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962B1 - 인자장치(印字裝置) - Google Patents

인자장치(印字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962B1
KR800000962B1 KR740003658A KR740003658A KR800000962B1 KR 800000962 B1 KR800000962 B1 KR 800000962B1 KR 740003658 A KR740003658 A KR 740003658A KR 740003658 A KR740003658 A KR 740003658A KR 800000962 B1 KR800000962 B1 KR 80000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gear
head
toot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하야가와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마사하루
마쓰시다덴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마사하루, 마쓰시다덴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시다 마사하루
Priority to KR74000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96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자장치(印字裝置)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자장치의 일부절결 상면도
제2도는 동 인자장치의 측단면도
제3도는 동 장치의 맹글치차부의 사시도
제4도는 동 상면도
제5도는 동 장치의 인자지(印字紙)안내기구부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동 인자지 안내기구부의 측단면도.
제7도는 동 장치의 인자헤드구동기구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동 장치의 요동기판 지지부의 분해사시도
제9도는 동 장치의 인자헤드 취부체의 배면도.
제10a도는 동 장치의 헤드 취부체의 로오프 고정전의 단면도
제10b도는 동 장치의 헤드 취부체의 로오프 고정후의 단면도
제11도는 동 장치의 로오프 고정기구의 요부분해사시도
제12도는 동 장치의 타이밍펄스 발생기구의 단면도
제13도는 동 타이밍펄스 발생기구에 사용되는 탄성판의 정면 및 측면도
제14도는 동판스프링의 정면 및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안내판과 핀치로울러의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인자지의 송금(送金)기구의 일부분도
제17도 및 제18도는 제1도에 표시한 인자장치의 지송장치(紙送裝置) 일부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측면도
제20a∼h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모우터 정지신호 및 인자 개시 신호발생기구의 동작설명도
제21도는 인자헤드의 동작설명도
본 발명은 전자식탁상계산기, 컴퓨터의 단말기기(端末機器), 각종 디지틀측정기. 금전등록기등에 사용되는 인장장치(ELECTRONIC DIGITAL PRIN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열식(感熱式)기록장치, 방전식 기록장치에 가장 적합한 인자장치의 기구를 제고하는 것이다.
종래의 전자식 탁상계산기등에 사용된 인자장치로서는 외주면에 숫자, 문자등이 각인된 활자드럼, 잉크가 함침된 잉크리본,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개의 헤머등을 구비하고 활자드럼과 헤머와의 사이에 기록지와 잉크리본을 개재시켜 해머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인자장치는 해머로 두들겨서 인자하는 기구이기 때문에 해머에 의한 충격음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음과 동시에 구조가 복잡하여 대형으로 되고 또한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
최근 상기 해머를 사용한 기계식 인자장치에 대신하여 감열식 인자장치 또는 방전식 인자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감열식 인자장치의 대표적인 것은 모우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확동캠과 이 확동캠에 교합하는 핀의 움직임을 확대하는 레버와 이 레버의 움직임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동활차기구와, 상기구동캠의 측면을 이용하고, 인자헤드의 종이에의 접촉, 비접촉을 제어하는 측면캠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감열식 인자장치에서는 확동캠에 교합하는 핀의 움직임을 확대하는 레버가 대형이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대형으로 되는 결점이 있고 또한 확동캠, 측면캠 등의 캠기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구가 복잡하여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인자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즉, 본발명은 맹글치차의 동작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거셍 의해 종래의 확동캠, 레버, 동활차기구, 측면캠 등을 필요로 하지않은 간단한 구조의 인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자종료후 인자헤드를 인자지에서 떼어서 빨리돌려보내는 기구를 부가하여 인자헤드의 수명을 연장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자장치에 요구되는 “모우터 감속기구부”“맹글치차기구부”“인자지 송급기구부(印字紙送給機構部)”“인자기구부”“인자지 안내기구부”를 단위화 하는것에 의해 조립이 극히 용이하게 되는 인자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하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과 같이 설명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는 종(縱) 1열에 7개의 발열소자를 배치한 인자헤드를 사용하고 이 인자헤드를 감열인자지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발열소자의 배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 7×5의 도트매트릭스로 문자 또는 숫자의 1자(字)를 구성하는 인자장치이다.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1)은 저판(2) 및 측판(3),(3´)이 있는 플레임이고 이 플레임(1)의 저판(2)에는 2본의 지주(4),(4´)가 비스(5),(5´)로 고정되어 있다.
(6)은 상기 지주(4),(4´)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기판이며, 이 지지기판(6)의 절곡면(6a)에 모우터(7)가 비스(8)로 고정되어 있다. (9)는 상기 모우터(7)의 회전축으로서, 이 회전축(9)의 선단부에는 헬리컬치차(10)가 고정되어 있다.
(11)은 상기 지지기판(6)에 설치된 축수(軸受)로서 이 축수(11)에는 축(12)이 삽입되어 있다.
(13)는 상기 축(12)의 상부에 고정된 치차상자성체(磁性體), (14)는 상기축(12)의 하부에 고정된 치차이며, 이 치차(14)는 상기 헬리컬 치차(10)에 교합하는 헬리컬치차(15)와 평치차(16)가 일체로 형성된 치차이다.
(17)은 상기 지지기판(6)에 착설된 축수로서 이 축수(17)에 축(18)이 회전자재케 지지되어 있다.
(19)는 상기축(18)의 하부에 고정된 치차로서 이 치차(19)는 상기 평치차(16)에 항시 교합하는 직경이 큰 평치차(20)와 직경이 작은 평치차(21)가 일체로 형성된 치차이다.
상기 모우터(7)를 회전시키면 이 모우터(7)의 회전력은 회전축(9)→헬리컬치차(10)→헬리컬치차(15)→평치차(16)→평치차(20)→평치차(21)로 전달되어 평치자(21)가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지지기판(6)에 부착된 타이밍펄스 발생장치에 대하여 제12도와 같이 설명한다.
(22)는 중심에 관통공(23)이 형성된 보빈으로서 이 보빈(22)에는 코일(24)이 권장(券裝)되어 있다.
(25)는 일단에 경대부(徑大部)(26)가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철심으로서 이 철심(25)은 자성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27)은 구멍이 있는 자성판, (28)은 구멍이 있는 마그넷트, (29)는 구멍이 있는 자성판이고 이 자성판(29)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30)은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중심공(31)이 형성됨과 동시에 외주부에 절결요부(32a),(32b),(32c)가 형성된 탄성판이다.
(33)은 상기 지지기판(6)의 절곡면(6b)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비스로서 이 비스(33)에 상기 탄성판(30), 자성판(29), 마그넷트(28), 자성판(27)을 순차 삽입하고 상기 보빈(22)에 삽입된 철심(25)의 나사공에 상기 비스(33)를 나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보빈(22), 자성판(27), 마그넷트(28), 자성판(29), 탄성판(30)을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철심(25)의 선단부는 미소간격G을 사이에 두고 상기 치차상 자성체(13)의 치(齒)에 대항하고 있는 것이다.
또 L자형으로 절곡된 자성판(29)의 선단도 상기 치차상 자성체(13)의 치에 미소간격을 사이에 두어서 대항하고 있고 상기 철심(25)의 선단 및 자성판(29)의 선단이 각각 치차상 자성체(13)의 치에 대항하여 있을 경우에는 마그넷트(28), 자성판(27), 철심(25), 치차상 자성체(13), 자성판(29)으로 폐자로(閉磁路)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철심(25)의 선단 및 자성판(29)의 선단이 같이 치차상 자성체(13)의 치에 대항하고 있지않을 경우에는 폐자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모우터(7)의 회전에 따라서 치차상 자성체(13)가 회전하면 철심(25)을 통과하는 자속밀도(磁束密度)가 변화하여, 코일(24)에 펄스상의 전압이 유기(誘起)된다.
이 펄스 신호가 후술의 인자헤드에 신호를 제어하는 타이밍펄스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스(33)는 보빈(22), 마그넷트(28)등을 일체로 고정하는 취부구의 기능과, 미소간격 G를 조정하는 기능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비스(33)를 체결하면 탄성판(30)이 압축되어 미소간격 G가 크게되고 비스(33)를 반대로 미(微)회전시키면 G는 작게되는 것이다.
제14도는 탄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판스프링(34)을 나타내고있고, 이 판스프링(34)에는 비스(33)가 관통하는 구멍(35) 및 약간 절곡된 설편(36a),(36b),(36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34)을 상기 탄성판(30) 대신에 사용하여도 되는 것이다.
(40)은 플레인(1)은 저판(2)에 축(41)으로 회전자재케 지지된 요동기판,
(42),(43)은 상기축(41)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중계플리, (44)는 상기요동기판(40)에 일체로 형성된 돌부(突部)로서, 이 돌부(44)의 선단에는 축(45)이 고정되어 있고 이 축(45)에 로울러(46)가 회전자재케 지지되어 있다.
(47)은 상기 요동기판(40)에 부착된 축으로서, 이 축(47)에 맹글치차(48)가 회전자제케 지지되어 있다.
(49)는 상기 맹글치차(48)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드럼이다.
또한 상기축(45), 로울러(46)를 사용하지 않고 돌부(44)의 선단 절곡하거나 또는 다른 교합부품을 부착하여도 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맹글치차(48)에 대하여 제3도, 제4도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맹글치차(48)는 경이 큰 내치치차(內齒齒車)(50)와 경이 작은 외치치차(51)가 연속하여 형성된 치부(齒部)와 상기 내치치차(50) 및 외치치차(51)를 따라서 연속하여 형성된 구(溝)(5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기판(6)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축(18)의 하단부는 상기 맹글치차(48)의 구(52)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축(18)에 고정된 평치차(21)는 상기 맹글치차(48)의 치에 교합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평치차(21)가 시계방향에 일정속도로 회전하였을 경우의 맹글치차(48)와 요동기판(4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치차(21)가 맹글치차(48)의 외치치차(51)에 교합하고 있을 동안은 상기맹글치차(48)는 축(47)을 중심으로 비교적 늦은 속도로 시계방향에 회전한다.
다음에 평치차(21)가 맹글치차(48)의 외치치차(51)에 교합하기 시작하면 맹글치차(48)는 축(47)을 중심으로 비교적 빠른 속도로 반시계방향에 회전한다.
이와같이 평치차(21)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대하여 맹글치차(48)는 시계방향의 저속회전 및 반시계방향의 고속회전을 반복하는 것이다. 또한 평치차(21)가 맹글치차(48)의 내치치차(50)에서 외치치차(51)에 교합하기 시작하면 축(18)은 경이 큰 구(52a)에서 작은 구(52b)로 변하기 때문에 상기 요동기판(40)은 축(41)을 중심으로하여 제4도의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다.
(53)은 상기 요동기판(48)의 절곡부(54)에 회전가능케 지지된 래칫 걸림구, (55)는 일단부가 상기 요동기판(48)에 고정된 판스프링으로서 상기 래칫 걸림구(53)는 이 판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56)은 플레임(1)의 저판(2)에 고정된 축으로서, 이 축(56)에 중계플리(57),(58)가 회전자재케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인자지의 안내기구 및 인자지의 송금기구에 대하여 제5도, 제6도에 의거 설명한다.
(60)은 인자지(61)를 안내하는 만곡상의 안내구(62)가 형성된 안내체로서, 이 안내체(60)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플레임(1)의 축판(3),(3´)에 고정되어 있다.
(63)은 상기 안내체(60)에 형성된 장구(長溝)이며, 이 장구(63)내의 양단부에는 돌기(64)(64´)가 형성되어 있다.
(65)는 양단부에 상기 돌기(64),(64´)와 교합하는 요부(66),(66´)가 형성된 인자헤드 받침판으로서, 이 인자헤드 받침판(65)에는 패드(67)가 부착되어 있다.
(68)은 상기 안내체(60)에 부착되는 만곡상의 안내판(68)의 전면부에는 장방형의 창부(窓部)(6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안내판(68)을 안내체(60)에 부착할 경우 인자헤드 받침판(65)의 요부 (66),(66´)는 돌기(64),(64´)와 안내판(68)사이에 협지되는 것이다.
즉, 인자헤드 받침판(65)은 장구(63)내에 형성된 돌기(64),(64´)를 지점으로 하여 미회전(微回轉)할 수 있게 돌기(64),(64´)와 안내판(68)사이에 협지되는 것이다.
(70)은 안내판(68)의 창부(69)의 하단연에 형성된 절곡돌조로서 안내테(60)와 안내판(68)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상의 좁은 틈사이에 삽입된 인자지(61)는 절곡돌조(70)에 의해 패드(67)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위로 이동하는 것이다.
(71)은 양단부가 각각 플레임(1)의 축판(3),(3´)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지지축이며, 이 회전축(71)은 만곡상의 안내체(60)의 만곡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72)는 고무등의 탄성체로 형성된 지송(紙送)로울러로서, 이 지송로울러 (72)는 회전축(71)에 고정되어 있다.
(73)은 회전축(71)에 고정된 치차, (74)는 마찬가지로 회전축(71)의 단부에 고정된 지송용의 수동핸들이다.
(75)는 양단부가 각각 플래임(1)의 측판(3),(3´)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회전축이며 이회전축(75)에는 지송로울러(72)와 항상 접촉하는 핀치로 울러(76)가 부착되어 있다.
(77)은 회전축(75)에 부착된 치차로서 이 치차(75)는 치차(73)에 항상 교합하는 치차(78)와 래칫(79)이 일체로 형성된 치차이다.
인자지(61)를 안내체(60)와 안내판(68) 사이에 삽입하여, 수동핸들(74)을 회전하면 인자지(61)는 지송로울러(72)와 핀치로울러(76)사이에 협지되어 안내구(62)내를 순차 송급되어 창부(69)측에 도달하는 것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르 실시예의 안내판(107)과 핀치로울러(108)를 표시한 것으로 도시한바와 같이 안내판(107)에 일체로 탄성편(109)을 착설함과 동시에 이 탄성편(109)에 축수요부(110)를 형성하고, 이 축수요부(110)에 핀치로울러(108)의 양단부(111)를 교합시켜도 좋은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는 탄성편(109)의 탄성력에 의해 핀치로울러(108)는 항상 지송로울러(72)에 압압되는 것이다.
(80)은 양단에 지지편(81),(81´)이 있는 지지체로서, 지지편(81),(81′)에 2본의 평행한 레일(82),(8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2본의 레일(82),(83)중 상부에 배치된 레일(82)의 양단부는 각각 지지편(81),(81´)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부(82´),(83´)가 플레임(1)의 측판(3),(3´)의 구멍(84),(85)에 회전자재케 지지되어 있다.
즉, 지지체(80)는 구멍(84),(8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플래임(1)의 측판(3),(3´)에 지지되어 있다.
(86)은 레일(82)에 접동자재케 지지된 파이프이며, 이 파이프(86)에 헤드취부체(87)가 고정되어 있다.
(88)는 헤드취부체((87)의 하면에 형성된 구(溝)로서, 이 구(88)에 레일(83)이 삽입되어 있다.
(89)는 헤드취부체((87)의 측면에 형성된 구(溝), (90)은 이 구(89)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구멍, (91)은 이구멍(60)에 회전자재케지지된 회전축으로서, 이 회전축(91)의 일단에는 편심캠(92)이 착설되어 있다.
(93)은 상기 편심캠(92)에 감합된 멈춤고리이며, 이 멈춤고리(93)의 외주에는 루울렛(roulett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취부체(87)에 로우프(94)를 고정할 경우에는 제10a도에 표시한 상태로 구(89) 내에 로우프(94)를 삽입하여, 회전축(91)을 회전시키면 로우프(94)는 제10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89)의 저면과 멈춤고리(93) 사이에 협지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95)는 헤드취부체(87)에 고전된 판스프링으로서, 인자헤드(96)에 형성된 종구(縱溝)(97)를 헤드취부체(87)의 돌조(98)에 교합하여, 판스프링(95)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인자헤드(96)가 헤드취부체(87)에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인자헤드(96)의 선단에는 제6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종일열(縱1列)에 복수개의 발열소자(112)가 돌출하여 착설되어 있다.
(99)는 지지체(08)의 지지편(81)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풀리, (100)은 지지편(81´)에 회전자재케 지지된풀리, (101),(102)는 지지편(81´)에 동축상으로 회전자재케 지지된 풀리이다.
(103)은 상기 헤드취부체(87)에 고정된 마그넷트, (104)는 플레임(1)의 측판(3)에 부착된 절연기판으로서, 이 절연기판(104)에 리이드스위치(105)가 부착되어 있다.
이 리이드스위치(105)는 마그넷트(103)가 접근하였을 때에 ON되고, 떨어졌을때에 OFF 되는 것으로서 리드스위치(105)가 ON 되면 상기 모우터(7)는 정지하고 OFF 되면 인자가 개시되는 것이다.
(94)는 상기 맹글치차(48)의 회전운동을 헤드취부체(87)에 전달하는 로우프이며, 이 로우프(94)의 중간점은 맹글치차(48)의 드럼(49)의 일점에 고정되고, 이 로우프(94)의 일단은 풀리(43)→풀리(58)→풀리(101)→풀리(99)를 개재하여 헤드취부체(87)에 고정되고, 타단은 풀리(42)→풀리(57)→풀리(102)→풀리(100)을 개재하여 헤드취부체(87)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제2도에 있어서 (113)은 플레임(1)을 덮는 커버이며 이 커버(113)에는 인자지삽입구(114)와 인자지 취출구(1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 인자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서, 다음에 본발명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자지(61)를 안내체(60)와 안내판(68) 사이의 간극에 삽입하여 수동핸들(74)을 회전시키면 인자지(61)는 순차 송급되어 안내판(68)의 창부(69)에 도달한다.
이 상태에서 모우터(7)로 회전시키면 모우터(7)의 회전력이 전술과 같이 전달되어 평치차(21)가 일정 속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 평치차(21)에항상 교합하는 맹글치차(48)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이 로우프(94)를 개재하여 헤드취부체(87)에 전달되어 이 헤드취부체(87)가 레일(82),(83) 위를 접동한다.
이 경우 평치차(21)가 맹글치차(48)의 내치치차(50)에 교합하는 경우와 외치치차(51)에 교합하는 경우와 인자헤드(96)의 이동방향 및 속도등은 다음과 같이 다르다.
(A) 평치차(21)가 맹글치차(48)의 내치치차(50)와 교합하고 있을 경우
(a) 맹글치차(48)는 저속으로 시계방향에 회전한다.
(b) 따라서 인자헤드(96)는 지지편(81´) 방향에 저속으로 이동하고 인자한다.
(c) 이 경우 스프링(106)의 탄성력에 의해 인자헤드(96)는 인자지(61)에 압압되어 있다.
(B) 평치차(21)가 맹글치차의 내치치차(50)에서 외치치차(51)에 교합하여 이동할 경우
(a) 맹글치차(48)는 일단정지한다.
(b) 요동기판(40)은 축(41)을 중심으로 하여 제7도의 L방향으로 약간 요동한다.
(c) 이 때문에 요동기판(40)의 돌부(44)선단에 지지된 로울러(46)에 의해 지지체(80)는 레일(82)을 중심으로 하여 약간 회전한다.
(d) 따라서 인자헤드(96)는 인자지(61)에서 떨어진다.
(e) 또 요동기판(40)의 근소한 요동에 의해 래칫 걸림구(53)가 이동하여 래칫(79)가 구동된다.
(f) 따라서 인자헤드(96)가 인자지(61)에서 떨어진 후에 인자지(61)가 1행분(1行分) 송급된다.
(C) 평치차(21)가 맹글치차(48)의 외치치차(51)와 교합하고 있을 경우
(a) 맹글치차(48)는 고속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b) 따라서 인자헤드(96)는 인자지(61)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지지편(81)방향에 고속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모우터(7)의 일정방향의 정속(定速) 회전에 따라서, 저속의 인자동작→인자헤드를 인자지에서 이탈시키는 동작, 및 인자지를 간헐적으로 송급하는 동작→ 인자헤드를 고속으로 되돌리는 동작을 순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종 1열에 복수개의 발열소자가 있는 인자헤드를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들면 7×5 매트릭스 구조의 인자헤드를 사용하여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발명은 매트릭스 구조가 있는 방전헤드를 사용할 방전식 인자장치에도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인자지의 송급기구의 일부를 표시한 것으로 지송로울러(112)의 형상을 중심부 C의 직경을 양단 A,B의 직경보다 크게하여 통상으로 한 것이다.
지송로울러를 원주상의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지송로울러의 양단의 직경이 조금이라도 다르면 인자지(61)는 어느 쪽인가에 기울어져 송급되게되므로 순조롭게 인자지를 송급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 제16도에 표시한바와 같은 통상의 지송로올러(112)를 사용한 경우에는 기울어져 송급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제17도는 제1도에 표시한 인자장치의 지송부를 표시한 것으로 제17도에 있어서 (71)은 플레임(1)의 측판 (3),(3´)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회전축, (74)는 이 회전축(71)에 고정된 지송용의 수동핸들이다.
인자동작중에 있어서는 요동기판(40)의 1요동에 대하여 1회 인자지는 간헐적으로 송급되지만 인자동작 정지중에 상기 수도핸들(74)을 제17도의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속적으로 인자지를 송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수동핸들(74)을 B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칫(79)에 교합하는 래칫 걸림구(53)를 무리하게 회전시키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래칫기구부분이 파속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8도, 제19도에 표시된 구조가 유효하다.
제18도, 제19도에 있어서 (120)은 탄성편(121)이 일체로 형성된 교합체이며, 이 교합체(120)는 회전축(7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합체(120)의 탄성편(121)의 선단에는 래칫 걸림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122)는 회전축(71)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수동핸들이며, 이 수동핸들(122)의 요부 (123)의 내주면에는 환상으로 래칫치(齒)(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요부(123) 내에 수납된 교합체(120)의 탄성편(121)은 그 탄성력에 의해서 래칫치(124) 방향으로 부세된다.
따라서 수동핸들(122)을 A방향으로 회전시킨경우에는 교합체(120)의 래칫 걸림구(121a)와 수동핸들(122)의 래칫치(124)가 교합하기 때문에 회전축(71)은 제1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A방향으로 회전하고 인자지를 연속적으로 송급한다.
이에 대하여 수동핸들(122)을 B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래칫 걸림구(121a)와 래칫치(124)와는 교합하지않고, 수동핸들(122)는 공회전하여 회전축(71)을 회전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 때문에 수동핸들(122)을 잘못하여 B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전술의 래칫 걸림구(53)를 무리하게 회전시키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래칫 걸림구(53)등을 파손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모우터 정지신호 및 인자개시 신호발생기구부를 표시한 것으로 제1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 인자헤드(96)와 같이 이동하는 마그넷트(103)에 의해서 리이드 스위치(105)를 ON, OFF 제어하고 있던 기구를, 제20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맹글치차(48)의 하부에 착설된 캠판, 레버로 구성하는 것이다.
제20도에 있어서(130)은 맹글치차(48)에 일체로 착설된 드럼(49)의 턱이고 이 턱(130)의 외주면에는 매끄러운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캠판으로서 작용한다.
(131)은 플레임(1)의 저판(2)에 축(132)으로 회전자재케 지지된 레버이며, 이 레버(131)의 선단부에는 마그넷트(133)가 부착되어 있다
(134)는 플레임(1)의 저판(2)에 고정된 핀, (135)는 상기 레버(131)의 선단부와 핀(134)사이에 교가된 스프링이고 이 스프링(135)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131)의 들기부(136)는캠판(130)의 외주면에 상시 접촉하고 있는 것이다.
(137)은 플레임(1)의 저판(2)에 부착된 절연기판으로, 이 절연기판(137)에는 리이드 스위치(138)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인자 동작시에 있어서는 맹글치차(48)가 회전함과 동시에 요동기판(40)이 축(4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이 때문에 캠판(130)도 회전하면서 요동기파(40)의 요동운동에 따라서 요동한다.
이 때문에 레버(131)가 축(132)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제20a∼h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트(133)가 리이드 스위치(138)에 접근하거나 떨어져서 리이드 스위치(138)가 ON, OFF하고, 모우터 정지신호, 인자 개시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제21도는 인자헤드(96)의 움직임을 나타낸 것으로 제21도에 있어서 인자헤드(96)가 C,D,E,에 있을 때는 인자지에 접촉하여 인자동작을 하고 G,H,A에 있을 때는 인자헤드(96)는 인자지에 접촉하지 않고 빨리 되돌려지는 것이다.
또한 제20a∼h도는 제21도의 A∼H점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어, A∼B행정에서는 리이드 스위치(138)는 ON, B∼C 행정에서 ON→OFF로 변화하고, D∼G 행정에서는 OFF 상태를 유지하며, G∼H 행정에서는 OFF→ON으로 변화하고 이후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상기과 같은 구성으로서, 본발명에 의하면 다음에 표시한 효과가 얻어진다.
1. 간단한 구조로, 인자장치에 필요한 다수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맹글치차의 회전운동에 의해 인자헤드의 저고속 왕복운동, 요동기판의 요동운동에 의해 인자헤드의 인자지에의 접촉, 비접촉제어 및 인자지의 간헐송금을 할수가 있다.
2. 인자종료후 인자헤드를 인자지에서 이탈시켜 되돌려 보내는 기구이므로 인자헤드의 수명을 연장할 수가 있다.
3. 확동캠에 교합하는 핀의 움직임을 확대하기 위한 레버는 불요이므로 장치가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4. 맹글치차의 회전운동을 로우프를 개재하여 헤드취부체에 전달하여 인자헤드 왕복접동시키는 기구이므로 장치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5. 인자헤드의 인자지에의 접촉, 비접촉을 제어할 기구가 간단하다, 즉, 요동기판의 돌부에 로울러를 착설하고, 이 로울러 지지체를 회등하는 것에 의해 인자헤드를 인자지에서 떨어지게할 수 있다.
6. 인자지를 간헐송급할 기구가 간단하다.
즉, 요동기판에 래칫 걸림구를 착설하고 이 래칫 걸림구를 래칫에 교합시켜서 인자지를 간헐송급할수 있다.
7. 2개의 동작 즉, 인자헤드의 인자지에의 접촉, 비접촉제어와 인자지의 간헐송급이 요동기판의 요동운동으로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8. 인자헤드가 인자지에서 떨어진후에 인자지를 송급시키는 기구이므로, 인자지의 송급이 원활이된다.
9. 각 기구부를 단위화 할 수가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10. 자로(磁路)를 형성하기 위한 철심에 비스를 나합하는 것에 의해 코일보빈, L자상자성판, 마그넷트등을 일체로 고정할 수가 있다.
11. 상기 비스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치차상자성체와 철심 선단간의 간극 및 치차상자성체와 L자상자성판간의 간극을 미조정할 수가 있다.
12.인자헤드 받침판이 돌기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으므로, 인자헤드의 전면을 확실히 인자지에 접촉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13.요동기판을 회전자재케지지할 축에 풀리를 착설하고 맹글치차의 회전력을 이 풀리를 개재하여 헤드요동체에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 요동기 판의 요동운동에 의해서 로우프가 느렁지는 일이 없다.
14. 맹글치차의 드럼에 권화된 로우프의 양단을 상기측에 지지된 풀리를 개재하여 일단 상기 측에서 먼측에 모으고 다시 지지체의 양측부에 착설된 풀리를 개재하여 헤드취부체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별도 텐션풀리기구등을 착설하는 일없이 지지체의 회동에 따른 로우프의 늘어짐을 흡수할 수가 있다.
15. 헤드취부체의 측면에 형성된 구(溝)에 로우프를 삽입하여, 편심캠이 착설된 회전축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로우프를 인자헤으취부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16. 인자지를 장착할 경우 안내구(溝)속에 송급된 인자지가 절곡돌조에 의해 인자헤드 받침판촉에 고정되기 때문에, 인자지가 안내판의 창부에서 인자헤드측에 돌출하여 인자헤드에 걸리게 되는 일없이 원활하게 인자지를 송급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점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자재케 지지된 요동 기판과, 이 요동기판에 회전자재케 지지된 맹글치차와, 고정기판에 회전자재케 지지되어 상기 맹글치차에 교합하는 치차와, 이 치차를 회전시키는 구동원과, 접동자재케 지지된 인자헤드와, 상기 맹글치차의 회전운동을 상기 인자헤드에 전달하고 상기 인자헤드를 왕복운동시키는 로우프를 구비한 인자장치.
KR740003658A 1974-09-20 1974-09-20 인자장치(印字裝置) KR800000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3658A KR800000962B1 (ko) 1974-09-20 1974-09-20 인자장치(印字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3658A KR800000962B1 (ko) 1974-09-20 1974-09-20 인자장치(印字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962B1 true KR800000962B1 (ko) 1980-09-15

Family

ID=1920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3658A KR800000962B1 (ko) 1974-09-20 1974-09-20 인자장치(印字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96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707A (en) Printing and/or correcting device for printing machines
US3292531A (en) Printing hammer arrangement
US4061219A (en) Printing device
KR800000962B1 (ko) 인자장치(印字裝置)
US3929215A (en) Printing mechanism
US3913722A (en) Drum printer
US4443124A (en) Printer with electromagnetically driven hammer
US3433153A (en) Printer with swiveling pushrods
US3875859A (en) High speed printer
US3253539A (en) Driving and supporting means for high speed printing drum
US3966035A (en) Printer
US3934698A (en) Carriage mechanism for printer
US3915086A (en) Printing apparatus
US3623428A (en) Flying printer
JPS5824455A (ja) シリアルプリンタ
US4297944A (en) Print hammer driving means for impact printers
US3490572A (en) Print head carrier drive structure employing same clutch for carrier return and backspace
US3623427A (en) Rotating type carrier with shiftable hammer carrier
US3291042A (en) High speed printing mechanism
US3774531A (en) Print chain assembly for high speed printer
JPS6013656Y2 (ja) インクリボンのテンシヨン装置
USRE29832E (en) Printing mechanism
US3967508A (en) Line printer with escape mechanism driving means
US4683819A (en) Compact printer with hammer structure within type drum
JPS5848133Y2 (ja)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