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884Y1 - 가구용 괘정구 - Google Patents

가구용 괘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884Y1
KR790001884Y1 KR780006564U KR780006564U KR790001884Y1 KR 790001884 Y1 KR790001884 Y1 KR 790001884Y1 KR 780006564 U KR780006564 U KR 780006564U KR 780006564 U KR780006564 U KR 780006564U KR 790001884 Y1 KR790001884 Y1 KR 790001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furniture
closing
ava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6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명
Original Assignee
이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명 filed Critical 이동명
Priority to KR780006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884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구용 괘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가구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본 고안은 전면에 두개의 개폐문을 가진 가구용으로서 일측 개폐문의 개방시에만 타측 개폐문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개폐문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구용 전면의 개폐문이 두개로 된 것에 있어서는 자물쇠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괘정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괘정될 수 있는 괘정구가 양측 개폐문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폐쇄상테가 탄력적으로 고정되게 하였으나 양측 개폐문이 각각 독립적인 괘정구가 설치되어 일측 개폐문을 개방시 개방단부면의 접촉에 의해 타측 개폐문이 따라서 개방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페단을 감안하여 일측 개폐문의 개방단부가 타측개폐문의 개방단부와 중첩되게 구성하고 역시 각각 독립된 괘정구를 이용한 것이 있으나 양측 개폐문이 약간만 열려도 중첩상태가 벗어나게 되므로 양측 개폐문 모두가 개방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러한 결점을 감안하여 일측 개폐문이 폐쇄되어 있는 한 타측개폐문이 고정적으로 괘정되도록 하므로서 일측 개폐문만의 사용시 타측 개폐문은 개방되지 않거나 잠정적으로 괘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두개의 통공(6)(7)이 천설된 전면판(16)이 복착되고 내부양측에 스프링(8)(9)으로 내향탄발되고 괘지로울러(12)(13)의 축설된 슬라이드안내구(10)(11)를 장설한갑체(5)를 개폐문(2)(3)이 연결된 가구(1)의 기틀(4)에 착설하고, 일측 개폐문(2)는 상기 갑체(5)의 통공(6)에 삽입되어 괘지로울러(12)로 괘지되는 요홈(23)을 가진 삽입간(21)을, 타측개폐문(3)에는 상기 갑체(5)의 통공(7)에 삽입되어 괘지로우러(3)으로 괘지되는 요홈(24)과 괘지구(25)을 가진 삽입간(22)을 착설한 것에 있어서, 갑체(5)내의 중간에 ""형 안내구(15)를 고정하고 안내구(15)의 일측단부(20)의 전후에 우치하는 두개의 괘지턱(17)(18)이 입설된 괘지간(19)을 스프링(14)로 탄착하여서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개폐문(2)(3)이 모두 개방되었을 때, 즉 각 개폐문(2)(3)에 착설한 삽입간(21)(22)이 갑체(5)와 분리되어 있을 때에 괘지간(19)은 그 괘지턱(18)이 스프링(14)의 탄력으로 압압되어 괘지간(19)의 일측단이 갑체(5)의 일측 통공(6)의 중간으로 전진된 상태에 있게 되며(제3도), 개폐문(3)을 먼저 닫아 개폐문(3)의 삽입간(22)가 통공(7)을 통하여 삽입되고 괘지로울러(13)에 의하여 탄지되게 한 후 개폐문(2)을 닫으면 개폐문(3)의 삽입간(21)이 통공(6)을 통하여 삽입되면서 괘지간(19)의 괘지턱(17) 측면을 밀어 괘지간(19)의 타측단이 통공(7)측으로 밀려나면서 통공(7)내에 삽입된 삽입간(22)의 괘지구(25)에 괘지되어 삽입간(22)이 착설된 개폐문(3)은 고정적으로 괘정된다. 따라서 개폐문(2)을 개방하지 않는 한 개폐문(3)은 고정적으로 괘정되며, 개폐문(2)의 개방시에는 삽입간(21)으로부터 괘지간(19)이 풀려나 스프링(14)의 탄력으로 복귀하므로 괘지간(19)의 타측단은 삽입간(22)의 괘지구(25)에서 벗어나므로 개폐문(3)이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개폐문의 일시적인 괘정과 동시에 일측개폐문의 개폐에 따라서 타측개폐문을 개폐시킬 수 있는 편리한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16)에 두개의 통공(6)(7)이 천설되고 내부에 괘지로울러(12)(13)이 탄설된 갑체(5)를 기틀(4)에 고정하고 개폐문(2)(3)의 삽입간(21)(22)가 통공(6)(7)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갑체(5)의 내부 중간에 ""형의 안내구(15)를 고정하고 안내구(15)의 일측단부(20)의 전후에 위치하는 두개의 괘지턱(17)(18)이 입설된 괘지간(19)을 스프링(14)로 탄착하여서된 가구용 괘정구.
KR780006564U 1978-12-29 1978-12-29 가구용 괘정구 KR790001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6564U KR790001884Y1 (ko) 1978-12-29 1978-12-29 가구용 괘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6564U KR790001884Y1 (ko) 1978-12-29 1978-12-29 가구용 괘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884Y1 true KR790001884Y1 (ko) 1979-11-02

Family

ID=1921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6564U KR790001884Y1 (ko) 1978-12-29 1978-12-29 가구용 괘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8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800B1 (ko) * 2020-06-12 2020-07-30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국선과 구내선의 접속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800B1 (ko) * 2020-06-12 2020-07-30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국선과 구내선의 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7916E1 (en) Snap on latch mechanism for a sash window
ES289826Y (es) Estructura de hojas correderas para muebles y similares
US2205614A (en) Closure fastener
ES8608841A1 (es) Perfeccionamientos en una mampara de ducha
DE3163344D1 (en) Hinge fitting for all-glass doors
US3464157A (en) Window construction
KR790001884Y1 (ko) 가구용 괘정구
US2339315A (en) Door construction and the like
ATE55172T1 (de) Falttuer.
EP1004734A2 (en) Hinge arrangement
US3973616A (en) Alignment device for bi-fold doors
CN109812136A (zh) 一种门锁及门
US2740171A (en) Window track and weather strip
US4084298A (en) Closure for safety belts
KR930000710Y1 (ko) 서랍 슬라이드 셑
KR920008463Y1 (ko) 건물용 호차
KR900001798Y1 (ko) 배터리 케이스의 덮개판 고정장치
IT1215240B (it) Dispositivo di estrazione e scorrimento di ante per mobili e simili
KR101117517B1 (ko) 'ㄷ'형상을 가진 도어락장치
KR830001568Y1 (ko) 다목적 문걸쇠
KR900008689B1 (ko) 전기전자기기의 도어 고정용 래치
KR860000711Y1 (ko) 가구용 괘지구
JPS588849Y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ク機構におけるチェック装置
KR870001928Y1 (ko) 가구의 협지구
KR0127438Y1 (ko) 글라이딩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