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062B1 - 고온 내식성을 가진 철계 금속제품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고온 내식성을 가진 철계 금속제품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062B1
KR790001062B1 KR7400997A KR740000997A KR790001062B1 KR 790001062 B1 KR790001062 B1 KR 790001062B1 KR 7400997 A KR7400997 A KR 7400997A KR 740000997 A KR740000997 A KR 740000997A KR 790001062 B1 KR790001062 B1 KR 790001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aluminum
heat treatment
layer
chrom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오 사사메
도시오 야기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고오헤이
도요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고오헤이, 도요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다 고오헤이
Priority to KR740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61After-treatment in a gas atmosphere, e.g. inert or reducing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n aluminium allo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12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온 내식성을 가진 철계 금속제품의 제조법
제1도는 순알미늄(약간의 불순물 포함)용융 욕중에 침지한 다음, 1차 가열처리한후 다시 2차 가열처리한 본 발명에 의한 철계금속 제품의 피막층의 대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계략도와 그 피막층의 X선 마이크로 아나라이져(micro analizer)에 의한 200배의 전자비임 주사 개략도를 대비시킨 설명도
제2도는 크롬을 4중량 합유하는 알미늄 합금용융욕중에 침지한 다음 1차 가열처리한후, 다시 2차 가열처리를 한 본 발명에 의한 철계금속제품의 피막층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알미늄 또는 알미늄 합금 용융 욕중에 침지한 후, 2회 가열처리함에 의하여 고온 내식성 및 일반의 내산화성을 부여한 철계금속 제품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재로 되는 철계재료로서는, 탄소강, 특수강 등의 각종철강재료 및 보통주철, 특수주철 등의 각종 주철재료가 사용된다.
근래,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중의 유해성분을 무해화시키는 장치로서, "리액터(reactor)"라고 하는 재연소장치가 엔진의 배기계통에 조립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배기가스중에는 미연소된 일산화 탄소와 탄화수소외에 염소(Cl2), 브롬(BR2), 염화납(PbCl2), 브롬화납(PbBr2), 이염화아세틸렌(C2H2Cl2), 이브롬화아세틸렌(CH2CH2Br2)과 같은 할로겐 가스와 할로겐 화합물, 납화물이 함유되어 있고, 이들의 성분은 일반적으로 강한 부식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배기계통의 부품은 부식에 의하여 손상을 받기 쉽다.
상술한 "리액터"를 자동차에 부착한 경우에는, "리액터"중의 가스의 연소온도는 900℃ 이상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1, 200℃에까지 달하므로 보통의 재료로 만들어진 "리액터"는 그 강한 부식작용에 견질 수 없다. 우주 개발관계에 있어서는, 뛰어난 고온내식성 및 내산화성의 금속재료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매우 값이 비싸서 일반적인 금속제품에 이것을 경제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자동차 배기가스처리용 "리액터"의 재질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계기로 하여 발명된 것으로, 뛰어난 고온내식성 및 내산화성을 가진 금속제품을 비교적 싼값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리액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이렌서 등의 자동차 엔진의 배기계 부품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일반적으로 할로겐 가스나 할로겐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온도의 강한 부식성 매체의 존재하에서 견디어낼 수 있는 판재, 용기, 파이프 등의 금속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그 내산화성에 착안한다면, 일반의 내산화성을 요구하는 금속제품에도 그와같이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금속제품은, 용융 경금속에 의한 침식에도 내식성을 가진 것으로, 알미늄, 아연등의 경합금 용해주조용 치구(治具)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금속제품"은 압연, 압출, 인발(引拔), 주조등에 의하여 만들어진 소재를 비롯하여 프레스, 용접, 절삭등의 가공을 실시한 중간성형품 및 최종제품의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내식성 및 일반적인 내산화성을 갖는 철계금속제품을 얻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강재료 또는 주철재료등의 철계부재를 알미늄이나 알미늄 합금용융욕, 바람직한 것은 크롬을 함유하는 알미늄 합금용융욕 중에 침지(핫디핑)처리하며 그후 1차 가열처리한후 다시 2차 가열처리함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고온 내식성을 부여한 금속제품과 그 제조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소재 또는 중간 성형품의 상태에서 용융도금 처리를 하는 것도 좋고 최종제품 성형후에는 용융도금 처리를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강재료 또는 주철재료 등의 철계재료를 부재로 하고, 그 부재를 700∼930℃로 유지시킨 알미늄이나 알미늄 합금용융욕 혹은 크롬을 1∼10중량%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용융욕중에서 30∼300초 동안 침지하고, 그후 700∼930℃로 30분이상 1차 가열처리하며, 다시 950∼1, 350℃로서 부재의 용접보다 낮은 온도에서 산화성 분위기로 10시간이하 2차 가열처리함에 의하여 부재의 표면에 알미늄을 주성분을 하는 용융도금층을 형성하여 고온내식성을 부여한 철계금속제품의 제조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후술하는 설명 및 도면에서 더욱 명백하게 알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철계부재에 함유되고 있는 원소,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텐레스강에 있어서는 크롬 및 닉켈이, 피막층에 확산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들 원소가 피막층의 특성에 약간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 원소가 피막층에 확산하는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2차적인 것이고, 기본적으로는 본 발명은, 부재인 철과 용융 도금층의 알미늄과의 관계에서 이해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서는 이들의 원소가 없는 형태에서 설명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부재로 사용하는 철계재료는, 각종 탄소강, 페라이트계의 스텐레스강, 말텐사이트계의 스텐레스강,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텐레스강, 등의 각종 특수강 등, 소위 철강재료 및 보통 주철, 덕타일(ductile)주철, 합금 주철 등의 각종 특수주철 등, 소위 주철재료가 사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철계재료라면, 어떠한 철가원소가 포함되고 있어도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우선 상술한 부재를 700∼930℃로 유지시킨 알미늄이나 알미늄 합금 용융욕중에 30∼300초동안 침지하는 것이다.
알미늄이나 알미늄합금 용융욕을 사용하는 것은 알미늄의 내식성과 내산화성의 특성을 이용토저 하는 것인데, 그 경우, 용융욕을 온도가 700℃이하이면 바람직한 침지처리를 할 수 없고, 950℃이상이 되면 부재의 가열에 의한 칫수변동이 크게됨과 아울러 철이 용융욕중에 용출하여 부재의 중량감소가 현저하게 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또, 알미늄 합금용융욕중에 1-10중량%의 크롬을 함유시킨 때에는, 침지에 의한 피막층의 평활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크롬의 납화합물에 대한 내식성의 특성이 가하여져서 한층 유리하다.
그 경우, 크롬의 함유율이 1중량% 이하의 경우에는, 크롬의 첨가 효과가 그만큼 기대할 수 없고, 또 10중량% 이상이 되면, 후술하는 가열처리 후의 피막층이 조잡하게 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용융욕중에 크롬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1-10중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융욕이 크롬을 1-10중량% 함유할 경우에는, 바람직한 침지 처리를 하기위하여 용융욕의 온도를 750℃이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침지 처리시간이 30초 이하의 경우에는, 다음 공정의 1차 가열처리에도 철계부재의 표면에 철-알미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한 화합물층(후술함)이 충분한 량으로 형성되지 않고, 300초 이상으로 되면 부재의 철이 용융욕중에 용출하여, 부재의 중량이 크게 감소된다. 침지 처리시간은 철계금속제품의 두께, 형상에 의하여 30-300초의 범위내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의 처리 조건에서 침지 처리한 부재를 용융욕에서 꺼내고, 다음에는 700-950℃의 범위에서 30분이상 1차 가열처리하는 것이다.
그 1차 가열처리는, 먼저번의 공정에서 침지처리에 의하여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피막층의 나머지 알미늄을 철-알미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층으로 성장시키고, 나머지 알미늄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 경우, 용융욕이 순알미늄일 때는, 철-알미늄 화합물만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생기는데, 용융욕이 크롬을 함유하고 있을 때에는, 철-알미늄 화합물외에 표층부에 가까운 부분에 알미늄-크롬 화합물을 함유하는 알미늄을 거의 균일하게 포함한 화합물층으로 되어 알미늄이 안정화된다.
그 경우, 가열온도가 700℃이하이면, 알미늄을 거의 균일하게 함유하는, 철-알미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한 화합물층이 형성되지 않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또, 가열온도가 930℃이상이면, 나머지 알미늄은 철과의 화합물 층으로 성장되지 않고, 즉시 산화되어서 산화알미늄으로 되며, 이것 또한 철-알미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균일한 화합물층이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고온내식성은 생기지 않는다. 또 이 1차가열처리 온도는 부재의 재료에 따라 가장 바람직한 치가 변하지만 700-930℃의 범위내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 가열처리시간이 30분 이하인 경우에도 나머지 알미늄이 거의 균일하게 알미늄을 함유하는 화합물층으로 성장하지 않으므로, 가열처리시간은 적어도 30분 이상 필요하다. 가열처리 시간이 30분 이상이면, 알미늄이 거의 균일하게 포함된 화합물층은 얻을수 있지만, 장시간 가열처리해도 좋다.
그러나 가열시간이 3시간을 넘으면, 그 이상의 시간의 가열처리는 알미늄의 안정화에 대해서 무의미하며, 공업적인 의미에서도 3시간 이하인 것이 유리하다. 또 그 1차 가열처리는, 나머지 알미늄을 화합물화하여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행하는 것이므로, 극단적인 산화분위기를 제거하면, 분위기에 대해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대기중에서 가열처리하면 아무런 지장없이 실시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철계금속 제품은, 용융도금욕이 순알미늄인 경우에는, 피막층은 두께 50-500/
Figure kpo00001
정도의 두께이고, 철계부재상에는, 거의 균일한 철-알미늄 화합물층을 형성하고 있다. 또 그 철-알미늄화합물층은 Fe2Al5, Fe4Al13인 화합물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 용융도금욕이 알미늄-크롬 합금인 경우에는, 피막층은 두께 50-200μ정도이고, 철계부재상에는 거의 균일하게 알미늄을 함유한 철-알미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층을 구성하고, 그때 피막층의 표충부는 알루미늄-크롬 화합물(Al2Cr, Al5Cr 등의 형태를 취한다)을 함유하고 있다. 어느 것이나 그 1차 가열처리후의 철계금속제품은, 부재상에 알미늄이 거의 균일하게 함유되는 철 알미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층을 가지고 있으며 알미늄이 안정화되고 있으므로, 뛰어난 내식성과 내산화성을 가지고 있는데, 피막층의 부재에 대한 밀착력은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부식성 가스가 끊임없이 유동하면서 충돌하거나, 혹은 진동을 받거나 하는 금속제품에 있어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2차 가열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2차 가열처리 공정은, 전술한 1차 가열처리를 실시한 철계금속제품을 950-1, 350℃의 온도 범위내에서, 또 철계부재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산화성분위기 중에서 10시간을 넣지않는 범위에서 가열처리하는 것이다.
이 2차 가열처리는 1차 가열처리에 의하여 거의 균일하게 금속간(金屬間) 화합물을 형성하고 있는 알미늄을 부재에 확산시켜, 피막층을 철, 알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층으로 된 확산층으로 하고, 피막층의 부재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키고저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알미늄의 확산 진행에 따라, 피막층의 표층부의 알미늄 함유량이 감소하고, 내식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으므로, 그 2차 가열처리는 산화분위기중에서 행한다.
이와같이 하면, 피막층의 표층부에서 알미늄이 산소와 결합하여 α-Al2O3가 되므로, 표층부의 알미늄 농도가 저하되지 않는 동시에, 1차 가열처리에 의하여 알미늄은 철과의 사이에 거의 균일한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막층의 표층부에서 알미늄이 산화되어 α-Al2O3가 되드라도, 철이 바인더의 작용을 하여 α-Al2O3을 견고하게 유지시킨 구조로 되기 때문에, 내식성과 내산화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또 침지 공정에서의 용융욕이 알미늄-크롬 합금인 경우에는, 피막층의 표층부에서 철에 부가하여 크롬도 바인더의 작용을 한다.
만일, 1차 열처리를 생략하여, 침지 공정후, 즉시 전기한 조건의 2차 가열처리를 행했다고 하면, 알미늄이 금속간 화합물로 화하여 안정화되지 않으므로, 철의 바인더 효과는 없으며, 산화된 α-Al2O3는 매우 연약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내식성과 내산화성을 가지고 사용되어야 할 금속제품은 얻을 수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2차 가열처리는 1차 가열처리가 전 공정으로 선행되어야만 비로서 효과를 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 2차 가열처리에 있어서, 가열온도가 950℃ 이하이면, 알미늄의 확산이 불충분하여 철, 알미늄을 주성분으로한 합금층으로 되지 않기 때문에 피막측의 밀착력 증대를 기대할 수 없다. 또 가열온도가 1, 350℃이상이면, 피막층 표층부에 있어, 알미늄이 산화하여 α-Al2O3으로 되는 동시에, 바인더의 작용을 하는 철까지도 산화되므로 오히려 내식성과 내산화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가열온도에 관하여는, 950-1, 350℃의 온도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지만, 철계부재 자체가 용융하면 발명자체를 구성하지 못하게 되므로, 부재의 융점 이하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부재가 주철인 경우에는 1, 100℃ 이하일 필요가 있다. 또 그 2차 가열처리 온도는, 각종 부재에 따라서 바람직한 치가 다르지만, 950-1, 350℃의 범위내에서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또 가열시간에 관해서는 10시간을 넣으면, 알미늄의 산화에 부가하여 바인더의 작용을 하는 철이 산화되기 때문에, 오히려 내식성과 내산화성이 저하되고, 실용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리고 가열시간의 하한(下限)은 1차 가열처리한 것만으로도 실용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2차 가열처리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면, 적어도 30분 이상 필요하다. 그리고 2차 가열처리는, 산화성의 분위기하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가열시간이 30분 이상이 아니면, 2차 가열처리의 효과가 생기지 않는다고 기술한 것은, 분위기가 대기의 경우라는 것을 말한 것이다. 따라서 대기보다도 경한 산화성 분위기에서 처리하게 되면 30분 이하의 시간에도 2차 가열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철계금속제품은, 용융도금욕이 알미늄인 경우에는, 제1도와 같이. 피막층의 구조를 갖춘 것이 된다. 즉 그 피막층은, 두께 200-500μ정도고, 피막층은 표층부에서 α-Al2O3가 철의 바인더 작용에 의하여 견고하게 유지되고, 하층부에서 알미늄이 서서히 감소된 철-알미늄 합금층으로된 확산층으로 되어 있다. 또 용융도금욕이 알미늄-크롬인 경우에는, 제2도와 같이 피막층의 구조를 갖춘 것으로 되어 있다.
즉 그 피막층은 두께 200-500μ정도이고, 피막층은 표층부에서 α-Al2O3가 철 및 크롬의 바인더 작용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고, 하층부에서 알미늄 및 크롬이 서서히 감소하며, 표층부에 가까운 부분은 크롬을 함유한 철-알미늄-크롬 합금층, 모재에 가까운 부분은 철-알미늄 합금층으로 된 확산층으로 되어 있다.
또 제1도 및 제2도에서 α-Al2O3를 함유하는 피막층의 표층부는 10-80μ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즉 2차 가열처리에 의하여, 피막층의 표층부가 철의 바인더 작용에 의하여 견고하게 유지된 α-Al2O3를 함유하므로, 뛰어난 내식성과 내산화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 피막층이 크롬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크롬도 철과 함께 바인더 작용을 하고 또 그 바인더 작용을 하는 크롬이 납화합물에 대한 내식성이 뛰어나므로 예를 들면 고온화에서 납할로겐 화합물에 접촉하는 자동차용 "리액터"의 재료로서는 가장 유효하다.
그리고 2차 가열처리에 의하여 알미늄 부재에의 확산이 진행하고, 피막층의 두께가 증대함과 아울러 알미늄이 서서히 감소된 철, 알미늄을 주성분으로 한 합금층으로 된 확산층이 되므로 밀착력은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 이상은 철계부재의 첨가 원소를 무시하고, 설명을 했지만, 철계부재가 첨가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첨가원소가 2차 가열처리에 의해 피막층에 확산하여, 상술한 철-알미늄의 합금층은 철, 알미늄을 주성분으로서 확산된 첨가 원소를 함유한 합금층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철계부재가 오스페나이트 계의 스텐리스강이라고 하면, 부재의 함유원소인 크롬, 니켈이 피막층에 확산되어, 피막층은 철, 알미늄을 주성분으로 크롬, 니켈을 함유한 합금층으로 된 알루미늄 확산층이 된다.
또 제1도 및 제2도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2차 가열처리된 후, 합금층으로 된 알미늄 확산층의 중간쯤에 급격히 α-Al2O3가 생긴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인즉, 그 α-Al2O3가 다량으로 더구나 층모양으로 연결하여 발생하면, 피막층은 그 부분에서 벗겨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그 α-Al2O3는 될 수 있는 한, 발생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산화 분위기 중에서 2차 가열처리를 하는고로, 그 α-Al2O3의 발생은 불가피하다고 생각된다. 그 α-Al2O3가 생겼다고 하더라도, 개개가 독립하여 분산된 상태로 발생한다면, 벗겨지지 않는, 실용화할 수 있는 내식성과 내산화성 금속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700-930℃의 범위에서 30분 이상의 1차 가열처리를 행하여 알미늄의 안정화를 도모한 후, 다시 고온에서 2차 가열처리하면, 피막층의 중간쯤에 생기는 α-Al2O3는 개개로 독립되고 분산된 형태로 된다는 것은 실험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1차 가열처리를 생략하여 침지한후, 즉시 2차 가열처리의 조건으로 가열처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피막층의 표층부의 α-Al2O3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않는 불합리한 점이 있지만, 이에 부가하여 피막층의 중간쯤에 생기는 α-Al2O3는 서로 연결된 층모양으로 되어 피막층이 벗겨지지 쉽게 되는고로, 실용화할 수 없게 되는 또 하나의 이유가 된다.
그런고로 2차 가열처리한 후, 그층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점에서도,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인 1차 가열처리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다음, 각종 철계부재에 대하여, 미처리된 것과, 본 발명에 의하여 피막 처리된 것에 대한 고온 내식성능의 비교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시험 재료로서는 주철 재료중에서 덕타일 주철(구상 흑연 주철)을, 철강재료로서는 탄소 재료중에서 탄소가 0.1% 함유된 저탄소강을, 특수감 재료중에서는 페타이트계의 스텐레스강인 17크롬강과,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텐레스강인 18크롬-8니켈강을 부재로서 사용하였다. 이들 4종류의 재료의 미처리품 시료 코우드를 A, B, C, D 순서로 한다.
[표 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그리고 17크롬 강은 JIS(Japanese Indesrial Standard) G4304-9에서 "SUS 24"로서 규정된 스텐레스강 이고, AISI(American Iron and Stell Institute) 타입 No. 430의 "17크롬강" 또는 DIN(Deutsche Industric Normung) No. 4016의 "X8Cr 17"에 대개 상당하는 것이다.
또 18크롬-8니켈강은 JIS G4304-9에서 "SUS 27"로서 규정된 스텐레스강이고, AISI타입 No. 304의 "18-8S" 또는 DIN No. 4391의 "X5CrNi 189"에 대개 상당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한 재료 A, B, C, D 각각에 본 발명에 따라 750℃ 순(純)알미늄 용융욕에 1분간 침지처리를 행하고, 다시 제1표중에 표시한 가열 온도 및 시간으로, 1차 가열처리를 행하였다. 또 상기한 미처리부재 A, B, C, D 각각에 본 발명에 의거 830℃로 유지된 크롬을 4%함유한 알미늄 합금용융욕중에 1분간 침지하고, 다시 제1표중에 표시한 가열 온도 및 시간으로 1차 가열처리를 행하였다.
이들 각 4종류 합계8개의 시료를 다시 제1표중에서 표시한 가열 온도 및 시간으로 2차 가열 처리한 각각 4종류씩의 시료를 I그룹 및 II그룹으로 하여 A-1, B-1, C-1, D-1, 및 A-2, B-2, C-2, D-2 로 한다. 시험 방법은 상술한 각 시료토우드의 것으로서 세로 30mm 가로 20mm, 두께 3mm의 판상시험편 12종류를 준바하고, 각 시험편을 수평으로 위치시켜서 그 상면에 납할로겐 화합물의 분말체를 대략 두께 2mm로 전체에 재치하고, 실정온도하에서 설정시간 가열하여, 시험편의 중량감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중량 감소율 %(부식에 의한 감소량/본래의 중량×100)으로 하여 제1표에 표시하였다.
또 I-II그룹 8종류의 시험편에 대하여 피막층의 내박리성 테스트를 향했다.
시험 방법은, 시험편에 대하여, 입자의 직경 약 200μ의 유리편을 5kg/m²의 공기압으로 20초간 시험편의 표면에 불어붙인후, 그 표면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제표2에 표시하였다.
[표 2]
Figure kpo00004
그 내박리성 시험의 결과, 피막층의 내박리성은, 부재가 무엇이건, 또는 용융욕이 크롬을 함유하고 있는지, 없는지에는 관계없이 충분히 확보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표 1 및 표 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품에 비하여 내식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그 경우, 용융욕이 크롬을 함유한 알미늄 합금인 경우에는 크롬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더욱 내식성이 우수한 것임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용 "리액터"로서는, 고온내식성 및 내박리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강에, 본 발명 처리를 실시한 금속제품이 가장 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철계 부재를 750-930℃로 함유된 Cr을 1∼10중량% 함유하는 용융욕중에 30-300초간 침지하고, 그후에 이 철계부재를 750-930℃의 범위에서 30분 이상 1차 가열한후, 그 철계부재를 950-1, 350℃ 범위내의 온도로서 그 철계부재의 용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산화 분위기중에서, 10시간 이하로 2차 가열하여 그 철계부재의 표면에 표충부에 철에 의하여 바인드된 α-Al2O3를 가진 층을 갖춘 철,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한 합금층을 균일하게 형성하고 이 표층부가 철과 함께 α-Al2O3층의 바인더로서 작용하는 크롬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내식, 내산화성을 가진 철계 금속 제품의 제조법.
KR7400997A 1974-01-01 1974-01-01 고온 내식성을 가진 철계 금속제품의 제조법 KR790001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997A KR790001062B1 (ko) 1974-01-01 1974-01-01 고온 내식성을 가진 철계 금속제품의 제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997A KR790001062B1 (ko) 1974-01-01 1974-01-01 고온 내식성을 가진 철계 금속제품의 제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062B1 true KR790001062B1 (ko) 1979-08-24

Family

ID=1919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997A KR790001062B1 (ko) 1974-01-01 1974-01-01 고온 내식성을 가진 철계 금속제품의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6547A1 (en) * 2018-09-13 2022-02-24 Jfe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al or al alloy coated stainless steel she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6547A1 (en) * 2018-09-13 2022-02-24 Jfe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al or al alloy coated stainless steel sheet
US11767573B2 (en) * 2018-09-13 2023-09-26 Jfe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al or al alloy coated stainless steel she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2978B1 (ko) 응용 알루미늄 코팅된 크롬 합금강
US3907611A (en) Method for making ferrous metal having highly improved resistances to corrosion at elevated temperatures and to oxidization
CA1223158A (en) Diffusion treated hot-dip aluminum coated steel and method of treating
US4079157A (en) Method of fabrication of distortion-resistant material
US3059326A (en) Oxidation resistant and ductile iron base aluminum alloys
EP0246418A2 (en) Hot dip aluminium coated chromium alloy steel
EP0294987B1 (en) Process for making an aluminide dispersed ferrite diffusion coating on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substrate
JP3029546B2 (ja) クロム拡散浸透耐熱合金部材とその製法
US4661169A (en) Producing an iron-chromium-aluminum alloy with an adherent textured aluminum oxide surface
KR790001062B1 (ko) 고온 내식성을 가진 철계 금속제품의 제조법
US5019186A (en) Process for producing chromium-containing steel sheet hot-dip plated with aluminum
US3873306A (en) Ferritic alloy with high temperature strength containing dispersed intermetallic TiSi
CA1156523A (en) Reduction of loss of zinc by vaporization when heating zinc-aluminum coatings on ferrous metal base
US3941569A (en) Method for making ferrous metal having improved resistances to corrosion at elevated temperatures and to oxidization
JP2792434B2 (ja) 難合金化めっき母材の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方法
US3881882A (en) Aluminum coated steel
US6284058B1 (en) Method of aluminizing metal alloys by weld overlay using aluminum and aluminum alloy filler metal
US3881881A (en) Aluminum coated steel
KR790001077B1 (ko) 고온 내식성을 가진 철계금속 제품의 제조법
US3192073A (en) Method of making oxidation resistant and ductile iron base aluminum alloys
US5015535A (en) Article formed from a low carbon iron alloy having a corrosion resistant diffusion coating thereon
JPH05287492A (ja) 耐食性、耐熱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アルミめっき鋼板
EP0098085A1 (en) Low porosity metallic coatings
JPS6217169A (ja) 金属材料の表面被覆法
JPS6274063A (ja) 鉄鋼表面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