태의 회동핀(64a)과 함께 이송멈춤쇠(76)가 계탈링크(78)를 통하여 후방 (제12도에 있어서 우측)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때 상기 회동핀(64a)은 정압스프링(16a)의 인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궤적을 그린다. 이 궤적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었던 작동레버(72)의 돌기(74)는 상기 회동핀(64a)이 회동하는 궤적에 의하여 압하된다. 따라서 플래튼(30a)을 상승 회동하여 인쇄장치(5)의 활자면(6a)에 접한다. 즉, 이 작동레버(72)의 돌기(74)의 압하동작에 의하여 작동레버(72)는 그 추지핀(73)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작동된다. 다음에 이것과 연동하는 플래튼(30a)은 추축(65)을 지점으로하여 타상되고 상기 하강중의 인쇄기(5)의 활자면(6a)에 접한다.
따라서, 플래튼(30a) 면위에 이송되고 있는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에 일정인압으로 인쇄가 된다. 다음에, 이 타인 동작의 직후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래튼(30a)은 인쇄 위치에서 즉시 압하되어서 복귀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동핀(64a)이 정압스프링(16a)에 의하여 회동되기 때문에 상기 작동레버(72)의 돌기(74)를 압하하면서 후방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돌기(74)의 정점을 통과한다. 따라서 이 통과에 의하여 작동레버(72)는 자유로 되기때문에 플래튼(30a)의 해제스프링(32a)의 탄발작용으로 상기 타인상태에 놓인 그 플래튼(30a)은 타인 위치에서 정지위치(하방)로 당겨져 복원한다. 이때, 정압스프링(16a)의 인장에너지에 의하여, 계탈링크(78)도 그 외측핀(80a)의 안내홈(92)에, 이송멈춤쇠(76)는 그 추지핀(77)이 계탈홈(91)의 접동부(91b)에, 각기 안내되어 후방(핸드레버(2)측으로 끌어당겨진다.)
다음에 핸드레버(2)를 해제함으로써 제12도의 상태에서 제9도의 상태로 복귀스프링(7)의 복원에너지에 의하여 복귀된다. 이와같이 복귀할때에, 제1멈춤쇠(69)는 끌어올라가고 한편, 이송멈춤쇠(76)및 계탈링크(78)는 제2멈춤쇠(83)로 압압되어서 복귀한다. 즉, 제2멈춤쇠(83)는 핸드레버(2)의 해제에 의하여 전방(플래튼 30a의 쪽)에 압출되어서 계탈링크(78)의 내측핀(80b)을 안내홈(92)에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전방으로의 압출에 의하여 이송멈춤쇠(76)는 그 추지핀(77)이 계탈홈(91)의 계지부(91a)에 계지된 상태로 놓여져서 정압인쇄를 완료한다. 또, 이 정압인쇄를 함에 있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미리 로울상 레이블연속체(40)에서 인출된 테이프상 레이블(41)은 레이블안내판(306),(307)및 이송로울러(60)를 경유하여 플래튼(30a)면에 장전되어 있다. 즉, 핸드레버(2)를 해제시 이 테이프상 레이블(41)의 이송이 행하여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송로울러(60)의 회동핀(61)과 이핀(61)을 압진시키는 이송멈춤쇠(67)를 계합하여, 이 이송로울러(60)를 간헐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정압기구를 갖춘 핸드 레이블러에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활자면의 각도 조정장치(A), 잉크공급장치(B), 레이블연속체의 삽통장치(C), 이송로울러의 타성회전 방지장치(D), 레이블연속체의 박리(剝離) 조정장치(E)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이들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활자면의 각도 조정장치)
상기한 각 실시예와 같이, 대설된 인쇄기와 플래튼의 회동 지점이 별개로, 그리고 인쇄기와 플래튼이 회동하면서 타인이 행해지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정인압장치에 있어서는 플래튼의 회동개시점 및 인쇄기와 플래튼 상호의 회동속로 등이 사용시 변화하여 인쇄기와 플래튼의 접한위치, 즉 타인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그결과, 인쇄기의 활자면과 플래튼 면이 접할때 평행상태를 유지 못하게 되어, 플래튼면 위의 레이블에 인쇄된 인자의 상단과 하단은 농담(濃淡)차를 가져오는 인쇄상태로 인쇄된다. 이것을 교정하기 위하여 상기 각도조정장치(A)는 인쇄기를 회동시켜서 활자면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늘 인쇄기의 활자면과 플래튼면을 평행시켜서 타인하고 레이블에 농담이 고른 고정밀도의 인쇄가 늘 얻어지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실시예는 제14도 내지 제20도에, 제2실시예는 제21도 내지 제23도에, 제3실시예는 제24도 내지 제26도에 각기 도시되어 있으며 우선 제1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15도 및 제16도에 있어서, 핸드레버(2)의 조작에 의하여 공동하는 요오크(4)의 선단부근에 고정된 인쇄기(5)의 주요부는 헤드케이스(101)와, 이 케이스(101)에 축(101a)으로 고정된 한쌍의 프레임(102)과, 앞커버(103)와, 뒤커버(104)와, 상기 양 프레임(102)과 앞커버(103)에 배설된 각도 조정부(105)와, 핸드 레이블러의 한쌍의 요오크에 부착되는 측판(106)과, 상기케이스(101)와 한쌍의 프레임(102) 사이에 연가된 숫자, 부호 기호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인자벤드(6)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앞커버(103)는 축(103a)에 의하여, 또 상기 뒤커버(104)는 축(104a)에 의하여 각기 양측판(106)에 고정되어 있다.
각도 조정부(105)는 조정 부재(108)와, 지지부재(115)와, 고정판(117)과, 스냅(121)과, 조정나사(122)로 구성되어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한쌍의 프레임(102)의 내측면에 천설된 부착공(110)에 조정부재(108)의 양측면에 돌설한 부착핀(109)을 감입하고, 양프레임(102)에 조정부재(108)를 고착하고 있다. 이 조정부재(108)는 그 전면부에 凹부분(111)를 형성하고 또 凹부분(111)내에 부착공(113)을 가진 원호凹분분(11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원호 凹부분(112)내에는 환봉상(丸棒狀)을 이루고 있고, 동시에 나사공(116)이 그 축선과 직교 관통한 상기 지지부재(115)가 배설되어 있다. 또 이 지지부재(115)에는 관통공(118)부의 고정판(117)이 배설되어 있다. 또 이 고정판(117)은 그 하부에 연장된 지지부의 부착공(119)에 비스(vis)(120)를 삽통하여 상기 조정부재(108)의 凹분분(111)의 나사부(11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앞 커버(103)의 환상 凹부분(125)에는 조정나사(122)가 배설된다.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조정나사(122)의 나사부(124)에 의하여 앞커버(103)와 고정판(117)은 조정부재(108)에 고정된 지지부재(115)에 나착되어 있고, 동시에 그 두부의 내면과 환상홈(123)에 계지된 스냅(121)에 의하여 앞커버(103)를 확실하게 협지하고 있다.
상기 양프레임(102) 사이에는 인자밴드(6)군의 도각 조정용 추축(126)이 가설되어서, 이 양프레임(102)은 회동자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자밴드(6)군은 상기 케이스(101) 내에 지지되고, 그리고 병렬된 선택륜(127)과, 상기 프레임(102) 간에 축가된 탄성지지장치(129)를 갖춘 복수의 결정부재(128) 사이에 현가되어 있다. 또 간선택륜(127)에는 회전자(130)를 갖춘 선택축(131)에 설치된 계합편(132)이 계합되어 바라는 열의 선택륜(127)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선택축(131)에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륜(127)의 열규제(列規制)를 하는 열규제장치(134)가 탄성압접되어 있다. 따라서 선택된 열의 선택륜(127)을 상기 회전자(130)를 통하여 회전시키련, 이 선택륜(127)에 현가된 인자밴드(6)는 회전된다. 또, 엔드레스로 형성된 인자밴드의 절반에는 활자면(6a)이 돌설되고 그 나머지의 전반에는 색인문자(6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색인문자(6b)는 케이스(101)의 상방에 설치된 창(135)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활자면의 각도 조정은 제18도 및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정전 상태인 제19도는 인쇄기(5) 내에 설정된 인자밴드(6)의 활자면(6a)이 플래튼(30)면에 대하여 경사각 α를가진 상태이다. 이와 같은 설정상태로 인쇄가 행해지면 제20도에 도시된 레이블(41′)에 인쇄되는 인쇄문자(46) 상단이 엷어지게 된다.
여기서 인쇄기(5)에 설정된 각도조정부(105)를 조정한다. 즉, 조정나사(122)를 공구로 조정(시계방향으로 회전) 함으로써, 조정부재(108)에 고정된 지지부재(115)의 나사공(116)에 나합되어 있는 나사부(124)는 더욱 깊이 나합하게 된다. 이 전진작동에 의하여 조정부재(108)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커버(103) 방향으로 끌어당겨서, 조정부재(108)와 앞커버(103)와의 겝(g)은 겝(g′)으로 변위하여, 인자밴드(6)를 지지하고 있는 양프레임(102)은 추축(126)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활자면(6a)은 플래튼(30)면과 평행하게 되고 상기 경사각(α)은 해소된다.
또, 제20도에 있어서 번호(41)는 이면에 점착제(粘着劑)(43)가 도포된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이고, 번호(42)는 절단선, 번호(44)는 상기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의 테이프상 대지(臺紙)이고, 번호(45)는 이송용 눈금이다.
다음에 제21도 내지 제23도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인쇄기(5a)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그 상이한 점은 인자밴드(6′) 뿐이다.
즉, 인자밴드(6′)에는 바아코오드와 가격 등을 표시하는 인쇄문자(46′) 양자를 표시할 수 있는 활자면(6a′)과, 이 활자면(6a′)에 대응한 색인문자(6b′)가 설치되어 있다. 그 주요한 구성부분을 이루고 있는 각도 조정부(105)의 구성 및 조작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음에 제24도에 도시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이 실시예는 양프레임(102) 간에 광학문자 해독기(光學文字解讀機)용의 인자밴드군(6)이 세로방향으로 3열 수용된 3단 방식의 인쇄기(5b)로서 제1 실시예와 같은 각도 조정부(105)와, 추축(126)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정부(105)의 구성 및 조정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생략한다.
이리하여 본 장치로 인쇄된 레이블을 제25도에 도시하였으며, 3단으르 배치된 광학문자 해독기의 인쇄 문자(46a)가 인쇄되어 있다.
또, 이것은 상기 인쇄기(5b)의 각도 조정이 불완전한 예로서, 인쇄문자상단이 인쇄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제26도에는 바아코오드의 하단과 바아코오드에 대응한 체크 수자와가 불완전하게 인쇄된 상태의 바아코오드 인쇄(46b)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쇄상태에서는 광학문자 해독기로 해독되지 않거나 사람이 체크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광학문자 해독기에 사용되는 3단배열방식, 혹은 바아코오드 인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각도조정 장치는 매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잉크공급장치)
잉크공급장치(B)는 핸드레버의 파악조작에 연동하여, 인쇄기의 활자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잉크로울러를 갖춘 다절링크 기구를 구비하며 본 장치는,
(1) 핸드레버의 파악조작에 필요한 파악력을 경감시켜서 그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인쇄기의 활자면에 잉크로울러가 접촉하며, 압압하는 힘을 항상 일정 그리고 적량으로 규제함으로써 잉크의 공급량을 적당히 균일화하고, 그 결과 여러개의 레이블편에 대하여 장시간에 걸쳐서 농담차가 발생하지 않는 고정 밀도의 인쇄를 늘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2) 또한 상기 핸드레버의 파악조작으로, 다절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 잉크로울러를 핸드레이블러 본기의 내부에 수용하는 수납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본기 선단에 크게 배출한 종래 방식과 비교할 경우, 본기 선단의 시계(視界)을 방해하지 않고 상품의 바라는 위치에 레이블 첩부를 용이하게 한 것이며,
(3) 핸드레버의 파악조작에 의하여 잉크로울러를 본기 내부에 이동시킴으로써 본기내에 쓸데없는 공간을 없애고 핸드레이블러 전체를 콤팩트하게 하여 사용하기 쉽게 한것을 목적으로한 잉크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져 한 것이다.
다음 제27도 내지 제3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다. 특히 제25도 및 제26도에 있어서 다절링크기구(200)는 핸드레버(2)에서 연장된 한쌍의 요오크(4)의 선단부근에 고정된 인쇄기(5)에 장착하고 한쌍의 기틀(36)에 추지된 추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지점(204)과 상기 한쌍의 요오크(4)에 추지된 2개의 추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지점(205)(206)과의 모두 3개의 고정지점과 이하에 설명하는 여러개의 가동지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한쌍의 요오크(4)에 각기 대칭으로 부착되는 많은 링크에 있어서,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
요오크(4)에 추지된 한쪽의 고정지점(205)에는 대략 가로 S형을 이룬 개폐링크(207)와 접속링크(215)가 추착되어 있다. 개폐링크(207)에는 이 링크의 외방에 돌설된 접촉핀(208)과 마찬가지로 외방으로 돌설된 규제돌기(209)와, 그 내방에 굴곡된 계지돌기(210)와, 그 내측에 돌설된 스프링걸이핀(211)과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개폐링크(207)는 스프링(212)으로 상기 고정지점(205)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스프링(212)은 지지핀(213)에 개장되고 그 일단을 상기 개폐링크(207)의 스프링걸이(211)에, 그 타단을 요오크(4)의 스프링걸이핀(214)에 각기 계지시켜져 있다. 요오크(4)에 추지된 타방의 고정지점(206)에는 대략 역 L자형의 가이드링크(227)와 대략 역 F자형의 요동링크(221)와가 추착되어 있다.
가이드링크(227)에 있어서, 그 선단에는 한쌍의 대소로 이루어지는 잉크로울러(202),(203)를 지지한 잉크로울러틀체(201)를 안내하기 위한 횡장공(橫長孔)(228)이 설치되고 그리고 이 링크(227)의 중간부에는 I형을 이룬 개폐링크(230)와의 가동지점(229)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개폐링크(230)는 상기 개폐링크(207)와 가동지점(231)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개폐링크(207)의 계지돌기(210)에 계탈 자재로 되어 있어, 정지시에는 개폐링크(207)의 스프링(212)의 탄발력에 의하여 계지(압압)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즉, 이 양개폐링크(207)와 (230)의 가동지점(231)과 개폐링크(207)의 고정지점(205)과 가이드링크(227)의 가동지점(229)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동링크(221)에 있어서 그 일단에는 상기 잉크로울러틀체(201)를 이동시키기 위한 종장공(縱長孔)(223)이 설치되고, 또 그 타단에는 상기 개폐링크(207)의 접촉핀(208)에 접하는 타상부(打上部)(222)를 가지며, 이 타상부(222) 부근에 작동링크(216)의 접속링크(219)와 연결되는 가동지점 (220)을 가지고 있다.
기틀(36)에 추지된 작동링크(216)의 한쪽은 상기 접속링크(215)에, 그 다른쪽은 상기 접속링크(219)에, 각기 가동지점(217) 및 (218)으로 추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작동링크(216)의 다른쪽은 접속링크(219)를 통하여 요동링크(221)를 요동자재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이 요동링크(221)의 종장공(223)과 상기 가이드링크(227)의 횡장공(228)과에는 잉크로울러틀체(20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36)에 설치된 지지축(234)에 감합된 로울러를 유착시켜서 이 로울러를 접동자재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축(234)에는 스프링(225)에 개장되어 있다. 또 지지축(234)의 외부에는 스톱핀(233)부의 수편(受片)(232)이 고정되어 있어, 그 수편(232)의 내측면과 상기 지지부재(236)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가이드링크(227)와 요동링크(221)와가 협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25)은 그 일단을 지지부재(236)의 스프링 괴공(掛孔)(237)에, 그 타단을 요동링크(221)에 설치된 스프링 걸이핀(224)에 각기 괘지시켜서, 상기 지지부재(236)를 지지축(234)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그리고 수편(232)은 그 스톱핀(233)을 요동링크(221)에 접촉시킴으로써 그 회동을 정지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지지부재(23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대칭의 다절링크의 전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그 대설된 대설면 측에는 그 전후부에 자기 계합홈(239)을 가진 부착부(238)를 가지고 있으며, 잉크로울러틀체(201)는 그 부착면(235)에 의하여 양부착부(238)의 계합홈(239)에 부착시키고, 제거 자재로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27도 및 제29도 내지 제32도에 있어서 잉크공급의 동작을 설명한다.
정지상태의 제27도 및 제29도에 있어서, 핸드레버(2)를 약간(파악각 3°) 파악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요오크(4)가 추축(3)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압하방향)으로 약간 회동하여 제30도의 상태로 된다.
이렇게 되면, 이 요오크(4)에 부착된 다절 링크기구(200)가 변위하여, 개폐링크(207)의 접촉핀(208)에 요동링크(221)의 타상부(222)가 접한 상태로 된다. 즉, 요오크(4)에 추지된 고정지점(205),(206)이 압하되므로 기틀(36)에 추지된 작동링크(216)의 한쪽에 있어서 가동지점(218)이 대략 상방으로 각기 이동하고, 동시에 요동링크(221)가 그 고정지점(206)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요동링크(221)는 그 종장공(223)의 상단에 지지부재(236) 및 잉크로울러틀체(201)의 지지축(234)을 스프링(225)의 탄성에 의하여 압압된 상태로 두면서 가이드링크(227)의 횡장공(228)에 안내시켜서 우방향으로 협동한다.
이의 같이 접동할 때에 제1잉크로울러(202)가 인쇄기(5)의 활자면(6a)에 탄성보지된 상태를 보지하면서 전동하여 제3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회째의 잉크도포를 행한다. 다음에 이러한 제1의 잉크도포와 동시에 요동링크(221)가 고정지점(206)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그 단부에 설치된 타상부(222)는 상기 다른쪽의 개폐링크(230)와 계지상태에 있는 한쪽의 개폐링크(207)의 접촉핀(208)에 접하고 이어서 제31도의 상태로 변위한다.
다음에 다상부(222)의 접촉핀(208)에의 접촉충격력은 스프링(212)의 탄성에 이겨내어 개폐링크(207)를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며, 그 결과, 개폐링크(207)의 계지돌기(210)와 개폐링크(230)와의 계지를 풀고 양개폐링크(207)(230)가 서로 개방 즉 타상상태로 된다.
즉 한쪽의 개폐링크(207)는 고정지점(205)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다른쪽의 개폐링크(230)는 가동지점(229)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각기 회동한다. 이 동작에 따라서 제2의 잉크로울러(203)가 활자면(6a)에 제2회째의 잉크도포를 행한다. 이 제2회째의 잉크도포의 종료시에 있어서 잉크로울러의 지지축(234)은 한편에 있어서 가이드링크(227)의 횡장공(228)의 우단에 접한다.
다음에 핸드레버(2)를 더욱 파악하면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링크(227)와 요동링크(221)와는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각 가동지점이 이동하여 잉크로울러는 기틀(36)의 중앙부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2개의 잉크로울러를 가진 잉크로울러 틀체(201)는 인쇄기(5)의 뒷쪽, 즉, 본기의 내부에 세로상태로 수납된다. 이때, 개폐링크(207)의 규제돌기(209)는 변형된 접속링크(215)에 접하고 각 링크의 회동을 정지시킨다. 또, 변형된 다절 링크기구(200)는 인쇄기(5)와 플래튼(30)면의 타인작동후, 핸드레버(2)의 해제로 제29도의 정지상태로 복귀한다.
(레이블 연속체의 삽통장치)
본 장치(C)는 핸드레이블러에 갖추어진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40)에서 인출되는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를 레이블 가이드부(333)에서 이송로울러(60)를 통하여 플래튼(30) 방향으로 삽통하고, 그리고 이 레이블 연속체(41)를 이송로울러(60)에 장착한다.
본장치(C)는 제13도 및 제33도 내지 제36도에 도시되고, 특히 제34도 및 제3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장치(C)는 레이블압부(300)와 작동부(310)와 러크기구(321)로 구성되어 있다.
레이블압부(300)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레이블압(押) 링크(302)는 기틀(36)에 지지된 추지축(301)이 그 슬리트(303)에 관통하여 지지되며, 또 전후(제35도에 있어서 우측과 좌측) 위치에 대설된 레이블안내판(306),(307)을 협지하여 동축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 레이블안내판(306)과 (307)과의 2부재로 상하에 개구(308),(309)가 형성되고 상방의 개구는 각기 전방과 후방과의 외측으로 향해서 만곡하고 상기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의 삽통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레이블안내판(306),(307)의 하방은 레이블의 안내로울러(318)를 유착시킨 로울러축(317)에 추착되어 있다. 또 이 로울러축(317)에는 기틀(36)에 지지된 추지축(320)에 부착된 레이블 압부재(319)가 회동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즉, 일단은 추지축(320)을 고정지점으로 한 레이블압부재(319)와, 추지축(302)을 고정지점으로 한 레이블압링크(301) 및 한쌍의 레이블안내판(306),(307)이 상기 로울러축(317)을 굴곡 중심으로 하여 개폐자재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양 레이블압링크(302)에는 각기 슬리트(305)부의 완편(腕片)(304)이 연설되고 이 슬리트(305)에 작동부(310)가 부착되어 있다. 작동부(310)는 한쌍의 작동링크(311)와, 이 링크사이에 축가된 연결축(312)과 작동축(313)과, 이 작동축(313)에 개장된 스프링(3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스프링(316)은 그 일단이 상기 작동링크(311) 사이에 축가된 스프링받이핀(314)에, 그 타단이 기틀(36)에 부착된 스프링받이 핀(315)에 각기 계지되어서, 작동링크(311)를 늘 작동축(31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즉 레이블압부(300)를 이송로울러(60)에서 잡아떼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러크기구(321)는 기틀(36)에 장착된 러크부재(324)와 이것과 대설된 러크레버(322)로 이루어진다.
이 레크러버(322)에는 상기 작동부(310)의 작동축(313)의 양단이 관통되고 그 돌출단에 멈치나사(331)가 나착되어 있으며, 또 러크부재(324)의 대설축에 계지홈(323)이 설치되어 있다. 러크부재(324)는 접동공(325)에 접동자재로 이루어진 계지봉(327)과 이 계지봉(327)에 고착된 접동편(326)을 갖추고 있다. 상기 계지봉(327)은 그 선단에 상기 러크레버(322)의 계지홈(323)에 계지되는 계지돌기(328)와 그 말단 축경부(縮徑部)(329)에 스프링(330)을 개장하고 이 스프링(330)의 탄성력으로 상기 계지돌기(328)를 계지홈(323)에 계지시키고 있다.
다음에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의 삽통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이블연속체(41)의 삽통시에는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러크기구(321)의 접동편(326)을 도면에서 우방향으로 접동함으로써 러크레버(322)의 계지홈(323)과 계지돌기(328)의 계지를 풀고 작동부(310)의 스프링(316)의 작용에 의하여 작동축(313)을 지점으로 하여 작동링크(31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 결과 작동링크(311)의 작용에 의하여 연결축(312)을 통하여 추지축(301)(320)을 지점으로 하여 레이블 압부(300)가 기립상태로 된다.
그리하여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는 기틀(36)에 설치된 안내로울러(332) 및 레이블 가이드부(333)를 거쳐 레이블압부(300)의 전후의 레이블안내판(306),(307)으로 형성된 상방의 개구(308)에서 이 양레이블 안내판(306),(307) 내에 삽입되고, 이 하방의 개구(309)로 도출된다.
다음에 이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는 하방의 개구(309)에서 안내로울러(318)를 거쳐 레이블압부재(319)에 따라 플래튼(30) 방향으로 압입된다.
다음에 이 레이블연속체의 삽통조작이 완료된 후 이 러크레버(32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그 계지홈(323)에는 계지간(327)의 계지돌기(328)가 계지되어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러크(lock) 된다. 이 경우, 러크레버(322)의 회동에 공동하는 작동부(310)의 작동축(313)은 스프링(316)의 탄성에 버티어, 회동한다.
이 회동으로 작동링크(311)의 연결축(312)은 레이블압부(300)가 레이블연속체(41)를 이송로울러(60)에 계합되도록 레이블압부(300)를 회동시킨다.
상세히 기술하면 이 연결축(312)은 레이블압링크(302)의 완편(304)을 압압하면서 그 슬리트(305)의 상단에 이동하고 레이블압링크(302)와 공동하는 양레이블안내판(306),(307)을 그 추지축(301)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함께 로울러축(317)을 통하여 이 회동에 연동하는 레이블압부재(319)가 그 추지축(320)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원호상의 내주벽은 이송로울러(60)에 접하게 된다.
제35도에 도시하는 레이블연속체의 세트를 종료하고 그립(1)과 핸드레버(2)를 파악 해제하면 레이블연속체(41)가 이송되는 상태로 변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삽통장치(C)는 테이프상 레이블 연속체(41)를 삽통할 경우 레이블압부재(319)를 이송로울러(60)에서 격리시켜,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의 삽통을 용이하게 하고, 이 삽통이 종료되면 러크레버(322)의 조작에 의하여 레이블압부재(319)를 이송로울러(60)에 접촉시켜서 이 이송로울러(60)에 의한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의 이송을 확실히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송 로울러의 타성회전방지장치)
본 장치(D)는 그립과 핸드레버의 파악 해제동작에 연동하여 간헐회전하고 테이프상 레이블을 일정길이 또 확실하게 조출되도록 한 이송로울러의 간헐회전시 타성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장치(D)의 구성을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레버(2)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면, 추축(26)에 회전자재로 축지된 이송로울러(60)는 동심원상의 측면에 핀(401),(401a),(401b),(401c)… 이 등분할(等分割)되어 돌설되고 그리고 이 핀(401)에 대응한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의 새긴 눈금에 제지되는 이송돌기(402)가 그 외주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핸드레버(2)의 전면에 연설한 설편(403)에는 이송멈춤쇠(406)를 추지한 추지축(405)과 상기 핀(401)에 계지되는 계지핀(404)과를 갖추고 있다.
추지축(405)에는 그 일단을 설편(403)에, 그 타단을 이송멈춤쇠(406)에 괘지한 스프링(408)이 개장되어 있다. 이 스프링(408)은 이송멈춤쇠(406)를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부세하여 핸드레버(2)의 해제시에는 이 멈춤부(407)가 상기 핀(401)에 계합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해제시에 있어서의 상기 계지핀(404)는 핀(401),(401a),(401b),(401c)…의 회전궤적(409) 위에 있으며, 이들의 핀(401),(401a),(401b),(401c)…중의 1개에 접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제38도에 파악된 상태의 핸드레버(2)를 도시하면 그 핸드레버(2)의 조작에 연동하여 이송멈춤쇠(406)는 후퇴한다. 즉, 이송멈춤쇠(406)는 그 멈춤부(407)에 계합하고 있었던 핀(401)과 계합이 풀려서 차단의 핀(401a)에 계합된다.
다음에 상기 파악상태의 핸드레버(2)를 해게하면 제37도의 상태로 변위한다. 즉, 이송멈춤쇠(406)는 차단의 핀(401a)에 계합한 상태로 전진한다. 이때, 이송로울러(60)는 추축(26)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간헐 회전하고, 이 이송돌기(402)에 계지되어서 있었던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를 일정길이(레이블 1매분이 길이) 전방으로 이송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이 이송로울러(60)의 간헐회전 종료시에 있어서, 설편(403)에 설치한 계지핀(404)은 핀(401c)에 당접하고 이 핀(401c)의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송로울러(60)의 간헐회전시에 발생하는 타성에 의한 회전을 지나치게 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래튼에 재치되어 있는 레이블 연속체(41)의 1매의 레이블편(41′)에 대하여 그 상하 방향의 소정위치에 정확히 인쇄를 할 수가 있다. 즉, 광학해독의 방법에 합치시킨 레이블편(41′)의 위치에 OCR문자나 바아코오드를 정밀히 인쇄하여 광학해독의 효과를 올릴 수가 있다.
(레이블연속체의 박리(剝離) 조정장치)
본 장치(E)는 테이프상 대지(42)와 이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테이프상 레이블을 길이방향으로 가착(假着)하고 또 이 테이프상 레이블만을 일정간격으로 커트한 레이블편(41′)을 이루는 테이프상 레이블 연속체(41)에 있어서, 그 테이프상 대지(42)에서 레이블편(41′)을 박리시킬 경우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의 이면에 도포되어 있는 영구접착(일시접착·냉동식품용 등의 각종의 점착제의 점도의 강·약 및 레이블연속체의 함수량의 다소, 나아가서는 대지의 기질과 실리콘 가공의 마무리 정도 등등의 누적으로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는 그 박리 정도의 경중이 미묘하게 상이하여 지지만, 본 장치(E)는 이들의 상위조건에 대응하여 항상 양호한 박리가 되도록 한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9도는 조정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조정대(500)는 그 융기된 선단에 테이프상 대지(42)의 이면에 선접촉을 하는 칼낱같은 경사한 복수의 돌조(501)와, 그 중앙기부에 조정장공(502)을 가지며, 이 조정장공(502)의 저부에 갖추어진 회동저개(回動底蓋)(504)와 회동내저개(505)는 좌금(507)을 통하여 고정나사(506)가 나합되어서 고정대(500)가 그 장공(502)(도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정자재로 되어 있다. 또, 플래튼(30)은 상기 돌조(501)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그 돌조(501)와 플래튼(30) 사이에 간격(S)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동저개(504)의 선단에는 레이블편(41′)의 안내편(503)이 설치되고 그리고 이 회동저개(504)는 기틀(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한 추축(508)에 회동자재로 되어 있다. 이 추축(508)에는 스프링(510)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 레이블접착판(509)이 요동자재로 축가되어 있다. 이 스프링(510)의 일단은 기틀에 부착시킨 핀(511)에, 그 타단은 레이블접착판(509)에 압접하고 이 레이블접착판(509)를 반시계방향(압하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즉, 레이블접착판(509)은 레이블편(41′)을 상품에 접착시 이것을 눌러 사용하는 것이다. 또, 도면번호(29)는 레이블편의 압스프링판, 번호(512)는 안내로울러이다. 다음에 박리조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41)의 점착제의 점도가 클 때에는 상기 조정대(500)의 돌조(501)와 플래튼(30)과의 간격(S)을 좁힘으로써 그 박리가 양호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즉, 조정대(500)를 그 조정장공(502)의 길이방향으로 전방 이동하여, 고정나사(506)로 회동저개(504)에 고정하면 제4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S)은 간격(S′)으로 좁혀진다. 따라서 테이프상 대지(42)의 만곡부분(43)의 직경은 (L)에서 (L′)로 축소되어서 테이프상 대지(42)에서 레이블편(41′)의 박리를 한층 양호한 상태로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압기구는,
(1) 인쇄기의 하강회동에 동기하여 이 인쇄기의 활자면에 접하는 플래튼이 일정압으로 상승회동하는 정압구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핸드레버의 파악력의 강약에 관계없이 상시 일정압의 타인으로 레이블에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인쇄가 얻어지기 때문에, 특히 광학문자 해독기를 사용하여 기계적인 해독을 행하고 있는 POS 시스템용의 핸드레이블러에 집어 넣으면 매우 현저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2) 또한 인쇄기와 플래튼의 타인작동직 후, 이 플래튼을 그 타인 위치에서 순시에 약간 떼어내는 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핸드레이블러의 파악시간의 장단에 관계없이 상기 타인에 의하여 인쇄된 인쇄문자에 있어서, 인쇄기의 활자면이 장시간 압접한 상태로 해 두었을 경우에 레이블면에 잉크가 삽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정압작동으로 인쇄된 고정밀도의 인쇄문자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핸드레버(2)의 파악, 해제의 조작에 연동하여 가동하는 인쇄기(5)와 플래튼(platen)(30)을 가지며, 이 플래튼(30)을 상기 인쇄기(5)에 대설한 핸드레이블러(hand labeler) 등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5)의 하강에 동기하여 이 인쇄기(5)의 활자면(6a)에 접하는 플래튼(30)을 일정압으로 상승회동시키는 정압수단과, 상기 인쇄기(5)와 상기 플래튼(30)의 타인동작 직후 이 플래튼(30)을 그 타인 위치에서 순시에 약간 떼어내는 수단을 구비하여, 인쇄기(5)의 하강회동 과정에 있어서 레이블을 재치한 플래튼이 상승 회동하여 양자가 상대운동을 하여 타인작동이 행하여지며, 이 타인작동 직후 플래튼이 순시에 약간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이블러 등에 있어서의 정압기구.
KR7700898A 1977-04-14 1977-04-14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등에 있어서의 정압기구(定壓機構) KR800001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898A KR800001096B1 (ko) 1977-04-14 1977-04-14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등에 있어서의 정압기구(定壓機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898A KR800001096B1 (ko) 1977-04-14 1977-04-14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등에 있어서의 정압기구(定壓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096B1 true KR800001096B1 (ko) 1980-10-06

Family

ID=1920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898A KR800001096B1 (ko) 1977-04-14 1977-04-14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등에 있어서의 정압기구(定壓機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09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1701E (en) Portable label printing and applying machine
US4179989A (en) Constant printing pressure mechanism for portable label printing and applying machine, or the like
US4057452A (en) Constant pressure mechanism for hand labeler
CA1149668A (en) Label printing and applying apparatus
JPS5918235B2 (ja) ハンドラベラ−における印刷時の定圧機構
KR800001096B1 (ko)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등에 있어서의 정압기구(定壓機構)
US4451323A (en) Portable label applying machine
US4125419A (en) Hand-held labeler and labeling method
US4257326A (en) Label positioning mechanism for a label printing machine
US4359939A (en) Printing device
US4125420A (en) Hand-held labeler
US4091728A (en) Portable label printing machine
US4253395A (en) Constant pressure printing mechanism for hand labeler
US4144809A (en) Code plate device for a labeling machine
JPS60233B2 (ja) ハンドラベラー等における定圧印刷機構
EP0115581B1 (en) Label printing and applying apparatus
US4294645A (en) Label applicators
CA1088372A (en) Constant printing pressure mechanism for portable label printing and applying machine, or the like
CA1177018A (en) Hand-held labeler and labeling method
JPS5841037A (ja) 携帯用ラベル貼付機
GB2031804A (en) Printing machines and labellers
JPS5835158B2 (ja) ラベルインジチヨウチヤクキニオケル インジテイアツキコウ
US4201619A (en) Portable label printing and applying machine
EP0968925A1 (en) Hand-labeller with constant printing pressure
KR820001817B1 (ko) 핸드 레이블러등에 있어서의 정압인쇄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