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857B1 -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857B1
KR790001857B1 KR7502147A KR750002147A KR790001857B1 KR 790001857 B1 KR790001857 B1 KR 790001857B1 KR 7502147 A KR7502147 A KR 7502147A KR 750002147 A KR750002147 A KR 750002147A KR 790001857 B1 KR790001857 B1 KR 790001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mpound
active compound
eth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오스 야마다
주니찌 사이또
다쓰오 다무라
요시오 구라하시
Original Assignee
요셉 스로크하우젠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셉 스로크하우젠,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요셉 스로크하우젠
Priority to KR750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857B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살균제로 유효한 다음 구조식(Ⅰ)의 신규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구조식에서
R은 C1-C6알킬기이고,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기로는 R이 C1-C4알킬, 즉 메틸, 에틸, n-또는 이소프로필, 또는 n-, 2급-, 이소-또는 3급- 부틸이고, X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드를 나타내는 것이 좋다.
이미 일본 특허 공고 29,252/1969 호에 다음 구조식의 우레아 화합물이 살충, 살비, 살균작용 및/또는 제조작용을 가짐이 알려져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 구조식에서
X는 산소 또는 황원자,
R1, R2, R3, R4, R5, R6, R7, R8, R9및 R10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NO2라디칼을 나타내며, 단 R6-R10중 적어도 두개는 수소가 아니다.
R11은 직쇄 알킬렌기이고,
R12와 R13은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구조식(Ⅰ)의 화합물은 상기 일본 공고 제 29,252/1969호에 기재된 유효화합물과 비교해 볼때 강력한 살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식(Ⅰ)의 화합물은 다음 구조식(Ⅱ)의 아민을 구조식(Ⅲ)의 페닐이소시아네트와 반응시켜 제조한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R과 X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N-[4-클로로벤질]-N-2급부틸-아민과 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할때의 반응은 다음 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04
출발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식(Ⅱ)의 아민의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N-[4-플루오로-(또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 또는 요도-) 벤질]-N-이소프로필-아민,
N-[4-플루오로-(또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 또는 요도-) 벤질]-N-2급부틸-아민,
N-[4-플루오로-(또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 또는 요도-) 벤질]-N-(1-메틸부틸)-아민,
N-[4-플루오로-(또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 또는 요도-) 벤질]-N-(1, 2-디메틸프로필)-아민 및
N-[4-플루오로-(또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 또는 요도-) 벤질]-N-(1-메틸펜틸)-아민.
본 유효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은 용매나 희석제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및 불활성 유기 용매 또는 희석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임의로 염소 치환될 수 있다), 예를들면 헥산, 사이클로헥산, 석유에테르, 리그로인,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염화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또는 클로로벤젠, 에테르, 예를들면 디에틸 에테르 메틸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옥사이드, 디옥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탄, 케톤, 예를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또는 메틸 이소부틸케톤; 니트릴, 예를들면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에스테르류, 예를들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밀 아세테이트산 아마이드류, 예를들면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설폰류 및 설폭사이드류, 예를들면 디메틸 설폭사이드 또는 디메틸설폰 및 염기, 예를들면 피리딘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 범위는 넓지만 일반적으로 -20℃내지 반응 혼합물의 비점에서 진행되며 바람직하기로는 0°내지 100℃또는 반응혼합물의 비점사이의 온도이다.
이 반응은 상압하에서 바람직하게 진행되나 이보다 높거나 낮은 압력하에서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효화합물은 강력한 살균작용을 나타내며 온혈동물에 대해서는 독성이 낮다. 더우기 식물에 대한 약해가 없어 살균에 요하는 농도로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본 화합물은 고생균, 조균, 자낭균, 담자균 및 불완전균에 대해 유효하다. 특히 본 유효화합물은 담자균, 예를들면 벼잎집무늬 마름병균 및 가지잘록 병균의 방제에 효과가 높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유효화합물은 광범위 살균 작용을 가지며 식물의 지상부에 해를 입히거나 또는 토양을 통해 식물에 기관 사상균증(tracheomycosis)을 일으키는 기생진균류 및 종자 병원체의 살균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벼의 무서운 병인 벼잎집무늬마름병(Pellicularia sasakii)과 가지 잘록병(Pellicularia filamentosa)에 대해 특히 유효하다. 또한 이 유효화합물은 농작물의 다음과 같은 병에 방제에 유효하다. 벼도열병, 벼 흰빛잎 마름병, 배추흰빛썩음병, 감귤궤양병, 벼깨씨무늬병, 바나나 갈색무늬병, 양딸기 잿빛곰팡이병, 포도 나무노균병, 사과나무탄저병, 당근균핵병, 외따위탄저병, 귤나무수지병, 사과나무흰가루병, 팥흰가루병, 사과나무갈색점무늬병, 감자겹둥근무늬병, 배나무검은무늬병, 사과나무검은별무늬병, 배나무검은별무늬병.
전술한 바의 우수한 살균작용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화합물은 사람이나 가축에게 해로운비소나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함유하는 종래의 살균제로 방제해왔던 식물병원성 세균에 의해 발병하는 질병 방제에 사용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화합물을 용액, 유탁액, 수화제, 현탁액, 분제, 파스타제, 가용성분만, 입제, 에어로졸, 현탁-유탁농축제, 종자처리분말, 유효화합물을 천연 및 합성물질 중합성물질내의 미세캡슐, 훈연약포, 훈연캔, 훈연 코알라 같이 연소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제제 및 ULV 냉무 및 온무제제등과 같은 여러가지 통상 제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통상의 방법, 예를들어 액체나 고체 또는 액화 기체 희석제나 담체와 같은 증량제의 임의로 계면 활성제(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발포제)를 사용 유효 화합물과 혼합하여 제조한다. 물을 증량제로 사용하는 경우 유기용매를 보조용매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액체 희석제나 담체는 크실렌, 톨루엔, 벤젠 또는 알킬나프탈렌류와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클로로벤젠류, 클로로에틸렌류-또는 염화메틸렌과 같은 염소화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산 또는 광유획분과 같은 파라핀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부탄올 또는 글리콜과 같은 알콜, 또는 이들의 에테르류 및 에스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산은과 같은 케톤, 물 이외에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강한 극성 용매가 바람직히다.
액화 기체상의 희석제나 담체는 상압, 상온에서 기체 상태인 액체를 의미하는데 프레온과 같은 염소화 탄화수소가 이에 속한다.
고체 희석제나 담체로는 고령토, 점토 탈크, 백묵, 수정, 아타풀기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규조토와 같은 천연광물이나 고분산규산, 알루미나 또는 규산염과 같은 합성광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유화제나 발포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알콜에테르, 알킬설포네이트, 알킬설페이트, 알부민 가수분해산물과 같은 비이온 및 음이온 유화제가 있고 분산제로는 리그닌, 아황산 폐액 및 메틸셀루로즈가 이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효화합물은 다른 유효화합물, 예를들면 다른 살균제, 살비제, 살선충제, 제초제, 식물생장조절제, 식물영양제 및 항생물질과 항바이러스제와 혼합물로 혼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제당 유효화합물 함량은 0.1내지 95%, 바람직하기로는 0.5내지 90%이다.
또 용액, 유탁액, 현탁액, 분말, 파스타제 및 분제와 같은 제제들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물등으로 더 희석하여 사용한다. 살포법은 통상의 방법, 예를들어 관액, 분무, 훈증분사, 분산, 건분의, 습분의, 슬러리분의 또는 도포등의 방법으로 사용한다.
사용시의 유효화합물 농도 범위는 아주 넓지만 일반적으로 0.0001내지 2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05내지 10중량 %이다.
또 본 유효화합물을 극소 용적법(ULV)사용에 의해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때 95% 또는 유효화합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효화합물 사용량은 헥타르당 0.03내지 10kg, 바람직하기로는 0.3내지 이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양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유효화합물은 헥타르당 0.03내지 10kg, 바람직하게는 헥타르당 0.3내지 6kg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증감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고체 또는 액화된 기체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거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한 상태로 함유하는 살균제 조성물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한 상태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형태로, 진균류 또는 진균류의 서식지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여 진균류를 방지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더우기 본 발명은 유효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액체 또는 희석제와 혼합하여, 성장하기 바로 직전이나 성장중에 그 부위에 사용하여 진균류에 의해 입는 상해로부터 보호된 작물을 제공한다. 작물을 수확하는 통상의 방법이 본 발명에 의해 개량될 수 있다는 것을 상기로부터 알 수 있다.
다음에 기술하는 살균제 조성물의 제조예 1에서 7과 생물실험예 A및 B로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유효화합물은 이에 상응하는 다음의 제조예의 번호로 각각 정의하였다.
[제조예 1]
50부의 유효화합물(1), 45부의 규조토와 고령토(1 : 5) 혼합물 및 5부의 유화제 루녹스(Runnox 폴리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토호 가가꾸 고교 가부시기 가이샤 제품)를 함께 혼합하고 마쇄하여 수화제로 만든다. 이를 분무 시사하기전 유효화합물의 농도가 0.05%되도록 물로 희석한다.
[제제예 2]
30부의 유효화합물(2), 30부의 크실렌, 30부의 가와까솔(Kawakasol 고비점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혼합물, 가와사끼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품) 및 10부의 소르폴 (Sorpol 폴리옥시에틸렌알칼아릴 에테르, 토호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품)을 혼합, 마쇄하여 유탁액을 만든다. 이를 사용전에 유효화합물의 농도가 0.05%되도록 물로 희석한다.
[제조예 3]
2부의 유효화합물(1)과 98부의 탈크와 점토(1 : 3) 혼합물을 혼합 마쇄하여 분제로 만든다.
[제조예 4]
1.5부의 유효화합물(7), 0.5부의 이소프로필 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PAP) 및 98부의 탈크와 점토(1 : 3) 혼합물을 혼합, 마쇄하여 분제를 만든다.
[제조예 5]
10부의 유효화합물(5), 10부의 벤토나이드, 78부의 탈크와 점토(1 : 3) 혼합물 및 리그닌 설폰산염의 혼합물에 25부의 물을 가하였다. 이를 혼합하고 압축 입제기로 미세하게 잘라 20내지 40메쉬 크기의 입제로 만들어 40°내지 50℃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은 입제는 분산법으로 사용한다.
[제조예 6]
0.2내지 2mm의 크기를 가진 점토 95부를 회전 믹서에 넣고 5부의 유효화합물(4)(유기용매에 용해시킨 것)로 회전중에 분무하여 적신다. 이 입제를 40내지 50℃에서 건조하였다.
[제조예 7]
유효화합물(6) 0.5부, 벨시콜(Belsicol) AR-50 (고비점 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 벨시콜 회사제품) 20부와 등유 79.5부를 교반시키면서 혼합하여 오일상의 제제를 만든다. 다음 시험예는 본 발명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살균효과를 시험한 예이다.
[시험예 A]
벼잎집 마름 병균 방제시험(포트시험)
살균제 조성물의 조제
유효화합물 : 50중량부
담 체 : 45부의 규조토와 고령토(1 : 3) 혼합물
유 화 제 : 5부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상기 분양의 유효화합물, 담체 및 유화제를 혼합하여 수화제를 얻고 이를 원하는 농도까지 물을 가해 희석한다.
[시험방법]
벼(긴마쩨 변종)을 와그너 포트(1/5, 000 아르)에 일반논의 조건하에서 재배하였다. 어린 이삭 단계에서 유효화합물을 원하는 농도로 함유하는 액제제를 3개의 포트당 100ml의 분량으로 처리하였다.
유효화합물 처리 1일후 이벼에 10일간 배양한 벼 잎집무늬 마름병균을 감염시켰다. 이를 28 내지 30℃, 상대습도가 최소한 95%인 온실에 두어 배양하였다. 그런후 감염정도를 측정하고 유효화합물의 살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시 접종점(식물의 아랫부분에 있는)으로부터 번진 병해 부분의 범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kpo00005
여기서 N은 식물줄기의 총수
n0는 감염되지 않은 줄기의 수
n1은 아랫부분으로부터 최초잎집 부분까지 감염되어 있는 줄기의 수
n2은 아랫부분으로부터 두번째 잎집까지 감염되어 있는 줄기의 수
n3은 아랫부분으로부터 세번째 잎집(또는 이보다 더 먼거리)까지 감염되어 있는 줄기의 수를 나타낸다.
이 시험 결과는 다음 표(A)에 나타내었으며 "-"는 약해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표 A]
벼 잎집 마름병균 방제시험
Figure kpo00006
참조 : 비교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일본 특허공고 제 29, 252/2, 969 호에 기재된 것이다)
"폴리옥신" : 시판용 폴리옥신 복합물 (항생물질)
[시험예 B]
유효 잘록병 방제시험(온실)
이 시험에선 여러가지 농작물 유묘에 잘록병을 일으키는 가지 잘록병균을 방제하기 위해 유효화합물을 토양처리한다.
유효화합물제제
적당한 유효화합물 제제를 얻기 위해 유효화합물 3부를 97부의 탈크와 혼합하여 분말제를 만든다.
[시험방법]
겨로 된 배지에서 10일간 배양한 가지 잘록병균을 토양표층(점토질 양토)에 적종하여 "접종토양"을 얻는다. 상기에서 얻는 유효화합물 제제를 토양에 가한다음 잘 섞는다. 이 처리 토양과 비처리 대조토양을 27cm×18cm×9cm의 플라스틱상자에 각각 넣고 여기에 오이, 가지 및 왜무 종자를 상자당 50알씩 심었다. 이 상자들을 온실에서 통상 조건하에 두었다. 일정시간마다 감염묘의 수를 관찰 기록하고 유효 화합물의 약해를 체크하였다. 심은지 25일후 감염표의 총수를 기록하였다.
이 시험 결과는 다음 표(나)와 같다. "-"란 약해가 없음을 의미한다.
[표 B]
유묘 잘록병 방제시험
Figure kpo00009
참조 : 비교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PCNB는 시판 펜타클로로-니트로벤젠이고
(e)는 표A에서의 화합물과 같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예이다.
[실시예 1]
Figure kpo00010
30g (0.15몰)의 N-(4-클로로벤질)-N-2급부틸아민을 500ml의 에테르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18g (0.15몰)의 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50ml의 에테르에 용해한 용액을 냉각, 교반시키면서 적가하였다. 적가후 용액의 온도를 서서히 높히고 이용액을 실온에서 약 10시간 교반하였다. 이때 생긴 결정을 여과하여 분리한후 헥산과 에틸알콜 용매 혼합물로 재결정하여 44g의 N-(4-클로로벤질)-N-2급부틸-N'-페닐우레아를 얻었다.
수율 : 93%
융점 : 80 내지 81.5℃
[실시예 2]
Figure kpo00011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48g (0.2몰) N-(4-브로모벤질)-N-2급부틸아민을 24g (0.2몰)의 페닐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66.5g의 N-(4-브로모벤질)-N-2급부틸-N'-페닐우레아를 얻었다.
수율 : 91%
융점 : 86 내지 88℃
다음 화합물도 실시예 1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kpo00012
[실시예 7]
Figure kpo00013
19g (0.2몰)의 아닐린을 300ml의 톨루엔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25g (0.1몰)의 N-(4-클로로벤질)-N-이소프로필-카바모일 클로라이드를 70ml의 톨로엔에 용해한 용액을 냉각, 교반시키면서 적가하였다. 적가후 용액의 온도를 서서히 올려 70내지 80℃에서 약 5시간 교반하였다. 냉각후 얻어진 아날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여과하여 분리한다음 톨루엔 층을 100ml의 냉수로 씻어내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톨루엔을 증류해내고 잔류물을 헥산과 에틸알콜의 혼합물로 재결정하여 25g의 N-(4-클로로벤질)-N-이소프로필-N'-페닐우레아를 얻었다.
수율 : 85%, 융점 : 109 내지 111℃

Claims (1)

  1. 다음 구조식(Ⅱ)의 아민을 구조식(Ⅲ)의 페닐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구조식(Ⅰ)의 우레아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4
    상기 구조식에서
    R은 C1-C6알킬이고,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KR7502147A 1975-10-01 1975-10-01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KR790001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147A KR790001857B1 (ko) 1975-10-01 1975-10-01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147A KR790001857B1 (ko) 1975-10-01 1975-10-01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857B1 true KR790001857B1 (ko) 1979-12-26

Family

ID=1920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147A KR790001857B1 (ko) 1975-10-01 1975-10-01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85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7847A (en) 2-cyano-2-hydroxyiminoacetamides as plant disease control agents
JPH0333701B2 (ko)
DE2543888C3 (de) l-Phenyl-S-alkyl-S-benzylharn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Fungizide
US3882247A (en) Fungicidal nitro organic sulfur compounds
KR790001857B1 (ko) 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JPS6013039B2 (ja) 植物保護剤
JPH0764688B2 (ja) 農園芸用殺菌組成物
JPS6249275B2 (ko)
DD246022A5 (de) Fungizides mittel
KR920002793B1 (ko) 벤질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316911A (en) Ureidosulfenyl carbamate nematicides
KR790001858B1 (ko) 티오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051255A (en) 2-cyano-2-hydroxyiminoacetamides as plant disease control agents
JPH01117864A (ja) 置換ニコチン酸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園芸用殺菌剤
KR820000055B1 (ko) 우레아 또는 티오우레아 화합물의 제조방법
EP1364951B1 (en) Triazoquinolone derivatives as pest controllers
JPH04178363A (ja) 尿素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
US4423246A (en) Selected trichloroacetamidines
JPH05140124A (ja) トリアゾール誘導体および除草剤
JPS62103067A (ja) ピラゾ−ル誘導体、それら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除草剤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S62106093A (ja) N−(α−シアノフルフリル)ニコチン酸アミド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除草剤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H02300157A (ja) ベンジルカーバゼート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農園用殺菌剤
JPH02229163A (ja) N―(2―クロロイソニコチノイル)誘導体または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園芸用殺菌剤
WO1982002714A1 (en) Fungicides
JPH0572882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