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041B1 -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041B1
KR800000041B1 KR7501701A KR750001701A KR800000041B1 KR 800000041 B1 KR800000041 B1 KR 800000041B1 KR 7501701 A KR7501701 A KR 7501701A KR 750001701 A KR750001701 A KR 750001701A KR 800000041 B1 KR800000041 B1 KR 800000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ower alkyl
quinazoline
alkyl group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다아닐윅쯔 죤
가아쓰 에반스 앤토니
레스리 햄 알란
톰슨 콜린
Original Assignee
헨리 엠 가라거어
화이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리 엠 가라거어, 화이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헨리 엠 가라거어
Priority to KR750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퀴나졸린의 새로운 유도체, 특히 4-위치에서 치환된 이성 환상기를 갖는 유도체인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강심제로서, 이의 바람직한 부류는 심장속도를 상당히 증가시키지 않고도 마이오카디얼(myocardial) 수축력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킨다. 이 화합물은 충혈성 심장마비, 협심증, 심장아리스미아스 및 급성심장마비 등의 심장증세를 치료 또는 예방조치함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 일반식의 새로운 퀴나졸린 화합물과 이들의 약리적으로 사용 가능한 산부가염이 제공된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i)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
(R2)n은 1-3의 적당한 치환분으로서, 각개의 R2는 수소원자 또는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 알콕시이고, n은 1-3, 또는 기 R2중의 어느 두 개의 환 A의 인접위치에 부착된 메틸렌디옥시 또는 에틸렌디옥시기를 구성하고:
(ii) X는 -(CH2)p-로서 이때의 P는 1-3, -CH=CH- 또는 -CH2·CH=CH-이며:
(iii) Y는 환 C의 3- 또는 4-위치에 부착된 것으로서 다음 (a),(b), 또는 (c)중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a) -Z1-COR3
이때 Z1은 -CH2- 또는
Figure kpo00002
이고
R3는 아미노(다음에 정의되는 것),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아릴 또는 이성아릴기로 임의 치환된 저급알킬기 : 저급알케닐-또는 저급알키닐-메틸기 : 아미노, 아릴 , 이성아릴, 저급알콕시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저급알콕시기 : 아릴기 : 아릴옥시기 : 또는 이성아릴기이고:
R4는 수소원자, 아미노, 저급알콕시, 하이드록시, 카베톡시, 아릴 또는 이성아릴기르 치환된 저급알킬기 : 저급알케닐 또는 저급알키닐-메틸기 : 아릴기 또는 이성아릴기이다.
(b) 일반식
Figure kpo00003
의 기
이때 R5는 상기 R3에서 정의된 기이거나 또는 일반식-
Figure kpo00004
기로서 R7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 이고, R6는 상기 R4에 대하여 정의한 바와 같으며, 또는 R6와 R7의 이들이 부착된 질소원자와 함께 포화의 단일이성환을 형성한다.
(c)
Figure kpo00005
또는
Figure kpo00006
이때 Z2는 Z1또는 -O-, R6와 R7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단 Z2
Figure kpo00007
이면 R4와 또은 함께 -(CH2)2-, -(CH2)3- 또는 0-페닐렌기를 나타낸다.
(iv) R은 수소원자 또는 Y와 동일한 탄소원자에 부착된 저급 알킬기로서, 단 X가 -CH=CH- 또는-CH2CH=CH-이면 R은 존재하지 않으며 Y는 -CH2COR3, -CH2CON(R6)(R7) 또는 -CH2CSN(R6)(R7)이며 이때 R3, R6및 R7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Y는 불포화환의 탄소원자에 부착되어 있다.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알콕시기에 사용된 저급이라는 용어는 6개까지, 바람직하게는 4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갖는 기를 나타내며, 이와 같은 기는 직쇄이거나 또는 임의에 따라 측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아릴" 및 "헤테로아릴"에는 미치환된 아릴 및 이성아릴기와,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하이드록시, 할로겐 또는 아세트아미노기로 치환된 아릴 및 헤테로아릴기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아미노라는 용어는 일반식
Figure kpo00008
의 기를 의미하며, 이때 R8은 수소나 저급알킬을 나타내고, R9은 수소,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킬로 치환된 아릴이며, 또는 R8과 R9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원자와 더불어 포화 단일 이성환상의 기(즉 피페리디노)를 형성한다.
할로겐은 불소, 염소, 취소 또는 옥소를 나타낸다.
1개 또는 그 이상의 비대칭중심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장체쌍으로서 존재하며, 이와 같은 쌍이나 개개의 이성체는 물리적인 방법, 즉 유기염기나 적당한 염을 분별결정 시키거나 크로마토그라피를 행함으르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리된 쌍은 물론 이들의 혼합물을 라세미혼합물로서 또는 D- 및 L-의 광학활성 이성체 형태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약리적으로 사용 가능한 산부가염은 약리적으로 사용가능한 음이온을 함유하는 비독성 산부가염을 예컨대 염산염, 취산염, 요도산염, 황산염이나 아황산염, 인산염이나 산성인산염, 식초산염, 말레산염, 푸말산염, 수산염, 유산염, 주석산염, 구연산염, 글루콘산염, 사카레이트 및 P-톨루엔설 포네이트염 등을 형성하는 산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다.
환 C가 불포화된 일반식(I)의 화합물은 호변이성체(互變異性體)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Figure kpo00009
본 발명 화합물의 강심활성은 다음 시험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의 유효성으로 나타난다.
(a) 분리되고, 무의식적으로 박동하는 천축쥐(모르모트)의 2중 심방조제에 있어서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b) 이식된 좌심실 도뇨관에 의하여 마취된 쥐에 있어서 마이오카디얼 수축성(좌심실 dp/dtmax)을 증가시킨다.
(c) 이식된 좌심실트랜스듀서에 의하여 의식있는 개에 있어서 마이오카디얼 수축성을 증가시킨다.
시험 (a)에 있어서 시험화합물에 대한 심방의 양성 이노트로픽(inotropic) 및 크로노트로픽(chronotropic)반응을 여러 사용량에서 측정하여 이소프레날린에서 나온 반응과 비교하였다. 얻어진 사용량 반응곡선을 비교하여 시험화합물의 속도선택성에 대한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시험(b)에 있어서 정맥내 투여후 시험화합물의 양성 이노트릭작용은 마취된 개에서 측정하여 이소프레날린과 비교하였다.
이노트로픽 작용의 효능과 힘의 증가에 대한 선택성 대(對) 수축빈도와, 시험화합물의 양성 이노트로픽효과의 작용지속이 얻어졌으며 그의 말초신경효과, 즉 혈압에 대한 효과와 동일하였다.
시험(c)에 있어서는 이식된 좌심실 트랜스듀서를 갖는 의식이 있는 개에게 정맥내 투여 또는 경구투여후 시험화합물의 양성 이노트로픽 작용을 측정하고 이소프레날린과 비교하였다. 이노트로픽 작용의 효능과 힘증가에 대한 선택성 대 수축빈도와 시험화합물의 이노트로픽 효과의 작용 지속 모두가 얻어졌다.
상기 시험에 있어서 본 발명 화합물의 효력에 의하여 바람직한 기타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판명되었다.
(R2)n은 바람직하게는 6,7-디(저급알콕시), 가장 바람직하계는 6,7-디메톡시를 나타낸다.
X는 바람직하게는 -CH2-,-(CH2)2- 또는 -CH=CH-, 가장 바람직하게는 -(CH2)2-를 나타낸다.
R'은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를 나타낸다.
링 C가 포화되어 있는 경우, R은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Y기는 다음과 같다.
(i) -NR4·COR3, 이때 R3는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이다.
(ii) -NR4·COR3, 이때 R3는 저급알킬기 : 아미노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된 저급알킬기 : 저급알콕시기 : 아릴기로 치환된 저급알콕시기 : 아릴옥시기 : 또는 이성아릴기 : 이고, R4는 수소원자 : 저급알킬기 :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저급알킬기이다.
(iii)
Figure kpo00010
이때 R4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 이고, R5는 저급알킬, 아릴 또는 이성아릴기 또는 일반식 -N(R6)(R7)인 기이며 이때의 R6는 저급알킬기이고, R7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이다.
(iv)
Figure kpo00011
이때 R6는 저급알킬기 이고 R7은 수소원자이다.
(v)
Figure kpo00012
이때 R4는 수소원자 : 저급알킬 : 이성아릴, 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저급알킬기 : 또는 이성아릴기이고 : R6는 수소원자 : 저급알킬기 : 하이드록시나 카베톡시나 이성아릴기로 치환된 저급알킬기 : 저급알키닐-메틸기 : 저급알키닐-메틸기 : 아릴기 또는 이성아릴기이고 : R7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 이거나 : 또는 R4와 R7은 함께 취해지는 경우 0-페닐렌기를 나타내고 : 또는 R6와 R7은 함께 취해져서 -(CH2)5-를 나타낸다.
(vi)
Figure kpo00013
이때 R6는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이성아릴기이고, R7은 수소원자이다.
(vii)
Figure kpo00014
이때 R4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 이고,
R6는 저급알킬기이며 : R7은 수소원자 이다.
Y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기로부터 선택된다.
(i)
Figure kpo00015
·(저급알킬 또는 알콕시) 이때 R4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 이다 :
(ii) -OCONH·(저급알킬)
(iii)
Figure kpo00016
·(저급알킬) 이때 R4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2-,3-또는 4-피리딜기로 치환된 저급알킬기 이다.
(iv)
Figure kpo00017
·(저급알킬), 이때 R4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 이다.
(v)
Figure kpo00018
(2-, 3- 또는 4-피리딜), 이때 R4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 이다.
바람직한 아릴기는 페닐기이고 바람직한 이성아릴기는 2-,3- 또는 4-피리딜기이다. 바람직한 아릴옥시기는 페녹시기 이다. 바람직한 알키닐과 알키닐기는 각각 -CH=CH2와 -C≡CH 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 구조를 갖는다.
Figure kpo00019
상기 식에서 Y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I)의 바람직한 개개의 화합물은 다음 구조를 갖는다.
Figure kpo00020
상기 식에서 Y는 다음과 같다:
(a) -NHCONH(CH2)3CH3, 즉 4-(4- {3-n 부틸-우레이도}-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b) -N(CH3)CONH(CH2)2CH3, 즉 4-[4-{1-메틸-3-n-푸로필-우레이도}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c)-NHCOOCH2CH3, 즉 4-[4-{에톡시카보닐아미노}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d) -O, CONHCH2CH3, 즉 4-[4-{에틸카바모일옥시}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e)-N(CH3). SO2NH(CH2)2CH3, 즉 4-[4-{N-메틸-N-(n-프로필설파모닐)-아미노} 피페리디노] 6,7-디메톡시-퀴나졸린
(f) -N(CH3). COOCH2CH3, 즉 4-[4-{N-메틸-N-에톡시카보닐아미노}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g)-NHCOOCH2·CH(CH3)2, 즉4-[4-{이소-부톡시카보닐아미노}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h) -NHCOO(CH2)2CH3, 즉 4-[4-{n-프로폭시카보닐아미노}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i) -N(Et). COOEt, 즉 4-[4-{N-에틸-N-에톡시카보닐아미노} 피폐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j)
Figure kpo00021
, 즉 4-[4-{3-n-부틸-1-(2-피리드-4-일-에틸)-우레이도}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k)
Figure kpo00022
, 즉 4-[4-{3-메틸-1-n-프로필-우레이도}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 퀴나졸린
(l)
Figure kpo00023
, 즉 4-[4-{1,3-디-n-부틸-우레이도}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m) -OCONH(CH2)2CH3, 즉 4-[4-{n-프로필카바모일옥시}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 퀴나졸린
(n) -NHSO2NH(CH2)2CH3, 즉 4-[4-{N-(n-프로필설파모일) 아미노}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o) -NHSO2·(3-피리딜), 즉 4-[4-{3-피리딘설폰아미도}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P)
Figure kpo00024
·(3-피리딜), 즉 4-[4-{N-메틸-3-피리딘설폰아미도} 피페리디노] -6,7-디메톡시-퀴나졸린
(q)
Figure kpo00025
, 즉 4-[4-{N-메틸부티라미도}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r) -NHCO(CH2)2CH3, 즉 4-[4-{부티라미도}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의도적인 투여방법과 표준 약리적 실시법 등에 대하여 선택된 약리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된다. 예컨대 이들은 전분이나 락토오즈와 같은 부형제를 함유하는 정제의 형태로, 또는 단독의 캡슐이나 부형제와 혼합된 캡슐로, 또는 향료제나 착색제를 함유하는 엘릭서나 현탁액의 형태로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은 비경구적으로, 예컨대 정맥내, 근육내나 피하에 주입된다. 비경구적 투여로서는 예컨대 용액을 균일하게 만들기 위하여 충분한 염이나 글루코오즈 등 기타 용질을 함유하는 살균수용액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충혈성 심장마비와 같은 심장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 처치함에 있어서 사람에게 투여할 때에, 본 발명의 가장 활성인 화합물의 복용량은 평균성인 환자(70kg)에 대하여 1일 약 20mg-1g을 2-4회로 나누어 취해질 것이 기대된다.
정맥내 투여용량은 예컨대 급성심장마비의 치료에 있어서 요구에 따라 단일 용량당 1-30mg 범위로 기대된다. 따라서 전형적인 성인 환자에 대하여 각각의 정제나 캡슐은 적당한 약리적으로 매체나 담체내에 약 5-500mg의 활성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일반식(I)의 화합물과 약리적으로 수용성인 담체로 구성되는 약리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동물의 심장을 자극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은 위에서 정의한 일반식(I)의 화합물이나 위에서 정의한 약리적 조성물을 동물의 심장을 자극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이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I)의 적당히 치환된 퀴나졸린을 다음 일반식(Ⅳ)의 아민과 반응시켜서 결과적으로 HQ'을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26
상기 식에서 Q'은 클로로-, 브로모-, 요도-, 저급알콕시 또는 (저급알킬)티오와 갈은 양호한 이탈기이다.
Figure kpo00027
상기 식에서 Q'은 클로로나 브로모 이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나 디메틸포름 아미도와 같은 비활성 유기용제내에서, 가열하에 즉 환류하에 75-150℃ 범위의 온도로 1시간 이상, 일반적으로 1-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Q'이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도인 경우에는 트리에틸아민이나 일반식(Ⅳ)인 시약이 과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이롭다.
반응물에 있어서 이탈하는 기 Q'을 일반식(Ⅳ)인 화합물의
Figure kpo00028
기 이외의 기, 즉 하이드록시, 1차아미노 및 2차아미노기로 치환시킬 수 있는 모든 치환기는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반응전에 보호되어야 하며, 보호기는 표준과정에 의한 반응 후에 제거된다. 모든 하이드록시기는 요구에 따라서는 예컨대 벤질기에 의하여 보호되며, 이 기는 가수분해에 의한 반응 후에 제거될 수 있다. 모든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는 요구에 따라 벤질이나 t-부톡시 카보닐기에 의하여 보호되며, 이 기는 각각 수소첨가나 완만한 산가수분해에 의한 반응 후에 제거될 수 있다.
생성물은 진공에서 용제를 증발시킨 다음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염기로 잔유물을 염기성화 시키고 적당한 유기용제, 즉 클로로포름 내에 생성물을 추출시킴으로서 분리 및 정제된다. 유기용제를 증류한 후 조제의 생성물이 잔유물로서 남아 있으며, 이것은 염으로 전환된 다음 유리염기로서 재결정되거나 정제된다.
-CH2COOH 또는 활성화된 에스텔기, 즉 1차 및 2차 아미노기와 반응할 수 있는 R2및 R6내의 모든 치환기는 요구에 따라 반응전에 보호되고, 반응후에 제거되어야 한다.
일반식(I)인 화합물의 산부가염은 유리염기를 비활성 용제내에서 산과 반응시키는 통상의 방법, 즉 각반응물을 알콜성 용액을 혼합하고 여과에 의하여 생성되는 침전을 수집하는 방법에 의하여 조제의 또는 순수한 유리염기 생성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생성물을 재결정시켜 정제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카베톡시-치환 저급알킬기가 1차 및 2차 아미노기에 의하여 공격을 받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특히 R4나 R6가 카베톡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 이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실시예 1]
Figure kpo00029
4-클로로-6,7-디메톡시퀴나졸린(45g)과 4-(3-n-부틸우레이도) 피페리딘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80g)과 트리에틸아민(140ml)를 에탄올(450ml) 내에서 1 1/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다음에 이 혼합물을 진공농축시키고, 생성되는 고체를 물에서 교반한 다음 5N-NaOH 용액으로 pH 11까지 염기화 시켰다. 현탁액을 클로로포름과 함께 진탕하고, 유기층을 분리한 후 건조시킨 다음(Na2CO3) 진공증발 건조시켜 황색유상 고체를 얻었다. 에텔과 함께 분리한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하여 4-(4-[3-n-부틸우레이도]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37g)을 얻는다. 흔적량의 불순물은 생성물의 클로로포름 용액을 풀로리실로 채운 유리주에 하강시키고 10%의 이소프로판을 클로로포름용액으로 용리시킴으로서 제거되었다. 증발후 분별물이 적당히 불었을 때 에타놀로부터 재결정시켜 융점 204-5℃인 순수한 생성물(21g)을 얻는다.
분 석 : C20H29N5O3에 대하여
계산치 : C : 62.0, H : 7.5, N : 18.1%
실측치 : C : 62.1, H : 7.6, N : 18.3%
유리염기의 알콜용액을 말레산의 알콜용액으로 처리하여 모노말레산염을 제조하였다. 침전된 염은 재결정시켰으며(EtOH로 부터) 융점이 195-197℃였다.
적당한 4-클로로퀴나졸린 유도체와 아민으로부터 실시예 1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 표의 화합물을 제조하였으며, 지시된 형태로 분리시켰다. 화합물의 이론치와 실측치가 주어져 있으며, 실측치는 괄호에 기록된 것이다.
Figure kpo00030
[표 1]
Figure kpo00031
[실시예 10]
4-(4-[1-메틸-3-n-프로필우레이도] 피페리디노)-6,7-디메톡시퀴나졸린
표제화합물을 4-(1-메틸-3-n-프로필우레이도) 피페리딘과 4-클로로-6,7-디메톡시퀴나졸린을 실시예 1의 방법을 사용하여 축합시켜서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융점이 206-209℃였다.
생성물을 모노사이트레이트 염으로 전환시켰다. 융점 150-60℃ C26H37N5O10에 대한
계산치 : C 53.88, H 6.43, N 12.08
실측치 : C 53.68, H 5.46, N 12.10

Claims (1)

  1. 일반식(Ⅲ)의 퀴나졸린을 일반식(Ⅳ)의 아민과 불황성유기용매내에서 75℃ 내지 150℃의 온도로 반응시킨 다음 생성물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르 하는 일반식(I)의 퀴나졸린 화합물 및 그 산부가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32
    상기 식에서
    R1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6개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개의 알콕시기이고,
    Y는 3 또는 4 위치의 Z'-CO-R3또는 Z'-CO-NR6R7이고
    Z'은 CH2또는 NR4이고, R3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R6는 탄소원자수 내지 6개의 알킬기이고,
    R7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6개의 알킬기이고,
    R4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이고,
    Q는 염소, 취소, 옥소, 탄소원자수 1 내지 4개의 알콕시기 또는 알킬티오기이다.
KR7501701A 1975-08-02 1975-08-02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00000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701A KR800000041B1 (ko) 1975-08-02 1975-08-02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701A KR800000041B1 (ko) 1975-08-02 1975-08-02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347A Division KR800000432B1 (ko) 1979-12-08 1979-12-08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7904346A Division KR800000411B1 (ko) 1979-12-08 1979-12-08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041B1 true KR800000041B1 (ko) 1980-01-28

Family

ID=1920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1701A KR800000041B1 (ko) 1975-08-02 1975-08-02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04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0200B1 (en) 2-substituted 4-amino-6,7-dimethoxyquinolines
DE602005003128T3 (de) Chinazolinon-derivate als vanilloid-antagonisten
US4001422A (en) 4-aminoquinazoline cardiac stimulants
US4188391A (en) 4-[4-(Substituted)piperidino]quinazoline cardiac stimulants
US4466965A (en) Phthalazine compounds, compositions and use
JP2502343B2 (ja) 薬学的に活性な置換ベンズアミド
US4443464A (en) (+)-2-[1-(2,6-Dichlorophenoxy)-ethyl]-1,3-diazacyclopent-2-ene and th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human beings suffering from nervous disarrangements, in particular migraine
EP0104614B1 (en) Phenyl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2167279A (ja) アポビンカミン酸誘導体
EP0179386B1 (de) 1,4-Dihydropyridin-hydroxyam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in Arzneimitteln
DE2410938A1 (de) Chinazolinderivate und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NZ242932A (en) 2-amino-5-cyano-4-quinolinyl-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800000041B1 (ko)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676373B2 (ja) グアニジノ安息香酸エステル誘導体
CA1268471A (en) Phenylacetaldehydes substituted by basic groups, their preparation and drugs containing these compounds
GB2171997A (en) 4-Amino-6,7-dimethoxy-2-Piperazin-1-ylquinazoline derivatives
AU568704B2 (en) Ether of n-propanolamine derivative
DE2241991B2 (de) Sydnonimi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als einzigen Wirkstoff enthaltende Arzneimittelzusammensetzungen
US4338319A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obstructive airway or cardiac diseases
KR800000432B1 (ko)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146155A1 (en) Ether of N-propanolamine derivative
US4666924A (en) Certain pyridyl substituted aminomethyl benzene derivatives having anti-arrhythmic activity
KR800000411B1 (ko)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371088A (en) 1-aryl-4-piperazinylcyclohexanecarbonitriles, th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US4042584A (en) Ethynylaryl phenyl cyclopropyl thiazines and morpho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