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0856B1 - ω-아미노알카노산 아릴아미드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ω-아미노알카노산 아릴아미드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0856B1
KR790000856B1 KR7502318A KR750002318A KR790000856B1 KR 790000856 B1 KR790000856 B1 KR 790000856B1 KR 7502318 A KR7502318 A KR 7502318A KR 750002318 A KR750002318 A KR 750002318A KR 790000856 B1 KR790000856 B1 KR 79000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olution
ethanol
melting point
y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요시 히다까
이꾸오 마쓰모도
요시아끼 이또오
노부오 아오끼
Original Assignee
이와다레 고이찌
반유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히로요시 히다까
노부오 아오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다레 고이찌, 반유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히로요시 히다까, 노부오 아오끼 filed Critical 이와다레 고이찌
Priority to KR750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0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0856B1/ko

Link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ω-아미노알카노산 아릴아미드의 제조법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Figure kpo00001
-아미노알카노산아릴아미드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R'(CH2)nCONHR (I)
상기 식에서,
R는 할로겐원자, 니트로, 알킬, 알콕시, 하이드록실, 아세트아미노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는 아실화 될 수 있는 아미노기를 나타내며, n은 4~8의 정수이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일반식(II)로 표시되는
Figure kpo00002
-아미노알카노산 또는 그의 관능성 유도체를 다음과 같은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방향족 아민과 반응시켜 대응하는 알카노산아릴아미드를 수득하여 제조할 수 있다.
R'(CH2)nCOOH (II)
RNH2(Ⅲ)
상기 각 식에서,
R, R' 및 n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필요하다면, 아미노 보호기와 같은 아실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일반식(II)의 ω-아미노알카노산의 예로는 δ-아미노발레리안산, ε-아미노카프로산, ζ-아미노에난트산, η-아미노카프릴산, θ-아미노펠라르곤산, ε-아미노카프론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kpo00003
-아미노알카노산의 아미노기는 아세틸, 프탈로일 및 카르보벤 족실기 등과 같은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다.
ω-아미노알카노산의 관능성 유도체는 산염화물 및 산취화물과 같은 산할로겐화물, 산에스테르, 산무수산, 상기 아미노알카노산의 기타의 산, 예를 들면 클로로카아본산 에스테르와의 혼합산 무수물을 들 수가 있다.
일반식(II)의 방향족 아민으로서 o-클로로아닐린, m-클로로아닐린, p-클로로아닐린, p-브로모아닐린, p-니트로아닐린, p-톨루이딘, 2,6-크실리덴, 2-아미노-6-클로로톨루엔, p-아니시딘, p-아미노페놀, p-아미노아세토아닐라이드,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아닐린, β-나프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에서 방향족 아민을 형성하는 아릴아민 유도체로는 방향족아민 대신 방향족 아민과 삼염화인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포사조 유도체(phosazc derivatives)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ω-아미노알카노산 또는 그의 관능성 산 유도체(II)를 적합하기로는 용매 존재하에 방향족 아민 (Ⅲ)과 혼합하여 이들을 반응시킨다.
산할로겐화물을 사용할때에 탈할로겐화제로서 피리딘,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알칼리성 화합물로 첨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열 등의 수단에 의해 반응계로부터 할로겐화 수소 가스를 제거할 수도 있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통상방법으로 처리하여 생성물을 분리시킨다.
아실화합물로부터 보호기의 제거는 통상법으로 행할수 있다.
방향족아민 대 관능성유도체의 ω-아미노알카노산의 물비율은 0.5~2.0, 특히 1~10의 범위가 적합하다. 용매 대 관능성유도체의 ω-아미노알카노산의 비율은 2~100의 범위이다.
반응온도는 -20℃내지 용매의 비점 사이의 온도를 사용할 수 있다. ω-아미노알카노산은 그의 관능성 유도체, 특히 용매 중에서 염화티오닐 오염화인, 삼염화인, 팔염화인 및 염화설퍼릴과 같은 할로겐화제를 첨가하여 대응하는
Figure kpo00004
-아미노알카노산할라이드로 전환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생성되는 ω-아미노알카노산할라이드는 통상 분리시키지 않고 방향족 아민과의 반응에 사용한다.
이 경우에, ω-아미노알카노산할라이드의 아미노기는 통상 보호기가 결합되어 있지 않드라도 염화수소로 보호된다. ω-아미노알카노산할라이드와 방향족 아민과의 반응에 있어서,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여 할로겐화수소를 제거하거나 또는 반응 혼합물을 가열시켜 할로겐화수소를 증발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보호기가 ω-아미노알카노산의 아미노기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 정제하기 전에 용매를 제거하는 것이 적합하며, 보호기는 통상법에 의해 제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연구한 결과 일반식(I)을 갖는 화합물들은 혈소판 응집 억제효과를 가지며 뇌 및 심장-맥 관계의 혈전증에 대한 치료예방 의약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방법에 의한 화합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을 인체의 신성한 혈액과 귤산나트륨의 9 : 1 비율의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제조하였다. 콜라겐(collagen), 아데노신디포스페이드(ADP), 에피네프린, 트롬빈 등에 의해 유발되는 혈소판 응집에 있어서의 본 발명화합물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혈소판 응집을 응집계(캐나다 브리스톤 회사제품)로 시험하여 광투과율의 변화를 측정했다.
광투과율은 혈소판의 응집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원심분리에 의해 혈소판이 분리된 혈장의 광투과율의 등급을 100으로 하고,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의 광투과율은 0으로 했다.
응집에 의한 증가한 광투과율을 응집율(%)로 나타냈다.
상대 응집율(%)은 상기 응집율을 대조 응집율로 나눈 값이며, 이 대조시험에 있어서는 억제 화합물을 염화나트륨 완충 등장 용액으로 대치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혈소판 응집에 대한 억제율(%)은 100에서 상대 응집율을 뺀 값이다.
콜라겐은 불용성 콜라겐(시그마사 제품) 300mg을 염화나트륨 등장 용액 15ml에 분산시키고, 거친 입자들을 원심분리침전으로 제거하여 제조한다.
ADP는 염화나트륨 등장 용액 중에서 ADP를 3.7×10-4M 속도로 용해시켜 제조하며, 이것을 냉동상태에 보존해 두었다가 사용 직전에 8배의 염화나트륨 등장 용액으로 희석하여 용해시킨다.
에피네프린은 아드레날린 용액 1mg/ml(산교가부시기가이샤 제품)를 20배의 염화나트륨 등장 용액으로 희석하여 제조한다.
트롬빈은 인체-트롬빈(미도리쥬지가부시기가이샤 제품) 500단위를 50% 글리세린 2ml에 용해시켜 제조하며, 이것을 -20℃에 유지해 두었다가 20배의 염화나트륨 등장 용액으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콜라겐에 의한 혈소판 응집시험의 결과를 다음표에 나타냈다.
이 시험에서 사용한 화합물 (A)~(H)는 다음의 실시예들에 나타냈다.
[표]
Figure kpo00005
생성물기재내용 :
화합물 A ……… 실시예 4
화합물 B ……… 실시예 7
화합물 C ……… 실시예 8
화합물 D ……… 실시예 9
화합물 E ……… 실시예 10
화합물 F ……… 실시예 11
화합물 G ……… 실시예 16
화합물 H ……… 실시예 17
상기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화합물 A, B 및 H가 가장 효과적이다. 최종농도 5.7 ×10-5M에서, 클라겐에 의한 혈소판 응집은 약 40~60% 비율의 억제를 나타냈다.
억제효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혈소판, 보다 적은 번호의 혈소판 및 소량의 콜라겐을 장시간 접촉시킴으로써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에피네프린 또는 트롬빈의 응집의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혈소판 응집 억제효과를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ADP에 의한 1차 응집에는 유효하지 못하나 ADP에 의한 2차 응집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현저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배출되는 여러가지의 아민류 및 응집촉진제와 여러가지 흥분제에 의해 생기는 혈소판의 형태 변화물과의 반응에 의해 생기는 비가역응집을 억제한다.
혈관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는 37℃의 로크용액(Rock's solution) 중에 격리시킨 토끼의 대동맥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격리된 토끼의 대동맥은 최종농도의 1 ×10-4의 화합물 존재하에서 크게 이완된다.
[실시예 1]
δ-아미노발레리안산 0.9g을 1,2-디클로로에탄 10ml에 현탁시킨 다음에 여기에 1,2-디클로로에탄 10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2ml중에 용해시킨 염화티오닐 0.935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켜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1,2-디클로로에탄 20ml중에 용해시킨 p-클로로아닐린 0.675g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맹렬히 교반시켜 슬러리를 만들었다.
이 슬러리를 염화수소 가스의 발생이 정지될 때까지 2시간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이것을 냉각시킨 후에,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타놀로 재결정시켜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83~184℃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0.83g(수율 60%)을 얻었다.
Figure kpo00006
원소분석치 : C11H16N2OCl2
C H N
계산치 (%) : 50.20 6.13 10.64
실측치(%) : 50.18 6.17 10.64
[실시예 2]
δ-아미노발레리안산 3.6g을 1,2-디클로로에탄 35ml에 현탁시킨 다음에 여기에 1,2-디클로로에탄 30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55ml중에 현탁시킨 염화티오닐 3.66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여 이것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1,2-디클로로에탄 100ml에 용해시킨 m-클로로아닐린 2.69g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여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이 슬러리를 교반하면서 4시간 동안 환류가열시켰다.
이것을 냉각한 후에,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타놀로부터 재결정하여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54~155℃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4.3g(수율 77.6%)을 얻었다.
Figure kpo00007
원소분석치 : C11H16N2OCl2
C H N
계산치 (%) : 50.37 6.14 10.67
실측치(%) : 50.20 6.13 10.64
[실시예 3]
δ-아미노발레리안산염산염 3.90g을 1,2-디클로로에탄 40ml에 현탁시킨 다음에 여기에 1,2-디클로로에탄 40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6ml중에 용해시킨 염화티오닐 3.96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것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1,2-디클로로에탄 80ml중에 용해시킨 p-브로모아닐린 3.93g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여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이 슬러리를 3시간 동안 환류가열시켰다.
이것을 냉각한 후에,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타놀로 재결정하여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86~187℃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3.65g(수율 52.3%)을 얻었다.
Figure kpo00008
원소분석치 : C11H16N2OBrCl
C H N
계산치 (%) : 42.98 5.12 9.19
실측치(%) : 42.95 5.24 9.11
[실시예 4]
δ-아미노카프산 1.31g을 1,2-디클로로에탄 20ml에 현탁시키고, 그 다음에 여기에 1,2-디클로로에탄 10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2ml중에 용해시킨 염화티오닐 1.31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에 또 40~45℃에서 1시간 더 진탕시켜 이것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1,2-디클로로에탄 20ml에 용해시킨 p-클로로아닐린 1.27g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맹렬히 교반시켜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이 슬러리를 염화수소 가스의 발생이 정지될때까지 교반하면서 3시간 동안 환류 가열시켰다.
이것을 냉각한 후에,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타놀로 재결정하여 무색 프리즘상 결정으로서 융점 191~192℃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6g(수율 94%)을 얻었다.
Figure kpo00009
원소분석치 : C12H18N2OCl2
C H N
계산치 (%) : 51.99 6.54 10.10
실측치(%) : 51.99 6.75 9.98
[실시예 5]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1.65g을 사용하고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에타놀로생성물을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여 무색 프리즘상 결정으로서 융점 177~178℃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5g(수율 79.5%)를 얻었다.
Figure kpo00010
원소분석치 : C15H23N2O3Cl
C H N
계산치 (%) : 57.22 7.36 8.90
실측치(%) : 57.46 7.40 8.90
[실시예 6]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2-아미노-6-클로로톨투엔 1.42g을 사용하고,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에타놀로 생성물을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여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66~167℃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4g(수율 82.5%)를 얻었다.
Figure kpo00011
원소분석치 : C13H20N2OCl2
C H N
계산치 (%) : 53.61 6.92 9.62
실측치(%) : 53.88 6.99 9.55
[실시예 7]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β-나프틸아민 1.43g을 사용하고 생성물을 물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여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99~200℃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3g(수율 78.8%)를 얻었다.
Figure kpo00012
원소분석치 : C16H21N2OCl
C H N
계산치 (%) : 65.63 7.23 9.57
실측치(%) : 65.19 7.41 9.70
[실시예 8]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m-클로로아닐린 1.27g을 사용하고 이 생성물을 에타놀-에테르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여 무색 침상 무색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12~113℃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1g(수율 80%)을 얻었다.
Figure kpo00013
원소분석치 : C12H18N2OCl2
C H N
계산치 (%) : 51.99 6.54 10.11
실측치(%) : 51.72 6.59 10.14
[실시예 9]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o-클로로아닐린 1.27g을 사용하고 이 생성물을 에타놀-아세톤으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방법을 반복실시하여 무색판상 결정으로서 융점 132~133℃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1.72g(수율 62%)를 얻었다.
Figure kpo00014
원소분석치 : C12H18N2OCl2
C H N
계산치 (%) : 51.99 6.54 10.10
실측치(%) : 52.08 6.66 10.02
[실시예 10]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아닐린 0.93g을 사용하고, 이 생성물을 에타놀-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여 무색판상 결정으로서 융점 175~176℃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25g(수율 92.5%)을 얻는다.
Figure kpo00015
원소분석치 : C12H19N2OCl
C H N
계산치 (%) : 59.37 7.89 11.54
실측치(%) : 59.40 7.92 11.49
[실시예 11]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p-톨투이딘 1.07g을 사용하고 이 생성물을 에타놀-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여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83~184℃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08g(수율 81.2%)을 얻는다.
Figure kpo00016
원소분석치 : C12H21N2OCl
C H N
계산치 (%) : 60.80 8.24 10.91
실측치(%) : 61.05 8.20 10.93
[실시예 12]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2,6-크실리딘 1.21g을 사용하고 이 생성물을 에타놀-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결정하여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49~151℃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1.3g(수율 48%)을 얻었다.
Figure kpo00017
원소분석치 : C14H23N2OCl
C H N
계산치 (%) : 62.09 8.56 10.35
실측치(%) : 61.44 9.21 9.61
[실시예 13]
δ-아미노카프로산 1.31g을 1,2-디클로로에탄 10ml에 현탁시킨 다음에 여기에 1,2-디클로로에탄 10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2ml에 용해시킨 염화티오닐 1.31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40~45℃에서 1시간 진탕시켜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디메틸포름아미드 10ml에 용해시킨 p-아미노아세트아닐라이드 1.5g의 용액과 르리에틸아민 1.2g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1,2-디클로로에탄으로 희석시켰다.
생성되는 침전물을 여과하고 메타놀로부터 재결정하여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239℃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2g(수율 48.8%)을 얻었다.
Figure kpo00018
원소분석치 : C14H22N3O2Cll/2H2O
C H N
계산치 (%) : 54.54 7.36 13.63
실측치(%) : 54.42 7.59 13.54
[실시예 14]
p-아미노아세트아닐라이드 대신에 p-아미노페놀 1.09g을 사용하고 생성물을 에타놀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여 무색 프리즘상 결정으로서 융점 198~201℃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g(수율 77.3%)을 얻었다.
Figure kpo00019
원소분석치 : C12H19N2OCl
C H N
계산치 (%) : 55.70 7.40 10.83
실측치(%) : 55.58 7.55 10.87
[실시예 15]
p-아미노아세트아닐라이드 대신에 p-니트로아닐린 1.38g을 사용하고 생성물을 에타놀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여 담황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229℃(분해)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1.9g(수율 66.3%)을 얻었다.
Figure kpo00020
원소분석치 : C12H18N3O3Cl
C H N
계산치 (%) : 50.09 6.30 14.60
실측치(%) : 50.02 6.40 14.64
[실시예 16]
p-아미노아세트아닐라이드 대신에 p-아니시딘 1.23g을 사용하고 생성물을 n-프로파놀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여 무색 판상결정으로서 융점 167~168℃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g(수율 73.7)을 얻었다.
Figure kpo00021
원소분석치 : C13H21N2O2Cl
C H N
계산치 (%) : 57.24 7.76 10.27
실측치(%) : 57.00 7.81 10.26
[실시예 17]
ζ-아미노에난트산염산염 1.82g을 1,2-디클로로에탄 10ml에 현탁시킨 다음에 여기에 염화티오닐 1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5m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은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여 이것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1,2-디클로로에탄 10ml에 용해시킨 p-클로로아닐린 1.3g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약 30분 동안 맹렬히 교반시킨 다음에 여기에 트리에틸아민 2.9g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2.5시간 동안 교반하여 슬러티를 형성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50배의 물로 재결정시킨 다음에 에타놀로 재결정하여 무색 프리즘상 결정으로서 융점 178~180℃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1.75g(수율 60%)을 얻었다.
Figure kpo00022
(H)
원소분석치 : C13H20N2OCl2
C H N
계산치 (%) : 53.61 6.92 9.63
실측치(%) : 53.56 7.19 9.58
[실시예 18]
θ-아미노펠라르곤산 3.46g을 1,2-다클로에탄 40ml에 현탁시킨 다음에 여기에 염화티오닐 2ml와 디메틸포름 아미드 0.2ml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1,2-디클로로에탄에 용해시킨 p-클로로아닐린 2.6g의 용액 20ml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에 여기에 트리에틸아민 2m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에 환류하에서 30분 동안 가열시켰다.
냉각 후 , 침전물을 여과하고 약 50배의 물에 넣은 뒤 이 혼합물을 비등 수욕상에서 1시간 동안 가열시킨 다음에 농축하고 건조시켰다. 생성되는 잔류물을 에타놀로 재결정하여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89~191℃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3g(수율 47%)을 얻었다.
Figure kpo00023
원소분석치 : C15H24N2OCl2
C H N
계산치 (%) : 56.43 7.58 8.78
실측치(%) : 56.70 7.80 8.79
[실시예 19]
θ-아미노펠라르곤산 3.46g을 1,2-다클로로에탄 40ml에 현탁시키고 여기에 염화티오닐 2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2ml를 첨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투명한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에 β-나프틸아민 2.86g을 첨가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염화수소 가스의 발생이 정지될 때까지 3시간 동안 환류가열시켰다.
이것을 냉각한 후, 침전물을 여과하고 약 50배의 물에 넣은 뒤 이 혼합물을 비등 수욕상에서 30분 동안 가온시킨 다음에 냉각시켰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고 이 생성물을 건조시킨 다음에 에타놀로 재결정하여 무색 무정형 결정으로서 융점 209~211℃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2.65g(수율 39.6%)을 얻었다.
Figure kpo00024
원소분석치 : C19H27N2OCl
C H N
계산치 (%) : 68.14 8.13 8.37
실측치(%) : 68.11 8.29 8.39
[실시예 20]
ζ-아세트아미도에난트산 3.74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0.4ml와 1,2-디클로로에탄 40ml에 용해시킨 염화티오닐 2.62g의 용액에 첨가시켰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여기에 1,2-디클로로에탄 40ml중에 용해시킨 p-클로로아닐린 5.2g의 용액을 첨가하여 이들을 반응시켰다.
용매를 유지하고 잔류물을 2N-HCl, 물 2N-NaOH 및 물의 순서로 세척한 다음 공기 중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에타놀로 재결정시켜 무색 프리즘상 결정으로서 융점 164~165℃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4.9g(수율 87.5%)을 얻었다.
Figure kpo00025
원소분석치 : C15H21N2O2Cl
C H N
계산치 (%) : 60.70 7.13 9.44
실측치(%) : 60.70 7.17 9.47
생성되는 ζ-아세토아미도에난트산 p-클로로아닐라이드를 알칼리 용액 중에서 가수분해시켰다. 용매를 반응혼합물로부터 유거하고, 잔류물을 물로 세척한 다음에 0.5N-HCl 및 에타놀로 연속해서 재결정시켜 무색 프리즘상 결점으로서 융점 178~180℃를 갖는 ζ-아미노에난트산 p-클로로아닐라이드 염산염을 얻었다.
[실시예 21]
1,2-디클로로에탄 20ml 중에 용해시킨 m-클로로아닐린 2.3g과 트리에틸아민 1.55g의 용액을 빙냉하에 맹렬히 교반하고, 여기에 1,2-디클로로에탄에 용해시킨 ε-프탈이미도카프로일 클로라이드 4.2g의 용액 30m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하루밤 방치한 다음에 1,2-디클로로에탄을 유거했다. 잔류물을 물에 현탁시키고 여기에 묽은 염산을 가하여 pH2로 조정했다. 불용성물질을 여과하고 물,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물의 순서로 연속해서 세척한 다음에 공기 중에서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벤젠으로 재결정시켜 무색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59~160℃를 갖는 6-프탈이미도-N-(3-클로로페닐)핵산아미드 4.9g(수율 88.3%)을 얻었다.
이 생성물 1.85g을 에타놀 20ml와 에타놀중의 하이드라진하이드레이트 1M용액 6ml와 혼합시켰다.
이 혼합물을 7시간동안 환류 가열시킨 다음에, 여기에 1N-HCl16ml를 첨가하고 에타놀을 유거했다. 잔류물을 물 10ml와 혼합해서 이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온수 수욕상에서 가열시켰다. 불용성물질을 여과하고, 이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한 다음에 잔류물을 아세톤과 혼합하고 불용성 물질을 여과한 뒤 에타놀-에테르로 재결정하여 무색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12~113℃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0.8g(수율 58%)을 얻었다.
Figure kpo00026
[실시예 22]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p-아니시딘 2.2g을 사용하고 생성물을 에타놀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무색의 미세한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63~164℃를 갖는 6-프탈이미도-N-(4-메톡시페닐)핵산아미드 5.25g(수율 95.5%)을 얻은 다음에, 이 중간물질 1.83g을 처리하고 그 생성물을 n-프로파놀로 재결정하여 무색 판상 결정으로서 융점 167~168℃을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1.05g(수율 74%)을 얻었다.
Figure kpo00027
[실시예 23]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p-니트로아닐린 2.5g을 사용하고 생성물을 에타놀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담황색의 박편상 결정으로서 6-프탈이미도-N-(4-니트로페닐)핵산아미드 3.5g(수율 61.4%)을 얻은 다음에, 이 중간물질 1.91g을 처리하고 그 생성물을 에타놀로 재결정시켜 담황색 침상 결정으로서 다음과 같은 화합물 0.85g(수율 59%)을 얻었다.
Figure kpo00028
[실시예 24]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p-톨루이딘 1.92g을 사용하여 생성물을 에타놀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애 1의 방법으로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56~157℃를 갖는 6-프탈이미도-N-(4-메틸페닐)핵산아미드 4.6g을 얻은 다음에, 이 중간물질 1.75g을 처리하여 생성물을 에타놀-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결정하여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83~184℃을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얻었다.(수율 70%)
Figure kpo00029
[실시예 25]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β-나프틸아민 2.58g을 사용하여 생성물을 에타놀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얘 1의 방법으로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56~157℃를 갖는 6-프탈이미도-N-(2-나프틸)헥산아미드 5.4g(수율 93%)을 얻고, 이 중간물질 1.93g을 처리한 생성물을 물로 재결정시켜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융점 199~200℃을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0.93g(수율 63%)을 얻었다.
Figure kpo00030
[실시예 26]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p-클로로아닐린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프탈이미도유도체 1.85g을 처리하고 생성물을 에타놀-아세톤으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무색 프리즘상 결정으로서 융점 192~193℃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0.74g(수율 53.3%)을 얻었다.
Figure kpo00031
[실시예 27]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O-클로로아닐린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프탈이미도유도체 1.85g을 처리하고, 생성물을 에타놀-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무색 침상형 결정으로서 융점 149~151℃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0.93g(수율 67%)을 얻었다.
Figure kpo00032
[실시예 28]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2,6-키실리덴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프탈이미도 유도체 1.82g을 처리하고 생성물을 에타놀-아세톤으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무색 판상 결정으로서 융점 132~133℃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하물 0.93g(수율 68%)을 얻었다.
Figure kpo00033
[실시예 29]
p-클로로아닐린 대신에 아닐린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프탈이미도유도체 1.68g을 처리하고 생성물을 에타놀-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결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무색 판상 결정으로서 융점 175~176℃를 갖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0.47g(수율 38.6%)을 얻었다.
Figure kpo00034

Claims (1)

  1. 하기 일반식(II)의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5
    -아미노알카노산 또는 그의 관능성 유도체를 하기 일반식(Ⅲ)의 방향족 아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의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아미노알카노산아릴아미드의 제조법.
    R'(CH2)nCONHR (I)
    R'(CH2)nCOOH (II)
    RNH2(Ⅲ)
    상기 식에서,
    R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 알킬, 알콕시, 하이드록실, 아세토아미노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는 아실화 될 수 있는 아미노기를 나타내며,
    n은 4~8의 정수임.
KR7502318A 1975-10-28 1975-10-28 ω-아미노알카노산 아릴아미드의 제조법 KR790000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318A KR790000856B1 (ko) 1975-10-28 1975-10-28 ω-아미노알카노산 아릴아미드의 제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318A KR790000856B1 (ko) 1975-10-28 1975-10-28 ω-아미노알카노산 아릴아미드의 제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0856B1 true KR790000856B1 (ko) 1979-07-27

Family

ID=1920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318A KR790000856B1 (ko) 1975-10-28 1975-10-28 ω-아미노알카노산 아릴아미드의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085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3257B1 (de) Substituierte Amino -5,6,7,8-tetrahydronaphtyl-oxyessigsäur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i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K164545B (da)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sulfonylamino- eller sulfonylaminoalkylphenoxyalkylcarbonsyrederivater eller fysiologisk uskadelige salte deraf
GB2037754A (en) Threo - 3 -protected amino - 2 - hydroxy-4oxobutanoic acids or ester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the preparation of threo - 3 - amino - 2 - hydroxy-butanoylaminoacetic acids
Miller et al. The preparation of some amino sulfonamides
US3637845A (en) Fluoroalkanesulfonamides
Bhat et al. Synthesis of novel thioureido derivatives of sulfonamides and thiosemicarbazido derivatives of coumarin as potential anticonvulsant and analgesic agents
CS217955B2 (en) Method of making the new cis ev.trans 2-aminocyclohexac
Sheehan et al. Peptide syntheses using energy-rich phosphorylated amino acid derivatives
KR20010080385A (ko) N-아릴설포닐 아미노산 오메가 아미드
US4069254A (en) ω-(Arylsulfonamido)-alkylamine
US2524422A (en) Method of preparing organic acids
KR790000856B1 (ko) ω-아미노알카노산 아릴아미드의 제조법
EP1019434B1 (en)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their therapeutic use,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starting compound in their synthesis
US2160413A (en) Polyiodo derivatives of acylamino acids and their salt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Imaki et al. Non-peptidic inhibitors of human neutrophil elastase: The design and synthesis of sulfonanilide-containing inhibitors
PL80293B1 (en) Phenyl esters of t-amcha[us3699149a]
US3734953A (en) Tris-triiodoisophthalamic acids and derivatives
US4125730A (en) Preparation of -aminoalkanoic acid arylamides
EP0462933A1 (en) Novel N-benzyl-N1-phenyl and -phenalkyl-thioureas
JPS5929647A (ja) N−L−α−アスパルチル−L−フエニルアラニンの低級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法及び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中間生成物
US2186773A (en) 2(p-nicotinylaminobenzenesulfon-amide) pyridine and its salts, and process of preparing them
NO127579B (ko)
KR790000857B1 (ko) ω-(아릴슬폰아미도)-알킬아민의 제조법
EP0159396A2 (en) Carboxyalkyl peptide derivatives
CA1047504A (en) N-(2-pyrrolidinyl alkyl) substitutes and derivative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