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845B1 - 음극선관의 선편향회로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선편향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845B1
KR800000845B1 KR740001277A KR740001277A KR800000845B1 KR 800000845 B1 KR800000845 B1 KR 800000845B1 KR 740001277 A KR740001277 A KR 740001277A KR 740001277 A KR740001277 A KR 740001277A KR 800000845 B1 KR800000845 B1 KR 80000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ring
trace
diode
deflection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탁크에르 컨트에르
오트엔 발트에르
Original Assignee
제이 더블유 샤후테베어
엔. 부이 필립스 구로아이람펜 화부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더블유 샤후테베어, 엔. 부이 필립스 구로아이람펜 화부리켄 filed Critical 제이 더블유 샤후테베어
Priority to KR740001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84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선편향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개량된 회로도.
제2도는 시간에 따른 여러 가지 다른 전압변동을 보인 그래프.
본 발명은 음극선관, 특히 텔레비전 수상관을 포함하는 장치에 대한 편향회로에 관한 것으로, 이는 편향코일을 통하여 흐르는 톱니파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편향코일은 트레이스콘덴서, 리트레이스콘덴서, 제1다이오드로 구성되는 병렬 공진회로의 한 부분을 이루며, 트레이스 구간의 첫부분 동안에는 편향전류가 제1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고 트레이스 구간의 나중 부분 동안에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제어가능한 스위치를 통하여 흐르며, 트레이스 구간 동안에는 직류전압전원으로부터 이전 원과 스위치 사이에 장치된 1차 권선으로 에너지가 공급되고, 리트레이스구간 동안에는 2차 권선으로부터 리트레이구간동안 도전되는 제2다이오드를 통하여 병렬공진회로로 에너지가 공급되며, 병렬공진회로는 트레이스구간의 나중 부분 동안 도전되는 제3다이오드를 통하여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장치는 "IEEE Transaction on Broadcast and Television Receivers" 1972년 8월호, Volume BTR-18, 제3권, 177-182페이지에 알려져 있다.
공지의 회로장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트랜지스터화한 선편향단 안정화된 스위치로 된 전원의 조합이며, 여기에서 하나의 스위칭소자, 즉 전술한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이며 선편향 트랜지스터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회로 장치를 좀더 개량시키는 것이다.
교류전압이 전술한 제2 및 제3 다이오드에 나타나고 그 전압은 안정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목적은 이러한 일반적으로 안정화된 구형파 전압을 특히 유리한 방법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다음과 같이 풀려진다.
즉 서두에서 설명된 종류의 선편향 회로에서는 제2 도는 제3 다이오드가 콘덴서와 전류공급 변압기의 1차 권선과의 직렬연결에 의해 분로되며 그 변압기는 정류작용을 거친 후 장치의 다른 단(段)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공지의 회로에 대한 설명이 참고사항으로서 매우 필요한 것이다.
변압기 (T1)의 1차 권선(L1)은 결합 콘덴서(CK)를 통하여 2차 권선(L2)에 연결된다.
UB는 직류전압원이고, 변압기(T1)의 또다른 2차 권선(L3)은 다이오드(Db)를 고전압발생(UH) 역할을 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R)가 있어, 구동단(도면엔 불표시)으로부터 발생된 선주파수의 구형펄스가 이 트랜지스터(TR)에 공급된다.
이러한 전체 회로장치는 편향코일(L)을 통하여 흐를 톱니파 전류를 발생시킨다.
편향코일(L)은 콘덴서(C2)와 콘덴서(C3)와 함께 병렬 공진회로를 구성한다. 동작 조건에서 전술한 공진회로에 병렬연결된 제1 다이오드(D2)는 트레이스 구간의 첫부분 동안 도전되고, 시간 t1-t3동안(-)의 편향전류(I2)가 여기에 흐른다(제2d도 참조).
이 구간동안 제3 다이오드(Dd)가 차단되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TR)는 D2, L, C2, C3로 구성되는 편향회로로부터 분리된다. TR의 베이스의 구형펄스(제2f도 참조)의 폭에 따라 조정되는 시간 t2에서, TR은 도전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전류가 L1과 TR을 통하여 흐를 수 있으며, 이는 회로동작에 필요한 에너지를 차단시간(t4)이 될 때까지 L1에 저장한다.
이 에너지는 리트레이스 구간의 개시(t4)때 편향회로에 공급되어서 손실을 보상한다. 이런 에너지 저장은 새로운 트레이스 구간의 개시(t1)에서 끝나게 된다.
반면에 편향전류는 시간 t3에서 0이 되며 이때, D2가 차단된다. 전류(I2)의 극성변화 때문에 제3 다이오드(Dd)는 도전상태가 되며, 편향 전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R)에 의해 인계된다.
이 전류는 트랜지스터(TR)의 전원기능으로부터 발생되는 콜렉터전류에 방해없이 중첩된다.
따라서 본 회로는 전원의 기능외에 편향의 기능이 확실시 된다.
이러한 기능은 시간 t2를 이동시킴으로써 영향을 받는다.
제어범위의 한계는 t1과 t3사이이다.
예를 들면 리트레이스 구간동안 다이오드(D2) 양단의 전압(UA)를 기준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t2에 대한 제어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리하여 간선전압과 비임전류가 변동하는 경우 편향의 안정화는 가능해진다.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다른 단에 안정화된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 필수적일 때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급전압은, 선변압기의 보조권선에서의 트레이스 정류에 의해서 얻어진다.
회로에서 이러한 단순한 가능성은 전원기능에 관련되어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제2a도에서 볼 수 있듯이 2차 전압(US)은, 편향회로의 플라이백펄스가 중첩된 구형파 전압으로 구성된다.
US의 트레이스 부분이 정류될 때, 제어의 의해 야기되는 듀티사이클(duty cycle) 변동 때문에 안정화된 직류전압은 얻어질 수가 없다. 이는 시간 t2와 t4사이에서 전압 (US)의 값이 전압(UB)의 값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플라이백 정류는 이러한 경우 실행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전도각(conduction angle)이 적기 때문에, 얻어진 전원전압의 허용할 수 없이 높은 내부저항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형파 전압이 두 다이오드(D1과 D2)의 양단에 교대로 나타낸다.
이러한 전압들은 플라이백 펄스를 포함하지 않으며, 제2c도는 전위분리를 위하여 장치된 변압기(T2)의 2차 권선(L5)에서의 전압변동(UN)을 보여준다.
이 변압기(T2)의 1차 권선(L4)은 콘덴서(C4)와 직렬연결되었으며, 이 직렬 연결은 다이오드(D1)를 분로시킨다.
콘덴서(C4)는 권선(L4)에 의한 다이오드(D1)의 직류회로를 방지하며, UN의 변동에 대한 영향을 방지할 만큼 충분히 큰 용량을 갖고 있다.
이 콘덴서(C4) 양단의 전압은 콘덴서(C3) 양단의 전압의 직류성분과 같으며, 그 성분은 전압 UA가 안정되면 따라서 안정된다.
권선(L4) 양단의 전압은 다이오드(D1) 양단의 전압과 콘덴서(C4) 양단의 전압과의 차이와 같게 되며, 다이오드(D1) 양단의 전압은 UA-US와 같다.
권선(C4) 양단의 전압(UN)은 제2c도에서 보여주는 변동을 가지며, 시간 t0와 t2사이에서는 콘덴서(C3) 양단의 전압의 안정화된 직류성분과 같다.
전압(UN)은 다이오드(DN)의 도움으로 정류되며, 콘덴서(CN)의 도움으로 평활된다.
정류된 전압(UL)은, 낮은 전압을 사용하는 장치의 부분, 예를 들면, 부하저항(RL)에 공급된다.
DN은 시간 t0와 t2사이에 전류가 통하도록 극성을 가져야 한다.
이때 정류된 전압이 편향 전압과 같은 범위까지 안정되며, 전압전원의 내부 임피던스가 낮게 되기 위하여 전도각은 크다.
변압기(T2)의 1차 권선(L4)은 제1도에서와 같은 D1에 연결된다.
이때 D1과 DN은 UN의 내부저항이 더욱 감소되도록 하기 위하여 동시에 도전한다.
같은 방법으로 C4와 L4의 직렬연결을 Dd와 병렬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압기(T2)는 높은 동작주파수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코어로서 구성되어질 것이다.
스위칭 특성(Dd와 D1이 교대로 도전됨)에 관해서는 구형파전압이 CK의 직류전압(전압 UB에 일치됨)보다 크게 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수상관의 플래쉬 오버(flash-over)의 결과로 과잉 전압은 이렇게 해서 방지된다.

Claims (1)

  1. 본문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상관과 같이 음극선관을 포함하는 장치에 대한 선편향회로에 관한 것으로, 이는 편향코일을 통하여 흐를 톱니파 전류를 발생시키는데, 편향코일은 트레이스 콘덴서, 리트레이스 콘덴서, 제1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병렬 공진회로의 한 부분을 이루며, 트레이스 구간의 첫부분 동안에는 전술한 제1 다이오드를 통하여 편향전류가 흐르고 트레이스 구간의 나중 부분 동안에는 제어 가능한 스위치, 즉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흐르며, 이 리트레이스 구간동안 직류전압전원으로부터 전술한 전원과 스위치 사이에 장치된 1차 권선으로 에너지가 공급되고, 리트레이스 구간동안 2차 권선으로부터 제2 다이오드를 통하여 병렬 공진회로로 에너지가 공급되며, 병렬공진회로는 트레이스 구간의 나중 부분동안 도전되는 제3 다이오드를 통하여 스위치에 연결되는 한편, 제2 또는 제3 다이오드가 콘덴서와 전류공급 변압기의 1차 권선과의 직렬연결에 의해 분로되며, 이 변압기는 정류작용 후 장치의 다른 단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에 대한 선편향 회로.
KR740001277A 1974-01-24 1974-01-24 음극선관의 선편향회로 KR80000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1277A KR800000845B1 (ko) 1974-01-24 1974-01-24 음극선관의 선편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1277A KR800000845B1 (ko) 1974-01-24 1974-01-24 음극선관의 선편향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845B1 true KR800000845B1 (ko) 1980-08-22

Family

ID=1919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1277A KR800000845B1 (ko) 1974-01-24 1974-01-24 음극선관의 선편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84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31923B2 (ja) 映像信号表示システム用偏向回路
US2896115A (en) Retrace driven deflection circuit for cathode ray tubes
US4593346A (en) Power supply circuit having two mutually independent outputs
US3912972A (en) Line deflection circuit for cathode-ray tubes
US4099101A (en) Circuit in a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for producing a sawtooth deflection current through a line deflection coil
JP2544720B2 (ja) 偏向巻線に偏向電流を発生させる装置
US2891192A (en) Sawtooth wave generator
US3912971A (en)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a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sawtooth deflection current
US4607195A (en) Pictur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circuit and a line deflection circuit
US4381477A (en) Circuit for a picture display device for converting an input d.c. voltage into an output d.c. voltage
KR800000845B1 (ko) 음극선관의 선편향회로
KR100239076B1 (ko) Crt 전극 전원용 전압 부우스터
US3381165A (en) Electronic circuit in which the operating voltage is obtained from the high voltage side of the circuit
US3920892A (en) Alternating current line voltage supply isolation using deflection system output transformer
KR900005363B1 (ko) 음극선관을 위한 수평 출력회로
KR100276494B1 (ko) 편향 회로 장치
US4572994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pictur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 sawtooth line deflection current
US5089756A (en) Deflection driver in a video apparatus
US4176302A (en) Vertical deflection output circuit
US3898523A (en) Line deflection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US3248598A (en) Deflection circuit
US4163179A (en) Circuit for providing saw-tooth current in a coil
US5087863A (en) Feedback arrangement in a deflection circuit
US3938004A (en) Deflection system
GB1590966A (en) Power supply arran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