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47692A - Wiring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Wiring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7692A
KR20240147692A KR1020247031053A KR20247031053A KR20240147692A KR 20240147692 A KR20240147692 A KR 20240147692A KR 1020247031053 A KR1020247031053 A KR 1020247031053A KR 20247031053 A KR20247031053 A KR 20247031053A KR 20240147692 A KR20240147692 A KR 20240147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upport
via hole
forming
layer
insulating co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31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노리 쿠와야마
준 이시이
야스나리 오야부
마사키 카마쿠라
마사유키 호도노
나오시 주로
토모키 아소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14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7692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07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internal conductor planes parallel to the surface for thermal conduction, e.g. power pl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04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 H05K1/0206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by printed thermal vi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5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5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 H05K1/056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the metal substrate being covered by an organic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4Manufacturing insulated metal core circuits or other insulated electrically conductive core circuits
    • H05K3/445Manufacturing insulated metal core circuits or other insulated electrically conductive core circuits having insulated holes or insulated via connections through the metal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Metal Substrates For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재배선 기판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함과 함께 비아 홀을 포함하는 금속 지지체를 포함한다. 금속 지지체의 외표면은 피복층에 의해 덮인다. 피복층을 개재하여 금속 지지체의 상면, 하면 및 비아 홀의 내주면 상에 도체층이 형성된다. 비아 홀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금속 지지체의 단면에서, 비아 홀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윤곽선은 만곡되어 있다. 비아 홀은, 내주면의 윤곽선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따르도록, 형성된다.The rewiring substrate includes a metal support includ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via hole. An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is covered by a covering layer.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of the metal support through the covering layer. In a cross-section of the metal support passing through an opening of the via hole, an outline represent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is curved. The via hole is formed such that the outlin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follows predetermined conditions.

Description

배선 회로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Wiring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배선 회로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circuit boar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전자 기기에서는, 복수의 전자 부품 간에 전기 신호의 수수(授受)를 행하도록 시키기 위해 배선 회로 기판이 이용된다. 배선 회로 기판에는, 반도체 칩 등의 전자 부품이 접속된다. 배선 회로 기판에 접속된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산시키기 위하여, 금속제의 기판을 포함하는 배선 회로 기판이 제안되어 있다.In electronic devices, a wiring circuit board is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electric signals between multiple electronic components.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semiconductor chips are connected to the wiring circuit board. In order to efficient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electronic components connected to the wiring circuit board, a wiring circuit board including a metal substrate has been proposed.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선판(배선 회로 기판)은, 코어 기판을 구비한다. 코어 기판은,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관통 비아를 포함한다. 코어 기판의 상면, 하면 및 관통 비아의 내주면은, 절연층에 의해 덮여 있다. 그 절연층은, 유기산을 이용한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코어 기판의 상면 및 하면 각각의 면 상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배선층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코어 기판의 관통 비아의 내부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도체층이 마련되어 있다.For example, the wiring board (wiring circuit boar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core substrate. The core substrate is formed of a met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and includes a through via. The upper surface, lower surface, and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substrate and the through via are covered with an insulating layer.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by anodizing treatment using an organic acid. A wiring layer is provided on each of the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core substrate with th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a conductor layer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through via of the core substrate with th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층은, 매우 얇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접속되는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배선층 및 도체층으로부터, 절연층을 통하여 코어 기판으로 전달되기 쉽다. 이로 인해, 전자 부품의 방열성이 향상되어 있다.The insulating layer formed by anodic oxidation treatment is very thin.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heat generated from the connected electronic components is easily transferred from the wiring layer and the conductor layer to the core substrate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As a result, the heat dissipa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is improved.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79291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179291

배선 회로 기판에는, 당해 배선 회로 기판에 마련되는 전자 부품의 가일층의 방열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선판에서는, 코어 기판의 상면 및 하면 상에 형성되는 배선층의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면, 배선층으로부터 코어 기판으로의 열의 전달 경로가 확대되어, 방열성이 향상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코어 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접속되는 전자 부품의 복수의 단자의 레이아웃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배선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코어 기판의 상면 및 하면 상에 형성되는 배선층의 영역을 확대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상기의 배선판에는, 절연층과 배선층과의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함으로써,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In a wiring circuit board, further improvement in the heat dissip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provided on the wiring circuit board is required. In the wiring boar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f the area of the wir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re board can be expanded, the heat transfer path from the wiring layer to the core board can be expanded, which can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form a wiring lay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re board according to the layout of a plurality of terminals of electronic components to be connected, etc. Therefore,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area of the wir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re board. In addition, the above wiring board is required to have high reliability by ensuring insulation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wiring layer.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되는 전자 부품의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배선 회로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ly reliable wiring circuit board capable of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of connected electronic componen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1)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은, 전자 부품이 접속되는 배선 회로 기판으로서, 서로 반대를 향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함과 함께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으로 관통하는 비아 홀을 포함하는 금속 지지체와, 금속 지지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음과 함께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도록 형성된 절연 피복층과, 금속 지지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형성됨과 함께, 절연 피복층을 개재하여 비아 홀 내에 형성되는 도체층을 구비하고, 금속 지지체에는, 당해 금속 지지체의 두께 방향인 제1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비아 홀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단면이 정의되며, 단면은, 비아 홀의 내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윤곽선을 포함하고, 윤곽선은, 제1 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점과,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점과, 제1 방향에서의 제1 점과 제2 점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점을 포함하며, 금속 지지체의 비아 홀은, 금속 지지체의 두께(D)와,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의 제1 점과 제3 점과의 사이의 거리(A1)와, 제2 방향에서의 제1 점과 제3 점과의 사이의 거리(A2)가, (A1+A2)/D≥0.25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1) A wiring circuit boar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ing circuit board to which electronic components are connected, comprising: a metal support having first and second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including a via hole penetrating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an insulating coating layer form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nd an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and a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nd formed in the via hole with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 cross-section defined in the metal support that is parallel to a first direction, which is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and passes through an opening of the via hole; the cross-section includes an outline representing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the outline includes a first point located on the first surface, a second point loca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third poin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via hole of the metal support has a thickness (D) of the metal support, The distance (A1)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hird point in the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stance (A2)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hird point in the second direction are formed so as to satisfy the relationship (A1+A2)/D≥0.25.

그 배선 회로 기판에서는, 금속 지지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도체층이 형성된다. 또한, 금속 지지체의 비아 홀 내에 절연 피복층을 개재하여 도체층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상에 전자 부품이 접속되는 경우에, 당해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도체층 및 절연 피복층을 통하여 금속 지지체에 전달된다.In the wiring circuit board, a conductor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metal support. In addition, the conductor layer is formed by interpos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within the via hole of the metal support. Accordingly, when an electronic component is connected on the first side or the second side of the metal support,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 is transmitted to the metal support through the conductor layer and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비아 홀의 내주면의 면적은, 두께(D)와, 거리(A1)와, 거리(A2)가, (A1+A2)/D≥0.25의 관계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커진다. 이로 인해, 제1 면 및 제2 면에서의 도체층의 형성 영역을 과잉하게 확대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도체층에 의해 덮이는 금속 지지체의 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위 시간당 전자 부품과 금속 지지체와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열의 양을 크게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금속 지지체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방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becomes larger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D), the distance (A1), and the distance (A2) do not satisfy the relationship of (A1+A2)/D≥0.25. As a result, the surface area of the metal support covered by the conductor layer can be expanded while suppressing excessive expansion of the formation area of the conductor layer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s a result,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metal support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efficient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 connected to the wiring circuit board through the metal support.

또한, 두께(D)와, 거리(A1)와, 거리(A2)가, (A1+A2)/D≥0.25의 관계를 충족하는 경우에는, 비아 홀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을 향한다. 이로 인해, 윤곽선이 제1 방향에 평행한 경우에 비하여, 비아 홀의 내주면에 대한 절연 피복층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이로 인해,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는 절연 피복층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금속 지지체와 도체층과의 사이의 절연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D), the distance (A1), and the distance (A2) satisfy the relationship of (A1+A2)/D≥0.25,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faces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This makes it easier to form an insulating coating layer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outline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his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cover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Accordingly,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and the conductor layer is secured.

이들의 결과, 접속되는 전자 부품의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배선 회로 기판이 실현된다.As a result, a highly reliable wiring circuit board capable of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of connected electronic components is realized.

(2) 금속 지지체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이어도 된다. 이 경우, 금속 지지체의 두께가 100㎛보다도 큰 경우에 비하여, 금속 지지체에서 받은 열을 당해 배선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다른 전자 부품 등에 효율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지지체의 두께가 10㎛보다도 작은 경우에 비하여, 배선 회로 기판을 구성하는 각 층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지지체의 두께가 10㎛보다도 작은 경우에 비하여, 금속 지지체의 열용량이 부족함으로써 전자 부품과 금속 지지체와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열의 양이 제한되는 것이 방지된다.(2) The thickness of the metal support may be 10 ㎛ or more and 100 ㎛ or less. In this case,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metal support is greater than 100 ㎛, the heat received from the metal support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other electronic components, etc. connected to the wiring circuit board. In addition,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metal support is less than 10 ㎛, the occurrence of warpage in each layer constituting the wiring circuit board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metal support is less than 10 ㎛,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metal support is prevented from being limited due to insufficient heat capacity of the metal support.

(3) 윤곽선은, 복수의 굴곡점을 포함하고, 윤곽선 상에서 연속하여 배열되는 각 3개의 굴곡점을 정점으로 하는 복수의 삼각형이 정의되며, 각 삼각형을 형성하는 3개의 굴곡점 중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2개의 굴곡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저변으로 하여 당해 삼각형의 높이를 산출한 경우에, 산출되는 복수의 삼각형의 복수의 높이 중 가장 큰 높이는, 0.6㎛ 이상이어도 된다.(3) The outline includes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and a plurality of triangles having three inflection points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outline as vertices are defined, and when the height of the triangle is calculated using a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inflection points that are not located in the center among the three inflection points forming each triangle as a base, the largest height among the plurality of heights of the plurality of triangles calculated may be 0.6 µm or more.

이 경우, 비아 홀의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당해 내주면의 표면적을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단위 시간당 비아 홀의 내주면으로부터 금속 지지체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is not formed with unevenness, it becomes possible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inner surface. As a result,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to the metal support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4) 금속 지지체의 열전도율은, 10W/mK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금속 지지체의 열전도율이 10W/mK보다도 작은 경우에 비하여, 단위 시간당 비아 홀의 내주면으로부터 금속 지지체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크게 할 수 있다.(4)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etal support may be 10 W/mK or higher. In this case,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to the metal support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etal support is lower than 10 W/mK.

(5) 금속 지지체의 선팽창률은, 0㎛/K 이상 25㎛/K 이하이어도 된다. 이 경우, 배선 회로 기판의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금속 지지체가 크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배선 회로 기판의 신뢰성이 향상된다.(5)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metal support may be 0 μm/K or more and 25 μm/K or less. In this case, the metal support is prevented from being significantly deformed due to temperature changes in the wiring circuit boar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wiring circuit board is improved.

(6) 절연 피복층은, 금속 지지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금속 지지체는, 금속 지지체에 대한 절연 피복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여도 된다.(6)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metal support, and the metal support may include a component that improves the adhes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o the metal support.

이 경우, 절연 피복층이 금속 지지체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와 도체층과의 사이의 절연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배선 회로 기판의 신뢰성이 향상된다.In this case,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s prevented from peeling off from the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s a result, the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and the conductor layer is secur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wiring circuit board.

(7) 배선 회로 기판은, 금속 지지체와 절연 피복층과의 사이에서 금속 지지체 및 절연 피복층과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금속 지지체에 대한 절연 피복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밀착성 강화층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7) The wiring circuit board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on reinforcing layer formed between the metal support and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o be in contact with the metal support and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and including a component that improves adhes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o the metal support.

이 경우, 절연 피복층이 금속 지지체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와 도체층과의 사이의 절연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배선 회로 기판의 신뢰성이 향상된다.In this case,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s prevented from peeling off from the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s a result, the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and the conductor layer is secur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wiring circuit board.

(8) 밀착성 강화층은, 크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밀착성 강화층에서의 크롬 또는 알루미늄의 함유량은, 50중량% 이하이어도 된다.(8)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contains chromium or aluminum, and the content of chromium or aluminum in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may be 50 wt% or less.

크롬 및 알루미늄은, 산화함으로써 열전도율이 저하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밀착성 강화층에서의 크롬 또는 알루미늄의 함유량이 50중량%보다도 큰 경우에 비하여, 밀착성 강화층이 산화하는 것에 의한 열전도율의 저하가 저감된다.Chromium and aluminum have lower thermal conductivity when oxidized.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ecrease in thermal conductivity due to oxidation of the adhesion-reinforcing layer is reduced compared to when the content of chromium or aluminum in the adhesion-reinforcing layer is greater than 50 wt%.

(9) 도체층은,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전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전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배선 회로 기판을 재배선 기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9) The 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electronic component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and may also be formed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nic component arranged on the second surface. In this case, the wiring circuit board can be used as a rewiring board.

(10)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은, 전자 부품이 접속되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서로 반대를 향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금속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금속판에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으로 관통하는 비아 홀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지지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금속 지지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음과 함께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도록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금속 지지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도체층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절연 피복층을 개재하여 비아 홀 내에 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금속판에 비아 홀을 형성하는 공정은, 제작되게 되는 금속 지지체에, 당해 금속 지지체의 두께 방향인 제1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비아 홀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단면이 정의되며, 단면이, 비아 홀의 내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윤곽선을 포함하고, 윤곽선이, 제1 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점과,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점과, 제1 방향에서의 제1 점과 제2 점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점을 포함하였을 경우에, 금속 지지체의 두께(D)와,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의 제1 점과 제3 점과의 사이의 거리(A1)와, 제2 방향에서의 제1 점과 제3 점과의 사이의 거리(A2)가, (A1+A2)/D≥0.25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금속판에 비아 홀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10)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to which electronic components are connected, comprising: a step of preparing a metal plate including first and second surfaces facing each other; a step of forming a metal support by forming a via hole penetrating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in the metal plate; a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so as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a step of forming a conductor layer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nd a step of forming a conductor layer in the via hole with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via hole in the metal plate is such that a cross-section is defined in the metal support to be manufactured that is parallel to a first direction, which is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and passes through an opening of the via hole, and the cross-section includes an outline representing a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and the outline comprises a first point located on the first surface, a second point located on the second surface, a first poi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 the case where a third point located between the second point is included, a thickness (D) of the metal support, a distance (A1)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hird point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distance (A2)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hird point in the second direction are included to form a via hole in the metal plate so that the relationship of (A1+A2)/D≥0.25 is satisfied.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배선 회로 기판에서는, 금속 지지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도체층이 형성된다. 또한, 금속 지지체의 비아 홀 내에 절연 피복층을 개재하여 도체층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상에 전자 부품이 접속되는 경우에, 당해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도체층 및 절연 피복층을 통하여 금속 지지체에 전달된다.In a wiring circuit board manufactured by his manufacturing method, a conductor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a metal support. In addition, the conductor layer is formed by interpos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within a via hole of the metal support. Accordingly, when an electronic component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or the second side of the metal support,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 is transferred to the metal support through the conductor layer and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비아 홀의 내주면의 면적은, 두께(D)와, 거리(A1)와, 거리(A2)가, (A1+A2)/D≥0.25의 관계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커진다. 이로 인해, 제1 면 및 제2 면에서의 도체층의 형성 영역을 과잉하게 확대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도체층에 의해 덮이는 금속 지지체의 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위 시간당 전자 부품과 금속 지지체와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열의 양을 크게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금속 지지체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방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becomes larger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D), the distance (A1), and the distance (A2) do not satisfy the relationship of (A1+A2)/D≥0.25. As a result, the surface area of the metal support covered by the conductor layer can be expanded while suppressing excessive expansion of the formation area of the conductor layer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s a result,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metal support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efficient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 connected to the wiring circuit board through the metal support.

또한, 두께(D)와, 거리(A1)와, 거리(A2)가, (A1+A2)/D≥0.25의 관계를 충족하는 경우에는, 비아 홀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을 향한다. 이로 인해, 윤곽선이 제1 방향에 평행한 경우에 비하여, 비아 홀의 내주면에 대한 절연 피복층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이로 인해,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는 절연 피복층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금속 지지체와 도체층과의 사이의 절연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D), the distance (A1), and the distance (A2) satisfy the relationship of (A1+A2)/D≥0.25,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faces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This makes it easier to form an insulating coating layer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outline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his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cover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Accordingly,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and the conductor layer is secured.

이들의 결과, 접속되는 전자 부품의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배선 회로 기판이 실현된다.As a result, a highly reliable wiring circuit board capable of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of connected electronic components is realized.

(11) 윤곽선은, 복수의 굴곡점을 포함하고, 윤곽선 상에서 연속하여 배열되는 각 3개의 굴곡점을 정점으로 하는 복수의 삼각형이 정의되며, 금속판에 비아 홀을 형성하는 공정은, 각 삼각형을 형성하는 3개의 굴곡점 중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2개의 굴곡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저변으로 하여 당해 삼각형의 높이를 산출한 경우에, 산출되는 복수의 삼각형의 복수의 높이 중 가장 큰 높이가, 0.6㎛ 이상이 되도록, 금속판에 비아 홀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도 된다.(11) The outline includes a plurality of bend points, and a plurality of triangles having three bend points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outline as vertices are defined, and the process of forming a via hole in the metal plate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via hole in the metal plate such that, when the height of the triangle is calculated using a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bend points that are not located in the center among the three bend points forming each triangle as a base, the largest height among the plurality of heights of the calculated plurality of triangles is 0.6 ㎛ or more.

이 경우, 비아 홀의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당해 내주면의 표면적을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단위 시간당 비아 홀의 내주면으로부터 금속 지지체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is not formed with unevenness, it becomes possible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inner surface. As a result,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to the metal support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12) 금속판에 비아 홀을 형성하는 공정은, 금속판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에칭에 의해 비아 홀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도 된다.(12) The process for forming a via hole in a metal plate may further include forming the via hole by etch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plate.

이 경우, 에칭에 의한 비아 홀의 형성 과정에서, 비아 홀의 내주면이 금속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다. 또한, 비아 홀의 내주면의 표면 상태가 거칠어진다. 이로 인해, 번잡한 처리를 요하지 않고 비아 홀의 내주면에서 보다 넓은 표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case,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a via hole by etching,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plate. In addition,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becomes rough. Due to this, it becomes possible to secure a wider surface are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without requiring complicated processing.

(13)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금속 지지체에 접촉하도록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금속판을 준비하는 공정은, 금속 지지체에 대한 절연 피복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판을 금속판으로서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13) The process of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may include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metal support, and the process of preparing a metal plate may include preparing a metal plate as a metal plate, the metal plate including a component that improves adhes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o the metal support.

이 경우, 절연 피복층이 금속 지지체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와 도체층과의 사이의 절연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배선 회로 기판의 신뢰성이 향상된다.In this case,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s prevented from peeling off from the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s a result, the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and the conductor layer is secur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wiring circuit board.

(14)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은, 절연 피복층의 형성 전에, 금속 지지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음과 함께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도록, 또한 금속 지지체에 접촉하도록 밀착성 강화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밀착성 강화층에 접촉하도록, 밀착성 강화층 상에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밀착성 강화층은, 금속 지지체에 대한 절연 피복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여도 된다.(14)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further includes a step of forming an adhesion reinforcing layer so as to cover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via hole and to contact the metal support, whil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f a metal support before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and the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includes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on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so as to contact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and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may include a component that improves adhes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o the metal support.

이 경우, 절연 피복층이 금속 지지체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와 도체층과의 사이의 절연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배선 회로 기판의 신뢰성이 향상된다.In this case,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s prevented from peeling off from the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s a result, the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and the conductor layer is secur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wiring circuit board.

(15)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금속 지지체의 제1 면, 금속 지지체의 제2 면 및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음과 함께, 비아 홀의 내부 공간을 메우도록, 임시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과, 비아 홀 내에 형성된 임시 절연 피복층의 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15) The process of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may include forming a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so as to cover the first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and to fill the inner space of the via hole, and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a portion of the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formed within the via hole.

이 경우, 비아 홀의 내부에 임시 절연 피복층이 매립되기 때문에, 비아 홀의 내주면의 표면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성이 높은 절연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a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is embedded inside the via hole, a highly reliable insulating coating layer can be form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16)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비아 홀을 막지 않고 금속 지지체의 외표면 상에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16) The process of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may include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without blocking a via hole.

이 경우, 비아 홀의 내주면에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아 홀의 내부에 절연 피복층에 대응하는 절연 재료를 매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절연 피복층의 형성에 요하는 시간이 저감된다.In this case, in order to form an insulating coating lay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there is no need to embed an insulat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nside the via hole.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forming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s reduced.

(17)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비아 홀이 형성되기 전의 금속판의 제1 면을 덮도록 제1 임시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과, 금속 지지체의 형성 후, 금속 지지체의 제2 면 및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음과 함께, 비아 홀의 내부 공간을 메우도록 제2 임시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과, 비아 홀 내에 형성된 제2 임시 절연 피복층의 부분, 및 제1 방향에서 비아 홀에 겹쳐지는 제1 임시 절연 피복층의 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17) The process for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may include forming a first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to cover a first surface of a metal plate before a via hole is formed, forming a second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to cover a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after the formation of the metal support, and fill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via hole, and forming a through hole in a portion of the second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formed within the via hole and a portion of the first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overlapping the via hole in the first direction, thereby forming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이 경우, 제1 임시 절연 피복층의 형성 시, 및 제2 임시 절연 피복층의 형성 시에, 형성 대상이 되는 금속판 또는 금속 지지체를 포함하는 대상물에, 관통공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대상물에 관통공이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임시 절연 피복층의 형성, 및 제2 임시 절연 피복층의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비아 홀의 내부에 제2 임시 절연 피복층이 매립되기 때문에, 비아 홀의 내주면의 표면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성이 높은 절연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forming the first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and when forming the second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there is no through hole in the target object including the metal plate or metal support to be formed. Therefore, compared to a case where there is a through hole in the target object, the formation of the first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and the formation of the second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are easy.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is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via hole, a highly reliable insulating coating layer can be form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a hole.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전자 부품의 방열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배선 회로 기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nnected to a wiring circuit board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wiring circuit bo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선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모식적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금속 지지체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금속 지지체의 B-B선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금속 지지체에서의 비아 홀의 윤곽선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금속 지지체에서의 비아 홀의 윤곽선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금속 지지체에서의 비아 홀의 윤곽선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금속 지지체에서의 비아 홀의 내주면의 바람직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재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9는 금속 지지체에 대한 피복층의 제1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0은 금속 지지체에 대한 피복층의 제3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1은 금속 지지체에 대한 피복층의 제3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2는 금속 지지체에 대한 피복층의 제3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3은 금속 지지체에 대한 피복층의 제4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4는 금속 지지체에 대한 피복층의 제4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5는 금속 지지체에 대한 피복층의 제4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6은 금속 지지체에 대한 피복층의 제4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7은 금속 지지체에 대한 피복층의 제4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8은 밀착성 강화층을 구비하는 재배선 기판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wiring subst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rewiring substrate of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rewiring substrate of Figure 1.
Figure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metal support of Figure 1.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BB line cross-section of the metal support of Fig.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utline of a via hole in a metal support.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utline of a via hole in a metal support.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utline of a via hole in a metal support.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sirabl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a via hole in a metal support.
Fig.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wiring substrate of Fig. 1.
Fig.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wiring substrate of Fig. 1.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wiring substrate of Fig. 1.
Fig.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wiring substrate of Fig. 1.
Fig.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wiring substrate of Fig. 1.
Fig.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wiring substrate of Fig. 1.
Fig.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wiring substrate of Fig. 1.
Fig. 1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wiring substrate of Fig. 1.
Fig. 1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wiring substrate of Fig. 1.
Figure 1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rst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for a metal support.
Figure 2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for a metal support.
Figure 2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for a metal support.
Fig. 2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third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for a metal support.
Figure 2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urth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for a metal support.
Figure 2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for a metal support.
Figure 2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for a metal support.
Figure 2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urth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for a metal support.
Figure 2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for a metal support.
Figure 2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wiring substrate having an adhesion reinforcing layer.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회로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배선 회로 기판의 일례로서, 재배선 기판을 설명한다. 재배선 기판은, 예컨대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부품과 리지드 프린트 배선 회로 기판(이하, 리지드 기판이라고 약기함) 등의 다른 배선 회로 기판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전자 부품의 미세 패턴과 다른 배선 회로 기판의 조면화 패턴과의 피치를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재배선 기판은, 인터포저 기판이라고도 불린다.Hereinafter, a wiring circuit boar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an example of the wiring circuit board, a rewiring board will be described. The rewiring board is arranged between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semiconductor element and another wiring circuit board such as a rigid printed wiring circuit board (hereinafter, abbreviated as a rigid board), and serves to convert the pitch between the fine patter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rough pattern of the other wiring circuit board. The rewiring board is also called an interposer board.

1. 재배선 기판의 기본 구성1. Basic configuration of the rewiring bo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선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재배선 기판(100)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재배선 기판(100)의 모식적 저면도이다. 도 1은, 도 2 및 도 3의 A-A선 단면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배선 기판(100)은, 주로 금속 지지체(10), 절연층(20, 30) 및 도체층(50)으로 구성되며, 60㎛ 이상 500㎛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재배선 기판(100)은, 반도체 소자(700)와 리지드 기판(800)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반도체 소자(700)는 복수의 전극 패드(71)를 포함하고, 리지드 기판(800)은 복수의 전극 패드(81)를 포함한다. 도 1∼도 3에서는, 반도체 소자(700)가 1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지고, 리지드 기판(800)이 2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진다.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wiring subst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of FIG. 1. FIG. 1 shows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S. 2 and 3. As shown in FIG. 1, the rewiring substrate (100) is mainly composed of a metal support (10), an insulating layer (20, 30), and a conductor layer (50), and has a thickness of 60 µm or more and 500 µm or less. In addition, the rewiring substrate (100) is arranged between a semiconductor element (700) and a rigid substrate (800).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71), and the rigid substrate (80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81). In FIGS. 1 to 3, a semiconductor element (700) is represented by a single-dotted chain line, and a rigid substrate (800) is represented by a double-dotted chain line.

도 1의 재배선 기판(100)에서는, 금속 지지체(10)는, 예컨대, 구리, 알루미늄, 철, 니켈, 크롬, 티탄 및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혹은 복수 종의 원소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합금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 지지체(10)는, 스테인리스에 의해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금속 지지체(10) 중 반도체 소자(700)를 향하는 면(도 1에서 위쪽을 향하는 면)을 상면(10a)이라 부르고, 금속 지지체(10) 중 리지드 기판(800)을 향하는 면(도 1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면)을 하면(10b)이라고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면(10a) 및 하면(10b)은, 서로 평행하고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며 또한 평탄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이 향하는 방향을 재배선 기판(100)의 위쪽으로 하고,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이 향하는 방향을 재배선 기판(100)의 아래쪽으로 한다.In the rewiring substrate (100) of Fig. 1, the metal support (10) is formed by a metal or alloy including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copper, aluminum, iron, nickel, chromium, titanium, and molybdenu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tal support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by stainless steel. The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fac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the surface facing upward in Fig. 1) is called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facing the rigid substrate (800) (the surface facing downward in Fig. 1) is called the lower surface (10b).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lower surface (1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parallel to each other, orthogona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and flat.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faces is set to be the upper side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faces is set to be the lower side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지지체(10)로서는, 42 합금 또는 인버 합금 등이 이용되어도 된다. 금속 지지체(10)에 인버 합금이 이용되는 경우, 인버 합금 중의 니켈(Ni) 조성의 변화에 대응하여, 금속 지지체(10)의 선팽창 계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재배선 기판(100)을 구성하는 각 층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ithout being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 42 alloy or an Inver alloy may be used as the metal support (10). When an Inver alloy is used as the metal support (10), it becomes possible to adjust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of the metal support (10)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nickel (Ni) composition in the Inver alloy.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warping in each layer constituting the rewiring substrate (100).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금속 지지체(10)는, 절연층(20, 30)의 열전도율에 대하여 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10W/mK 이상 400W/mK 이하의 열전도율을 갖는다. 또한, 금속 지지체(10)는, 10㎛ 이상 10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6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상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25℃ 내지 200℃에서의 선팽창 계수는, 0㎛/K 이상 25㎛/K 이하이다.The metal suppor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has a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insulating layer (20, 30), for example, has a thermal conductivity of 10 W/mK or more and 400 W/mK or less. In addition, the metal support (1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0 µm or more and 10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5 µm or more and 60 µ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5 µm or more and 30 µm or less. In addition, the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metal support (10) at 25°C to 200°C is 0 µm/K or more and 25 µm/K or less.

또한, 금속 지지체(10)에는, 복수의 비아 홀(19)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 지지체(10)의 외표면에는, 피복층(11)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지지체(10)에서는, 상면(10a), 하면(10b) 및 각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전체를 덮도록, 피복층(11)이 형성되어 있다. 피복층(11)은, 예컨대 감광성 폴리이미드에 의해 형성되고, 1㎛ 이상 15㎛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피복층(11)은, 아크릴 수지, 폴리에테르니트릴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의 다른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피복층(11)의 재료로서는, 상기의 수지 대신에, 무기 절연 재료 또는 유기 절연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복층(11)의 재료로서는, 탄화규소, 이산화규소, 질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알루미늄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탄화규소, 이산화규소, 질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알루미늄 등의 무기 절연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복층(1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스퍼터링이나 화학 기상 성장법 등의 성막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피복층(11)의 재료로서 스퍼터링 또는 화학 기상 성장법 등의 성막 기술을 적용 가능한 재료를 선택하는 경우, 피복층(11)의 두께는,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이용하는 경우의 두께(1㎛ 이상 10㎛ 이하)에 비하여 더 작게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ia holes (19) are formed in the metal support (10). A covering layer (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More specifically, the covering layer (11)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10a), the lower surface (10b)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each via hole (19) in the metal support (10). The covering layer (11) is formed of, for example, photosensitive polyimide and has a thickness of 1 µm or more and 15 µm or less. In addition, the covering layer (11) may be formed of another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polyethernitrile resin, a polyethersulfone resin, an epoxy resi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 polyethylene naphthalate resin or a polyvinyl chloride resin. In addition, instead of the above resin,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covering layer (11). Specifically, as the material of the covering layer (11), silicon carbide, silicon dioxide, aluminum nitride, aluminum oxide, or the like can be used. When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carbide, silicon dioxide, aluminum nitride, or aluminum oxide is used, the covering layer (11) can be formed using a film forming technique such as sputtering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as described later. When a material to which a film forming technique such as sputtering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can be applied is selected as the material of the covering layer (11), the thickness of the covering layer (11)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thickness (1 µm or more and 10 µm or less) when using photosensitive polyimide.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는, 소정 패턴을 갖는 제1 절연층(21) 및 제2 절연층(22)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제1 절연층(21) 및 제2 절연층(22)에 의해 절연층(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는, 소정 패턴을 갖는 제3 절연층(31) 및 제4 절연층(32)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제3 절연층(31) 및 제4 절연층(32)에 의해 절연층(30)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a first insulating layer (21)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22)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are laminated in this order. An insulating layer (20) is formed by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2). In addition,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 third insulating layer (31) and a fourth insulating layer (32)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are laminated in this order. An insulating layer (30) is formed by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and the fourth insulating layer (32).

절연층(20, 30)은, 예컨대, 감광성 폴리이미드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절연층(20, 30)은, 아크릴 수지, 폴리에테르니트릴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의 다른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The insulating layer (20, 30) is formed by, for example, photosensitive polyimide. Additionally, the insulating layer (20, 30) may be formed by another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polyethernitrile resin, a polyethersulfone resin, an epoxy resi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 polyethylene naphthalate resin, or a polyvinyl chloride resin.

금속 지지체(10)의 각 비아 홀(19) 내에는, 피복층(11)을 개재하여 비아 도체(41)가 마련되어 있다.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는, 제1 절연층(21)에 더하여 제1 도체층(5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는, 제1 절연층(21)의 비형성 영역(제1 절연층(21)의 패턴과는 역패턴의 영역)에, 피복층(11)을 개재하여 제1 도체층(5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체층(51)의 일부는, 비아 도체(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절연층(21) 및 제1 도체층(51) 상에는, 제2 절연층(22)의 비형성 영역(제2 절연층(22)의 패턴과는 역패턴의 영역)에, 제2 도체층(5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체층(52)의 일부는, 제1 도체층(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도체층(52)에는, 제2 절연층(22)의 비형성 영역에서 위쪽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단자부(T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부(T1)에는, 반도체 소자(700)의 복수의 전극 패드(71)가 땜납(S)을 거쳐 접속된다. 따라서, 복수의 단자부(T1)의 수 및 배치는, 반도체 소자(700)의 복수의 전극 패드(71)의 수 및 배치에 대응하도록 정해져 있다.Within each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a via conductor (41) is provided with a covering layer (11) therebetween.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in addition 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a first conductive layer (51) is formed. Specifically,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the first conductive layer (51) is formed in a non-formed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a region having a pattern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with the covering layer (11) therebetween.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a conductor (41). In addition,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51), a second conductive layer (52) is formed in a non-formed reg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2) (a region having a pattern opposite to that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2)). A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5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51). 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52), a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1) are formed that are exposed upward in the non-formed reg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2).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71)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are connected to these terminal portions (T1) via solder (S). Therefore,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1) ar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71)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는, 제3 절연층(31)에 더하여 제3 도체층(6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는, 제3 절연층(31)의 비형성 영역(제3 절연층(31)의 패턴과는 역패턴의 영역)에, 피복층(11)을 개재하여 제3 도체층(61)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도체층(61)의 일부는 비아 도체(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3 절연층(31) 및 제3 도체층(61) 상에는, 제4 절연층(32)의 비형성 영역(제4 절연층(32)의 패턴과는 역패턴의 영역)에, 제4 도체층(62)이 형성되어 있다. 제4 도체층(62)의 일부는, 제3 도체층(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4 도체층(62)에는, 제4 절연층(32)의 비형성 영역에서 아래쪽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단자부(T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부(T2)에는, 리지드 기판(800)의 복수의 전극 패드(81)가 땜납(S)을 통하여 접속된다. 따라서, 복수의 단자부(T2)의 수 및 배치는, 리지드 기판(800)의 복수의 전극 패드(81)의 수 및 배치에 대응하도록 정해져 있다.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in addition to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a third conductive layer (61) is formed. Specifically,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 third conductive layer (61) is formed in a non-formed region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a region having a pattern opposite to that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with a covering layer (11) interposed therebetween. A part of the third conductive layer (6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a conductor (41). In addition, on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and the third conductive layer (61), a fourth conductive layer (62) is formed in a non-formed region of the fourth insulating layer (32) (a region having a pattern opposite to that of the fourth insulating layer (32). A portion of the fourth conductive layer (6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ductive layer (61). A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2) are formed in the fourth conductive layer (62) and are exposed downward in the non-formed region of the fourth insulating layer (32).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81) of the rigid substrate (800) are connected to these terminal portions (T2) via solder (S). Therefore,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2) ar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81) of the rigid substrate (800).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아 도체(41), 제1 도체층(51), 제2 도체층(52), 제3 도체층(61) 및 제4 도체층(62)에 의해, 도체층(50)이 형성된다. 도체층(50)은, 구리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도체층(50)은 구리, 금, 은, 백금, 납, 주석, 니켈, 코발트, 인듐, 로듐, 크롬, 텅스텐 및 루테늄 등 중 1종 또는 복수 종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합금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ductor layer (50) is formed by a via conductor (41), a first conductor layer (51), a second conductor layer (52), a third conductor layer (61), and a fourth conductor layer (62). The conductor layer (50) is formed by copper. In addition, the conductor layer (50) may be formed by a metal or alloy including one or more types of copper, gold, silver, platinum, lead, tin, nickel, cobalt, indium, rhodium, chromium, tungsten, and ruthenium.

또한, 상기의 복수의 단자부(T1, T2) 각각은, 니켈막 및 금 도금막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상세하게는, 각 단자부(T1)는, 제2 도체층(52)의 상단부의 표면 상에 니켈막 및 금 도금막이 이 순서대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각 단자부(T2)는, 제4 도체층(62)의 하단부의 표면 상에 니켈막 및 금 도금막이 이 순서대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각 단자부(T1, T2)는, 니켈 막을 포함하지 않고, 금 도금막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1, T2) has a laminated structure of a nickel film and a gold plating film. Specifically, each terminal portion (T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nickel film and a gold plating film are formed in this order on the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or layer (52). In addition, each terminal portion (T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nickel film and a gold plating film are formed in this order on the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conductor layer (62). In addition, each terminal portion (T1, T2) may be formed only of a gold plating film without including a nickel film.

상기의 재배선 기판(100)에서는, 재배선 기판(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부(T1) 각각이, 도체층(50)을 통하여 재배선 기판(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부(T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재배선 기판(100)의 복수의 단자부(T1)에 반도체 소자(700)의 복수의 전극 패드(71)가 각각 접속되고, 재배선 기판(100)의 복수의 단자부(T2)에 리지드 기판(800)의 복수의 전극 패드(81)가 각각 접속된다. 이로 인해, 반도체 소자(700)의 복수의 전극 패드(71)와 리지드 기판(800)의 복수의 전극 패드(81)가, 재배선 기판(100)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In the above-described rewiring substrate (100), each of a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a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via the conductor layer (50).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71) of a semiconductor element (70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1)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81) of a rigid substrate (80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2)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71)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81) of the rigid substrate (8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via the rewiring substrate (100).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배선 기판(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자부(T1)의 수와, 재배선 기판(100)의 하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자부(T2)의 수는 일치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재배선 기판(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자부(T1)의 수와, 재배선 기판(100)의 하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자부(T2)의 수는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nd FIG.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1)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2)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are the sam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1)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2)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do not have to be the same.

2. 반도체 소자(700)의 방열성2. Heat dissipation of semiconductor device (700)

도체층(50) 및 금속 지지체(10)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체층(50) 및 금속 지지체(10)는, 기본적으로 절연층(20, 30) 등을 구성하는 수지에 비하여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다. 또한, 금속 지지체(10)는, 평면에서 보아 재배선 기판(100) 전체에 걸쳐 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7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금속 지지체(10)에 전달시킬 수 있으면, 반도체 소자(700)의 방열 효율이 향상된다.The conductor layer (50) and the metal support (10) are composed of metal. Therefore, the conductor layer (50) and the metal support (10) basically have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resin constituting the insulating layer (20, 30), etc. In addition, the metal support (10) is formed so as to spread over the entire rewiring substrate (100)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refore, if the heat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metal support (10),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is improved.

재배선 기판(100)에서는, 반도체 소자(7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일부는, 복수의 단자부(T1)를 통하여 도체층(50)에 전달된다. 따라서, 도체층(50)에 전달된 열을 효율적으로 금속 지지체(10)에 전달시키기 위하여서는, 금속 지지체(10)의 외표면 상에서 피복층(11)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도체층(50)의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wiring substrate (100), a portion of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is transferred to the conductor layer (50) through a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1).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fer the heat transferred to the conductor layer (50) to the metal support (10), it is desirable to expand the area of the conductor layer (50) formed by interposing a covering layer (1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이 경우,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에서의 제1 도체층(51)의 형성 영역을 확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에서는, 반도체 소자(700)의 복수의 전극 패드(71)와 리지드 기판(800)의 복수의 전극 패드(81)와의 사이에서 적절한 전기적 접속을 실현하기 위한 배선 레이아웃 등이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에서의 도체층(50)의 형성 영역을 확대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선 기판(100)에서는, 금속 지지체(10)에서의 각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형성된다.In this case, it is conceivable to expand the formation area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However,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a wiring layout, etc. for realizing appropriat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71)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81) of the rigid substrate (800) is determined in advance. Therefore,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formation area of the conductor layer (50)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Therefore, in the rewiring substr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each via hole (19) in the metal support (10) is formed as described below.

3. 금속 지지체(10)에서의 각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형상3. Shape of the inner surface (10c) of each via hole (19) in the metal support (10)

도 4는, 도 1의 금속 지지체(10)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금속 지지체(10)의 B-B선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의 단면은, 금속 지지체(10)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하나의 비아 홀(19)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단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 및 후술하는 도 6∼도 9의 금속 지지체(10)의 두께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고 부른다. 또한, 도 5 및 후술하는 도 6∼도 9의 금속 지지체(10)의 단면에서 제1 방향(d1)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고 부른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방향(d1)은, 금속 지지체(10)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상면(10a)으로부터 하면(10b)을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제2 방향(d2)은, 금속 지지체(10)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비아 홀(19)의 바깥쪽으로부터 비아 홀(19)의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이다.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the metal support (10) of Fig. 1.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B-B line cross-s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of Fig. 4. The cross-section of Fig. 5 is a cross-section that is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and passes through an opening of one via hole (19).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of Fig. 5 and Figs. 6 to 9 described below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d1). In additio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d1) in the cross-s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of Fig. 5 and Figs. 6 to 9 described below is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d2). More specifically, the first direction (d1) is a direction that is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and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10a) to the lower surface (10b). Additionally, the second direction (d2) is orthogona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and is a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via hole (19) to the inside of the via hole (19).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금속 지지체(10)에서는, 비아 홀(19)의 상단에서의 개구부의 면적에 대하여 비아 홀(19)의 하단에서의 개구부의 면적이 작다. 따라서,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으로부터 하면(10b)에 걸쳐서 제1 방향(d1) 그리고 제2 방향(d2)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As shown in Fig. 4, in the metal support (10) of the present example, the area of the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via hole (19)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at the top of the via hole (19). Therefor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s inclined from the upper surface (10a) to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so as to face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도 5의 단면도에서는,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일부를 나타내는 윤곽선(OL)이 완만하게 오목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도 5 및 후술하는 도 6∼도 8의 단면도에서는, 윤곽선(OL)은, 약 0.1㎛의 요철을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거시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윤곽선(OL)이 만곡되어 있는 것에는, 윤곽선(OL)의 일부가 꺾은 선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도 포함된다.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an outline line (OL) indicating a part of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s gently curved to be concave. In the cross-sectional views of Fig. 5 and Figs. 6 to 8 described later, the outline line (OL) is macroscopically shown to the extent that an unevenness of about 0.1 μm cannot be discern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ct that the outline line (OL) is curved also includes a case where a part of the outline line (OL) is bent in a broken line shape.

여기에서, 윤곽선(OL) 상에, 제1 점(P1), 제2 점(P2) 및 제3 점(P3)을 정의한다. 제1 점(P1)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서 윤곽선(OL)의 일단부에 위치한다. 제2 점(P2)은,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서 윤곽선(OL)의 타단부에 위치한다. 제3 점(P3)은, 윤곽선(OL) 중, 제1 점(P1)과 제2 점(P2)을 연결하는 직선(SL)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제3 점(P3)은, 제2 방향(d2)에서의 제1 점(P1)과 제2 점(P2)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금속 지지체(10)의 비아 홀(19)은, 'A1'을 제2 방향(d2)에서의 제1 점(P1)과 제3 점(P3)과의 사이의 거리로 하고, 'A2'를 제2 방향(d2)에서의 제2 점(P2)과 제3 점(P3)과의 사이의 거리로 하며, 'D'를 금속 지지체(10)의 두께로 한 경우에, 윤곽선(OL)이 하기 식 (1)을 충족하도록 형성된다.Here, a first point (P1), a second point (P2), and a third point (P3) are defined on the outline (OL). The first point (P1)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outline (OL)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The second point (P2) is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outline (OL)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The third point (P3) is located at a portion of the outline (OL) that is furthest from the straight line (SL) connecting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In addition, the third point (P3)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in the second direction (d2). In this case, the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is formed so that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1), when 'A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P1) and the third point (P3) in the second direction (d2), 'A2'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int (P2) and the third point (P3)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metal support (10).

(A1+A2)/D≥0.25…(1)(A1+A2)/D≥0.25… (1)

상기와 같이, 윤곽선(OL)은, 만곡되어 있다. 이 경우,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면적은, 윤곽선(OL)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커진다. 또한, 윤곽선(OL)이 상기 식 (1)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윤곽선(OL)이 상기 식 (1)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내주면(10c)의 면적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내주면(10c)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방향(d1)에 대하여 경사진다. 이로 인해, 예컨대 내주면(10c) 상에 피복층(11)을 형성할 때에, 내주면(10c)에 대한 피복층(11)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예컨대, 스퍼터링에 의해 내주면(10c) 상에 피복층(11)을 형성하는 경우, 윤곽선(OL)이 상기 식 (1)의 관계를 충족하고 있으면, 내주면(10c)의 적어도 일부가, 대각선 위쪽 또는 대각선 아래쪽을 향한다. 이로 인해, 윤곽선(OL)이 제1 방향(d1)에 평행한 경우에 비하여 피복층(11)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이로 인해, 내주면(10c)을 덮는 피복층(11)의 신뢰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utline (OL) is curved.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becomes larger than in the case where the outline (OL)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above formula (1), the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can be made sufficiently larger than in the case where the outline (OL) does not satisfy the above formula (1). In addition, in this case,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1). Due to this, for example, when forming a covering layer (11)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the formation of the covering layer (11)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becomes easy. For example, when forming a covering layer (11) on the inner surface (10c) by sputtering, if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formula (1),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10c) faces diagonally upward or diagonally downward. This makes it easier to form the covering layer (11)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outline (OL)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1). This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covering layer (11) covering the inner surface (10c).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비아 홀(19)은, 상기의 윤곽선(OL)이 하기 식 (2)를 충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is formed so that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2).

(A1+A2)/D≥0.30…(2)(A1+A2)/D≥0.30… (2)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비아 홀(19)은, 상기 윤곽선(OL)이 하기 식 (3)을 충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is formed so that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3).

(A1+A2)/D≥0.35…(3)(A1+A2)/D≥0.35… (3)

윤곽선(OL)이 상기 식 (1)을 충족하는 경우, 윤곽선(OL)은, 추가로 하기 식 (4)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above formula (1),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ine (OL) additionally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4).

(A1+A2)/D≤0.4…(4)(A1+A2)/D≤0.4… (4)

윤곽선(OL)이 상기 식 (4)를 충족하는 경우에는,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일부가 과잉하게 얇아지는 것에 의한 비아 홀(19)의 변형 또는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아 홀(19)이 과잉하게 커짐으로써 배선 레이아웃 등의 설계의 자유도가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When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above formula (4),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via hole (19) due to excessive thinning of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of wiring layout, etc. is suppressed from being reduced due to excessive enlargement of the via hole (19).

도 5의 단면도에서는, 윤곽선(OL)은 완만하게 오목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지지체(10)의 비아 홀(19)은, 윤곽선(OL)이 이하에 나타내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된다.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the outline (OL) is curved so as to be gently concave.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example, the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may be formed so that the outline (OL) has a shape as shown below.

도 6은, 금속 지지체(10)에서의 비아 홀(19)의 윤곽선(OL)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는, 금속 지지체(10)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이 나타내어진다. 그 단면은, 도 5의 단면에 상당하고, 금속 지지체(10)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비아 홀(19)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단면이다. 도 6의 예에서는, 윤곽선(OL)은, 비교적 크게 오목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점(P3)이, 제2 방향(d2)에서의 제1 점(P1)과 제2 점(P2)과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윤곽선(OL)이 상기의 식 (1)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도 5의 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utline (OL) of a via hole (19) in a metal support (10). Fig. 6 shows a cross-section showing a part of the metal support (10). The cross-section corresponds to the cross-section of Fig. 5, is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and is a cross-section pass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via hole (19). In the example of Fig. 6, the outline (OL) is curved to be relatively largely concave. Therefore, the third point (P3) is no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in the second direction (d2). Even in such a case, if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above formula (1),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example of Fig. 5.

도 7은, 금속 지지체(10)에서의 비아 홀(19)의 윤곽선(OL)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에는, 금속 지지체(10)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이 나타내어진다. 그 단면은, 도 5의 단면에 상당하고, 금속 지지체(10)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비아 홀(19)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단면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윤곽선(OL)은, 비아 홀(19)의 안쪽을 향하여 완만하게 팽창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한, 그 윤곽선(OL)에서는, 제3 점(P3)이, 제2 방향(d2)에서의 제1 점(P1)과 제2 점(P2)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윤곽선(OL)이 상기의 식 (1)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도 5의 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utline (OL) of a via hole (19) in a metal support (10). Fig. 7 shows a cross-section showing a part of the metal support (10). The cross-section corresponds to the cross-section of Fig. 5, is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and is a cross-section pass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via hole (19). In the example of Fig. 7, the outline (OL) is curved so as to gently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via hole (19). In addition, in the outline (OL), the third point (P3)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in the second direction (d2). Even in such a case, if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above formula (1),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example of Fig. 5.

도 8은, 금속 지지체(10)에서의 비아 홀(19)의 윤곽선(OL)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에는, 금속 지지체(10)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이 나타내어진다. 그 단면은, 도 5의 단면에 상당하고, 금속 지지체(10)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비아 홀(19)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단면이다. 도 8의 예에서는, 윤곽선(OL)은, 비아 홀(19)의 안쪽을 향하여 비교적 크게 팽창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한, 그 윤곽선(OL)에서는, 제3 점(P3)이, 제2 방향(d2)에서의 제1 점(P1)과 제2 점(P2)과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윤곽선(OL)이 상기의 식 (1)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도 5의 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utline (OL) of a via hole (19) in a metal support (10). Fig. 8 shows a cross-section showing a part of the metal support (10). The cross-section corresponds to the cross-section of Fig. 5, is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and is a cross-section pass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via hole (19). In the example of Fig. 8, the outline (OL) is curved so as to expand relatively greatly toward the inside of the via hole (19). In addition, in the outline (OL), the third point (P3) is no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in the second direction (d2). Even in such a case, if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above formula (1),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example of Fig. 5.

4. 금속 지지체(10)에서의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바람직한 형상4. Desirable shape of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n the metal support (10)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바람직한 형상은, 상기의 윤곽선(OL) 상에 복수의 굴곡점을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굴곡점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9는, 금속 지지체(10)에서의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바람직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에서는, 금속 지지체(10)의 4개의 단면도가 위에서 아래로 배열되듯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9의 복수의 단면도는, 도 5의 윤곽선(OL)의 공통 부분을 확대한 금속 지지체(10)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의 각 단면도에서는, 윤곽선(OL)은 약 0.1㎛의 요철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미시적으로 나타낸다.The desirable shap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can be explained by using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by setting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on the above outline line (OL).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sirable shap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n the metal support (10). In Fig. 9, four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etal support (10) are shown arranged from top to bottom. The plurality of cross-sectional views of Fig. 9 are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etal support (10) that enlarge the common portion of the outline line (OL) of Fig. 5. In each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the outline line (OL) is microscopically shown to a degree that an unevenness of about 0.1 ㎛ can be identified.

도 9의 위에서부터 1단째의 단면도에서 복수의 삼각 표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윤곽선(OL) 상에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상점을 설정한다. 그리고, 도 9의 위에서부터 2단째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각 2개의 가상점을 통과하는 2개의 접선의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 때의 당해 2개의 가상점의 사이의 위치(예컨대, 중간 위치)에 굴곡점(CP)을 설정힌다. 즉, 윤곽선(OL)에서, 기울기가 크게 변화하는 부분 또는 그 근방 부분에 굴곡점(CP)을 설정한다.As indicated by a plurality of triangle marks in the first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top of Fig. 9, a plurality of virtual points arranged at approximately equal intervals on an outline (OL) are set, for example. Then, as indicated in the second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top of Fig. 9, an inflection point (CP) is set at a position (e.g., a middle position) between two virtual points when the slopes of two tangent lines passing through each of two adjacent virtual points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an inflection point (CP) is set at a portion of the outline (OL) where the slope changes significantly or a portion near the portion.

그 후, 윤곽선(OL) 상에 복수의 굴곡점(CP)이 설정된 상태에서, 도 9의 위에서부터 3단째 및 4단째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곽선(OL) 상에서 연속하여 배열되는 각 3개의 굴곡점(CP)을 정점으로 하는 복수의 삼각형을 정의한다.Thereafter, with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CP) set on the outline (OL),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third and fourth stages from the top of Fig. 9, a plurality of triangles are defined with three bending points (CP)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outline (OL) as vertices.

또한, 각 삼각형의 높이(h)를 산출한다. 이 때, 각 삼각형의 높이는, 3개의 굴곡점(CP) 중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2개의 굴곡점(CP)을 연결하는 직선을 저변으로 하여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되는 복수의 삼각형의 높이(h) 중 가장 큰 높이(h)를, 당해 윤곽선(OL)의 요철의 최대 높이로 한다. 이 경우,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은, 윤곽선(OL)의 요철의 최대 높이가, 0.6㎛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ight (h) of each triangle is calculated. At this time, the height of each triangle is calculated by using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inflection points (CP) that are not located in the center among the three inflection points (CP) as the base. The largest height (h) of the heights (h) of the triangles calculated in this way is taken as the maximum height of the unevenness of the outline (OL).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s formed so that the maximum height of the unevenness of the outline (OL) is 0.6 ㎛ or more.

이 경우, 윤곽선(OL)의 요철의 최대 높이가 0.6㎛보다도 작은 경우에 비하여,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표면적을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이, 미시적으로 비교적 큰 요철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표면적을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단위 시간당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으로부터 금속 지지체(10)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maximum height of the unevenness of the outline (OL) is smaller than 0.6 ㎛. That is, sinc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ncludes microscopically relatively large unevenness, it becomes possible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As a result,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to the metal support (10)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여기에서,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은, 윤곽선(OL)의 요철의 최대 높이가, 0.9㎛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은, 윤곽선(OL)의 요철의 최대 높이가, 1.0㎛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He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s formed so that the maximum height of the unevenness of the outline (OL) is 0.9 ㎛ or more.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s formed so that the maximum height of the unevenness of the outline (OL) is 1.0 ㎛ or mor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윤곽선(OL) 상에 복수의 가상점을 설정함으로써, 윤곽선(OL) 상에 복수의 굴곡점(CP)을 설정하였지만, 복수의 굴곡점(CP)의 설정 방법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윤곽선(OL)상의 복수의 굴곡점(CP)은, 예컨대 제1 방향(d1)에 평행하고 또한 비아 홀(19)의 대략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을 정의한 후, 당해 가상 직선에 대한 윤곽선(OL)의 각 부의 거리에 기초하여 정해져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CP) are set on the outline (OL) by setting a plurality of virtual points on the outline (OL), but the method of setting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CP)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For example,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CP) on the outline (OL)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distance of each part of the outline (OL) to the virtual straight line defined by defining a virtual straight line that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passes through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via hole (19).

구체적으로는, 윤곽선(OL)에, 제1 방향(d1)을 향하여 가상선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제1 경사 부분과, 제1 방향(d1)을 향하여 가상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제2 경사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 경사 부분 사이(예컨대 경계 부분)에 굴곡점(CP)을 설정하여도 된다.Specifically, in a case where the outline (OL) has a first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toward a virtual line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away from the virtual line in the first direction (d1), an inflection point (CP) may be se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e.g., a boundary portion).

5. 재배선 기판(100)의 제조 방법5. Manufacturing method of rewiring substrate (100)

도 10∼도 18은, 도 1의 재배선 기판(10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0∼도 18에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는, 도 1의 모식적 단면도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배선 기판(100)은, 롤 투 롤 방식에 의해 제조된다.FIGS. 10 to 18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wiring substrate (100) of FIG. 1. Th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n in FIGS. 10 to 18 correspond to th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wiring substrate (100) is manufactured by a roll-to-roll method.

우선, 스테인리스제의 장척 형상의 금속 지지체(10)가 권회된 롤(이하, 조출(繰出) 롤이라고 부름)이 준비된다. 준비된 조출 롤로부터 금속 지지체(10)가 조출된다. 조출 롤로부터 조출된 금속 지지체(10)는, 다른 롤에 권취된다. 도 10에서는, 조출 롤로부터 조출된 금속 지지체(10)의 일부의 단면이 나타내어진다. 롤투롤 방식에 의하면, 장척 형상의 금속 지지체(10)가 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금속 지지체(10)의 각 영역에 순차적으로 이하의 처리가 행하여진다.First, a ro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awing roll) on which a long metal support (10) made of stainless steel is wound is prepared. The metal support (10) is drawn from the prepared drawing roll. The metal support (10) drawn from the drawing roll is wound on another roll. In Fig. 10, a cross-section of a part of the metal support (10) drawn from the drawing roll is shown. According to the roll-to-roll method, while the long metal support (1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ollowing processes are sequentially performed on each area of the metal support (10).

우선,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 감광성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가 첩합되어, 레지스트막이 형성된다.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 형성된 레지스트막이 소정 패턴으로 노광되고, 현상 처리된다.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 감광성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가 첩합되고, 레지스트막이 형성된다.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 형성된 레지스트막이 노광되고, 현상 처리된다. 이로 인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 복수의 개구부(29x)를 포함하는 에칭 레지스트(29)가 형성되고,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 에칭 레지스트(28)가 형성된다. 본 예의 복수의 개구부(29x)는, 후공정에서 복수의 비아 홀(19)이 형성되게 되는 금속 지지체(10)의 복수의 영역에 겹쳐지도록 형성된다.First, a photosensitive dry film resist is bonded onto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and a resist film is formed. The resist film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is ex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developed. In addition, a photosensitive dry film resist is bonded onto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nd a resist film is formed. The resist film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is exposed and develope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1, an etching resist (29) including a plurality of openings (29x)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and an etching resist (28)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The plurality of openings (29x) of the present example are formed to overlap a plurality of areas of the metal support (10) in which a plurality of via holes (19) are formed in a post-process.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칭 레지스트(29)의 복수의 개구부(29x)를 통하여 노출되는 금속 지지체(10)의 복수의 부분이 에칭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10)에 복수의 비아 홀(19)이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으로부터 하면(10b)을 향하여 금속 지지체(10)가 에칭된다. 이로 인해, 복수의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은, 상면(10a)으로부터 하면(10b)에 걸쳐서 완만하게 오목하도록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12,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metal support (10) exposed through a plurality of openings (29x) of the etching resist (29) are etched. As a result, a plurality of via holes (19) are formed in the metal support (10). In this example, the metal support (10) is etched from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toward the lower surface (10b). As a resul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10c) of the plurality of via holes (19) are formed to be gently concave from the upper surface (10a) to the lower surface (10b).

또한, 각 비아 홀(19)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으로부터 하면(10b)을 향하는 에칭에 더하여,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으로부터 상면(10a)을 향하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은, 당해 상기 금속 지지체(10)의 두께 방향의 중앙부의 직경이 국부적으로 작아질 가능성이 있다. 즉,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은, 비아 홀(19)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도 8 참조).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으로부터 상면(10a)을 향하는 에칭을 행하는 경우에는, 하면(10b) 상에 형성되는 에칭 레지스트(28)에, 비아 홀(19)의 형성 부분에 겹쳐지는 개구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아 홀(19)은, 에칭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비아 홀(19)은, 내주면(10c)의 단면을 나타내는 상기의 윤곽선(OL)이, 상기 식 (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금속 지지체(10)에 형성되는 각 비아 홀(19)이 형성된 시점에서, 각 비아 홀(19)의 내직경의 최솟값은, 예컨대 1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via hole (19) may be formed by etching from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toward the upper surface (10a), in addition to etching from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toward the lower surface (10b). In this cas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may have a locally small diameter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That i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via hole (19) (see FIG. 8). In addition, in the case of performing etching from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toward the upper surface (10a), it is necessary to form an opening in the etching resist (28)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0b) that overlaps the formation portion of the via hole (19). In addition, the via hole (19) is not limited to etching and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laser processing. In this case, the via hole (19) needs to be formed so that the outline line (OL) representing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surface (10c)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formula (1). At the time when each via hole (19) formed in the metal support (10) is formed, the minimum value of the inner diameter of each via hole (19) is preferably, for example, 10 µm or more and 10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5 µm or more and 80 µ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0 µm or more and 60 µm or less.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및 하면(10b)으로부터 에칭 레지스트(29, 28)가 박리된다. 그 후,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출되는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하면(10b) 및 각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에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피복층(11)이 형성된다. 피복층(11)은 여러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피복층(11)의 형성 방법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금속 지지체(10)의 각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에 피복층(11)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주면(10c)을 덮는 피복층(11) 부분의 내직경의 최솟값은, 1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Next, as shown in Fig. 13, the etching resist (29, 28) is peeled off from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Thereafter, as shown in Fig. 14, a covering layer (11) including photosensitive polyimide is formed on the exposed upper surface (10a),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each via hole (19). The covering layer (11) can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pecific examples of methods for forming the covering layer (11) will be described later. In a state where a covering layer (1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0c) of each via hole (19) of a metal support (10),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portion of the covering layer (11) covering the inner surface (10c) is preferably 10 µm or more and 10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5 µm or more and 80 µ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20 µm or more and 60 µm or less.

다음으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각 비아 홀(19) 내에 구리를 포함하는 비아 도체(41)가 형성된다(비어 필링).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에서의 소정 영역에 구리를 포함하는 제1 도체층(51)이 형성된다.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에서의 소정 영역에 구리를 포함하는 제3 도체층(61)이 형성된다. 상기의 비아 필링과, 제1 도체층(51) 및 제3 도체층(61)의 형성은, 동시에 행하여져도 되고, 개별로 행하여져도 된다. 상기의 도체(41, 51, 61)의 형성은,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Next, as shown in Fig. 15, a via conductor (41) containing copper is formed in each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via filling). In addition, a first conductor layer (51) containing copp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In addition, a third conductor layer (61) containing copp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The above-described via filling and the formation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The formation of the conductors (41, 51, 61) is specifically performed, for example, as follows.

우선,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하면(10b) 및 내주면(10c)을 덮는 피복층(11)의 표면 상에, 스퍼터링 또는 무전해 도금에 의해, 예컨대 크롬 박막 및 구리 박막을 포함하는 시드층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의 에칭 레지스트(29)의 예와 마찬가지로, 시드층 상에 소정 패턴의 도금 레지스트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금 레지스트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시드층 상에, 전해 도금에 의해 상기의 도체(41, 51, 61)의 일부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형성되는 제1 도체층(51) 및 제3 도체층(61)의 부분은, 배선 부분으로서 이용된다.First, a seed layer including, for example, a chromium thin film and a copper thin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 covering layer (11) covering the upper surface (10a), lower surface (10b), and inner surface (10c) of a metal support (10) by sputtering or electroless plating. Next, a plating resist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seed layer, similar to the example of the etching resist (29) described above. Next, a portion of the conductors (41, 51, 61)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seed layer exposed through the openings of the plating resist by electrolytic plating. The portions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formed here are used as wiring portions.

제1 도체층(51) 및 제3 도체층(61)은, 상기의 배선 부분에 더하여 비아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도체층(51) 및 제3 도체층(61)의 배선 부분의 형성 후에는, 추가로 도금 레지스트를 이용한 전해 도금에 의해 제1 도체층(51) 및 제3 도체층(61)의 비아 부분이 형성된다.The first conductor layer (51)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include a via por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wiring portion. Therefore, after the wiring portion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is formed, the vi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is additionally formed by electrolytic plating using a plating resist.

그 후, 도금 레지스트가 박리되고, 노출되는 시드층의 부분(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에칭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도체(41, 51, 61)의 외표면에, 당해 도체(41, 51, 61)로부터 구리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배리어층이 형성된다. 배리어층은, 예컨대 니켈 박막을 포함한다. 또한, 배리어층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도 15에서는, 시드층 및 배리어층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Thereafter, the plating resist is peeled off, and the exposed portion of the seed layer (the portion where the conductor is not formed) is removed by etching. In addition, a barrier lay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41, 51, 61) to suppress the diffusion of copper from the conductor (41, 51, 61). The barrier layer includes, for example, a nickel thin film. In addition, the barrier layer does not have to be formed. In Fig. 15, the illustration of the seed layer and the barrier layer is omitted.

도체(41, 51, 61)의 형성 후,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중 제1 도체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제1 절연층(21)이 형성된다. 제1 도체층(51)의 배선 부분의 영역에도 제1 절연층(21)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도체층(51)의 배선 부분이 제1 절연층(21)에 의해 덮이고, 제1 도체층(51)의 비아 부분(배선 부분 이외의 부분)이 노출된다.After the formation of the conductors (41, 51, 61), as shown in Fig. 16, a first insulating layer (21) including photosensitive polyimide is formed in an area of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where the first conductive layer (51) is not formed.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is also formed in an area of the wiring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51). As a result, the wiring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51) is covered by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and the via portion (a portion other than the wiring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51) is exposed.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중 제3 도체층(6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제3 절연층(31)이 형성된다. 제3 도체층(61)의 배선 부분의 영역에도 제3 절연층(31)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3 도체층(61)의 배선 부분이 제3 절연층(31)에 의해 덮이고, 제3 도체층(61)의 비아 부분(배선 부분 이외의 부분)이 노출된다.In addition, a third insulating layer (31) including photosensitive polyimide is formed in an area of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where the third conductive layer (61) is not formed. A third insulating layer (31) is also formed in an area of the wiring portion of the third conductive layer (61). As a result, the wiring portion of the third conductive layer (61) is covered by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and the via portion (a portion other than the wiring portion) of the third conductive layer (61) is exposed.

제1 절연층(21) 및 제3 절연층(31)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및 하면(10b)에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를 도포하고, 그 전구체가 노광 및 현상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형성된 제1 절연층(21) 및 제3 절연층(31)은 경화 처리된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are formed by applying a precursor of photosensitive polyimide to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nd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recursor. In addition, the formed first insulating layer (21)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are subjected to a curing process.

다음으로, 제1 도체층(51)의 상면 중, 미리 정해진 영역에 존재하는 배리어층이 제거된다. 또한, 제3 도체층(61)의 하면 중, 미리 정해진 영역에 존재하는 배리어층이 제거된다.Next, a barrier layer existing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51) is removed. In addition, a barrier layer existing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conductive layer (61) is removed.

그 후,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리어층이 제거된 제1 도체층(51)의 상면 및 제1 절연층(21)의 상면에서의 소정 영역에, 제2 도체층(52)이 형성된다. 또한, 배리어층이 제거된 제3 도체층(61)의 하면 및 제3 절연층(31)의 하면에서의 소정 영역에, 제4 도체층(62)이 형성된다. 제2 도체층(52) 및 제4 도체층(62) 각각은, 제1 도체층(51) 및 제3 도체층(61)과 마찬가지로, 배선 부분 및 비아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도체층(52) 및 제4 도체층(62)의 형성은, 기본적으로, 제1 도체층(51) 및 제3 도체층(61)의 형성과 동일한 수순으로 행하여진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7, a second conductor layer (52)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from which the barrier layer has been removed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In addition, a fourth conductor layer (62)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from which the barrier layer has been removed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Each of the second conductor layer (52) and the fourth conductor layer (62) includes a wiring portion and a via portion, similar to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Therefore, the formation of the second conductor layer (52) and the fourth conductor layer (62) is basically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s the formation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다음으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절연층(21) 및 제1 도체층(51)의 상면 중 제2 도체층(5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제2 절연층(22)이 형성된다. 제2 도체층(52)의 배선 부분의 영역에도 제2 절연층(22)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 도체층(52)의 배선 부분이 제2 절연층(22)에 의해 덮이고, 제2 도체층(52)의 비아 부분(배선 부분 이외의 부분)이 노출된다.Next, as shown in Fig. 18, a second insulating layer (22) including photosensitive polyimide is formed in a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and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where the second conductor layer (52) is not forme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2) is also formed in the region of the wiring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or layer (52). As a result, the wiring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or layer (52) is covered by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2), and the via portion (a portion other than the wiring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or layer (52) is exposed.

또한, 제3 절연층(31) 및 제3 도체층(61)의 하면 중 제4 도체층(6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제4 절연층(32)이 형성된다. 제4 도체층(62)의 배선 부분의 영역에도 제4 절연층(32)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4 도체층(62)의 배선 부분이 제4 절연층(32)에 의해 덮이고, 제4 도체층(62)의 비아 부분(배선 부분 이외의 부분)이 노출된다.In addition, a fourth insulating layer (32) including photosensitive polyimide is formed in an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and the third conductive layer (61) where the fourth conductive layer (62) is not formed. The fourth insulating layer (32) is also formed in an area of the wiring portion of the fourth conductive layer (62). As a result, the wiring portion of the fourth conductive layer (62) is covered by the fourth insulating layer (32), and the via portion (a portion other than the wiring portion) of the fourth conductive layer (62) is exposed.

제2 절연층(22) 및 제4 절연층(32)의 형성은, 기본적으로, 제1 절연층(21) 및 제3 절연층(31)의 형성과 동일한 수순으로 행하여진다.The forma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2) and the fourth insulating layer (32) is basically performed in the same sequence as the forma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마지막으로, 제2 도체층(52) 중 위쪽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부분에 형성된 배리어층이 제거됨과 함께, 배리어층이 제거된 제2 도체층(52)의 복수의 부분에 단자부(T1)(도 1)가 형성된다. 또한, 제4 도체층(62) 중 아래쪽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부분에 형성된 배리어층이 제거됨과 함께, 배리어층이 제거된 제4 도체층(62)의 복수의 부분에 단자부(T2)(도 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단자부(T1, T2)는, 예컨대 금 도금에 의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재배선 기판(100)이 완성된다.Finally, the barrier layer formed on a plurality of portions exposed upwardly among the second conductor layer (52) is removed, and terminal portions (T1) (Fig. 1) are formed on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second conductor layer (52) from which the barrier layer is removed. In addition, the barrier layer formed on a plurality of portions exposed downwardly among the fourth conductor layer (62) is removed, and terminal portions (T2) (Fig. 1) are formed on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fourth conductor layer (62) from which the barrier layer is removed. Here, the terminal portions (T1, T2) are formed, for example, by gold plating. As a result, the rewiring substrate (100) is completed.

6.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형성 방법의 구체예6. Specific example of a method for forming a covering layer (11) on a metal support (10)

(1)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제1 형성 방법(1) First method for forming a covering layer (11) on a metal support (10)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구체예로서, 제1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19는,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제1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제1 형성 방법에서는, 피복층(11)의 재료로서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이용한다.As a specific example of a covering layer (11) for a metal support (10), a first forming method is described. Fig. 1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rst forming method of a covering layer (11) for a metal support (10). In the first forming method, photosensitive polyimide is used as a material for the covering layer (11).

피복층(11)의 제1 형성 방법에서는, 상기의 도 10∼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비아 홀(19)이 형성된 금속 지지체(10)가 준비된 상태에서, 당해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및 하면(10b)을 덮도록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도포된다. 이 도포 시에는,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각 비아홀(19)의 내주면(10c)의 내부 공간을 메우도록,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각 비아홀(19) 내에 충전된다. 그 후, 도포 및 충전된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노광 및 현상된다. 이로 인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및 하면(10b)을 덮음과 함께, 복수의 비아 홀(19)의 내부 공간을 메우도록, 임시 피복층(11a)이 형성된다. 형성된 임시 피복층(11a)은 경화 처리된다.In the first method of forming the covering layer (11), as described in FIGS. 10 to 13 above, when the metal support (10) having a plurality of via holes (19) formed therein is prepared, a precursor of the photosensitive polyimide is appli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the precursor of the photosensitive polyimide is further filled into each via hole (19) so as to fill the internal space of the inner surface (10c) of each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Thereafter, the precursor of the photosensitive polyimide that has been applied and filled is exposed and develope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9, a temporary covering layer (11a)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nd to fill the internal space of the plurality of via holes (19). The formed temporary covering layer (11a) is subjected to hardening treatment.

그 후, 도 19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비아 홀(19) 내에 형성된 임시 피복층(11a)의 부분에, 예컨대 레이저 가공 또는 에칭에 의해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10)의 위쪽의 공간과 아래쪽의 공간이, 금속 지지체(10)의 각 비아 홀(19)의 내부 공간에 의해 연통되고, 금속 지지체(10)의 외표면 상에 피복층(11)이 형성된다(도 14 참조).Thereafter, a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19,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temporary covering layer (11a) formed in each via hole (19), for example, by laser processing or etching. As a result, the space above and below the metal support (10) are connected by the internal space of each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and a covering layer (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see Fig. 14).

비아 홀(19)의 내부를 통과하는 관통공은,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노광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예컨대, 임시 피복층(11a)의 형성 시에, 비아 홀(19) 내의 임시 피복층(11a)의 부분에 노광광을 조사하거나 또는 조사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Th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via hole (19) may be formed by using an exposure technique of photosensitive polyimide. For example, when forming the temporary covering layer (11a), it may be formed by irradiating or not irradiating a portion of the temporary covering layer (11a) within the via hole (19) with exposure light.

피복층(11)의 제1 형성 방법에 의하면, 피복층(11)의 형성 과정에서 각 비아 홀(19)의 내부에 임시 피복층(11a)이 매립되기 때문에,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표면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성이 높은 피복층(11)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of forming the covering layer (11), since a temporary covering layer (11a) is embedded in the interior of each via hole (19)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overing layer (11), a highly reliable covering layer (11) can be form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금속 지지체(10)에 피복층(11)을 형성하기 위하여, 액상의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이용되지만, 피복층(11)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어야 하는 요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형성 방법에서는, 금속 지지체(10)에 피복층(11)을 형성하기 위한 요소로서, 액상의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 대신에,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필름,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감광성 폴리이미드 이외의 감광성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 또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비감광성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이 이용되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a precursor of a liquid photosensitive polyimide is used to form a covering layer (11) on a metal support (10), but an element that must be used to form the covering layer (11) is not limited to this. In the first forming method, as an element for forming a covering layer (11) on a metal support (10), instead of a precursor of a liquid photosensitive polyimide, a film of a photosensitive polyimide formed in a sheet shape, a film including a photosensitive material other than the photosensitive polyimide formed in a sheet shape, or a film including a non-photosensitive material formed in a sheet shape may be used.

여기에서, 감광성 폴리이미드 이외의 감광성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페놀 수지 등의 고분자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감광성 폴리이미드 이외의 감광성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의 재료로서는, 상기의 고분자 재료에 필러 등의 강화제가 분산된 재료를 들 수 있다.Here, as a material of a film including a photosensitive material other than photosensitive polyimide, a polymer material such as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or a phenol resin can be exemplified. In addition, as a material of a film including a photosensitive material other than photosensitive polyimide, a material in which a reinforcing agent such as a filler is dispersed in the above polymer material can be exemplified.

제1 도체층(11)을 필름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필름이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에 첩부되고 또한 다른 필름이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에 첩부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및 하면(10b)이 2장의 필름에 의해 각각 덮여짐과 함께, 금속 지지체(10)의 각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내부 공간이 당해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 충전된다.In the case where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 is formed by a film, one film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and another film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s a result,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re each covered by two films,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inner surface (10c) of each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is filled with the material forming the film.

피복층(11)의 형성에 이용되는 필름의 재료가, 감광성 재료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비아 홀(19) 내에 형성된 임시 피복층(11a)의 부분에, 노광 기술을 이용하여 관통공이 형성된다. 피복층(11)의 형성에 이용되는 필름의 재료가, 강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혹은 비감광성 재료인 경우에는, 각 비아 홀(19) 내에 형성된 임시 피복층(11a)의 부분에, 예컨대 레이저 가공 또는 드릴을 이용한 가공(천공)에 의해 관통공이 형성된다.When the material of the film used to form the covering layer (11) is composed only of a photosensitive material,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temporary covering layer (11a) formed in each via hole (19) by using an exposure technique. When the material of the film used to form the covering layer (11) includes a reinforcing agent or is a non-photosensitive material,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temporary covering layer (11a) formed in each via hole (19) by, for example, laser processing or processing (perforation) using a drill.

상기의 예 이외에, 금속 지지체(10)에 형성되는 피복층(11)의 종류는, 1종류일 필요는 없다. 피복층(11)은, 복수 종류의 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요소로 구성되어도 된다.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s, the type of the covering layer (11) formed on the metal support (10) does not need to be just one type. The covering layer (11) may be composed of multiple elements including multiple types of materials.

(2)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제2 형성 방법(2) Second method for forming a covering layer (11) on a metal support (10)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구체예로서, 제2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제2 형성 방법에서도, 제1 형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피복층(11)의 재료로서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이용한다.As a specific example of a covering layer (11) for a metal support (10), a second forming method is described. In the second forming method, as in the first forming method, photosensitive polyimide is used as a material for the covering layer (11).

제2 형성 방법에서는, 도 13의 금속 지지체(10)가 준비된 상태에서, 당해 금속 지지체(10)의 각 비아 홀(19)을 막지 않고 금속 지지체(10)의 외표면 상에 스프레이 코트법 또는 전착 도장법에 의해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도포된다.In the second forming method, when the metal support (10) of Fig. 13 is prepared, a precursor of photosensitive polyimide is appli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by a spray coating method or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method without blocking each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그 후, 도포된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노광 및 현상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10)의 외표면 상에 피복층(11)이 형성된다(도 14 참조). 상기의 스프레이 코트법 및 전착 도장법에 의하면, 금속 지지체(10)의 외표면 상에 5㎛ 이상 15㎛ 이하의 두께를 갖는 피복층(11)을 형성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ecursor of the photosensitive polyimide that has been applied is exposed and developed. As a result, a covering layer (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see Fig. 14). According to the spray coating method and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method described above, a covering layer (11) having a thickness of 5 ㎛ or more and 15 ㎛ or less can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피복층(11)의 제2 형성 방법에 의하면, 제1 형성 방법과 같이,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에 피복층(11)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아 홀(19) 내부에 임시 피복층(11a)과 같은 절연층을 매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피복층(11)의 형성에 요하는 시간이 저감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method of forming the covering layer (11), unlike the first forming method, there is no need to embed an insulating layer such as a temporary covering layer (11a) inside the via hole (19) in order to form the covering layer (11) on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forming the covering layer (11) is reduced.

(3)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제3 형성 방법(3) Third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11) on a metal support (10)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구체예로서, 제3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20∼도 22는,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제3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제3 형성 방법에서도, 제1 형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피복층(11)의 재료로서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이용한다.As a specific example of a covering layer (11) for a metal support (10), a third forming method is described. FIGS. 20 to 2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third forming method of a covering layer (11) for a metal support (10). In the third forming method, as in the first forming method, photosensitive polyimide is used as a material for the covering layer (11).

피복층(11)의 제3 형성 방법에서는, 처음에, 복수의 비아 홀(19)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금속 지지체(10)의 일면(본 예에서는 하면(10b)) 상에, 당해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을 덮도록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도포된다. 이로 인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을 덮도록, 제1 임시 피복층(11b)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형성된 제1 임시 피복층(11b)은 경화 처리된다.In the third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11), first, a precursor of a photosensitive polyimide is applied on one surface (in this example, the lower surface (10b)) of a metal support (10) on which a plurality of via holes (19) are not formed, so as to cover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0, a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Preferably, the formed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is subjected to a curing process.

다음으로, 하면(10b) 상에 제1 임시 피복층(11b)이 형성된 상태에서, 도 11∼도 13의 예에 따라, 금속 지지체(10)에 복수의 비아 홀(19)이 형성된다. 복수의 비아 홀(19)을 형성 시에는, 제1 임시 피복층(11b) 중 금속 지지체(10)의 두께 방향에서 각 비아 홀(19)에 겹쳐지는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비아 홀(19)의 내부 공간은, 제1 임시 피복층(11b)에 의해, 금속 지지체(10) 아래쪽의 공간에 개방되어 있지 않다. 각 비아 홀(19)의 하단은, 제1 임시 피복층(11b)의 일부에 의해 막힌다.Next, in a state where the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0b), a plurality of via holes (19) are formed in the metal support (10) according to the examples of FIGS. 11 to 13. When forming a plurality of via holes (19), no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that overlaps each via hole (19)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10). Therefore, as shown in FIG. 21, the internal space of the plurality of via holes (19) is not open to the space below the metal support (10) by the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The lower end of each via hole (19) is blocked by a portion of the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다음으로, 도 21의 금속 지지체(10)의 다른 면(본 예에서는 상면(10a))을 덮도록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도포된다. 이 도포 시에는,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각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내부 공간을 메우도록,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각 비아 홀(19) 내에 충전된다. 이로 인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을 덮음과 함께, 복수의 비아 홀(19)의 내부 공간을 메우도록, 제2 임시 피복층(11c)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형성된 제2 임시 피복층(11c)은 경화 처리된다.Next, a precursor of the photosensitive polyimide is applied so as to cover the other surface (the upper surface (10a) in this example) of the metal support (10) of Fig. 21.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the precursor of the photosensitive polyimide is also filled into each via hole (19) so as to fill the internal space of the inner surface (10c) of each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2, a second temporary covering layer (11c)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and fill the internal spaces of the plurality of via holes (19). Preferably, the formed second temporary covering layer (11c) is subjected to a curing process.

그 후, 도 22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비아 홀(19)의 하단을 막는 제1 임시 피복층(11b)의 부분, 및 각 비아 홀(19) 내에 형성된 제2 임시 피복층(11c)의 부분에, 예컨대 레이저 가공 또는 에칭에 의해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10)의 위쪽의 공간과 아래쪽의 공간이, 금속 지지체(10)의 각 비아 홀(19)의 내부 공간에 의해 연통되고, 금속 지지체(10)의 외표면 상에 피복층(11)이 형성된다(도 14 참조). 또한, 제1 형성 방법의 예와 마찬가지로, 비아 홀(19)의 내부를 통과하는 관통공은, 레이저 가공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노광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Thereafter,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22, a through hole is formed, for example, by laser processing or etching, in a portion of the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that blocks the lower end of each via hole (19) and in a portion of the second temporary covering layer (11c) formed within each via hole (19). As a result, the space above and the space below the metal support (10) are connected by the internal space of each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and a covering layer (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see Fig. 14). In addition, similar to the example of the first forming method, th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via hole (19) may be formed by laser processing or etching, or may be formed by using an exposure technique of photosensitive polyimide.

피복층(11)의 제3 형성 방법에 의하면,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제1 임시 피복층(11b)의 형성 시에, 금속 지지체(10)에 관통공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에 대한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의 도공 시에, 당해 전구체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 흐르기 어렵다. 또한,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제2 임시 피복층(11c)의 형성 시에, 제1 임시 피복층(11b)에 관통공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에 대한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의 도공 시에, 당해 전구체가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 흐르기 어렵다. 이들의 결과, 제1 임시 피복층(11b) 및 제2 임시 피복층(11c)의 형성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third forming method of the covering layer (11), when forming the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for the metal support (10), there is no through-hole in the metal support (10). Therefore, for example, when coating the precursor of the photosensitive polyimide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it is difficult for the precursor to flow onto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In addition, when forming the second temporary covering layer (11c) for the metal support (10), there is no through-hole in the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Therefore, for example, when coating the precursor of the photosensitive polyimide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it is difficult for the precursor to flow onto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s a result, the formation of the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and the second temporary covering layer (11c) is easy.

또한, 피복층(11)의 제3 형성 방법에 의하면, 피복층(11)의 형성 과정에서 각 비아 홀(19)의 내부에 제2 임시 피복층(11c)이 매립되기 때문에,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표면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성이 높은 피복층(11)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method of forming the covering layer (11), since the second temporary covering layer (11c) is embedded in the interior of each via hole (19)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overing layer (11), a highly reliable covering layer (11) can be form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4)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제4 형성 방법(4) Fourth method of forming a covering layer (11) on a metal support (10)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구체예로서, 제4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의 재배선 기판(100)의 제조 방법에서, 도 13의 금속 지지체(10)(비아 홀(19)이 형성된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형성은 이하와 같이 행하여져도 된다. 도 23∼도 27은,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제4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이다.As a specific example of a covering layer (11) for a metal support (10), a fourth forming method is describ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rewiring substrate (100), the formation of the covering layer (11) for the metal support (10) (the metal support (10) in which a via hole (19) is formed) of Fig. 13 may be performed as follows. Figs. 23 to 27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fourth forming method of the covering layer (11) for the metal support (10).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복수의 비아 홀(19)이 형성된 도 13의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에, 캐리어 필름(CF1)이 첩합된다. 캐리어 필름(CF1)으로서는, 예컨대 접착제 부착 폴리이미드 필름이 이용된다. 그 후,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위쪽으로부터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및 복수의 비아 홀(19)의 내주면(10c) 상에, 피복층(11d)이 형성된다. 피복층(11d)의 형성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및 내주면(10c) 상에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도포되고, 도포된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전구체가 노광 및 현상됨으로써 행하여진다. 형성된 피복층(11d)은 경화 처리된다.As shown in Fig. 23, in this example, a carrier film (CF1) is bonded to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of Fig. 13 on which a plurality of via holes (19) are formed. As the carrier film (CF1), for example, an adhesive-attached polyimide film is used. Then, as shown in Fig. 24, a covering layer (11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plurality of via holes (19) from above the metal support (10). The formation of the covering layer (11d) is performed by applying a precursor of a photosensitive polyimide on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metal support (10), and exposing and developing the applied precursor of the photosensitive polyimide. The formed covering layer (11d) is subjected to a curing treatment.

다음으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으로부터 캐리어 필름(CF1)이 박리된다. 그 후,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 피복층(11d)을 개재하여 캐리어 필름(CF2)이 첩합된다. 캐리어 필름(CF2)으로서는, 캐리어 필름(CF1)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접착제 부착 폴리이미드 필름이 이용된다. 그 후,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아래쪽으로부터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 피복층(11e)이 형성된다. 피복층(11e)의 형성은, 기본적으로, 상기의 피복층(11d)과 동일한 수순으로 행하여진다. 피복층(11e)의 형성 후, 피복층(11e)으로부터 캐리어 필름(CF2)이 박리된다.Next, as shown in Fig. 25, the carrier film (CF1) is peeled off from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Thereafter, the carrier film (CF2)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with a covering layer (11d) interposed therebetween. As the carrier film (CF2), an adhesive-attached polyimide film, for example, is used, similarly to the carrier film (CF1). Thereafter, as shown in Fig. 26, a covering layer (11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from the lower side of the metal support (10). The formation of the covering layer (11e) is basically performed in the same procedure as the covering layer (11d) described above. After the formation of the covering layer (11e), the carrier film (CF2) is peeled off from the covering layer (11e).

(5) 금속 지지체(10)에 대한 피복층(11)의 형성 방법의 다른 예(5)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forming a covering layer (11) on a metal support (10)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피복층(11)의 재료로서는, 탄화규소, 이산화규소 또는 질화알루미늄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피복층(11)의 재료로서 탄화규소, 이산화규소 또는 질화알루미늄이 이용되는 경우, 피복층(11)은, 예컨대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된다. 혹은, 피복층(11)의 재료로서 탄화규소 또는 산화알루미늄이 이용되는 경우, 피복층(11)은, 예컨대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의 제1∼제4 형성 방법에서, 피복층(11)은, 당해 피복층(11)을 구성하는 재료 등에 따라, 스퍼터링 또는 화학 기상 성장법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As a material of the covering layer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licon carbide, silicon dioxide, aluminum nitride, or the like may be used. In this way, when silicon carbide, silicon dioxide, or aluminum nitride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covering layer (11), the covering layer (11) is formed, for example, by sputtering. Or, when silicon carbide or aluminum oxide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covering layer (11), the covering layer (11) is formed, for example,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Therefore, in the first to fourth forming methods described above, the covering layer (11) may be formed by sputtering or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overing layer (11).

7. 효과7. Effect

(1) 상기의 재배선 기판(100)에서는,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및 하면(10b) 상에 피복층(11)을 개재하여 제1 절연층(21) 및 제3 절연층(31)이 형성된다.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비아 홀(19) 내에 피복층(11)을 개재하여 비아 도체(4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재배선 기판(100)에 반도체 소자(700) 및 리지드 기판(800)이 접속되는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700)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복수의 단자부(T1), 도체층(50) 및 피복층(11)을 통하여 금속 지지체(10)에 전달된다. 또한, 금속 지지체(10)에 전달되어, 금속 지지체(10)에서 확산된 열의 일부는, 도체층(50) 및 복수의 단자부(T2)를 통하여 추가로 리지드 기판(800)으로 전달된다.(1) In the above-described rewiring substrate (100), a first insulating layer (21) and a third insulating layer (3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with a covering layer (11)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a via conductor (41) is formed in the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with a covering layer (11)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a semiconductor element (700) and a rigid substrate (800) are connected to the rewiring substrate (100), heat generated from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is transferred to the metal support (10) through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1), the conductor layer (50), and the covering layer (11).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heat transmitted to the metal support (10) and diffused from the metal support (10) is additionally transmitted to the rigid substrate (800) through the conductive layer (5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T2).

상기와 같이, 비아 홀(19)의 단면에서의 내주면(10c)의 윤곽선(OL)은, 만곡되어 있다. 이 경우,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면적은, 윤곽선(OL)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커진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면적은, 윤곽선(OL)이 상기의 식 (1)의 관계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커진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및 하면(10b)에서의 도체층(50)의 형성 영역을 과잉하게 확대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도체층(50)에 의해 덮이는 금속 지지체(10)의 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위 시간당 반도체 소자(700)로부터 금속 지지체(10)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재배선 기판(100)에 접속되는 반도체 소자(7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금속 지지체(10)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방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outline (OL)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in the cross-section of the via hole (19) is curved.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becomes larger than in the case where the outline (OL)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becomes larger than in the case where the outline (OL) does not satisfy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formula (1).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metal support (10) covered by the conductor layer (50) while suppressing excessive expansion of the formation area of the conductor layer (50) on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to the metal support (10) per unit time.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efficient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a semiconductor element (700) connected to a rewiring substrate (100) through a metal support (10).

또한, 윤곽선(OL)이 상기의 식 (1)의 관계를 충족하는 경우에는, 각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방향(d1)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을 향한다. 따라서, 윤곽선(OL)이 제1 방향(d1)에 평행한 경우에 비하여,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에 대한 피복층(11)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이로 인해,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을 덮는 피복층(11)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금속 지지체(10)와 도체층(50)과의 사이의 절연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when the outline (OL)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formula (1),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each via hole (19) faces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1).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outline (OL)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1), the formation of the covering layer (11)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becomes easier. Due to this, the reliability of the covering layer (11) cover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s improved. Therefore, the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nductor layer (50) is secured.

이들의 결과, 접속되는 반도체 소자(700) 및 리지드 기판(800)의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재배선 기판(100)이 실현된다.As a result, a highly reliable redistribution substrate (100) capable of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of connected semiconductor elements (700) and rigid substrates (800) is realized.

(2) 상기와 같이, 금속 지지체(10)는, 10㎛ 이상 10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금속 지지체의 두께가 100㎛보다도 큰 경우에 비하여, 반도체 소자(700)로부터 금속 지지체(10)에서 받은 열을 당해 재배선 기판(100)에 접속된 리지드 기판(800)에 효율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두께가 10㎛보다도 작은 경우에 비하여, 재배선 기판(100)을 구성하는 각 층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지지체(10)의 열용량이 부족함으로써 반도체 소자(700)와 금속 지지체(10)와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열의 양이 제한되는 것이 방지된다.(2)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support (10) have a thickness of 10 µm or more and 100 µm or less. In this case,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metal support is greater than 100 µm, the heat received from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in the metal support (10)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rigid substrate (800) connected to the rewiring substrate (100). In addition,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metal support (10) is less than 10 µm, the occurrence of warpage in each layer constituting the rewiring substrate (100)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between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and the metal support (10) is prevented from being limited due to insufficient heat capacity of the metal support (10).

(3) 상기와 같이, 금속 지지체(10)는, 예컨대 10W/mK 이상의 열전도율을 갖는다. 이 경우, 금속 지지체(10)의 열전도율이 10W/mK보다도 작은 경우에 비하여, 단위 시간당 각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으로부터 금속 지지체(10)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크게할 수 있다.(3) As described above, the metal support (10) has a thermal conductivity of, for example, 10 W/mK or more. In this case,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etal support (10) is less than 10 W/mK,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inner surface (10c) of each via hole (19) to the metal support (10)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4) 상기와 같이, 금속 지지체(10)의 25℃ 내지 200℃에서의 선팽창 계수는, 0㎛/K 이상 25㎛/K 이하이다. 이 경우, 재배선 기판(100)의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금속 지지체(10)가 크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재배선 기판(10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4) As described above,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of the metal support (10) at 25°C to 200°C is 0 μm/K or more and 25 μm/K or less. In this case, the metal support (10) is prevented from being significantly deformed due to temperature changes in the rewiring substrate (100).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is improved.

(5) 상기와 같이, 각 비아 홀(19)은, 예컨대 금속 지지체(10)에서의 미리 정해진 부분을, 예컨대 에칭함으로써 형성된다. 에칭에 의한 비아 홀(19)의 형성 과정에서는,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이 제1 방향(d1)에 대하여 경사진다. 또한,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표면 상태가 거칠어진다. 이로 인해, 번잡한 처리를 요하지 않고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에서 보다 넓은 표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5) As described above, each via hole (19) is formed, for example, by etch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etal support (10).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via hole (19) by etch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1). In addition,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becomes rough. Due to this, it becomes possible to secure a wider surface area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without requiring complicated processing.

(6) 금속 지지체(10)는, 당해 상기 금속 지지체(10)와 피복층(11)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피복층(11)이 금속 지지체(10)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10)와 도체층(50)과의 사이의 절연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재배선 기판(10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금속 지지체(10)와 피복층(11)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는,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티탄 및 몰리브덴 등을 들 수 있다.(6)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support (10) include a component that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vering layer (11). In this case, the covering layer (11) is prevented from peeling off the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As a result, since the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nductor layer (50) is secured, the reliability of the rewiring substrate (100) is improved. As a component that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vering layer (11), copper, aluminum, nickel, chromium, titanium, molybdenum,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8. 다른 실시형태8. Other embodiments

(1)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선 기판(100)에서는, 금속 지지체(10)와 도체층(50)과의 사이의 절연성을 얻기 위하여, 금속 지지체(10)의 외표면에 피복층(1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금속 지지체(10)와 도체층(50)과의 사이의 절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 지지체(10)의 외표면과 피복층(11)과의 사이에, 금속 지지체(10)의 외표면과 피복층(11)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밀착성 강화층이 형성되어도 된다.(1) In the rewiring substrate (10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n order to obtain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nductor layer (50), a covering layer (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Here,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nductor layer (50), an adhesion reinforcing layer that improves adhes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vering layer (11)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vering layer (11).

도 28은, 밀착성 강화층을 구비하는 재배선 기판(100)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8에서는, 재배선 기판(100) 중 금속 지지체(10)의 하나의 비아 홀(19) 및 그의 주변부의 단면이 확대되어 나타내어진다. 도 28의 예에서는,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하면(10b) 및 내주면(10c)과 피복층(11)과의 사이에, 밀착성 강화층(12)이 형성되어 있다.Fig. 2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wiring substrate (100) having an adhesion reinforcing layer. In Fig. 28, a cross-section of one via hole (19) of a metal support (10) in the rewiring substrate (100) and its surrounding area is shown in an enlarged manner. In the example of Fig. 28, an adhesion reinforcing layer (12)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10a), the lower surface (10b), and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vering layer (11).

밀착성 강화층(12)은, 금속 지지체(10)와 피복층(11)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고, 예컨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하면(10b) 및 내주면(10c)에 대하여 스퍼터링 또는 화학 기상 성장법 등을 이용한 성막 처리를 행함으로써 형성된다. 혹은, 밀착성 강화층(12)은, 금속 지지체(10)와 피복층(11)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고, 예컨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하면(10b) 및 내주면(10c)에 대하여 양극 산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함으로써 형성된다.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12) contains a component that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vering layer (11), and is formed, for example, by performing a film deposition process using sputtering or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on the upper surface (10a), the lower surface (10b), and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metal support (10). Alternatively,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12) contains a component that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vering layer (11), and is formed, for example, by performing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nodizing process on the upper surface (10a), the lower surface (10b), and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metal support (10).

이 경우, 밀착성 강화층(12)에 의해 금속 지지체(10)와 피복층(11)과의 사이의 밀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피복층(11)이 금속 지지체(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금속 지지체(10)와 도체층(50)과의 사이의 절연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금속 지지체(1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In this case, since the adhes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vering layer (11) is improved by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12), the covering layer (11) is prevented from peeling off from the metal support (10). As a result, since the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conductor layer (50) is secured, the reliability of the metal support (10) is improved.

여기에서, 밀착성 강화층(12)이 크롬 또는 알루미늄의 산화물로 구성되는 경우, 밀착성 강화층(12)에서의 크롬 또는 알루미늄의 산화물의 함유량은, 5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12) is composed of an oxide of chromium or aluminum, the content of the oxide of chromium or aluminum in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12) is preferably 50 wt% or less.

크롬 및 알루미늄은, 산화함으로써 열전도율이 저하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밀착성 강화층(12)에서의 크롬 또는 알루미늄의 산화물의 함유량이 50중량%보다도 큰 경우에 비하여, 밀착성 강화층(12)의 열전도율의 저하가 저감된다. 따라서, 밀착성 강화층(12)에 의한 반도체 소자(700) 및 리지드 기판(800)의 방열 효율의 저하가 저감된다.Chromium and aluminum have lower thermal conductivity when oxidized.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ecrease in thermal conductivity of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12) is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of chromium or aluminum oxide in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12) is greater than 50 wt%. Accordingly, the decrease in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and the rigid substrate (800) due to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12) is reduced.

(2)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선 기판(100)에서, 피복층(11)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하면(10b) 및 내주면(10c)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피복층(11)은, 금속 지지체(10)의 비아 홀(19)의 내주면(10c),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중 제1 도체층(51)이 형성되는 영역, 및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중 제3 도체층(61)이 형성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도 된다.(2) In the rewiring substrate (10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covering layer (11) is formed 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10a), lower surface (10b), and inner surface (10c) of the metal support (10).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e covering layer (11) may be formed only on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of the metal support (10), th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where the first conductive layer (51) is formed, and the region of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where the third conductive layer (61) is formed.

(3)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피복층(11)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서, 제1 도체층(51)과 금속 지지체(10)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복층(11)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서, 제1 도체층(51)의 일부가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과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에 직접 접촉하는 제1 도체층(51)의 부분을,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상에 마련되는 전자 부품과 금속 지지체(10)와의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시키기 위한 열전달용 배선(서멀 배선)으로 할 수 있다.(3) The covering layer (11)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used to secure insulation between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and the metal support (10)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vering layer (11)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In this case, the part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51)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can be used as a heat transfer wiring (thermal wiring) for efficiently transferring heat between an electronic componen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metal support (10).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피복층(11)은,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에서, 제3 도체층(61)과 금속 지지체(10)와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복층(11)은,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서, 제3 도체층(61)의 일부가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에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에 직접 접촉하는 제3 도체층(61)의 부분을,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상에 마련되는 전자 부품과 금속 지지체(10)와의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시키기 위한 열전달용 배선(서멀 배선)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ing layer (11)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used to secure insulation between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and the metal support (10)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vering layer (1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so that a part of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directly contacts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In this case, the part of the third conductor layer (61) that directly contacts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can be used as a heat transfer wiring (thermal wiring) for efficiently transferring heat between an electronic componen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and the metal support (10).

(4)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재배선 기판에 적용한 예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아 홀을 포함하는 다른 배선 회로 기판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선 기판(100)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일부를 구성하여도 된다.(4) The above embodiment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 rewiring substr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other wiring circuit boards including via holes. In addition, the rewiring substrate (10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may constitute a part of a semiconductor package substrate.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층(20)이 제1 절연층(21) 및 제2 절연층(22)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연층(20)이 단일의 절연층이어도 되고, 다른 수의 절연층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층(30)이 제3 절연층(31) 및 제4 절연층(32)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연층(30)이 단일의 절연층이어도 되고, 다른 수의 절연층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 도체층(50)의 형상은, 절연층(20, 30)의 구성에 따라 정해진다.(5)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sulating layer (20) is formed by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sulating layer (20) may be a single insulating layer, or may be formed by a different number of insulating layers.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sulating layer (30) is formed by the third insulating layer (31) and the fourth insulating layer (3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sulating layer (30) may be a single insulating layer, or may be formed by a different number of insulating layers. In these cases, the shape of the conductor layer (5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20, 30).

(6)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선 기판(100)에서는,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단면에서의 윤곽선(OL)이 만곡된 곡선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아 홀(19)의 내주면(10c)의 단면에서의 윤곽선(OL)은, 제1점(P1) 및 제2점(P2)을 연결하는 직선이어도 된다.(6) In the rewiring substrate (10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outline line (OL) in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is a curved li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outline line (OL) in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0c) of the via hole (19) may be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9.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와 실시형태의 각 부와의 대응 관계9. Correspondence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claim and each part of the embodiment

이하,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와 실시형태의 각 요소와의 대응례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로서,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또는 기능을 갖는 다른 각종의 요소를 이용할 수도 있다.Hereinafter, the correspondence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claim and each element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s each component of the claim, various other elements having the configuration or function described in the claim may also be use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소자(700) 및 리지드 기판(800)이 전자 부품의 예이고, 재배선 기판(100)이 배선 회로 기판의 예이며, 금속 지지체(10)의 상면(10a) 또는 하면(10b)이 제1 면의 예이고, 금속 지지체(10)의 하면(10b) 또는 상면(10a)이 제2 면의 예이며, 비아 홀(19)이 비아 홀의 예이고, 금속 지지체(10)가 금속 지지체의 예이며, 피복층(11)이 절연 피복층의 예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and the rigid substrate (800) are examples of electronic components, the rewiring substrate (100) is an example of a wiring circuit board, the upper surface (10a) or the lower surface (10b) of the metal support (10) is an example of a first surface, the lower surface (10b) or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etal support (10) is an example of a second surface, the via hole (19) is an example of a via hole, the metal support (10) is an example of a metal support, and the covering layer (11) is an example of an insulating covering layer.

또한, 도체층(50)이 도체층의 예이고, 제1 방향(d1)이 제1 방향의 예이며, 제1 점(P1)이 제1 점의 예이고, 제2 점(P2)이 제2 점의 예이며, 제3 점(P3)이 제3 점의 예이고, 윤곽선(OL)이 윤곽선의 예이며, 제2 방향(d2)이 제2 방향의 예이다.In addition, the conductor layer (50) is an example of a conductor layer, the first direction (d1) is an example of a first direction, the first point (P1) is an example of a first point, the second point (P2) is an example of a second point, the third point (P3) is an example of a third point, the outline (OL) is an example of an outline, and the second direction (d2) is an example of a second direction.

또한, 복수의 굴곡점(CP)이 복수의 굴곡점의 예이고, 밀착성 강화층(12)이 밀착성 강화층의 예이며, 반도체 소자(700)가 제1 전자 부품의 예이고, 리지드 기판(800)이 제2 전자 부품의 예이며, 임시 피복층(11a)이 임시 절연 피복층의 예이고, 제1 임시 피복층(11b)이 제1 절연 피복층의 예이며, 제2 임시 피복층(11c)이 제2 절연 피복층의 예이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ending points (CP) are examples of the plurality of bending points,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12) is an example of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the semiconductor element (700) is an example of the first electronic component, the rigid substrate (800) is an example of the second electronic component, the temporary covering layer (11a) is an example of the temporary insulating covering layer, the first temporary covering layer (11b) is an example of the first insulating covering layer, and the second temporary covering layer (11c) is an example of the second insulating covering layer.

Claims (17)

전자 부품이 접속되는 배선 회로 기판으로서,
서로 반대를 향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함과 함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으로 관통하는 비아 홀을 포함하는 금속 지지체와,
상기 금속 지지체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덮음과 함께 상기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도록 형성된 절연 피복층과,
상기 금속 지지체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상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절연 피복층을 개재하여 상기 비아 홀 내에 형성되는 도체층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지지체에는, 상기 금속 지지체의 두께 방향인 제1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비아 홀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단면이 정의되며,
상기 단면은, 상기 비아 홀의 내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윤곽선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선은, 상기 제1 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점과,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점과,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점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점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지지체의 상기 비아 홀은, 상기 금속 지지체의 두께(D)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3 점과의 사이의 거리(A1)와,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3 점과의 사이의 거리(A2)가, (A1+A2)/D≥0.25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형성된, 배선 회로 기판.
As a wiring circuit board to which electronic components are connected,
A metal support includ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facing each other and a via hole penetrating from the first side to the second side,
An insulating coating layer formed to c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whil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nd formed within the via hole with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metal support has a cross-section defined that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and also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via hole.
The above cross-section includes an outline representing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The above outline includes a first point located on the first surface, a second point loca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third poin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n the first direction,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the via hole of the metal support is formed such that a thickness (D) of the metal support, a distance (A1)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hird point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distance (A2)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hird point in the second direction satisfy a relationship of (A1+A2)/D≥0.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지지체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인, 배선 회로 기판.
In the first paragraph,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metal support is 10 ㎛ or more and 100 ㎛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선은, 복수의 굴곡점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선 상에서 연속하여 배열되는 각 3개의 굴곡점을 정점으로 하는 복수의 삼각형이 정의되며,
각 삼각형을 형성하는 3개의 굴곡점 중 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2개의 굴곡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저변으로 하여 상기 삼각형의 높이를 산출한 경우에, 산출되는 상기 복수의 삼각형의 복수의 높이 중 가장 큰 높이는, 0.6㎛ 이상인, 배선 회로 기판.
In paragraph 1 or 2,
The above outline includes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 plurality of triangles are defined, each having three consecutively arranged bend points as vertices on the above outline.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when the height of a triangle is calculated using a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non-center inflection points among three inflection points forming each triangle as a base, the largest height among the plurality of heights of the plurality of triangles calculated is 0.6 ㎛ or mor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지지체의 열전도율은, 10W/mK 이상인, 배선 회로 기판.
In any one of claims 1 to 3,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etal support is 10 W/mK or mor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지지체의 선팽창률은, 0㎛/K 이상 25㎛/K 이하인, 배선 회로 기판.
In any one of claims 1 to 4,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metal support is 0 ㎛/K or more and 25 ㎛/K or les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층은, 상기 금속 지지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금속 지지체는, 상기 금속 지지체에 대한 상기 절연 피복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배선 회로 기판.
In any one of paragraphs 1 to 5,
The above insulating coating layer is formed to contact the metal support,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the metal support includes a component that improves the adhes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o the metal suppor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지지체와 상기 절연 피복층과의 사이에서 상기 금속 지지체 및 상기 절연 피복층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금속 지지체에 대한 상기 절연 피복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밀착성 강화층을 더 구비하는, 배선 회로 기판.
In any one of paragraphs 1 to 5,
A wiring circuit board further comprising an adhesion reinforcing layer formed between the metal support and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so as to contact the metal support and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including a component that improves adhes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o the metal suppo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성 강화층은, 크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성 강화층에서의 크롬 또는 알루미늄의 함유량은, 50중량% 이하인, 배선 회로 기판.
In Article 7,
The above adhesion reinforcing layer contains chromium or aluminum,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the content of chromium or aluminum in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is 50 wt% or less.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층은,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전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전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배선 회로 기판.
In any one of claims 1 to 8,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the conductor layer is formed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and is formed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전자 부품이 접속되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서로 반대를 향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금속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판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으로 관통하는 비아 홀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지지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 지지체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덮음과 함께 상기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도록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 지지체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상에 도체층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절연 피복층을 개재하여 상기 비아 홀 내에 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에 상기 비아 홀을 형성하는 공정은,
제작되게 되는 상기 금속 지지체에, 상기 금속 지지체의 두께 방향인 제1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비아 홀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단면이 정의되며,
상기 단면이, 상기 비아 홀의 내주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윤곽선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선이, 상기 제1 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점과,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점과,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점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점을 포함한다고 하였을 경우에,
상기 금속 지지체의 두께(D)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3 점과의 사이의 거리(A1)와,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3 점과의 사이의 거리(A2)가, (A1+A2)/D≥0.25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상기 금속판에 상기 비아 홀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to which electronic components are connected,
A process for preparing a metal plate including first and second sides facing each other,
A process for forming a metal support by forming a via hole penetrating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in the metal plate;
A process for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so as to cover an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whil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 process of forming a conductor layer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nd forming a conductor layer within the via hole by interposing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he process of forming the via hole in the above metal plate is:
In the metal support to be manufactured, a cross-section is defined that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and also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via hole.
When the above cross-section includes an outline representing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and the outline includes a first point located on the first surface, a second point loca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third poin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n the first direc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comprising forming a via hole in the metal plate such that a thickness (D) of the metal support, a distance (A1)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hird point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distance (A2)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hird point in the second direction satisfy a relationship of (A1+A2)/D≥0.2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선은, 복수의 굴곡점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선 상에서 연속하여 배열되는 각 3개의 굴곡점을 정점으로 하는 복수의 삼각형이 정의되며,
상기 금속판에 상기 비아 홀을 형성하는 공정은,
각 삼각형을 형성하는 3개의 굴곡점 중 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2개의 굴곡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저변으로 하여 상기 삼각형의 높이를 산출한 경우에, 산출되는 상기 복수의 삼각형의 복수의 높이 중 가장 큰 높이가, 0.6㎛ 이상이 되도록, 상기 금속판에 상기 비아 홀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In Article 10,
The above outline includes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 plurality of triangles are defined, each having three consecutively arranged bend points as vertices on the above outline.
The process of forming the via hole in the above metal plate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via hole in the metal plate such that, when calculating the height of the triangle using a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non-center-located inflection points among three inflection points forming each triangle as a base, the largest height among the plurality of heights of the plurality of triangles calculated is 0.6 ㎛ or more.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에 상기 비아 홀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금속판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에칭에 의해 상기 비아 홀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In clause 10 or 11,
The process of forming the via hole in the above metal plate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further comprising forming the via hole by etch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plate.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금속 지지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을 준비하는 공정은, 상기 금속 지지체에 대한 상기 절연 피복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판을 상기 금속판으로서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In any one of Articles 10 to 12,
The process of forming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ncludes forming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so as to contact the metal suppor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the process for preparing the metal plate includes preparing a metal plate as the metal plate, the metal plate including a component that improves the adhes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o the metal support.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층의 형성 전에, 상기 금속 지지체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음과 함께 상기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도록, 또한 상기 금속 지지체에 접촉하도록 밀착성 강화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밀착성 강화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밀착성 강화층 상에 상기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밀착성 강화층은, 상기 금속 지지체에 대한 상기 절연 피복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In any one of Articles 10 to 12,
Before forming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he process of forming an adhesion reinforcing layer so as to c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and to contact the metal support, whil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is further includ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above insulating coating layer is as follows:
Including forming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on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so as to contact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the adhesion reinforcing layer includes a component that improves the adhes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to the metal support.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금속 지지체의 상기 제1 면, 상기 금속 지지체의 상기 제2 면 및 상기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음과 함께, 상기 비아 홀의 내부 공간을 메우도록, 임시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비아 홀 내에 형성된 상기 임시 절연 피복층의 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In any one of Articles 10 to 14,
The process of forming the above insulating coating layer is as follows:
Forming a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to cover the first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and to fill the inner space of the via hol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comprising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a portion of the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formed within the via hole.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비아 홀을 막지 않고 상기 금속 지지체의 외표면 상에 상기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In any one of Articles 10 to 14,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where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includes forming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without blocking the via hole.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비아 홀이 형성되기 전의 상기 금속판의 상기 제1 면을 덮도록 제1 임시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금속 지지체의 형성 후, 상기 금속 지지체의 상기 제2 면 및 상기 비아 홀의 내주면을 덮음과 함께, 상기 비아 홀의 내부 공간을 메우도록 제2 임시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비아 홀 내에 형성된 상기 제2 임시 절연 피복층의 부분,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비아 홀에 겹쳐지는 상기 제1 임시 절연 피복층의 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In any one of Articles 10 to 14,
The process of forming the above insulating coating layer is as follows:
Forming a first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to cover the first surface of the metal plate before the via hole is formed;
After the formation of the metal support, a second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is formed to cover the second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and to fill the inner space of the via hol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ing circuit board, comprising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layer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a portion of the second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formed within the via hole and a portion of the first temporary insulating coating layer overlapping the via hole in the first direction.
KR1020247031053A 2022-02-16 2022-12-28 Wiring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ending KR2024014769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22465 2022-02-16
JPJP-P-2022-022465 2022-02-16
PCT/JP2022/048683 WO2023157502A1 (en) 2022-02-16 2022-12-28 Wiring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7692A true KR20240147692A (en) 2024-10-08

Family

ID=8757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31053A Pending KR20240147692A (en) 2022-02-16 2022-12-28 Wiring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3157502A1 (en)
KR (1) KR20240147692A (en)
CN (1) CN118715876A (en)
TW (1) TW202344157A (en)
WO (1) WO2023157502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9291A (en) 2002-11-26 2004-06-24 Ibiden Co Ltd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5593A (en) * 1996-10-31 1998-05-22 Shirai Denshi Kogyo Kk Printed circuit substrate
JP2006100631A (en) * 2004-09-30 2006-04-13 Tdk Corp Wiring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8028376A (en) * 2006-06-20 2008-02-07 Sanyo Electric Co Ltd Circuit board, semiconductor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ircuit board
WO2008069260A1 (en) * 2006-11-30 2008-06-12 Sanyo Electric Co., Ltd. Circuit element mounting board, circuit device using the same, and air conditioner
KR20120072801A (en) * 2010-12-24 2012-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Board for radiating heat using electro-deposition coa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48319A1 (en) * 2012-08-14 2014-02-20 Bridge Semiconductor Corporation Wiring board with hybrid core and dual build-up circuitries
US20160192488A1 (en) * 2014-12-30 2016-06-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ircuit board, multilayered substrate having the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ircuit board
KR102435124B1 (en) * 2015-10-07 2022-08-24 삼성전기주식회사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9291A (en) 2002-11-26 2004-06-24 Ibiden Co Ltd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44157A (en) 2023-11-01
CN118715876A (en) 2024-09-27
JPWO2023157502A1 (en) 2023-08-24
WO2023157502A1 (en)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4028B2 (en) Flexible circuit substrate for flip-chip-on-flex applications
US770172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TWI413461B (en) Method of manufacturing wiring board
CN101673724B (en) Interconnect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EP2066160B1 (en) Wiring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 device
WO2008112318A2 (en) Fine pitch microcontacts and method for forming thereof
JP4900624B2 (en) Circuit equipment
KR100401355B1 (en) Circuit board
US7943863B2 (en) Wiring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miconductor device
KR20240147692A (en) Wiring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40147693A (en) Wiring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467540B2 (en) Circuit equipment
US6465745B1 (en) Micro-BGA beam lead connection
US20220013455A1 (en) Wir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substrate
JP2024540677A (en) Circuit Board
CN108461405B (en) Circuit carrier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4078787A (en)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935822B2 (en) Wiring substrate having metal post offset from conductor p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substrate
TW202326956A (en) Redistribution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TWI343108B (en) Structure of integrated active component within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23180812A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semiconductor module, and semiconductor module manufacturing method
JP2025067408A (en) Wiring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wiring circuit board
JP2024094622A (en) Wired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50029349A (en) Semiconductor packag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25067363A (en) Wiring circuit board and wiring circuit board gro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