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788B1 - 직물의 방염 처리법 - Google Patents

직물의 방염 처리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788B1
KR790001788B1 KR7404203A KR740004203A KR790001788B1 KR 790001788 B1 KR790001788 B1 KR 790001788B1 KR 7404203 A KR7404203 A KR 7404203A KR 740004203 A KR740004203 A KR 740004203A KR 790001788 B1 KR790001788 B1 KR 790001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olution
parts
water
hydroxy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루우스 러어브라안 로버어트
에이 러어브라안 데스틴
Original Assignee
브루우스 러어브라안 로버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우스 러어브라안 로버어트 filed Critical 브루우스 러어브라안 로버어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8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D06M13/285Phosphines; Phosphine oxides; Phosphine sulfides; Phosphinic or phosph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50Organo-phosp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6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phosphorus in the main cha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Fire or heat protection feature
    • Y10S428/921Fire or flameproof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물의 방염 처리법
본 발명은 메틸롤 포스포러스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의 수용성 축합물을 방염제(防炎劑)로 하여 직물을 처리하는 직물 방염가공법에 관한 것이다.
직물의 방염처리 실시는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하여 상식으로 허용될 수 없는 가연성 직물에 의한 부당한 위험을 방지할 목적으로 각국에서 입법화 되기에 이르렀다.
종래에는 화합물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를 셀룰로오즈계 직물에 대한 방염가공제의 기본물질로서 사용하였다. 즉, 리브스(Reeves)와 구트리(Guthrie)는 패드 드라이 큐어법에 의해 면직물을 처리하는데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요소의 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처리방법 또는 이를 약간 개선시킨 방법은 거듭되는 세탁에도 견디어 낼 수 있는 면직물용 방염제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업적으로 이용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처리된 직물은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며 또한 너무 빳빳해지기 때문에 특수 목적, 또는 작업복이나 텐트안감으로 밖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리브스와 구트리는 그후 소위 화학처리법을 이용하여 셀룰로우즈계 직물에 있어서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의 불용성 중합체를 형성시키는 개량공정을 발명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의 예비중합체 및 메틸롤멜라민, 또는 요소, 또는 플로로글루시놀등을 물속에 형성시켜, 이 용액을 면직물에 패딩(Padding) 시킨후 직물을 건조시킨다. 그후 암모니아(화학처리법)로 이 직물을 처리하면 직물의 안팎에 걸쳐 불용성 중합체가 형성되며, 이와같은 방법으로 직물의 방염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코티스(Coates)는 함침 직물을 먼저 암모니아 기체로 처리한 다음 암모니아수로 처리하는 화학처리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방법을 개량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를 환류시킴으로써 물속에 예비축합물을 형성시키는데, 이때 이 예비 축합물은 요소, 멜라민, 요소 및 황화요소의 혼합물, 디시안디아미드, 또는 구아니딘등을 함유하게 된다. 이 예비축합물의 수용액을 면직물에 패딩시킨후 직물을 건조시키고, 그후 이 직물을 먼저 암모니아 기체실로 도입하고 이어 암모니아수로 처리하면 직물의 안팎에 걸쳐 불용성 중합체가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직물의 방염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스포포늄 클로라이드-요소 예비축합물을 이용한 공정은 상업적으로 유용하게 되었으며, 현재 프로반법(Proban Process)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셀룰로우즈계 직물에만 적당할 뿐이고, 폴리에스터-면혼방직물에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다시 코티스와 찰키(Chalkey)는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요소 예비축합물을 사용하는 대신 NaOH와 같은 염기에 의해 pH-3-9.5 사이로 중화시킨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염(THP염이라약기함)을 사용함으로써 이 방법을 더욱 단순화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직물을 중화 THP염으로 패딩하여 건조시킨 후, THP염이 직물표면에 고착되도록 충분히 열처리시킨다. 이어 이직물을 암모니아로 처리하면 직물의 안팎에 걸쳐 불용성 중합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베니네이트(Beninate)와 그의 동료들은 암모니아 기체에 의한 처리에 앞서 THP 염을 고착시키기 위한 열처리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상기방법을 개량하였다. 이들은 NaOH 등의 염기로써 THP염을 약 PH7.5-7.9정도로 중화시키고, 이 중화생성물을 THPOH라 칭하였다. 사실상 이 방법으로 중화된 THP염의 용액은 주로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으로 구성된다(리브스외 공저, Textile Chemist and Colorist 2권, 283-285면, (1970) 참조). 이 방법에서는 직물을 이 THPOH의 수용액으로 패딩하여 면의 통상 수분율 정도 또는 이보다 약간 높은 수분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킨후, 이어 건조상태의 암모니아 기체로 처리하여서 직물의 안팎에 걸쳐 불용성 중합체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그들은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셀룰로우즈계 직물이나 모직물 뿐만이 아니라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있어서도 방염처리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방법은 면직물에 적합한 방법으로서 상업적으로 유용하게 이용되었으나, 폴리에스터의 혼방율이 20%이상인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있어서는 역시 적절한 방염처리를 이루지 못한다.
르브랑(Le Blanc)과 그레이(Gray)는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대하여 THPOH 가공제를 적용하는 문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Textile Chemist and Colorist 3권, 263-265면, (1971) 참조). 이들은 폴리에스터 혼방율이 12.5-25%이하인 혼방직물에 대하여서는 최소 수준의 방염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폴리에스터 혼방율이 이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직물은 처리후 지나치게 빳빳해진다.
테소로(Tesoro)는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대하여 만족할만한 방염시스템을 얻으려면 이 시스템이 인과 브롬을 함유하여야 하며 질소의 존재는 중요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Textile Chemist and Colorist 5권, 235-238면, (1973) 및 NTIS-COM-73-11265 참조).
시바 게이지사(Ciba-Geigy Corporation)는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대한 새로운 방염제로서 피로바텍스 3762 (Pyrovatex 3762)를 개발하였다.
(직물방염에 대한 심포지움에서 John Leddy 및 Rene Eckert가 행한 "면직물 및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대한 내구성 방염제" 참조) 독일 명세서 DOS 2, 136, 407에는 "포스포늄 소중합체"가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의 수용성 자체 축합 생성물임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패드 드라이큐어 애프터 워시(pad-dry-cure-afterwash)법으로써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적용될 수 있다. 패딩용액은 피로바텍스 3762, 디메틸롤멜라민, 요소, 유연제, 습윤제의 자체 축합생성물을 포함한다. 피로바텍스 3762는 직물의 처리공정중 매우 심한 인산염 형태의 악취를 내게되며, 처리된 직물은 매우 뻣뻣해진다.
영국특허 제 761, 985 호에서는 암모니아를 THP염과 축합시키고 있는데, 그러나 이때의 생성물은 물에녹지 않는 고체 중합물이므로 셀룰로우즈계 직물을 처리하기 위하여는 에멀젼의 형태로 물속에서 사용된다.
케미칼 엡스트랙트(Chemical Abstract) 79권 (1973) 20256X항에는 독일 DOS 2, 242, 681이 요약되어 있는데, 즉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를 자체 축합시켜 물을 제거하고, 비스코우스 방사원액에 첨가될 수 있는 분산가능한 물질을 요소와 함께 형성하고 있는 중합체만을 남겨놓는 방법이다. 또한 케미칼 엡스트랙트 79권 (1973) 20258Z항에는 독일 DOS 2, 242, 628이 요약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THPC를 아민과 함께 축합시켜서 크실렌내에 존재하는 도데실아민을 축합시키는 방법이다. 케미칼 엡스트랙트 79권 (1973) 93383W항에는 독일 DOS 2, 255, 113이 요약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THPC를 암모니아 및 요소와 동시에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처리중 어느 것도 상업적으로 유용하다고는 할수 없다.
따라서 현재 미합중국에서 생산되는 전체 직물의 1/3을 점하고 있는 50-50 또는 65-35폴리에스터-면 혼방 직물의 경우, 이와같은 혼방직물에 방염성을 부여할 수 있는 성공적인 방염가공제는 입수할 수 없는 실정이다. 문제는 예컨대 셀룰로우즈 중합체의 경우에는 하이드록실기와 같은 반응성기가 있으나, 폴리에스터 중합체 섬유에는 반응기가 전혀 없다는데 있다. 직물의 폴리에스터 함량이 50%에 이르게되면 직물상의 하이드록실기의 수는 크게 감소하여 이와같은 직물에 방염성 화합물을 부착시키기 어렵게 된다.
피로바텍스 3762는 THP염에 비해 분자당 반응성 메틸롤기를 더 많이 갖고 있기 때문에 THP염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더 높은 효율로 디메틸롤멜라민과 같은 수지와 중합될 수 있지만, 이에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은 몇 개의 결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직물, 특히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을 방염처리하기에 유용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화합물로써 직물을 방염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방염처리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물질로서는 면, 아마, 재생 셀룰로오즈, 레이온, 부분 에테르화 및 에스테르화된 셀룰로오즈계물질로 형성된 직물 또는 웨브; 이와같은 형의 섬유와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크릴, 모다크릴, 비니온, 양모, 실크등과의 혼방직물; 나무제품 또는 종이제품과 같은 기타형태의 셀룰로오즈; 또는 양모나 실크와 같이 단백질을 함유한 직물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직물이란 섬유, 실, 직포(방직, 부직 또는 편직포), 웨빙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의 방염처리법은 다음 일반식(가)로 표시되는 폴리 (α-하이드록시알킬) 포스포러스 화합물과 다음 일반식(나)의 질소화합물로 이루어지며 또한 포스포러스 화합물이 질소화합물 1몰에 대하여 약 0.5-6배의 몰비율로 존재하는 수용성 축합물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Figure kpo00001
또는
Figure kpo00002
식중,
각각 R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R'은 OR 또는
Figure kpo00003
이며,
R"는 C1-C3알킬렌이고,
Y는 최소한 한 산의 화학당량의 음이온이며,
n은 2내지 4의 정수이고,
m은 2 또는 3이다.
Y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포스페이트, 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포스파이트, 하이드로겐포스파이트, 나이트레이트, 나이트라이트, 메틸설페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옥살레이트, 프로판-1, 2, 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시트레이트, 숙시네이트, 말로네이트등의 산의 음이온일 수 있다. 4개까지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유기산과 무기산이 좋으며, 알칸카르복실산이 특히 더 좋다.
그중 옥살레이트, 아세테이트등의 유기산과 클로라이드를 제외한 나머지의 무기산이 좋은데, 클로라이드는 약간의 황화(黃化) 경향이 있으므로 순백색 직물을 처리대상으로 할때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반응도중 용액은 2이상의 다소 높은 pH치, 바람직하기는 최소한 약 3,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4의 pH치를 나타낼 것이므로 강산보다는 다소 약산을 채택하는 것이 좋다. 이와같은 pH치는 반응을 보다 신속히 완결시키며 내구성 제품, 즉 직물에 적용된 후 반복 세탁하더라도 견딜 수 있는 내세탁성 생성물을 제공한다.
폴리 (α-하이드록시알킬)포스포러스 화합물의 예로서는 테트라키스 (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특히 다른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염류, 예컨대 아세테이트 및 (또는) 옥살레이트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염류 등이며,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핀이 특히 좋다.
질소 화합물의 예는 NH3, 메틸아민, 에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N, N-디메틸프로필렌디아민 등이다. 이 중에서 적당한 것은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제조공정이 간단한 메틸아민, 또는 특히 NH3이다.
물에 대한 용해도를 유지하고 불용성 중합체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질소 화합물에 대한 폴리 (α-하이드록시알킬)포스포러스 화합물의 몰비를 반드시 주의깊게 제어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비율은 방염제 제조에 사용한 폴리 (α-하이드록시알킬)포스포러스 화합물의 종류와 질소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어느정도 변경된다. 일반적으로 질소 화합물에 대한 폴리 (α-하이드록시알킬)포스포러스 화합물의 몰비는 약 6 : 1 내지 0.5 : 1의 범위가 되어야 하며, 특히 약 3 : 1 내지 1 : 1의 범위가 적당하다. 이와 같은 몰비조건을 만족시켜야만 직물을 방염처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반응은 먼저 폴리 (α-하이드록시알킬)포스포러스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에 질소 화합물을 서서히 첨가하되, 불필요한 불용성 중합체가 형성되지 않도록 첨가와 동시에 교반을 하여줌으로써 수행된다.
반응한 두 화합물이 만일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클로라이드와 NH3이었을 경우, NH3가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부분과 반응하는 것과 동시에 NH3의 일부는 일부 THP염의 산성도를 중화시키는데 소모될 것이다. 이 후자의 반응이 일어날때 형성된 수용성 축합물의 화학적 결합은
Figure kpo00004
가 될 것이다. 만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핀과 암모니아, 혹은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핀과 메틸아민을 사용하여 반응을 시작할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형태의 구조가 형성될 것이다. 적당한 포스포러스 반응물은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핀인데, 이것은 직접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먼저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염을 수산화나트륨등의 강알카리로 중화시킨후, 적당한 질소 화합물 즉 암모니아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반응기에서 형성되는 그대로 임의 사용할 수도 있다. 포스핀을 사용하여 출발할 경우는 포름알데히드를 대략 같은 몰수로 포함시키거나 또는 글리옥살을 이 몰수의 반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가 흔히 있다.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염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이 경우에는 음이온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데, 이와같은 음이온은 간혹 직물의 변색을 초래하여 표백단계를 필요로 하게될 때도 있다. 한편 상당량의 포름알데히드 대신 예컨대 파라포름알데히드, 헥사메틸렌테트라민등의 포름알데히드 선구물질 또는 유리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헥사메틸렌 테트라민을 사용하면 이것은 포름알데히드를 공급하는 외에 암모니아 공급원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본 축합생성물은 수용성 물질이며 불용성 중합체가 형성되는 일 없이 6개월 이상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게 존재한다. 이들은 출발물과는 다르며 이 사실은 적외스펙트럼, 얇은막 크로마토그라피 및 이분야 주지의 기타 분석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반응은 수성매질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인데, 이 경우에는 가공제를 더 첨가하거나 혹은 물로 더 희석한후 직물에 적용될 수 있는 수용액이 직접 형성된다. 반응중의 물의 양은 수용액중의 물의 농도가 약 20 중량 % 이상, 특히 유익하게는 약 25-60 중량 %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용성 축합생성물은 다음 구조식을 포함한다.
Figure kpo00005
이와는 대조적으로 환류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요소로 부터 제조한 앞서 기술한 프로반(Proban) 구조는 다음 기를 포함한다.
Figure kpo00006
시바-게이지 피로바텍스 3762생성물은 다음 구조를 포함한다.
Figure kpo00007
본 발명에 의한 신규 제품은 수용성이며 THP염에 비해 고분자량이기 때문에, 처리한 직물을 건조시킬때 직물표면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거의 없다. 또한 본 제품이 수용성이기 때문에 물에 녹지않는 물질을 물에 분산시킨 종래의 분산액을 적용하였을 때에 비하여 활성물질이 더욱 균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용성 축합생성물은 인(燐)에 부착된 메틸롤 기들을 함유하는데, 이것은 아미노 수지류, 셀룰로오즈등과 더 반응하여 셀룰로오즈 상에 그래프트중합되고 직물의 안팎에 걸쳐 불용성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직물의 큐어링(curing)도중 일어나는 것은 아마도 이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인 및 질소를 충분한 양으로 고착시킴으로써 직물은 세탁 내구력이 있는 방염성을 갖게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용성 축합생성물은 적당한 수단으로 진물에 단독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1)아미노수지, (2) 요소, 및 (3) 황화요소로부터 선택한 하나 이상의 물질 약 2-50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15-40중량%와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직물을 이들 제품의 수용액으로 패딩시킴으로써 본 발명이 적용된다. 패딩 후 직물을 건조 또는 부분 건조시킨 다음, (1) 건조 또는 부분건조된 직물을 암모니아(기체상태, 또는 수용액 상태, 또는 이 두상태를 조합시킨 상태의 암모니아)에 노출시키는 화학처리법에 의하여 : 또는 (2) 건조 또는 부분건조된 직물을 충분한 시간동안 고온처리하여(보통은 약 15초-10분간, 약 127°-188℃의 온도로) 본 축합생성물을 직물의 안팎에 걸쳐 고착시키는 열처리법에 의하여 : 또는 (3) 건조 혹은 부분건조된 직물을 먼저 열처리법으로 처리한 후 암모니아를 사용한 화학처리법으로 다시 처리하는 혼합방법등에 의하여 큐어링 시킬 수 있다.
상술한 처리법중에서 바람직한 처리법은 열처리법으로서, 즉 이 방법에 의하면 특별한 가공장치가 필요없고, 더욱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 직물에 우수한 촉감을 부여하는 예상외의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열처리에 이어 암모니아에 의한 화학처리를 속행하는 혼합방법은 방염직물에 반복세탁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적당한 방법으로서는 본 축합생성물과 메틸롤멜라민 수지를 습윤제 및 유연제와 함께 물속에서 용해시키는 것이다. 즉, 형성되는 수용액으로 직물을 패딩 처리하여 건조시킨후, 오븐에 넣어 열처리 시킨다. 이어서 직물을 계면활성제 및 산화제 예컨대 과붕산 나트륨 또는 H2O2와 염기(예 : 소디움 실리케이트)의 혼합물등을 함유하는 세척수로 세척하여 비반응물질을 제거하고 직물의 방염성을 향상시킨다.
본 축합생성물의 처리와 동시에, 또는 처리전이나 처리후에 다른 방염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셀룰로우즈 아세테이트 섬유에 방사된 용액중에서 섬유를 용해시키고 트리스(2 ,3-디-브로모프로필) 포스페이트와 같은 인산염을 생성섬유중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다른 방염제와의 혼용은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적은 양으로 같은 효과를 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트리스(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는 많은 섬유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작용하므로, 본 축합생성물 사용으로 얻어지는 직물의 촉감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도로 감소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적극적으로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용성 축합생성물을 제외한 다른 축합생성물은 모두 아동용 폴리에스터-면 혼방 잠옷에 대한 기준치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직물을 아동용 잠옷에 대한 기준치, 즉 FF3-71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50회 이상의 세탁 및 텀블 건조시킨 이후에도 직물은 그들의 방염 특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었다. 본 신규제품은 또한 모든 종류의 셀룰로우즈 물질, 양모, 또는 셀룰로우즈 섬유와 양모, 모헤어, 나일론, 아크릴, 비니온, 모다크릴 등과의 혼방직 등을 처리하는 데 또한 유용하다.
직물에 적용되는 축합생성물의 양은 원하는 방염도의 수준 및 원하는 세탁견뢰도의 수준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비처리 직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5 중량 % 정도면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며 최소 약 10 중량 % 정도면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제공한다. 물론 약 50 중량 % 또는 그 이상의 높은 비율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약 35 중량 %를 초과하면 부가적인 잇점을 얻기 곤란하다. 사용된 용액중에서 본 축합물의 농도를 변화시키면 흡착량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약 20-60중량 %이다. 직물의 조성, 구조 및 함침직물의 압착정도 등도 흡착량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80% 수용액 125부를 50부의 물과 35부의 얼음에 첨가하고, 형성 용액을 교반하면서 동시에 28% 암모니아 수용액 10.7부를 10분간에 걸쳐 이용액에 서서히 가하였다. 이때 온도는 35℃로 상승하였으며, 수용성 축합생성물의 형성이 얇은막크로마토그라피(TLC)에 의해 확인되었다.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및 NH3는 3 : 1 몰비로 사용되었다.
[실시예 2]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의 80% 수용액 125부를 50부의 물과 35부의 얼음에 첨가하고, 형성용액의 PH가 6.5가 되도록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였다. 이때 용액은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핀 및 포름알데히드 중의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거나, 혹은 이들 둘의 부가화합물을 이루고 있었다. 이 용액을 교반하면서 동시에 28% 암모니아 수용액 10.7부를 5분간에 걸쳐 이용액에 가하였다. 수용성 축합생성물의 형성이 TLC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핀 및 NH3는 3 : 1 몰비로 사용되었다.
[실시예 3]
거의 9.9%의 포스포늄 포스포러스를 함유하는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아세테이트 및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포스페이트의 수성혼합물인 파이로세트(pyroset) TKP166부를 35부의 물과 35부의 얼음에 첨가하고, 이어 실시예 1과 같은 요령으로 28% 암모니아 수용액 21.4부를 이용액에 첨가하였다. 수용성 축합생성물의 형성이 TLC분석으로 확인되었다. 이 축합물은 포스포늄 포스포러스와 암모니아의 몰비가 1.5 : 1인 반응물들로 부터 형성되었다.
[실시예 4]
32.1부의 28% 암모니아 수용액을 125부의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에 첨가함으로써,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NH3의 몰비가 1 : 1인 수용성 반응생성물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5]
21.4부의 28%암모니아 수용액을 125부의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80%수용액과 50부의 물에 교반하면서 첨가한후, 형성용액을 60℃로 1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NH3의 몰비가 1.5 : 1인 수용성 반응 생성물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6]
64.2부 28%의암모니아 수용액을 125부의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 80% 수용액과 50부의 물에 교반하면서 첨가한후, 형성용액을 가열판상에서 비등점까지 가열함으로써,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NH3의 몰비가 0.5 : 1인 수용성 반응 생성물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7]
수산화나트륨 첨가에 의해 PH가 6.0으로 조정되어있는 125부의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 80% 수용액에 8.2부의 모노메틸아민을 발포화 도입하였다. 이때 온도는 70℃까지 급격히 상승하였다. 이에의해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모노메틸아민의 몰비가 2 : 1인 수용성 축합생성물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8]
124부의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핀(순도 93%)을 250부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어 86.7부의 37%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을 첨가한후, 농인산을 가하여 이 용액의 PH를 7로 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20.3부의 28%암모니아 수용액을 첨가하여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핀과 NH3의 몰비가 3 : 1인 수용성 반응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이에 물을 첨가하여 전체용액이 571부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5의 반응생성물에 수산화 나트륨을 충분히 가하여 PH를 5로 조정하고, 이어 30부의 레스룸(Resloom) HP(트리메틸롤멜라민으로 여겨지는 시판멜라민 수지), 0.3부의 트리톤(Triton) X-100(옥틸, 펜옥시폴리에톡시에탄올로 여겨지는 알킬계시판 습윤제)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으로 144.6g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을 패딩 처리한후, 습흡착율이 90%가 될때까지 압착하였다. 직물을 송풍 공기 오븐중에서 97.8℃로 5분간 건조시킨 후, 송풍 공기오븐중에서 137.8℃로 5분간 열처리하였다. 직물을 가정용 세탁기에서 0.1%과산화수소, 0.01%규산나트륨 및 0.01%수산화나트륨으로 60℃, 5분간 세탁하여 헹구고 건조시켰다. 직물은 22.7%의 부착고형분을 갖는다. 이직물을 세탁하여 싸이즈 0-6X의 아동용 잠옷의 기준치(FF 3-71)에 따라 시험하였다. 직물의 초기차어 길이(Cha length)는 4.1cm이고, 50회 세탁후의 차어 길이는 8.4cm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2에서와 같이 몰비가 3 : 1인 반응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즉,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6.5로 조정한후, 이에 22.5부의 레스륨 HP,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으로 144.6g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을 패딩 처리하고 습흡착율이85%가 될때까지 압착하였다. 직물을 송풍 공기 오븐중에서 87.8℃로 5분간 건조시킨 후 송풍 공기오븐중에서 143.3℃로 4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직물을 10%암모니아 수용액에 5분간 침지시킴으로써 암모니아 처리를 받게한, 다음, 헹구어 건조시키고, 3%과산화수소로 패딩시킨후, 밀폐플라스틱 백속에 30분간 방치한 다음, 가정용 세탁기로 5분간 세탁하고 건조시켰다. 직물에 부착된 고형분은 19.9%이었다. 직물을 세탁하여 싸이즈 7-14의 아동용 잠옷의 기준치(DOC PFF 5-73)에 따라 시험하였다. 처리된 직물을 세탁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8
[실시예 11]
실시예 2에서와 같이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NH3의 몰비가 3 : 1인 수용성 축합생성물을 제조하였다. 용액의 PH를 수산화나트륨 6.0으로 조정한후, 이 용액에 22.5부의 레스룸HP,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처리욕으로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을 패딩시키고, 87.8℃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137.8℃에서 5분간 열처리하였다. 직물을 냉수로 헹구어 실시예 10에서와 같이 산화시켰다. 직물에 부착된 고형분은 18.0%이었다. 직물을 세탁하여 실시예 10에서와 같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9
[실시예 12]
125부의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80%수용액 및 21.4부의 28%암모니아 수용액을 실시예 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하여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NH3의 몰비가 1.5 : 1인 반응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의 첨가를 통해 용액의 PH를 6.0으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에 19.5부의 레스룸HP, 15부의 요소,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처리욕을 실시예 9에 기술한것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적용하여, 건조, 열처리 및 산화 처리하였다. 직물의 부착 고형분은 24%였다. 이를 세탁하여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0
[실시예 13]
125부의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80%수용액과 25.3부의 28%암모니아 수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같이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와 NH3의 몰비가 1.25 : 1인 반응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수산화나트륨으로써 이 욕의 PH를 5.0으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에 42부의 요소,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처리욕을 실시예10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적용하여, 건조, 열처리, 암모니아 처리, 산화 및 세척하였다.
직물에 부착된 고형분은 23%이었다. 직물을 세탁하여 실시예 5와 같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kpo00011
[실시예 14]
수산화나트륨의 첨가에 의해 PH가 6.0으로 조정되어 있는 125g의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80%수용액에 21.4g의 28%암모니아 수용액을 가함으로써 몰비가 1.5 : 1인 반응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이에 15부의 레스룸HP,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144.6g의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적용하여 습흡착율이 85%가 될때까지 패딩 처리하고, 87.8℃에서 5분간 건조시키며, 137.8℃에서 5분간 열처리시킨후, 암모니아 기체내에 5분간 방치하였다.
이어 직물을 10%암모니아 수용액중에 5분간 침지시켜 실시예 10과 같이 산화 및 세척하였다. 부착 고형분은 21.0%이었다. 이 직물을 세탁하여 실시예 10에 기술한 것과 같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2
[실시예 15]
166g의 파이로세트 TKP를 10.7부의 28%암모니아 수용액과 실시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킴으로써 포스포늄 화합물과 암모니아의 몰비가 3 : 1인 반응생성물을 만들었다. 이 용액에 22.5부의 레스룸 HP,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적용하여, 건조, 열처리, 산화 및 세척하였다. 부착 고형분은 21.0%이었다. 이를 세탁하여 실시예 10과 같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3
[실시예 16]
실시예 7과 같이 수산화나트륨의 첨가에 의해 PH가 6.0으로 조정되어 있는 125부의 80%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수용액속에 8.2부의 모노메틸아민을 발포화 도입시키고, 이 용액에 22.5부의 레스룸 HP,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에 적용하여, 건조, 열처리, 암모니 처리 및 산화시켰다. 부착 고형분은 20.8%이었다. 직물을 세탁하여 실시예 10과 같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4
[실시예 17]
실시예 2에서와 같이 3 : 1몰비의 반응생성물이 형성되었다. 수산화나트륨으로 이 용액의 PH를 6.0으로 조정하고, 형성용액에 30부의 에어로텍스 수지 92 (Aerotex Resin 92) (모노-및 디-메틸롤 멜라민의 동물비 혼합물인 것으로 여겨지는 시판 제품),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으로 144.6g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을 습흡착율이 90%가 될때까지 패딩처리하여, 형성직물을 87.8℃에서 5분간 건조시킨후, 137.8℃에서 5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어 실시예 9에서와 같이 산화시켰다. 직물의 부착 고형분은 22.6%이었다. 이 직물을 세탁하여 실시예 10과 같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5
[실시예 18]
실시예 2에서와 같이 3 : 1몰비의 반응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이 용액에 15부의 레스룹 HP 및 15부의 황화요소,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으로 144.6g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을 습흡착율이 85%가 될때까지 패딩처리하여, 87.8℃에서 5분간 건조시킨후, 137.8℃에서 5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어 5%암모니아 수용액에 5분간 침지시키는 화학처리를 행하였다. 이 직물을 실시예 10에서와 같이 산화시키고, 세탁한 후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6
[실시예 19]
100g의 80%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수용액을 18.9g의 기체상 디메틸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1 : 1몰비의 축합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이 생성물에 8.6부의 28% 암모니아 수용액을 첨가하여 수용성 축합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이에 21부의 레스룸 HP,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244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의 144.6g의 50-50 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을 습흡착율이 85%가 될때까지 패딩 처리하고,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건조, 열처리, 화학처리 및 산화시켰다. 이 직물의 부착고형분은 17.5%이었으며, 차어길이는 13.5cm이었다.
[실시예 20]
실시예 2에서와 같이 3 : 1몰비의 반응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6.5로 조정하고, 이 용액에 30부의 레스룸 HP, 0.3부의 트리톤 X-100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으로 102.1g의 100%면 플란넬직을 습흡착율이 105%가 될때까지 패딩 처리한후, 87.8℃에서 5분간 건조시킨 다음, 154.4℃에서 5분간 열처리하고, 이어서 실시예 9에서와 같이 산화시켰다. 직물의 부착 고형분은 27.9%이었다. 이를 세탁하여 싸이즈 0-6X의 아동용 잠옷에 대한 기준치(F F 3-71)에 따라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7
[실시예 21]
실시예 8에서 제조한 용액 270부에 30부의 레스룸 HP을 첨가하고, 형성용액으로 144.6g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을 습흡착율이 95%가 될때까지 패딩 처리하였다. 직물을 87.8℃에서 5분간 건조시키고, 137.8℃에서 5분간 열처리시킨 다음 실시예 9에서와 같이 산화시켰다. 직물을 세탁하여 실시예 10에서와 같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8
[실시예 22]
먼저 25부의 얼음과 25부의 물을 125부의 80%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수용액에 첨가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6.0으로 조정한 다음, 21.4부의 28%암모니아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이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1.5 : 1몰비의 수용성 반응생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33부의 레스룸 HP, 0.3부의 트리톤 X-100, 8.1부의 사파민 APN(Sapamine APN)(양이온계지방 아미드 유도체인 시판유연제) 및 물을 가하여 전체 300부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처리욕으로 144.6g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직물을 습흡착율이 85%가 될때까지 패딩 처리하여, 110℃에서 5분간 건조시키고, 137.8℃에서 5분간 열처리한후, 실시예 9에서와 같이 산화시켰다. 이때 직물의 촉감은 비처리직물과 거의 같을 정도로 매우 부드러웠다. 아동용 잠옷에 대한 기준치(FF 3-71)에 따라 이 직물을 시험하였을 때, 50회 세탁후 이 직물의 평균 차어길이는 6.4cm였다.
[실시예 23]
(A) 10%의 포스포늄 포스포러스를 함유하는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포스페이트와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아세테이트의 대략동몰 혼합물인 아메리칸 시안아미드 캄파니(American Cyanamid Co.)의 시판 제품인 파이로세트 TKP 1000g에 28%암모니아 수용액 130.6g을 25분간에 걸쳐 적가함으로써 포스포늄 포스포러스와 암모니아의 몰비가 1.5 : 1인 생성물을 만들었다. 암모니아가 첨가됨에 따라 온도가 계속 상승하여, 암모니아가 완전히 첨가되었을 때에는 70-75℃까지 상승하였다. 가열망태(heating mantle)를 사용하여서 온도를 70-75℃로 1시간동안 유지하였다. 이어 용액을 냉각하였을때, 이용액은 8.85%의 포스포늄 포스포러스를 함유하였다.
(B) 상기(A)단계에서 제조된 생성물 232.5g과 27g의 레스룸 HP, 12g의 요소, 0.3g의 트리톤 X-100 및 28.2g의 물을 함유하는 패딩욕으로 118.8g/m2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브로드직물을 패딩 처리하였다. 습흡착율은 80%이었다. 직물을 104.4℃에서 5분간 건조시키고, 148.9℃에서 5분간 열처리하였다. 이후 0.1% 과산화수소, 0.01%규산나트륨 및 0.01%의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하는 60℃용액중에서 이 직물을 산화시키고, 직물을 헹구어 건조시켰다.
직물은 부드러운 촉감을 가졌다. 시료 6개를 취하여 세탁후 FF 3-71에 따라 시험한 결과가 표Ⅰ에 나타나있다.
[실시예 24]
약 38%의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트리스(2, 3-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의 에멀젼으로된 시판 제품인 에이펙스 에멀젼 462-5(Apex Emulsion 462-5) 40g과 360g의 물을 함유하는 처리욕으로 118.8g/m2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브로드직물을 습흡착율이 80%가 될때까지 패딩 처리한후, 직물을 121.1℃에서 5분간 건조시키고, 210℃에서 1.5분간 열처리한 다음, 60℃에서 1회 기계세탁하여 건조시켰다. 이어서 실시예 23(A)에서 제조한 최종용액 203.4g과 23.6g의 레스룸 HP, 10.5g의 요소, 0.3g의 트리톤 X-100 및 62.2g의 물을 함유하는 처리욕으로 이직물을 패딩시켰다. 흡착율은 80%이었다. 직물을 104.4℃에서 5분간 건조시키고, 148.9℃에서 5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어 0.1% 과산화수소, 0.01%규산나트륨 및 0.01%의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하는 60℃의 용액중에서 이 직물을 산화시키고, 직물을 헹구어 건조시켰다.
이 직물은 부드러운 촉감을 가졌으며, 실시예 23에서의 직물에 비해 현저히 부드러웠다. 직물을 세탁하여 FF 3-71에 따라 시험한 결과는 이하의 표Ⅰ에 함께 기재되었다.
[실시예 25]
실시예 23(A)에서 생성된 용액 203.4g과 23.6g의 레스룸 HP, 10.5g의 요소, 30g의 에이펙스 에멀젼 462-5 및 32.5g의 물을 함유하는 처리욕으로 118.8g/m2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 브로드직물을 습흡착율 80%까지 패딩 처리하였다. 직물을 104.4℃에서 5분간 건조시키고, 148.9℃에서 5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어 0.1%의 과산화수소, 0.01%의 규산나트륨 및 0.01%의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하는 60℃의 용액중에서 이 직물을 산화시키고, 직물을 헹구어 건조시켰다.
직물은 매우 부드러운 촉감을 가졌으며, 실시예 23에서의 직물에 비하여 현저히 부드러웠다. 직물을 세탁하여 FF 3-71에 따라 시험한 결과는 이하의 표Ⅰ에 함께 기재되었다.
[실시예 26]
실시예 23(A)에서 생성된 용액 203.4g과 23.6g의 레스룸 HP, 10.5g의 요소, 0.3g의 브리톤 X-100 및 62.2g의 물을 함유하는 처리욕으로 118.8g/m2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브로드직물을 습흡착율 80%까지 패딩 처리하였다. 직물을 104.4℃에서 5분간 건조시키고, 148.9℃에서 5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어 0.1%의 과산화수소, 0.01%의 규산나트륨 및 0.01%의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하는 60℃ 용액중에서 이 직물을 산화시키고, 직물을 헹구어 건조시켰다.
이 직물은 매우 부드러운 촉감을 가졌으며, 실시예 24 및 25에서의 직물의 촉감과 비슷하였다. 직물을 세탁하여 FF 3-71에 따라 시험한 결과는 표Ⅰ에 함께 기재되었다.
[실시예 27]
(A) 10%포스포러스를 함유하는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 옥살레이트인 아메리칸 시안아미드 캄파니의 시판 제품, 파이로세트 TKS 500g에 28%암모니아 수용액 65.3g을 25분간에 걸쳐 적가함으로써 포스포러스와 암모니아의 몰비가 1.5 : 1인 생성물을 만들었다. 암모니아가 첨가됨에 따라 온도가 계속 상승하여 암모니아가 완전히 첨가되었을 때에는 70-75℃로 상승하였다. 가열망태를 사용하여서 온도를 70-75℃로 1시간동안 유지한 다음 용액을 냉각하였을 때, 이 용액은 8.85%의 포스포러스를 함유하였다.
(B) 상기 (A)단계생성물 232.5g과 27g의 레스룸 HP, 12g의 요소, 0.3g의 트리톤 X-100 및 28.2g의 물을 함유하는 처리욕으로 118.8mg/m2의 50-50폴리에스터-면 혼방브로드직물을 습흡착율 80%까지 패딩 처리하였다. 직물을 93.3℃에서 5분간 건조시키고, 148.9℃에서 5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어 0.1%과산화수소, 0.01%수산화나트륨 및 0.01%규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중에서 이 직물을 산화시키고, 직물을 헹구어 건조시켰다.
이 직물은 부드러운 촉감을 가졌다. 직물을 세탁하여 FF 3-71에 따라 시험한 결과는 표Ⅰ에 기재되었다.
[표 1]
FF 3-71 시험결과(차어길이, cm)
Figure kpo00019
주 :*시료 6개중 3개는 전체 길이가 연소되었다.
**6개시료 모두 전체길이가 연소되었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다음일반식(가)의 폴리(α-하이드록시알킬)포스포러스화합물과 일반식(나)의 질소화합물로 이루어지며, 또한 포스포러스화합물이 질소화합물의 몰양의 약 0.5 내지 6배양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축합물의 수용액속에 피처리 직물을 함침시키고, 이어 건조시킨 다음 열처리법, 화학처리법 또는 이 두방법의 병용으로 건조직물을 큐어링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직물의 방염가공법.
    또는
    Figure kpo00020
    또는
    Figure kpo00021
    식중,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R'는 OR 또는
    Figure kpo00022
    이며,
    R"는 C1-C3알킬렌이고,
    Y는 클로라이드, 설페이드,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개의 음이온이며,
    n은 2-4의 정수이고,
    m은 2 또는 3이다.
KR7404203A 1973-12-05 1974-12-04 직물의 방염 처리법 KR790001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5/422,058 US3936585A (en) 1973-12-05 1973-12-05 Fire retarding textile materials
US422058 1973-12-05
US05/483,747 US3957881A (en) 1973-12-05 1974-06-27 Fire retarding textile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788B1 true KR790001788B1 (ko) 1979-12-18

Family

ID=2702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4203A KR790001788B1 (ko) 1973-12-05 1974-12-04 직물의 방염 처리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3936585A (ko)
JP (1) JPS50111398A (ko)
KR (1) KR790001788B1 (ko)
AR (1) AR203874A1 (ko)
AU (1) AU7610974A (ko)
BE (1) BE822992A (ko)
BR (1) BR7410155A (ko)
CA (1) CA1027587A (ko)
CH (1) CH1618974A4 (ko)
DE (1) DE2455685A1 (ko)
FR (1) FR2253779B3 (ko)
GB (1) GB1495962A (ko)
IT (1) IT1024322B (ko)
NL (1) NL74159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566B1 (ko) * 2018-12-27 2019-12-13 다이텍연구원 셀룰로오스계 원단의 방염가공법 및 이의 방법으로 방염가공된 셀룰로오스계 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8592A (en) * 1976-02-23 1978-05-09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Durable flame retardant finishes for textile materials
US4092251A (en) * 1976-02-23 1978-05-30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Durable flame retardant finishes for textile materials
US4104172A (en) * 1976-02-23 1978-08-01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Durable flame retardant finishes for textile materials
US4046701A (en) * 1976-02-23 1977-09-06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Durable flame retardant finishes for textile materials
IT1087952B (it) * 1977-10-10 1985-06-04 Montedison Spa Vernici antifiamma.
US4153744A (en) * 1977-11-07 1979-05-08 American Cyanamid Company Process for imparting flame resistance and resistance to ultraviolet light-induced shade change to vat-dyed cellulosic textile materials
US4806620A (en) * 1987-03-30 1989-02-21 Ppg Industries, Inc. Polymeric compositions having flame retardant properties
GB2227500A (en) * 1988-11-11 1990-08-01 John Cotton Flame retardant felt
US7915185B2 (en) * 2006-03-27 2011-03-29 Ssm Industries, Inc. Flame retardant textile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9941A (en) * 1952-04-22 1957-10-15 Wilson A Reeves Producing phosphorus containing amino resins and flameproofing organic textiles
US2772188A (en) * 1953-11-18 1956-11-27 Wilson A Reeves Ammonia insolubilized methylol-phosphorus polymers and cellulosic materials impregnated therewith
US2812311A (en) * 1954-04-05 1957-11-05 Albright & Wilson Water dispersible solid nitrilo-methylolphosphorus polymers
US2814573A (en) * 1954-11-09 1957-11-26 Wilson A Reeves Organic polymeric compositions containing nitrilo methylol-phosphorus polymers and bromine compounds
GB842593A (en) 1955-07-19 1960-07-27 Albright & Wilson Mfg Ltd Substituted organic phosphine derivatives
GB854182A (en) 1957-09-24 1960-11-16 Albright & Wilson Mfg Ltd Substituted organic phosphine derivatives
NL259535A (ko) * 1959-10-05 1900-01-01
US3276897A (en) * 1963-07-25 1966-10-04 Wilson A Reeves Flame resistant cellulosic materials
US3698854A (en) * 1970-06-24 1972-10-17 Us Agriculture Process for producing flame resistant organic textiles
BE791245A (fr) * 1971-11-10 1973-05-10 Hooker Chemical Corp Procede pour ignifugation de matieres cellulosiq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566B1 (ko) * 2018-12-27 2019-12-13 다이텍연구원 셀룰로오스계 원단의 방염가공법 및 이의 방법으로 방염가공된 셀룰로오스계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3936585A (en) 1976-02-03
US3957881A (en) 1976-05-18
FR2253779B3 (ko) 1977-08-26
CA1027587A (en) 1978-03-07
CH1618974A4 (de) 1976-10-29
IT1024322B (it) 1978-06-20
AU7610974A (en) 1976-06-10
AR203874A1 (es) 1975-10-31
BE822992A (fr) 1975-06-05
DE2455685A1 (de) 1975-07-17
NL7415941A (nl) 1975-06-09
GB1495962A (en) 1977-12-21
JPS50111398A (ko) 1975-09-02
BR7410155A (pt) 1976-06-08
FR2253779A1 (ko) 1975-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82961A (en) Treatment of flammable materials to impart flame resistance thereto, compositions therefor, and products thereof
US4090844A (en) Process of producing high performance durable-press cotton
JP2703775B2 (ja) 繊維の処理方法
US3969437A (en) Cyclic phosphorus esters
US3421923A (en) Process for flame-proofing of cellulose-containing textiles
US3784356A (en) Cellulosic flame retardant system
KR790001788B1 (ko) 직물의 방염 처리법
US4013813A (en) Aminoalkylphosphonic acid ester-based textile fire retardants
US3671304A (en) Process for flameproofing and resultant product
US3607356A (en) Imparting flame resistance to fibrous textiles from an alkaline medium
CS104991A2 (en) Cloth finishing
US4148602A (en) Phosphoramide-hydroxymethyl phosphine condensation products for textile fire retardation
US3619113A (en) Flame-retardant finish for cellulosic textile materials
US4295847A (en) Finishing process for textiles
US3374107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textiles with aminoplasts
US3734684A (en) Flame retardant phosphorus containing fibrous products and method for production
WO2004001121A2 (en) A durable flame retardant finish for cellulosic materials
US4086385A (en) Flame retarded textiles via deposition of polymers from oligomeric vinylphosphonate and polyamino compounds
US3888779A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containing tetrakis (hydroxymethyl) phosphonium oxalate
US3953165A (en) Flameproofing resins for organic textiles from adduct polymers
US3958932A (en) Flame-resistant textiles through finishing treatments with vinyl monomer systems
US3744970A (en) Treating of cellulosic fiber-containing material to impart flame-retardancy thereto
US3409463A (en) Treatment of cellulosic materials with a polyaziridinylphosphoramide and a sulfamide
CS105091A2 (en) Cloth finishing
US3090665A (en) Reaction mixture of formaldehyde-hydrazide-triazone for treating cellulosic text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