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0259A - 완강기 연결 옷걸이 - Google Patents

완강기 연결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0259A
KR20240120259A KR1020230012756A KR20230012756A KR20240120259A KR 20240120259 A KR20240120259 A KR 20240120259A KR 1020230012756 A KR1020230012756 A KR 1020230012756A KR 20230012756 A KR20230012756 A KR 20230012756A KR 20240120259 A KR20240120259 A KR 20240120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bar
vertical pillar
descen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철
전민구
이상훈
김윤찬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1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20259A/ko
Publication of KR2024012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0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완강기 연결 옷걸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완강기 연결 옷걸이는, 하부가 바닥에 고정되는 제1 세로기둥; 일단부가 제1 세로기둥에 결합되고, 의복을 걸도록 이루어지는 가로바; 및 일단부가 제1 세로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완강기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강지 거치대의 벽면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도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완강지 거치대의 노출이 제한된 상태로 옷걸이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완강기 연결 옷걸이{CLOTHES HANGER FOR CONECTING DESCENDING LIFE LINE}
본 발명은 완강기 연결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상황 발생시 완강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피난설비(fire escape apparatus)는 화재 등의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피난을 위해 쓰이는 기계, 기구 및 설비를 의미한다. 피난설비는 크게 유도등, 유도표지 및 피난기구를 포함한다.
유도등과 표지는 비상구의 위치와 피난 방향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조명장치가 붙은 유도등과 붙어 있지 않는 유도표지로 나누어진다. 유도등과 유도표지의 표시는 누구나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멀리서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표시내용은 피난구를 나타내는 기호, 피난방향의 화살표, 비상구라는 문자 등이다.
피난기구는 응급적·보조적 피난수단이며, 피난계단 등으로 피난할 수 없는 경우에 쓰인다. 손쉽게 조작할 수 있고, 기능이 확실하며, 지나치게 불안감을 주지 않는 성능의 것이라야 한다.
피난기구에는 미끄럼대, 피난교, 피난용트랩, 간이완강기, 공기안전매트, 다수인 피난장비, 승강식피난기 등이 있다. 설치해야 할 기구의 종류와 설치 수 등은 소방법에 자세하게 정해져 있다. 재해 때 피난기구를 능숙하게 다루려면 평상시에 익숙하게 훈련이 되어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48739호(이하 '선행문헌')는 완강기 지지대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의 완강기 지지대는, 창문틀이 설치되는 건물의 개구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내측면과 직각으로 돌출되게 브라켓에 설치된 지축, 상측은 지축에 대해 슬라이딩 및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완강기 거치용 고리가 설치된 지지바, 하측은 힌지부에 의해 브라켓의 외측면에 지지되고, 상측엔 지지바를 받치는 받침홀더를 포함하는 받침바, 받침바의 하단에 형성되어 받침바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는 선회각도제한부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완강기 지지대는, 지지바가 슬라이딩 및 선회 가능하게 지축에 지지됨으로써, 지지바의 외측에 받침대가 배치되어 창문에서 바깥 외측으로 볼 때 돌출부가 작고, 지지바를 지축에 대해서만 외측으로 선회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조작이 쉬운 이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완강기 지지대는 창틀 등 개구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개구부의 내측면이 좁은 경우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문헌의 완강기 지지대를 건물의 공용 복도와 같이 긴 통로에 설치하려면 긴 통로의 양쪽 측벽에만 설치해야 하므로, 화재 등 비상시 많은 인원이 통로에 몰릴 경우 다수 인원의 동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48739호 (등록일: 2018.04.09)
본 발명의 목적은, 완강지 거치대의 벽면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도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완강지 거치대의 노출이 제한된 상태로 옷걸이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고할 수 있고, 휴대폰 등 전자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완강기 거치대가 건물의 개구부 바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높은 안전하중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부가 바닥에 고정되는 제1 세로기둥; 일단부가 상기 제1 세로기둥에 결합되고, 의복을 걸도록 이루어지는 가로바;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세로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완강기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완강기거치대는, 일 방향으로 긴 거치봉; 및 상기 거치봉에 결합되고, 완강기의 후크가 걸리는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강기거치대는, 상기 거치봉이 세워지도록 회전한 상태로 상기 제1 세로기둥의 홈부 안쪽에 수납되고, 상기 거치봉이 가로로 눕도록 회전한 상태로 상기 제1 세로기둥의 옆쪽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가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가로바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 세로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로기둥에는 손전등, 연기감지기 및 충전장치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강기거치대는 상기 거치봉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봉보다 큰 지름을 가진 구형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거치봉이 세워진 상태로 삽입되는 제1 내면; 상기 거치봉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상기 거치봉의 밑면을 지지하는 제2 내면; 및 상기 거치봉이 세워지거나 눕도록, 상기 구형관절부가 제자리 회전하는 경계를 형성하는 제3 내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거치봉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상기 구형관절부가 상기 거치봉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원통형 통로를 형성하는 제4 내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봉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삽입홈이 상기 거치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강기거치대는, 거치봉이 세워지도록 회전한 상태로 제1 세로기둥의 홈부 안쪽에 수납되고, 거치봉이 가로로 눕도록 회전한 상태로 제1 세로기둥의 옆쪽으로 돌출됨으로써, 완강지 거치대의 벽면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도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완강지 거치대의 노출이 제한된 상태로 옷걸이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로바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 세로기둥에 손전등, 연기감지기 및 충전장치가 구비됨으로써,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고할 수 있고, 휴대폰 등 전자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봉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구형관절부가 거치봉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원통형 통로를 제4 내면이 형성함으로써, 완강기 거치대가 건물의 개구부 바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높은 안전하중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연결 옷걸이의 사시도로서, 완강기 거치대의 미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완강기 연결 옷걸이의 사시도로서, 완강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완강기 연결 옷걸이의 단면도로서, 완강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연결 옷걸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연결 옷걸이(10)의 사시도로서, 완강기거치대(600)의 미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완강기 연결 옷걸이(10)의 사시도로서, 완강기거치대(6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완강기 연결 옷걸이(10)의 단면도로서, 완강기거치대(6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연결 옷걸이(10)는, 완강기거치대(600)의 벽면(2)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도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완강기거치대(600)의 노출이 제한된 상태로 옷걸이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연결 옷걸이(10)는,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고할 수 있고, 휴대폰 등 전자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연결 옷걸이(10)는, 비상상황 발생시 완강기(5)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완강기 연결 옷걸이(10)는 제1 세로기둥(100), 제2 세로기둥(200), 가로바(300), 보강바(400), 연결바(500) 및 완강기거치대(6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로기둥(100)은 하부가 건물의 바닥(1)에 고정된다. 제1 세로기둥(100)은 글자 그대로 세로방향으로 긴 기둥형태를 형성한다. 제1 세로기둥(100)은 강도가 높은 철 등 금속재질로 제조된다.
제1 세로기둥(100)은 하부에 지지대(110)가 구비된다. 지지대(110)는 강도가 높은 철 등 금속재질로 제조된다. 지지대(110)는 수평방향으로 넓게 형성된다. 지지대(110)는 복수의 앵커(3)에 의해 바닥(1)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세로기둥(100)의 유동이 차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로기둥(200)은 하부가 건물의 바닥(1)에 고정된다. 제2 세로기둥(200)은 글자 그대로 세로방향으로 긴 기둥형태를 형성한다. 제2 세로기둥(200)은 강도가 높은 철 등 금속재질로 제조된다.
제2 세로기둥(200)은 하부에 지지대(210)가 구비된다. 지지대(210)는 강도가 높은 철 등 금속재질로 제조된다. 지지대(210)는 수평방향으로 넓게 형성된다. 지지대(210)는 복수의 앵커(3)에 의해 바닥(1)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세로기둥(200)의 유동이 차단된다.
제1 세로기둥(100)과 제2 세로기둥(200)은 건물의 개구 안쪽에 위치한다. 개구는 창문, 베란다 등 건물 외부로 개구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건물의 개구가 뚫린 방향을 '개구방향'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제1 세로기둥(100)과 제2 세로기둥(200)은 서로 개구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격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1 세로기둥(100)과 제2 세로기둥(200)이 이격된 방향을 '수평이격방향'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벽면(2)에 형성된 창문을 기준으로, 개구방향은 벽면(2)의 법선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을 기준으로 개구방향은 가로방향 또는 오른쪽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로기둥(200)에 손전등(7), 연기감지기(8) 및 충전장치(9)가 구비된다.
제2 세로기둥(200)은 상면에 수납홈(201)이 형성된다. 손전등(7)은 손잡이 부분이 수납홈(201)에 삽입된다. 손전등(7)은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연기감지기(8)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세로기둥(200)의 내부에 손전등(7)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연기감지기(8)는 제2 세로기둥(200)의 측면에 부착된다. 연기감지기(8)는(smoke detector)는 연소로 인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에 의해 열이 발생하기 전에 사고를 발견하는 장치이다.
연기감지기(8)는 이온식 감지기와 광전식 감지기 등 널리 공지된 기술이 사용된다. 연기감지기(8)는 화재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내의 사람은 화재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연기감지기(8)가 화재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손전등(7)은 연기감지기(8)의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점멸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내의 사람은 화재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제2 세로기둥(200)의 내부에 연기감지기(8)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연기감지기(8)는 별도의 전원선에 의해 전기콘센트에 연결될 수 있다.
충전장치(9)는 제2 세로기둥(200)의 측면에 부착된다. 충전장치(9)는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장치이다. 충전장치(9)는 무선충전장치(9) 또는 유선충전장치(9)로 구비된다.
제2 세로기둥(200)의 내부에 충전장치(9)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충전장치(9)는 별도의 전원선에 의해 전기콘센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300)는 글자 그대로 가로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를 형성한다. 가로바(300)의 일단부는 제1 세로기둥(100)에 결합된다. 가로바(300)의 타단부는 제2 세로기둥(200)에 결합된다.
즉, 가로바(300)는 제1 세로기둥(100)과 제2 세로기둥(200)을 연결한다. 따라서 가로바(300)의 길이방향은 제1 세로기둥(100)과 제2 세로기둥(200)이 서로 이격된 방향과 동일하다.
가로바(300)는 의복을 걸도록 이루어진다. 의복은 행거(4) 등에 의해 가로바(300)에 걸릴 수 있다. 가로바(300)는 강도가 높은 철 등 금속재질로 제조된다.
보강바(400)는 가로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를 형성한다. 보강바(400)의 일단부는 제1 세로기둥(100)에 결합된다. 보강바(400)의 타단부는 제2 세로기둥(200)에 결합된다.
즉, 보강바(400)는 제1 세로기둥(100)과 제2 세로기둥(200)을 연결한다. 보강바(400)는 가로바(300)의 위에서 제1 세로기둥(100)과 제2 세로기둥(200)을 연결할 수 있다. 보강바(400)의 길이방향은 가로바(3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다.
완강기거치대(600)에 완강기(5)를 걸고 사람이 완강기(5)를 타고 내려가는 과정에서, 완강기거치대(600) 및 제1 세로기둥(100)에는 완강기(5)를 탄 사람의 하중에 비례하는 힘이 전달된다.
보강바(400)가 제1 세로기둥(100)과 제2 세로기둥(200)을 연결함으로써, 사람의 하중 등 완강기거치대(600)를 통해 제1 세로기둥(100)에 전달된 힘이 제2 세로기둥(200)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완강기거치대(600)에 완강기(5)를 걸고 사람이 완강기(5)를 타고 내려가는 과정에서, 완강기 연결 옷걸이(10)의 흔들림 및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완강기(5)의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보강바(400)는 강도가 높은 철 등 금속재질로 제조된다. 보강바(400)는 가로바(300)보다 큰 지름을 가진 봉 형태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500)는 가로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를 형성한다. 연결바(500)의 일단부는 제1 세로기둥(100)의 지지대(110)에 결합된다. 연결바(500)의 타단부는 제2 세로기둥(200)의 지지대(210)에 결합된다.
즉, 연결바(500)는 제1 세로기둥(100)의 지지대(110)와 제2 세로기둥(200)의 지지대(210)를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바(500)의 길이방향은 제1 세로기둥(100)과 제2 세로기둥(200)이 서로 이격된 방향과 동일하다. 연결바(500)의 길이방향은 가로바(3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다.
연결바(500)는 복수로 구비된다. 연결바(500)는 의복, 물품 등을 올려놓도록 이루어진다. 연결바(500)는 철 등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강기거치대(600)는 거치봉(610), 고리(620) 및 구형관절부(630)를 포함한다. 완강기거치대(600)는 강도가 높은 철 등 금속재질로 제조된다.
거치봉(610)은 일 방향으로 긴 봉 형태를 형성한다. 거치봉(610)은 원형 파이프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구형관절부(630)는 거치봉(61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구형관절부(630)는 글자 그대로 구형(globular shape)을 형성한다.
구형관절부(630)는 거치봉(610)보다 큰 지름을 가진다. 구형관절부(630)는 제1 세로기둥(10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완강기거치대(600)는, 거치봉(610)이 세워지도록 회전한 상태로 제1 세로기둥(100)의 홈부(120) 안쪽에 수납된다. 또한, 완강기거치대(600)는, 거치봉(610)이 가로로 눕도록 회전한 상태로 제1 세로기둥(100)의 옆쪽으로 돌출된다.
고리(620)는 완강기(5) 후크(6)를 거는 부분이다. 고리(620)는 거치봉(61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고리(620)는 구형관절부(630)와 먼 지점에서 거치봉(610)에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로기둥(100)에 홈부(120)가 형성된다. 홈부(120)는 글자 그대로 홈 형태의 부분을 의미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연결 옷걸이(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연결 옷걸이(10)는, 완강기거치대(600)가 건물의 개구부 바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높은 안전하중을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20)의 내면은 제1 내면(121), 제2 내면(122), 제3 내면(123) 및 제4 내면(124)을 포함한다.
제1 내면(121)은 거치봉(610)이 세워진 상태로 삽입되는 공간의 내면을 의미한다. 제1 내면(121)은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제1 내면(121) 및 거치봉(610)에 각각 영구자석(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영구자석은 거치봉(610)이 세워진 상태에서 서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 거치봉(610)이 세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완강기거치대(600) 사용시 거치봉(610)이 개구를 향해 돌출되도록, 홈부(120)는 개구방향으로 개방된다(도 3 참조). 여기서 개구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오른쪽을 의미한다.
거치봉(610)의 상부가 제1 세로기둥(100) 위로 돌출되도록(도 3 참조), 홈부(120)는 위쪽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완강기거치대(600) 사용시 사용자는 제1 세로기둥(100) 위로 돌출된 부분을 개구 쪽으로 미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완강기거치대(600)를 개구를 향해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내면(121)의 수평이격방향 폭은 거치봉(610)의 지름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거치봉(610)은 제1 내면(121) 안쪽에 삽입되거나, 가로로 눕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제1 내면(121)의 수평이격방향 폭은 구형관절부(630)의 지름보다 작다. 따라서 사람이 완강기(5)를 타더라도 구형관절부(630)는 제1 세로기둥(10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 내면(122)은 거치봉(610)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거치봉(610)의 밑면을 지지하는 면을 의미한다. 제2 내면(122)은 제1 내면(121)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3 내면(123)은 거치봉(610)이 세워지거나 눕도록, 구형관절부(630)가 제자리 회전하는 경계면을 형성한다. 제3 내면(123)은 제1 내면(121)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3 내면(123)은 도 4에서 구형관절부(630)와 접촉한 면을 의미한다. 도 4에서 제3 내면(123)의 일부는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었다.
구형관절부(630)는 제3 내면(123)에 의해 제1 세로기둥(10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내면(123)은 구면(spherical surface)의 일부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3 내면(123)의 지름은 구형관절부(630)의 지름보다 약간 크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내면(124)은, 거치봉(610)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구형관절부(630)가 거치봉(610)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원통형 통로를 형성한다.
제4 내면(124)은 제3 내면(123)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3 내면(123)과 제4 내면(124)의 지름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4 내면(124)의 지름은 구형관절부(630)의 지름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거치봉(610)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구형관절부(630)가 거치봉(610)의 반대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봉(610)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는 거치봉(610)이 개구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내면(122)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된다. 돌출부(130)는 스프링(140)에 의해 삽입홈(611) 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거치봉(610)에는 돌출부(130)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삽입홈(611)이 거치봉(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거치봉(610)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는 거치봉(610)이 개구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봉(610)의 돌출된 길이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완강기(5)의 안전한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봉(610)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구형관절부(630)가 거치봉(610)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면, 구형관절부(630)는 제4 내면(124)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4 내면(124)의 지름은 거치봉(610)의 지름보다 크다. 따라서 구형관절부(630)가 제4 내면(124) 안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거치봉(610)의 일부 회전이 가능하다.
제3 내면(123)은 제1 내면(121)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3 내면(123)과 구형관절부(630)는 완전한 원(circle) 형태의 접촉면을 형성하지 못한다. 반면에 제4 내면(124)과 구형관절부(630)는 완전한 원(circle) 형태의 접촉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구형관절부(630)를 제4 내면(124)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완강기(5)의 보다 안전한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강기거치대(600)는, 거치봉(610)이 세워지도록 회전한 상태로 제1 세로기둥(100)의 홈부(120) 안쪽에 수납되고, 거치봉(610)이 가로로 눕도록 회전한 상태로 제1 세로기둥(100)의 옆쪽으로 돌출됨으로써, 완강기거치대(600)의 벽면(2)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도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완강기거치대(600)의 노출이 제한된 상태로 옷걸이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1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로바(30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 세로기둥(200)에 손전등(7), 연기감지기(8) 및 충전장치(9)가 구비됨으로써,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고할 수 있고, 휴대폰 등 전자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1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봉(610)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구형관절부(630)가 거치봉(610)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원통형 통로를 제4 내면(124)이 형성함으로써, 완강기거치대(600)가 건물의 개구부 바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높은 안전하중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1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완강기 연결 옷걸이
100 : 제1 세로기둥 300 : 가로바
110 : 지지대 400 : 보강바
120 : 홈부 500 : 연결바
121 : 제1 내면 600 : 완강기거치대
122 : 제2 내면 610 : 거치봉
123 : 제3 내면 611 : 삽입홈
124 : 제4 내면 620 : 고리
130 : 돌출부 630 : 구형관절부
140 : 스프링
200 : 제2 세로기둥
210 : 지지대
201 : 수납홈
1 : 바닥
2 : 벽면
3 : 앵커
4 : 행거
5 : 완강기
6 : 후크
7 : 손전등
8 : 연기감지기
9 : 충전장치

Claims (7)

  1. 하부가 바닥에 고정되는 제1 세로기둥;
    일단부가 상기 제1 세로기둥에 결합되고, 의복을 걸도록 이루어지는 가로바;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세로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완강기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거치대는,
    일 방향으로 긴 거치봉; 및
    상기 거치봉에 결합되고, 완강기의 후크가 걸리는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거치대는, 상기 거치봉이 세워지도록 회전한 상태로 상기 제1 세로기둥의 홈부 안쪽에 수납되고, 상기 거치봉이 가로로 눕도록 회전한 상태로 상기 제1 세로기둥의 옆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가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가로바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 세로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로기둥에는 손전등, 연기감지기 및 충전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거치대는 상기 거치봉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봉보다 큰 지름을 가진 구형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거치봉이 세워진 상태로 삽입되는 제1 내면;
    상기 거치봉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상기 거치봉의 밑면을 지지하는 제2 내면; 및
    상기 거치봉이 세워지거나 눕도록, 상기 구형관절부가 제자리 회전하는 경계를 형성하는 제3 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거치봉이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상기 구형관절부가 상기 거치봉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원통형 통로를 형성하는 제4 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봉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삽입홈이 상기 거치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연결 옷걸이.
KR1020230012756A 2023-01-31 2023-01-31 완강기 연결 옷걸이 KR20240120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756A KR20240120259A (ko) 2023-01-31 2023-01-31 완강기 연결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756A KR20240120259A (ko) 2023-01-31 2023-01-31 완강기 연결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0259A true KR20240120259A (ko) 2024-08-07

Family

ID=9237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756A KR20240120259A (ko) 2023-01-31 2023-01-31 완강기 연결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202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739B1 (ko) 2017-03-31 2018-04-16 육송(주) 완강기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739B1 (ko) 2017-03-31 2018-04-16 육송(주) 완강기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73924A1 (en) Hoist with detachable power and control unit
MXPA05005675A (es) Letrero que pende de un cielo raso, retractable y que se estabiliza por si solo.
CN104027895A (zh) 一种适用于高层逃生的速降支架
KR101736816B1 (ko) 열차단 효율을 높인 소방용 방화기구
KR20240120259A (ko) 완강기 연결 옷걸이
KR101562227B1 (ko) 맨홀의 안전한 출입과 보행자 추락보호를 위한 다기능 맨홀 안전대
CN207817934U (zh) 一种地震预警壁钟
CN208456263U (zh) 防盗窃变电站安全围栏
KR20120000620A (ko) 자전거 주차용 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주차장치
CN211038088U (zh) 一种防护网栏杆
KR20060019620A (ko) 완강기 설치대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20050012603A (ko) 난간 대피장치
JP3548993B2 (ja) マンホール安全ガード
TWI255201B (en) A portable fire escape ladder
ES2354415T3 (es) Equipamiento para lámpara montada en altura con función de ascenso y descenso.
CN216596799U (zh) 一种挂壁式消防应急标志灯
KR102594521B1 (ko) 소화기 거치대
KR101804147B1 (ko) 자전거 거치장치
JP4220564B1 (ja) 感度が調節できる地震センサー
JP2002350970A (ja) カメラ用ハウジング
KR200294846Y1 (ko) 수직 인명 구조대
KR20140034540A (ko) 휴대용 인명 구조 장치
CN104587628A (zh) 一种灭火器固定支架
KR200330809Y1 (ko) 난간 대피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