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119B1 -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 - Google Patents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119B1
KR790001119B1 KR7401513A KR740001513A KR790001119B1 KR 790001119 B1 KR790001119 B1 KR 790001119B1 KR 7401513 A KR7401513 A KR 7401513A KR 740001513 A KR740001513 A KR 740001513A KR 790001119 B1 KR790001119 B1 KR 79000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uri tube
pump
jet
throa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조오 야부끼
기요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이우에 가오루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에 가오루,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우에 가오루
Priority to KR740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11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
제1도는 본 발명 펌프의 단면도.
제2도는 요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한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수량의 양정 특성도.
제4도 및 제5도는 종래의 바이페스 젯트펌프의 요부단면도.
본 발명은 회전펌프의 흡입측에 젯트펌프를 직결하는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립펌프는 낮은 우물에서 다량의 물을 펌핑할때, 젯트부의 벤튜리관에 진공이 발생하여 일정량이상의 양수량을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젯트케이싱의 흡입측 수로와 벤튜리관의 외면에 형성시킨 공간부를 연통하는 바이패스통로를 젯트케이싱에 별도로 형성하여 그 바이패스통로의 출구에 볼밸브 혹은 고무 제링으로된 체크밸브를 착설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바이패스 통로를 설치하드라도 제트케이싱에 별도로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벤튜리관을 젯트 케이싱에 고정하였으므모 벤튜리관내의 압력부담을 방지할 수 없게되어 벤튜리관내에서 진공부가 발생하고 또 충분한 양수량을 얻을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를 거울삼아서 발명된 것으로 젯트펌프내에서의 진공발생을 방지하고, 또 젯트 케이싱을 복잡하게 만들지 않고도 낮은 우물에서의 양수량을 증대시켜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펌프와 젯트펌프의 조합으로 되는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를 제공코저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담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1)은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로 구동되는 펌프축이고, (2)는 와권펌프로서, 케이싱(3), 케이싱커버(4), 인펠라(5), 가이드휀(6), 펙킹(7)으로 구성되며, (8)은 젯트부로서, 젯트케이싱(9), 노즐(10) 스로트(11) 및 그 스로트(11)와 분리하여 착설한 벤튜리관(12) 및 그 벤튜리관(12)를 탄지하는 스프링(13)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또 상술하면, 전기한 스로트(11)에는 후렌지(14)를 형성하여 그 외연부를 젯트케이싱(9)에 나착하고, 또 다수의 통공(15)을 뚫어서 그 통공(15)으로 바이패스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벤튜리관(12)는, 전기한 스로트(11)과의 감합부(16)에 대경(大徑)부를 형성하고, 선단 개구부에는 전기한 스로트(11)의 통공(15)을 막는 후렌지연부(18)로된 변체(19)를 가지고 있으며 그 변체(19)는 고무등의 탄성물질로 된다.
또 그 변체(19)의 후렌지연부(18)에는 전기한 벤튜리관의 변체(19)가 스로트(11)의 통공(15)을 막도록 세력을 가하는 스프링(13)의 일단이 연접되고, 그 타단부는 젯트케이싱(9)의 내벽에 부착한 단턱(22)에 면접되고 있으며, (23)은 체크 밸브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제1도와 같이 와권펌프(2)의 젯트펌프(8)로 낮은 우물에서 양수를 할때에는 와권펌프에 의한 가압수의 일부를 젯트펌프(8)의 노즐(10)로 향하게하여 젯트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인데, 토출수의 용량을 늘릴 경우에, 종래품은 와권펌프의 흡입측에서 부압이 발생하여 진공부가 발생하므로 양수량이 제한되고 또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결점이 있으므로 제4도 및 제5도의 젯트케이싱에 고착한 벤튜리관(12)의 흡입측(A)와 와권펌프의 흡입측(B)사이에 별도로 바이패스통로(C)를 케이싱 또는 벤튜리관(12)에 형성하고, 그 바이패스통로(C)에는 링상의 체크밸브(V)를 착설한 것이 제안되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품의 바이패스통로(C)는 벤튜리관(12)를 젯트케이싱(9)에 고정한 것이므로 바이패스통로(C)를 벤튜리관(12)의 외측에 별도로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충분한 통로의 단면적을 얻을 수 없으므로, 진공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을뿐 아니라 양수량로 충분히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여러가지 점을 개량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낮은 우물에서 양수량을 늘렸을때 와권펌프(2)의 흡입측에 부압이 생기므로 전기한 젯트펌프(8)의 벤튜리관(12)이 스프링(13)의 압압력이 대항하면서 와권펌프(2)측으로 흡입되면서 이동되고, 벤튜리관(12)의 변체(19)는 스로트(11)의 통공(15)에서 분리되므로 스로트(11)의 흡입측에서 벤튜리관(12)의 외주 및 그 벤튜리관과 스로트의 감합부의 전체주위에 생기는 간극을 통하여 벤튜리관의 내측으로 양수된 물이 유입되므로 종래품의 결점인 벤튜리관(12)내의 부압에 의한 진공발생을 방지하고, 또 소음을 한층 없애주는 동시에 낮은 양정으로도 양수량을 크게 늘릴수 있으므로 종래의 조합펌프가 가지고 있는 결점을 전부 없앨 수 있게된다. 즉 벤튜리관(12)과 스로트로 분리하므로서 양수량이 많을때에는 바이패스되는 물이 벤튜리관의 내외편으로 나누어져서 벤튜리관과 젯트케이싱과의 간격이 좁드라도 바이패스되는 물의 량을 늘릴 수 있게 된다. 그런고로 바이패스되는 물의 량을 늘리기 위하여 젯트케이싱을 크게할 필요가 없고, 또 소형화할 수 있으며, 또 깊은 우물에서 양수를 할때에는 스프링(13)으로 벤튜리관(12)의 변체(19)를 스로트(11)의 통공(15)으로 밀어서 그 통공(15)을 막게하므로 젯트펌프의 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고, 양정에 응하여 벤튜리관(12)이 스프링(13)의 압력과 바란스를 갖이고 이동하므로 젯트펌프의 작용을 충분히 살리면서 진공의 발생을 없애주고 낮은 양정으로도 양수량을 크게 늘릴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작용되는 본 발명은 젯트펌프의 스로트를 젯트케이싱에 고정하고, 벤튜리관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였으므로 낮은 우물용으로 사용할때에는 전기한 스로트의 흡입측과 벤튜리관의 토출측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압력차에 의하여 벤튜리관이 이동하므로 전기한 스로트에서 분리되고 그 스로트에 형성한 바이패스용 통공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전기한 벤튜리관의 내외로 나누어져 흐르므로 많은 수량을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진공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 깊은 우물용으로 사용할때에는 전기한 스로트의 흡입측과 벤튜리관의 토출측과의 압력차가 그만큼 크지 못하므로 벤튜리관은 스프링의 힘이 의하여 스로트에 밀접되어 바이패스용 통공을 막으므로 젯트펌프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우물과 깊은 우물 겸용 펌프로서의 성능을 향상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염가로 생산할 수 있는등 공업상의 이익이 큰것이다.

Claims (1)

  1. 본문에 상기하고 도면에 예시한 바와같이 회전펌프의 흡입측에 젯트펌프를 직결한 것에 있어서, 젯트펌프의 벤튜리관을 스로트와 분리시켜서 젯트케이싱에 고정함과 아울러 벤튜리관은, 전기한 젯트케이싱내에서 이동 자재하게 배설하며 벤튜리관의 흡입부측에 착설한 변체를 압압스프링에 의하여 스로트의 주연부측으로 압압하여 그 스로트에 뚫은 바이패스용 통공을 막게하고 전기한 벤튜리관의 흡입측과 토출측의 압력차에 따라 벤튜리관이 이동되면서 전기한 바이패스용 통공을 개폐하게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
KR7401513A 1974-02-16 1974-02-16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 KR79000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513A KR790001119B1 (ko) 1974-02-16 1974-02-16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513A KR790001119B1 (ko) 1974-02-16 1974-02-16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119B1 true KR790001119B1 (ko) 1979-09-03

Family

ID=1919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1513A KR790001119B1 (ko) 1974-02-16 1974-02-16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1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220B1 (ko) * 2012-10-10 2014-11-07 투인텍주식회사 진공펌프용 이젝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220B1 (ko) * 2012-10-10 2014-11-07 투인텍주식회사 진공펌프용 이젝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9046A (en) High pressure centrifugal fluid delivery machine
US2470563A (en) Pump
US2595737A (en) Jet pump
US3230890A (en) Centrifugal pump
US3645651A (en) Pump
US2478941A (en) Centrifugal pump
US2599600A (en) Pump
KR790001119B1 (ko) 낮은 우물 및 깊은 우물 겸용 펌프
US1346926A (en) Centrifugal pump
US2180259A (en) Suction mechanism
US3291051A (en) Venturi and nozzle construction
US3053439A (en) Rotary vacuum pump
US2493929A (en) Pump
US2918017A (en) Centrifugal pumps
JPS598675B2 (ja) 自吸式ポンプ
US2803196A (en) Pump
KR970011100B1 (ko) 자동펌프의 압력탱크
CN212838602U (zh) 水泵注水结构
US2174959A (en) Self-priming pump
CN212318311U (zh) 沉水泵
US2516442A (en) Turboscrew pump
JPH0720391Y2 (ja) 呼水用真空ポンプ
JPS6123677Y2 (ko)
US3811469A (en) Check valve for pump or the like
US3852000A (en) Flexible rotor for fluid pum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