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060Y1 - Waveguide element with flanges - Google Patents

Waveguide element with flan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060Y1
KR800001060Y1 KR750003001U KR750003001U KR800001060Y1 KR 800001060 Y1 KR800001060 Y1 KR 800001060Y1 KR 750003001 U KR750003001 U KR 750003001U KR 750003001 U KR750003001 U KR 750003001U KR 800001060 Y1 KR800001060 Y1 KR 800001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waveguide
tube
conductor
w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30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우스케 아끼바
Original Assignee
모리다 아끼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다 아끼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다 아끼오
Priority to KR750003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06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060Y1/en

Links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플랜지부 도파관Flanged waveguide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파관의 일예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 example of the wave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그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hereof.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제 1 도와 같은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like the first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마이크로파의 전송로로서 사용되는 플랜지(flange)부 도파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improvement of a flange portion waveguide used as a transmission path for microwaves.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플랜지 도파관은, 관본체와 그 양단에 이것과 일체로 이것에서 폭방향으로 외부쪽으로 연장시킨 판형 플랜지로 구성하여 전체가 모두 도전성 금속재로 제작된다.Conventional flange waveguides of this kind consist of a pipe flange and a plate-like flange which extends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tube body and both ends thereof, all of which ar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이와같이 전체를 도전성 금속재로 제작하므로, 그 관본체에서 도파관의 도체와 이것을 기계적으로 지지시킨 지지체로 구성된다. 또 플랜지에 도파관의 도체를 다른 도파관의 같은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체와 이것을 기계적으로 지지시킨 지지체를 구성시키는 것이 보통이다.Since the whole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tube body is composed of a conductor of a waveguide and a support body mechanically supported by the waveguide. In addition, it is common to construct a condu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or of the waveguide to the flange to the same conductor of another waveguide and a support mechanically supporting it.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 의한 경우, 전체가 도전성 금속재로서 제작되어 있으므로 전체의 무게가 비교적 커서 취급하기에 불편하다. 도파관의 도체 및 이것을 다른 도파관과 똑같은 도체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체의 두께는 예를들면 수 μ정도 또는 그 이하로 충분히 작은 것으로서도 하등의 차이가 없다. 한편 이러한 도체를 기계적으로 지지시킨 지지체에 반드시 도전성 금속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을 생각하면, 전체로서 고가의 도전성 금속재를 쓰면 쓸데없이 남용하는 것이되고, 또한 전체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없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since the whole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the weight of the whole is relatively large and inconvenient to handle.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of the waveguide and the condu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it to the same conductor as other waveguides is small enough, for example, several micrometers or less.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conductive metal material in a support body mechanically supported by such a conductor, if an expensive conductive metal material is used as a whole, it is unnecessarily abused, and the whole cannot be easily produc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결점이 없는 새로운 플랜지부 도파관을 제안하는 것으로, 이하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므로서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ovel flange portion waveguide without the above-described drawbacks, which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ccording to the following drawings.

제 1 도에서 1은 전체로서 본 고안에 의한 플랜지부 도파관의 일예를 표시한다. 이것은 제 2 도에서 알 수 있듯이 단면방형(斷面方刑)의 관본체 2와, 이 관본체 2의 양단에 이것과 일체로 이것에서 폭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시킨 각이 있는 틀형판형 플랜지 3으로 구성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플랜지부 관체 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이 플랜지부 관체 4의 관본체 2의 내면치수는, 전체를 도전성 금속재로 제작하는 종래의 플랜지부 방형도 파관의 사용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는 관본체의 내면크기와 대략 같게 정한다. 따라서 이 플랜지부 관체 4는 전체를 도전성 금속재로서 제작하는 종래의 플랜지부 도파관과 똑같은 형태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또 7은 플랜지 3에 돌설(突設)시킨 취부용 구멍이다.1 shows an example of a flange wave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As can be seen in FIG. 2, the tube body 2 of a cross-sectional rectangle, and a frame with an angle extending outwardly in this width direction integrally with this at both ends of the tube body 2 It includes a flange tube 4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onsisting of a plate flange 3. In this case, the inner dimension of the tube body 2 of this flange part tube body 4 is set to be approximately equal to the inner surface size of the tube body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ventional flange portion rectangular waveguid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s a whole. Therefore, this flange part pipe | tube 4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flange part waveguide which manufactures the whole as a conductive metal material. In addition, 7 is a mounting hole which protruded in the flange 3. As shown in FIG.

이러한 플랜지부 관체 4의 관본체 2의 내면에 도전성층 5가 부착된다. 또 플랜지 3의 관본체 2의 측방향 외측면에도 각각 도전성층 6이 도전성층 5와 연접시킨 관계로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도전성층 5 및 6은 무전해도금(無電解鍍金)에 의해 얻을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 5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2 of the flange portion tube 4. In addition, the conductive layer 6 is also attached to the lateral outer side surface of the tube body 2 of the flange 3 in a relationship in which the conductive layer 5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onductive layers 5 and 6 can be obtained by electroless plating.

이상이 본 고안에 의한 플랜지부 도파관의 일예이지만,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 관체 4가 전체를 도전성 금속체로 제작하는 종래의 플랜지부 도파관과 똑같은 형태의 구성을 갖는다. 그 관본체 2의 내면에 도전성층 5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도전성층 5와 관본체 2가 각각 도파관의 도체 및 이것을 기계적으로 지지시킨 지지체를 구성하여 이들에 의한 구성이 종래의 플랜지부 도파관의 관본체와 같은 기능을 가진다. 또한 플랜지 3의 관본체 2의 축방향 외측면에 관본체 2의 내면에 부착된 도전성층 5와 연접시킨 도전성층 6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도전성층 6 및 플랜지 3이 각각 도파관의 도체를 다른 도파관의 똑같은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체 및 이것을 기계적으로 지지시킨 지지체를 구성하여 이들에 의한 구성이 종래의 플랜지부 도파관의 플랜지와 똑같은 기능을 갖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종래의 플랜지부 도파관과 똑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것이 명백하다.Although the above is an example of the flange part waveguide by this invention,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flange part pipe | tube 4 has the structure of the form similar to the conventional flange part waveguide which manufactures the whole from a conductive metal body. Since the conductive layer 5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2, the conductive layer 5 and the tube body 2 each constitute a conductor of the waveguide and a support that mechanically supports it,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a tube body of the conventional flange portion waveguide. Has the same function as In addition, since the conductive layer 6 connected to the conductive layer 5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2 is attached to the axially outer side surface of the tube body 2 of the flange 3, the conductive layer 6 and the flange 3 each have a different waveguide conductor. It is evident that a condu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same conductor of and a support for mechanically supporting the same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flange of a conventional flange portion waveguide. It is therefore evident that the same function as the conventional flanged waveguide is obtained as a whole.

이 경우, 종래 플랜지부 도파관의 관본체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구성은 합성 수지제로서 제작된 관본체 2와 그 내면에 부착된 도전성층 5로 된다. 또한 종래의 플랜지부 도파관의 플랜지와 같은 기능을 하는 구성은 똑같이 합성수지로서 제작된 플랜지 3과 이것에 부착된 도전성층 6으로도 된다. 따라서 전체가 일률적으로 도전성 금속재로 제작되지 않는다. 한편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재는 도전성 금속재보다 가볍고 또한 도전성층 5 및 6의 두께는 이것을 충분히 얇게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플랜지 도판관에 비해 아주 가볍게할 수 있고, 또 취급이 간편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사용되는 도전성 금속재가 종래의 플랜지부 도파관에 비해 작고, 합성수지재는 도전성 금속재보다 염가로 쉽게 구입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관체 4는 이것을 가열 성형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고, 또 도전성층 5 및 6은 이것을 예를들면 무전해도금으로서 쉽게 관체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종래의 플랜지부 도파관을 제작하는 경우에 비해 쉽게 제작할 수 있는 등의 커다란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structure in which the function similar to the pipe | tube main body of a flange part waveguide is conventionally obtained is the pipe | tube main body 2 made from synthetic resin, and the conductive layer 5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Moreover, the structure which functions like the flange of the conventional flange part waveguide may also be the flange 3 manufactured as synthetic resin and the conductive layer 6 attached to it. Therefore, the whole is not uniformly manufactured from a conductive metal material.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lighter than the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the thicknesses of the conductive layers 5 and 6 can be made sufficiently thin, so that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can be made very ligh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langed conduit and is easy to handle. In addition, the conductive metal material used as a whole is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waveguide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can be easily purchased at a cheaper price than the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thus can be manufactured at a lower cost as a whole. In addition, the tube 4 can be easily formed by heat-molding it, and the conductive layers 5 and 6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tube by, for example, electroless plating, so that the whole body can be easily manufactur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flanged waveguide. There are great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상술한 것은 본 고안의 일예를 설명한 것인데, 예를들면 제 3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면으로 보아 ㄷ자형으로 하여 그 양측면에서 이것과 일체로 폭방향으로 외측으로 플랜지 8을 부착하여 만든 관반체(管半體) 9와, 이 관반체 9의 양단에 이것과 일체로 폭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시킨 플랜지반체 10으로 구성되는 플랜지 반체부 관반체 11을 형성한다. 이 관반체 9의 내면, 플랜지 8의 일면 및 플랜지 반체 10의 일면에 각각 도전성층 12, 13 및 14가 부착되는 구성의 플랜지 반체부 도파관 반체를 2a와 2b 두개 설치한다. 이들 반체 2a와 2b를 플랜지 8에 부착된 도전성층 13 위치에서 예를들면 도전성 접착제 15로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 시킨다. 이 경우의 도파관 반체 2a와 2b의 플랜지부 관반체 11, 관반체 9, 플랜지반체, 10, 도전성층 12, 및 14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각각 제 1 도와 제 2 도에 상술한 관본체 2, 플랜지부관체 4, 플랜지 3, 도전성층 5 및 6과 똑같은 관본체 2', 플랜지부관체 4', 플랜지 3', 도전성층 5' 및 6'를 구성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의 반체 2a와 2b로 되는 구성에서 제 1 도와 제 2 도에서 설명하는 플랜지부 도파관 1과 똑같은 플랜지부 도파관 1'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tube body is formed by attaching the flange 8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U-shaped cross-section in both sides thereof ( On both ends of the tube 9 and a flange half body 11 formed of a flange half body 10 which extends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integrally therewith, a flange half body tube 1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9, on one face of the flange 8 and on one face of the flange half 10, two flange half-guided waveguide halv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nductive layers 12, 13 and 14 are attached, respectively, are provided. These half bodies 2a and 2b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for example, a conductive adhesive 15 at a conductive layer 13 position attached to the flange 8. In this case, the tube body 2 and the pla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respectively, in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the flange part tube 11, tube body 9, the flange body, 10, the conductive layer 12, and 14 of the waveguide half body 2a and 2b. The same pipe body 2 ', the flange body 4', the flange 3 ', the conductive layers 5' and 6 'similar to the branch body 4, the flange 3, the conductive layers 5 and 6 are comprised. Therefore, the flange part waveguide 1 'similar to the flange part waveguide 1 shown in FIG. 1 and FIG. 2 can be comprised in the structure which becomes the half body 2a and 2b in this case.

본 예의 플랜지부 도파관 1'에서는, 반체 2a의 도전성층 12와 반체 12b의 도전성층 12 두개를 사용하여 도파관의 도체내면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 도파관의 도체내면이 일률적인 연속성을 갖지 않으므로 도파관의 도체내면에 불연속성이 있다. 이 때문에 본예의 플랜지부 도파관 1'에서는 관내에서의 전자계가 교란되는 일이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이 불연속성은 단면에서 보아 무시할 수 있는 길이 구간밖에 없으므로 불연속성은 실제상 문제가 안된다. 이것이 문제로 된다 해도 플랜지부 도파관 1'를 TE10모드의 도파관으로 구성하는 경우,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체 2a와 2b를 그 도전성층 13으로 되는 면을 도파관의 소위 H면(단면에서 보아 장변을 구성하는 면)의 중앙을 통하는 소위 E면(단면에서 보아 단변을 구성하는 면)과 평행한 면내에 있도록 구성하면 좋다.In the flange part waveguide 1 'of this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waveguide is constituted by using the conductive layer 12 of the half body 2a and the two conductive layers 12 of the half body 12b. Accordingly,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or of the waveguide does not have uniform continuity, there is a discontinuity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or of the waveguide. For this reason, in the flange waveguide 1 'of this example, it is thought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in the tube may be disturbed. However, this discontinuity is only a negligible length of view in cross section, so discontinuity is practically a problem. Even if this is a problem, when the flange portion waveguide 1 'is composed of a waveguide of TE 10 mode, as shown in FIG. 3, the half-fibers 2a and 2b become the conductive layer 13, the so-called H plane (cross section) of the waveguid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omprise so that it may exist in the surface parallel to what is called E surface (the surface which comprises a short side as seen from a cross section) through the center of the bore long side.

상술에 있어서는 플랜지부관체 4 또는 4'의 관본체 2 또는 2'가 방형으로 플랜지부 방형 도파관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서 설명한 것이지만, 플랜지부 관체 4 또는 4'의 관본체 2 또는 2'를 원형으로서 플랜지부 원형도파관을 구성할 수 있고, 또 다른 종류의 변형 변경도 얻을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ube main body 2 or 2 'of the flange tube 4 or 4' has been described as a case where the flange-shaped rectangular waveguid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the tube main body 2 or 2 'of the flange tube 4 or 4' is defined as a circle. Flange circular waveguides can be constructed and other types of deformation changes can be obtained.

Claims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관본체와 이 관본체의 양단에 이것과 일체로 이것에서 폭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시킨 판형 플랜지를 합성수지재로 제작한 플랜지부 관체를 구비한 플랜지부 도파관에서, 상기 플랜지부관체 전체를 합성수지로 제작하고, 그 플랜지부 관체의 관본체의 내면 및 상기 플랜지의 관본체의 축방향의 외측 면상으로 각각 도전성층이 서로 연접되는 관계로 부착된 플랜지부 도파관.In the waveguide part of the flange part having the pipe body and the flange of the pipe body made of a synthetic resin, the plate-shaped flange which extends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pipe main body and both ends of the pipe main body a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figure in the main body. And a flange part waveguide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of the flange tube and the conductive layers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axial outer surface of the tube body of the flange.
KR750003001U 1975-05-31 1975-05-31 Waveguide element with flanges KR8000010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3001U KR800001060Y1 (en) 1975-05-31 1975-05-31 Waveguide element with flan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3001U KR800001060Y1 (en) 1975-05-31 1975-05-31 Waveguide element with flan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060Y1 true KR800001060Y1 (en) 1980-07-16

Family

ID=1920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3001U KR800001060Y1 (en) 1975-05-31 1975-05-31 Waveguide element with flan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06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0875A (en) Waveguide elements
US2751558A (en) Radio frequency filter
US4656441A (en) Coaxial line-to-microstrip line transition device
JPH02162804A (en) Flat plate antenna
US3725829A (en) Electrical connector
US2800634A (en) Radio frequency transmission waveguides
US20210210831A1 (en) Split-ring resonator and board
US20200119423A1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waveguide and coaxial cable
KR800001060Y1 (en) Waveguide element with flanges
US4970522A (en) Waveguide apparatus
US4368402A (en) H-Type ceramic resonator
US5815123A (en) NRD guide and NRD guide element
KR800001062Y1 (en) Waveguide element with flanges
KR960703279A (en) AN ANTENNA
KR800001061Y1 (en) Waveguide element with flanges
JP3018987B2 (en) Dielectric line integrated circuit
JP3744468B2 (en) Resin waveguide
US2891225A (en) Waveguide to coaxial transmission line transition
JPH0714123B2 (en) Waveguide filter
US7839238B2 (en) Coaxial attenuator
JP3672725B2 (en) Waveguide
EP0500949B1 (en) Microwave circuit
US5633617A (en) Dielectric bandpass filter
US2934725A (en) Waveguide components
JPH0737361Y2 (en) Polarization plane swi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