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412B1 - 세팔로스포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팔로스포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412B1
KR800000412B1 KR7500399A KR750000399A KR800000412B1 KR 800000412 B1 KR800000412 B1 KR 800000412B1 KR 7500399 A KR7500399 A KR 7500399A KR 750000399 A KR750000399 A KR 750000399A KR 800000412 B1 KR800000412 B1 KR 800000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compound
acid
re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휴버어트 벤트리 피이터
피이터어 크레이튼 죤
Original Assignee
로늘드 스미자아
비이참 그루우프 리미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늘드 스미자아, 비이참 그루우프 리미팃드 filed Critical 로늘드 스미자아
Priority to KR750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501/24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hetero rings, attached in position 3
    • C07D501/26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Lactones thereof with the 2-carboxyl group
    • C07D501/34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Lactones thereof with the 2-carboxyl group with the 7-amino radical acylated by carboxylic acids containing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501/24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hetero rings, attached in position 3
    • C07D501/26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Lactones thereof with the 2-carboxyl group
    • C07D501/30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Lactones thereof with the 2-carboxyl group with the 7-amino-radical acylated by an araliphatic carboxylic a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팔로스포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세팔로스포린의 프탈리딜 및 치환된 프탈리딜 에스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에스텔은 구강경로에 의해 혈장내로 흡수되어 여기서 가수분해되어 모체인 항균활성 세팔로스포린을 방출하기 때문에 매우 가치있다.
본 발명에 의해 구조식(I)의 세팔로스포린 에스텔과 그의 의약용 산부가염이 제공된다.
Figure kpo00001
위 식에서,
R 은 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3,4-디하이드록시페닐, 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 2-또는 3-티에닐 또는 디하이드로페닐기이고,
X는 아세톡시 카바모일옥시 또는 헤테로시클릭 티오기이고
R1과 R2는 수소 또는 메톡시기이며,
단, R1과 R2가 둘 다 수소이고, X가 아세톡시기이면 R은 페닐기가 아니다.
구조식(I)의 화합물의 적당한 산부가염으로는 예를들면, 설페이트, 나이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보레이트 및 하이드로할라이드(예 ;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및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와 같은 무기염 및 아세테이트, 옥살레이트, 타트레이트, 말레이트, 시트레이트, 석시네이트, 벤조에이트, 아스코베이트 및 메탄설포네이트와 같은 유기염이 있다.
X기는 그중에서도 헤테로시클릭 티오기이다.
특수한 X기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바람직하게는, X기는 (2-메틸-1,3,4-티아디아졸-5-일) 티오, (1-메틸-(lH)-1,2,3,4-테트라졸-5-일) 티오 ,(2-메틸-1,3,4-옥사디아졸-5-일) 티오, 또는(1H-1,3,4- 트리아졸- 5-일)티오이다.
구조식(I)의 화합물은, 구조식(Ⅱ)의 화합물 또는 그의 반응성 에스텔화 유도체를 구조식(Ⅲ)의 화합물 또는 그의 반응성 에스텔화 유도체와 함께 반응시킨 다음, 필요에 따라서는 (i) △2이성체를 요구되는 △3이성체로 전환시키고(ii) 아실 측쇄내의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한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위식에서,
R, X, R1및 R2는 상기한 것과 같고,
아미노 및 하이드록시와 같은 반응성기는 보호된다.
상기한 화합물(Ⅱ) 및 (Ⅲ)에 관한 반응성 에스텔화 유도체는 구조식(I)의 화합물과 반응했을 때 구조식(I)에 에스텔 결합을 형성시키는 (Ⅱ) 및 (Ⅲ)의 유도체를 뜻한다. 많은 에스텔화 방법이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상기한 에스텔화 반응은 구조식(Ⅱ)의 N-보호된 세팔로스포란산 또는 그의 염을 3-할로프탈리드 또는 3-할로-5,6-디메톡시프탈리드와 함께 반응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적당한 염의 예로는 나트륨 또는 칼륨과 같은 알카리 금속염, 또는 트리에틸암모늄과 같은 트리알킬암모늄염이 있다.
이와같은 경로에서는 에스텔화 반응전에, 화합물(I)의 측쇄내의 α-아미노기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α-아미노벤질 페니실린 또는 α- 아미노벤질 세팔로스포란산의 합성에 대해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어떠한 아미노 보호기도 적당하다.
보호된 아미노기의 예로는 아실화 반응 후 간단한 중화에 의해 유리아미노기로 전환될 수 있는 프로톤공여 아미노기(NH3 +) ; 다음에 촉매 수소화에 의해 NH2로 전환되는 t- 부틸옥시카보닐, 벤질옥시 카보닐 아미노기 또는 치환된 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기; 및 아실화 반응 후 온화한 산 가수분해(에스텔기의 가수분해는 알카리성 조건하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알카리성 가수분해는 일반적으로 유용하지 않다)에 의해 아미노기를 재생하는 여러가지의 기가 있다.
온화한 산가수분해에 의해 NH2로 전환되는 보호된 아미노기의 예로는 구조식(Ⅳ)의 엔 아민 또는 그의 토오토머 이성체와, 구조식(V)의 α-하이드록시아릴리덴 또는 그의 토오토머 이성체가 있다.
Figure kpo00007
위 식에서,
R3는 저급알킬기이고,
R4는 수소원자이거나 또는 R3와 함께 카보시클릭 환을 형성하고
R5는 저급알킬, 아릴 또는 저급알콕시기이며,
점선은 수소 결합을 표시한다.
Figure kpo00008
위 식에서,
Z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젠 또는 나프탈렌환의 잔기를 표시하고
점선은 수소결합을 표시한다.
에스텔화 반응 후 NH2로 전환될 수 있는 보호된 아미노기의 예로는 아지도기가 있다.
이 경우에 NH2로의 최종적인 전환은 촉매수소화 또는 전기분해적 환원에 의해 수행한다. 또는 아미노기는 후에 환원에 의해 아미노기로 전환되는 니트로기로서 보호된다.
상기 공정에서는 에스텔화 반응에 의해 2중 결합이 세펨핵의 2 위치로 변이 되기 때문에 2-세펨과 3-세펨 이성체의 혼합물이 생성된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혼합물을 설폭사이드로 산화시킨 다음 환원시킴으로써 2-세펨/3-세펨 혼합물을 3-세펨 이성체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것은 물로 2-세펨으로부터 3-세펨을 제조하는 표준 방법이다. 이와같은 한가지 방법은 트리페닐포스핀과 염화아세틸로 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구조식(Ⅵ)의 화합물을 구조식(Ⅶ)의 산의 반응성 N-아실화 유도체와 함께 반응시킨 다음, 필요에 따라서는 다음 단계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수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i) △2이성체를 요구되는 △3이성체로 전환시킨다.
ii) 설폭사이드 화합물을 환원시켜 요구되는 설파이드 화합물을 형성시킨다;
iii) 아실 측쇄내의 보호기를 제거한다.
Figure kpo00009
위식에서,
점선은 2-또는 3-위치에서의 결합을 표시하고,
n은 0 또는 1이다.
Figure kpo00010
위 식에서,
R, R1,R2및 X는 상기한 것과 같고,
아미노 및 하이드록시 기와 같은 반응성기는 보호된다.
상기 방법에서는 산(Ⅶ)의 반응성 N-아실화 유도체를 사용한다. 반응성 유도체의 선택은 산의 치환기의 화학적 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적당한 N-아실화 유도체로는 산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산클로라이드, 또는 혼합무수물이 있다. 이 목적에 특히 편리한 혼합무수물은 알콕시포름산 무수물이다.
산(Ⅶ)의 또 다른 N-아실화 유도체는 활성화된 에스텔이다. 이와같은 활성화된 에스텔, 예를들면 1-하이드록시 벤즈트리아졸 또는 N-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와 함께 형성된 에스텔은 산을 카보디이미드, 바람직하게는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의 존재하에 적당한 하이드록시 화합물과 함께 반응시킴으로써 제위치에서 제조할 수 있다.
산(Ⅶ)의 다른 반응성 N-아실화 유도체로는 제위치에서 카보디이미드 또는 카보닐디이미다졸과 함께 반응하여 형성된 반응성 중간체가 있으나, 반합성 폐니실린의 제조에 관한 문헌에는 6-APA로 커플링하기에 적당한 산의 다른 반응성 N-아실화 유도체의 예(예:산아지드)가 기재되어 있다.
공지된 N-보호기 중 어느 것드 사용할 수 있다(특히-부톡시카보닐기).
X가 헤테로시클릭티오기인 구조식(I)의 화합물은 구조식(I)의 상응하는 3-아세톡시메틸 화합물(즉, X=아세톡시)로 부터 아세톡시기를 친핵성 치환 티올로 치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X가 카바모일옥시기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상응하는 3-하이드록시메틸 화합물로부터 하이드록시기를 카바모일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에서는, 구조식(Ⅷ)의 화합물을 구조식 R6NCO(R6는 화합물(Ⅷ)와의 반응생성물로부터 온화한 조건하에 제거되어 화합물(I)을 형성하는 기)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함께 반응시킨 다음, 필요에 따라서는 다음 단계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수행한다.
(i) △2이성체를 요구되는 △3이성체로 전환시킨다;
(ii) 설폭사이드 화합물을 환원시켜 요구되는 설파이드 화합물을 형성시킨다;
(iii) 아실 측쇄내의 보호기를 제거한다.
Figure kpo00011
위 식에서,
점선은 2-또는 3-위치에서의 결합을 표시하고,
n은 0 또는 1이고,
R, R1및 R2는 상기한 것과 같으며, 반응성기는 보호된다. 구조식 R6NCO의 화합물의 적당한 예로는 트리메틸실릴이소시아네이트, β,β,β-트리클로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및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가 있으며 후자의 것이 바람직하다. .
구조식(Ⅷ)의 중간체는 상응하는 3-아세톡시메틸세펨 [(1), X=OCOCH3]에 시트러스아세틸 에스테라제와 같은 에스테라제를 작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 화합물의 제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1]
프탈리딜 7-(2-티에닐아세트아미도)-세팔로스포라네이트(에피머 A와B)방법(a)
무수 D. M. F.(850ml) 내의 소디움 7-(2-티에닐아세트아미도)-세팔로스포라네이트(104:5g, 0.25몰)의 교반현탁액에 0-5℃에서 3-브로모프탈리드(53.2g, 0.25몰)를 가했다. 20℃에서 65분간 방치시킨 후 거의 맑은 용액을 얼음물(12ℓ)에 가하고 침전된 고체를 모아 2% NaHCO3용액과 물로 세척하고 건조 및 증발시킨 다음, 조생성물을 수성메타놀로부터 재침전시키고 메타놀에서 15분간 환류했다. 냉각시킨 후 불용성 에피머 A(19.0g, 15%)(융점 : 172-5°)가 얻어졌다. 융점이 175.8℃ 이고 [a]D 25=-40.8°(C=0.72,아세톤)인 분석 샘플을 메타놀로부터 2번 결정화시켰다.
Figure kpo00012
1780(b), 1735, 1670, 1530, 1230, 975cm-1; 272.5nm(ε,8150) 및 280nm(ε,7600)
(쇼울더), δmax(CDCl3: 2.10)(S, 3H, CH3) 3.51 및 3,56(ABq, 2H,-S-CH2의 주피크), 3.88 (S, 2H, -CH2CO), 4.96(d, J=4.7Hz, C6-H) 및 5.03, 5.12(ABq,-CH2-O의 주피크)(모두 3H ), 5.85(q, J6.7-4.7Hz, J7, NH-9Hz, 1H, C7-H), 6.52(d, 1H, NH ), 7.0-8.1(m, 8H, Ar-H 및 -O-CH-O-).
실측치 C, 54.62;H, 3.91;N, 5;13 ;
이론치 (C24H20N2S2O8(528)에 대한) ; C, 54.54; H, 3.81; N, 5.30%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모액은 더 많은 양의 프탈리딜에스텔을△3와 △2이성체의 혼합물로서 포함했다. △3-이성체는 다음과 같이 산화-환원시킨 후 분리했다.
(i) 프탈리딜 7-(2-티에닐아세트아미도)-세팔로스 포라네이트 설폭사이드
프탈리딜 7-(2-티에닐아세트아미도) 세팔로스포라네이트와 그의 △2이성체(14.4g)의 혼합물을 0-5℃에서 알콜이 포함되지 않은 클로로포름(230ml)이 용해시킨 다음, 클로로포름(97ml) 내의 3-클로로퍼벤조산(5.09g)의 용액을 15분간에 걸쳐 가했다. 25℃에서 5시간 동안 방치시킨 후 용액을 N-NaHCO3와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메타놀(100ml)과 함께 1시간동안 환류한 다음 요구되는 설폭사이드(10.3g, 70%)를 수집했다.
Figure kpo00013
1790(b), 1740, 1680, 1515, 1230, 1050, 975cm-1;
Figure kpo00014
275nm(ε,8220) ; δ[(CD3)2SO] 2.04(s,3H,CH3), 3.8 및 3.93(ABq, C2-H의 주피크) 및 3.87(s,CH2CO)(모두 4H), 4.8 및 5.1(ABq, CH2O의 주피크)과 4.87, 4.96(d, J=4, C6-H)(모두 3H), 5.9(m,4선, J7, NH=8, J 6,7=4.1H, C7-H), 7.0-8.0(m,8H,Ar-H 및 O-CH-O) 및 8.4(d, J =8,NH).
실측치 C, 52.6;H, 3.7;N, 5.0;
이론치 (C24H20N2O9S2(544)에 대한); C, 52.9H, 3.7 N, 5.1%
(ii) 설폭사이드의 환원
설폭사이드(7.5g, 13.8몰)를 D.M.F (60ml)에 용해시킨 다음 0=5℃에서 트리페닐포스핀(7.2g)과 염화아세틸(3.4ml)로 처리했다.
Figure kpo00015
시간 후 연노랑색 용액을 추가량의 트리페닐포스핀(1.8g)으로 처리하고
Figure kpo00016
시간동안 교반했다. 얼음물(300ml)과 N-NaAHCO3(100ml)를 가한 다음 혼합물을 초산에틸로 추출했다(3번).
이 추출액을 물과 함께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키고, 생성된 갈색잔류물을 에텔과 함께 여러번 분쇄시켜 과량의 트리페닐포스핀을 제거했다.
불용성 잔류물을 메타놀에 용해시키고 활성화 목탄으로 탈색시킨 다음 여과액을 결정화시켰다. 냉동시킨 후 불용성 고체(3.1g) 수집하고 액체에 물을 가한 결과 제2 생성물이 얻어졌다. 합친 물질을 에텔과 함께 분쇄시켜 잔류의 트리페닐-포스핀을 제거한 결과 요구되는 에스텔(4.2g, 58%)이 에피머 A와 B의 혼합물로서 얻어졌다.
방법(b)
2염화메틸렌(30ml) 내의 7-(2-티에닐아세트아미도) 세팔로스포란산(나토륨염 2.1g, 5m 몰로부터), 프탈알데히드산(0.75g) 및 디시클로헥실카보디아미드(1.03g)의 용액을 제조했다. 0-5℃에서 4시간 동안 방치시킨 후 불용성 고체를 여과하고 여과액을 NaHCO3와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 및 증발시켰다. 메타놀로부터 결정화시킨 후 잔류물을 크로마토크라피시킨 결과 융점이 169-171℃이고 [α]D 25+ 43.4(C, 0.94, 아세톤)인 에피머 B(0.54g, 20%)가 얻어졌다. δ(CDCl3) : 2.06(S, 3H, CH3) 3.47 및 3.53(ABq, 2H, S-CH2의 주피크) 3.87(S, 2H, CH2CO), 4.7-5.3(d와 ABq, 3H, C6-H및 CH2O), 5.85(dd, 1H, C7-H), 6.6(d, NH), 7.0-8.0(m,8H,ArH 및 O-CH-O).
실측치 C, 54.4; H, 3.9; N, 5.3
이론치 (C24H20N2S2O8에 대한); C, 54.5;H, 3,8; N, 5.3%
[실시예 2]
(a) 프탈리딜 7-D-α-t-부틸옥시카보닐아미노페닐아세톤아미도-3-(2'-메틸-1',3',4-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 세프-3-엠-4-카복실레이트
7-D-α-t-부틸옥시카보닐페닐아세트아미도-3-(2'-메틸-1',3',4'-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 세프-3-엠-4-카복실산(3.00g)을 0-5℃에서 무수 DMF (30ml)에 용해시키고 Et3N(0.96ml)으로 처리한 다음, DMF(10ml)에 용해된 브로모프탈리드(1.62g)를 가했다. 0-5℃에서 30분, 20℃에서 1시간동안 방치시킨 후 용액을 물(800ml)에 쏟아부었다. 침전된 고체를 물로 잘 세척한후 초산에틸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을 중탄산나토륨과 물로 세척하고 건조 및 증발시켰다.
EtAc-페트롤로부터 침전시킨 결과 요구되는 에스텔이 담황색 고체(2.3g, 47%)로서 얻어졌다.
이 물질을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했다.
Figure kpo00017
3380, 1785(b), 1700(쇼울더), 1690, 1485, 1160, 980cm-1.
Figure kpo00018
228nm(ε, 18590)과 268nm(ε, 12620). δ(CDCl3) 140(S,9H,Bu-H), 2.71(S,3H, 티아디아졸릴-CH3), 3.5-4.4(m, 모두 4H, S-CH2) 4.9(d), 5.2(m), 및 5.7(m)(Cα,C6및 C7-H), 7.3-8.0(m,Ar-H, 0-CH-0 및 NH).
(b) 프탈리딜 7-D-α-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도-3-(2'-메틸-1', 3', 4'-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 세프-3-엠 -4-카복실레이트
t-부톡시카보닐 유도체(1.50g)를 0-5℃에서 98%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5ml)으로 1시간 동안 처리하고, 이때 용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텔과 함께 분쇄시킨 결과 순수한 TFA염(1.4g)이 얻어졌다.
Figure kpo00019
3400-2600, 1785(b), 1700(쇼울더), 1675, 1620, 1540, 1190, 1140, 980cm-1.
Figure kpo00020
227nm(ε, 16690) 및 268nm(ε, 12020).
TFA염을 중화시킨 결과 유리아미노에스텔이 생성되었다.
[실시예 3]
(a) 프탈리딜 7-(D-α-t-부틸옥시카보닐아미노-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도)-세팔로스포라네이트
무수 T. H.F(30ml)와 CH2Cl2(5ml)) 내에서 -10°~15℃에서 t-부틸옥시카보닐-D-p-하이드록시페닐글리신(2.53g, 9.50m 몰), 트리에틸아민(1.33ml, 9.59m 몰) 및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1.24ml, 9.50m 몰)로부터 혼합무수물을 제조했다. 이 온도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트리에틸아민(1.33ml)을 포함하는 CH2Cl2(935ml) 내의 ACA 프탈리드 에스텔하이드로클로라이드(4.18g, 9.50m 몰)의 용액을 온도를 -10℃이하로 유지하면서 5분간에 걸쳐 소량씩 가했다. 반응은 통상적 방법으로 수행했다. 초산에틸-페트롤에텔로부터 침전된 조생성물(4.81g, 78%)을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시켜 오염 프탈리드-7-이소부틸옥시카보닐-p-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도 세팔로스포라네이트로부터 정제했다. 융점이 126-131℃(분해)인 요구되는 에스텔(2.5g)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졌다.
Figure kpo00021
3380, 3300, 1780, 1740, 1685, 1495, 1365, 1220, 980cm-1.
Figure kpo00022
230nm(C, 20, 860) 및 273nm(ε,9170). δ[(CD3)2SO] 1.38(S,9H, Bu-H), 2.0(S,3H,CH2,CO), 3.56,(bs,2H, S-CH2), 4.6-5.3(m, ~4H, Cα-, C6-및 OCH2), 5.7(m,1H,C7-H), 6.6, 6.75, 7.16 및 7.3(dd,4H,p-HO-C6H4), 7.5-8.1(m,5H, O-CH-O 및 프탈리드-H). 9.0(m, ~2H,NH) 및 9.32(S, 1H, OH).
실측치 : C, 56.1 : H,4.8 : N, 6.1 ;
이론치 (C31H31N3O11S (654)에 대한) ; C, 56.9 : H, 4.8 : N, 6.4% ;
(b) 프탈리딜 7-(D-α-아미노-p-하이드록실페닐아세트아미도)-세팔로스포라네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상기 유도체를 98%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수용액으로 1시간에 걸쳐 처리하여 보호 t-부틸옥시카보닐기를 제거했다. 요구되는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융점 : 144-8℃, 분해)가 무정형 고체로서 92% 수율로 얻어졌다.
Figure kpo00023
232nm(ε20,625) 및 273nm(ε,8740).
δ[(CD3)2SO] 2.02(S,3H,CH3CO), 3.6(bs,2H, S-CH2), 4.7-5.2(m,∼4H, Cα-, C6-및 O-CH2) 5.8(m, 1H,C7-H), 6.75, 6.9, 7.3 및 7.4(dd,4H,p-HO-C6H4). 7.5-8.1(m,-O-CH-O 및 프탈리드-H 및 OH) 8.7(m,3H,NH3 +) 및 9.5(m,NH).
실측치 : C, 47.8 : H, 3.6 : N, 5.7
이론치 (C28H24N3O11SF32H2O에 대한)C, 47.8 : H, 4.0 : N, 6.0%
[실시예 4]
실시예 1,2 및 3과 동일한 공정에서 3-브로모프탈리드를 3-브로모-5,6-디메톡시프탈리드를 치환하여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합물이 얻어진다.
5',6'-디메톡시프탈리딜 7-(2-티에닐아세트아미도) 세팔로스포라네이트
5',6'-디메톡시프탈리딜-7-아미노세팔로스포라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5',6'-디메톡시프탈리딜세팔로글리시네이트
5',6'-디메톡시프탈리딜 7(D-α-아미노-P-하이드록시 페닐아세트아미도) 세팔로스포라네이트
5',6'-디메톡시프탈리딜 7[D-α-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도-3-(2-메틸-1',3',4'-티아락솔-5-일)티오메틸] 세프-3-엠 -4-카복실레이트
[실시예 5]
(a) 프탈리딜 7-D-α-t-부틸옥시카보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도-3-(1'-메틸-1'-H-데트락솔-5'-일 티오메틸) 세프-3-엠-4-카복실레이트
소디움 7-D-α-t-부틸옥시카보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도-3-(1'-메틸-1'-H-테트락솔-5'-일 티오메틸) 세프-3-엠-4-카복실레이트(2.4g, 4.1m 몰)를 무수 DMF(30ml)에 교반한 다음 얼음으로 냉각하면서 브로모프탈리드(0.85g, 4m 몰)을 가했다. 20℃에서 3시간 동안 방치시킨 후 혼합물을 얼음물(300ml)에 쏟아붓고 고체를 수집했다. 후자의 초산에틸 용액을 묽은 중탄산나토륨과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 및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초산에틸-페트롤로부터 침전시킨 결과 요구되는 에스텔(2.0g, 74%)이 얻어졌으며, 이것은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되었다.
Figure kpo00024
270nm(C,7750);
Figure kpo00025
3400, 1790, 1740, 1700(b), 1495, 1165, 980cm-1.
또한 조생성물은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3-에피머로 분리될 수 있다.
(b) 프탈리딜 7-D-α-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도-3-(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오메틸)세프-3엠 -4-카복실레이트
상기 t-부틸옥시카보닐 유도체(2.5g, 3.6m 몰)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5ml)과 함께 10℃에서 0.75시간 동안 교반했다. 이것을 증발시킨 후 잔류물을 무수에텔과 함께 분쇄시킨 다음, 표제화합물(2.48g, 97%)의 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수집하여 에텔로 잘 세척했다. 생성물은 생크로마토그라피상에서 Rf=0.85(n-부타놀-에타놀-물 내에서)에서 한개의 주대역을 나타냈다.
Figure kpo00026
1785, 1680, 1200cn-1. δ(DMSO) 3.4-4.1(m,2H, C2-H) ; 3.77 및 3.92(2S,3H, 테트라졸릴-CH3), 4.1 0 4.6(m,2H,CH2S), 4.8-6.1(m,3H,C6,C7및 Cα-H), 7.2-8.2(m,10H,Ar-H+OCHO). 8.9(bs,3H, NH3 +), 9.4-10.0(m,NH):
Figure kpo00027
270nm(ε,7,410).
[실시예 6]
(a) 프탈리딜 7-D-α-t-부틸옥시카보닐 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도-3-카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복실레이트
소디움 7-D-α-t-부틸옥시카보닐아미노페닐아세테이트아미도-3-카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복실레이트(2.1g, 4m 몰)을 무수 DMF(30ml) 내에 현탁시킨 다음, 얼음으로 냉각하면서 브로모프탈리드(0.84g, 0.39m 몰)로 처리했다. 20℃에서 1시간 동안 방치시킨 후 얼음물(300ml)을 가하고 고체를 수집했다. 이것을 초산에틸에 녹인 용액을 묽은 중탄산나토륨과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 및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초산에틸-페트롤로부터 침전시킨 결과 요구되는 에스텔(1.9g)이 얻어졌으며, 이것은 더 정제되지 않고 사용되었다.
(b) 프탈리딜 7-D-α-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도-3-카바모일옥시메틸-3-세펨 -4-카복실레이트
상기 조 에스텔(1.6g)을 냉각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5ml)으로 40분간에 걸쳐 처리했다. 증발시킨 후 에텔과 함께 분쇄한 결과 표제화합물이 그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1.5g)로서 얻어졌다. 이것은 생크로마토그라피에서 Rf=0.75(n-부타놀-물 내에서)에서 한개의 주 대역을 나타낸다.

Claims (1)

  1. 다음 구조식(Ⅱ)의 화합물 또는 그의 반응성 에스텔화 유도체를 다음 구조식(Ⅲ)의 화합물 또는 그의 반응성 에스텔화 유도체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I)의 세팔로스포린에스텔 및 그 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R은 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 2-또는 3-티에닐 또는 디하이드로폐닐기이고;
    X는 아세톡시 또는 카바모일옥시 또는 헤테로시클릭 티오기이고;
    R1과 R2는 수소 또는 메톡시기이고 R1과 R2가 둘 다 수소이고;
    X가 아세톡시이면 R은 페닐기가 아니며, 식중 반응성기는 임의로 보호될 수 있다.
KR7500399A 1975-02-28 1975-02-28 세팔로스포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KR800000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399A KR800000412B1 (ko) 1975-02-28 1975-02-28 세팔로스포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399A KR800000412B1 (ko) 1975-02-28 1975-02-28 세팔로스포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412B1 true KR800000412B1 (ko) 1980-05-20

Family

ID=1920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399A KR800000412B1 (ko) 1975-02-28 1975-02-28 세팔로스포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41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3468A (en) Process for preparing 7-oxo cephalosporins and 6-oxo penicillins
FR2465737A1 (fr) 7-(2-(2-amino-4-thiazolyl)-2 - ((1-carboxy-1,1 - dialkyl)alcoxyimino)acetamido)cephem sulfoxydes a action antibacterienne
EP0043546B1 (en) 7-oxo-cephalosporins and 6-oxo-penicillins, their analogu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538767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ephalosporins intermediates
US4122086A (en) Isopenicillins
JPS6133833B2 (ko)
US4092476A (en) Phthalidyl esters of 7-[(α amino, 2 substituted acetamido)-3-(heterocyclic-thio methyl)]cephalosporins
KR800000412B1 (ko) 세팔로스포린 에스텔의 제조방법
FI75165C (fi) Foerbaettra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penicillansyraklormetylestrar.
US4118563A (en) Production of 7-(2-aminomethylphenylacetamido-3-(1-carboxymethyltetrazol-5-ylthiomethyl)-3-cephem-4-carboxylic acid
AU619201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exomethylene cepham derivatives
CA1069499A (en) Cephalosporin esters
US4103086A (en) 8-Oxo-4-thia-1-azabicyclo (4.2.0)-oct-2-ene derivatives
US495949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ntermediates used to produce aminothiazoloximino cephalosporins
US3993758A (en) Cephalosporin compounds
US4160086A (en) 3-Heterocyclicthio-7-α-carboxy 2-aryl acetamido cephalosporanic acid
US4334065A (en) Cephalosporin intermediates
US4115646A (en) Process for preparing 7-aminocephalosporanic acid derivatives
EP0397212A1 (en) Process for preparing cephalosporin compounds
JPH0523271B2 (ko)
JPH0358351B2 (ko)
US4198503A (en) 3-Carbamoyl substituted-7-ureido substituted cephalosporins
US5066799A (en)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of aminothiazoloximino cephalosporins
CA1115692A (en) Oxygen analogs of cephalosporins
JP2648862B2 (ja) 置換オキシカルボニルアミノセフェム化合物の製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