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851B1 - 환형 압출품의 두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환형 압출품의 두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851B1
KR790001851B1 KR7404379A KR740004379A KR790001851B1 KR 790001851 B1 KR790001851 B1 KR 790001851B1 KR 7404379 A KR7404379 A KR 7404379A KR 740004379 A KR740004379 A KR 740004379A KR 790001851 B1 KR790001851 B1 KR 79000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hickness
circuit
gat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 뎀비아크 마티우.
제이. 크로세크 죤.
Original Assignee
루벤 스펜서
웨스턴 일렉트릭 캄파니 인코포 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벤 스펜서, 웨스턴 일렉트릭 캄파니 인코포 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벤 스펜서
Priority to KR740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85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형 압출품의 두께 제어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코어(core) 주위에 프라스틱 피복(jacket)을 압축시키기 위한 압출장치와 그 제어장치를 도시한 측입면도.
제 2 도는 압출구멍에 대한 코어의 편심 효과를 도시한 제 1 도의 장치의 압출구멍의 단면도.
제 3 도는 압출구멍 중심에 있는 코어의 타원단면의 영향을 도시한 제 2 도의 압출구멍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셋트 기능을 도시한 제 1 도장치의 두께 및 원형 제어셋트의 개략계통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제어셋트의 처리장치 회로의 개략계통도.
제 6 도는 입력신호가 소정의 표준 신호에 비교되는 처리장치의 부분 개략계통도.
제 7 도는 처리장치내의 지시기 회로의 개략계통도.
제 8 도는 제 4 도의 제어셋트의 원형 제어장치의 개략계통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발생한 시간 함수의 시간 다이어 그램.
제 10 도는 제 4도의 제어셋트의 두께 제어장치의 개략계통도.
제 11 도는 제 10 도의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환형 압출품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케이블 코어(cable core)와 같이 가늘고 긴 물품 주위에 압출된 프라스틱 피복(jacket)의 두께 및 균일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을 제조할 때 보통 가늘고 긴 금속 코어 주위에서 프라스틱 피복을 압출한다. 이 피복은 금속코어를 절연시키고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피복된 케이블을 제조할 때, 여러가지 이유로 압출된 피복두께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복의 두께가 얇을 때에는 코어를 보호하기가 불만족하다. 노출된 금속이나 소정의 최소치이하로 얇게 피복되었을 때는 위험에 견딜 수 없게된다. 한편 피복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우면 낭비를 가져오므로 케이블의 제조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므로, 엄격한 공차(tolerance) 범위내에서 압출된 피복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된 피복의 두께를 측정하는 종래의 장치중에는 초음파 케이블 피복두께 및 편심 감시기가 있다. 이것은 피복의 수직 및 수평으로 마주보는 사분원(quadrant)의 각각의 두께를 감시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유리하게 사용되었다. 이러한 초음파 감시기는 보그스(Boggs)등 몇명이 발명하여 웨스턴 일렉트릭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Western Electric Co., Inc.)에 양도하고, 1972년 7월 5일자로 출원한 특허원 제 286, 961 호 와 제 268, 973 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두께를 제어할 때 초래되는 문제들이 종래 기술에 의해 취급되어왔다. 예를 들어, 에이. 앰. 이즈리(A. M. Isley)등 몇명이 발명하여 웨스턴 일렉트릭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에 양도하고 1972년 10월 10일자로 출원한 특허원 제 296, 505 호는 케이블 코어를 압출구멍의 중심에 정하며, 압출된 피복에 관련해서 케이블 코어의 편심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기술하였다. 피복에 관련해서 코어의 편심을 조절하는 것은 피복의 서로 마주보는 사분원의 피복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한쪽 사분원에서는 피복 두께가 과대하게 두터워지고, 그 반대쪽 사분원에서는 코어를 노출시키지 않고 피복두께를 엄격히 제어하게 한다.
그러나 케이블 코어의 단면 모양의 압출 구멍의 모양과 다를 때 피복 두께는 균일하지 못하다.
예를 들면 케이블 코어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된다.
압출 구멍이 둥글다면, 코어의 외부 표면과 압출구멍의내부 표면간의 간격은 인접사분원 사이에서 변한다. 결과적으로 압출된 피복은, 예를들어 좌우 사분원에 대해서 상하 사분원에서 더 얇게 될 수도 있다.
이리하여 소위 둥글게하는 로울러(roller)로서 코어의 모양을 변하게 하는 기술이 알려져왔다. 이 두 개의 대면하는 로울러는 코어의 두 반대면에 압력을 가하여 한 방향에서 코어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압력이 없는 방향에서 코어의 직경을 증가시킨다. 서로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이들 로울러의 두 셋트(set)는 제 1 방향의 주축을 갖는 타원으로부터, 여기에 수직방향의 주축을 갖는 타원으로 코어의 단면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피복두께의 균일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코어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것은 작동자의 계속적인 주의를 요한다. 흔히 피복의 한 사분원에서의 두께가 바람직한 최소값 이하로 떨어지기 전에는 피복두께의 불균형이 발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형 압출품의 두께의 균일성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인접한 사원분의 평균 두께에 대해서 서로 마주보는 환형 압출품의 사분원의 평균 두께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형 압출품의 인접사분원사이의 두께 차이를 최소로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형 압출품의 두께를 적당한 두께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형 압출품의 어떤 사분원에서 설립된 최소두께이상으로 그 두께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가늘고 긴 물품을 압출시키기 위한 새로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환형 압출품에 두께를 제어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이방법에서 제 1, 제 2 신호가 발생하는데, 그중 하나는 서로 다른 두 사분원의 평균 두께에 대해 선정된 허용값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지시하고, 또 하나는 평균두께치가 소정의 두께범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지시한다. 이 제 1 신호는 제 1 장치에 인가되어 인접한 사분원의 두께에 대해 서로 마주보는 사분원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한다. 이 제 1 신호에 응답하는 제 1 장치는 두께의 균일성을 증가시킨다. 제 2 신호는 제 2 장치에 인가되어 물품의 평균 두께를 조절한다. 이 제 2 신호에 응답하는 제 2 장치는 물품의 평균 두께를 두께 범위내의 값으로 변화시킨다. 제 1 신호가 제 1 장치에 인가될 때에는 제 2 신호는 제 2 장치에 인가되지 않으며 평균두께는 이 두께 범위값을 초과한다.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피복된 케이블 33을 형성하기 위해 케이블 코어 32와 같은 가늘고 긴 물품 주위에관 모양의 피복 31을 형성한다. 피복 31의 재료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프라스틱, 예를들면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것이다.
코어 32가 수평 압출기 34의 크로스헤드(crosshead) 36으로 나올 때, 압출기에 의해서 피복 31이 코어 32주위에 압출 형성되어진다. 여기에서 압출된 케이블 33은 가늘고 긴 냉각통 37을 통과한다. 그리하여 캡스턴(capstan) 38은 냉각통 37을 통과한 케이블 33을 당기고, 권취릴 (reel) 41로 보낸다.
냉각통 37내에 설치된 감지장치 42는 케이블 33의 세로 측으로 횡단하는 단면의 각각의 4사분원에서 피복 31의 두께를 측정한다. 본 발명은 피복 31의 두께를 측정하는데, 특별한 장치로 제한하지는 않지만, 전술한 출원번호 제 268, 961호와 제 268, 973호에 기술된 초단파 케이블 피복두께 및 편심감시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출원에서는 감시기는 압출을 하자마자 피복 31의 두께를 즉시 측정할 수 있다. 이 감시기는 초단파이기 때문에, 피복 31과 감시기 사이에 물리적 접촉없이 측정될 수 있다. 통 37내의 냉각유체는 감시기에 대해 우수한 결합매개체를 제공하므로서, 감지장치는 크로스헤드 36에 인접한 통 37내에 이상적으로 설치되며, 여기에서 바람직한 피복두께로 부터의 바람하지 않은 편차는 코어 32주위의 피복이 압출된 직후에 탐지된다.
이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감지장치 42는 초단파 기술을 사용한다. 감지장치 42의 출력은 압출제어 장치 46에 감시 정보를 궤환하는 편신 시험셋트 43에 결합된다.
이 제어장치 46은 제 1 및 제 2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 47과 48을 자동적으로 구동시켜서, 크로스헤드 36내에 피보트(pivot)로 장착된 형성 부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킨다. 형성부재의 위치변화는 코어 32에 대한 피복 31의 편심을 교정한다. 제 1 및 제 2 스텝핑 모터 51과 52는 제 1 및 제 2 스텝핑모터 47과 48에 연동되어, 크로스헤드 36내에 있는 형성부재의 상대적위치의 시각적 표시 53을 조절한다. 선택스윗치 54는 장치 46을 자동 모우드에서 수동모우드로 변환시키며, 그내에 있는 레버(lever) 55는 크로스헤드 36에 형성부재의 중심을 정하는 데 사용된다. 피복 31의 편심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장치 46과 편심 시험 셋트 43과 감지장치 42의 동작설명은 전술한 이즈리등 몇명이 출원한 것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각각의 4개의 측정된 사분원에서 피복두께의 정보는 편심 시험셋트로부터 두께 및 원형 제어셋트 56으로 공급된다. 이 셋트 56은 바람직한 최적값이나 그 근사값으로 피복 31의 두께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셋트 56은 피복 31의 인접사분원사이의 피복두께의 균일성을 조절하고, 피복 31의 평균 두께를 조절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피복 31의 인접사분원 사이의 피복 두께는 코어 32가 압출기 34의 크로스 헤드 36에 들어 가기전에 코어 32의 모양을 변형시킴으로서 균형화되어 진다. 이 제어셋트 56은 상업적으로 유용한 표준 모터 제어회로 57을 통하여, 원형화장치 61의 압압로울러 60을 구동시키는 두개의 모터 58과 59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원형화장치 61은 모터 58과 59에 의해 구동될 때, 코어 32의 원형을 수평 방향으로 주축을 갖는 타원형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주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물론 압압로울러 60의 축 위치는 코어의 모양이 형성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실질적인 방향을 결정한다. 압압로울러 60의 축에서 수직 및 수평 방향을 선택하면 원형화장치 61의 축들과 피복 31의 두께를 측정하는 주축들 사이가 일치하게 된다.
제 2 도와 제 3 도를 참조하면, 원형화장치 61과 전술한 이즈리 등 몇명이 출원한 것에 기술된 편심 제어 장치와의 차이와 동작이 명백해진다. 제 2 도는 크로스헤드 36의 압출구멍 63에 대한 코어 32의 개략단면도이다. 이와함께 관련하여 감지장치 42의 4개의 초단파 감지탐침 64를 도시하였다. 탐침 64는 상하 사분원 67과 68에서, 또 좌우사분원 69와 70에서 각각 피복 31이 측정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코어 32가 압출구멍 63의 중심에 있을 때에는 언제나, 구멍 63의 내부벽 73과 코어 32사이에 있는 사분원 67-70의 공간 72는 각각 마주보는 사분원의 대응공간 72와 같다. 예를들어 공간 72는 상하사분원 67과 68에서, 또 좌우 사분원 69와 70에서 폭이 같다.
구멍 63의 중심으로부터의 코어 32의 편차는 최소한 한 사분원에서 공간 72의 폭을 증가시킨다. 예를들면 제 2 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코어 32는 하측 사분원 68내의 공간 72의 폭을 증가시키고 상축 사분원 67내의 공간 72의 폭을 감소시킨다. 그러한 구멍 63의 중심으로부터의 코어 32의 편차는 궁극적으로 상측 사분원 67에서 압출된 피복 31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하측 사분원 68에서 피복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피복두께의 이러한 차이는 전술한 이즈리등 몇명이 출원한 것에 기술된 장치에 의하여 감지되고 고정된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구멍 63의 중심에 위치한 코어 32의 단면부가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사분원 67-70의 각각에서의 공간 72는 각각 마주보는 사분원에서의 공간 72와 같다. 그러므로, 압출 구멍 63에 대한 코어 32의 집중이 만족해진다. 그러나, 코어 32의 단면이 타원형 이므로, 인접사분원에서 볼 때 공간 72의 폭은 같지 않다. 결과적으로 압출된 피복 31의 두께는 인접사분원 사이, 예를들면 상측과 좌측 사분원 67과 69사이에서 두께가 변하게 된다. 기술한 두께 및 원형 제어 셋트 56은 편심시험셋트 43에서 수신한 것과같은 각각의 사분원내의 피복두께상에 있는 정보에 응답하여 원형화장치 61을 제어하므로서 피복두께를 조절하여 인접사분원 사이의 두께차이를 균일하게 한다.
두께 및 원형 제어셋트 56의 두번째 기능은 피복 31이 평균 두께를 바람직한 최적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평균 피복두께는 크로스헤드 36을 통하는 코어 32의 직선 진행에 대해 피복재질의 압출비를 변화시키므로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크로스헤드 36을 통하여 압출되는 재질을 변화시키거나 크로스 헤드를 통하여 코어 32의 직선 진행을 변화시키므로서 평균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압출된 피복 31의 평균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서, 두께 및 원형 제어셋트 56이 동작시에 캡스턴 38의 속도를 변화시키는 속도 제어셋트 75에 결합된다. 셋트 56이 정상 동작할 때 계속적으로 전압을 변화시키는 제어신호가 셋트 75를 통과하여, 피복두께를 바람직한 최적 평균값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속도로 캡스턴 38의 속도를 유지, 감소 또는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최적 두께로 피복 31의 평균 두께를 조절하는 것과 인접사분원에서 피복 31의 두께를 균일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압출구멍 63에 대한 코어 32의 편심에의 한 조정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많은 제어 기능은 피복 31의 두께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하고 교정되지 않은 압출 상태를 계수하는 제어셋트 56이 알람(alarm) 상태를 나타내는 두께 및 원형 제어셋트 56에 의해 발생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두께및 원형 제어셋트 56은 세개의 기본 장치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장치 78은 편심시험 셋트 43으로부터 정보 신호를 처음 받아들인다. 여기에는 시험 셋트 43에서부터 수신한 4개의 다른 정보 즉 사분원 신호가 있다. 각각의 사분원 신호는 아날로그전압신호이며, 그 크기는 코어 32주위의 사분원중의 하나에 있는 피복 31의 두께에 상응한다.
이 사분원 신호는 처리되어져서 2진 결정 신호로 된다. 이 결정 신호는 원형 신호와 두께 신호로서, 피복 31의 서로 마주보는 2셋트의 사분원중 한 셋트사이에서 피복 31의 평균 두께가 다른쪽 피복의 평균 두께와 같은지, 또는 예를들어, 피복 31의 좌우 사분원이 피복의 상하 사분원에 대해 너무 두꺼운지를 지시한다. 또 피복 31의 평균 두께가 표준 두께 범위를 따르거나, 평균 두께가 그러한 범위 이상이나 이하로 떨어지는 가를 지시한다.
이원형 신호는 원형 제어장치 81에 인가되고, 두께 신호는 두께 제어장치 81에 인가된다. 이 원형 제어장치 81과 두께 제어장치 82는 차례로 제어신호들을 발생하여 각각 원형화장치 61과 속도 제어셋트 75를 조절한다.
신호 처리장치 78은 편심 시험 셋트 43으로부터 사분원 신호를 수신한다. 이 신호는 필터 완충기의 뱅크(bank) 84를 통해 처리장치 78에 인가된다. 가산회로 85와 86은 좌우 사분원 70과 69의 사분원 신호와 상하사분원 67과 68의 사분원신호를 각각 평균한다.
가산회로 87은 회로 85와 86의 출력신호를 합한다. 승산 인자는 가산회로 87의 출력과 사분원 입력의 순수평균값을 부여한다.
인접 사분원의 피복두께 차이는 코어 32의 모양이 압출구멍 63에 대해 변경되어져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감산. 승산 회로 88은 가산회로 86의 출력신호로부터 가산회로 85의 출력신호를 감산한다. 이 결과적인 신호는 상하사분원의 피복두께의 평균값으로부터 감산된 좌우 사분원의 피복두께의 평균값에 대응한다. 승산인자는 피복 31의 평균상하 두께와 평균 좌우 두께사이의 차이의 순수값을 지시하는 출력을 산출한다.
처리장치 78은 사분원 신호를 평균하고, 인접 사분원에서의 피복두께값의 변화를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또한 저신호 검출회로 91을 통해 가장 낮은 사분원 신호값을 검출한다. 이 낮은 사분원 신호는 피복 31의 사분원중의 어느 하나에서 두께가 최소 안전 값 이하로 떨어질때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사용된다.
제 5 도는 처리장치 78의 회로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특히, 완충기 뱅크 84의 전형적인 완충기 92는 완충기 소자로서 잘 알려진 종래의 연산 증폭기 94와 RC 필터회로 93을 포함한다. 이 사분원 신호들은 완충기 92를 각각 하나씩 통과하고 두 개의 가산 회로 85와 86중의 하나의 입력선에 인가된다.
이 가산 회로 85는 좌우 사분원의 1/2평균 두께치의 출력신호를 갖도록 승산 인자를 포함한 가산반전기로서 종래 사용되어온 연산 증폭기 95를 포함한다. 이 가산회로 86은 가산회로 85와 같다. 이 출력신호는 상하 사분원 67과 68에서의 피복 31의 두께 평균값의 1/2에 대응한다.
이 가산회로 87은 연산 증폭기 97과 저항성 입력 궤환회로를 포함하여, 가산회로 85와 86으로부터의 출력을 가산 및 반전시킨다. 결과적으로 가산 회로 87의 최종 출력신호는 4개의 사분원 67-70전체에서의 피복두께 평균값에 대응한다.
감산회로 88은 연산 증폭기 98과 저항성 입력 및 궤환소자를 포함하여, 두개의 이득을 증폭기 98의 출력신호에 전한다. 이 최종 출력신호는 좌우 사분원 신호의 평균값으로부터 상사 사분원 신호 평균값을 감산한 것에 대응한다.
저 신호검출회로 91은 병렬로 배열된 다이오드101-104를 포함한다. 이들 다이오드 각각의 캐소드에 인가된 사분원 신호 전압은 다이오드 접합을 부도전 상태로 만들려고 이 접합을 역바이어스 하려고 한다. 그러나 저항 105를 통해 다이오드의 각각의 애노드에 인가된 순 방향바이어스 전압은 사분원 신호로부터의 역바이어스 전압을 능가하여 최소한 하나의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도전상태로되는 경향이있다. 물론 가장 낮은 역바이어스 전압을 갖는 다이오드가 처음 도전상태로되는 다이오드이다. 다이오드101-104중의 하나가 도전상태로되면, 순방향 바이어스전압은 최저 사분원 신호의 전압레벨로 크램프된다. 다이오드 106은 각각의 입력 다이오드의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강하를 보상하여 다이오드 106의 캐소드의 전압레벨을 최저전압레벨을 가진 사분원 신호 전압으로 조정한다. 이때에 저신호 검출회로의 출력은 완충이득 조정회로 108을 통과한다. 이득 조정회로 108은 주로 완충작용을 하는 직렬로 연결된 세개의 증폭기 109-111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증폭기 110은 궤환 루프에서 전위차계 112를 포함하여, 이 전위차계가 저항 113과 결합되어 완충기 108의 출력전압을 공지된 전압입력에 정확하게 정합시키게 한다. 처리장치 78로 들어오는 입력신호에 대해 완충기 108로 부터의 출력신호의 정확성은 낮은 사분원 출력이 피복 31의 낮은 두께를 나타내며 즉시 교정 작용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평균피복두께, 인접사분원에서의 피복두께간의 차이, 및 가장 낮은 값을 갖는 사분원 신호는 표준값과 공차에 비교하여, 그들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한다. 세개의 비교측정기 회로 115, 116 및 117은 회로 87, 88 및 108의 출력신호를 선정된 표준 피복두께 표준피복두께의 백분률 범위, 최소 표준두께에 각각 관련시킨다.
피복두께에 대한 바람직한 최적값은 조정 가능한 기준회로 121에 표준을 둔다. 이 출력은 허용할 수 있는 두께 범위의 표준 또는 최대 두께값에 대응하며, 그 범위내에서 두께 및 원형 조절 셋트 56은 평균 피복두께를 유지한다. 이 표준 두께값과 이것에 의한 백분윤 감소값은 상한과 하한공 차범위를 정하고, 그 범위내에서 피복두께는 회로 56에 의한 계속적인 교정작용을 필요로하지 않고도 변화한다. 이 두께 기준 회로 121의 출력은 결과적으로 공차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회로 122에 결합된다. 회로 122로부터 표준 피복 두께는 실제적인 평균 피복두께를 표준두께값 및 그 공차 범위에 관련시키는 비교측정기 115에 인가된다. 비교측정기 116에 인가된 표준두께의 정(正), 부(負)한계, 즉 정, 부 백분율은 사선(deac band)을 설정하고, 그내에서 인접사분원의 두께 또는 피복 균일성이 셋트 56에 의한 교정 작업을 필요로하지 않고도 변화된다. 케이블이 불합격되는 피복두께에 대응하는 최소 표준두께는 비교 측정기 117에 인가되고 낮은 사분원 신호에 관련된다.
제 6 도는 비교 측정기와 두께 기준 및 공차회로를 더 명확히 도시한 것이다. 이 두께값은 캐패시터 127에 병렬로 결합된 제너 다이오드 126에 의하여 정확한 전압으로 크램프된 조절 전압공급원으로부터 유출된다.
외부의 전위차계 128은 제너 브레이크다운 전압값보다 낮은 값으로 전압을 정확하게 조정한다. 외부 디지탈 전압계 129는 스윗치 130을 통하여 증폭기 131의 출력에 접속된다. 증폭기 131의 이득은 피복 31의 바람직한 두께를 바로 해독하는 것과 같이, 예를들어 밀(mils) 또는 어떤 바람직한 측정 단위로서 작동자가 디지탈 전압계 129에 나타난 값을 읽도록 선정되는 조절된 신호는 완충 증폭기 132를 통과하고 바람직한 공차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회로 122에 인가된다. 회로 122에서의 공차번위는 종래방법으로 전압분배기를 사용하므로서 설정된다. 이것은 회로 122에 인가된 표준 두께가 바람직한 공차값에 대한 기준이 되며 그러한 값은 설정된 표준 피복두께의 백분율을 고정시킨다.
예를들면, 전압분배기 136의 저항 134와 135는 입력전압의 5%출력을 산출하도록 선택된다. 전위차계 128이 표준 피복두께를 높은 값으로서 변화시키도록 조절되어도, 전압분재기 136에 의해 설정된 공차는 5%를 유지한다.
전압분배기 136의 출력은 반전되어 부의 공차범위로서 발전된 신호를 설정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공차값에 대한 양호한 값은 5%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특별한 작용에 대한 바람직한 값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값들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저항 134와 135의 값을 변화시키므로서 대체된다.
제 2 전압 분배기 141의 표준 두께에 대응하는 전압보다 10% 낮은 출력전압을 설정하고, 이 전압분배기 141의 출력은 경보상태에 도달하기 이전에 최소 표준두께로 부터의 최대 하한 이탈에 대응한다. 전압분배기 141로 부터의 출력은 비교측정기회로 117의 증폭기 142의 정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완충회로 108의 출력은 증폭기 142의 다른 부의 단자에 인가된다. 완충회로 108의 출력이 최소표준두께보다 더욱 정(正)으로 있는 한, 비교 측정기 회로 117은 부(否)로 된다.
비교 측정기 회로 116은 두개의 출력단자 147과 148을 각각 갖고 있는 증폭기 145와 146을 포함한다. 전압분배기 136으로부터 설정된 정의 공차는 완충증폭기 151을 통하여 증폭기 145의 부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감산회로 88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좌우 사분원의 평균값으로부터 상하 사분원의 평균값을 감산할 것에 대응한다. 이 출력신호는 증폭기 145의 정의 입력단자와 증폭기 146의 부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감산회로 88의 출력신호가 증폭기 45에 인가된 설정된 정의공차보다 더 적은 정(正)일 때, 증폭기 45의 출력은 부로된다. 그러나 감산회로 88의 출력이 정의 공차범위보다 더욱 정이라면, 증폭기 145의 출력은 불균형 두께를 지시하는 정으로될 것이며, 여기에서 좌우 사분원의 두께는 표준 피복두께의 5%이상으로 상하사분원의 두께를 초과한다. 또한 감산회로 88의 출력신호가 증폭기 146에 인가된 부의 공차보다 더 정일 때, 증폭기 146의 출력신호는 부의 상태로된다. 그러나, 감산회로 88의 출력신호가 증폭기 146에 인가된 부의 공차보다 더 부 이라면, 그때에 증폭기 146의 출력도선 148에 나타나는 출력신호는 피복 31의 상하사분원이 설정된 최적 피복 두께의 5%이상으로 좌우 사분원보다 더 두꺼워진다.
비교 측정기회로 115는 두개의 출력단자 157과 158을 각각 갖는 두 개의 증폭기 155와 156을 포함한다. 표준 피복두께는 증폭기 155의 부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두께값은 전압분배기 159에 인가되며, 그 내의 저항 161의 모든 저항선과 전위차계 162는 전압분재기 159의 출력신호가 증폭기 156의 정의 단자에 인가될 때 피복 31의 선정된 최적 두께값의 약 95%의 값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진다. 전위차계 162를 조정할 때, 스윗치 130은 전압계 129를 전압분배기 159의 출력에 연결시킨다.
가산회로 87의 출력, 예를들면 피복 31의 평균 두께 값은 증폭기 155의 정의 단자와 증폭기 156의 부의 단자에 인가된다. 가산회로 87의 출력신호가 증폭기 155의 부단자에 인가된 표준 두께에 의해 설정된 공차와 증폭기 156의 정의 단자에 인가된 전압분배기 159의 출력신호에 의해 설정된 더 낮은 범위내에 있게 될 때, 비교 측정기 회로 115의 두 출력 신호 157과 158은 부의 상태를 유지한다. 단자 157에서의 정출력 신호는 피복 31의 평균 두께가 표준두께를 초과했다는 것을 지시한다. 비교 측정기 회로 115의 단자 158에서의 정의 출력신호는 평균 피복두께가 전압분배기 159에 의해 정해진 하측 범위이하로 떨어졌다는 것을 지시한다.
제 7 도를 참조하면, 비교측기회로 115, 116 및 117의 출력 신호가 두께 제어 지시호로 165, 원형 제어지시회로 166 및 낮은 사분원 감시지시회로 167에 각각 인가된다. 비교측정기 회로 115-117의 출력신호에 대해서 회로 165-167은 반전회로이다.
한가지 예외로서, 두께 제어 지시회로 165는 원형 제어 지시회로 166과 동일한며, 낮은 사분원감시지시회로 167과 회로 165사이에 한쌍의 상호 연결도선 168과 169가 있다는 것이 예외이다.
출력신호 157과 158은 다이오드를 171, 172를 통해 트랜지스터 173과 174의 베이스에 각각 연결된다. 두 트랜지스터 173, 174의 에미터 단자는 접지에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는 저항 177을 통해 정바이어스 전압 VB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173과 174의 콜렉터 전압은 회로 165의 출력신호에 반전된 것이다. 예를들어, 트랜지스터 173의 베이스 에서의 높은 입력은 트랜지스터를 동작시키고 콜렉터 전압을 접지로 되게한다. 한편 트랜지스터 173의 베이스의 낮은 입력신호는 트랜지스터를 오프(off) 상태로 하고 콜렉터 전압을 VB로 상승시킨다.
피복 두께가 설정된 공차보다 크거나 작을 때는 언제나 두 트랜지스터 173과 174의 콜렉터 전압은 낮다.
시각(視角) 지시기 178과 179는 정의 바이어스 전압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 173과 174의 콜렉터에 각각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173이나 174의 콜렉터에서의 낮은 전압은 관련된 시각지시기 178이나 179를 동작시킨다. 트랜지스터 173과 174에 영향을 주는 피복두께의 공차 초과상태는 서로 상호 독립적이다. 피복 31의 평균두께는 너무 두꺼워지거나 너무 얇아질 수는 있어도 동시에 두껍고 얇게 될 수는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회로 166에서 두 가지의 가능한 상태중 단 하나만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피복 31의 좌우분사원 69와 70은 상하 사분원 67과 68보다 더 두껍거나, 상하 사분원이 좌우 사분원보다 더 두껍다. 그러므로 시각 지시기 178이나 179중에 단 하나만이 공차범위 초과상태를 지시한다.
피복 31의 두께가 설정 공차 범위내에 있으면, 두 콜렉터 단자는 VB에 있게되고, 시각지시기 178과 179의 어느 쪽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트랜지스터 173과 174의 두 콜렉터 단자상의 고전압은 저항 177의 부행 단자전압을 VB로 상승시킨다. 결과적으로, 정 바이어스 전압은 제 3 트랜지스터 18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 181은 동작 상태로 되고 제 3 시각지시기 182용 전류 통로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제어셋트 56이 동작될 때에는 언제나 시각지시기 178, 179, 182중의 단 하나만이 동작되어, 특별한 공차범위 초과상태를 지시하거나 공차 초과상태가 피복 31에 존재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지시기의 어느것도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제어 셋트 56이나 지시기의 기능불량이 나타나게 된다. 원형 제어 지시기 셋트166상의 지시기 183에 유사한 지시기 178, 179, 182나, 지시기 183은 필라멘트램프나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것을 택할수 있다. 이들 지시기는 제어셋트 56의 전면판(도시되지 않음)이나 각회로 근처에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도, 회로의 병렬연결에 의해서 지시기 178, 179, 182, 183을 각 회로 근처나 전면판에 쉽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회로 166은 상술한 회로 165와 동일하다. 두 회로 165와 166은 피복 31이 각각의 설정된 공차범위내를 유지할 때는 언제나 두 출력도선(187, 188과 189, 190)에 보통 높은 신호 출력을 나타낸다.
공차초과 상태가 발생했을 때에는 저신호가 도선 187-190의 각각의 하나에 나타난다.
비교 측정기 117의 출력신호는 회로 167의 트랜지스터 193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정이 바이어스 전압은 지시기 183을 통해 트랜지스터 193의 콜렉터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가 그의 베이스에 나타나는 정의 신호에 의해 동작될 때는 언제나, 지시기 183을 통해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전원은 트랜지스터 193의 콜렉터에 전류를 제공한다. 회로 117로부터 트랜지스터 193의 게이트에 인가된 낮은 신호레벨은 트랜지스터 193의 콜렉터에서 높은 전압신호를 유지한다. 이 콜렉터 신호 전압은 회로 167의 출력단자 194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193이 오프로 될 때는 언제나 지시기 183도 오프상태로 된다. 두 개의 다이오드 195와 196은 보통 역바이어스 되어있고 트랜지스터 193의 콜렉터에 나타나는 고전압 신호는 회로 165의 어디에도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193의 베이스에 인가된 정의 신호는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서 낮은 신호로 된다. 이 상태는 낮은 사분원 신호가 회로 117에 의해 결졍한 최소 표준 두께 이하로 감소될 때마다 발생한다.
트랜지스터 193의 콜렉터에서의 낮은 신호는 지시기 183을 동작시키고, 그때에 다이오드 195와 196의 순방향 바이어스가 도선 168과 169에 고전압 신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그러한 신호는 평균 피복두께가 표준 두께보다 더 두꺼울 때 존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어셋트 56의 교정신호는 피복 31의 평균 두께를 감소하도록 크로스헤드 36을 통해 코어 32의 진행을 가속시킨다. 그러나 평균 피복두께가 표준 두께보다 더 두껍다 할지라도, 어떤 사분원에 있는 최소 표준 두께 이하의 낮은 피복두께 값은 평균 피복두께로 즉시 증가해야 한다. 피복두께가 더 감소된다면, 케이블은 폐기되어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 193이 동작될 때는 언제나, 그 콜렉터에서의 낮은 신호가 도선 168과 169를 통해 회로 165에 인가되어, 평균 피복두께가 너무 두꺼운가 정상범위내에 있는가를 지시하는 비교측정기 회로 115로부터의 어떤 신호를 무시한다. 트랜지스터 173의 베이스에 인가된 저신호는 트랜지스터 173을 오프상태로 한다. 트랜지스터 174의 콜렉터에 인가된 저호는 회로 165의 출력도선 188에 저신호를 인가하고,또한 트랜지스터 181을 프상태로 하거나, 낮은 사분원 신호가 발생할 때 오프상태로 있을 때는 언제나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요약하면, 그때에 신호 처리장치 78은 편심 시험셋트 43으로부터 피복 31주위의 사분원에서 측정한 피복두께에 각각 대응하는 사분원 신호인 네개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들 신호는 처리되어져서 여기에 관련된 허용할 수 있는 공차범위와 표준 피복두께에 대응하는 설정 신호에 비교된다. 신호 처리장치 78의 5개의 분리된 출력은 (1)피복 31이 평균보다 너무 두꺼운지 아닌지, (2)피복 31이 평균보다 너무 얇은지 아닌지, (3)비폭 31이 불균등한지 아닌지, 예를들면 상하 사분원에 비교할 때 좌우 사분원이 더 꺼운지 아닌지, (4) 피복 31이 좌우 사분원에 대해 상하사분원에서 더 두꺼울 때 이 피복이 불균등한지 아닌지, (5) 4개의 사분원에서 피복두께가 최소 표준두께 이하로 떨어졌는지 아닌지를 지시한다. 이들 5개의 출력신호는 두께 제어장치 82나 다음에 설명할 원형 제어장치 81에 인가된다.
원형 제어장치 81의 주요 기능은 장치 81과 두께 제어장치 82에 시간 및 클럭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제 8 도를 참조하면, 원형 제어 장치 81은 펄스 정형회로 202에 공급되는 가변 발진회로 201을 포함한다. 정형회로 202의 클럭펄스는 그의 동작에 따라 계수 16카운터로서 참조된 4-비트 카운터에 인가된다. 이것은 15를 포함하는 2진 코오드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로서 참조된다. 이 16번째 카운트는 카운터를 리셋트(reset)시켜 영으로 만든다. 카운터 204의 출력은 부호해독 회로 205에 인가되어 그 출력신호로서 다수의 시간 기능 펄스를 제공한다. 이들 펄스는 원형 제어장치 자체내에 인가되고, 두께제어장치 82내의 연속적인 기능에 사용된다.
원형 제어장치 81의 두번째 중요한 기능은 동작시에 원형화모터 58과 59를 제어하는 경제적으로 유용한 모터 제어회로 57에 인가되는 제어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원형 제어 지시회로 166의 출력신호는 원형화기억장치 207에 축적된다. 이 축적된 신호는 원형 제어 논리회로 208에 인가된다. 이원형 제어논리회로는 모터 제어회로 57에 인가된 제어된 신호로 발생한다.
가변 발진회로 201의 활성 소자는 애노드 212가 캐패시터 214의 정의단자에 결합된 단일 접합트랜지스터 211이다. 동작시에, 캐패시터 214의 다른 단자는 접지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211의 캐스드 215는 저항 216을 통해 접지에 결합된다. 캐패시터 214는 가변저항 218을 통해 정전압원으로부터 충전된다. 이 정전압은 저항 221과 222를 포함하는 전압분배기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211의 게이트 223은 전압분배기 220의 출력에 결합된다. 동작을 할 때, 캐패시터 214에서의 전압은 트랜지스터 211의 애노드 단자 212가 전압분배기 220에 의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공급된 전압에 도달할때까지 증가한다.
이때, 이 트랜지스터는 완전한 동작상태로 되고 저항 216을 통해 캐패시터 214를 접지로 방전시킨다. 트랜지스터 211이 저항 216을 통해 캐패시터 214를 방전시키는 동안, 정전압은 트랜지스터의 애노드 단자에 나타난다. 캐패시터 214를 방전할 때 트랜지스터 211은 오프되고 캐패시터 214는 다시 트랜지스터가 동작되는 지점에서 충전된다. 트랜지스터 211이 반복동작을 계속할 때, 시간 전압펄스가 트랜지스터의 캐소드 215에 나타난다. 이들 전압펄스 또는 클럭펄스는 발진회로 201의 출력에 다시 나타난다. 클럭펄스의 변화는 이들이 제어장치 81과 82에 사용되기전에 펄스정형회로 202에서 정제된다.
다시 발진회로 201을 참조하면, 이 회로의 클럭비는 캐패시터 214의 충전시간에 대한 트랜지스터 211의 게이트 223에 인가된 트리거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발진회로 201의 정확한 주기는 캐패시터 214를 어떤 전압레벨로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가변저항218을 변화시킴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발진회로 201의 주기는 저항 221이나 222의 값을 변화시키므로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트랜지즈터 211에 인가된 게이트전압이나 트리거전압을 변경시킬 수 있다.
낮은 사분원 감시지시회로 167의 출력신호는 도선 194를 통해 발진회로 201에 인가된다. 이 도선은 저항 226과 다이오드 227을 통해 전압분배기 220의 출력에 결합된다. 전압분배기 220의 출력은 다이오드 227의 애노드에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도선 194상의 고입력신호는 다이오드 227을 역바이어스 시킨다. 그러한 다이오드 227의 역바이어스 상태는 저항 221과 222를 포함하는 전압분배기 220에 의해 설정된 트리거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낮은 사분원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회로 167내의 트랜지스터 193은 동작되고 도선 194상의 정의 출력 신호는 접지로 간다. 도선 194상의 접지신호는 다이오드 227을 순방향 바이어스 시키고, 저항 226은 전압분배기 220의 저항 222와 병렬로 스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전압분배기 220의 출력전압은 감소되고, 캐패시터 214가 충전될 트리거 레벨이 낮게된다. 이 결과로 회로 201의 발진주파수는 피복 31의 어떤 사분원이 최소 표준 두께 이하로 떨어지는 동안 증가하게 된다.
펄스 정형회로 202는 두개의 게이트 231과 232가 반전 게이트로서 직렬로 결합되어 있고 반전 게이트 231, 232의 출력이 게이트 233과 234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NOR논리 회로를 포함한다. 이 게이트 233과 234는 종래의 래칭(latching)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233의 출력펄스는 종래 방법으로 카운터 204를 구동시키기 위해 카운터 204에 직결되어 있다. 카운터 204가 완전히 카운트하면 펄스 정형회로 202로부터 다음 클럭펄스를 갖고 영으로 리셋트 된다.
카운터 204의 카운팅 및 리셋팅은 제어셋트 56의 동작을 통해 계속된다. 카운터 204의 단자 236, 237, 238 및 239로부터의 카운터 펄스는 부호 해독 회로 205에 인가되어 카운터 204의 각각의 카운팅 주기동안 3가지 다른 기능을 발생시킨다.
부호 해독회로 205는 바람직한 클럭을 차례로 발생시키기 위해서 4개의 NOR게이트를 포함한다.
펄스들은 카운터 204의 4개의 단자 236, 237, 238 및 239에 나타난다. 가장낮은 펄스, 예를 들어 가장빠른 펄스비는 단자 236상에 나타난다. 각각의 단자 237-239는 연속적으로 더 높은 펄스를 각각 공급한다. 제 9 도는 카운터가 모든 카운트 주기동안 동작되는 것처럼 펄스 신호들이 카운터 204의 각각의 핀에 나타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카운터 204의 단자 238과 239에 있는 출력신호는 NOR게이트 241에 결합되어 시간주기의 1/4을 지속하는 높은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 1/4 주그 시간펄스나 보정가능 펄스는 원형 및 두께 제어신호가 새로와지는 동안 각각의 제어장치 81과 82에 대한 시간 기울기를 설정한다.
제 2 NOR게이트 242는 단자 236의 출력을 반전한다. 게이트 242의 반전된 출력과 카운터 204의 단자 237의 출력은 제 3 NOR게이트 243에 인가된다. 제 3 NOR게이트 243의 출력신호는 느린 클럭신호로 참조된다.
보정 가능 신호는 제 2 NOR게이트 242의 출력신호를 제 4 NOR게이트 244에 인가한다. 제 4 NOR게이트 244의 출력신호는 데이타(data) 플립플럽신호나 상태 보정 신호로 참조된다. 제 9 도를 참조하면, 데이타플립플럽신호는 보정가능 펄스가 존재하는 한 카운터 204의 1/4주기동안 무능하게 된다.
원형화 기억장치 207은 2개의 표준 플립플럽 논리회로를 포함한다. 현형 제어지시회로 166의 출력도선 189와 190은 플립플럽 246과 247의 데이타 입력단자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태 보정 신호의 클럭펄스는 원형 제어 지시회로 166의 원형 또는 데이타 신호를 플립플럽 246과 247안으로 인가시킨다. 셋트 56이 동작하는 동안, 도선 189와 190상의 두 신호는 피복 31이 설정된 범위내의 균일 두께로 있는 한 고레벨을 유지한다. 도선 189와 190에서의 데이타신호가 플립플럽 246과 247에 인가된 후, 이들 데이타 신호는 플립플럽 246과 247의 "
Figure kpo00001
"로 표시된 출력단자에 나타난다. 각각의 데이타신호의 반전된 보수는 플립플럽 246과 247의 "
Figure kpo00002
"로 표시된 제 2 출력단자에 나타난다.
단자
Figure kpo00003
에서 플립플럽의 반전된 데이타 신호는 피복 31이 설정된 공차내에 균일하게 존재하는 동안 고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NOR게이트 251로 인가된다. NOR게이트 251의 출력신호는 이후부터 "원형화 가능"신호로 참조된다.
플립플럽 246과 247의 "
Figure kpo00004
"단자로부터의 데이타신호는 원형화 논리회로 208의 NOR게이트 252와 253에 직접 인가된다.
이들 게이트 252와 253의 신호 출력은 254로 표시된 대칭구동 펄스 발생회로의 신호 입력이다. 이 구동 펄스 발생기는 2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단자를 구성하고, 이 게이트 252와 253의 각각의 출력단자중의 하나는 펄스 발생회로의 입력단자중의 하나에 결합된다.
구동 펄스 발생회로 254의 동작은 NOR게이트 256의 반전된 보정 가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게이트 256에서 나온 신호는 NOR게이트 257의 한쪽 입력이된다. 카운터 204의 각 시간주기의 1/4동안, 보정가능 신호는 고레벨로 유지된다. 보정 가능 신호가 반전되어 NOR게이트 257에 인가되므로, 보정 가능 펄스의 시간주기동안, 게이트 257에서의 저입력신호는 게이트를 통과하기 위해서 게이트의 제 2 입력단자에 인가된 신호용 창(window)를 개방한다. 보정가능 펄스가 낮게 된 후에, 게이트 257에 인가된 그 반전 신호는 높게되어 게이트 257의 신호창은 패쇄된다.
게이트 257은 모터 제어회로 57의 외부 회로로부터 시간 펄스를 수신한다. 이 회로는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용 제어 논리회로로서 경제적으로 유용하다. 제어회로 57은 대응 모터 47과 48을 구동하도록 시간펄스를 제공한다. 원형 제어장치 81은 회로 57의 모터구동 부분에 이들 펄스를 선택적으로 재인가한다. 보정 가능 펄스가 게이트 257의 창을 개량시키고 있는 동안, 펄스는 게이트 257을 통과하고 게이트 252와 253에 각각 입력신호로서 나타난다.
피복두께가 설정된 공차내에서 균일할 때는 언제나, 게이트 252와 253의 각각의 제 2 입력신호는 높게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이들 게이트의 출력신호는 낮게 유지되므로, 구동펄스 발생회로 254에 펄스 신호들이 도달하는 것을 막는다.
예를 들면, 피복두께가 불균형 할 때는 언제나 좌우 사분원에서의 피복두께가 설정된 공차범위 이상으로 상하사분원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껍고, 플립플럽 246의 저출력 신호는 모터 제어회로 57로부터의 펄스가 게이트 252의 출력단자에 나타나게 한다. 게이트 252가 조절되고 보정 가능 신호가 게이트 257내의 신호 창을 개방할 때, 모터제어회로 57로부터의 펄스는 트랜지스터 258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 펄스는 트랜지스터 258과 259에 의해 증폭되고 그후에 출력도선 261을 통해 모터 제어회로 57에 인가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플립플럽회로 246의 신호가 높게 유지되고, 플립플럽회로 247이 게이트 253에 낮은신호를 인가할 때, 모터 제어회로로부터의 펄스는 보정 가능 신호 기간 동안 게이트 257과 253을 통과한다. 이 펄스는 동작시에 트랜지스터 262와 263에 의해 증폭되고, 그후에 도선 264를 통해 모터 제어회로 57에 인가된다. 도선 264를 통해 회로 57인가된 펄스는 원형화 모터 58과 59의 회전을 한 방향으로 제어하고, 또 도선 261을 통해 인가된 펄스는 원형화 모터의 회전을 다른 방향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어된 모터 58과 59는 한방향으로 원형화 로울러 60에 의해 생긴 압력을 증가시키고, 여기에 수직방향으로 원형화로울러에 의해 생긴 압력을 해제시킨다.
제 10 도에 상세히 도시한 두께 제어장치 82는 캡스턴 38이 압출기 34를 통해 케이블 코어 32를 당기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서 케이블의 평균 피복두께를 조절한다. 이 속도는 보통 선속도라고 한다. 두께 제어장치 82에 의해 속도 제어셋트 75에 공급된 원래의 제어신호는 선속도를 점점 부로 감소시켜 피복두께를 증가시키거나 선속도를 점점 정으로 증가시켜서 피복두께를 감소시키는 아날로그(analog)전암 신호이다.
제 10 도를 참조하면, 아날로그전압 제어신호는 8-비트 2진 카운터 266에 클럭 펄스를 인가한 후 카운터 266으로부터의 존재 카운트를 아날로그 변환기 267의 디지탈내의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변환시키므로서 발생된다.
상기에 간단하게 두께 제어장치 82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제 4 도에 제어회로 82의 여러가지 기능이 더 명확히 도시되어있다. 이진 결정 및 데이타신호는 신호 처리장치 78의 두께 제어 지시회로 165로부터 두께 기억장치 268에 공급된다. 회로 165로부터의 데이타신호는 평피복두께가 설정한계내에서 유지되는지 아닌지, 또는 두께가 이 한계 이상인지 이하인지를 지시한다. 이미 기술한 상태 보정 신호는 기억장치 268내로 데이타신호를 주입시킨다. 이 데이타신호는 우선 카운터의 상태가 옳은지 아닌지, 보정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두번째로 기억장치내의 데이타 신호는 카운터가 카운터엎을 하는지 카운트다운을 하는지를 결정한다. 이 데이타 신호는 카운터 266이 카운트 되는 비를 결정한다.
피복 31의 두께는 유리하게도 그 두께가 설정된 범위값을 초과했는지 그 이하로 떨어졌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비로 제어된다. 피복두께가 최적의 바람직한 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급속한 교정을 요하지 않는다. 사실상, 급속한 교정은 피복 31의 최소 표준 두께 이하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피복두께의 저속하강 교정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원형 제어장치 81은 원형 제어장치 82에 두셋트의 시간 및 클럭신호를 제공한다. 고속 클럭신호는 펄스정형회로 202의 출력단자에서 얻어지고, 저속 클럭신호는 부호 해독회로 205의 출력도선 243으로부터 얻어진다. 클럭 선택회로 271은 카운터 266이 새롭게 계산하기 위해서 고속 클럭신호나 저속 클럭신호를 선택한다.
더우기, 전체 피복두께의 감소는 낮은 사분형 경보상태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불균일한 피복 31의 얇은 부분이 표준 두께 이하로 감소하는 것과 비슷하다. 그러므로 감소 두께 교정은 피복두께에서 불균일이 교정되는 동안 금지된다. 원형화 가능 신호는 원형 조절 장치 81에서의 데이타 신호가 피복 두께의 불균일을 지시하는 동안 재카운트 저지회로 272내의 선택된 클럭신호를 정지시킨다. 이 카운터 266은 평균 피복두께가 표준두께보다 더 두꺼워진다 할지라도 정지된다.
어떤 때에는 카운터 266에서의 카운팅이 변환기 267로부터의 선속도 제어신호에 직접 비례함으로, 카운터 266이 카운트할 때의 급격한 변화는 선속도가 급격하게 변하게 한다. 선속도 내의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카운터가 완전히 카운팅하여 영으로 리셋트될 때 또는 카운터 266이 영이하로 카운트될 때 생기므로, 다음 카운팅은 완전한 카운팅을 지시한다. 카운터 266을 그러한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기 직전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초과범위 검출기 273은 카운터 266의 상태를 시험하고 카운터가 다시 새로 카운트되는 것을 막는다. 초과범위 검출기 273은 피복두께의 제어를 무능하게 하고 도선 274상의 경보신호를 외부 경보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인가한다. 그러나 압출처리는 압출기 34의 수동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지되지 않는다.
재카운트 저지회로 272의 신호 출력, 보정가능신호, 및 초과 범위 검출기 273의 출력은 카운터 266에 클럭펄스를 적용할 때 게이트를 결정하는 클럭게이트회로 276에 인가된다.
상하측 제어회로 277은 카운터 266이 카운트엎 하거나 카운트 다운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 회로 277은 두께 기억장치 268의 2개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높거나 낮은 2진신호가 회로 277로부터 카운터 266에 직접 인가된다. 고신호는 카운터 266이 카운트업하게 하고 저신호는 카운트다운하게 한다.
제 10 도를 참조하면, 두께 기억장치 268은 2개의 표준 플립플럽 논리회로 281과 282를 구성한다. 이들 각각의 플립플럽회로는 두께 조절지시회로 165로 부터 데이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타 단자, 클럭단자, 데이타 출력단자
Figure kpo00005
및 반전된 데이타 출력단자
Figure kpo00006
를 갖고 있다
상태 보정 신호는 피복두께가 플립플럽회로 281내에서 하한 범위로 교정되는지안되는지를 지시하는 데이타 신호를 포함하며, 또 피복두께가 플립플럽회로 282내에서 상한 범위로 교정되는지 안되는지를 지시하는 데이타신호도 포함한다. 피복두께가 설정 범위내에 유지될 때, 두 플립플럽 281과 282의 입력신호는 높은 레벨로 된다.
회로 271, 272, 276 및 277의 논리회로를 의논할 때, 이들 회로에 사용되는 논리게이트는 종래의 NAND게이트 이라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NAND게이트의 출력신호는 어떤 낮은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에서 고출력신호를 발생한다. 그러한 게이트의 모든 입력신호가 높아진다면, 출력신호는 낮아진다. 그러므로, 높은 신호가 두입력 NAND게이트의 입력단자중의 하나에 인가될 때, 이 게이트는 게이트의 다른 입력단자에 인가된 펄스신호를 그 출력단자에 나타나게 한다. 한편 입력단자중의 하나에 인가된 낮은 신호는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연속적인 고레벨 펄스로 고정시키므로, 다른 입력단자에 인가된 어떤 펄스정보도 게이트의 출력단자에 나타나지 못하게 한다.
클럭선택회로 271은 펄스 성형회로 202의 출력단자로부터 고속클럭신호를 선택하거나 NOR게이트 243으로부터 저속 클럭신호를 선택하여, 출력도선 283에 통과시키는 회로이다. 고속클럭신호는 두개의 입력 NAND게이트 284의 입력중 하나에 인가되고, 게이트의 또 다른 입력은 플립플럽회로 282의 데이타 단자
Figure kpo00007
에 결합된다. 피복두께가 표준 두께값을 초과하지 않는 한 플립플럽 282의 단자
Figure kpo00008
의 출력신호는 높은 레벨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게이트 284에 인가된 고속클럭신호는 이 게이트를 통과해서 게이트 285의 입력중 하나에 인가된다.
저속 클럭신호는 게이트 286의 입력에 인가된다. 게이트 286의 입력신호는 플립플럽회로 282의 단자
Figure kpo00009
로부터 나온 반전 데이타신호이다. 게이트 286으로부터 나온 출력신호는 제 2 입력으로서 게이트 285에 인가된다.
게이트 284에 인가된 신호의 반전된 보수가 게이트 286에 인가되기 때문에, 두 게이트중의 단 하나만이 어떤 시간에 여기에 인가된 클럭신호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게이트 284, 286중의 하나가 그의 입력에 인가된 클럭신호를 통과하는 한편, 두 게이트중의 다른 출력은 높은 레벨을 유지하여, 여기에 인가된 클럭신호를 막고, 게이트 285를 개방하여 두개의 게이트 284, 286중의 다른쪽의 선택된 클럭신호를 게이트 285를 거쳐 출력도선 283에 통과하게 한다.
저속 클럭신호는 플립플럽회로 282의 데이타신호가, 피복두께가 상한 범위를 초과했다는 것을 지시할때만 회로 271에 의해 선택된다. 이때, 플립플럽회로 282의 출력신호는 게이트 284를 폐쇄하면서 고속 클럭신호에 낮게 인가되고, 플립플럽회로 282의 단자
Figure kpo00010
로부터 나온 반전출력신호는 높게되어 게이트 286을 개방한다.
이 재카운트 저지회로 272는 카운터가 재카운트상태에 있고 원형화가 일어나서 불균등한 피복두께를 교정할때는 언제나 카운터 266가 다시 카운트하지 못하도록 클럭신호를 폐쇄시킨다. 카운터 266의 재카운트는 두께 제어장치 82로 부터 나온 제어신호 출력상의 증가 전압에 대응한다.
이 증가된 전압은 동작시에 선속도를 증가시키고, 피복두께를 더 얇게 한다. 그러나, 평균 피복두께가 감소할 때 피복두께가 불균일하다면, 낮은 사분원 상태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재카운트 저지회로 272의 논리는 인접사분원에서의 피복 두께가 선택된 범위내에서 동일하지 않는한 평균 피복두께의 제어된 감소를 못하게 된다.
피복두께의 그러한 불균일은 원형화 기억장치 207이 NOR게이트 251에서 나온 낮은 출력신호에 의해 지시된다. NOR 게이트 251의 출력신호는 재카운트 저지회로 272의 제 1 NAND게이트 287에 인가된다. 게이트 251의 출력단자로부터의 신호 또는 원형화 가능 신호는 게이트 287의 두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게이트 287은 원형화 가능 신호의 반전기로서 작용한다. 게이트 287의 출력신호는 제 2 NAND게이트 288의 입력단자중의 하나에 인가된다. 게이트 288의 제 2 입력은 플립플럽 회로 281의 데이타 출력신호
Figure kpo00011
이며, 이것은 평균 피복두께가 표준 두께범위의 낮은 공차범위 이하로 감소할 때를 제외하고 보통 높은 상태이다. 게이트 288의 출력신호는 선택된 클럭신호를 통과시키거나 폐기시키는 제 3 NAND게이트 289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게이트 288의 두 입력단자가 높을 때에는, 그 출력신호가 낮아진다. 게이트 289에 인가된 낮은 출력신호는 다른 신호들이 여기를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평균 피복두께가 너무 두껍거나 표준 두께 범위내에 있을 때, 또 피복두께가 불균일 할 때 게이트 289는 신호 차단상태에 있게된다.
그러나, 두께 기억장치 268내의 데이타 신호가 평균 두께를 표준두께 범위 이하라고 지시할 때, 코어 32의 원형화와 함께 평균 피복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화 가능 신호가 선택된 클럭신호를 게이트 289로 통과하지 못하게 저지한다. 할지라도, 원형화 가능 신호의 영향은 플립플럽 회로 281의 데이타 출력단자
Figure kpo00012
에서 나온 게이트 288의 부하 입력신호에 의해 무시된다. 게이트 288의 저 입력신호는 높은 신호를 게이트 289의 입력에 인가하게 하여 클럭펄스가 게이트를 통해 클럭 게이트회로 276을 통과하게 한다.
클럭게이트 회로 276은 4개의 NAND게이트로 포함하는데, 제 1 게이트 291은 고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플립플럽 회로 281이나 282의 데이타 출력단자
Figure kpo00013
로부터 낮은 신호를 선택한다. 출력신호는 제 2 게이트 292에 최종 신호로서 인가되어 회로 272로부터 클럭신호를 클럭게이트 회로 276에 인가하도록 한다. 제 3 게이트 293은 클럭신호가 제 4 게이트 294의 제 1 입력단자에 인가되기 전에 클럭신호를 발전한다. 제 2 입력단자 295는 게이트 294에 대한 최종 단자이다. 단자 295에 인가된 높은 신호는 게이트를 개방하여, 이 제 1 입력단자에 인가된 펄스 신호가 카운터 266을 다시 카운트하게 한다.
단자 295는 다이오드 297의 애노드에 결합되고, 그 캐소드는 재카운트 저지회로 272의 게이트 288의 출력에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게이트 288의 출력이 낮을 때 다이오드 297은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게이트 294의 단자 295상의 입력신호는 낮으므로 게이트 294의 출력단자에서 일정한 높은 신호를 산출한다. 결과적으로, 어떤 펄스는 카운터 266에 인가되지 않는다. 이 방법으로 게이트 294에 재카운트 저지회로를 직결함으로서, 카운터 266으로 잡음이 전달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카운터 266이 재카운트에 영향을 주는 또다른 신호는 부호해독회로 205의 게이트 241의 출력에서 나온 보정 가능 신호이다. 보정 가능 신호는 절연저항 298을 통해 게이트 294의 입력단자 295에 인가된다.
제 9 도를 참조하면, 게이트 241의 출력의 보정 가능 신호는 카운터 204의 각 시간 주기의 1/4동안만 높다.
카운터 204의 단자 236을 참조하면, 고레벨에서 저레벨, 또는 저레벨에서 고레벨로 보정 가능 신호가 높을 동안 세개의 신호변환이 발생한다. 이를 각각의 변환은 펄스 정형회로 202의 단일클럭 출력신호에 대응한다. 보정 가능 신호의 같은 시간 주기동안, 늦은 클럭신호 중의 한 펄스만이 게이트 243의 출력에 발생한다. 이 카운트 266은 입력단자에 인가된 정행 신호 변환을 기초로하여 이 상태를 다시 카운트하기 때문에, 이들신호는 카운터 266의 카운터 204에 의해 설정된 각 시간 주기동안 다시 카운트하도록 결정된다. 일정한 고신호가 게이트 294의 출력에 나타나는 동안, 카운터 266의 상태는 다시 카운트될 수 없다.
게이트 294의 입력단자 295에 보정 가능 신호가 발생하면 게이트 294가 카운터 266에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상태로된다. 높은 보정 가능 신호가 단자 295에 나타날때, 게이트 294의 출력신호는 고레벨에서 저레벨로 변환한다. 보정 가능 신호가 높은 레벨을 유지하는 동안, 게이트 294의 출력신호의 각각의 정행변환은 카운터 266을 다시 카운트한다.
제 9 도는 게이트 233의 출력에서 나온 고속클럭의 세가지 정행 변환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제 4 정행변환은 각각 높은 보정 가능 신호의 끝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보정 가능신호의 부행 변환이 다음 조정 가능 신호가 발생할 때가지 게이트 294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고신호로 높게 클램프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4개의 카운터 재카운트 펄스는 고속클럭신호에 응답해서 각각의 보정 가능 신호기간동안 카운터 266에 의해서 수신된다.
같은 보정 가능 신호 기간동안 게이트 243의 출력에서 나온 저속 클럭신호중의 단 하나의 정행 변환만이 발생한다. 그러나 다시 제 2 정행 변환이 높은 보정 가능 신호 끝에서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저속 클럭신호가 게이트 294에 나타나는 동안에 각각의 보정 가능 신호기간동안, 카운터는 두 개의 정행 변환 전체에 의해 다시 보정된다.
높은 보정가능 신호가 통과된 후에, 원형화 제어장치 81이나 두께 제어장치 82에 의해 카운터 204의 시간주기의 나머지 3/4동안에 아무 교정도 되지 않는다. 카운터 204의 시간주기는 주로 두 부분이 있다. 제 1 부분은 상기에 설명한 보정 가능 시간이며, 그동안에 원형 제어장치 81과 두께 제어장치에서 나온 제어신호가 변경된다.
시간 주기의 제 2 부분은 기억장치 회로 207과 268의 각각에서 데이타신호를 다시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제 2 부분동안, 상태 보정 클럭신호는 두께 및 원형화신호를 이들 각각의 기억장치에 인가한다. 그러나, 두께 및 원형화기억장치 268과 207 각각에서 최종정보만이 다음 발생하는 보정 가능 펄스동안 장치 81과 82로부터 제어신호를 다시 보정한다고 간주할 때, 최종상태 보정 클럭신호가 중요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카운터 204에 대한 주기는 최종 보정 가능 기간으로부터 다시 보정된 데이타 신호와 함께 기억장치회로 207과 268을 보정하도록 선정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대략 매초 1피이트의 선속도와 원형화기계 71과 감지장치 42사이의 대락 10피이트의 간격이 카운터 204의 주기의 길이를 결정한다. 15내지 16초의 주기는 보정 가능 부분과 시간주기의 상태 부분의 끝 사이에서, 충분한 시간지연을 제공하여, 데이타 신호를 피복두께의 최종 보정값에 대응하는 기억장치 회로 207과 268속에 인가한다. 카운터 266은 경제적으로 유용한 표준 8비트 2진 엎-다운 카운터이다. 이것은 128-카운트이 처음으로 리셋트되도록 연결되어있다. 8-카운트 신호의 모든 출력도선은 D/A 변환기 267에 병렬로 결합되어 있다. 카운터는 15볼트의 정전압에서 동작하고 D/A 변환기는 5볼트의 정전압에서 동작하므로, 경제적으로 유용한 5내지 15볼트 변환회로를 카운터 266의 출력단에 완충 회로로서 사용한다.
D/A변환기 267은 변환회로 302를 포함한다. 이 변환회로는 경제적으로 유용한 집적회로로서, 예를들어 모터롤러 주식회사(Motorala Inc)가 만든 MC140JL-8같은 것이다. 이 변환회로 302는 표준 723-형 집적회로의 1/2정도와 같은 변환회로의 공급기로 사용되는 이러한 종래회로 303에 의해 구동되어 진다. D/A 변환회로 302는 카운터 266으로부터 2진 입력크기에 비례하는 전류신호를 발생한다. 변환기 302의 전류 출력신호는 전압 신호로 전달된다.
이것은 역시 표준 증폭기 회로 304에 따라 행해진다. 이 회로는 경제적으로 유용한 723-형 집적회로의 1/2에 의해 공급되고, 723-형의 증폭기에 적절한 궤환저항을 추가시키므로서, 0 내지 4볼트 사이로 적절하게 변하는 회로 267로부터 전압출력을 얻는다.
초과범위 검출회로 273은 엎-카운트에서 카운터가 254의 카운트에 도달할 때, 또다-운카운트에서 1의 카운트에 도달할 때, 경보상태로 셋트된다.
카운트의 최저 범위를 알기 위하여 최저수를 제외한 각각의 카운터 단자는 저항 306을 통해 변환기 307의 입력에 결합된다. 이들 각각의 변환기 307은 주로 출력단자 308에 결합된다. 카운터 266의 입력신호 중 최소한 하나가 높을 때 출력신호는 낮다. 그러나, 카운터 266이 1의 카운트에 도단할 때, 카운터 266의 모든 출력신호는 낮은 상태로되고 단자 308의 출력신호는 높게된다. 높은 신호는 다이오드 309를 통해 전압분배기 310에 인가되고, 전압분배기의 출력은 표준 트랜지스터 증폭기회로 31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증폭기 회로 311은 주로 시각지시기 312를 통해 정의 전원 VB로부터 콜렉터 전압을 높게 유지한다. 인가된 베이스 신호가 증폭기회로 311을 동작시킬 때, 그 콜렉터 전압은 접지된다. 이 접지 또는 저신호는 게이트 294의 입력단자 295에 인가되어 카운터 266에서 다른 카운트를 못하게 저지한다. 이 저항 298은 높고 낮은 카운트 신호가 원형화 제어회로 81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또는 이것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격리한다. 다이오드 313은 초과범위 검파회로의 높은 신호를 회로 82가 정상 동작없는 동안 단자 295에 인가된 게이트신호로부터 간섭받지 않게 차단한다.
또한 증폭기 회로 311의 콜렉터상의 낮은 신호는 지시기 312양단의 전압강하가, 존재할 수 있는 위험상태를 지시하는 시각장치인 지시기를 동작시키게 한다.
또 증폭기 회로의 콜렉터상의 낮은 신호는 종래의 경보신호장치에 접속단자를 공급하는 출력도선 274에도 인가된다.
254의 높은 카운트는 카운터 266의 8개의 출력신호중 7개를 샘플로하는 종래의 다이오드 AND 게이트 314에 의해 알게된다. 카운터 266이 254의 카운트에 도달할 때, AND게이트 314의 모든 입력신호는 높게 되고, 이 높은 신호가 증폭기 회로 311의 베이스에 다시 인가되도록 최저수의 출력신호는 다시 무시된다. 결과적인 출력기능은 낮은 카운트 위험상태에 관한 것이다. 어떤 경우에, 카운터 266이 높은 카운트에 도달하거나 낮은 카운트에 도달하고, 증폭기회로 311은 동작상태로 되고, 게이트 294의 단자 295상의 낮은 신호는 카운터 266이 더이상 다시 보정하지 못하게 한다.
상기 엎-다운 조절회로 277의 출력신호는 카운터 266에 직결되어 카운터가 카운트 엎되는지 카운트다운 되는지를 설정한다. 이 엎-다운 조절회로 277은 레칭 회로로 연결된 2개의 NAND게이트 317과 318을 포함한다. 플립플럽회로 281에서 나온 반전된 출력신호
Figure kpo00014
는 게이트 317의 입력에 연결된다. 플립플럽회로 282의 반전된 출력신호
Figure kpo00015
는 게이트 318의 입력에 인가된다. 피복두께가 공차범위내에 있을 때는 언제나 각각의 플립플럽회로에서 나온 게이트 318과 317의 각각의 입력신호는 낮고, 게이트 317의 출력신호는 높다. 게이트 317의 출력신호는 회로 277의 출력신호이고, 카운터 266의 엎-다운 제어에 직접 인가되고, 카운터 266내의 높은 신호는 엎-카운트를 설정하고 낮은 신호는 다운-카운트를 설정한다.
플립플럽회로 281의 고입력신호는 피복두께가 표준 두께범위이하로 떨어졌다는 것을 지시하고, 카운터는 선속도를 느리게 하기위해 카운트 다운 상태로되므로, 평균 피복두께를 증가시킨다. 플립플럽회로 282의 저입력 신호는 게이트 318의 고출력신호로 된다. 게이트 318의 고출력신호는 게이트 317의 입력신호로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2개의 고입력신호가 게이트 317에 나타나고 이 출력신호는 바람직한 낮은 신호로 되어 카운터 266에 인가된다.
피복두께가 선정된 두께범위 이상으로 증가되었을 때 플립플럽 회로 281에서 나온 게이트 317의 입력신호는 낮게되고 플립플럽회로 282에서 나온 게이트 318의 입력신호는 높다. 플립플럽회로 281에서 나온 게이트 317의 낮은 입력은 카운터 266에 인가된 회로 277로부터 고출력을 발생하여 이 카운터가 엎 카운트하게 한다.
회로 304를 포함하는 상기에 설명한 D/A변환회로 267은 723-형 집적회로의 표준 증폭기에 주어진 다중기능에 의해 대략 0내지 4볼트 범위의 출력을 갖는다. 이출력신호의 범위는 물론 속도 제어셋트 75의 제어신호형태가 수정되어 짐에 따라 변화된다. 예를들어, 이 전압범위는 종래의 증폭기회로를 사용함으로서 종래방법으로 감소하거나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이 전압은 표준 바이어스회로나 증폭기회로를 사용함으로서 접지에 대해서 변환된다. 그러한 수정은 본 발명의 배경에서 가능하다.
두께 제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두께제어 장치 82의 동작모드를 변화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를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 11 도를 참조하면, 325로 표시한 제어장치 82의 다른 실시예가, 셋트 가의 수력장치에 의해 선속도를 조절할 때 속도 제어셋트 75용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특별히 채택되어졌다. 수력으로 캡스턴 38의 선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결과적으로, 두께 제어장치 325는 상기에 설명한 제어장치 82의 다른 실시예이다.
일반적으로, 캡스턴 38의 속도가 수력으로 제어될 때, 수력값(도시되지 않음)을 셋팅하므로서 선속도를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모터의 회전에 대응하여 밸브(Valve)를 열거나 닫도록하여 이러한 밸브를 모터에 결합시키면, 선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제 11 도에 도시한 두께 제어장치 325는 두 개의 릴레이(relay) 326과 327중의 하나의 코일 양단에 시간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들 펄스는 밸브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속도 제어셋트 75에 셋팅된 수력밸브를 제어하는 모터를 동작시킨다. 두께제어장치 325의 데이타 입력신호는 두께 기억장치 268의 논리회로 281과 282에 각각 대응하는 종래의 2개의 플립플럽논리 회로 입력단자에 나타난다.
데이타 신호는 상기에 설명한 상태 보정 신호에 의해 이들 플립플럽 회로 281과 282의 각각에 인가된다. 이들 플립플럽 회로 281과 282의 각각의 단자
Figure kpo00016
로 부터의 반전된 출력 신호는 NAND게이트 328과 329 각각의 제 1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들 게이트 328과 329의 각각의 출력신호는 경제적으로 유용한 555-형 집적시간 회로 331과 332에 각각 직접 인가된다. 이들 회로 331과 332는 각각 원쇼트(one-shot)회로로 불리우는 회로에 따라 저항 333, 전위차계 334, 두개의 캐패시터 335와 336과 같은 외부 소자에 연결되어 있다. 원 쇼트회로 331과 332는 입력 신호의 정(正)의 변화에 대응해서 소정길이의 출력신호 펄스를 발생한다. 이 펄스의 기간은 회로의 소자값에 의해서 결정된다. 회로 331과 332의 각각의 출력펄스의 길이는 전위차계 334의 값을 변경하므로서 변화될 수 있다.
제어 셋트 56이 동작될 때, 게이트 341의 입력신호는 보통 낮게되어, 게이트 342의 제 1 단자에 인가된 게이트 341의 출력신호는 게이트 342를 가능하게 해서, 트랜지스터 343의 베이스에 게이트 342의 제 2 단자에서 수신한 가변신호를 공급한다. 게이트 342의 제 2 단자는 보정 가능신호를 수신하고 그 보수를 트랜지스터 343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보정 가능 펄스가 낮은 동안, 트랜지스터 343은 동작 상태로 되고 이 콜렉터 단자는 접지로 된다. 카운터 204의 시간 주기의 시작에서, 보정 가능 신호가 높게 될 때 트랜지스터 343의 베이스의 신호는 낮게 되고 이 트랜지스터는 오프상태로 된다.
트랜지스터 343의 콜렉터 단자는 지시기 345를 통해 바이어스된다. 트랜지스터 343이 오프상태로될 때, 캐패시터 346은 그 전압이 지시기 345를 통해 인가된 바이어스 전압과 같아질 때까지 충전된다. 충전된 캐패시터 346은 정행펄스를 게이트 328과 329의 제 2 입력단자에 인가한다.
충전되는 캐패시터 346으로부터 펄스를 수신할 때 게이트 328이나 329중의 하나가 신호를 통과시키면, 그러한 게이트 328이나 329는 충전되는 캐패시터 346으로부터 각각의 시간 회로 331과 332의 입력단자로 펄스를 통과 시키게 된다. 충전되는 캐패시터 346에 의해 발생된 펄스의 부행 변환은 회로 331이나 332중의 하나에 인가한 입력신호의 정행 변환이 각각의 회로를 트리거하게 한다.
예를들어, 피복두께가 설정두께 범위이하로 떨어진다면, 플립플럽회로 281의 입력신호는 낮게 되고 플립플럽회로 282의 입력신호는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게이트 329에 인가된 플립플럽 회로 282의 출력신호는 낮아서 게이트 329의 출력신호를 높게 크램핑하며, 어떤 신호도 이 게이트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나, 플립플럽회로 281의 낮은 입력신호는 게이트 328의 제 1 입력 단자에 인가될 높은 신호를 야기시킨다. 이 높은 입력신호는 게이트를 동작시키므로, 충정되는 캐패시터 346에 의해 발생된 펄스가 게이트 328을 통과하여 회로 331에 인가된다. 이 인가된 신호는 회로 321을 트리거시키고, 전위차계 334를 셋팅시킴으로 결정된 시간동안, 전류는 릴레이 326을 통과하여 이러한 소정의 시간동안 릴레이를 접속시킨다.
릴레이 326이 접속된 결과로서, 수력으로 동작되는 속도 제어셋트 75내의 밸브를 조절하는 모터는 릴레이 326을 통하는 펄스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 양에 의하여 밸브를 폐쇄한다. 결국 선속도는 느려져서 피복 31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피복두께가 표준 두께보다 더 두꺼울 때, 게이트 329는 동작되고 충정된 캐패시터 346에 의해 발생된 펄스를 회로 332에 인가시킨다. 회로 332는 릴레이 327을 소정의 시간 길이동안 활성화시키고, 동작시에, 밸브제어 모터를 회전시켜 밸브를 열고 이것에 의해 선이 가속되게 한다.
보정 가능 신호가 끝날 때, 트랜지스터 343은 다시 동작상태로 되고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자는 접지로 된다. 이것은 캐패시터 346을 방전시키고 게이트 328과 329에 부극성 펄스를 인가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이상적인 것은 아니지만, 게이트 328과 329의 각각의 입력도선의 다이오드는 게이트가 부극성의 펄스에 무관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 특별한 실시예 및 두께제어 장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본 발명의 배경과 범위내에서 만들 수도 있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출품 주위에 있는 선택된 수의 공간 지점에서 두께를 (42, 43에 의해서) 결정하는 수단, 압출품의 반대측 사분원 두께를 (46, 47, 48에 의해서) 균등화시키는 수단, 압출품의 내부 (32)의 원형화를 (57, 58, 59에 의해서) 변화시키므로서 인접 사분원 사이의 두께 변화를 조정하는 수단, 및 압출헤드(36)에 압출 물질을 공급하는 비에 대해서 압출비를 각각(75에 의해서)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므로서, 평균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수단들을 포함하는 균일한 두께로 된 환플라스틱물질 (31)을 압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히, 제일먼저, 압출품(31)의 인접사분원에서의 두께간의 차이를 (43에 의해서)결정하고, 두번째로, 선정된 최적값으로부터 압출품(31)의 평균 두께의 변화를 결정하며, 세번째로, 선정된 최소값 이하로 압출품(31)의 사분원에서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결정하는 수단, 서로 관련해서 압출품의 인접사분원에서의 두께를 (58 내지 61에 의해서)조정하도록 상기 제 1 결정을(56에 의해서)인가 하는 수단, 압출품(31)의 평균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75에 의해서) 압출품의 압출비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결정을 (56에 의해서) 인가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결정이나 제 2 결정이 관련된 조정을 하는지 안하는지에 관계없이 압출품의 평균두께를 수정하도록 제 3 결정을 (82에 의해서) 인가하는 수단들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압출품의 두께 제어방법.
KR7404379A 1974-12-27 1974-12-27 환형 압출품의 두께 제어방법 KR790001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4379A KR790001851B1 (ko) 1974-12-27 1974-12-27 환형 압출품의 두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4379A KR790001851B1 (ko) 1974-12-27 1974-12-27 환형 압출품의 두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851B1 true KR790001851B1 (ko) 1979-12-24

Family

ID=1920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4379A KR790001851B1 (ko) 1974-12-27 1974-12-27 환형 압출품의 두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85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4356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an annular extrusion
US51502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US5498145A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uter diameter of a strand of plastic material, in particular of a cable
US2820987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plastic materials upon filamentary articles
US3799719A (en) Apparatus for extruding plastic material
KR790001851B1 (ko) 환형 압출품의 두께 제어방법
US4760233A (en) Drilling confirming apparatus of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system
EP0423386B1 (en) Synthetic resin film, method of uniforming the film thickness upon molding of such film and apparatus therefor
JP2566637B2 (ja) グラスファイバー形成の制御方法と制御システム
JPS5824404A (ja) 混練機または押出機における被処理材料の品質制御装置
KR20040042319A (ko) 코크스 원료호퍼의 레벨을 이용한 정량 절출 제어장치
JPS6357884B2 (ko)
GB2211319A (en) Cable sheathing control
GB21307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ellular foam cable coating extrusion process
EP0487817B1 (en) A press for injection molding plastics materials
SU1128332A1 (ru) Способ принудительн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 потоков активной мощности в замкнутой неоднород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US2659856A (en) Duration ratio regulator
JPH02174020A (ja) 電力ケーブルの外径制御装置
SU1431665A3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 шнекового экструде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SU9980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межэлектродного зазора
SU58117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толщины гальванопокрытий
JPS6113330B2 (ko)
RU2073922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регулируемого параметра во время пуска энергоустановки
JPH05309526A (ja) ワイヤ放電加工機
JPS587003B2 (ja)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