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799B1 -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790001799B1 KR790001799B1 KR740002209A KR740002209A KR790001799B1 KR 790001799 B1 KR790001799 B1 KR 790001799B1 KR 740002209 A KR740002209 A KR 740002209A KR 740002209 A KR740002209 A KR 740002209A KR 790001799 B1 KR790001799 B1 KR 7900017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drive
- housing
- bracket
- disc reco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레코오드 재생장치의 상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재생장치의 저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와 제 2 도의 가동침(針)지지용 아암, 하우징(arm, Housing)덮개를 제거한 상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선 4-4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선 5-5를 따라 이상의 각 도면에 도시된 하우징을 위한 위치 결정과 제어기구의 상세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기구의 일부분이 확대된 그림.
제 7 도는 제 2 도의 선 7-7을 따라 회전반축으로부터 회전 및 재생 구동 기구로의 회전 운동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에 도시된 회전 구동기구의 일부분의 상세를 도시한 분해 투시도.
제 9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재생장치의 전면 패널(panel)의 정면도.
제 10 도는 재생기구를 운전하는데에 사용되는 전기적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요령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비데오 디스크 레코오드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하여 재생침(針)장치의 위치 결정과 제어 작동을 줄수있는 비데오 디스크 레코오드 재생방식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비데오 디스크 레코오드 재생방식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비데오 정보를 재구성하는데 재생용침 장치와 디스크 레코오드 사이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검출된다. 이를 위한 침은 예를 들면, 고속도로 회전하는 디스크 레코오드의 홈 사이를 지나갈 얇은 도전성 소자, 즉 전극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비데오 정보는 디스크 레코오드의 표면에 만들어진 나선형 홈의 기하학적(모양과 크기) 변화의 형태로 기록되고 있다. 이 디스크 레코오드의 표면은 유전재료의 박막으로 덮어 씌워진 도전재료를 가지고 있다. 침의 전극은 도전재료 및 유전재료의 박막과 협동하여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디스크 레코오드가 회전함에 따라서, 디스크의 홈을 지나가는 침의 전극끝이 디스크 레코오드와 협동으로 나선형 홈속의 기하학적 변화로 인하여 용량성 변화를 발생시킨다. 이 디스크 레코오드와 침으로 형성되는 커패시터는 동조(同調)회로에 결합된다. 디스크레코오드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용량성 변화는 동조회로의 공진(共振)주파수를 변동시킨다. 이 동조회로는 정주파수 발진기에 의해서 여자(勵磁)된다.
따라서 나선형 홈내의 기하학적 변화를 위하여 동조회로의 공진주파수가 변동함에 따라 여자신호 전압에 대한 동조회로의 응답은 기록되는 정보의 함수로서 변화한다. 이렇게 하여 기록되고 있는 정보의 함수로서 변동하는 출력신호가 공급된다.
이와 같은 디스크레코오드에 기록되어 있는 비데오 신호를 재생할때에는 디스크레코오드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 제어에 의해서 재생된 텔레비젼 화상의 순간 이상을 방지할수가 있다. 이 순간 이상은 비데오 신호 재생시 상기의 속도가 변동할때와 이 출력 비데오 신호를 종래의 텔레비젼 수상기를 사용하여 화상화(畵像化)할때에 화면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또 회전중의 디스크 레코오드에 대하여 정확한 재생침의 위치 결정과 제어 작동을 줄 필요가 있다. 이것은 재생정보의 올바른 시작과 종료를 보증하기 위한 것만이 아니고, 디스크면의 홈을 지나가기 위한 재생침의 올바른 작동을 보증하는데도 바람직한 것이다. 또 재생침 장치의 위치결정과 작동의 제어를 포함하여 여러가지의 제어기능이 자동적으로 작동되게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재생장치의 자동화에 의해서, 취급자가 재생기구를 조작할 필요성이 없어지고, 또한 재생 장치를 손상시킬 확률도 적어진다. 또 자동화에 의해서 여러가지의 재생장치를 동기화(同期化)된 상태로 꽤 정확하게 그리고 반복 가능하게 동작시킬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재생장치의 자동화에 의해서 원격제어에 의한 조작이 가능해지며, 또 취급자의 부주의에 의한 파손이나 신호 에네르기의 불필요한 방사를 막기 위하여 재생장치를 봉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재생기간 중과 마찬가지로 재생침이 홈이 파인 디스크레코오드면에 얹혀지고 떨어지는 시간과 위치 조절을 정확히 하여주는 일이다. 디스크레코오드의 홈의 피치는 예를 들면 0.002인치(약 0.05mm)이다. 이것은 비데오 재생화면을 대비하는 10초 사이에 20밀(mil)(약 0.5 mm)이라는 위치 정확도가 된다. 비데오 디스크레코오드는 어떤 커팅(cutting)오차를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재생침을 10밀(약 0.25mm)공차내로 디스크상에 얹힐 필요가 있다. 오데오레코오드 재생장치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순전한 기계적인 횡이동 강착방식은 이의 엄격한 조건때문에 사용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재생장치의 작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전기적 감지수단의 이용이 가능해지고 사용되는 힘이 감소되므로 마모도 감소된다.
또, 침이 디스크레코오드상에 강착하는 위치를 소망하는 어떤 위치로 변경시킬수 있는 구성도 만들어져 있다. 이것은 하기에서 서술하는 전기적-기계적 수단의 조합에 의해 소망하는 정확도와 반복 가능성으로서 재생침 장치의 위치결정 및 제어를 달성할수 있는 상태로 된다.
여기에 서술한 구성의 또 다른 장점은 디스크상을 횡단하여 침의 정밀한 이동을 행하게 할수 있으며 또한 선택적으로 여자 가능한 침 구동 구성이 제공되는 일이다. 이와 같은 재생방식에서는 기본 원동장치, 예를들면, 회전반으로부터 침지지용 아암장치로 상당히 큰 토오크(torque)즉, 1온스에서 2온스(약 28g 에서 57g)가 전달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에 서술한 구동구성에 의하여 레코오드의 홈을 지나가는 동안에 침의 우발적인 작동 또는 구속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토오크를 가지고 침지지용 아암을 정확 급속하게 축방향으로 구동시키거나 측방향 구동상태로부터 빗나가게 할수가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한 하나의 실시예인 재생방식은 회전구동 받는 회전반을 갖고 있다. 이 방식은 회전반위에 얹혀진 디스크에 대한 재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크 레코오드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침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침지지용 하우징이 움직일수 있도록 취부되어 있다. 침 제어수단은 레코오드와 사실상 동일면 상에 있는 제 1 의 위치와 이 제 1 의 위치로부터 떨어진 제 2 의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하여 침을 움직이게 하여준다. 제 1 의 구동수단은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것은 하우징을 대기 위치와 재생위치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대의 회전에 선택적으로 응동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이것은 회전결합부재로서 회전대에 해방 가능토록 결합된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 2 의 구동 수단은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것은 디스크 레코오드로부터의 재생기간중에 하우징을 디스크 레코오드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반의 회전에 선택적으로 응동할수가 있다. 이 제 2 의 구동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는 바이어스되고 후퇴가능하며 나사 부착된 조오(jaw)를 이 조오와 나사가 착설된 구동축과의 계합이 재생기간중에 침하우징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소망하는 횡방향의 토오크를 전달할 목적으로 제어된다. 제 1 및 제 2 의 구동수단과 침 제어수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수단이 작동하여 구동수단과 침제어수단을 선택적으로 여자하여 각각의 구동수단이 동작하는 동안 침이 소망하는데로 위치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은 디스크 레코오드상의 정보 재생이 시작되는 침의 위치를 전기-기계적 수단을 통하여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제 1 구동 수단과 상호 결합되어 있는 기계적으로 안정한 수단이 착설되어 있다.
또 하나의 특징은 침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디스크 레코오드상의 재생침의 작동을 중단함으로서 정보재생을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중단시키기 위한 수동조작 수단이 착설되어 있다.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할수 있도록 첨부도면과 함께 하기에 서술하겠으며 보다 더 상세한 설명을 용이하게 이해할수 있도록 서술한 재생방식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개략 설명하겠다.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재생방식은 비데오디스크 레코오드 4를 싣고 회전시키는 회전반 2 를 가지고 있다. 이 회전반 2는 구동 벨트 8에 의해서 회전반에 결합되어 있는 동기(同期)전동기 6으로 구동될수 있다. 이 전동기는 원하는 속도 이상으로 회전반을 회전시키고 맴돌이 전류 브레이크10을 이용하여 회전반의 사실상의 속도를 원하는 속도에 합치되도록 할수가 있다.
디스크레코오드 4의 주면(柱面)과 협동하는 재생용침 12는 가동 하우징 16 내에 착설된 아암 14의 끝에 위치하고 있다. 아암 14의 다른 끝은 침 12가 디스크레코오드 4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 운동을 할수 있도록 즉, 구멍 17내에 위치하고 있는 테이퍼 핀 15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축지되어 있다. 침 12는 디스크레코오드 4상을 그 중심에 대해 반경방향의 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1조의 레일 20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 : 왕복대)18에 하우징 16이 실려있다. (제 5, 6 도), 캐리지 18의 이동은 디스크 레코오드 4의 표면과 평행인 평면내에서 행하여진다. 그러나 침 지지용 아암 14의 취부 구조는 침 12를 디스크 레코오드 4의 평면에 대하여 2개의 위치중 어느 한쪽을 취하게 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 3, 4 도를 참조), 첫번째 위치에서는 침 12가 들어올려져 디스크 레코오드 4의 평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가지며, 두번째 위치에서는 침 12가 디스크 레코오드 4와 사실상 동일면상에 있는 것과 같은 위치를 취한다.
회전반 2를 구동하는 동기 전동기 6은 또 디스크 레코오드 4에 대하여 캐리지 18과 침 12의 위치 결정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도 공급한다. 전동기 16은 래치 가능한 레바(lever)계(系) 24를 통하여 전원 스위치 26에 결합되어 있는 기계적 제어수단 22에 의하여 온-오프로 제어된다.
하우징 16과 침 12의 디스크 레코오드 4에 대한 위치 결정과 이동의 구동은 회전반 2의 중심에 결합되고 또 회전반에 의해 회전되는 중심축 28에 의하여 주어진다. 캐리지 18과 하우징 16을 디스크레코오드 4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2개의 별개의 구동기구가 사용된다.
하기에서 회귀(回歸)구동이라 부르는 제 1 구동계는 디스크 레코오드로부터의 정보 재생선과 후에 하우징 16과 침 12의 위치 결정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하기에서 재생구동이라 부르는 제 2 구동계는 디스크 레코오드 4로 부터 정보가 재생되고 있는 동안 디스크상을 이동하는 하우징16과 침 12의 운동제어에 이용된다.
이들 각각의 구동기구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캐리지 18과 하우징 16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전환기구 30이 착설되어 있다. 이 전환기구 30의 동작에 의하여 2개의 구동기구중 어느 한쪽이 캐리지 18과 하우징 16의 이동에 효과적인가가 결정된다. 이 가동 구동 전환 기구 30의 위치 결정이 디스크 레코오드 4에 대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영향을 준다. 이 가동 구동 전환기구 30의 기계적 위치 결정은 또 하나의 원동력 수단, 이를테면 DC구동 전동기 34 또는 소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전기-기계적 기구 32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DC구동전동기 34는 가동 구동전환 기구 30의 위치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착설되어 있다.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전기와 전환장치를 갖는 회로에 의해서 여자되고 또 제어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휴지 또는 대기위치로 부터 제 2 도에 도시된 회귀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의 가동구동 전환기구 30의 최초의 이동은 제어레바 22의 조작을 통한 스위치 36의 조작에 의하여 주어진다. 회귀구동에서 재생구동으로의 전환은 DC전동기 34의 역전(逆轉)과 여자의 계속에 응동하는 가동 구동 전환기구 30의 작동 계속으로 얻어진다. 이 역전구동이 나타나는 싯점은 전기-기계적 장치 32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 전기-기계적장치 32는 디스크레코오드 4로의 침 12의 강착위치로 결정된다.
침강착 제어기구 38은 취급자가 움직여서 위치 결정이 가능한 실렉터 아암 40을 가지고 있다. 실렉터 아암 40의 위치에 의하여 소정의 상대적 간격을 갖는 한쌍의 전기적 접점의 한쪽 42의 위치가 정해진다.
제 2 의 전기접점 44는 회귀 구동기구의 동작에 따라 작동할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의 전기접점이 계합되어 DC구동 전동기 34로의 전기적 회로가 형성된다. 즉 침강착 제어기구 38에 의하여 선택된 접점간의 당초의 상대 간격에 의해 캐리지 18과 하우징 16을 이동시키고, 또 디스크 레코오드 4의 재생을 개시시키는 위치를 찾아내기 위하여 회귀 구동이 작동하는 시간의 길이가 제어된다.
전동기 34에 응동하는 가동 구동 전환기구 30의 이동은 침 12를 디스크레코오드 4의 평면에 대해 위치결정을 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이 기구 30은, 회귀 구동이 캐리지 18과 하우징 16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침 12가 후퇴되며, 즉 디스크 레코오드 4의 평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캐리지 18과 하우징 16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재생구동이 작동하고 있을때 가동성 구동 전환기구 30은 침 12가 디스크 레코오드 4의 평면내에 위치될수 있도록 위치한다.
또 이 재생방식에는 취급자가 조작하는 중단 제어 레바 46이 착설되어 있다. 이 제어 레바는 하우징 16에 주어지는 재생구동을 중단할수가 있고 동시에 침 12를 디스크 레코오드 4의 상방이 후퇴위치까지 내릴수 있다.
재생구동 장치는 나사가 설치된 봉(棒) 즉, 워엄(worm) 48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피동 회전반축과 영구적으로 서로 맞물리어 회전한다. 캐리지 18은 이 나사봉 48을 둘러싸는 1조의 조오같은 부재 50을 갖고있다. 이 조오 50은 갈라져 후퇴할수 있으며, 가동 구동 전환기구 30에 제어되고 선택적으로 나사봉 48과 계합하여 캐리지 18과 하우징 16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수 있도록 작동한다. 회귀 구동기구는 기본적으로는 마찰 및 기어물림 수단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반축 28에 계합 가능한 비교적 큰 기어 52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어 52와 회전반축 28과의 결합은 가동구동 전환기구 30의 위치에 따라서 제어된다. 기어 52는 캐리지 18에 결합된 핀 54(제 8 도)를 가지며, 캐리지 18과 기어 52사이에 결합된 운동을 발생한다. 침 12가 디스크 레코오드 4상으로의, 또 디스크 레코오드 4에서의 회귀 운동하는 동안에 기어 52는 회귀 운동되어 결합핀 54를 통하여 디스크 레코오드 4에 대한 하우징 16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재생이 행해지는 동안 캐리지 18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재생 구동장치가 작동하고 있을때 기어 52는 구동 부재로서의 작동을 잃게 된다. 그러나, 기어 52는 캐리지 18에 결합된대로이며, 그 회전 위치는 캐리지 18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된다.
기어 52는 제 2 의 가동전기접점 44를 갖고 있다. 이 제 2 의 접점 44는 캐리지 18의 구동 개시점과 침 12의 강하를 결정하는데 도와준다.
기어 52는 또 환상의 캠 56을 갖고 있으며, 이 캠 56은 온-오프 제어레바 24와 협동하여 재생장치를 여자하는 전기적 에네르기의 래치 결합, 해방제어를 한다.
재생장치에 대한 취급자의 레바 조작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기계적 장치에 있어서 소망대로의 상호결합 및 제어에 이용되는 하기의 제 10 도에 관하여 상세하게 서술한 구성과 동작을 갖는 절환회로 및 계전기로 구성되는 전기적 수단 57이 설치되어 있다.
재생장치는 또한 제 10 도에 블록 59로 도시된 디스크레오코드 4에서 정보 신호를 재생하고 이것을 처리하기 위한 적당한 재생회로 59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겠으며,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숫자부호는 같은 요소를 나타낸다.
재생장치 기구는 경첩이 달린 뚜껑 60을 포함하는 케이스(筐體) 58안에 수용되어 있다. 재생기구는 일련의 지지 브래킷(bracket)에 의해 케이스에 고착된 베이스(base)부재 62에 결합되고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 62는 예를들면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한 것이며, 회전반 2의 하면을 둘러싸는 요부 (凹部) 66을 갖고 있다. 회전반 축 28이 이 요부 66을 뚫고 회전반의 하면에 취부되어 있다.
적당한 체착수단으로 베이스 부재의 요부 66에 취부된 개방 전원 스위치 26의 제 1 조의 접점에 적당한 도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동기 전동기 6이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26은 레바계 24를 통하여 온-오프제어기 22에 결합되어 있다. 이 레바계 24는 2갈래 단부 70을 갖는 제 1 아암 68을 갖고 있다. 이 단부 70은 스위치 26의 조작부에 계합하고 있다. 이 아암 68은 핀 72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며 반대편 단부에 평평한 부분 74를 가지고 있다. 아암 68은 스프링 76에 의하여 휴지 위치를 취하도록 바이어스 되어 있다.
아암 68의 평탄한 부분74 는 축 82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수 있도록 취부된 슬리이브(sleeve)부재 80의 평평한 부분 84에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슬리이브 부재 80은 스프링 84에 의하여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휴지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슬리이브 부재 80은 핀 86을 갖고 있어 이 핀 86이 온-오프 제어레바 22에 결합된 봉 89의 2갈래 단부 88에 결합하고 있다. 아암 68은 또 돌출부를 갖고 있으며, 여기에 핀 9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 90은 기어 52에 설치된 캠면 56과 협동하는 캠공이(cam follower)로서 작동한다. 레바 22의 작동에 의하여 슬리이브 부재 80이 스프링 84에 대항해서 회동된다. 이 슬리이브 부재의 회동이 아암 68을 핀 72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켜서 2갈래단부 70을 움직여 전원스위치 26을 온한다. 슬리이브 80과 아암의 평탄부분 74사이의 구속작용에 의해서 아암 68은 캠공이 핀 90이 기어 52의 캠면 56과 계합할때까지 그 위치로 유지된다. 핀 90과 캠면 56의 계합에 의하여 아암 68은 또 회동되며, 이것으로 슬리이브 80이 스프링 84에 의하여 되돌아 갈수 있는 틈새가 주어진다. 그러나 아암 68은 캠면 56과 협동하는 캠공이 핀 90에 의하여 이 래치된 위치로 유지된다. 전원스위치 26의 이 래치된 상태는 기어 52의 회전에 의하여 캠의 요부 92가 핀 90에 대항할때까지 유지된다. 이 위치에서 핀 90이 요부 92로 들어가서, 아암 68이 스프링 76에 의하여 처음의 휴지위치로 되돌아갈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회전반 2는 그 주위를 둘러싸며, 동기 전동기 6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벨트 8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회전반의 하면 중앙에 설치된 구멍 94에 한쪽 단부가 삽입된 축 28이 회전반과 함께 회전한다. 제 7 도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베어링 96과 97을 통하고 또 드러스트 베어링 98에 얹혀진 축 28은 슬리이브와 같은 부재 100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 66에 결합되어 있다. 이 축 28은 워엄 기어 부분 102와 마찰면이 큰 환상부분 104를 갖고 이들 2개의 부분이 아래에 서술하는 각 기구에의 회전력 전달에 기여한다. 원형의 회전 운동장치 106은 마찰구동외주(外周)면 108과 이것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동축치면(同軸齒面) 110을 갖고 있다. 이 장치 106은 피벗핀(pivot pin) 114에 의해서 베이스 부재 66에 축지된 브래킷 112에 취부되어 있다. 이 브래킷 112는 스프링 116에 의해서 바이어스가 주어지며, 부재 106의 치면 110이 기어 52주위의 치면과 계합되어 있다. 또 부재 106의 마찰면 108은 축 28의 마찰면 104와 마찰 아이들러(idler)차 118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 아이들러차 118은 핀 122에 의해 베이스 부재 66에 축 취부되어 있는 브래킷 120에 지지되어 있다. 아이들러차의 브래킷 120은 스프링 124의 힘에 의하여 통상 아이들러차 118을 축 28과 부재 106의 각각의 마찰면으로부터 이탈한 위치에 위치된다.
기어 52는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 66에 취부된 축 126에 회전 가능토록 취부되어 부재 106의 치면 110과 협동한다. 기어 52의 한쪽에 핀 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핀 54는 캐리지 18에 설치된 슬롯(slot)128에 삽입되어 운동을 결합한다. 캐리지 18은 판금 또는 동재료로 형성되며, 보통 L자형의 부재를 이루고 있다. 이 캐리지 18에는 1조를 이루는 4개의 회전 가능토록 취부된 플리(pulley) 130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플리 130은 베이스부재 62에 설치된 브래킷 132에 지지되어 있는 1쌍의 서로 떨어진 레일 20과 계합하고 있다. 이들 플리 130은 1쌍의 L자형이 축지된 부재와, 이것과 협동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압장치 134에 의해서 레일과의 계합관계가 유지된다.
아암 14와 침 12를 위한 하우징 16은 L자형 캐리지 18의 베이스 부재 62에 설치된 긴 슬롯을 통하여 통하게 되는 직립부 137에 취부되어 지지된다. 즉, 하우징 16은 캐리지 18을 레일 20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서 침이 디스크레코오드 4의 반경을 따라 이동하도록 캐리지 18에 취부되어 있다.
축 28의 워엄 기어부분 102에 영구적으로 결합된 기어 140은 나사봉 48의 한쪽단부에 멈춤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 나사봉 48은 1쌍의 레일 20사이에 이것과 평행인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회전가능토록 취부되어 있다. 이 나사봉 48을 회전가능토록 취부되게 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재 62에 결합된 브래킷에 고정된 마찰이 적은 부싱(bushing)또는 베어링 142가 사용되고 있다. 캐리지 18의 하면에 1쌍의 윤활가능하고 또 후퇴가능한 조오 50을 지지하기 위한 U자형의 판금제 브래킷 144가 고착되어 있다. 제 6 도에 잘 도시한 바와같이 각 조오 50은 보통 장방형의 모양을 가지며, 한쪽의 연부를 따라 나사봉 48의 나사와 상보적(相補的)인 나사가 설치된 반원형의 요입홈 146을 갖고 있다. 조오 50은 한쌍의 원형 스프링 148에 의하여 반원형의 요입이 나사봉 48을 사이에 끼우고 서로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조오 50을 협동하여 상호간에 V형의 구멍 150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서로 대응하는 사면을 가지고 있다. 이 V자형 구멍 150내에는 브래킷 154에 설치된 한쌍의 핀 152이 놓여 있다. 이 브래킷 154는 화살표 156의 방향으로 활동(活動)할수 있도록 1쌍의 핀과 슬롯 15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 154의 작동에 따라서 핀 152는 조오의 V자형 구멍 150의 사면을 눌러서 진행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조오 50을 분리시켜 반원형의 나사부분 146을 나사봉 45과 떨어지게 한다. 브래킷 154의 작동은 브래킷 154의 핀 164에 계합하는 슬롯 162를 갖고 있는 다른 브래킷 164에 의해 주어진다. 브래킷 160은 핀 166으로 축지되며 스프링 168에 의하여 제 6 도에 도시된 위치로 바이어스 된다. 피벗 166의 반대측에 있는 브래킷 160의 일부분 170이 긴 아암 174의 한쪽단부 172에 핀 결합되어 있다. 긴 아암 174는 캐리지 18에 취부된 핀 176에 의하여 축지되어 있다.
이 긴 아암 174의 아래 연부와 접촉하도록 제 1D자형 봉 178과 제 2D자형 봉 180이 설치되어 있다. 하기에 서술하는 제어를 받아 이들 D자형 봉의 어느한쪽이 회전하며는 제 6 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174가 핀 176을 중심으로 하여 시침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하여 아암의 단부 172가 제 6 도에서 보아서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서 브래킷 160이 핀 166을 중심으로 하여 시침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회동이 슬롯 162과 핀 164를 통하여 결합되어 브래킷 154가 좌측으로 이동하며는 이것에 의해서 나사봉 48에 대하여 조오 50이 제어된 위치결정(분리)이 행하여 진다.
피벗 176을 끼고 반대측의 단부에 긴 아암 174의 U자형 직립부분 18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직립부 182는 베이스부재 62의 개구 138을 통하여 지나가서 하우징 16안으로 요입된다. 이 직립부 182의 단부 184는 핀 186에 의해서 하우징 16의 하부를 따라 설치된 별도의 아암 188에 결합되어 있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서 잘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아암 188은 핀 190에 의해서 제 3 도에 도시된 형상의, 전체로서 평판상의 부재 194의 태브(tab) 192에 결합되어 있다. 이 평판상 부재 194는 하우징 16의 저부에 설치된 1 쌍의 직립부재 198을 관통하고 있는 핀 196에 의해서 하우징 16의 저부에 축지지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상부재 194는 하우징 16의 저부를 따라 넓어지며, 침지지용 아암 14의 하방에 또한 침 12를 디스크 레코오드 4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침지지용 아암 14가 하우징 16에 설치된 창 200을 통하여 지나가는 점과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제 4 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부재 194는 하나의 위치에 있어서 침지지용 아암 14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이 제 6 도의 D자형봉 178, 180의 한쪽 회전에 따라서 긴 아암 174의 직립부 182가 시침방향으로 회전하며는 이것에 의해서 아암 188이 제 4 도에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 아암 188의 작동에 의해서 부재 194가 핀 196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이 부재 194의 회동에 의해서 이것이 제 4 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를 취하게 된다.
부재 194가 점선의 위치를 취하는 도중에 부재 194는 침 지지용 아암 14와 접촉하여 이것을 들어 올린다. 이렇게 하여 부재 194에 의해서 주어지는 침 지지용 아암 14의 상승에 의하여 침 12는 디스크 레코오드 4의 평면으로부터 떨어지며, 창 200을 통하여 상방으로 올라가고 하우징 16안으로 끌어넣어진다.
다음에 D자형봉 178과 180의 제어에 대하여 서술하겠다. 이들 봉은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긴 아암 174를 작동시켜 조오 50과 침 12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 D자형 봉 180은 레일 20과 평행으로 뻗어 연결봉 202의 단부와 취부된다. 연결봉 202의 반대측 단부는 중단 제어 레바 46에 결합된다. 중단 제어 레바 46의 작동에 의해서 연결봉 202의 세로 방향의 이동을 통하여 D자형봉 180이 회전된다. 따라서, 중단제어 레바 46은 긴 아암 174를 작동시켜 침을 디스크레코오드로부터 들어올리고 동시에 나사 조오 50을 나사봉 48로부터 떨어지게 하고, 나사봉 48에 의한 캐리지 18의 횡방향 이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제 2 도에서 잘 알수 있는 바와같이 또 하나의 D자형봉 178은 원반 204의 중심 구멍을 통해 취부되어 있다. 이 원반 204는 적당한 수단으로 베이스 부재 66과 취부된 지지부재 206의 안에 회전가능토록 취부되어 있다. 이회전 가능한 원반 204의 한쪽에는 핀 20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은 원반에 편심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다음에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핀 208에 의한 원반 204의 회전에 의해서 D자형 봉 178이 회전된다. 이 핀 208은 구동절환 수단 30의 일부를 형성하는 판금제 가동 브래킷 214의 슬롯 210과 계합하고 있다. 브래킷 214에는 베이스 부재 66에 결합되어 있는 블록 218에 대한 나사를 이용하여 활동 가능토록 취부하기 위하여 또 다른 한쌍의 슬롯 2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 214의 조립취부 방법은 브래킷 214가 레일 20의 신장(伸長)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로 움직일수 있는 형태이다. 브래킷 214의 슬롯에 계합하는 핀 220에 따라서 또한 브래킷 214의 횡방향 이동이 안내된다. 브래킷 214의 이동에 의해서 그 슬롯 210이 이것과 계합하고 있는 핀 208을 통하여 원반 204를 약 90° 만큼 회전시킨다. 이 원반 204의 회전은 D자형봉 178을 회전시키고 긴 아암 174의 회동상태를 제어한다.
브래킷 214의 활(滑) 이동은 전기-기계적장치 32에 의하여 주어진다. 이 장치 32는 예를 들면, 나사와 같은 수단으로 베이스부재 66에 취부된 지지체 222에 고정되어 있는 DC전동기 34와 같은 구동원(源)을 가지고 있다. 이 전동기 34의 축은 전동장치 224를 통하여 같은 베이스부재 66에 지지되어 있는 워엄 기어축 226에 결합되어 있다. 이 워엄축 226에는 암나사가 설치된 피동차 228이 감합되어 있고, 워엄축 226의 회전에 따른 워엄축 226을 따라 이동한다. 피동차 228을 끼고, 가동 브래킷 214에 고정된 U자형 부재 230이 설치되어 있어 워엄축 226이 회전되며는 브래킷 214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가동 브래킷 214에는 손가락 모양의 돌출부재 232, 234, 236 및 238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 214의 단부에 설치된 2개의 돌출부 232와 234는 브래킷 214가 취하는 위치에 따라서 스윗치 240과 242와 계합하도록 또는 이들과 이탈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나사로서 베이스부재 66과 고정되어 있다. 이들 240과 242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DC구동전동기 34의 여자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또 돌출부 236과 238은 브래킷 214의 위치결정에 따라서 회전반축과 기어 52사이의 운동결합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가동 브래킷 214는 제 2 도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될때까지는 돌출부 236을 부재 12의 한 단부와 계합시킨다. 브래킷 214의 돌출부 236의 작동에 의해서 부재 120은 스프링 124의 작용에 대항해서 회동되며 아이들러차 118을 회전반축 28과 계합시킨다. 제 2 도에 도시된 브래킷 214의 위치에서 돌출부 238은 축지지된 부재 112와 떨어져 있다. 따라서 스프링 116은 부재 106의 주위 마찰면을 아이들러차 118과 접촉시키고 또 부재 106의 기어면 110을 기어 52의 치(齒)와 계합시킨다. 그래서 브래킷 214가 이 위치에 있을때 회전반축 28로 부터 아이들러차 118과 부재 106을 통하여 기어 52에 회전구동이 주어진다. 기어 52의 회전은 캐리지 18의 슬롯 128에 감입된 핀 54를 통해 캐리지 18에 전달되며, 캐리지 18의 레일 20을 따라 제어된 이동을 행하게 된다.
DC전동기 34는 역전 가능하며, 가동 브래킷 214를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시킬수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에 달할때까지는 아이들러차 118을 지지하는 부재 120으로부터 돌출부 236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아이들러차 118은 스프링 124의 작동으로 회전반축 28로부터 이탈한다. 동시에 돌출부 238이 부재 106을 지지하는 회동부재 112와 계합된다. 제 1 도에서 돌출부 238은 부재 112를 스프링 116의 힘에 대항해서 움직이게 하며 부재 106의 기어면 110을 기어 52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있게된다. 이 상태에서는 기어 52와 회전 반축 28과의 사이의 결합이 끓어지도록 해제된다.
또한 침 승강제어기구 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는 디스크 레코오드 4상으로의 침 12의 최초 강하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다. 또 이 기구 38은 하기에서 서술한 바와같이 캐리지 18의 구동을 회귀구동용 기어 52에 의한 구동으로부터 재생구동용 조오 50과 나사봉 48에 의한 구동으로의 최초절환을 제어하는 작동도 가지고 있다. 이 강하제어 기구 38은 제어아암 40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을 갖는 슬롯 브래킷 244를 가지고 있다. 이 브래킷 244는 슬롯 246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서 베이스부재 62에 활(滑)동 가능토록 취부되어 있다. 브래킷 244는 사(斜)면형의 부분 248을 가지고 있다. 구형의 전기 접점 42(제 7 도)를 갖는 부재 250이 기어 52의 중심에 대하여 진퇴할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 62에 활동 가능토록 취부되어 있다.
이 부재 250은 여기에 설치된 브래킷 244의 사면부분 248과 계합하는 홈 252에 의하여 브래킷 244에 결합되어 있다. 구형의 접점 42에 대한 전기적 접점은 구 42와 도선 256을 접속하는 도전편(片)254에 의해 행하여 진다. 부재 250은 구형 접점 42가 기어 52의 하나의 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52는 이것을 관통하고 있는 나선형의 창 258을 가지고 있다. 이 창 258내에는 예를들면 나사 260에 의하여 도전성 접촉판 44가 고정되어 있다. 접촉판 44는 중심을 향해 돌출한 도전부재 262를 가지며, 이 부재 262가 기어 52를 위한 도전성 취부축 126과 접촉하고 있다. 접촉판 44에의 전기적 접속은 이 축 126에 결합된 도선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구형접점 42의 크기는 이것이 창 258내로 들어가서 접촉판 44와 접촉되도록 결정된다. 기어 52에 설치된 창 258은 나선형 모양을 하고 있으므로 접점 42와 접촉판 44를 서로 접촉시키는데 필요한 기어 52의 필요양은 기어 52의 중심에 대한 구 42의 위치에 관계하여 결정한다. 부재 250의 위치는 강하제어기구 38의 제어아암 40위치를 손조작으로 세트하여 결정한다.
다음에 이 재생기구를 위한 제어 전기회로를 도시한 제 10 도를 포함하며, 각 도면에 관련지어 가면서 재생방식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 10 도는 재생기구를 위한 제어 전기 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동작에 앞서서 전원 스윗치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전원스윗치 26의 접점아암 264와 266은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를 취하고 있다. 리밋 스윗치 240과 242는 도시되지 않은 내장 또는 외부의 스프링 기타 적당한 수단으로 전기적으로 항상 폐쇄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초 재생기구가 오프 위치에 있을때 구동절환기구 30은 제 1 도의 위치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는 돌출부 232가 리밋 스윗치 24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스윗치 240은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항상 폐쇄위치에 있다. 그러나 돌출부 234는 리밋 스윗치 242와 접촉하기 있기 때문에 이 스윗치의 접점아암 268과 270은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재생장치의 동작을 개시 시키는데에는 온-오프-레바 22를 제 1 도와 제 9 도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제어레바 22의 이동의 결과로서 두가지 일이 일어난다. 래치된 온-오프 레바 조립체 24의 동작을 통하여 전원 스윗치 26의 접점 아암 264, 266가 접점 272또는 274에 각각 계합시킬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접점 아암 264를 통하여 계통에 AC전력이 주어지며, 여러가지 DC전원이 여자된다. 또 제어 레바 22의 이동에 의해서 항상 개구의 개시-절단 스윗치 36이 아암 89의 일시적인 접촉에 의해서 (제 2 도) 단시간만큼 폐쇄된다. 스윗치 36의 계합에 의해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저항기 276를 통하여 접지된다. 그래서 트랜지스터 Q1이 작동되고, 이어서 트랜지스터Q2를 작동시킨다. 리밋 스윗치 240이 항상 폐쇄위치에 있고 트랜지스터 Q2가 전도됨으로 계전기 278의 코일이 접지되어 여자된다. 동시에 트랜지스터 Q2의 전도가 저항기 280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귀환된다. 이것으로 개시-절단 스윗치 36이 만일에 재개된다더라도 트랜지스터Q1이 래치(전도상에서의 자기보존)된다. 계전기 278이 여자되어 있으며는 도선 282에 의한 접지전위와 도선 284에 의한 B+전위에 의하여 DC전동기 34에 전압이 주어진다. 이것으로 DC전동기가 회전하여 구동 절환기구 30을 제 2 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회귀 구동기구를 동작시킨다.즉, 구동절환기구 30의 브래킷 214가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 2 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서 돌출부 236과 238이 회전반축 28에서 아이들러차 118과 부재 106을 통하여 회전운동을 기어 52까지 전달시키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기어 52의 회전이 핀 54를 통하여 캐리지 18을 레일 20을 따라 이동시킨다. 동시에 제 2 도의 위치까지의 브래킷 214의 이동은 D자형봉 178을 회동시켜 아암 174와 188의 결합을 통하여 침아암 14에 후퇴위치를 취하게 한다. 그러나 브래킷 214는 제 2 도에 도시한 위치에 달하며는 리밋스윗치 240을 개방시킨다. 이것으로 트랜지스터 Q1과 Q2의 전기회로의 래치가 개방되어 계전기 278의 여자가 없어져 DC전동기 34가 정지한다.
이 싯점에서 침지지용 아암 하우징 16은 디스크 레코오드 4상의 올바른 개시 위치를 찾아서 디스크 레코오드 4상에서 회귀 운동을 한다. 디스크 레코오드 4의 재생개시 위치는 레바 40에 의해서 미리 기어 52의 중심에 대해서 선정된 부재 250의 위치로 결정된다. 즉 구접점 42의 위치 결정에 의해서 구접점 42를 기어 52의 창 258에 설치된 접지 전위의 접촉판 44에 접속시키는데에 필요로 하는 기어 52의 회전량이 결정된다. 접점 42와 접촉판 44의 접촉에 의해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가 커패시터 268, 288및 저항기 290을 통해 일시적으로 접지 292에 접속되어 이 결과 트랜지스터Q3가 작동한다.
트랜지스터Q3의 작동에 따르지 않는 트랜지스터Q4도 작동하여 리밋 스윗치 242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개방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계전기 294가 여자된다. 기어 52의 회전에 의해서 접점 42와 접점판 44가 분리되며는 커패시터 286과 288은 저항기 296을 통해 방전한다. 리밋 스윗치 242가 폐쇄되어 있으며는 트랜지스터Q4의 전도가 저항기 29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귀환된다. 이것으로 트랜지스터 Q3및 Q4가 유전상태에서 래치(자기보존)된다. 계전기 294의 여자에 의해서 도선 282에 주어지는 B+전위와 도선 284에 주어지는 접지전위에 의해서 DC전동기 34에 전압이 주어진다. 이것으로 DC전동기 34는 역방향으로 여자되어 구동절환기구 30의 브래킷 214를 구동하여 제 2 도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제 1 도에 도시된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시킨다.
구동전동기 34가 브래킷 214를 이동시켜 제 2 도에 도시된 회귀 구동위치로 부터 떨어지게되면 돌출부 236과 238이 기어 52와 회전반축 28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것으로 기어 52에 의한 캐리지 18의 횡방향 이동이 정지한다. 그러나 이 부재 214의 같은 운동이 슬롯210과 핀 208의 동작을 통하여 D자형봉 178을 회동시킨다. 이 D자형봉 178의 회동이 아암 174를 통하여 침 12를 디스크 레코오드 4의 평면까지 강하시킨다. 이 아암 174의 작동은 전술한 기구를 통하여 가동 조오 50을 나사봉 48에 계합시킨 신호재생이 행해지는 동안 캐리지 18과 침 지지용 아암, 하우징 16의 이동을 행하게 한다. 브래킷 214가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도달하며는 돌출부 234가 스윗치 242의 접점을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로 돌아가게 한다. 스윗치 242의 개방에 의해서 트랜지스터 Q3및 Q4의 래치가 해방되며 계전기 294로부터 전원이 절단되어 해방되어 DC전동기 34가 정지한다.
이것으로 재생장치의 기구는 신호재생 방식의 동작상태에 있게 된다. 이 방식에 있어서 재생의 종료는 취급자의 의지에 따라서 행하게 할수가 있다. 이 경우는 레바 22를 조작하여 개시-절단스윗치 36을 작동시켜 재생의 절단을 행한다. 또 디스크 레코오드로부터 오는 비데오 정보가 없어졌을때 재생회로로부터 단자 300에 신호를 줌으로서 재생을 종료시킬수도 있다. 스윗치 36이 폐쇄되어 있으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저항기 276을 통하여 접지된다. 또는 이 대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300에 정(正)전압, 예를들면, +15볼트 DC가 주어져 이것이 커패시터 302와 저항기 30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 주어진다. 양쪽 경우에 있어서도 정 방향의 변화가 트랜지스터 Q1을 유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Q2도 유전하여 계전기 278이 여자되고, 트랜지스터Q1및 Q2의 회로가 리밋스윗치 240을 통하여 래치된다. 그래서 구동절환기구 30의 브래킷 214가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 2 도의 위치까지 구동된다. 이 이동 동안에 기어 52가 다시 회전반축 28에 계합된다. 또 이 이동에 의해서 D자형봉 178이 회전되고 아암 174를 통하여 침 12가 디스크 레코오드의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조오 50이 나사봉 48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해서 재생 장치기구는 재생 형식에서 회구구동 형식으로 되돌려진다. 기어 52는 핀 54에 의해서 항상 캐리지 18에 결합된대로이기 때문에 하우징 16이 작동하지 않고, 하우징 16은 디스크 레코오드의 중심을 향하여 계속하여 거기에서 제 1 도에 도시된 오프 위치, 즉 휴지위치로 되돌아 온다.
그러는 동안에 브래킷 214가 제 2 도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며는 돌출부 232에 의해서 리밋 스윗치 240이 개방된다. 스윗치 240의 개방에 의해서 트랜지스터Q1 ,Q2의 회로 래치가 개방되며 계전기 278의 여자가 없어져, DC구동전동기 34가 정지하며, 구동절환기구 30은 제 2 도의 위치에 멎게 된다.
하우징 16이 회귀를 완료하여 제 1 도에 도시된 디스크레코오드 4로부터 이탈된 접점에 도달하며는 기어 52의 킴면 56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위치까지 캠면 56이 도달하며는 온-오프-레바 24에 결합되어 있는 부재 90이 작동하여, 전원스윗치 26의 접점아암 264및 266을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위치로 한다. 리밋 스윗치 242의 접점 268을 통하여 온에 유지된다. 전원스윗치 26의 접점 266을 폐쇄함으로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가 저항기 306과 커패시터 308을 통하여 접지 310에 접속된다. 그래서 트랜지스터 Q3가 작동되어 이것에 따라서 트랜지스터 Q4가 작동되며 트랜지스터Q3및 Q4의 회로가 래치되고, 또 계전기 294가 여자된다. 계전기 294의 여자에 의해서 DC전동기 34는 전류가 공급되어 구동 절환기구 30의 브래킷 214를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복귀시킨다. 그러는 동안에 기어 52의 회귀 구동이 중단되어 침 하우징 16은 디스크 레코오드 4로부터 떨어진 휴지 위치에 남게된다.
브래킷 214가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에 달하며는 돌출부 234에 의해서 리밋스윗치 242가 개방된다. 이것으로 트랜지스터 Q3및 Q4의 회로의 래치가 해방되어 계전기 294가 여자를 잃게 되고 DC전동기 34가 정지하며 리밋스윗치 242의 접점 268도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방된다. 스윗치 242의 접점 268이 전계통에 주어지는 AC전력을 유지하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에 이것이 개방됨으로서 전계통으로의 전력이 차단되어 계통의 동작 사이클의 하나가 완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58의 뚜껑 60을 폐쇄한 상태에서 재생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뚜껑 60을 폐쇄한 상태에서 취급자가 디스크 레코오드 4상에서의 침 12의 위치 결정을 쉽게 하기 위하여 지시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시계는 아암 312를 가지며, 이 아암 312의 한쪽 단부가 캐리지 18에 취부되어 있어 함께 이동한다. 아암 312의 다른쪽 단부에 뚜껑 58의 전면에 설치된 패널 318이 교정된 눈금판 316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지표 3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림에도 도시된 바와같이 이 지표는 눈금판 316의 반투명 부분 320을 투과하여 보이는 빛을 발생하는 조명전구도 할 수가 있다.
Claims (1)
- 위에 얹혀진 디스크 레코오드와 재생침의 협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회전구동 가능한 회전반축 및; 상기침의 상기 디스크 레코오드의 반경방향 이동을 행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침지지 하우징 및; 상기 디스크 레코오드와 사실상 동일면 상의 제 1 위치와, 이 제 1 위치와 떨어진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침의 이동을 행하게 하는 침 제어수단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반의 회전에 선택적으로 응동하여, 상기 하우징을, 제 1 위치와, 재생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제 1 의 구동 수단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반의 회전에 선택적으로 응동하여, 디스크 레코오드에서의 정보재생동안,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제 2 의 구동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의 구동 수단과, 상기의 침 제어 수단에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 1 과 제 2 의 구동 수단을 선택적으로 여자하여, 상기 제 2 의 구동 수단이 동작하고 있는동안, 상기 침을 상기 제 1 의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의 구동 수단이 동작하고 있는동안, 상기 침을 상기 제 2 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동작하는 수단을 가지는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40002209A KR790001799B1 (ko) | 1974-04-16 | 1974-04-16 |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40002209A KR790001799B1 (ko) | 1974-04-16 | 1974-04-16 |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790001799B1 true KR790001799B1 (ko) | 1979-12-18 |
Family
ID=19199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40002209A KR790001799B1 (ko) | 1974-04-16 | 1974-04-16 |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790001799B1 (ko) |
-
1974
- 1974-04-16 KR KR740002209A patent/KR790001799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790001799B1 (ko) |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 | |
US3870835A (en) | Stylus control apparatus for a video disc record player | |
US3599984A (en) |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record players | |
US3000005A (en) | Off-center indicator | |
US5316201A (en) | Bonding apparatus | |
US2342085A (en) | Signal device | |
JPH0240569Y2 (ko) | ||
JP3301091B2 (ja) | リードスイッチの接点ギャップ設定方法とその装置 | |
US3553396A (en) | Switch device for an electric clock | |
US1072346A (en) | Gramophone. | |
US3844570A (en) | Record player | |
US2647752A (en) | Drive mechanism | |
US2705299A (en) | Electric motor driven constant speed drive | |
JPS5819705Y2 (ja) | 自動アジマス調整装置 | |
CN118021046A (zh) | 美妆镜、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JPS6217816Y2 (ko) | ||
JPS6235215Y2 (ko) | ||
CN213290004U (zh) | 一种新型伺服电机转子的定位装置 | |
SU600695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стройки и переключени каналов | |
US2790860A (en) | Motor driven tap switch | |
JPS5821338B2 (ja) | エンドスイツチ | |
SU1467636A1 (ru) | Устройство скольз щего токосъема | |
WO1989000750A1 (en) | Magnetic recorder/player device with stationary recording medium | |
US1455262A (en) | Electrically-driven sound-reproducing machine | |
SU1066054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штучной подачи радиодетале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