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4996A - 프린트헤드 정렬 - Google Patents

프린트헤드 정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4996A
KR20240124996A KR1020247023980A KR20247023980A KR20240124996A KR 20240124996 A KR20240124996 A KR 20240124996A KR 1020247023980 A KR1020247023980 A KR 1020247023980A KR 20247023980 A KR20247023980 A KR 20247023980A KR 20240124996 A KR20240124996 A KR 20240124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inthead assembly
nozzle plate
tile
print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디. 태프
크리스토퍼 뷔히너
Original Assignee
카티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티바, 인크. filed Critical 카티바,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12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499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41J25/003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for changing the angle between a print element array axis and the printing line, e.g. for dot density ch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15Moving nozzle or nozzle plate

Landscapes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잉크젯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는 복수의 노즐을 갖는 프린트헤드, 프린트헤드에 부착된 노즐 플레이트, 및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에 의해 노즐 플레이트에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은 3개의 독립적인 치수들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노즐 플레이트의 독립적인 위치 지정을 제공한다.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는 정렬 특징부들을 갖는 유체 매니폴드와 프린트헤드들 사이에 유체 연결부를 가진다.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는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타일 구조물을 가지며, 타일 구조물은 제2 섹션에 유연하게 결합되는 제1 섹션을 갖는다.

Description

프린트헤드 정렬
본 출원은 2021년 12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3/265,807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대형 기판에 재료를 적용하는 데 사용된다. 기판은 단단할 수도 있고 유연할 수도 있고 두껍거나 얇을 수도 있으며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기판은 다양한 유형의 유리로 만들어진 기판으로, TV 및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해 가공된다.
잉크젯 프린터는 기판에 증착하기 위한 인쇄 재료를 분배하는 노즐들이 있는 프린트헤드를 사용한다. 오늘날의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는 아주 작은 액적들의 인쇄 재료를 매우 높은 정확도로 증착하여 기판에 매우 작거나 매우 얇고 정밀하게 위치한 구조를 형성한다. 생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단일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데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프린트헤드가 사용된다. 최신 잉크젯 인쇄의 극도의 정밀도로 인해, 프린트헤드를 정밀하게 정렬하면 인쇄된 액적들이 원하는 위치에 떨어지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인쇄된 액적들의 크기가 10μm로 감소함에 따라 프린트헤드 정렬의 필요성이 증가한다.
때로는 산업용 규모의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헤드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오늘날의 프린트헤드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로 제공되며, 카트리지 하나에 여러 개의 프린트헤드들이 있고, 특정 프린터에 사용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에는 여러 개의 프린트헤드 카트리지들이 필요할 수 있다. 프린트헤드들과 카트리지들을 교체하는 동안 프린터 가동 중지 시간을 최소화하려면, 잉크 공급 구성요소 및 전기 구성요소와 안전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프린트헤드 카트리지들을 빠르게 제거하고 삽입하는 것이 유용하다. 카트리지들이 모두 서로 정렬될 수 있으면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잉크젯 프린터의 작동은 일반적으로 프린터 구성요소의 온도를 변화시킨다. 프린트헤드들 및 카트리지들의 경우 온도 변화는 노즐들의 정렬 및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경들로 인해 노즐들의 새 위치에 따라 프린터를 재보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작동 온도 범위에 따라 노즐들의 위치가 수 미크론만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실온에서, 프린트헤드가 하나의 프린트 카트리지 내에 설치되고 정렬될 수 있으며,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여러 개의 카트리지들이 조립될 수 있다. 생산 중에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의 온도가 상승하면 모든 프린트헤드들과 노즐들의 정렬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들을 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걸리는 교정 작업이 필요하고, 이는 생산 속도를 늦춘다. 이러한 변경들을 관리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만큼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산업용 규모의 잉크젯 프린터용 프린트헤드들의 매우 정확한 정렬을 달성,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잉크젯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는 복수의 노즐들을 갖는 프린트헤드, 프린트헤드에 부착된 노즐 플레이트, 및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에 의해 노즐 플레이트에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은 3개의 독립적인 치수들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노즐 플레이트의 독립적인 위치 지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실시예들은 잉크젯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는 지지 플레이트; 복수의 정렬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공급 플레이트; 지지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인쇄 타일들, 각각의 인쇄 타일은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프린트헤드는 복수의 노즐들을 포함함; 각각의 프린트헤드에 부착된 노즐 플레이트;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에 의해 노즐 플레이트에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은 3개의 독립적인 치수들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노즐 플레이트의 독립적인 위치 지정을 제공함; 및 공급 플레이트의 정렬 특징부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 특징부를 포함하는 유체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헤드 클러스터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프린트헤드 클러스터의 일부의 입면도(elevation view)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규모의 잉크젯 프린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타일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측면 입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타일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분해된 인쇄 타일의 개략적인 측면 입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조립된 인쇄 타일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 및 도 3b의 인쇄 타일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부분적으로 삽입된 인쇄 타일을 갖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의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입면도이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의 평면도이다.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는 복수의 프린트헤드들(102), 이 경우에는 3개의 프린트헤드들(102)을 갖고, 각각의 프린트헤드는 인쇄 재료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인쇄 노즐들을 갖는다. 단순화를 위해 노즐은 여기에 표시되지 않았다. 각각의 프린트헤드(102)는 노즐 플레이트(104)에 부착된다. 각각의 노즐 프레이트(104)는 노즐 플레이트(104)와 프린트헤드(102)를 클러스터(100)로 그룹화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6)에 부착된다.
각각의 노즐 플레이트(104)는 3개의 독립된 치수들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노즐 플레이트의 독립적인 위치 설정을 제공하는 3개의 패스너들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각각의 노즐 플레이트(104)는 긴 치수(110), 짧은 치수(112), 제1 단부(114), 및 긴 치수(110)를 따라 제1 단부(114)의 반대편에 위치된 제2 단부(116)를 갖는다. 제1 패스너(118)는 긴 치수(110)의 방향으로 노즐 플레이트의 중심축 상의 제1 단부(114)에 위치되고, 긴 치수(110)를 따라 노즐 플레이트(104)를 위치시키도록 작동 가능하다. 제1 단부(114)에는 긴 치수(110)에 대해 대칭인 노치(120)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노치(120)는 긴 치수(110)을 따라 연장되는 노즐 플레이트(104)의 중심축에 위치한 지점에 합쳐지는 2개의 직선 측면들을 가진다. 제1 패스너(118)는 노치(120)의 2개의 측면들에 동일한 힘을 제공함으로써 제1 단부(114)에 위치 결정력을 제공한다. 힘은 짧은 치수 방향으로 상쇄되고 긴 치수 방향으로 추가되어 제1 패스너(118)를 작동함으로써 긴 치수(110)의 방향으로 노즐 플레이트(104)를 위치시키는 능력을 제공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프린트헤드와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의 다른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치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일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약 20 x 10-6/K 미만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도 1b는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의 일부의 개략적인 입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플레이트(104)를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패스너(150)의 예와 함께 노즐 플레이트(104)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패스너(150)는 경사진 에지(154)를 갖는 원추형 헤드(152)를 갖는 원추형 나사이다. 패스너(150)는 원추형 헤드(152)가 노즐 플레이트(104)에 부딪치도록 위치된다. 원추형 나사(150)가 작동됨에 따라, 원추형 헤드(152)에 대한 노즐 플레이트(104)의 부딪힘 지점이 변경된다. 원추형 나사(150)가 전진함에 따라, 부딪힘 지점은 원추형 헤드(152)의 더 큰 반경 위치로 이동하여, 노즐 플레이트(104)를 원추형 나사(150)로부터 멀리 밀어내는 힘을 초래한다. 원추형 나사(150)가 후퇴됨에 따라, 노즐 플레이트(104) 상의 원추형 헤드(152)의 부딪힘 지점은 더 작은 반경의 위치로 이동하여, 원추형 나사(150)에 의해 노즐 플레이트(104)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킨다. 그러면 노즐 플레이트(104)에 대한 반대 힘이 노즐 플레이트(104) 상의 힘 균형의 변화에 따라 노즐 플레이트(104)를 원추형 나사(150) 쪽으로 밀어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추형 나사는 노즐 플레이트를 긴 치수(110)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패스너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a를 다시 참조하면, 노치(120)는 긴 치수(110)에 대해 대칭일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형상은 다각형, 원형 또는 불규칙할 수 있다.
제2 패스너(122)는 제2 단부(116)에 위치하고 짧은 치수(112)의 방향으로 노즐 플레이트(104)를 위치시키도록 작동 가능하다. 제2 패스너(122)는 제2 단부(116) 근처에서 노즐 플레이트(104)의 측면(124)을 따라 위치한다. 이 경우, 제2 패스너(122)가 제2 단부(116) 근처에서 노즐 플레이트(104)의 측면(124)을 따라 위치하기 때문에, 제2 패스너(122)는 노즐 플레이트(104)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노즐 플레이트(104)를 회전시키도록 작동 가능하다. 즉, 제2 패스너(122)를 작동시키면, 노즐 플레이트(104)의 긴 치수(110)와 짧은 치수(11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06)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임)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노즐 플레이트(10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패스너(122)가 작동됨에 따라, 제1 단부(114)가 제1 패스너(118)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2 단부(116)는 짧은 치수(112)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패스너(118)가 동시에 작동되지 않으면, 제1 패스너(118)는 긴 치수(110)에 대해 노즐 플레이트(104)의 위치를 유지하고, 제1 단부(114)의 위치를 유지하며, 반면, 제2 패스너(122)는 제2 단부(116)의 위치를 변경하여, 제1 패스너(118)의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노즐 플레이트(104)가 회전하게 된다. 제2패스너(122)가 노즐 플레이트(104)를 이동시키는 거리는 짧고, 따라서 제2 패스너(122)는 짧은 치수(1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즉, 구별적으로 비평행인) 준선형 방식으로 노즐 플레이트(104)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킨다. 제2 패스너(122)는 또한 노즐 플레이트(104)를 임의의 원하는 특징 또는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작동 가능하지만, 특히 각각의 노즐 플레이트(104)의 제2 패스너(122)는 노즐 플레이트(104)를 서로 정렬하도록 작동될 수 있어,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의 모든 노즐 플레이트(104)가 정렬될 수 있다. 각각의 노즐 플레이트(104)의 제1패스너(118)를 작동시켜,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의 모든 노즐 플레이트(104)는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을 정의하는 2개의 독립적인 치수로 정렬될 수 있다.
긴 치수(110)의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대향 부재(130)가 제공될 수 있다. 대향 부재(130)는 노즐 플레이트(104)의 제2 단부(116)에 위치되어 제2 단부(116)에 부딪친다. 대향 부재(130)는 제1 패스너(118)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노즐 플레이트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이다. 제1 패스너(118)가 작동되어 노즐 플레이트(104)를 제1 패스너(1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대향 부재(130) 쪽으로 강제함에 따라, 대향 부재(130)는 노즐 플레이트(102)가 제1 패스너(1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밀린다. 대향 부재(130)는 노즐 플레이트(104)가 제1 패스너(118)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복원 위치 에너지를 저장한다. 제1 패스너(118)가 작동되어 노즐 플레이트(104)가 제1 패스너(118)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대향 부재(130)에 저장된 복원 위치 에너지가 해제되어 노즐 플레이트(104)가 제1 패스너(118)를 향해 이동된다.
경우에 따라, 대향 부재(130)는 제1대향 부재일 수 있으며,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는 제2 패스너(120)가 작동되어 노즐 플레이트(104)가 제2 패스너(120)를 향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제2 패스너(120)를 향해 노즐 플레이트(104)를 이동시키는 유사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2 패스너(120)의 반대편에 위치된 제2 대향 부재(132)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대향 부재들(130, 132)은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부재일 수도 있고, 균일한 압축성 부재와 같은 다른 탄성 부재, 예를 들어 고무 마개(rubber stop)일 수도 있다.
대향 부재들(130, 132)는 온도 사이클 동안 열 팽창의 영향을 관리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의 구성요소의 열팽창은 구성요소의 치수 및 상대적 위치의 변화를 야기한다. 구성요소는 구성이 거의 동일하고 상대적인 위치가 가깝기 때문에 유사한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모든 노즐 플레이트들(104))은 거의 동일한 열 응답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노즐 플레이트(104)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크기가 커질 것이다. 노즐 플레이트(104)에 부딪히는 다양한 패스너들은 제 위치에 유지되므로 열팽창은 대향 부재들(130, 132)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킬 것이며, 이들은 항복하게 된다. 온도가 주기적으로 떨어지면, 노즐 플레이트(104)의 치수가 수축되면서 대향 부재들(130, 132)은 이완된다. 온도 사이클 전체에 걸쳐 정렬된 모든 노즐 플레이트들(104)을 효과적으로 유지한다.
긴 치수(110) 및 짧은 치수(112)의 방향과 무관한 제3 방향으로 노즐 플레이트(104)의 조정을 제공하기 위해 제3 패스너(140)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42)는 각각의 노즐 플레이트(104)의 제3 패스너(140)와 함께 사용되어 노즐 플레이트(104)의 제3 방향 위치를 조정한다. 이 경우, 2개의 패스너들(140)이 노즐 플레이트(104)를 제3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데 사용되며, 하나는 제1 단부(110)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제2 단부(112)에 위치한다. 2개의 패스너들(140)은 각각의 스페이서(142)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추가적으로 노즐 플레이트(104) 및 이에 부착된 프린트헤드(102)의 레벨링을 허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들(142)은 노즐 플레이트(104)와 베이스 플레이트(106) 사이, 일반적으로 제3 패스너(140)의 힘 영역 아래에 배치되어, 노즐 플레이트(104)를 제3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제3 패스너(140) 부근에 위치시킨다. 스페이서(142)는 제3 방향을 따라 노즐 플레이트(104)의 파라메트릭(parametric) 위치 설정을 허용하도록 임의의 원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례에서, 각각의 스페이서(142)는 25μm의 두께를 갖지만, 다른 다른 두께도 사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142)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페이서(142)는 일반적으로 노즐 플레이트(104)와 베이스 플레이트(106) 사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제3 방향에 대한 노즐 플레이트(104) 위치 및 각도에 어떤 조정이 필요한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42)가 단일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고, 일부 위치에서는 스페이서(142)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프린트헤드(102)가 부착된 노즐 플레이트(104)는 임의의 순서로 세 방향들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한 공정에서, 노즐 플레이트(104)는 베이스 플레이트(106)에 느슨하게 부착된다.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의 첫번째 노즐 플레이트(104)는 노치(120)에 있는 고정 위치 패스너(144)를 사용하여 긴 치수(110)에 대해 고정 위치에 설정된다. 프린트헤드(102)가 부착된 다른 노즐 플레이트들(104)은 제1 패스너들(118)을 사용하여 각각의 제1 단부(114)에서 제1 노즐 플레이트(104)와 정렬된다. 모든 노즐 플레이트들(104)의 제2 패스너들(122)은 모든 노즐 플레이트들(104)을 정렬하기 위해 작동되고, 모든 노즐 플레이트들(104)을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에지와 같은 표준 정렬로 정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3 패스너들(140)이 스페이서들(142)과 함께 작동되어 제3 방향에 대해 노즐 플레이트(104)를 정렬하고 수평을 유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6)는 후술할 타일 구조물의 기둥들을 수용하기 위한 4개의 리세스들(146)을 갖는다. 리세스들(146)은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가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에 인쇄 유체를 공급하고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쇄 타일에 통합되도록 한다.
인쇄 유체 도관들이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에 부착되어 프린트헤드(102)에 인쇄 유체를 공급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규모의 잉크젯 프린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타일 구성요소(200)의 개략적인 측면 입면도이다. 타일 구성요소(200)는 여기서 입면도에 도시된, 하나의 프린트헤드(102), 노즐 플레이트(104) 및 제1, 제2, 제3 패스너의 세트(118, 122, 140)를 갖는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를 포함한다. 공급 도관(202)은 프린트헤드(102)의 제1 측면(204)에 인접한 노즐 플레이트(104)에 부착되고 복귀 도관(206)은 프린트헤드(102)의 제2 측면(208)에 인접한 노즐 플레이트(104)에 부착된다. 공급 도관(202)은 인쇄 유체를 프린트헤드(102)로 가져오고, 복귀 도관(206)은 프린트헤드(102)로부터 인쇄 유체를 복귀시킨다. 따라서, 타일 구성요소(200)는 잉크젯 프린터용 인쇄 타일(도 2a에 도시되지 않음)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유체 구성요소이다. 공급 및 복귀 도관들(202 및 206)은 도 2a에 도시된 것과 관련된 위치에서 교환될 수 있다. 즉, 공급 도관(202)은 제2 측면(208)에 인접하게 부착될 수 있고 복귀 도관(206)은 제1 측면(204)에 인접하게 부착될 수 있다.
공급 도관(202) 및 복귀 도관(206)은 또한 타일 구성요소(200)를 인쇄 공급 시스템(미도시)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유체 매니폴드(210)에 부착된다. 도 2b는 타일 구성요소(2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유체 매니폴드(210)는 공급 도관(202) 및 복귀 도관(206)(도 2a)과 맞물리는 위치에 유체 공급 포트(212) 및 유체 복귀 포트(214)를 갖는다. 유체 공급 포트(212) 및 유체 복귀 포트(214) 각각은 인쇄 공급 시스템의 각각의 유체 노즐이 삽입될 때 밀봉되는 밀봉 면(215)을 갖는다. 인쇄 공급 시스템의 각각의 유체 노즐은 유체 공급 포트(212) 및 유체 복귀 포트(214)와의 유체 연결이 이루어질 때, 밀봉 압력으로 밀봉 면(215)과 접촉하는 숄더를 갖고, 유체 포트들(212, 214)과 인쇄 공급 시스템 사이의 연결을 밀봉한다.
유체 매니폴드(210)는 타일 구성요소(200)를 하나의 부재로 갖는 인쇄 타일의 설치를 돕는 2개의 정렬 특징부들(216)을 갖는다. 인쇄 타일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정렬 특징부들(216)은 유체 공급 포트(212)와 유체 복귀 포트(214) 사이에 위치되고, 이 경우 유체 공급 포트(212)와 유체 복귀 포트(214)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약간 변위되어 위치된다. 정렬 특징부들(216)은 유체 매니폴드(210)의 임의의 편리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정렬 특징부들(216)은 돌출부들 또는 오목부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정렬 특징부들(216)는 유체 매니폴드(210)를 인쇄 공급 시스템의 유체 공급 구성요소(도 2b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정렬하기 위한 정렬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들이다. 각각의 정렬 특징부(216)는 경사진 입구(217)를 가져서, 정렬 특징부들(216)을 갖는 타일 구성요소(200)를 갖는 인쇄 타일이 인쇄 공급 시스템에 삽입되어 맞물릴 때, 인쇄 공급 시스템과 정렬하기 위한 정렬 돌출부는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설치 중에 인쇄 타일을 정렬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정렬 특징부들(216) 내로 돌출된다.
유체 매니폴드(210)는 타일 구성요소(200)를 갖는 인쇄 타일을 인쇄 공급 시스템에 고정하기 위한 맞물림 특징부(218)를 갖는다. 이 경우, 맞물림 특징부(218)는 인쇄 타일과 인쇄 공급 시스템의 맞물림을 고정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형 리세스이다. 유체 매니폴드(210)는 유체 매니폴드(210)의 내부 표면(222)을 정의하는 외벽(220)을 갖는다. 일부 유체가 인쇄 타일을 제거하는 동안 인쇄 공급 시스템이나 공급 및 복귀 도관(202, 206) 내에서 봉쇄를 탈출하는 경우, 외벽(220)은 타일 구성요소(200)가 인쇄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될 때 유체 봉쇄를 제공하기 위해 내부 표면(222) 위로 상승된다. 맞물림 특징부(218) 내로의 유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맞물림 특징부(218)는 외벽(22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플랫폼(224)에 제공된다. 이 경우에 맞물림 특징부(218)로의 유체 침입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유체 매니폴드(210)가 인쇄 타일의 안전한 설치를 위해 맞물림 특징부(218)와 나사의 맞물림을 감지하기 위해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플랫폼(224)은 외벽(2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외벽(220)의 높이보다 약간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플랫폼(224)의 높이가 너무 낮은 경우, 인쇄 타일이 인쇄 공급 시스템에서 분리될 때 인쇄 유체가 맞물림 특징부(218)에 침입할 위험이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광학 센서(226)는 나사와 맞물림 특징부(218)의 맞물림을 감지하기 위해 유체 매니폴드(210)의 밑면(228)에 부착된다. 센서(226)는 유체 매니폴드(2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거나 판금(미도시)과 같은 중간 부재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완전히 맞물리면 나사는 광학 센서(226) 안으로 연장되어 광학 센서 내의 광원의 광학 경로를 가린다. 광학 센서 내부의 광검출기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유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빛이 있을 때 광검출기는 나사가 완전히 맞물리지 않았다는 신호를 보낸다. 빛이 없을 때 광검출기는 나사가 완전히 맞물렸다는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인쇄 타일이 인쇄 공급 시스템에 완전히 맞물렸다는 것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맞물림을 감지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센서는 밑면(228)에 부착되기보다는 유체 매니폴드(2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성 센서를 사용하여 나사와 맞물림 특징부 사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단, 나사와 맞물림 특징부 모두가 전기 전도성 요소를 갖고 있어야 한다.
타일 구성요소(200)는 전기 구성요소와 짝을 이루어(mated) 인쇄 타일을 형성한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분해된 인쇄 타일(300)의 개략적인 측면 입면도이다. 타일 구성요소(200)가 오른쪽에 도시되어 있다. 공급 도관(202)은 여기에서 볼 수 있고, 복귀 도관(206)은 이 도면에서 가려져 있다. 공급 도관(202)은 각각의 프린트헤드(102)에 대한 공급 튜브(350)를 통해 각각의 프린트헤드(102)에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공급 튜브(350)는 공급 튜브 매니폴드(352)를 통해 공급 도관(202)에 결합된다. 유사한 복귀 튜브 및 복귀 튜브 매니폴드는 각각의 프린트헤드(102)의 반대편에서 복귀 도관을 프린트헤드(102)에 결합된다.
왼쪽에 도시된 전기 구성요소(302)는 타일 구성요소(200)와 짝을 이루어 인쇄 타일(300)을 형성한다. 전기 구성요소(302)는 컨트롤 박스(306) 및 인터페이스 회로(308)를 지원하는 타일 구조물(304)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308)는 이 경우에 회로 기판으로서 구현된다. 배선은 인터페이스 회로(308)를 컨트롤 박스(306)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컨트롤 박스(306)는 프린트헤드(102)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전기 구성요소(302)가 타일 구성요소(200)와 짝을 이룰 때, 컨트롤 박스(306)를 프린트헤드(102)에 연결하기 위해 배선이 사용된다.
타일 구조물(304)은 아래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회로(308)를 지지하고 인터페이스 회로(308) 및 유체 매니폴드(210)에 정렬 지원을 제공하여 인쇄 타일(300)과 인쇄 공급 시스템의 빠르고 쉬운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제1 섹션(310)을 갖는다. 제1 섹션(310)은 4개의 상부 기둥들(316)(두 개가 도 3a에 표시됨)에 의해 연결된 제1 플레이트(312) 및 제2 플레이트(314)를 갖는다. 제1 플레이트(312)와 제2 플레이트(314)는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4개의 상부 기둥들(316)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제1 플레이트(312) 및 제2 플레이트(314)에 수직이다. 인터페이스 회로(308)는 제1 플레이트(312)로부터 제1 플레이트(31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섹션(3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인터페이스 지지 플레이트(318)에 의해 지지된다. 인터페이스 회로(308)는 인쇄 공급 시스템과의 쉬운 전기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지지 플레이트(318)에 대해 인터페이스 회로(308)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스페이서 마운트(320)에 의해 인터페이스 지지 플레이트(318)에 부착된다.
제1 섹션(310)의 제2 플레이트(314)는 타일 구조물(304)의 제2 섹션(322)에 부착되며, 이 섹션은 제2 플레이트(314)에 부착하기 위한 장착 플레이트(324)를 갖는다. 제2 플레이트(314) 및 장착 플레이트(324)는 제1 섹션(310)이 제2 섹션(322)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성을 갖는 유연한 패스너(326)를 사용하여 함께 고정된다. 유연한 패스너(326)는 탄성이 있어서 제1 섹션(310)과 제2 섹션(322)은 인쇄 공급 시스템과의 용이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약간 이동할 수 있지만 제1 섹션(310)과 제2 섹션(322)은 함께 단단히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연한 패스너(326)는 스프링 숄더 나사이지만, 임의의 유연한 패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섹션(310)이 제2 섹션(322)에 부착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전기 구성요소(302)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유연한 패스너(326)는 장착 플레이트(324)와 제2 플레이트(314) 사이에 나사(327)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325)이 배치된 스프링 숄더 나사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섹션(310)은 제2 섹션(322)에 부착된 상태로 스프링들(325) 상에서 탄력적으로 부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프링들(325)은 플레이트들(314, 324)이 떨어지게 유지하는 나사들(327)과 함께 인장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유연한 패스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제2 섹션(322)은 제2 섹션(322)의 둘레를 정의하기 위해 장착 플레이트(324)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하부 기둥들(329)을 가지며, 이 경우에는 제2 섹션(322)의 둘레는 상부 기둥들(316)에 의해 정의된 제1 섹션(310)의 둘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하부 기둥들(329)은 전기 구성요소(302)를 타일 구성요소(200)와 통합하기 위해 프린트헤드 클러스터(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리세스들(146)(도 1a) 내로 연장되어, 하나의 단위로서 조작될 수 있는 인쇄 타일(300)이 형성된다.
제2 섹션(322)은 또한 4개의 하부 기둥들(324)에 부착되는 컨트롤 박스 지지 플레이트(312)를 갖는다. 컨트롤 박스 지지 플레이트(312)는 컨트롤 박스(306)를 지지하고 전기 구성요소(302)가 타일 구성요소(200)와 짝을 이룰 때 제2 섹션(322)과 인쇄 타일(300)에 강성을 제공한다.
도 3b는 조립된 타일(300)의 평면도이다. 제1 플레이트(310)는 유체 매니폴드(210) 및 인터페이스 회로(308)의 연결 에지(328)가 인쇄 공급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타일(300)이 조립될 때 유체 매니폴드(210)에 대한 측면 지지 및 위치 지정을 제공하기 위해 창(330)이 패스너들(332)에 의해 제1 플레이트(310)에 부착된다. 제1 플레이트(310)는 또한 인쇄 공급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해 돌출되는, 선택적으로 관통하는 연결 에지(328)용 개구(334)를 갖는다. 개구(334)는 연결 에지(328)가 인쇄 공급 시스템의 커넥터와 맞물릴 수 있도록 연결 에지(328) 주위에 공간 공차를 갖는다.
제1 플레이트(312)는 적절한 방향으로 인쇄 타일(300)의 설치를 보장하기 위한 배향 특징부(336)를 갖는다. 인쇄 타일(300)은 인쇄 타일(300)을 지지하고, 작동 중에 인쇄를 위해 인쇄 타일(300)을 위치시키고, 인쇄 타일(300)이 맞물리는 인쇄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된다.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는 인쇄 타일(300)이 올바르게 설치되도록 보장하는 매칭(matching) 배향 특징부를 가진다. 여기서, 배향 특징부(336)는 제1 플레이트(312)의 에지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이 경우, 배향 특징부(336)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제1 플레이트(312)의 긴 에지로부터 돌출된다. 제1 플레이트(312)는 임의의 편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배향 특징부(336)는 제1 플레이트(312) 상의 임의의 편리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배향 특징부(336)는 반원형 형상을 갖지만, 배향 특징부(336)는 임의의 편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돌출부 대신 오목부가 배향 특징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수의 배향 특징부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배향 특징부(336)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부분적으로 삽입된 인쇄 타일을 갖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의 프린트헤드 어셈블리(400)의 개략적인 입면도이다. 프린트헤드 어셈블리(400)는 지지 플레이트(402)와 공급 플레이트(404)를 갖는다. 인쇄 공급 시스템(406)은 공급 플레이트(404)의 제1 면에 배치되고, 공급 플레이트(404)를 통해 인쇄 타일(300)에 연결된다. 지지 플레이트(402)는 삽입되고 연결된 인쇄 타일(300)을 지지한다. 복수의 인쇄 타일(300)이 삽입되어 프린트헤드 어셈블리(400)를 제공한다.
인쇄 타일(300)은 지지 플레이트(402)를 통해 삽입되고 인쇄 공급 시스템(406)과 연결될 때까지 공급 플레이트(404)를 향해 전진된다. 가이드들은 지지 플레이트(402)를 통해 공급 플레이트(404)에 인쇄 타일(300)을 삽입하는 것을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공급 플레이트(404)와 마주보는 지지 플레이트(402)의 측면에 공급 플레이트(404)를 향해 연장되는 제1 가이드(408)가 부착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408)는 판형 구조물이지만, 다른 경우에 한 쌍의 레일일 수 있고, 하나의 레일은 제1 가이드(408)는 인쇄 타일(300)의 각 측면을 안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408)가 인쇄 타일(300)의 반대 측면들에 사용된다(이 도면에서는 단 하나의 제1 가이드(408)만 보인다). 어떤 경우에는 직사각형 인쇄 타일(300)의 각 측면에 대해 하나씩 4개의 제1 가이드들(408)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가이드(408)는 인쇄 타일(300)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상화된다. 여기서 인쇄 타일(300)은 직사각형이므로 제1 가이드(408)는 직사각형 인쇄 타일(300)의 측면에 일치하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경우에, 인쇄 타일(300)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쇄 타일(300)이 일반적으로 다면체 형상을 갖는 경우, 제1 가이드(408)는 인쇄 타일(300)의 측면을 따라 가이드하기 위해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제1 가이드(408)는 인쇄 타일(300)의 에지를 따라 가이드하기 위해 레일형일 수 있다. 인쇄 타일(300)이 곡선형 측면을 갖는 경우, 제1 가이드(408)는 일치하도록 곡선화될 수 있다. 제1 가이드(408)는 인쇄 타일(300)의 삽입 경로를 둘러싸는 복수의 개별 플레이트 또는 단일 상자형 구조물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가이드(408)는 또한 부분적으로 불연속적인 판형 구조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바 또는 로드에 의해 연결된 2개의 가이드 레일일 수 있다. 제1 가이드(408)는 또한 부분적으로 불연속적인 상자형 구조물,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402)로부터 공급 플레이트(404)를 향해 연장되는 4개의 가이드 레일들일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들은 바들(bars) 또는 로드들(rods)에 의해 직사각형 형태로 연결된다. 제1 가이드(408)는 일반적으로 인쇄 타일(300)이 지지 플레이트(402)를 통해 공급 플레이트(404)를 향해 삽입될 때 인쇄 타일(300)의 직선 배향을 유지한다.
지지 플레이트(402)와 마주보는 공급 플레이트(404)의 측면에 지지 플레이트(40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410)가 부착된다. 제2 가이드(410)는 인쇄 타일(300)이 공급 플레이트(404) 및 인쇄 공급 시스템(406)의 다양한 연결 특징부들과 정합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판형 구조물들(411)을 갖고, 각각은 경사진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제2 가이드(410)는 지지 플레이트(402)를 향하는 공급 플레이트(404)의 측면에 부착되는 단일 부재이고, 지지 플레이트(402)를 향해 연장되는 판형 구조물들(411)을 갖는다. 제2 가이드(410)의 판형 구조물들(411) 중 3개는 도 4b에서 볼 수 있다. 제2 가이드(410)는 4개의 판형 구조물들(411)을 갖고, 그러나 도 4b의 도면에서는 공급 플레이트(404) 및 인쇄 공급 시스템(406)과 관련된 인쇄 타일(300)의 세부사항을 보여주기 위해 가장 가까운 판형 구조물(411)이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각각의 판형 구조물(411)은 인쇄 타일(300)을 향해 안쪽을 향하는 내부 표면(412)을 갖는다. 각각의 판형 구조물(411)에 대해, 내부 표면(412)은 내부 표면(412)이 공급 플레이트(404)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인쇄 타일(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즉, 각각의 판형 구조물(411)은 넓은 단부(413)와 좁은 단부(415)를 가지며, 넓은 단부(413)는 공급 플레이트(404)에 인접하고 좁은 단부(415)는 넓은 단부(413)의 반대편에 있다. 인쇄 타일(300)이 공급 플레이트(404)를 향해 전진함에 따라, 판형 구조물(411)의 경사진 내부 표면(412)은 판형 구조물(411)의 넓은 단부(413)를 향해 인쇄 타일(300)의 위치 자유도를 좁혀 인터페이스 회로(308)의 유체 매니폴드(210)와 연결 에지(328)(도 3b)가 인쇄 공급 시스템(406)의 유체 및 전기 특징부들과 연결될 수 있는 위치로 인쇄 타일(300)을 안내한다.
공급 플레이트(404)는 정렬 특징부(216)(도 2b)와 맞물리는 2개의 정렬 특징부들(414)을 갖는다. 정렬 돌출부(414), 이 경우 돌출부들은 인쇄 타일(300)이 인쇄 공급 시스템(406)과 맞물리도록 전진할 때 유체 매니폴드(210)의 정렬 특징부들(216)(도 2b)과의 맞물림을 보장하도록 뾰족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유형의 정렬 특징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410)와 정렬 특징부들(414) 및 정렬 특징부(216)의 맞물림은 제2 섹션(322)에 대한 제1 섹션(310)의 유연한 장착과 함께 인쇄 타일(300)을 수동적으로 좁은 공차로 인쇄 공급 시스템(406)의 유체 및 전기 연결부 쪽으로 안내하여, 맞물림 특징부(218)(도 2b)를 공급 플레이트(404)를 통해 배치된 맞물림 나사(416)와 접촉시키고, 유체 매니폴드(210)의 유체 포트들(212 및 214)(도 2b)과 인터페이스 회로(308)의 연결 에지(328)를 인쇄 공급 시스템(406)의 대응 특징부와 근접하게 연결시킨다. 맞물림 나사(416)는 맞물림 나사(416)의 작동이 인쇄 타일(300)을 인쇄 공급 시스템(406)과 안전한 유체 및 전기 접촉으로 강제하도록 공급 플레이트(406) 내에 고정되어 있다. 유체 매니폴드(210)의 다양한 정렬 특징부들과 제1 및 제2 가이드(408, 410)와 함께 인쇄 타일(300) 상의 인터페이스 회로(308)의 정확한 위치 지정은 인쇄 타일(300)을 프린트헤드 어셈블리(400)에 삽입하고 인쇄 타일(300)을 인쇄 공급 시스템(406)과 빠르고 쉽게 연결하게 한다. 제2 가이드(410)의 형상, 크기 및 공차, 정렬 특징부들(414), 정렬 특징부들(216), 그리고 타일 구조물(304)의 제1 섹션(310)과 제2 섹션(322)의 유연한 연결은 프린트헤드 어셈블리(400)에 삽입될 때 인쇄 타일(300)의 안전한 정렬을 허용한다.
인쇄 공급 시스템(406)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프린트 공급 시스템(406)의 유체 노즐(미도시)은 유체 매니폴드(210)의 유체 포트들(212 및 214)과 유체 연결되고 밀봉되어, 유체 매니폴드(210)로부터의 공급 플레이트(404) 반대편에 위치한 인쇄 공급 시스템(406)의 유체 공급부 및 복귀 도관(420)과의 유체 연결을 제공한다. 유체 밸브들(422)은 인쇄 공급 시스템(406)으로부터 유체 매니폴드(210) 및 인쇄 타일(300)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헤드 어셈블리(400)는 복수의 인쇄 타일들(300)을 포함하며, 각각은 동일한 방식으로 인쇄 공급 시스템(406)에 연결된다. 각각의 인쇄 타일(300)에 대한 한 쌍인 유체 밸브들(422)은 컨트롤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어 각각의 인쇄 타일(300)과 프린트헤드 어셈블리(400)용 유체 저장소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하나 이상의 유형의 인쇄 유체가 이러한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유체 유형은 전용 유체 공급부 및 복귀 도관을 사용하여 인쇄 타일(300)의 별개의 서브 세트로 전달된다.
전술한 내용은 하나 이상의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이러한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기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고안될 수 있다.

Claims (20)

  1. 잉크젯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들을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상기 프린트헤드에 부착된 노즐 플레이트; 및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에 의해 상기 노즐 플레이트에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은 3개의 독립적인 치수들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독립적인 위치 지정을 제공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심(shim)을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원추형 나사인,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원추형 나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회전 조정을 제공하도록 위치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추형 나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회전을 제공하도록 위치된 제1 원추형 나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선형 이동을 제공하도록 제2 나사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플레이트는 긴 치수, 짧은 치수, 제1 단부, 및 상기 긴 치수를 따라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원추형 나사는 상기 제1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원추형 나사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일 측면을 따라 상기 제2 단부에 위치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열팽창 계수는 약 20 x 10-6/K 미만인,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헤드는 제1 프린트헤드이고, 상기 노즐 플레이트는 제1 노즐 플레이트이며, 제2 노즐 플레이트에 부착된 제2 프린트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노즐 플레이트는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은 2개의 독립적인 치수들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독립적인 위치 설정을 제공하고 상기 2개의 독립적인 치수들과 무관한 1개의 치수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2 노즐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타일 구조물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쪽인 상기 타일 구조물의 제2 단부에 부착된 유체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 매니폴드는 적어도 2개의 유체 연결부들과 적어도 2개의 매니폴드 정렬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구조물에 부착된 전기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구성요소는 상기 유체 매니폴드의 노치에 위치된 연결 부재를 갖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매니폴드는 상기 유체 연결부들을 둘러싸는 벽을 갖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매니폴드는 매니폴드 패스너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매니폴드는 상기 매니폴드 패스너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유체 매니폴드의 주요 표면에 부착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제1 부재와 상기 유체 매니폴드에 부착된 제2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재는 유연한 연결에 의해 상기 제2 부재에 부착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구조물은 배향 특징부를 갖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17. 잉크젯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로서,
    지지 플레이트;
    복수의 정렬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공급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공급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인쇄 타일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인쇄 타일은 복수의 프린트헤드들, 각각의 프린트헤드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함;
    상기 각각의 프린트헤드에 부착된 노즐 플레이트;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에 의해 상기 노즐 플레이트에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적어도 3개의 패스너들은 3개의 독립적인 치수들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독립적인 위치 설정을 제공함; 및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정렬 특징부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 특징부를 포함하는 유체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플레이트는 인쇄 타일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인쇄 타일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인쇄 타일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 플레이트는 인쇄 타일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 타일은 제2 섹션에 유연하게 결합된 제1 섹션,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기 제2 섹션을 포함하는 타일 구조물을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KR1020247023980A 2021-12-21 2022-12-15 프린트헤드 정렬 KR20240124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65807P 2021-12-21 2021-12-21
US63/265,807 2021-12-21
PCT/US2022/081647 WO2023122474A1 (en) 2021-12-21 2022-12-15 Printhead alig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4996A true KR20240124996A (ko) 2024-08-19

Family

ID=8690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23980A KR20240124996A (ko) 2021-12-21 2022-12-15 프린트헤드 정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124996A (ko)
TW (1) TW202339980A (ko)
WO (1) WO20231224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9682B2 (ja) * 1999-10-18 2011-04-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位置調整機構
GB0003760D0 (en) * 2000-02-17 2000-04-05 Xaar Technology Ltd Droplet deposition apparatus
US6554398B2 (en) * 2001-03-08 2003-04-29 Agfa-Gevaert Ink-jet printer equipped for aligning the printheads
JP2004136555A (ja) * 2002-10-18 2004-05-13 Seiko Epson Corp 印刷ヘッドのキャリッジへの取り付け位置の調整が可能な印刷装置
JP4774894B2 (ja) * 2005-09-29 2011-09-1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イン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印画装置
ITUB20153900A1 (it) * 2015-09-25 2017-03-25 Jet Set S R L Gruppo di stampa per un apparato di stampa ed apparato di stampa comprendente detto gruppo di stampa
JP6975949B2 (ja) * 2018-01-10 2021-12-01 株式会社ミヤコシ ヘッド位置調整機構及びライン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2474A1 (en) 2023-06-29
TW202339980A (zh)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8897B1 (en) Mounting assembly
US7819501B2 (en) Jetting module installation and alignment apparatus
CN101208205B (zh) 包括整体式印刷头组件的印刷设备
US20120113190A1 (en) Device for positioning at least one print bar in a printing position in an inkjet printing apparatus
US9150021B2 (en) Liquid ejecting head unit,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head set
KR102673517B1 (ko) 기판 높이 위치 제어 기능이 있는 잉크젯 프린터
CN105050815A (zh) 流体喷射模块安装
US20110063368A1 (en) Multi inkjet head package,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aligning the same i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5311024B2 (ja) 液体噴射ヘッド、液体噴射ヘッドユニット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液体噴射装置
CN102036826B (zh) 流体喷射系统
US8191991B2 (en) Liquid ejecting head unit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KR20240124996A (ko) 프린트헤드 정렬
US11358405B2 (en) Droplet deposition head align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