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183B1 -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암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암 조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183B1
KR800000183B1 KR750005941A KR750005941A KR800000183B1 KR 800000183 B1 KR800000183 B1 KR 800000183B1 KR 750005941 A KR750005941 A KR 750005941A KR 750005941 A KR750005941 A KR 750005941A KR 800000183 B1 KR800000183 B1 KR 80000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
belt
transducer
needle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버트 토링톤 레스리
Original Assignee
엠. 에스 윈터스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에스 윈터스,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엠. 에스 윈터스
Priority to KR750005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18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암 조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사용한 디스크 플레이백 장치의 개략평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 장치의 부분 상세도
본 발명은 비디오 정보가 녹음된 디스크 레코드를 녹음 재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러한 비디오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녹음 재생 변환장치의 바람직한 위치 및 제어된 동작을 갖추기 위한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암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디스크 재생 장치의 한 형태는 녹음 재생 바늘장치와 디스크 레코드 사이에 용량성을 감지하여 디스크 레코드의 나선홈 내에 비디오정보를 재생한다. 이 바늘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레코드의 나선홈을 달리도록 배치된 얇은 도전소자나 전극을 포함한다. 그러한 장치에서, 비디오 정보는 디스크 레코드 표면의 나선홈에 기하학적인 변화형태로 녹음되어 있다. 이 디스크 표면은 유전물질의 얇은 피복으로 덮힌 도전물질을 포함한다. 이 바늘 전극은 용량기를 형성하는 유전피복과 도전물질과 접촉된다. 디스크 레코드가 회전할 때, 바늘이 디스크홈을 달리는 동안 도전전극의 연부는 디스크 레코드와 접촉하여, 나선홈의 기하학적 변화에 기인한 용량성 변화를 만든다. 레코드와 바늘에 의하여 형성된 용량기는 동조회로에 결합된다. 결과적으르 레코드가 회전할 때 최종적인 용량변화는 동조회로의 공진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동조회로는 고정주파수발진기에 의하여 여기되고, 이와 같이 동조회로의 공진주파수가 나선홈에서 기하학적 변화에 의해서 변하므로 여기 신호전압에 대한 동조회로 응답은 녹음된 정보의 함수로서 변한다. 이 변화된 여기 신호전압은 기록된 정보함수로서 변화되는 출력신호를 제공한다.
그러한 장치에서 홈으로 기록된 표면을 녹음 재생하는 동안, 정보 녹음 재생의 시작과 끝을 확실하게하여 바늘변환기를 적절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리하여 비디오 정보의 녹음 재생용 시동점이 선택적으로 변화되는 녹음 재생 변환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설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러한 장치에서 변환기를 현 녹음 재생위치에서 안밖으르 이동시키는 것은 편리하고 바람직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것은 변환기를 정보 녹음 재생의 정상적인 동작 때보다 더 빠르게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음 재생 변환기의 동작을 위치 설정 및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제어기능은 자동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플레이어 구조의 자동제어는 녹음 재생 매카니즘의 수동동작의 필요성을 제거하므로 장치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또한 여러가지 녹음 재생 매카니즘의 동작을 상당히 정확하게 하고 또 반복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녹음 재생 장치의 자동 제어는 원격 제어동작이 가능하며, 아울러 부주의로 인한 동작으로 신호복사에 불만족한 결과나 고속으로 회전하는 레코드 디스크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과 또 다른 바람직한 구조는 단순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청취되어져야 하며, 녹음 재생 시스템의 바람직한 정상적인 동작에 방해되거나, 복잡성이 부가되어도 안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형 레코드 매개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리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제1 구동밸트와, 소정의 제1 속도로 이 제1 밸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제2 구동밸트 및, 제1 밸트의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이 제2 밸트를 구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제1 장치는 변환기를 제1 구동밸트의 타부분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디스크의 안밖으로 변환기를 이동시킨다. 제2 장치는 변환기를 제2 구동밸트의 부분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배열되어 디스크 안쪽으로 변환기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 가능한 걸쇠(latching) 장치가 소정위치에서 변환기를 맞물리게 한다. 이 걸쇠장치는 제1 상태에서 변환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동작한다. 이 걸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도 갖추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음 재생 시스템은 비디오 디스크 레코드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회전반 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회전반 2는 회전반주위에 있는 밸트 8을 구동시키는 활차(pulley) 6에 결합된 모터 4에 의해 구동된다. 녹음 재생 변환기 11은 회전반 2의 레코드에 접촉하고 암(arm) 12의 단부에 위치한 바늘 10을 포함한다. 변환기 11는 하우징(housing) l4 내에 놓인다. 하우징 14는 운반대 16에 고착된 한쌍의 롤러(ro1ler) 20에 의해 한쌍의 레일 18을 따라 안전하게 이동되는 운반대 16상에 장착된다. 변환기 11을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면 레코드의 복사 통로에 따라 실질적으로 회전반 2의 주요 표면과 평행한 면으로 변환기 11의 바늘 부분이 동작하도록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된 장치에서는 치수(scale)를 표시하지 않았다.
변환기 11의 위치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구동장치는 녹음 재생 변환기가 고착된 운반대 16을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제1 구동장치는 변환기 11을 회전반에 놓인 레코드의 안밖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1 구동장치는 변환기릍 레코드 위에서 화전반 2의 중심에서 안밖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도록 동작한다. 제1 구동장치보다 더 느린 속도로 동작하는 제2 구동장치는 회전반 2 위의 레코드로부터 녹음 재생하는 동안 변환기를 이동시키도록 동작한다.
제1 구동장치는 한쌍의 활차 24와 30 주위에 놓인 순환 밸트 22를 포함한다. 활차 24의 하나는 제1 기어(gear) 장치 28을 포함하는 기계장치 26에 의하여 회전반 2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동된다. 제1 기어장치 28은 회전반 2의 회전에 대응하여 활차 24가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하고 밸트 22가 회전하게 한다. 밸트 22는 회전반 2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선에 수직한 통로를 따라 세로동작을 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한쌍의 벨트 결합 파지(grasping) 부재 34와 36은 운반대 16의 이동을 안전하게 한다. 결합파지 부재 34와 36은 벨트부재 22의 부분과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벨트 파지부재 34와 36은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에서 각각의 솔레노이드는 이동가능한 부재 38을 포함하고, 그 상태는 솔레노이드의 하우징 40 내의 활성화된 권선에 의하여 제어된다. 솔레노이드의 한 상태에서 하우징 40과 이동부재 38은 밸트 22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벨트 22와 운반대 16이 결합되지 않는다. 벨트 22의 이동이 운반대 16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면 벨트 22를 부재 38과 40 사이에 파지되게끔 솔레노이드 권선이 활성화된다.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결합부재 38과 40의 표면에 고무와 같은 고(高) 마찰 피복을 갖추어 벨트 22에 결합 파지되는 기능을 높인다.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 38과 40의 파지 표면 면적은 벨트 22에 따른 명시된 거리보다 확장됨은 물론 구동밸트 22의 폭 W를 초과하는 크기로 된다.
제2 구동장치는 또 다른 분리된 순환벨트 42를 포함한다. 이 벨트 42는 또 다른 한쌍의 활차 49와 44주위에 배치된다. 활차 49는 기계장치 26과 또 다른 기어장치 45에 의해 회전반 2로부터 구동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2 구동장치는 레코드를 녹음 재생하는 동안 변환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기어장치45는 제1 구동장치의 밸트 22의 이동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벨트 42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벨트 22와 42는 회전반 2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변환기 11의 이동은 회전반 2의 회전에 관련해서 동기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밸트 42는 회전반 2에 놓인 레코드의 중심을 향하여 방사형 방향으로 변환기 11의 바늘부분이 이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것은 녹음 재생 동안 레코드의 나선으로 바늘 10이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벨트 42는 벨트 결합장치 48에 의해 파지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것은 제1 구동장치에 관해 논의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형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부재 48은 운반대 16에 고착되어 있다. 부재 48이 동작하면서 벨트 42의 동작은 부재 48에 의하여 운반대 16에 결합되어, 화살표 50의 방향으로 변환기 11을 움직이게한다.
제2 구동장치는 녹음 재생동안 레코드의 중심을 향하여 변환기 11을 이동시키는 한편, 제2 구동장치를 이용함으로서 제1 구동장치에 관해 논의된 2개의 솔레노이드를 반대방향으로 녹음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벨트부재 22와 42는 각각의 기어장치 28과 45에 의하여 다른 속도로 회전반 2로부터 계속적으로 구동된다. 보통 벨트와 떨어져 있는 벨트 결합부재 34,36,48은 제어단(unit) 52 내에 있는 제어장치에 의해 동작된다. 특히 제어장치는 결합부재 34,36,48 중 단 하나만이 주어진 시간에 이동벨트장치의 동작을 변환기에 결합시키도록 작용한다. 그러므로, 변환기 11의 픽업바늘을 회전반 옆에 떨어져 있는 휴지점에서 레코드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시키거나, 바늘 10을 레코드 중심으로 더 이동시키기를 원할 때 탐색 및 전진 제어단추 54을 이용하여 벨트결합부재 36을 동작시킨다. 마찬가지로 바늘 10을 레코드 중심으로부터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휴지점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탐색 및 후진 제어단추 56으로 동작 결합부재 34를 동작시킨다. 또한 벨트부재 42의 감소된 속도로 녹음 재생하기 위해 레코드 위에서 바늘 10을 이동시키기를 원할 때 시동제어단추 58은 동작 결합부재 48를 동작시키도록 사용된다.
녹음 재생 시스템은 리미트(limit) 스윗치 60과 랜딩(landing) 스윗치 62를 포함하며, 이들은 이동운반대 16에 의해 동작된다. 리미트 스윗치 60은 바늘 10이 레코드의 중심근처에 도달하는 지점에서 운반대 16에 의해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진방향으로 변환기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리미트 스윗치 60은 제어수단과 상호 결합되어 동작결합장치 36 또는 48을 동작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리미트 스윗치 60은 부재 34가 활성화되도록 동작될 때, 레코드면부의 바깥쪽을 향하여 변환기의 역동작을 야기시키도륵 배열될 수 있다.
랜딩 스윗치 62는 바늘 l0이 레코드 정보부분의 시작점에 있을 때 운반대 16의 선단부 63을 결합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운반대 16의 동작에 응하여, 랜딩스윗치 62는 동작 결합부재 36을 무능하게 하고 동작 결합부재 48을 동작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변환기의 탐색동작을 불연속하게 하고 레코드의 시작의 소정점에서 녹음재생을 지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배열은 운반대 16이 랜딩스윗치 62를 고정시킬 때까지 시동스윗치 58을 누름으로써 동작결합부재 36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에 결합부재 36은 무능하게 되고 결합부재 48이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녹음된 레코드로부터 멀리 떨어진 휴지점으로부터 레코드 가장자리 위치로 바늘 10을 빠르게 이동시킨 후, 연속하여 레코드 연주를 위해 바늘을 서서히 움직이게 한다.
또한 점선 64로 도시한 기계적 연결부재가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이 연결부재한 끝은 벨트 결합부재 48의 이동부재에 결합되고 또 다른 끝은 변환기의 암 12에 결합된다. 결합부재 48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부재 64는 바늘 10이 레코드에 있도록 한다. 부재 64는 결합부재 48의 동작에 응해서 변환기 암 12를 이동시키므로 바늘 10이 회전반 2의 레코드와 접속하도록 이동한다. 연결부재 64는 결합부재 48이 동작하지 않을 때에, 바늘 10을 레코드로부터 이동시키기에 유리하게 배열되어 있다. 바늘 10은 레코드와 접촉한 지점에서 비교적 작은 단면적을 갖고 있고, 매 평방 인치(inch)당 28,000 파운드 정도의 압력을 레코드에 인가한다. 만일 레코드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 바늘 10이 레코드 위에 놓여져 있는다면, 레코드 표면에 무시할 수 없는 손상이 생기게 된다. 레코드가 연주되는 동안에 전원이 제거될 경우, 결합부재 48은 다시 작용하여 바늘 10을 레코드로부터 제거시켜 레코드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시 정지 스윗치 59는 플리이어장치에 결합되어 레코드 연주를 정지시킨다. 일시 정지스윗치 59는 동작 결합부재 38이 에너지를 감결합시키므로, 운반대 16은 구동벨트 42로부터 감결합되고, 바늘 10은 레코드로부터 제거된다. 로울러 20과 레일 18 사이의 마찰은 동작 결합부재 34,36,48이 동작하지 않을 때 운반대 16의 운동을 방지하므로, 일시 정지스윗치 59를 누르는 동안 운반대 16의 부주의한 동작을 방지한다.
제1도 장치의 바람직한 배열에서, 리잭트(reject) 단추 55는 레코드 연주를 정지시키고, 변환장치 11을 리셋트(reset)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리잭트단추 55는 동작결합장치 48과 34에 결합되어 각각의 결합장치를 동작 및 부동작시킨다. 단추 55가 눌려진 상태에서, 동작 결합부재 48은 원동력이 없어져서, 바늘 10이 리코드로부터 이동되고, 운반대 16이 벨트 42로부터 감결합된다. 동시에 동작 결합부재 34는 운반대 16을 벨트 22에 결합하도록 동작해서 변환기 1l을 회전반 2로부터 떨어진 휴지점으로 이동시킨다. 변환기 11의 휴지점은 운반대 걸쇠장치에 괸해 하기에 설명할 고정점에 대응한다.
녹음 재생 시스템 배열은 시스템의 이동과 같은 어떤 조건이 발생되어 운반대 16과 이것에 의한 변환장치 1l을 소정 고정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스템이 동작되지 않고 즉 레코드가 회전반위에 놓여 있지 않을 때 변환기 11을 회전반의 레코드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고정점에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리하여 변환기와 같은 장치의 일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시스템에 변환기와 함께 부동된 운반대를 회전반의 바깥쪽에 위치시킬 수 있는 제어가능한 걸쇠장치를 설치해도좋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하여, 주축의 걸쇠암 68은 늑음 재생 시스템의 고정된 프레임(frame)부분 70에 고착되어 있다. 이 부재 68은 이동 가능한 운반대 16에 고착된 핀부재 74를 결합하도록 배치된 홈 7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운반대 16이 변환기를 회전반 2의 주위근처로 위치시키면, 핀 74는 홈 72에 결합되어, 운반대를 고정점에 유지시킨다. 제어가능한 걸쇠장치는 동작결합부재 36의 이동가능한 부분 38에 고착된 암부재 76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암 76은 부재 36과 함께 이동되므로, 암 76은 운반대가 고정상태에 있을 때 점선 78로 도시한 위치로 간주된다. 동작결합부재 36의 동작에 따라, 암 76은 점선으로 된 화살표 8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움직여진다. 암 76의 이동 작으로 홈 72가 운반대 16의 핀부재 74의 결합되는 것을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운반대 16은 벨트 22의 작용에 응해서 결합장치 36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된다.
상기 서술한 걸쇠시스템의 다른 배열은 운반대 16이 걸쇠점에 있을 때 전원을 모터 4로부터 제거할 수있도록 전원스윗치 S1을 상호 결합한다. 스윗치 81은 홈 72와 함께 핀 74의 배열이 부재 76에 의해 스윗치 81이 오프(off) 상태로 되는 것과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스윗치 81의 오프상태는 모터 4의 전원을 제거하여 회전반 2가 레코드를 정지시키게 한다. 그리고 제어유니트 52의 시동 스윗치 58은 전기통과 스윗치 81을 통과하도록 배열되어 부재 76이 온(on) 상태로 있는 스위치 81을 지나갈 때까지 모터 4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 후에 모터 4의 전원은 스윗치 81을 통해 공급된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형 레코드 매개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특히 제1 구동벨트와, 소정의 제1 속도로 상기 제1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와, 제2 구동벨트와, 상기 소정의 제1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상기 제2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와, 상기 디스크 중심의 안밖으로 상기 변환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벨트의 다른 부분에 상기 변환기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배열된 제1 장치와, 상기 디스크 중심의 안밖으로 상기 변환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벨트의 부분에 상기 변환기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배열된 제2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암 조정장치.
KR750005941A 1975-03-20 1975-03-20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암 조정장치 KR80000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5941A KR800000183B1 (ko) 1975-03-20 1975-03-20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암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5941A KR800000183B1 (ko) 1975-03-20 1975-03-20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암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183B1 true KR800000183B1 (ko) 1980-03-10

Family

ID=1920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5941A KR800000183B1 (ko) 1975-03-20 1975-03-20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암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95B1 (ko) * 2015-06-10 2016-06-24 주식회사 이노더스 레코드 플레이어 구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95B1 (ko) * 2015-06-10 2016-06-24 주식회사 이노더스 레코드 플레이어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0320A (en) Pickup arm control for video disc player
US4723236A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cassette, cassette holder and head plate in tape cassette player
US4360846A (en) Operating mode change-over apparatus in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3896493A (en) Retractable head for tape recorder
KR800000183B1 (ko)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암 조정장치
US4024580A (en) Magnetic sound recording and playing back apparatus
US4470087A (en) Head base drive mechanism in tape player
KR940002079B1 (ko)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EP0145099B1 (en) Switching device for actuating the recording switch of a magnetic-tape apparatus
JPS6113298B2 (ko)
US4150833A (en) Video/audio disc reproducing apparatus
JPS582428B2 (ja) キロクサイセイソウチノソウサタイクドウソウチ
US3705273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3638952A (en) Tape drive speed changing apparatus
JPS634273Y2 (ko)
KR830000381B1 (ko) 레코드 플레이어
JPS5853744Y2 (ja) 映像信号再生装置のクラッチ装置
US3737600A (en) Tape recorder control with shaft rotation sensing mechanism for actuating switch
JPS6149732B2 (ko)
JPS5814458Y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S6132263A (ja) フロントロ−デイング方式レコ−ドプレ−ヤ
KR900010406Y1 (ko)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930002169B1 (ko) 다중 디스크 플레이어용 트레이의 개폐속도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320264B1 (ko) 자기 기록 재생 기기의 동작 모드 검출 스위치
KR900005914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 모우터를 이용한 로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