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861B1 -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861B1
KR800000861B1 KR7902898A KR790002898A KR800000861B1 KR 800000861 B1 KR800000861 B1 KR 800000861B1 KR 7902898 A KR7902898 A KR 7902898A KR 790002898 A KR790002898 A KR 790002898A KR 800000861 B1 KR800000861 B1 KR 800000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lower alkyl
compound
wat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굴린 페인 트레보르
Original Assignee
에띠엔느 라퐁
엑사키미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띠엔느 라퐁, 엑사키미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에띠엔느 라퐁
Priority to KR790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861B1/ko

Link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1)의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 및 그의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식중,
[R1은 저급알킬,
R2는 수소 혹은 저급알킬,
R3은 수소 혹은 저급알킬,
R4는 수소 혹은 저급알킬,
R5는 수소, 염소 혹은 저급알킬이고,
R6및 R7은 수소이며, 또는 R5가 수소일 때
R6및 R7는 또한 염소 혹은 저급알킬 일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음 일반식(3)의 화합물중 CN기를 COOR3기 (R3은 상술한 바와 같다)로 전환시켜 일반식(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식중,
Figure kpo00002
[R1,R2,R4,R5,R6과 R7은 상기와 같다.]
일반식(1)의 화합물에서 R1으로 표시된 저급 알킬기는 1-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틸또는 에틸이 바람직하다.
R2가 저급알킬일 때 1-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R2는 수소 또는 메틸이 바람직하다. R3은 수소일때가 바람직하다. R3이 저급알킬일 때 1-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 것, 예를들면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3급 부틸이 바람직하다. R4가 저급알킬일 때는 1-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4는 메틸 또는 수소일때가 바람직하다. R6및 R7은 수소이고 R5은 수소 또는 염소일때가 바람직하다. R5, R6또는 R7이 저급알킬일 때 알킬기는 1-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메틸이 바람직하다. R1이 메틸, 에틸 또는 이소프로필이고 R2가 수소 또는 메틸, R3가 수소이고 R4가 메틸 또는 수소이며 R5,R6및 R7이 각각 수소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탄소 함유기들은 4개까지의 탄소원자를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3) 화합물의 용매화 분해는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된다. 예를들면 일반식(3) 화합물을 물 또는 일반식(5)의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물과 반응시킬수 있다.
Figure kpo00003
[식중,
Figure kpo00004
는 저급알킬이다.]
반응은, 예를들면 강산촉매, 예컨대 농염산, 20-75%의 황산, 또는 인산 같은 강한 무기산 또는 유기 설폰산과 같은 강한 유기산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이와는 달리 강한 염기성 촉매, 예를들면 수산화 알카리금속(10-50%의 수산화나트륨 또는 칼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CN기를 카복실기로 전환시키기 위해 일반식(3)의 화합물을 2당량의 물로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 산촉매를 사용할때의 온도는 60-120℃, 특히 반응 혼합물의 환류온도가 사용될 수 있다. 염기성 촉매를 사용할 때의 온도는 20-150℃가 사용될 수 있다. 불활성 유기 수불용성 용매, 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릴 알코올 또는 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알코올, 또는 디옥산 같은 에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산촉매 존재하에서는 아세트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CN기를 에스테르기로의 전환은 일반식(3)화합물을 사용된 일반식(3)의 화합물과 동량의 물을 함유한
Figure kpo00005
-OH알코올과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되지 않은 용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산 또는 염기성 촉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적합한 온도는 약 50-100℃이다. 필요에 따라 일반식(3)의 화합물을 먼저 알코올과 반응시켜 상응하는 이미노 에테르로 전환시키고, 이어서 동량의 물로 가수분해시켜 에스테르로 전환시킨다.
얻어진 일반식(1)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에서 분리되고 정제될 수 있다.
출발물질은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가) 일반식(3a)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일반식(3b)의 화합물을 같은 당량의 일반식(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식중,
[R1,R2,R5,R6및 R7은 상술한 바와같고,
Figure kpo00008
은 저급알킬이며,
X는 반응성 에스테르의 산기이다.]
반응은 불활성용매, 예컨대 톨루엔 또는 벤젠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또는 디에틸 에테르와 같은 에테르의 존재하에서, 예컨대 리틈 디이소프로필 아미드, 나트륨 아미드 또는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와 같은 염기성 축합제를 사용하여, 약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다.
나) 일반식(3)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일반식(9)의 화합물을 금속시안화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9
식중,
[R1,R2,R4,R5,R6와 R7은 상술한 바와같다.]
시안화나트륨 또는 시안화칼슘 같은 알카리금속시안화물 또는 시안화구리(Ⅰ)를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반응은 예를들면, 물, 아세톤, 저급알코올,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같은 불활성용매나 또는 이들 유기용매 중 하나와 물과의 혼합물 중에서 수행된다. 요오드화 나트륨 또는 요오드화 칼륨과 같은 요오드화금속이 존재할 수도 있다. 반응 온도는 10-150℃, 특히 50-120℃가 바람직하다.
다) 일반식(9)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일반식(8)의 화합물을 클로로알킬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일반식(8)의 화합물과 일반식(10)의 알데히드나 또는 그의 중합체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므로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0
식중,
[R1,R2,R4,R5,R6및 R7은 상술한 바와같다.]
반응은 염화수소 가스를 통과시키면서 산성용액, 예를들면 수성 염산 또는 아세트산 중에서, 또는 농염산 용액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적합한 온도는 약 -20°∼80℃ 특히 -10∼15℃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2-에틸-5-인단아세트산
2-에틸-5-인단-아세토니트릴 12.8g을 에탄올 350㏄에 용해시키고, 물 45㏄ 중의 수산화칼륨 26.7g의 용액을 가하여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20시간 동안 비등시켰다. 용액을 50㏄로 농축시키고, 물로 희석시켜 에테르로 추출하고 에테르상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2N 염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에테르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얻어진 조잡한 생성물 2-에틸-5-인단아세트산을 용리제로서 1.5% 메탄올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50배량의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였다. 헥산에서 재결정시킨 후 표제 화합물의 융점은 44-46°였다. 출발물질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a) 2-에틸-인단 10.0g, 40%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7.12㏄와 농염산 14.2㏄의 혼합물을 70°에서 교반하였다. 농황산 9.8㏄를 6시간내에 적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2일동안 더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반응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8%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두번 세척하고 물로 한번 세척하였다.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제거하여, 2-에틸-5-클로로메틸-인단을 오일상 조잡한 생성물로 얻고, 이를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 사용한다.
b) 위에서 얻어진 오일상 조잡한 생성물 12.0g을 아세톤 350㏄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교반하면서 비등시켰다. 물 35㏄ 중의 나트륨 시아나이드 17.6g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20시간 동안 비등시키고, 25°로 냉각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농축시켰다. 잔사를 물로 희석시키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서, 증발시키고 농축시켜 오일로 얻어진 조잡한 2-에틸-5-인단 아세토니트릴을 증류시켜 정제하였다.
비점 : 131-135°/0.12mmHg
[실시예 2]
2-에틸-5-인단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 200㏄중의 정제된 2-에틸-5-인단-아세토니트릴 12.0g의 용액을 얼음으로 냉각시키면서 염화 수소 가스로 포화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환류하에서 20시간 동안 비등시키고 증발시켜 농축시킨 후 다시 에탄올 170㏄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물 4.7㏄를 가하고 용액을 환류하에서 3시간 동안 비등시킨 후 증발시켜 농축시켰다. 잔사를 물과 벤젠으로 분류하였다. 벤젠상을 5% 중탄산나트름용액과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켜서, 증발시켜 농축시켰다. 오일상 잔사로 얻어진 표제 화합물을 발브관에서 증류시켰다. 비점 : 102-106°/0.01mmHg
일반식(1)의 화합물은 약학적 활성을 보여준다. 특허 본 화합물은 쥐에 카라진을 투입시켜 부종을 유발시켜서 부종 형성을 저해하는 표준실험에서 보는 바와같이 항부종작용을 나타낸다.
본 화합물은 소염제로 사용되고, 염증과 부종의 삼출(渗出)을 억제시킨다. 또한 본 화합물은 쥐에 프로인트 보조액에 의한 관절염 잠복기 시험에서 종창을 억제하는 표준 시험에서 나타나는 것 같이 항관절염 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화합물은 항관절염제로서 사용된다. 상기 언급된 용도를 위해 1일 약 200-2,000㎎을 투여하고 일반적으로 1일 50-1,000㎎씩 2-4회 나누어 투여하거나, 지속성 제제로 사용한다. R3가 수소인 일반식(1)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적합한 염 형태로 또한 투여될 수 있다. 이런 염형태는 유리산형과 같은 활성을 나타내고, 공지의 방법으로 쉽게 제조된다. 본 발명은 유리산 형태인 R3가 수소인 일반식(1)의 화합물을 포함한 약학적 조성도 포함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약학적 담체나 희석제와 결합된 약학적으로 적합한 염 형태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조성의 예를들면 용액이나 정제가 있다. 실시예 1 화합물은 특히 흥미로운 화합물물이다.
R5, R6과 R7이 모두 수소인 화합물 R2, R3과 R4가 수소인 화합물 R5, R6과 R7중 하나가 염소이고 R5, R6과 R7중 다른 두개가 수소인 화합물 특히 R6과 R7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음 일반식(3)의 화합물중 CN기를 COOR3기로 전환시켜 일반식(1)의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1
    식중, [R1은 저급알킬,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 R3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 R4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 R5는 수소, 염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6및 R7은 수소이며, 또는 R5가 수소일때 R6및 R7은 또한 염소 또는 저급 알킬일 수 있다.]
KR7902898A 1979-08-24 1979-08-24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의 제조방법 KR800000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898A KR800000861B1 (ko) 1979-08-24 1979-08-24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898A KR800000861B1 (ko) 1979-08-24 1979-08-24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3927A Division KR800000862B1 (ko) 1974-10-26 1974-10-26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861B1 true KR800000861B1 (ko) 1980-08-28

Family

ID=1921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898A KR800000861B1 (ko) 1979-08-24 1979-08-24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86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ork et al. Synthesis and Reactions of Glycidonitriles. Transformation into α-Haloacyl Compounds and Aminoalcohols
CH495981A (fr)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dérivés carboxyliques de l'indoline-2 one
EP0169688B1 (en) Process for preparing anti-inflammatory cycloalkylidenemethylphenylacetic acid derivatives
KR800000861B1 (ko) 치환 인다닐-5-카복실산의 제조방법
CA1136643A (en)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gamma.- CHLOROALKANE-CARBOXYLIC ACID ESTERS
US3345416A (en) Preparation and rearrangement of beta-ketosulfoxides
GRUNDMANN et al. Triazines. XVII. s-Triazine from s-Triazine-2, 4, 6-tricarbonic Acid
US3906004A (en)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intermediate for preparation of meso-nordihydroguaiaretic acid
Carlson et al. Novel synthetic approach to the eudesmane class of sesquiterpenes
Belleau SYNTHESIS IN THE FIELD OF THE ERYTHRINA ALKALOIDS: PART II. APPROACHES TO THE RING SYSTEM OF β-ERYTHROIDINE
US416691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ndo-6-hydroxybicyclo[2.2.1]heptane-endo-2-methanol and derivatives thereof
Braun et al. Esters of β-Diazopropionic Acid. A New Synthesis of β-Aryloxypropionic Acids1, 2
US2745845A (en) 1-formyl-2-dialkoxymethyl-succinic acid esters and their cyclization to heterocyclic compounds
CH392483A (fr)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nouveaux esters d'acides 4-halo-3-sulfamoyl-benzoïques
US420187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3-benzoylphenyl)-propionic acid
Leppard et al. Preparation of 4‐(4′‐Methyl‐2′‐oxo‐cyclohex‐3′‐en‐1′‐yl)‐pentan‐1‐ol and Derivatives of 3‐(4′‐Methyl‐2′‐oxo‐cyclohex‐3′‐en‐1′‐yl)‐butan‐1‐ol
Latif et al. Carbonyl and Thiocarbonyl Compounds. VI. 1 (a) Synthesis of Newer Fluorenylidene Cyclic Ethers from Tetrahalo-o-benzoquinones.(b) The Reductive Cleavage of Methylenedioxy Compounds by Lithium Aluminum Hydride
US3068296A (en) 2-(substituted-benzyl)-1, 3-propanediols
LUTZ et al. THE CIS AND TRANS 3-AROYL-2, 3-DIMETHYLACRYLIC1 ACID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OPEN-CHAIN AND CYCLIC FORMS OF THE CIS DERIVATIVES
US274491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bstituted pyrroles
US349233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 4-ketoalkanoates
US5292902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odorants and intermediates used therein
KR800001162B1 (ko) 5-아미노-1,2,3-티아디아졸의 제조 방법
Rosenkrantz et al. Some 5-Aryl-6-arylmethyl-2, 4-diaminopyrimidines.
US348977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quilenin,its homologues and derivatives,and intermediate products obtained by this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