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0903B1 -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0903B1
KR790000903B1 KR7501787A KR750001787A KR790000903B1 KR 790000903 B1 KR790000903 B1 KR 790000903B1 KR 7501787 A KR7501787 A KR 7501787A KR 750001787 A KR750001787 A KR 750001787A KR 790000903 B1 KR790000903 B1 KR 79000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dded
cepem
methoxy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쓰오 히라오까
유끼오 스기무라
Original Assignee
카와무라 요시부미
산교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무라 요시부미, 산교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카와무라 요시부미
Priority to KR7501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0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0903B1/ko

Links

Landscapes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법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일반식
Figure kpo00001
[식 중 R1은 수소원자, 시아노기, 알콕시카아보닐기, 아실아미노기, 알콕시카아보닐아미노기, 임의로 치환된-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아랄킬기, -알킬티오기, -알케닐티오기, -알키닐티오기, -아릴티오기, -아랄킬티오기, -카아바모일기, -알킬술포닐기 또는 아미노슬포닐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시아노기, 알콕시카아보닐기, 임의로 치환된-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아랄킬기, -알킬티오기, -알케닐티오기, -알키닐티오기, -아릴티오기, -아랄킬티오기, -알킬옥시기, -알케닐옥시기, -알키닐옥시기, -아릴옥시기, -아랄킬옥시기, -복소환기, -복소환옥시기, -복소환티오기 또는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3는 저급알킬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랄킬기를 나타내고; R4는 카아복실기 또는 보호된 카아복실기를 나타내고; A는 수소, 아지도 또는 구조식-B-E(여기서, B는 산소 또는 유황이고, E는 아실, 저급알킬, 임의로 치환된-카아바모일, -티오카아바모일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신규한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구조식(I)에서, R1은 수소원자,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n-부틸) 또는 아릴기(예, 페닐 또는 나프틸)가 적합하며; R2는 수소원자,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삼급부틸), 아릴기(예, 페닐 또는 나프틸),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티오기(예,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터오 또는 이소프로필티오),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키닐티오기(예, 프로파르길티오), 아릴티오기(예, 페닐티오),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지도알킬티오기(예, 아지도메틸티오 또는 아지도에틸티오), 알킬성분에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시아노알킬티오기(예, 시아노메틸티오 또는 시아노에틸티오),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탄소원자를 갖는 시아노알킬티오기(예, 시아노메틸티오 또는 시아노에틸티오),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슬포닐기(예, 메틸슬포닐 또는 에틸슬포닐), 1∼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기(예, 이미다졸릴티오, 티아디아졸릴티오, 트리아졸릴티오, 티에닐티오, 이속사졸릴티오, 메틸이속사졸릴티오, 테트라졸릴티오, 메틸테트라졸릴티오, 피리미디닐티오 또는 피리딜티오)로 치환될 수 있는 고리 중에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유황, 질소 및/또는 산소원자를 함유하는 5-또는 6-원 복소환티오기, 1∼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기(예, 이속사졸릴옥시, 메틸이속사졸릴옥시, 이미다졸릴옥시, 티아디아졸릴옥시, 트리아졸릴옥시, 티에닐옥시, 테트라졸릴옥시, 메틸테트라졸릴옥시, 피리미디닐옥시, 또는 피리딜옥시)로 치환될 수 있는 고리 중에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유황, 질소 및/또는 산소원자를 함유하는 5-또는 6-원 복소환옥소기, 1∼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기(예, 티에닐, 이미다졸릴, 티아디아졸릴, 이속사졸릴, 메틸이속사졸릴, 테트라졸릴, 메틸테트라졸릴, 피리미디닐 또는 피리딜)와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슬포닐기(예, 메틸슬포닐, 에틸슬포닐 또는 n-프로필슬포닐)로 치환될 수 있는 고리 중에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유황, 질소 및/또는 산소원자를 함유하는 5- 또는 6-원 복소환기가 적합하며; R3는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n-부틸)가 적합하며; R4는 카아복실기 또는 알킬성분에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카아보닐기(예, 메톡시카아보닐, 에톡시카아보닐, n-프로폭시카아보닐 또는 n-부톡시카아보닐)와 같은 보호된 카아복실기, 알킬성분에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할로게노알콕시카아보닐기(예, 디클로로에톡시카아보닐 또는 트리클로로에톡시카아보닐) 할로겐, 메톡시 또는 니트로로 임의로 치환된 벤질옥시 카아보닐기(예, 벤질옥시카아보닐, p-클로로벤질옥시카아보닐, p-메톡시벤질옥시카아보닐 또는 p-니트로벤질옥시카아보닐, 디페닐메틸옥시카아보닐기), 각각의 알킬성분에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트리알킬실릴옥시카아보닐기(예, 트리메틸실릴옥시카아보닐 또는 트리에틸실릴옥시카아보닐), 각각의 알킬성분에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알킬할로게노실릴옥시카아보닐기(예, 디메틸클로로실릴옥시카아보닐 또는 디메틸브로모실릴옥시카아보닐), 할로겐 또는 메톡시로 임의로 치환된 펜아실옥시카아보닐기(예, p-클로로펜아실옥시카아보닐, p-브로모펜아실옥시카아보닐, p-메톡시펜아실옥시카아보닐) 또는 아실옥시카아보닐기(예, 아세톡시카아보닐 또는 벤조일옥시카아보닐), 할로게노아실카아보닐기(예, 클로로아세톡시카아보닐 또는 브로모아세톡시카아보닐), 디할로게노포스피노옥시카아보닐기(예, 디클로로포스피노옥시카아보닐 또는 디브로모포스피노옥시카아보닐), 디알킬포스피노옥시카아보닐기(예, 디메틸포스피노옥시카아보닐) 또는 아미노카아보닐기(예, 3-옥소-2,3-디하이드로-S-트리아졸로[4,3-a] 피리돈-3-알카아보닐) 또는 사카릴카아보닐이 적합하며; E는 아실기(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또는 벤조일), 카아바모일기 또는 1∼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는 5-또는 6-원복소환기(예, 테트라졸릴, 1-메틸테트라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티에닐, 티아디아졸릴, 메틸티아디아졸릴, 피리미디닐 또는 피리딜)가 적합하다.
종래에, 세펨고리의 7-위치에 알콕시기를 도입하기 위해 여러가지의 방법이 알려져 있었지만, 이 중에서 t-부틸하이포클로라이트와 리튬알콕사이드를 알콕시화하는 것이 반응을 행함에 있어서 가장 간단하며 수율도 가장 양호했다. [알·에이·파이어스톤(R.A. Firestone) 및 비·지·크리스텐센(B.G. Christensen)에 의한 유기화학회지 38, 1436(1973); 지·에이·코펠(G.A. Koppel) 및 알·이·쾰러(R.E. Koehler)에 의한 아메리칸 화학회지 95, 2403(1973) 참조]. 그러나 이 방법은 t-부틸하이포클로라이트에 민감한, 즉 측쇄에서 음이온형성센터를 갖는 세팔로스포린의 경우에 사용될 수 없는 결점을 갖는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제로서 유용한 일반식(I)을 갖는 7β-아실아미노-7α-알콕시세팔로스포린의 신규하고도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일반식(I)을 갖는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일반식(II)
Figure kpo00002
(식 중, R1, R2, R4및 A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음)
을 갖는 7-아실아미노세팔로스포린을 할로겐 화제와 반응시켜 다음과 같은 일반식(III)
Figure kpo00003
(식 중,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1, R2, R4및 A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음)
을 갖는 이미노할라이드를 얻고, 이 후자의 화합물을 염기와 반응시켜 다음과 같은 일반식(IV)
Figure kpo00004
(식 중, R1, R2, R4및 A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음)
갖는 케텐이민을 얻고, 이 후자의 화합물을 할로겐과 반응시켜 다음과 같은 일반식(V)
Figure kpo00005
(식 중, R1, R2, R4및 A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냄)
을 갖는 α-할로게노-이미노할라이드를 얻고, 이 후자의 화합물을 일반식 R3OM(식 중 M는 알칼리금속을 나타내고, R3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음)을 갖는 알칼리금속알콕사이드로 처리하고, 계속해서 생성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시키거나 또는 생성되는 화합물을 산 또는 할로게노실릴화합물과 반응시킨 다음에 생성되는 화합물을 물로 처리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일반식(I)을 갖는 7α-알콕시-7β-아실아미도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은 유용한 항균제이다.
일반식(II)을 갖는 출발물질은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7-위치에 유리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들면 7-아미노세팔로스폴란산, 7-아미노데아세톡시세팔로스폴란산, 7-아미노-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세펨-4-카아복실산의 에스테르를 기지의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일반식
Figure kpo00006
(식 중, R1및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음)
을 갖는 카아복실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면, 그의 산할로겐화물 또는 산무수물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반응에 또한 출발물질로서 세팔로스포린 C와 같은 발효에 의해 수득한 7-아실아미노세팔로포린을 사용할 수 있다. 출발물질 세팔로스포린의 7-위치에서 아실아미노기는 α-또는 β-배열이다.
본 발명의 제1단계는 일반식(II)을 갖는 화합물을 할로겐화제와 반응시켜 이미노할라이드 유도체(III)를 얻는 것이다. 이 반응은 출발물질(II)을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디클로로에탄, 벤젠 등과 같은 불활성 용매 중에서 할로겐화제와 반응시켜 행할 수 있다. 할로겐화제로서 할로겐화인 및 할로겐화유황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가장 좋기로는 오염화인, 오취화인 및 염화티오닐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반응은 -50∼40℃ 사이의 온도에서 행하며, 양호한 결과는 반응을 산-결합제 존재하에 행하는 것이며, 이 산-결합제로서는 퀴놀린, 피리딘, 유기삼급아민류를 통상 사용한다. 이 단계에서 수득된 제품을 단리시키기 위해, 제품이 물과 약알칼리에 안정한 경우에, 유기용매 중의 제품을 약알칼리용액과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에 용매로 유거하여 실제로 순수한 제품을 얻는다.
또한, 이 단계에서 수득된 제품이 물에 불용성인 경우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반응혼합물로부터 유거하여, 잔류물을 테르라하이드로푸란, 에에테르 및 벤젠과 같은 불활성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이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아민염을 여거하고, 이 여액 중에 함유된 생성물을 어떤 조작을 행함이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다.
이 반응의 제2단계는 상기의 제1단계에서 수득된 일반식(III)을 갖는 화합물을 염기로 처리하여 케텐이민유도체(IV)를 얻는 것이다.
염기로서,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무기염기와 트리-저급알킬아민, 방향족아민과 같은 유기삼급아민과 디아자비사이클로옥탄과 같은 강염기와 디아자비사이클로노넨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반응은 5∼6일 동안 -30℃내지 실온 사이의 온도에서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에테르 또는 벤젠과 같은 불활성 용매 중에서 행할 수 있다. 사용하는 염기의 양은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1몰량 또는 약간 과잉몰량을 사용하면 충분하다. 상기에서 수득한 일반식(IV)을 갖는 생성물은 반응혼합물을 물과 혼화할 수 없는 유기용매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류시키고, 필요에 따라, 생성물을 통상의 크로마토그라피이로 처리하여 정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반식(IV)를 갖는 생성물의 대부분은 특정 화합물을 제외하고 물 또는 산에 불안정하므로, 반응혼합물은 원래 다음의 반응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3단계는 화합물(IV)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에테르, 톨투엔, 클로로포름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같은 불활성용매 중에서 할로겐과 반응시켜 행한다. 할로겐으로서 적합한 것은 염소, 취소 및 옥소이다. 반응은 -50℃ 내지 실온 사이의 온도에서 5∼60분 내에 종료된다. 사용하는 할로겐의 양은 1몰 중량 또는 약간 과잉량이 적합하다.
상기에서 수득된 화합물(V)은 화합물(III)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될 수 있지만, 이들은 어떤 단리나 또는 정제과정이 없이 통상으로 다음 단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단계는 일반식(V)을 갖는 α-할로게노-이미노-할라이드를 일반식 R3OM(식 중, R3및 M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음)을 갖는 알칼리금속알콕사이드와 반응시켜 세팔로스포린의 7α-위치에 알콕시기를 도입하여 행한다. 알콕시도입반응은 화합물(V)을 -78°∼-15℃ 사이의 온도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에테르, 클로로포름 또는 톨루엔과 같은 불활성 용매 중에서 알칼리금속알콕사이드로 처리하여 행할 수 있다. 이 반응은 5∼60분 내에 종료되며, 알콕시기(R3O)는 7α-위치로 도입된다.
알카리금속 알콕사이드 R3OM은 2당량 이상의 양으로 사용되며, 소량의 상응하는 알코올[R3OM(여기서 R3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음)]의 존재는 양호한 결과를 가져온다. 생성되는 화합물은 계속해서 가수 분해반응시키거나 또는 산이나 할로게노실릴 화합물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화합물을 물로 처리한다.
가수분해반응은 물 존재하에서 행하지만 이 반응은 산 존재하에서 온화하게 행해진다. 이 반응은 통상으로 알칼리금속알콕사이드와의 반응을 종료시키고 실온 근처에서 몇시간 동안 반응을 행하여 7α-알콕시-7β-아실아미노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을 얻은 후에 반응혼합물에 물 또는 산 또는 그의 용액을 부가하여 종료시킨다. 이 반응에 사용한 산으로써 광산 또는 유기산을 들 수가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산으로서 염산, 황산, 트리플루오로초산 및 트리클로로초산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산과의 반응 및 물과의 처리는 상기 단계의 완전한 반응혼합물에 염화알루미늄 또는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에에테르 착화합물과 같은 루이스산을 부가하여 반응을 실온에서 행하여 행한다. 이 경우에, 퀴놀린 및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삼급아민의 존재는 양호한 결과를 준다.
할로게노실릴화합물의 반응과 생성되는 화합물과 물과의 처리는 상기 단계의 완전한 반응혼합물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과 같은 저급알킬-실릴할라이드를 부가하여 반응을 실온에서 일으키고 물로 처리하여 행한다. 이 경우에, 퀴놀린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삼급아민의 존재는 또한 양호한 결과를 준다.
상기의 방법에서 수득된 일반식(I)을 갖는 화합물은 반응혼합물을 물에 붓고,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용매를 증류시켜 수득된다. 이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통상의 크로마토그라피이로 정제할 수 있다.
일반식(V)을 갖는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서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을 들 수가 있다 : 7β-프로피온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페녹시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페닐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5-아미노-5-카아복실발레르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1,2,4-트리아졸-4H-3-일) 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이미다졸-2-일)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1,3,4-티아디아졸-2-일) 티오아세트아미도-7α -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3-세펨-4-카아복실산, 7β-프로파르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5-메틸-1,2,4-트리아졸-4H-3-일)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2-피리딜)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2-피리미딜)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2-티아졸리닐) 티오아세트아미도-7-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n-프로필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2-이미다졸릴) 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1,3,4-티아디아졸릴-2-일)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2-이미다졸릴)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프로파르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등. 또한 상기의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카아복실기가 메틸, p-메톡시벤질, 브로모펜아실, 벤즈하이드릴, 트리메틸실릴, 3-옥소-2,3-디하이드로-s-트리아졸로 [4,3-a]-피리돈-3-일기로 보호된 것을 들 수가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이 광범위의 병원균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다 : 7-(이미다졸-2-일) 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1,3,4-티아디아졸-2-일) 티오아세트아미도-7β-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3-이속사졸릴옥시) 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프로파르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5-메틸-1,3,4-티아디아졸-2-일)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1,2,4-트리아졸-4H-3-일)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이미다졸-2-일)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1,3,4-티아디아졸-2-일)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5-메틸-1,3,4-티아디아졸-2-일)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프로파르길티오아세트아미도, 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카아바모일옥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아지도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1,3,4-티아디아졸-2-일)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프로파르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이미다졸-2-일)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복실산, 7β-(3-이속사졸릴옥시)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7β-(3-이속사졸릴)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산.
이들 화합물들의 살균성을 다음 표에 요약했다.
[표]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화합물은 광범위한 병원균에 대한 우수한 살균성을 갖는다. 이들 화합물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예를 들면 캡슐, 정제 및 주사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이 중에서 주사가 가장 적합하다. 투여량은 년령, 증상 및 환자의 체중 등에 의해 좌우되지만, 통상의 투여량은 1일 100∼3,000mg을 3∼4회 걸쳐서 투여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의 투여량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라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메틸 7β-메녹시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클로로포름 12ml 중의 오염화인 180mg에 퀴놀린 0.13ml를 부가했다. 몇분 후에, 여기에 메틸 7-페녹시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200mg을 부가하여 이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한 후에, 잔류물에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를 부가하여 나타낸 결정들을 여거했다. 이 여액에 트리에틸아민 0.07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50℃까지 냉각하고 여기에 취소 0.026ml(0.5mmole)를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ml를 부가하고 -50℃에서 10분 동안 여과했다. 그 다음에 이 혼합물을 -78℃까지 냉각하고 금속리튬 45mg과 메타놀 3ml로부터 만든 리튬메톡사이드의 메타놀 용액을 -78℃에서 부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그 다음에 반응을 종료시키기 위해 이 혼합물에 초산 0.4ml를 부가했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이 추출액을 물로 세척한 뒤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하여 잔류물을 얻고, 이것을 클로로포름 5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퀴놀린 0.1ml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0.5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이로 정제하여 메틸 7β-페녹시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얻었다.
NMR 스펙트럼(CDCl3)δ ppm
2.17(3H, singlet), 3.17(2H, singlet), 3.55(3H, singlet), 3.83(3H, singlet), 4.59(2H, singlet), 5.06(1H, singlet), 6.8∼7.5(5H, multiplet).
[실시예 2]
벤즈하이드릴-7β-페녹시 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클로로포름 12ml 중의 오염화인 180ml에 퀴놀린 0.13ml를 부가했다. 몇분 후에, 여기에 벤즈하이드릴 7-페녹시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257mg을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류물에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를 부가하여 나타낸 결정 들을 여거했다. 이 여액에 트리에틸아민 0.07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50℃까지 냉각했다. 취소 0.026ml(0.5mmole)를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ml를 여기에 부가했다. -5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이 혼합물을 -78℃까지 냉각하고, 금속리튬 45mg과 메타놀 3ml로부터 만든 리튬 메톡사이드의 메타놀성용액을 여기에 부가했다. 이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초산 0.4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붓고 이 혼합물을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5ml에 용해시키고, 퀴놀린 0.1ml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0.5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추출물을 물로 세척한 다음에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이로 정제하여 벤즈하이드릴 7β-페녹시아세토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수득했다.
Figure kpo00010
[실시예 3]
메틸 7β-(α-티에닐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오염화인 180mg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용액 12ml에 퀴놀린 0.13ml를 부가했다. 몇분 후에, 여기에 메틸 7-(α-티에닐아세트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410mg을 부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한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류물에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 40ml를 부가하여 나타낸 결정들을 여거했다. 이 여액에 트리에틸아민 0.14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50℃까지 냉각했다. 취소 0.052ml(1mmole)중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2ml를 적가하고 -5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78℃에서 냉각했다. 금속리튬 100mg과 메타놀 4ml로부터 가든 리튬메톡사이드의 메타놀성 용액을 -78℃에서 혼합물에 부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그 다음에 초산 1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추출물을 물로 세척한 다음에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10ml에 용해시키고 퀴놀린 0.2ml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1ml를 이 용액에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이로 정제하여 메틸 7β-(α-티에닐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얻었다.
Figure kpo00011
NMR 스펙트럼(CDCl3)δ ppm: 2.00(3H, singlet), 3.23 및 3.43(2H, AB quartet, J=18Hz), 3.42(3H, singlet), 3.77(3H, singlet), 3.84(2H, singlet), 4.76 및 4.85(2H, AB quartet, J=14Hz), 5.03(1H, singlet), 6.8∼8.2(3H 및 1H, multiplet).
[실시예 4]
벤즈하이드릴 7β-(α-티에닐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오염화인 180mg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 용액 12ml에 퀴놀린 0.13ml를 부가했다. 몇분 후에, 여기에 벤즈하이드릴-7-(α-티에닐아세트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한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류물에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를 부가하여 나타낸 결정들을 여거했다. 이 여액에 트리에틸아민 0.07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50℃까지 냉각했다. 이 용액에 취소 0.026ml(0.5mmole)를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1ml를 -5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78℃까지 냉각했다. 금속리튬 45mg과 메타놀 3ml로부터 만든 리튬메톡사이드의 메타놀성 용액을 -78℃에서 이 용액에 부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초산 0.4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붓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5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퀴놀린 0.1ml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0.5ml를 부가한 다음에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했다. 이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크로마토그라피이로 정제하여 벤즈하이드릴 7β-(α-티에닐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얻었다.
Figure kpo00012
NMR 스펙트럼(CDCl3) ppm: 1.95(3H, singlet), 3.15 및 3.45(2H, AB quartet, J=18Hz), 3.39(3H, singlet), 3.77(2H, singlet), 4.72 및 4.96(2H, AB quartet, J=14Hz), 4.96(1H, singlet), 6.8∼6.9(3H, multiplet), 7.20(11H).
[실시예 5]
메틸 7β-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오염화인 180mg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용액 12ml에 퀴놀린 0.13ml을 부가했다. 몇분 후에, 이 용액에 메틸 7-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158mg을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하고 이 잔류물에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를 부가하여 나타낸 결정들을 여거했다. 이 여액에 트리에틸아민 0.07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50℃까지 냉각했다. 여기에 취소 0.026ml(0.5mmole)를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1ml를 적가하여 이 용액을 -5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78℃까지 냉각했다. 금속리튬 45mg과 메타놀 3ml로부터 만든 리튬메톡사이드의 메타놀성 용액을 상기의 용액에 -78℃에서 부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그 다음에 이 용액에 초산 0.4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뒤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5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퀴놀린 0.1ml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0.5ml를 부가했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했다. 이 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이 잔류물을 실리카겔크로마토그라피이로 정제하여 메틸 7β-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수득했다.
Figure kpo00013
[실시예 6]
메틸 7β-페닐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오염화인 180mg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용액 12ml에 퀴놀린 0.13ml를 부가했다. 몇분 후에, 여기에 메틸 7-페닐티오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189mg을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류물에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를 부가하여 나타낸 결정들을 여거했다. 이 여액에 트리에틸아민 0.07ml를 부가하고 이 용액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50℃까지 냉각했다. 상기의 용액에 취소 0.026ml(0.5mmole)를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1ml를 적가한 다음에 -5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78℃까지 냉각했다. 금속리튬 45mg과 메타놀 3ml로부터 만든 리튬메톡사이드의 메타놀성 용액을 -78℃에서 이 용액에 부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그 다음에 여기에 초산 0.4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이 추출액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5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퀴놀린 0.1ml과 트리메틸클로로실란 0.5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이로 정제하여 메틸 7β-페닐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수득했다.
Figure kpo00014
[실시예 7]
벤즈하이드릴 7β-시아노메틸티오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오염화인 180mg를 함유하는 클로로포름용액 12ml에 퀴놀린 0.13ml를 부가했다. 몇분 후에, 여기에 벤즈하이드릴 7-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류물에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를 부가하여 나타낸 결정들을 여거했다. 이 여액에 트리에틸아민 0.07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에 -50℃까지 냉각했다. 상기의 용액에 취소 0.026ml(0.5mmole)를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1ml를 적가했다. 이 용액을 -5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78℃까지 냉각했다. 금속리튬 45mg과 메타놀 3ml로부터 만든 리튬메톡사이드의 메타놀성 용액을 -78℃에서 전기의 용액에 부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그 다음에 여기에 초산 0.4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붓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뒤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퀴놀린 0.1ml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0.5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이로 정제하여 벤즈하이드릴 7β-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수득했다.
NMR 스펙트럼(CDCl3) ppm: 2.00(3H, singlet), 3.3∼3.5(2H, AB quartet, J=18Hz), 3.41(2H, singlet), 3.50(2H, singlet), 3.55(3H, singlet), 4.80 및 5.08(AB quartet, J=14Hz), 5.10(1H, singlet), 6.99(1H, singlet), 7.39(10H).
[실시예 8]
메틸 7β-페닐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오염화인 180mg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용액 12ml에 퀴놀린 0.13ml를 부가했다. 몇분 후에, 여기에 메틸 7-페닐아세트아미도-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류물에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를 부가하여 나타낸 경정들을 여거했다. 이 여액에 트리에틸아민 0.07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25℃까지 냉각했다. 이 용액에 취소 0.026ml(0.5mmole)를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용액 1ml를 적가했다. 이 용액을 -25℃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78℃까지 냉각했다. 금속리튬 45mg과 메타놀 3ml로부터 만든 리튬메톡사이드의 메타놀성 용액을 -78℃에서 이 용액에 부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교반했다. 그 다음에 여기에 초산 0.4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이 추출액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그 다음에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5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트리플루오로초산 1ml 부가한 다음에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했다. 이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에 인산완충용액(pH8)을 부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피이로 정제하여 메틸 7β-페닐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수득했다.
Figure kpo00015
[실시예 9]
벤즈하이드릴 7-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
오염화인 180mg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 용액 12ml에 퀴놀린 0.13ml를 부가했다. 몇분 후에, 여기에 벤즈하이드릴 7-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3-(1-메틸-1-H-테트라졸-5-일) 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류물에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를 부가하여 나타낸 결정들을 여거했다. 이 여액에 트리에틸아민 0.07ml를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50℃까지 냉각했다. 취소 0.026ml(0.5mmole)를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1ml를 이 용액에 적가했다. 이 용액을 -5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에 -78℃까지 냉각했다. 금속리튬 45mg과 메타놀 3ml로부터 만든 리튬메톡사이드의 메타놀성 용액을 -78℃에서 상기의 용액에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그 다음에 여기에 초산 0.4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5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퀴놀린 0.1ml 및 트리메틸클로로실란 0.5ml를 부가한 다음에 이 용액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이로 정제하여 벤즈하이드릴-7β-시아노메틸티오아세트아미도-7α-메톡시-3-(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아복실레이트를 수득했다.
NMR 스펙트럼(CDCl3)δ ppm: 3.44(2H, singlet), 3.49(2H, singlet), 3.55(3H, singlet), 3.60(2H, singlet), 3.82(3H, singlet), 4.25 및 4.48(2H, AB quartet), 5.06(1H, singlet), 6.93(1H, singlet), 7.38(10H)

Claims (1)

  1. 하기 일반식(II)의 7β-아실아미노세팔로스포린을 할로겐화제로 처리하여 생성되는 하기 일반식(III)의 이미노할라이드를 염기와 반응시켜 얻은 하기 일반식(IV)의 케텐이민을 할로겐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하기 일반식(V)의 할로게노-이미노할라이드를 일반식 R3OM(여기서, M은 알칼리금속을 나타내고, R3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을 갖는 알칼리금속 알콕사이드와 반응시키고, 계속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시키거나 또는 할로게노실릴 화합물과 반응시킨 다음, 그 결과 생성되는 화합물을 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의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법.
    Figure kpo00016
    상기 각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시아노기, 알콕시카아보닐기, 아실아미노기, 알콕시카보닐아미노기, 임의로 치환된 알칼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아랄킬기, -알킬티오기, -알케닐티오기, -알키닐티오기, -알키닐티오기, -아릴티오기, -아랄칼티오기, -카아바모일기, -알킬슬포닐기 또는 -아미노슬포닐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시아노기, 알콕시카아보닐기, 임의 치환-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아랄킬기, -알킬티오기, -알케닐티오기, -알키닐티오기, -아릴티오기, -아랄킬티오기, -알킬옥시기, -알케닐옥시기, -알키닐옥시기, -아릴옥시기, -아랄킬옥시기, -복소환기, -복소환옥시기, -복소환티오기 또는 -알킬슬포닐기를 나타내고,
    R3은 저급 알킬기 또는 임의 치환 아랄킬기이고,
    R4는 카아복실기 또는 보호된 카아복실기를 나타내고,
    A는 수소, 아지도 또는 구조식-B-E-(여기서, B는 산소 또는 유황이고, E는 아실, 저급알킬, 임의로 치환된-카아바모일,-티오카아바모일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며, X 및 X'는 할로겐 원자이다.
KR7501787A 1975-08-13 1975-08-13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법 KR79000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787A KR790000903B1 (ko) 1975-08-13 1975-08-13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787A KR790000903B1 (ko) 1975-08-13 1975-08-13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0903B1 true KR790000903B1 (ko) 1979-07-30

Family

ID=1920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1787A KR790000903B1 (ko) 1975-08-13 1975-08-13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090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2713A (en) Carboxyalkenamidocephalosporins
EP0021678B1 (en) 1-sulpho-2-oxoazetidine derivatives, their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3960845A (en) Process for preparing 7β-acylamino-7α-alkoxycephalosporins or 6β-acylamino-6α-alkoxypenicillins
SE438854B (sv) 3-metylensmorsyraderivat till anvendning sasom mellanprodukt vid syntesen av 3-cefemforeningar
NL8003003A (nl) Tussenprodukten te gebruiken bij de bereiding van cefalosporine antibiotica.
EP0082498B1 (en) Beta-lactam compound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S6027677B2 (ja) 7−置換又は非置換アミノ−3−置換チオメチルセフエムカルボン酸類の新規製造法
US4017488A (en) Process for preparing 7β-acylamino-7α-alkoxycephalosporins
JPS6124396B2 (ko)
US4322347A (en) 2-Carbamoyloxymethyl-penicillin derivatives
KR790000903B1 (ko)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법
US4145418A (en) Thienopyridine substituted cephalosporins
US4145540A (en) 7β-Phosphoramido-7α-methoxycephalosporanic acid derivatives
KR890002107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021676B1 (en) 3-methoxy-2-oxoazetidine derivatives and their production
NO743992L (ko)
EP0096496B1 (en) Preparation of penicillin and cephalosporin compounds and novel intermediates useful therein
NO810678L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farmakologisk aktive cefalosporinderivater
US4374982A (en) Cepham compounds
US4518773A (en) "3-Carbamoyloxy cephalosporins"
US4237280A (en) Intermediate for cephalosporin type compound
US4729992A (en) Cephalosporin esters, their production and use
US4426520A (en) 3-Carbamoyloxy-cepham-4-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4316017A (en) Cephalosporin intermediates
US4684642A (en) 7-Hydroxyaminocephalosporin antibi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