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2010Y1 - 전기부품의 단자 - Google Patents

전기부품의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2010Y1
KR790002010Y1 KR7405011U KR740005011U KR790002010Y1 KR 790002010 Y1 KR790002010 Y1 KR 790002010Y1 KR 7405011 U KR7405011 U KR 7405011U KR 740005011 U KR740005011 U KR 740005011U KR 790002010 Y1 KR790002010 Y1 KR 790002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urved upper
electric parts
neck
fl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5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나까도가와
Original Assignee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알프스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알프스덴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to KR7405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2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2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2010Y1/ko

Links

Landscapes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부품의 단자
제1도는 종래의 단자를 사용한 전기 부품의 일부 절단 측면도.
제2a도는 가공중인 단자의 측면도.
제2b도는 동 평면도.
제3도는 가공 후의 단자의 측면도.
제4도는 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본 고안은 가변저항기 등 전기 부품의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부품 예컨대 반 고정 가변저항기 등에서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기판(1)상의 저항체(2)에 습등하는 습동자(5)를 장착한 급속제축(3)을 절연기판(1)의 타면에 재치된 단자(6)와 전기적으로 유통되어, 단자(6)에 의해 의부에 도출됨돠 함께 단자(6) 및 축(3)은 스프링와셔(7)와 스피어드너트(8)를 감착하는 구조가일반적이었으나 이 경우 단자(6)와 스프링와셔(7)와는 별체로 이의 가공도 별도로 이루어져 라인에서의 조립도 별도의 부붐을 각별로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하고 작업성이 극히 불량한데다가 코스트가 비싸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단자와 스프링와셔를 1매의 탄성금속판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종래의 결점을 일거에 해결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제2도, 제3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자(6)는 1매의 탄성금속판으로 되었고 그 평탄부(6a)의 1단부에는절곡부(6b)를설치, 타단부에는 평탄부(6a)의 목보다 좁은 U자형으로 절곡된 목(6c)에 접속된 만곡상부(6d)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평탄부(6a) 만곡상부(6d)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축(3)을 삽통하는 통공(9),(9a)가 천설되었고 전기 통공(9a)을 중심으로 하여 만곡상부(6d)의 양단면(6e)은 평탄부(6a)와 근접한 위치에 있다. 그리하여 단자(6)을 조립하는데는 절연기판(1)을 관통한 축(3)에 단자(6)의 평탄부(6a)에서 삽입시켜 단자(6)의 통공(9),(9a)에 축(3)을 삽통하고 다음에 축(3)의 선단에 스피이드너트(8) 등으로 조임으로써 완료된다. 이 경우에 스피이드너트(8)의 압압에 의해 만곡상부(6d)의 양단면(6e)은 단자(6)의 평탄부(6a)에 접촉되고 만곡상부(6d)가 평탄상으로 되는 방향으로그형상이 변화하지만 목(6c)측의 1단면(6e)의접촉간격은 목(6c)의 반력에 의해 제한을 받아 이 때문에 만곡상부(6d)의 탄압을 강하게 할 뿐 아니라 만곡상부(6d)의 무력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탄성 금속판으로 단자(6)와 스프링와셔의 역할을 하는 만곡상부(6d)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므로 종래의 것에 비하여 부품점수가 적고 조립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값이 싸고 또한 단자(6)는 만곡상부(6d)가 목(6c)에 의해 평탄부(6a)에 접속된 것이기 때문에 만곡상부(6d)의 형상변화시 목(6c)의 반력을 받아 탄압을 강하게 할 수 있을뿐 아니라 만곡상부(6d)의 무력화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4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전기 실시에와 동일 개소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여기서는설명을 생략하나 이 경우에도 전기 실시예와 동일효과를 가지며 본 고안의 청구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평탄부(6a)와 그 평탄부(6a)에 대향하여 거의 U자형으로 절곡된 목(6c) 부분으로 평탄부(6a)에 연결된 만곡상부(6d)와를 1매의 탄성금속판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부품의 단자.
KR7405011U 1974-09-20 1974-09-20 전기부품의 단자 KR790002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5011U KR790002010Y1 (ko) 1974-09-20 1974-09-20 전기부품의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5011U KR790002010Y1 (ko) 1974-09-20 1974-09-20 전기부품의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2010Y1 true KR790002010Y1 (ko) 1979-12-10

Family

ID=1920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5011U KR790002010Y1 (ko) 1974-09-20 1974-09-20 전기부품의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20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408683A1 (es) Mejoras en los conectores para tarjetas de circuito impre- so.
US6152766A (en) Electrical connector
US4658104A (en) Printed wiring board
KR900008867B1 (ko) 가변저항기
KR790002010Y1 (ko) 전기부품의 단자
US4385213A (en) Switch and component attachment to flexible printed circuitry
JP3081701B2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電子部品の取付け板、回路板、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組み立て完成品
JPS5846836B2 (ja) コネクタ−
KR800000851Y1 (ko) 전기 부품의 단자(端子)
JPH0412720Y2 (ko)
KR910007973Y1 (ko) 기판연결용 납땜터미날
JPH0448124Y2 (ko)
JPS6338284U (ko)
JPH0124857Y2 (ko)
KR920000797Y1 (ko) 전선연결용 코넥터
JPS5817337Y2 (ja) プリント基板用端子装置
JPH01146466U (ko)
JPS5931775U (ja) コネクタ−の構造
JPS607008Y2 (ja) 接続用端子
JPS6344948Y2 (ko)
EP0058080A3 (en) Binary code assembly
JPS62167374U (ko)
GB1327784A (en) Terminals for electrically conductive surfaces
JPS6397224U (ko)
IT1093159B (it) Terminale elettri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