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267B1 - 염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267B1
KR800000267B1 KR710001068A KR710001068A KR800000267B1 KR 800000267 B1 KR800000267 B1 KR 800000267B1 KR 710001068 A KR710001068 A KR 710001068A KR 710001068 A KR710001068 A KR 710001068A KR 800000267 B1 KR800000267 B1 KR 800000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acid
dyeing
methyl
dy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1000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로스 존
스미스 리처드레온
Original Assignee
로버트제이 슈와르즈
벨시콜케미칼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제이 슈와르즈, 벨시콜케미칼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로버트제이 슈와르즈
Priority to KR710001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267B1/ko

Links

Landscapes

  • Col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염료 조성물
본 발명은 천연단백질섬유와 폴리아미드섬유, 특히명주, 모(毛) 및 나일론의 염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색 방법은 여러가지 기술화학약품 및 복잡한 가공공정을 요한다. 특히 천연단백질섬유, 예컨데 모, 명주와 합성섬유, 예컨데 나일론의 염색은 산성염료의 사용으로 달성된다.
이들 염료는 염색의 질과 염료의 이용을 향상시키는 조제(助劑)와 혼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시판품이 있으나, 이들은 아직도 기술적 또는 경제적인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명주, 모 및 나일론 등의 천연단백질섬유와 합성섬유의 염료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함에 주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최고 수준의 색상으로 염료를 균일하게 확산시키는데 유용한 염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다음의 화합물을 염색 조제로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염색과 견뢰한 색상의 염색을 달성할수 있음을 발전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염색조제로서 유용한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I) 또는 (Ⅱ)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kpo00001
상기 각 식에서,
하나의 X는 하이드록시기이고 다른 X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Y와 Z는 각각 수소 및 메틸기중에서선택된다(단, 하나의 X와 Z의 최대는 메틸기, Y의 최대도 메틸기임).
특히 유용한 화합물은 브루손(Bruson)과 라이너(Reiner)에 의해 JACS,67, P 723에 게재된 바와 같이제조한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인 다사이클로펜틸알코올이다.
Figure kpo00002
상기 화합물의 물리적 성질은 비점이 9mmHg에서 약 117℃ 굴절율이 N
Figure kpo00003
P1.5262.적외선 스펙트럼을 보면 약9.4, 10. 1, 12.7 및 14.4미크론에서 강한 밴드가있다. 이 화합물의 구조에 대한 해명은 바아틀리트(Bartlett)와 시나이더 (Schneider)에 의하여 더욱 논리 되어 있다(JACS 68,6.1946).
본 발명에 있어서 유용한 또하나의 화합물은 3a,4,5,6,7,7a-헥사하이드로-4.7-메타노인단-5-올이다. 이 화합물은 1962단 11월 6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3,062,78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디사이클로펜틸알코올의 수험반응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이 화합물은 "수첨디사이클로펜틸알코올"이라 부르기로하겠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기타 화합물로서는 2-메틸-3a,4,5,6,7,7-헥사하이드로-4,7-메타노인단-5-올, 6-메틸-3a,4,5,6,7,7-헥사하이드로-4,7-메타노인단-5-올, 1-메틸-3a,4,5,6,7,7-헥사하이드로-4,7-메타노인단-5-올, 4-메틸-3a,4,5,6,7,7-헥사하이드로-4,7-메타노인단-6-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신규의 염색조제는 통상 "산성염료"라 부르는 염료를 사용하는 천연 및 합성 섬유의 염색에 특히 유용하다. "산성염료"라는 말에는 3종의 염료, 즉 통상의 산성염료, 매염산성 염료 및 금속착화 산성 염료가 포함된다.
통상 산성 염료는 CI Acid Yel1ow 1와 같은 니트로, CI Acid Red 1와 같은 모노아조, CI Acid Red 89와같은 디아조, CI Acid Geem파 같은 니트로소, CI Acid Orange 72와 같은 모노아조, CI Acid Blue 7과 같은 트리페틸메탄, CI Acid Violet 9와 같은 크산트렌 CI Blue 45와 같은 안트라퀴논, CI Acid Blue 59와같은 아진 및 CI Acid YeIIow 3과 같은 퀴놀린 등의 각종 화합물에 속한다.
매염 산성염료는 이와 유사하게 CI Mordant Red 3과 같은 안트라퀴논, CI Mordant Red 7과 같은 모노아조, CI Mordant Brown 1과 같은 디아조, CI Mordant VioIet 50과 같은 옥사진, CI Mordant Red 15와같은 크산텐, CI Mordant BIue 1과 같은 트리페닐아민, CI Mordant Green 4와 같은 니트로소 및 CI Mordant Brown 7과 같은 나프토퀴논 등의 여러가지 화합물이 여기에 속한다.
금속착 산성염료 역시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용해도를 좋게 하기 위한 슬폰산기와의 1:1 금속 착화염료(예컨데 Palatine Fast와 Neolan 염료), 슬폰산기가 없는 무색착물 형성제와의 1:1 금속착화염료(예컨데, Neopalatine) 용해성을 갖는 기와의 1:2 금속 착화염료(예컨데, Polar Grey BL) 1:2 금속착화중성염료(예컨데,Irgalan Grey BL)가 여기에 속한다.
본 발명의 염색 조제를 사용하여 염색하는 실질적인 과정은 통상 산성염료를 사용하여 천연 및 합성단백질 및 폴리아미드계 섬유를 염색하는 표준법과 동일하다.
예컨데, 본 발명의 염료 조성물은 프린팅, 패딩, 또는 분무법에 의해, 또는 침지법에 의해 섬유에 염색한다. 온도, pH 등의 조건은 현재 사용되는 방법에서 채용되고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염료 조성물은 산정염료를 염색할 때 통상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를 표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천연고무와 같은 호제가 어떤 용도에도 유용하다.
다른 조제, 예컨테 황산나트륨, 황산암모늄, 초산 암모늄, 인산암모늄, 젖산에틸, 주석산메틸 및 주석산에틸, 개미산, 초산 염산, 황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명주, 모 및 나일론 등 천연 및 합성섬유의 염색에 유용한 산성염료를 주성분으로하고, 전술한 알코올류를 염색조제로 함유하는 염료 조성물이다. 이 조성물을 상기 조제를 주조제로 하는외에 호제, 계면활성제 및 pH조절제 등의 전술한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들 첨가제는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종류 및 사용량은 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전술한 알코올류는 그 사용량이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좌우된다. 과량의 염료조제의 사용은 사실상 낭비이다.
본 발명에서의 염색조제의 양은 조성물의 0.25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중량%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상술하겠다.
[실시예 1]
본 발명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여러가지 농도의 디사이클로펜틸 알코올을 염색조제,IrganGrey BL을 염료, 폴리검(Polygum) 260을 호제로서 다음과 같이 사용하여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Figure kpo00004
디사이클로펜틸알코올은 그의 5중량%의 유화제와 미리 혼합시켰다. 그 혼합물은 15-20분간 교반해서 상기 성분들이 균일하게 분포되게 하였다. 각 혼합물을 나일론 6/6 섬유로 편직된 시료 5g에 패딩시켰다. 이어서 패딩된 나일론 섬유 시료를 2본의 고무 로울러에 통과시켜서 과량의 혼합물을 압착제거하여 이 나일론 시료에 대하여 혼합물의 잔량이 거의 100% 되게 하였다.
상기 패딩된 시료를 대기압하에서 l시간동안 스티밍한다음, 소핑, 수세하고, 행구고 공기중에 건조시켰다. 디사이클로펜틸 알코올 대신 벤질 알코올을 사용하여 동일한 농도의 염료 조제를 하여 이상의 방법을 반복 시행 하였다.
임의의 색상 단위를 설정하여, 가장 연한 색상을 "0"으로 하고 가장 진한 색상을 "10"으로 하여 10등분하였다.
관찰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kpo00005
대응하는 농도의 염색 조제일 경우, 디사이클로펜틸 알코올을 사용하여 염색한 나일론의 색상은 염색조제로 벤질알코올을 사용하여 염색한 나일론의 색상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개선되었다.
사실상, 최고 농도의 벤질 알코올(2.0cc)을 사용하여 염색한 나일론은 최저 농도의 디사이클로펜틸 알코올(0.5cc)을 사용하여 염색한 나일론의 염색 색상과 같았다. 더우기, 2.0cc의 디사이클로펜틸 알코올을 사용하여 얻은 염색 색상은 동량의 벤질알코올을 사용하여 얻은 염색 색상보다 더 짙었다.
[실시예 2]
염료로서 Supralan Yellow NR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염료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나일론 6로 편직된 것을 상기 페이스트로 패딩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100% 가되게 압착하였다.
스티밍, 소핑 및 수세건조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색상을 등분하였다. 관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3]
다음 조성에 따라 염료페이트를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7
공지된 염색 조제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이들을 디사이클로펜틸 알코올을 사용한 것과 비교하였다. 이들 페이스트를 나일론 편직물에 패딩하고, 시료를 전술한 방법에 따라 처리하였다.
Figure kpo00008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등급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kpo00009
Capracyl Orange 및 Irgalan Red 2 BL을 비롯한 다른 염료를 사용하여 추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실험결과 디사이클로펜틸 알코올이 통상 사용되고 있는 염색 조제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균일하고 질은 색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염색조제를 형성함에 있어서 유화제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에 각종 유화제를 사용하였다. 산성염료염색에 유용한 유화제는 일반적으로 음이온계 또는 비이온계로 분류되는데, 각 분류에는 디사이클로펜틸알코올의 중량에 준하여 여러가지 사용되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종합예의 유화제를 사용하였다.
Figure kpo00010
ATL0X 유화제는 아틀라스 케미칼 사의 제품으로서 폴리옥시 에틸렌 유도체이며 알킬아릴 술폰산염과의 혼합물이다.
Span 20은 아틀라스케미칼사의 제품이고 소르비톤과 모노라우레이트이다.
TRYLOX Co-40은 트밀론 케미칼사의 제품이며 에톡실화카스터 오일이다.
TRYDET 3300P는 트밀론 케미칼사의 제품이며 지방산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이다.
Supralan Yellow NR을 염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2에 기재한 바와 갈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한 섬유시료를 조사하여 디사이클로펜틸 알코올의 효과의 변동을 검사하였다. 과량의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는 산성염료로 염색할때에 현색(顯色)을 방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유화제의 종류 또는 양의 어느 것도 디사이클로펜틸 알코올의 효과에 제약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통상의 용도에는 유화제는 염색조제의 약 25-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2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은 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산성염료조 페이스트를 제조할제 통상 사용되는 량의 호제는 본 발명 조성물에 유용하다. 이것을 입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 조성물내에 켈콕사의 상표인 "KELZAN"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다당류검을 사용한 혼합물을 더 첨가하고 호제로서 알긴 산나트륨 대신에 폴리머사의 상표인 Polygum 260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사한 조성물과 비교하였다.
[실시예 5]
염료 Irgalan Green 3 G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나일론 6의 시료를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염색 조제로서는 디사이클로펜틸 알코올과 벤질 알코올을 교대로 사용하였다.
전술한 실시에서와 같은 등급으로 관찰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1
염료페이스트에 사용한 호제의 양은 염료의 종류, 이용방법, 염색할 직물의 구조에 좌우된다. 스크린날염이 사용하는 페이스트는 보통 로울러 날염에 사용하는 페이스트 보다도 더 진한 것을 사용한다. 중질(重質)의 스테이플 작물은 얇은 직물, 필라멘트직물을 염색하는데 이용되는 페이스트 보다 더 묽을 페이스트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호제는 염료 페이스트 총중량의 약 0.25-2%의 농도로 존재하여야 한다,

Claims (1)

  1. 산성염료를 주제로하는 염료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성 염료에 하기 구조식의 (I)과(Ⅱ)에서 선정된 화합물을 염색 조제로 첨가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염료 조성물.
    Figure kpo00012
    상기 각 식에서,
    하나의 X는 하이드록시이고, 다른 X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Y와 Z는 각각 수소 및 메틸기 중에서 선택된다(단, 하나의 X와 Z의 최대는 메틸기, Y의 최대는 메틸기임).
KR710001068A 1971-08-02 1971-08-02 염료 조성물 KR800000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10001068A KR800000267B1 (ko) 1971-08-02 1971-08-02 염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10001068A KR800000267B1 (ko) 1971-08-02 1971-08-02 염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267B1 true KR800000267B1 (ko) 1980-04-09

Family

ID=1919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10001068A KR800000267B1 (ko) 1971-08-02 1971-08-02 염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26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439658A1 (de) Faerbeverfahren
DE743155C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Fasern tierischen Ursprungs, gegebenenfalls im Gemisch mit pflanzlichen Fasern, oder Leder
KR800000267B1 (ko) 염료 조성물
US2008902A (en) Coloration of materials
US2019124A (en) Stripping agent
US3391985A (en) Process for pad-dyeing and printing wool and synthetic textile fibers in carrier compositions
US3616473A (en) Dyeing-assistants for synthetic fibers
US3634016A (en) Process for dyeing natural and synthetic polyamide fibers with acid dyestuff and composition therefor
US3923453A (en) New dye compositions
US2671250A (en) Method of blending fibers
US2574806A (en)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printing organic derivatives of cellulose using a mixture of four swelling agents
US2368690A (en) Proces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perties of artificial masses and fibers manufactured from proteinlike substances
US3085848A (en) Dyeing polyacrylonitrile and cellulosic blends with vat and cationic dyes
US2754171A (en) G organtciderivative
JPH1046482A (ja) 天然及び合成ポリアミド繊維材料に防染性又は多色効果を与える方法
US2217696A (en) Resist color printing
US4192648A (en) Cationic dye carrier and selective process for dyeing polyesters
US2255130A (en) Coloration of materials
US3179483A (en) Mixtures of cationic and non-ionic surfactants, chlorinated triphenylmethanes and tanning agents and union dyeing therewith
CN108130753A (zh) 一种活性宝蓝bl染色用助剂及冷轧堆染色方法
US2992064A (en) Gas-fading inhibitor for dyed textiles
US2132846A (en) Water-insoluble monoazo dye
US1485790A (en) Dye solution and process for making and utilizing same
DE748970C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Fasern tierischen Ursprungs, gegebenenfalls im Gemisch mit pflanzlichen Fasern oder regenerierter Cellulose, oder Leder
US2217697A (en) Production of resist effects illuminated with vat dyestu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