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700B1 - 과주사 보호 편향장치 - Google Patents

과주사 보호 편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700B1
KR800000700B1 KR7600269A KR760000269A KR800000700B1 KR 800000700 B1 KR800000700 B1 KR 800000700B1 KR 7600269 A KR7600269 A KR 7600269A KR 760000269 A KR760000269 A KR 760000269A KR 800000700 B1 KR800000700 B1 KR 800000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scillator
terminal
deflection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챨스 피어 죤
Original Assignee
죤 부이 리간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부이 리간,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죤 부이 리간
Priority to KR7600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과주사 보호 편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과주사 보호회로를 사용한 편향장치의 회로도
제2a도 내지 제2h도는 제1도의 회로동작을 도시한 파형도
본 발명은 편향 장치에 의해 발생한 과전압 및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편향장치의 과주사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편향 코일용 주사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된 수직편향 장치와 같은 편향장치에서, 주사전류 파형에 대한 적절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수신된 동기 펄스에 의해 동기된 발진기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발진기는 평상시 자유 주행형으로, 동기 펄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동기펄스 주파수보다 약간 적게 조정된 자유주행 주파수를 가지므로 동기펄스가 존재하면 안정하게 동기화된다.
회로의 제조가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저항 및 캐패시터와 같은 회로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은 10퍼센트와 20퍼센트의 저항성 및 용량성 공차를 갖고 있다. 보통 이러한 소자를 사용하면 가변제어를 하여 편향파형의 주파수 및 진폭을 셋트시키기 때문에 어떤 문제도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변제어로서 비교적 광범위 제어를 하여 주어진 회로에서 소자의 공차변화를 보상시켜야 한다. 예를들면 60Hz의 정상 주파수를 갖는 수직비 편향 발진기의 자유주행 주파수범위가 40Hz보다 더 낮게, 또 80Hz 보다 더 높게 확장되어진다.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하는 50 또는 60Hz의 비교적 낮은 수직 편향비에서, 편향코일은 주로 편향증폭기로부터 얻어진 주사전류에 저항성 부하를 제공한다. 이 주사전류는 S형을 제공하도륵 부가된 어떤 비선형을 포함하는 선형 톱니파 파형으로, 수상판 화면상에서 볼수 있는 바와같이 선형 라스터를 확실하게 한다. 그러므로, 주사파형의 전압 및 전류는 실질적으로 시간과 더불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수직 발진기 주파수 또는 동기 제어소자가 잘못 조정되거나, 수상기에 어떤 결점이 있거나, 또는 이 양자가 동시 발생하였다면, 수직발진기는 주기들 사이의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더 낮은 주파수에서 자유주행상태로 동작되어지므로, 편향 증폭기에서 주사 파형전압 및 전류를 증가시킨다. 캐패시터와 같은 편향 증폭기 회로소자는 최상의 동작 조건하에서 만족되어지도록 선정된 최대 전압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과주사상태는 특정회로 소자의 더 높은 전압비를 필요로 하게되어 수상기 제조값을 비싸게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편향 과형 진폭 또는 크기, 제어가 최대전류 및 전압 주사파형을 제공하는 극대치로 조정된다면, 편향 증폭기내의 특정회로 소자도 과대하게 강하게 되어 더 높은 전압비 소자를 필요로 하게된다. 크기 조절 및 동기 조절이 주사파형의 전류전압을 증가시키도록 실수로 셋팅될 때 최악의 조건이 발생될 수 있다. 과주사 상태의 영향을 감소하기 위해 값싼 자동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향 장치 과주사 보호회로는 편향 증폭기에 결합된 발진기를 포함하며, 이 편향 증폭기는 주사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편향 권선에 순차로 결합된다. 편향 장치 출력회로에서 발생한 포물선형 전압은 발진기에 인가되어 주사 파형전류와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이 포물선형 전압의 진폭변화가 발진기의 주파수를 변화하도록 발진기 직류 동작전압에 겹쳐지고, 이에 의해 편향 권선에 결합된 주사파형의 피이크 전류및 전압을 변화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주사 보호 편향장치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즉 수직 점선의 왼쪽은 발진기 부분(10)과 기준 톱니파 회로이고, 수직점선의 오른쪽은 편향 증폭기 부분(70)이다.
발진기 부분(10)은 동기 펄스가 없을 때 자유주행 방식으로 발진하도록 결합된 두 개의 트랜지스터(16)와 (18)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16)의 에미터는 단자(60)에 결합되고, 콜렉터는 저항(24)를 통하여 단자(V2)로서 표시된 동작전위원에 결합된다. 단자(V2)는 저항(25)를 통해 단자(V1)으로 표시된 동작 전위원에 결합된다. (V1)은 대략 +20볼트DC이다. 저항(36)과 (37)의 값은 단자(60)에서의 전압이 대략 +10볼트가 되도록 선정된다. 그때에 단자(60)에 관련된 단자 V2에서의 전압은 대략 +10볼트이다. 트랜지스터(16)의 베이스 전극은 트랜지스터(18)의 콜렉터에 결합되고 저항(28)을 통해 단자(60)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18)의 에미터 전극은 캐패시터(29), 저항(21), 저항(22)의 접합부에 결합된다.
캐패시터(29)의 다른쪽 단자는 단자(60)에 결합되고, 저항(22)의 다른쪽 단자는 다이오드(23)을 통해 트랜지스터(16)의 콜렉터와 저항(15),(24),(17) 및 다이오드(33)의 접합부에 결합된다. 저항(21)의 다른쪽단자는 주파수 또는 동기 제어로서 작용하는 전위차계(20)을 통하여 캐패시터(19)에 결합된다. 저항(26)과 (27)은 단자(V2)와 (60)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다. 저항(26),(27),(17)의 값은 트랜지스터(18)과 (16)이 도전되지 않을 때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 전극에서 V2전압의 대략 2/3 정도의 바이어스를 제공하고 트랜지스터(16)과 (18)이 도전될 때에는 V2전압의 1/3 정도의 바이어스를 제공하도록 선정된다. 수직 편향비 동기 펄스원(11)은 발진기의 제1입력단자(12)에 결합되고 결합 캐패시터(13), 저항(14), 저항(15)및 저항(1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수평비 필터 캐패시터(30)은 단자(V2)와 (60) 사이에 결합된다. 저항(31), 크기 및 진폭제어 전위차계(32)와 캐패시터(35)는 단자(V1)과 (60)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다. 직렬로 결합된 저항(36)과 (37)을 포함하는 전압분배기는 단자(V1)과 접지간에 결합되고, 저항들의 접합부는 여기에 바이어스를 제공하기 위해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에 결합되고 또 결합 캐패시터(34) 및 다이오드(33)을 통해 트랜지스터(16)의 콜렉터 전극에 결합된다. 다이오드(33)와 캐패시터(34)의 접합부는 크기 제어기(32) 및 캐패시터(35)의 접합부에 결합된다.
증폭기 부분(70)은 의사상보 대칭 전력 증폭기로서 접속된 트랜지스터(43),(44), (45) 및 (46)과 증폭기단으로서 접속된 트랜지스터(38) 및 (41)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38)의 콜렉터는 저항(39)와 (40)을 통해 단자(V1)에 결합되고, 에미터는 코일(57)과 (58)을 포함하는 편향 권선과 병렬로 연결되어 서로 직렬로 결합된 저항(55),(56)의 접합부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41)의 베이스는 저항(39),(40)의 접합부에 결합되고, 에미더는 단자(V1)에 결합되고, 콜렉터는 다이오드(42)를 통해 트랜지스터(43)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또한 트랜지스터(43)의 베이스는 저항(47)과 (48)을 통해 -120볼트의 전위를 공급하는 단자(V3)에 결합된다. 저항(47),(48)의 접합부는 트랜지스터(46)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43)의 콜렉터는 단자(V1)에 결합되고, 에미터는 트랜지스터(44)의 베이스에 결합되고, 또 저항(51)을 통해 트랜지스터(46)의 에미터에 결합된다. 출력 트랜지스터 (44),(45)의 콜렉터 에미터 통로는 단자(V1)과 다이오드(53)의 애노드 사이에 직렬로 결합되고, 이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접지된다. 트랜지스터(46)의 콜렉더는 저항(49)를 통해 다이오드(54)의 애노드에 결합되고, 또 캐패시터(50)의 한 단자에 결합된다. 캐패시터의 또 다른 단자는 접지된다. 다이오드(53)은 트랜지스터(45)의 콜렉터-에미터간 전극 양단에 결합되고, 트랜지스터(44)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45)의 콜렉터의 접합에 의하여 형성된 출력단자는 다이오드(53)의 캐소드와, 저항(55) 및 편향코일(57)외 접합부와 트랜지스터(46)의 에미터에 결합된다. S형을 제공하도록 선정된 값을 가진 요오크 결합 캐패시터(69)는 단자(V1)과 공통단자(60)에 결합된다. 전류 귀환 저항(59)는 단자(60)으로부터 저항(56)과 편향 코일(58)의 접합부에 결합된다.
저항(62), (63), (67) 및 (72), 캐패시터(61),(65) 및 (66) 및 다이오드(64)를 포함하는 소거 및 그리드 바이어스 회로에서, 저항(62)의 한 단자는 다이오드(42)의 애노드에 결합되고, 저항(62)의 다른쪽 단자는 저항(48) 및 단자(V3)에 결합되어 있다.
동작할 때, 발진기(10)에 결합된 동기 펄스(11)은 트랜지스터(18)이 도전되게 하고, 저항(28)을 통하는 콜렉터 전류는 트랜지스터(16)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을 발생시키고, 4점의 전압이 캐패시터(29)의 충전결과로서 충분한 정의 전압으로 된다면 이 트랜지스터(16)을 도전시킨다. 그때에 타이밍 캐패시터(29)는 트랜지스터(18)을 통해 트랜지스터(16)의 베이스-에미터 접합부를 통해 방전하고, 또 저항(22) 및 다이오드(23)을 통하고 트랜지스터(16)의 콜렉터 에미터 통로를 통해, 단자(60)으로 방전된다. 동시에 톱니파 발생 캐패시터(35)는 다이오드(33)과 트랜지스터(16)의 콜렉터-에미터 통로를 통해 단자(60)으로 방전된다. 캐패시터(29)가 V2의 1/3로 방전될 때, 트랜지스터(18)은 트랜지스터(16)이 캇오프되도록 캇오프되고, 타이밍 캐패시터(29)는 V2공급원으로부터 저항(24)와 (15), 동기 제어기(20) 및 저항(21)을 통하여 단자(60)으로 충전된다. 캐패시터(29) 양단의 충전은 제2d도에 도시한 일반적인 톱니 전압파형으로 표시된다.
톱니파 기준 캐패시터(35)는 V1공급원으로부터 저항(31)을 통해 충전되고 출력단자로부터 저항(52) 및 크기 제어전위차계(32)를 통해 단자(60)으로 충전된다. 발진기(10)의 단자(B) 및 (C)에서의 전압은 제2e도와 제2f도에 파형 B 및 C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동작전압(V2)의 부분으로서 점 A, B, C에서의 전압치가 지시되어 있다. 파형 B는 단자(60)에 대해 저항(26),(27) 및 (17)에 의해 주어진 전압 분할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제2a도 내지 제2f도에 구간 T1-T4으로 도시된 귀선 구간 동안, 제2d도, 제2e도 및 제2f도는 트랜지스터(18) 및 (16)이 기간 T1-T2동안 동시에 도전된다는 것을 지시한다. 이 기간 T1-T2는 대략 700밀리세컨드 귀선 기간인 T1-T4중 대략 70밀리초를 나타낸다. 이 기간 T1-T2는 전체 귀선 시간까지 어느 때든지 선정되어질 수 있다.
인입동기 펄스(11)이 없을 때, 발진기(10)은 동기제어기(20)의 셋팅에 의해 제어된 비로 자유주행한다.
캐패시터(29)가 충전되고 단자(A)의 전압이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에미터 강하에 의하여 단자(B)의 전압을 초과할 때, 트랜지스터(18)은 도전되고, 트랜지스터(16)은 턴온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귀선주기를 시작하는 캐패시터 (35)를 방전한다.
캐패시터(19)는 발진기의 의사 트리거링의 가능성을 감소하기 위하여 인입 수직동기 펄스로부터 수평편향비 성분을 여과시키도록 사용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저항(25)와 캐패시터(30)은 발진기(10)의 의사 트리거링의 가능성을 감소하기 위하여 V1공급원으로부터 수평 편향비 성분을 여과하기 위해 필터회로를 형성한다. 저항(25)와 캐패시터(30)의 값을 선정할 때에는, 다음에 기술될 방법으로 +V2공급원에 이 성분들을 가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 회로망이 수직편향비 성분을 여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캐패시터(35) 양단의 충전전압이며, 진폭이 충전회로내의 크기 전위차계(32)의 조정에 의하여 제어되는 정행 톱니파는, 캐패시터(34)를 통해 결합되며, 저항(36)과 (37)의 접합부에서 발생하고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에 결합된 DC바이어스 레벨상에 겹쳐질다. 정행 톱니파형은 증폭기(70)이 시간 구간 T0-T1동안의 각각의 수직편향 주기의 전체 소인선 구간동안 코일(57)과 (58)을 통해 톱니파 전류를 구동하게 한다. 소인선 전류파형(제2b도)의 처음반 또는 부의 반은 트랜지스터(46)과 (45)가 도전되게하고, 트랜지스터(45)는 결합 캐패시터(69)의 저부측으로 부터 전류 귀환 저항(59), 편향코일(58),(57), 트랜지스터(45)를 통해 다이오드(54)의 애노드로 주사전류를 도전시킨다. 소인선 구간의 제2부분 동안, 트랜지스터(46),(45)는 캇오프되고, 제2a도의 파형에 유사한 다이오드(42)의 캐소드의 구동파형은 트랜지스터(43),(44)를 도전시켜서, 단자 V1에서의 정공급원으로부터 트랜지스터(44), 편향코일(57),(58) 및 저항(59)를 통해 결합 캐패시터(99)의 부의 단자로 흐르는 주사전류로 요오크를 통하는 전류를 반전시킨다.
T1에서의 소인선 구간 단부에서, 다이오드(33)과 트랜지스터(16)을 통하여 캐패시터(35)의 급방전으로 인해,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에서 톱니파 기준파형의 급격한 부의 전이는 트랜지스터(38)과 (41)의 도전을 정지시킨다. 즉 귀선 구간 T1-T4의 나머지 동안 지속하는 도전 상태를 정지시킨다. 트랜지스터(44)와 (45)가 모두 캇오프 되면, 요오크 전류가 캐패시터(50)의 부의 단자로 부터 다이오드(53)을 통하고 또 공진 형태로 편향권선(57)과 (58)을 통해 공급됨에 따라, 제2a도의 편향 요오크 전압파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 T1-T3동안 비교적 큰 부의 귀선 펄스가 형성된다. 다이오드(54)는 편향코일(57)과 다이오드(53)의 접합부에서의 전압이 접지에 대해 부로 되게하는 비접속 다이오드이다. T2에서 요오크전류는 영으로 떨어지고 캐패시터(50)은 대략 부의 피이크치로 충전된다. 이때 전류는 캐패시터(69)의 부의 단자로부터 소자(59),(58),(57),(45) 및 (46) 내지 (50)으로 반전하여 인입된다. T3에서 캐패시터(50)과 코일권선(57),(58) 사이의 공진 에너지교환의 반주기가 끝나고, 요오크 전류는 제2b도의 요오크 전류파형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거의 완전히 반전된다. 구간 T3-T4동안 다이오드(54)는 다시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요오크전류는 트랜지스터(45)와 다이오드(54)를 통해 접지로 흐른다. T3-T4동안 귀환 저항(59)를 통하여 지나가는 요오크 전류는 시간 T4에서 거의 부의 값으로 되고, 상승하는 베이스 전압에 관련하여 트랜지스터(38)의 에미터에서의 최종적인 부의 전압은 트랜지스터(38)과 (41)을 도전시켜서 다음 소인선 구간을 시작한다.
권선(57)과 (58) 양단에 결합된 저항(55)와 (56)은 수직코일(57)과 (58)에 의해 선정된 어떤 수평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38)의 에미터에 귀환을 제공하는 전압분배기를 형성한다.
수직 소거 펄스는 귀선 펄스 T1-T3에 대응하는 시간을 제외한 전체 귀선 구간 T1-T4동안 수상관 전극을 소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체 귀선 구간 소거는 다음 방법으로 제공된다. 소인선 구간동안, 트랜지스터(41)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전되고, 그 콜렉터 전류 부분은 저항(63)과 다이오드(64)를 통해 접지로 흐르고, 약간 높은 접지 전위에서 다이오드(64)와 캐패시터(65)의 접합부를 크램프시킨다. T0--T1으로부터, 소거파형(71)의 전압레벨은 V4와 접지사이에 결합된 저항(67)과 (72)로 구성된 전압분배기의 접합부에서 발생한 전압에 의하여 결정된다. 귀선 구간의 시작점 T1에서, 트랜지스터(41)은 상기 서술한 바와같이 캇오프되고, 귀선 구간 T4의 단부까지 계속 캇오프된다. 콜렉터 전류는 흐르지 않고, 부의 전압은 V2공급원으로 부터 저항(62),(63)과 캐패시터(65)를 통하여 단자(68)에 인가된다. 이 부의 전압은 소거를 제공하고, 증폭이 출력단자와 트랜지스터(43)의 베이스에 나타나는 귀선 전압보다 더 부로되도록 선정된다.
그러므로, T1-T4동안 다이오드(42)는 출력전압을 소거전압으로부터 차단시키고, 이에 의해 전체 귀선시간 T1-T4동안 선정된 부의 값으로 단자(68)에서의 소기전압을 유지한다. 캐패시터(66)은 키네스코프전극에 존재하는 어떤 수평비 에너지를 통과시키는 필터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크램핑 다이오드(64)와 소거 다이오드(42)의 귀선 회로내의 작용은 깨끗한 전체 폭과 일정 진폭소인선 펄스를 제공한다.
캐패시터(69)는 편향 코일 전류의 S형 보정을 제공하는 값으로 선정되고, 또한 접지에 대해 단자(60)에서 대략 4볼트 피크-투-피크 부행포물선 전압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작은 값으로 선정된다. 단자(60)은 접지되지 않고, 발진기 단(10)의 공통 귀환 버스(bus) 이다. 그러므로, 발진기 양단의 동작 전압은 단자(60)에 대한 단자 V2에서의 전압이다. 단자(60)에서의 동작전압의 DC성분은 저항(36),(37)을 포함하는 전압분배기에 의해 결정되며, 부의 DC귀환에 의해 단자(60)으로부터 트랜지스터(38)의 에미터에서 유지된다. 저항(25) 양단에서 강하된 V1전압량은 작고, V1상에서 어떤 수평픽업을 필터하기에 충분하다. 단자(60)에 대한 단자 V2전압은 제2c도에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V2는 단자(60)에서 V2에 나타난 정행포물선 파형에 따른 시간과 함께 변한다.
발진기의 정상 동기화 동작은 상기에서 서술하였다. 동기펄스(1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진기는 동기 제어기(20)에 의해 제어된 주파수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자유 주행하게 된다. 성분의 허용 오차는 낮은 자유 주행 주파수에 대해 선정되어지고, 동기 제어기에서 자유 주행 주파수가 정상 동기화 주파수보다 상당히 낮도록 셋트된다고 가정하면, 증폭기 출력단에서 발생한 주사파형 전압과 전류는 자유 주행 주파수에 역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단자(60)에서 발생한 피크-투-피크 포물선 전압은 유사한 방법으로 증가하고, 발진기의 동작전압(V3)도 이 종가에 영향을 주게된다. 이러한 조건은 제2g도의 파형으로 도시되어있으며, 여기에서 곡선(V2)와 (B)는 발진기의 단자(V2)와 (B)에서 정상 전압조건을 지시하고, 점곡선(V2′)와 (B1)는 바람직하지 않게 고주사 전류조건을 만드는 낮은 주파수 조건동안 이들 단자의 전압을 지시한다. 제2g도에서, 파형(B)는 정시점에서 생각될 수 있는 귀선 구간이 T1에서 시작하는 것을 지시하고, B에서의 발진기 절압은 A점에 대해 0.7볼트 부(負)이다. 이 조건은 부행 동기 펄스가 B점을 이 레벨로 만들 때나, 동기가 없고 캐패시터(29)가 A점을 이 조건으로 올리도록 충분히 정으로 충전될 때, 또는 본 발명에 따라서 V2의 포물선 성분이 B점을 트랜지스터(18)의 도전점으로 떨어뜨릴 때 발생할수 있다.
동기의 부존재 및 낮은 자유주행 주파수에 의하여 야기된 더 높은 전압 조건으로서, T1에서 곡선(B′)의 전압은 발진기를 트리거하는데 요하는 레벨(TL)까지 감소되지 않으며, 새로운 소인선 귀간은 T1′까지 끝나지 않는다. 그러나 증가된 피크-투-피크 포물선 전압성분(B′)는 소인선 구간동안 시작점과 단부에서 더 깊은 상승 및 하강 부분을 갖는다. 이 감소로서 전압파헝(B′)는 T′ 전에 발생되는 시간 T1″점에서 트리거 레벨 TL에 도달한다. T1″에서, 트랜지스터(18)과 (16)은 소인선구간을 시작하기 위하여 도전된다.
T1′에 관련된 초기조건은 주사전류의 결과적인 감소와 함께 발진주파수를 증가시키므로, 피크 귀선전압이 감소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증폭기 출력회로내의 탄탈륨(tantalum) 캐패시터(50), 트랜지스터(43) 및 (44)와 같을 회로소자는 비정상 미조정 조건동안에 과전압 강도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 보호배열은 최종적인 제조비를 절감시키는 다소 저렴한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고, 고전압 성분들의 안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과전압 및 전류조건은 크기 전위차계(32)가 부정확하게 조정될때 존재할 수 있다. 이 조건은 제2h도에서 점곡선(V2′)와 (B′)로 도시되어 있다. 정상적인 발진주파수는 T0로부터 T1까지 확장되는 소인선 기간을 초래한다. 그러나, 더 큰 주사전류에 의해 야기된 단자(60)에서의 더 큰 포물선 전압성분은 제2h도에 전압파형(B′)로 도시된, 단자(B)에서의 결과적인 더 큰 포물선 전압과 함께 V2′상의 더큰 진폭 포물선 성분을 초래한다. 이 증가된 진폭 포물선 파형(B′)는 더 급한 하강 종단부를 갖고 있으므로, T1전에 발생하는 시간 T1″에서 발진기 트리거링 레벨(TL)에 도달한다. 이것은 트랜지스터(18)와 (16)이 T1″에서 도전되도록 하고 귀선을 시작하게 한다. 이 증가된 동작주파수는 주사전류를 감소시키므로, 편향증폭기 내의 기준 성분의 전압비 감소와 함께 귀선 전압파형을 감소시킨다. 과도하게 낮은 주파수 조건과 과도하게 큰 크기 조건이 동시에 발생한다면,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의 보호 효과가 작용한다. 또한 자동적으로 보호회로가 과주사 조건을 감소하도록 작용하므로, 이 효과는 이 조건이 보정되어질 때 자동적으로 감소된다.
제1도에서 사용한 회로 소자값은 다음표와 같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톱니파 파형을 만들기 위한 발진기와, 편향권선과, 일반적으로 톱니파 주사전류를 상기편향 권선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톱니파 파형에 응답하고 상기 발진기 및 상기 편향권선에 결합된 증폭기를 포함하는 편향장치 과주사 보호회로에 있어서, 특히 상기 편향권선(57,58)로부터 이 권선을 통하는 주사 전류량에 비례하는 포물선 전압 파형을 얻기위한 발생장치(69)와, 상기 포물선 전압이 상기 발진기(10)의 주파수를 변화시켜 상기 주사전류의 피크진폭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발진기(10)의 직류 동작 전압(V2)상에 상기 포물선 전압을 겹치게하기 위해 상기 포물선 전압을 상기 발진기(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25,60)을 특징으로 하는 과주사 보호 편향장치.
KR7600269A 1976-02-05 1976-02-05 과주사 보호 편향장치 KR800000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269A KR800000700B1 (ko) 1976-02-05 1976-02-05 과주사 보호 편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269A KR800000700B1 (ko) 1976-02-05 1976-02-05 과주사 보호 편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700B1 true KR800000700B1 (ko) 1980-07-21

Family

ID=1920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269A KR800000700B1 (ko) 1976-02-05 1976-02-05 과주사 보호 편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70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8588B (fi) Oest-vaest-korrigeringskrets.
US4329729A (en) Side pincushion modulator circuit with overstress protection
KR920005869B1 (ko) 동-서 핀쿳션 보정 수평편향회로
JP3617669B2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US4906902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ed deflection circuit
US3863106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CA1185362A (en) Start-up circuit for a power supply
US5428272A (en) Voltage regulator for CRT electrode supply
US3881135A (en) Boost regulator with high voltage protection
US3936115A (en) Start-up circuit for a deflection system
KR800000700B1 (ko) 과주사 보호 편향장치
KR940008799B1 (ko) 선형 보정 편향 회로
KR0137274B1 (ko) 비디오 표시장치의 수직 편향회로
JPS6363284A (ja) ライン偏向回路
KR100239076B1 (ko) Crt 전극 전원용 전압 부우스터
KR880008623A (ko) 수직 톱니파 발생기
US4794307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for a deflection circuit
US4686431A (en) Line output circuit for generating a line frequency sawtooth current
EP0370660A2 (en)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US3940661A (en) Deflection system with overscan protection
JP3120850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の電源
GB2037033A (en) Switching regulator
EP0266996B1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KR880000906B1 (ko) 텔레비젼 표시장치
KR830000926Y1 (ko) 텔레비죤 표시장치용의 스위칭 조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