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233B1 - 직기의 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의 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233B1
KR800000233B1 KR760000267A KR760000267A KR800000233B1 KR 800000233 B1 KR800000233 B1 KR 800000233B1 KR 760000267 A KR760000267 A KR 760000267A KR 760000267 A KR760000267 A KR 760000267A KR 800000233 B1 KR800000233 B1 KR 80000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counting circuit
loom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0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유기 고또오
Original Assignee
이와고시 다다히로
닛산 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고시 다다히로, 닛산 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고시 다다히로
Priority to KR760000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2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의 정지장치
제1도는 실시예 1의 블록 개요도
제2도는 실시예 1의 설명 파형도
제3도는 실시예 2의 블록 개요도
제4도는 실시예 3의 블록 개요도
본 발명은 직기 운전중에 발생하는 위입(褘入)불량을 검출해서 자동적으로 직기를 정지시키는 직기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위입 불량이 발생했을 때에 이상 신호를 발신하고 이 신호가 미리 설정된 단위 제직 길이내에 소정의 회수로 발신이 되었을 때에 처음으로 정지신호를 발신시켜 직기를 정지시키는 정지장치를 먼저 제안하였다. 그렇지만 이와같은 정지 장치만을 채용하면 위입시에 불량수는 단위 제직길이(單位織製長)내에서는 확실히 한도수 이하로 되지만 단위 제직길이의 복수배의 길이로 미리 설정한 기준 제직길이(예를들면 1필) 내에서는 포전체로서 허용된 한도인 기준한도 이상으로 되고 직포의 품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여기서 복수배라는 것은 정수(整數)의 타단수(他端數)를 가진 수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입불량에 의한 직물의 흠집을 소정의 단위 제직길이 내에서도 한도이하로 되고 또 기준 제직길이 내에서도 기준한도 이하로 되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위입 불량을 검출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이상 발신회로와 상기한 펄스신호를 계수해서 미리 설정한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을 낼 제1및 제2 계수회로, 제1 계수회로에 단위 재직길이의 제직이 끝나면 펄스신호를 보내서 제1계수회로에 이미 들어가 있는 펄스입력 도수를 0으로 리셋트하는 제1 리셋트신호 발신회로와 제2 계수회로에 기준 제직길이 마다에 주기적으로 펄스신호를 보내서 제2 계수회로에 이미 들어가 있는 펄스 입력도수를 0으로 리셋트하는 제2 리셋트신호 발신회로, 그리고 직기의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칭회로 및 정지한 직기의 재시동스위치를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설치함으로서 위입불량을 검지해서 이상 발신회로가 내는 이상신호를 제1 및 제2 계수회로로 보내고 상기한 제1 계수회로가 단위 제직길이의 제직이 끝나고 펄스가 보내질때 까지의 기간 및 제2 리셋트신호 발신회로에서 보내지는 주기적 펄스의 일주기간에 제1 또는 제2 계수회로의 어느쪽이든 한쪽 또는 양쪽이 미리 정해진 한도수를 넘어서 이상신호를 계수했을대 계수회로의 출력 또는 이상신호를 스위칭회로에 보내서 직기의 전원을 개방함으로서 직기를 정지시켜 위입불량을 수정하거나 혹은 위입불량의 원인을 제거한 후 재시동 스위치로 직기의 전원을 투입해서 직기를 재시동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우려를 해결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제1 계수회로라는 것은 가산회로, 리셋트회로 및 감산회로를 포함하고 미리 임의로 설정한 수 이상의 펄스가 입력되었을때 예를들면 펄스신호를 출력하고 또 다른 펄스신호를 주는 것에 의해 이미 들어가 있는 펄스입력도수를 0으로 리셋트하기도 하고 소정의 수로 감소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제2 계수회로는 제1 계수회로에서 감산회로를 제외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상술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실시예의 직기 정지장치의 블록 개요도를 표시한 것으로 1 및 2는 위사 W의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전극으로 도시안한 바디에 각각 절연상태로 고정시키고 있고 각각 이상 발신회로 3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발신회로 3은 위사 W의 검출시기에 있어서 위입불완전(緯入不完全)이 있으면 전극 1,2간에 위사 W를 개재해서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므로서 이상 신호를 발신하게 되어있다. 이상 발신회로 3의 출력단자에는 상기한 이상신호로 계수하고 이 이상신호가 미리 설정된 한도수를 넘으면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제1 계수회로 4의 가산입력단자(제1 계수회로 4에 설정하는 상기한 소정의 한도수의 것을 이하 단위 한도수라고 칭한다)와 동일하게 이상신호를 계수하고 이상신호가 단위 한도수와 다른 한도수(이 한도수를 이하 기준 한도수라고 칭함)에 도달하면 다음에 리셋트 될때까지 연속해서 신호를 발신하는 제2 계수회로 5의 가산 입력단자 및 여자코일 13에 신호가 들어갔을 때에만 접점 11,12간이 도통하고 신호가 안들어갈때에는 접점 10,11간이 도통하는 스위칭회로 9의 접점 12가 병열로 접속되어 있다.
제1 계수회로 4의 출력단자는 스위칭회로 9의 접점 10에 접속되어 있고 리셋트 단자에는 주기적으로 리셋트신호를 발신하는 제1 리셋트신호 발신회로 7이 접속되고 또 제1 계수회로 4의 감산단자에는 압압보턴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 아스용 접점 18,19간 및 후술하는 재시동용 접점 20,21간이 각각 도통되는 재시동용 연동압압보턴 스위치 22의 접점 19가 접속되고 접점 18을 접지해서 재시동할때 이상 신호입력도수를 하나 감하게 되어있다. 제2 계수회로 5의 리셋트 단자에는 주기적으르 리셋트 신호를 발신하는 제2 리셋트 발신회로 6이 접속되어 있다. 제2 계수회로 5의 출력단자는 스위칭회로 9의 여자코일 13에 접속되어 있고 제2 계수회로 5의 출력신호가 없을때에 제1 계수회로의 출력신호가 접점 10,11을 지나서 스위칭회로 8의 자기 유지회로 14에 입력되고 제2 계수회로 5의 출력신호가 발생했을 때는 이상 발신회로 3의 이상신호는 접점 12,11을 지나서 자기유지회로 14에 입력되게 되어있다. 스위칭회로 8은 상술한 자기유지회로 14와 여자코일 15 및 직기구동용 전원회로 개폐기용 접점 16,17로 되어있다. 자기유지회로 14는 펄스신호가 입력되었을때 연속신호를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여자코일 15는 여자된 접점 16,17간은 개방되어서 양접점으로 접속된 직기구동 전원이 단절되어 직기가 정지하고 직기유지회로 14가 재시동용 연동압압 보턴스위치 22의 접점이 닫혀지는 접점 21,20을 개재해서 접지되면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접점 16,17간이 도통되어서 직기가 재시동하게 되어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2 계수회로 5와 여자코일 13의 중간에 지연회로를 넣고 기준한계치의 이상신호로 제2 계수회로 5가 출력신호를 내고 접점 10,11중간과 11,12간을 절환할때 상기한 이상 신호가 단위 한계치를 넘고 제1 계수회로가 출력신호를 낼 경우에는 확실히 출력신호가 스위칭회로 8에 달하게 해도 좋다. 단위제직 길이 당(當)의 위입불량 즉 직물의 흠집이 2이하, 기준 제직길이당의 직물의 흠집을 7이하로 누르는 경우에 대해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위해 기준 제직길이를 7등분한 것을 단위 제직길이로 한다. 제2도 A에 표시한 것처럼 제1 리셋트 발신회로 7은 단위 제직길이로 짤때마다 펄스 7a,7b…7h를 주기적으로 발신하고 제2 리셋트 발신회로 6은 제2도 F와 같이 기준 제직길이로 짤때마다 펄스 6a,6b…를 주기적으로 발신한다. 제2도 B에 표시한 것처럼 이상 발신회로 3의 이상 발신 3a,3b가 펄스 7a,7b간에, 이상 발신 3c,3d,3e가 펄스 7c,7d간에, 이상 발신 3f, 3g,가 펄스 7e,7f간에 이상 발신 35h가 펄스 7f,7g간에, 이상발신 3i가 펄스 7g,7h간에 발신되었다고 가정한다. 제1 계수회로 4의 단위한도 수를 2, 제2 계수회로의 기준한도수를 7에 설정해 둔다. 이상 발신 3g에 대해서 보면 제2 리셋트 발신회로 6에서 발신된 6a신호 이후 7회째의 이상 신호이고 직물흠집이 기준 한계치에 도달한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 제2 계수회로는 제2도 D와 같이 연속된 출력신호 5a를 내고 스위칭회로 9의 여자코일 13을 작동시켜서 접점 11,10간을 개방하고 접점11,12간을 도통시킨다. 따라서 3a에서 3g까지의 신호중 어느 한 신호가 단위한도수 2를 넘은 경우 즉 3e의 이상신호가 나온 경우만 제2도 C와 같이 제1 계수회로 4에서의 출력신호 4a는 접점 10,11을 지나서 제2도 E와 같이 스위칭회로 8의 입력신호 8a로 되고 자기 유지회로 14에 입력되고 여자코일 15는 재시동 연동 압압보턴 스위치 22에 의해 자기 유지가 해제될때까지 여자되고 상폐 접점 16,17간을 개방하여 직기를 정지시킨다.
이상 신호 3h,3i에 대해서는 접점 11,12가 닫혀 있어서 직접 스위칭회로 8의 입력신호 8b,8c로 되어 직기를 정지시킨다. 각 정지신호 8a,8b,8c에 의해 직기가 정지된 후 재시동 하려면은 재시동연동 압압보턴 스위치 22의 압압보턴을 누르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접점 20,21이 닫혀지고 자기유지회로 14가 정지되고 자기유지가 해제되어서 여자코일 15가 소자되고 상폐접점 16,17이 닫혀지고 직기구동용 전원이 직기에 투입되어 직기가 재시동된다. 동시에 접점 19,18간이 닫히고 제1 계수회로 4의 감산회로가 접지되는 것에 의해 이상 신호 입력도스가 1감소되며 이상신호 3e에서 직기가 정지했을 경우 재시동에 의해 제1 계수회로 4의 이상신호 입력도수를 3에서 2로 감하게되고 다음 리셋트신호 7d를 내보낼때까지 다음 이상 신호가 들어갔을 경우에 출력신호를 내보내도록 대기시킨다. 제1 리셋트 발신회로 7의 신호 7a,7b…7h는 제1 계수회로의 이상 신호 입력도수를 0으로 하고 제2 리셋트 발신회로 6의 신호는 제2 계수회로의 이상 신호 입력도수를 0으로 하고 따라서 출력신호 5a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이상 신호가 나올때마다 직기를 정지시키는 일이 없고 또 단위제직 길이내에서도 또 기준제직 길이내에서도 직물 흠집을 한도수 이하로 할수가 있고 직기의 운전효율을 올림과 동시에 직포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달리 이상신호 발신회로 3과 제2 계수회로의 사이에 감산회로 37이 삽입되어 있다. 감산회로 37은 놋트회로 23과 앤드회로 24로 구성되어 있고 제1 계수회로 4의 출력신호가 스위칭회로 9에 입력되고 동시에 놋트회로 23을 지나서 앤드회로 24에 입력되고 한편 이상 발신회로 3에서의 출력신호도 앤드회로 24로 입력되고 이 앤드회로 24의 출력신호가 제2 계수회로 5에 입력되게 되어있다. 따라서 단위한도수 이하의 이상 발신회로 3에서의 신호를 받은 제1 계수회로는 출력안된다. 즉 0 신호를 낸다 이 신호는 놋트회로 23에서 반전되어 정 신희로서 앤드회로 24에 입력되어 있다.
한편 동시에 이상 발신회로 3의 정 펄스신호는 앤드회로 24로 입력되는 까닭에 앤드회로 24는 펄스신호를 내고 제2 계수회로 5에 입력되어서 계수된다. 이상 발신회로 3에서의 이상신호가 단위한도수를 넘으면 제1 계수회로 4는 정 펄스를 출력하고 직기를 정지시킨다. 이 출력은 놋트회로 23에서 반전해서 0의 신호를 되고 이 출력은 앤드회로 24에 입력된다. 한편 이상 발신회로 3에서의 이상신호는 정 펄스로서 앤드회로 24에도 동시에 입력된다. 이 경우 놋트회로 23에서의 출력이 0이므르 앤드회로 24는 출력안된다. 즉 이상 발신회로 3에서의 신호는 제1 계수회로 4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감산회로 37로 소멸된 것으로 되고, 이 경우에는 제2 계수회로는 이상 신호입력도수는 증가 안한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단위 한도수 및 기준한도수를 같다고 하고 제2도를 사용해서 설명하면 이상 신호 3e는 단위 한도수를 넘는 신호이기 때문에 제1계수회로 4에서 4a라는 신호가 내진다. 따라서 3e는 감산회로 37로 소멸되고 이상신호 3e는 제2 계수회로로 입력안된다.
이 경우 제2 계수회로 5는 이상신호 3g로서 기준한도수에 미달되고 3h에서 처음으로 기준 한도수에 도달하여 신호 5a를 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까닭에 직조흠집의 수와 제2 계수회로의 이상신호 입력도수를 일치시키는 것에 의해 직기를 불필요하게 정지시키는 일이 없이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고 동시에 품위가 높은 직포를 제작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제 2의 실시예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블록 개요도를 제4도에 표시한다. 실시예 2의 블록도를 표시한 제3도와의 다른점만 설명한다. 제2 계수회로 5의 가산회로 입력단자와 감산회로 37과의 사이에는 감산회로 37에서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다이오드 25가 배설되고 전원 36, 압압보턴스위치 31 및 스위칭회로 26으로된 가산 지령신호회로 38이 제2 계수회로 5의 가산회로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 지령신호회로 38은 스위칭회로 26과 연동한 압압보턴 스위치 31 및 전원 36으로 되어있다. 스위칭회로 26은 자기유지회로 27, 여자코일 28, 접점 29,30으로 되고 접점 29가 제2 계수회로 5의 가산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다른 접점 30은 압압보턴스위치 31의 접점 34,35를 개재해서 전원 36의 정극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한 자기유지회로 27은 제1 계수회로 4의 출력단자와 접점되어 있다. 상술한 자기유지회로 27은 압압보턴 스위치 31의 접점 32,33을 개재해서 접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계수회로 4가 직기정지신호를 내면 그 정지신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스위칭회로 9와 감산회로 37에 입력되고 동시에 스위칭회로 26의 자기유지회로 27로 입력된다. 자기 유지회로 27에 입력신호가 들어가면 여자코일 28이 여자되고 접점 29,30간이 닫혀지게 되어있다. 접점 32와 자기유지회로 사이에는 필요에 응해서 지연회로를 삽입하고 연동된 압압보턴 스위치 31이 압압되는 경우 접점 34,35간이 닫힌뒤에 자기유지회로 27이 해제되고 접점 29,30간이 열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계수회로 4가 출력신호를 내어서 직기가 정지된 경우 직포의 위입불량에 의한 흠집을 수정할 수 없을 때에는 압압보턴 22로서 직기를 재 시동시킨다. 이 경우에 제2 계수회로의 이상신호 입력도수가 자동적으로 1 감하는 것은 실시예 2와 동일하지만 이러한 경우 압압보턴 31을 압압함으로서 전원 36이 접점 34,35 및 제1 계수회로 4의 출력으로 닫혀진 접점 30,29를 지나서 제2 계수회로 5로 입력된다. 즉 가산지령 신호회로 38에서 이상 신호와 유사한 신호인 가산지령신호가 제2 계수회로 5에 입력되기 때문에 감산회로 37에서 소멸된 제2 계수회로 5의 이상 신호입력도수는 재차 원상태로 되돌아간다. 압압보턴이 두번 압압되었다 하더라도 이미 자기 유지회로 27의 자기유지가 해제되고 접점 29,30간이 열려져 있기 때문에 제2 계수회로에 두번째의 신호는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계수회로 4가 정지신호를 내면 변동압압 보턴스위치 31을 조각해서 제2 계수회로의 이상신호 입력도수를 하나만 가산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했으므로 제1 계수회로 4의 출력신호로서 직기가 정지된때는 위입불량을 보수하기 때문에 직물의 흠이 남지 않는 것으로 하여 제2 계수회로 5는 이상 신호 입력도수를 자동적으로 1 감하지만 위입불량을 보수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압압보턴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서 직물흠집과 제2 계수회로 5의 이상 신호 입력도수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다.
즉 실시예 2 및 3에서는 제2도에서 이상 신호 3e에 의해 직기가 정지되고, 그 흠은 보수된 것으로 하여 재시동하며 제2 계수회로 5의 이상신호 입력도수를 1 감하고 따라서 이상신호 3h에 의해 처음으로 제2 계수회로 5에서 5a라는 신호가 3h에 의해 직기는 정지 안되고 3i에 의해 직기가 정지되게 한 본 실시예에서는 3e로 직기가 정지된때 보수되지 않았다고 하면, 압압보턴 31을 누르는 것으로서 제2 계수회로 5의 입력도수가 1 가해지고 직기는 3h의 신호로 정지한다. 따라서 제2 계수회로 5의 입력도수와 직물의 흠집의 수는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다. 또 상술한 기준 제직길이, 단위제직 길이를 측정하려면은 직포와 거의 스립프되는 일이 없는 후릭숀 로울러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것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해도 좋고 직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또는 코운등의 위사의 급사체의 사용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또는 직기의 작동시간을 측정하는등 어느 것이던 좋다. 또 단위 제직길이를 측정하는데에는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부 연속적으로 측정을 하고 있었지만 발신회로 3과 제1 리셋트신호 발신회로 7과 접속하고 위입불량에 의해 발신회로 3이 내는 이상 신호에 의해 계측을 시작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제1회 이상신호로 단위 제직길이를 측정하기 시작하였으면 단위 제직길이의 계측이 끝날때까지는 다음에 제1 리셋트신호 발신회로로 들어가는 이상신호를 무효로 하는 수단을 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단위 제직길이의 측정방법을 사용하면 제2 리셋트 발신회로의 신호의 전후에 직물 흠집이 집중되는 경우에도 단위 제직길이를 상기한 신호의 전후에 걸쳐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직기를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실시예 1-3에서 스위칭회로 9의 접점 10,11간은 제2 계수회로 5의 출력에 의해 개방되지만 접점 l0,11간을 항시 접속해 두고 제2 계수회로 5의 출력의 유무에 의해 접점 11,12를 개폐하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1)

  1. 위입불량을 검출했을 때에 신호를 발신하는 이상 발신회로의 출력을 계수회로에 입력하고 단위 제직길이의 제직이 끝나면 펄스를 발생하는 리셋트회로의 그 펄스에 의해 상기한 계수회로를 리셋트해서 상기한 단위 제직길이가 제직되는 동안에 상기한 이상 발신회로에서의 신호입력 도수가 한도수에 도달했을때 계수회로에서 출력시키고 이 출력에 의거해서 직기의 전원회로를 개방하는 직기 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계수회로와 병열로 제2의 계수회로를 설치하고 이 계수회로에도 상기한 이상 발신회로에서의 출력을 입력시키고 또 상기한 단위 제직길이의 복수배로 설정한 기준 제직길이의 제직이 끝날때마다 펄스를 발생하는 제2의 리셋트회로를 설치하고 그 제2의 리셋트회로의 그 펄스에 의해 상기 제2의 계수회로를 주기적으로 리셋트하고 이 1주기동안에 상기한 이상 발신회로에서의 신호입력 도수가 따로 설정된 제2의 한도수를 넘을 때 제2의 계수회로에서도 출력시키고, 이 출력에 따라서 직기의 전원회로를 개방하는 직기 정지장치.
KR760000267A 1976-02-24 1976-02-24 직기의 정지장치 KR80000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0267A KR800000233B1 (ko) 1976-02-24 1976-02-24 직기의 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0267A KR800000233B1 (ko) 1976-02-24 1976-02-24 직기의 정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233B1 true KR800000233B1 (ko) 1980-03-22

Family

ID=1920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0267A KR800000233B1 (ko) 1976-02-24 1976-02-24 직기의 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23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95482A (en) Photoelectric inspection device
JPS5830871B2 (ja) 繊維機械の複数の走行糸を監視する電子装置
JPH0460548B2 (ko)
US4082119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weaving loom
EP0004836B1 (en) Weft feeler mechanism for fluid jet looms
KR800000233B1 (ko) 직기의 정지장치
US4063303A (en) Stop-motion apparatus of weaving looms
JPH0413460B2 (ko)
KR840001907B1 (ko) 유체 분사 직조기용 개량된 위입 검지장치
US4035603A (en) Fault detector system for starting plasma arc working apparatus
SU786922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обрывов и сращивани нитей к пр дильным и крутильным машинам
US2790602A (en) Devices for counting thread breakages in textile machines
US4067365A (en) Apparatus of stopping operation of a weaving loom
KR960012186B1 (ko) 씨실 삽입상태 검사장치
US2473916A (en) Relay system
GB2071064A (en) Controlling sheet feed to a printing machine
KR810001608B1 (ko) 직기의 위사 탐지장치
US4662406A (en) Controller for an automatic repair unit which corrects abnormal weaving operation on a loom
US61643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activating a brake in a weaving loom
GB603645A (en) Improvements in detector devices for detecting faults in fabrics
GB2135145A (en) Electromagnetically-controlled flat knitting machine
US1833610A (en) Electric feeler mechanism for looms
US2429530A (en) Electric weft detector system for looms
JP2004225186A (ja) 織機における緯糸検知方法及び装置
JP3582635B2 (ja) 多色緯入れ織機の緯糸フィーラ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