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237B1 - 벤트식 사출 성형기 - Google Patents

벤트식 사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237B1
KR790001237B1 KR7400203A KR740000203A KR790001237B1 KR 790001237 B1 KR790001237 B1 KR 790001237B1 KR 7400203 A KR7400203 A KR 7400203A KR 740000203 A KR740000203 A KR 740000203A KR 790001237 B1 KR790001237 B1 KR 790001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lasticizing
molding machine
injection mold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다시 아오기
Original Assignee
가다시 아오기
닛세이 주시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다시 아오기, 닛세이 주시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다시 아오기
Priority to KR740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237B1/ko

Links

Ima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벤트식 사출 성형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요부(A)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가열 실린더내에서 발생하는 수분, 공기, 휘발성분 등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장치를 갖춘 사출성형기 즉 벤트(bent)식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사출 성형기는 스크류를 내장한 사출 실린더의 대략 중앙에 벤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사출 실린더의 내벽 근처의 재료는 외부로 부터의 가열에 의해 스크류근처의 재료 보다도 더욱 용융상태가 진행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 실린더에 설치된 벤트로서는 용융재료의 심부에서 발생한 가스 까지도 완전히 배기시키기는 대단히 곤란 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용융시에 발생하는 수분, 공기, 휘발성분 등의 가스를 균일하게 거의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는 벤트를 갖춘 벤트식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은 합성수지의 재료를 투입하는 호퍼, (2)는 가열부재를 외주에 설치한 가소화실린더로서 상기 호퍼(1)에서 송입되어 오는 재료를 내부의 가소화스크류(3)에서 가열 혼련하면서 가소화시킨다. (4)는 탈기공(脫氣孔)으로 가소화스크류(3)의 선단부내에 축방향으로 천설되어 있으며 이 탈기공(4)에서 각 스크류 요저부(凹底部)(5)에는 여러개의 미세한 구멍(6)…이 소요간격을 두고 천설되어 있다.
또한 가소화스크류(3)의 선단은 상기한 바와같이 가소화실린더(2)의 선단벽 (2a)을 관통하여 탈기공(4)은 선단벽(2a)의 외면에 설치한 탈기공(7)을 개재하여 외부와 연통하여 벤트를 형성하고 있다. (8)은 가소화실린더(2)의 하측에 병설한 사출실린더(9)에 접속한 공급로이며 가소화실린더(2)의 용융재료는 그 공급로(8)를 거쳐서 사출 실린더(9)의 측부에서 사출 스크류(10)를 내장한 사출 실린더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호퍼(1)내에 투입된 재료는 가소화실린더(2)내에 있어서 가소화스크류(3)에 의해 가소화되면서 공급로(8)의 상부로 압출된다.
그러나 이때에 재료는 아직 완전 용융상태에 이르지 않고 있으며 재료중의 가스가 방출되는 정도(재료에 따라 다르나 섭씨 130-150℃쯤)로 가열 용융되어 있다.
그리고 용융함에 따라 발생한 기포는 용융재료와 함께 가소화스크류(3)에 의해 압출되어 스크류 선단의 외주부에 달한다. 상기 용융 재료는 벤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공급로(8)에서 사출 실린더(9) 쪽으로 압출되는바 발생가스는 미세한 구멍(6)…을 지나 탈기공(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탈기실(7)에 접속한 진공펌프(VP)에 의해 용융재료중의 가스만이 강제로 그리고 가소화스크류(3)의 중심부에서 흡입 배출된다. 그 결과 가소화스크류(3)의 선단부를 통과한 미 용융상태의 재료중에는 가스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용융재료는 사출 실린더(9)에서 다시 용융 가소화 되어 금형쪽으로 사출스크류(10)에 의하여 사출된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성형기에 있어서는 가소화실린더(2)의 선단벽(2a)에서 외부로 노출한 스크류 선단부를 지나서 사출 실린더(9)에 용융재료를 공급하므로 상기 탈기공 (4)을 발포 성형에 있어서의 발포제의 압입통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스크류 선단에 탄산가스등의 발포제 저장통을 접속하여 탈기공(4)과 미세한 구멍(6)에서 가소화실린더(2)의 선단내에 발포제를 압입하여 미용융상태의 재료에 혼합한다.
발포제를 혼합시킨 용융재료는 공급부(8)로 부터 사출실린더(9) 쪽으로 압출되며 다시 혼련 가소화 된 후 금형으로 사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소화스크류의 선단에 탈기공을 천설하고 스크류 요저부에 개구한 미세한 구멍과 연락시켜 외부와 연통 되는 벤트로 형성된 것이므로 사출 실린더에 벤트를 개설한 종래의 성형기 보다 발생가스의 배출이 우수하며 특히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서 미세한 구멍도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고정상태에 있는 벤트로서는 배출하기 힘든 용융재료 심부의 가스까지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반대로 전기한 탈기공을 발포제 통로로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벤트식 사출성형기를 발포 사출성형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등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가소화스크류를 보유한 가소화실린더와 사출스크류를 내장한 사출 실린더를 병설함과 아울러 가소화 실린더의 선단부에 공급로를 개재하여 사출실린더 측부에 연통시킨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전기한 가소화스크류의 선단부에 스크류 요저부로 개구된 여러개의 미세한 구멍과 연락된 탈기공을 천설하고 또한 스크류 선단을 가소화실린더의 선단벽에서 외부로 노출시켜 벤트로 하여 구성된 사출성형기.
KR7400203A 1974-01-01 1974-01-01 벤트식 사출 성형기 KR790001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203A KR790001237B1 (ko) 1974-01-01 1974-01-01 벤트식 사출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203A KR790001237B1 (ko) 1974-01-01 1974-01-01 벤트식 사출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237B1 true KR790001237B1 (ko) 1979-09-17

Family

ID=1919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203A KR790001237B1 (ko) 1974-01-01 1974-01-01 벤트식 사출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23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0245A (en) Preplasticizing injection machine
KR920015493A (ko) 반도체 장치의 수지 봉지 성형방법 및 장치
US3599292A (en) Equipment for the injection molding of thermoplastic materials having a high content of volatile substances
ES413259A1 (es) Un aparato para la preparacion de una espuma de resinas sinteticas termoplasticas.
KR790001237B1 (ko) 벤트식 사출 성형기
ATE372864T1 (de) Spritzgiessmaschine und spritzgiessverfahren zur herstellung geschäumter formteile
KR790001321Y1 (ko) 벤트식 사출 성형기
JPS57128531A (en) Injection molding and vulcanizing method for rubber
FR2322723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debarrasser les matieres plastiques des composants volatils
KR20180119060A (ko) 용융된 원료에 혼재된 가스 배출시 막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개선한 플라스틱 사출용 노즐의 가스배출구조
CN205112303U (zh) 一种应用于注塑机料筒的法兰结构
JP2004322438A (ja) 樹脂材料の可塑化方法及びそのための可塑化装置
JPH0133329B2 (ko)
CA10376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injection moulded plastic bodies
US3949905A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rticles with a compact smooth skin and a cellular core from polymer materials
JPH0310018Y2 (ko)
JPH0564809A (ja) 単軸混練反応押出装置
JPH0349864Y2 (ko)
JPH06210685A (ja) フローモールド成形方法
JPS5593437A (en) Injection molding process with thermo-linked reaction of rubber and synthetic resin
JPS62124923A (ja) 改良されたベント式射出成形機
GB1045440A (en) Improvements in the drying of wet fine chips or powder particles of a thermoplastic polymer
JP2000000848A (ja) 射出成形装置、再生樹脂製造装置、射出成形方法、再生樹脂製造方法、射出成形物品及び再生樹脂
JP2003326571A (ja) 可塑化装置と可塑化方法
JPS6164422A (ja) 真空押出成形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