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876B1 - 대구경(大口徑) 파이프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대구경(大口徑) 파이프성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00000876B1 KR800000876B1 KR760001686A KR760001686A KR800000876B1 KR 800000876 B1 KR800000876 B1 KR 800000876B1 KR 760001686 A KR760001686 A KR 760001686A KR 760001686 A KR760001686 A KR 760001686A KR 800000876 B1 KR800000876 B1 KR 8000008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dge
- unit
- units
- forming
- bea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성형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부분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 L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일부를 제2도와 같은 방법으로 도시한 확대도,
제5도는 제4도 장치의 일부를 확대 표시한 확대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Ⅳ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형태의 부분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형태의 부분 평면도.
본 발명은 대구경(大口經) 파이프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장한 박판대(薄板帶)로부터 사일로(silo)형태의 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판대를 나선형 통로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이 박판대의 인접변부가 연접(連接)될 수 있도록 이들 인접변부를 성형하는 장치가 사용되어 이 박판대는, 변부를 에비성형하는 변부성형단과 이와 같이 예비성형된 변부를 연결하는 변부연접단으로 된 가공단을 통하여 통과된다. 각 가공단은 박판대가 호상(弧狀)통로를 따라 통과할 수 있도록 연속하여 배설된 수개의 가공유니트(processing unit)로 구성된다. 각 유니트는 한쌍의 가공로울러를 가지며, 이 로울러는 예비성형 및 만곡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적당한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유니트가 박판대의 평면에 대하여 또는 평면에서 수직으로 박판대의 만곡반경을 변화시킴으로로서 이 수직 만곡이 제조될 파이프의 구경을 이루게하고 박판대의 평면에서 이러한 만곡이 그 평면에서 박판대의 바람직하지 못한 만곡의 원인이 되게하는 박판대 자신의 장력으로 파이프의 구경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도록 상호 조절가능하게 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박판대의 인접변부를 성형하여 연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되 이 수단은 변부성형단과 변부연접단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각 단은 다수의 가공 유니트를 포함하되 이들 각 유니트는 상기 변부를 성형하기 위한 가공로울러 쌍을 가지며, 이들 로울러쌍은 호상통로를 따라 배설되고, 각 단에서 유니트는 상기 변부를 연속적으로 성형토록 연속적으로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로울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평행축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동조절을 위하여 상기 인접유니트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상기 유니트에 연결하여 상기 인접유니트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하여 박판대를 나선형으로 진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가공단은, 인접가공 유니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공유니트를 조절 하므로서 조절될 수 있고 박판대가 원통형 벽, 즉 제조된 파이프의 구경에 해당하는 벽을 가진 파이프를 제조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각기 독립된 가공유니트내의 가공로울러를 위한 구동장치는 두 인접 가공유니트의 상호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조절 가능하게 배열함으로서 박판대는 자체 장력 때문에 만곡된 상태가 전개되려하고 가공단의 조절없이는 구경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파이프의 여러 구경에 따라 부수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서든지 변부 연접단의 연접점은 파이프의 구경에 대하여 접합하게 되어야 하므로 유니트의 조절이 특별히 유리하다. 이러한 연접단의 조절없이는 성형될 파이프의 단일구경에 고정적으로 적용되는 연접단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화된 실시형태에서, 유니트 사이의 연결점이 가공단의 가공유니트에 의하여 결정된 원호의 내측에 제공되고 지지 및 조절장치가 연결점의 방사상 외측에 배설된다. 인접유니트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 사이의 공간이 조절장치호부터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박판대의 요구된 만곡반경의 조절은 더욱 정밀하게되는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조정장치는 유니트 사이의 회동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절가능한 나선축을 포함하며, 이 경우 박판대의 만곡반경은 박판대의 장력을 고려하여 박판대의 평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한 가공유니트 사이에 배설되고 이들에 분히 가능하게 취부되는 견고한 공간유지기소를 가진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일로의 형태로 대구경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상부 링과 하부 링을 가진 환상프레임(1)을 포함한다. 이 두 링은 지주에 의하여 상호연결되어 있으며 지주사이에 연결된 직선부부능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에는 수직축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회동암(2)에 의하여 지지로울러(3)이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으며, 각 회동암에는 하나의 지지로울러가 재기되어 있다. 파이프제조장소의 바닥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지지될 수 있는 릴(4)는 환상프레임(1)내에 배치되며 파이프로 성형될 박판대(5)의 롤(roll)을 지지한다.
번호(6)으로 표시된 변부성형 단에는 릴(4)로부터 박판대가 공급되어 박판대의 변부를 예비 성형하고 그 후 박판대는 변부성형단으로부터 프레임(1)에서 180° 회전된 위치에 배설된 변부연접단(7)로 공급된다. 변부성형단은 부호 A, B, C, D, E로 표시된 개개의 변부성형 유니트로 구성되고 변부연접단도 개개의 변부연접 유니트 F, G, I, K로 구성된다. 도면중 유니트 F, G, I, K는 변부연접유니트로 계획되었으나 유니트 H는 변부연접장치가 시설되지 않은 유니트이다. 변부연접유니트의 작동위치는 지지로울러(3)의 접촉부와 같은 동일한 직경상에 있는 반면에 변부성형유니트의 작동위치는 지지로울러(3)에 의하여 형성된 원의 내부에 놓여있다.
환상프레임(1), 릴(4), 변부성형단(6) 및 변부연접단(7)은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사일로를 최종 제품으로 운반하게되는 장소의 저면 또는 바닥에 설치할 수 있다. 변부성형단(6)과 변부연접단(7)은 공지의 장치로서 높이와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스탠드(stand)상에 설치된다. 변부성형단(6)은 박판대(5)의 두 변부를 사각(斜角)이 지게 성형하며 변부연접단(7)은 나선상으로 중첩 배설되는 박판대의 두 인접변부를 연결한다. 이 박판대의 변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각 변부성형유니트 A-E는 제1도에서 단지 상축 성형로울러(15)(16)으로만 도시한 성형로울러를 가지고 있다. 이 성형로울러의 수직축은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고 이들 로울러의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전동장치에 고정적으로 취부되어있다. 가공유니트의 성형로울러중 한 로울러의 구동모우터(71)에 연결된 체인에 의하여 구동된다. 각 변부 성형유니트 A-E는 수직내측벽(110), 상호평행하고 수직내측벽(110)에 수직인 수직측벽(111)(112)와, 로울러(16)과 구동모우터(71)사이에 배설된 배벽(背壁)(113)으로 구성된 하우징(40)내에 장설되어 있다. 각 벽들은 저면벽에 의하여 상호연결되고 하우징(40)은 상부벽으로 복착되며 로울러(15)(16)의 축이 상부벽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벽(111)(112)에는 각 유니트를 통하여 박판대(5)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슬로트(slot)(도시하지 않았음)가 형성되어 있다.
변부성형유니트 A-E는 각 유니트의 로울러(15)(16)이 호상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설된다. 이 변부성형 유니트는 원호의 내축에서 상하축 힌지 연결부(hinge joint)(94)(95)로 연결되는바, 제3도에서는 변부성형 유니트 D의 두 측부상에 착설된 연결부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이와 유사한 연결부가 여러 인접한 변부성형 유니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힌지연결부(94)는 유니트의 일측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습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베어링 홀더(bearing holder)(77)를 포함하며 유니트의 타측부에는 상하로 이 유니트에 고정취부된 두 개의 베어링 홀더(80)(81)을 포함한다. 이 베어링 홀더(80)(81)은 인접유니트의 베어링 홀더(77)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힌지연결부의 회동점을 구성하며, 베어링 홀더는 베어링 볼트(82)로 연결된다. 베어링 홀더(77)은 벽(110)에 취부된 베어링 지지체(97)(98)에서 길이 방향으로 습동 가능하게 되어있는 습동간(96)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나선축(100)이 습동간의 반대측 단부에 턴버클 스크류(turnbuckle screw)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어 베어링 홀더(80)(81)사이의 연결부(9a)의 나선공에 나착되어 있다. 나선축(100)의 타측단은 습동간(96)의 단부에 형성된 나선공에 나착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 홀더(77)은 중간의 너트형 부재로서 나선축(100)을 회동시켜 베어링 홀더(80)(81)에 대하여 확장 또는 축소조절될 수 있다.
힌지연결부(95)에는 유니트의 일측부에 고정적으로 취부된 두 개의 베어링 홀더(80a)(81a)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부에는 고정적으로 취부된 베어링 홀더(7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인접유니트의 베어링 홀더(80a)(81a)사이에 삽착된다. 변부성형단 D의 베어링 홀더(80a)(81a)는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베어링 홀더(77a)(80a)(81a)를 통하여 관통되는 베어링 볼트에 의하여 변부성형단 C의 베어링 홀더(77a)와 연결됨으로서 상측 베어링 홀더(77)은 하측 베어링 홀더(77a)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측벽(111)(112)에는 그들의 외측 또는 후측으로 연장부(111a)(112a)가 형성되어 있다. 관상 또는 파이프형 스페이서(spacer)(101)이 두 인접 변부성형 유니트의 후측연장부 사이에 배설되고 스크류볼트(102)가 연장부(112a)(111a) 및 두 인접유니트 사이의 관상 스페이서(101)를 통하여 관통되어 있다. 판스프링(104)와 같은 스프링이 볼트의 나선단부에 나착된 너트(103)과 연장부(111a) 또는 (112a) 사이에 파지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01)의 길이는 두 인접유니트의 연장부(111a)(112a)사이에 적당한 거리를 결정한다. 변부성형 유니트 A-E의 인접유니트 사이의 스페이서는 동일한 크기이므로 변부성형 로울러 쌍 사이의 변부성형 위치는 스페이서(101)의 예정된 길이에 따라 좌우되는 원호의 직경을 결정한다.
따라서 변부성형단(6)은 성형될 파이프의 필요 구경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박판대가 박판대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보아, 그 평면에서 만곡되도록 사용되는 경우 성형될 사일로의 벽이 원추형으로 성형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나선축(100)을 회전시켜 베어링 홀더(77)의 조절을 위한 충분한 여유가 힌지연결부(95)에 있도록하여 그 평면에서 만곡된 박판대가 직선화될 수 있도록 베어링 홀더(77)을 조절함으로서 피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인접한 변부성형유니트 D에 대하여 중간의 변부성형유니트 C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조절은 이러한 요구된 결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박판대안내구(106)이 변부성형유니트 A에 직렬로 연결되고 변부성형보정장치(107)이 변부성형유니트 E에 연결된다.
변부연접단(7)로 돌아가서, 유니트 F-K의 인접벽은 부분적으로 고정된 연결부(94)(95)에 의하여 그 상부 및 하부에서 연결된다. 이들 장치의 방사상 외향단부에 배설된 스페이서수단은 제7도에 관련하여 이후 상세히 기술될 견고한 연결레일(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접로울러(57)의 가공위치에 의하여 결정된 호상통로는 스페이서(90)을 변경시킴으로서 변경될 수 있다. 성형된 파이프의 내측에 배설된 대향로울러(42)는 연접로울러와 쌍을 이룰 수 있게 배정되어 있다. 각각의 변부연접유니트는 구동모우터(71)을 가진다.
변부연접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유니트 H에는 연접로울러가 없으나 대향로울러만이 착설되어 있다. 변부연접단으로 박판대를 안내하기 위한 로울러수단(108)은 변부연접단(7)의 전방에 놓여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가 제4도-제6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번호(6a)로 표시된 변형성형단은 기판(11)상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 변부성형단은 박판대(5)의 나선각(pitch)에 해당하는 나선각으로 굽혀져있고 또한 굽힐 수 있다. 이 나선각은 지지로울러(3)에 의하여 결정된 나선형상에 일치한다.
지지로울러(3)은 성형된 변부를 제외한 박판대(5)의 폭에 해당하는 나선각으로 환상프레임(1)의 주연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11)은 요구되는 나선각을 위하여 적합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요구된 길이로 조절될 수 있는 각부(脚部)를 가진다.
변부성형유니트 AA, BA, CA, DA, EA가 측부에 이중선으로 표시된 하우징내부에 로울러쌍으로 표시되어 간단히 도시되어 있다. 이들 유니트의 하우징(40a)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하우징(40)과 근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하우징(40a)의 저면부는 기판(11)에 착설되어 있다. 구동모우터(71a)는 변부성형단(6a)의 유니트를 구동시키며, 또한 모우터도 기판(11)에 착설되어 있다. 모우터는 체인(72)에 의하여 변부성형유니트 EA의 변부성형로울러의 하나와 동축상으로 회동가능하게 착설된 스프로켓트 휠(도시하지 않았음)을 구동시킨다. 하나의 기어가 동일 축에 고정되어 이와 함께 회동되며 중간기어(76D)와 교합되어 있다. 다시 중간기어는 변부성형유니트 DA의 한 로울러의 축에 동축상으로 배설된 기어와 교합되어 있다. 변부성형유니트 DA와 CA사이에 다른 중간기어(76C)가 유사한 방법으로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기어(76B)(76A)와 연결된 각 쌍의 구동로울러중 하나에 동축상으로 연결된 기어를 통하여 변부성형단이 모든 유니트가 구동된다.
중간기어(76A-D)가 제5도 및 제6도에서 보다 선명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착설되어 있다. 두 베어링 홀더(77D)(78D)는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기어(76D)를 가진 하우징(40D)상에 취부되어 있다. 기어는 베어링 홀더(77D)(78D)사이에 취부된 리브(rib)(79D)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두 베어링 홀더(80C)(81C)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우징(40C)에 취부되어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베어링 홀더(80C)(81C)가 홀더(77D)(78D)와 중첩되게 되어있다. 그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베어링 볼트(82C)가 베어링 홀더(80C)(81C)에 형성된 통공과 리브(79D)를 통하여 관통된다. 이 베어링 볼트(82C)는 회동연결부를 구성하고 두 변부연접유니트(DA)와 (CA)사이의 회동축을 구성한다.
상호 인접한 변부성형유니트사이의 연결 및 전동장치는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기술하지 않았다.
기판(11)에는 상호 평행하게 배설된 다수의 종방향 슬로트(83)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비슷하게 변부성형유니트(DA)의 하우징(40D)에도 그 작동위치에서 변부성형유니트(DA)와 함께 기판에 형성된 슬로트(83)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설된 다수의 종방향 슬로트(84D)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11)에 형성된 종방향 슬로트(83)과 하우징(40D)에 형성된 종방향 슬로트(84D)는, 스크류(86D)가 같은 취부수단이 기판에 변부성형유니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우징 및 기판에 형성된 슬로트를 통하여 관통될 수 있게 배열된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유니트(CA)의 종방향 슬로트(84C)는 기판(11)의 종방향 슬로트(83)에 대하여 예각으로 배치된다. 하우징(40D)를 취부하기 위하여 역시 이 하우징도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85D)를 가진다. 각 플랜지(85D)는 기판에 형성된 종방향 슬로트의 하나를 관통하는 L-형 취부수단(87D)에 의하여 중첩파지 된다. 종방향 슬로트(84)와 돌출부(85)가 각 하우징(40)에 형성되어 있다. 변부성형단(6a)의 두 인접변부성형유니트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변부성형단은 성형될 파이프의 적당히 요구된 구경에 일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만약 개개의 유니트가 개개의 구동체인에 의하여 구동되는 경우에도 변부성형단(6a)의 두 인접변부성형유니트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변부연접단도 기판(11)과 같은 기판상에 배치할 수 있으며, 유니트는 변부성형단(6a)에 관련하여 기술된 동일한 방법으로 조절가능하게 착설할 수 있다.
변부성형유니트의 다른 실시형태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유니트(EB)와 (DB)에서는 이들의 대향벽에 힌지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는 변부성형유니트(EB)에 착설된 한 베어링 홀더(77E)와 변부성형유니트(DB)에 착설된 한 베어링 홀더(80D)를 통하여 관통하는 베어링 볼트(82D)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베어링 홀더가 베어링 홀더(77E) 또는 (80D)로서 배정되어 일측 유니트의 두 베어링 홀더가 타측 유니트의 다른 두 베어링 홀더사이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변부성형유니트(EB)와 (DB)는 베어링 볼트(82D)에 대하여 상호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연결레일(90)은 두 변부성형유니트(EB)와 (DB)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고정 또는 공간유지장치로 사용되며, 이 레일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에 “U”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U”자형 레일의 세 각부는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체에 의하여 상호연결되어 있다. 레일의 각부는 인접한 변부 연접유니트(EB)와 (DB)의 근접벽사이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호 적당한 각도관계를 유지한다. 연결레일(90)은 스크류와 같은 수단으로 벽(40E)(40D)에 고정되어 있다. 가공유니트사이의 상이한 각도관계를 설정하기위하여 상이한 연결레일(90)이 선택되어 사용된 레일과 교체될 수 있으며 이 새로운 레일은 그 각부 사이의 각도가 적당한 예정된 각도를 가지게된다.
연결레일(90)은 변부성형단(6)과 변부연접단(7)의 하나 또는 양측모두의 인접유니트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두 단의 가공유니트에는 예를들어 유니트(6a)에 관련하여 언급된 기판(11)과 같은 지지체에 착설될 수 있도록 저면에 연결구(116)을 형성할 수 있다.
인접한 가공유니트(EB)와 (DB)의 인접벽사이에 상이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결레일(9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U”자형 연결레일의 외측벽을 아아치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레일이 베어링볼트(82D)로부터 상이한 거리를 두고 배설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하여 인접벽사이의 각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연결레일의 내측벽을 레일각부의 외측면과 일치하도록 아아치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인접한 가공유니트의 두 인접벽사이의 각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을때의 연결레일의 각부를 적어도 그 외측면을 삼각형으로 전개할 수 있는데, 삼각면은 아치형 각부의 아아치부분과 일치한다.
제8도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조절장치(90a)를 사용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각각 벽(40B)(40A)에 착설된 레일에서 길이방향으로 습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베어링지지체(91B)(91A)를 포함한다. 이 베어링지지체는 구동축(73)을 나삽하기 위한 나선공이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 부싱(93)을 가진 베어링 볼트(82A)에 의하여 연결된다. 구동축(73)은 벽(40B)(40A)에 의하여 결정된 각도를 등분하는 선을 따라 배설된다. 베어링지지체(91B)(91A)는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측벽(40B) 또는 (40A)에 스크류로서 고정될 수 있다. 나선축(73)은 벽의 단부에서 축고정체에 베어링 볼트(82B)로부터 멀리 떨어져 고정된다. 이 축고정체는 나선형 축(73)에 의하여 관통되고 수직축선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베어링 부싱을 포함하며, 축선은 유니트사이의 베어링 볼트(82B)의 회동축선과 평행하다. 축(73)은 도시된 바와 같은 손잡이로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지지체(91B)(91A)에 관련하여 도시된 나선형 축이나 습동안내구없이 상호 대향되고 상호 일치되는 예정된 원치에서 인접벽(40B)(40A)에 베어링지지체를 착설함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공유니트의 인접측벽에 형성된 길이방향 슬로트는 베어링지지체의 연속조절을 위하여 이용된다.
사일로를 제조하기 위하여 박판대(5)의 상측단이 변부성형단(6)에 차례로 성형된다. 나선형으로 진행되는 박판대의 인접변부는 변부연접단(7)에서 상호 연접된다. 가공유니트 A-K의 측벽에는 박판대의 통과를 위한 슬로트가 형성되어 있다. 이미 제조되고 변부성형단(6) 및 변부연접단(7)의 외측에 위치하는 파이프는 나선형의 형태로 배설된 지지로울러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로울러는 그 벽에 중첩된 연접부의 하측부에 접한다.
Claims (1)
-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한쌍의 로울러를 가진 수개의 유니트로 구성되고 이 유니트가 호상통로를 형성하며 힌지연결부에 의하여 상호조절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유니트를 요구된 조절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수단과 유니트의 상대적인 조절을 위한 구동수단을 가지는 변부성형단과 변부연접단으로 구성된 대구경 파이프 성형장치에 있어서, 유니트(A-K)의 상호인접된 벽사이에 힌지연결부(94, 95)를 배설시키고 힌지 연결부와 반대측이 두유니트 사이에 이들 유니트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수단(77, 90, 90a, 101)를 형성시켜서된 대구경 파이프의 성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001686A KR800000876B1 (ko) | 1976-07-09 | 1976-07-09 | 대구경(大口徑) 파이프성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001686A KR800000876B1 (ko) | 1976-07-09 | 1976-07-09 | 대구경(大口徑) 파이프성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00000876B1 true KR800000876B1 (ko) | 1980-08-30 |
Family
ID=1920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60001686A KR800000876B1 (ko) | 1976-07-09 | 1976-07-09 | 대구경(大口徑) 파이프성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00000876B1 (ko) |
-
1976
- 1976-07-09 KR KR760001686A patent/KR800000876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40962A (en) | Conduit making machine with diameter control and method | |
US422660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urving glass sheets | |
US367219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rrugations in tubes consisting of ductile material | |
US4616495A (en) | Helically-formed pipe winding machine | |
HU22519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helical pipe from its inside | |
US213694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elical lock seam culverts | |
US5423201A (en) | Apparatus for continuously shaping a metal tube | |
JP2740333B2 (ja) | 予備成形物用傾倒手段を装着する、該予備成形物からプラスチック材料の中空体を製造するための設備 | |
US4038861A (en) | Workpiece feed channel | |
KR800000876B1 (ko) | 대구경(大口徑) 파이프성형장치 | |
US4048827A (en) | Apparatus for forming a large diameter pipe | |
FI75332B (fi) | Anordning foer kupning av glasskivor. | |
US4143534A (en) | Workpiece feed channel | |
US4070886A (en) | Spiral pipe forming machine with device for aligning spiralling rolls | |
NO812615L (no) | Innretning for korrugering av roer. | |
US4497452A (en) | Twin coil strip accumulator | |
EP0104844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corrugated tubes | |
US4110149A (en) | Rotatably driven mandrel having outer wall formed by continuously circulating endless helical band and radially adjustable support members for the band | |
US1739774A (en) | Spiral-pipe machine | |
GB2311740A (en) | A device for bending tubes | |
EP1393830A1 (en) | Continuous sheet metal bending machine | |
JPH0312977B2 (ko) | ||
KR200187052Y1 (ko) | 조관장치 | |
SU996150A1 (ru) | Установка дл сварки внутренних и наружных швов отводов трубопроводов | |
RU190116U1 (ru) | Повор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тан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 с винтовыми гофрам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