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0144A -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0144A
KR20240120144A KR1020230012549A KR20230012549A KR20240120144A KR 20240120144 A KR20240120144 A KR 20240120144A KR 1020230012549 A KR1020230012549 A KR 1020230012549A KR 20230012549 A KR20230012549 A KR 20230012549A KR 20240120144 A KR20240120144 A KR 2024012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vacuum
drying room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석 금
Original Assignee
용 석 금
금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석 금, 금서영 filed Critical 용 석 금
Priority to KR102023001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20144A/ko
Publication of KR2024012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01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실의 공기압이 0∼50 torr인 감압 상태보다 낮고, 공기압이 250∼400 torr인 중진공 상태보다는 높은 50∼250 torr 사이에서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이며, 감압 상태보다는 건조 효율이 높으면서 중진공 상태에서 발생하는 일부 식품 및 농산물의 조직 파열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 등을 방지하면서 저진공에 견딜 수 있는 구조형상화를 위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농수산물의 영양 및 조직 상태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Low-Vacuum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ryer}
본 발명은 건조실의 공기압이 0∼50 torr인 감압 상태보다 낮고, 공기압이 250∼400 torr인 중진공 상태보다는 높은 50∼250 torr 사이에서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이며, 감압 상태보다는 건조 효율이 높으면서 중진공 이하 상태에서 발생하는 일부 식품 및 농산물의 조직 파열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 등을 방지하면서 저진공에 견딜 수 있는 구조형상화를 위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농수산물의 영양 및 조직 상태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70654호에는 건조대상물의 특성에 맞추어 일반적인 건조기와 같이 대기압에서의 고온 건조를 실시할 수도 있고, 진공 건조를 실시할 수도 있는 진공건조 기능을 갖는 전기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나, 구체적으로 저진공이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인 설정치가 없고, 건조실로 유입된 공기가 건조실을 경유하면서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게 되면 습열공기가 건조실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소정의 저진공을 어떻게 유지하면서 대량의 건조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기재가 없다.
본 발명은 건조 대상물의 조직 파열, 영양소 파괴, 맛 변화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을 방지하면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50 torr 내지 250 torr 사이에서 설정된 공기 압력을 유지하고, 온도는 건조대상물에 부착된 세균을 멸균할 수 있는 60℃ 내지 70℃까지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건조대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하기 위하여 건조실을 하나 이상 분리하고 복수의 대차를 수용하면서 공기 흐름을 건조실 내부에 골고루 분산 배분하여 복수의 대차에 담긴 건조대상물을 모두 골고루 건조할 수 있는 저진공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65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조실의 공기압이 0∼50 torr인 감압 상태보다 낮고, 공기압이 250∼400 torr인 중진공 상태보다는 높은 50∼250 torr 사이에서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건조기이며, 감압 상태보다는 건조 효율이 높으면서 중진공 상태에서 발생하는 일부 식품 및 농산물의 조직 파열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 등을 방지하면서 저진공에 견딜 수 있는 구조형상화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조실 내부에 위치하는 대차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상하좌우 골고루 분산 배분되어 건조용 대차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공기배분 방향판의 상부는 작게 하부로 갈수록 조금씩 좌측으로 더 튀어 나오게 폭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배분 방향판의 안내에 따라 건조용 대차측으로 들어온 공기가 건조실 양측 벽면을 따라 아래 또는 윗 방향으로 몰려서 이동하지 아니하고 상하로 골고루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측부바람막이 및 측부공기 이동통로를 구비한 건조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건조 대상물의 멸균은 70℃의 고온으로 20분∼30분을 유지하거나 혹은 60℃에서 2시간 내지 2시간 30분을 유지하여 멸균하며, 냉각 운전시스템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 건조에 필요한 온도에서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설정된 진공도 유지를 위한 기능의 선택적 운전 및 냉각시 냉동시스템의 증발기의 송풍량 및 체적의 변화를 통한 안정적 운전으로 운전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현하여, 예약운전, 스케쥴 운전, 온도, 습도, 시간의 통제 운전 등의 자동화 및 모바일 운전기능이 가능한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해결 수단은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링브로와가 건조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의 조직 손상없이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건조실 내부를 저진공으로 유지하고, 건조 대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내부순환용송풍기가 건조기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순환용송풍기에서 발생한 공기흐름을 건조실 내부에 골고루 분산 배분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으로, 저진공은 건조 대상물의 조직 파열, 영양소 파괴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을 방지하면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50 torr 내지 250 torr 사이에서 설정된 공기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으로, 건조 대상물의 멸균은 영양소가 파괴되지 아니하는 70℃ 온도에서 20분∼30분을 유지하거나 혹은 60℃에서 2시간 내지 2시간 30분을 유지하여 멸균하면서 건조를 수행하고, 멸균 수행 후에는 건조 대상물에 적합한 건조 조건으로 설정하여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건조를 수행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은 내부순환용송풍기에서 발생한 공기흐름을 건조실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어 주입되도록 공기주입구가 좁고 길게 형성되고, 공기주입구로 들어온 공기는 건조실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공기를 채반이 위치한 건조용 대차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배분 방향판을 건조용 대차와 인접하게 상하로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으로, 공기의 흐름의 건조실 내부에 골고루 배분하기 위하여 공기배분 방향판은 상부를 작은 폭으로 형성하고, 하부로 갈수록 단계별로 길게 튀어나오도록 폭을 넓게 바닥면에 평행하게 복수 개 설치하여 아래로 이동하는 공기의 소정량을 건조용 대차 내부로 이동시켜 건조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으로, 복수개의 공기배분 방향판의 튀어나온 가장자리는 상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하거나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건조용 대차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량과 공기흐름 속도를 증가시키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은 공기배분 방향판을 통해서 건조용 대차로 이동하는 공기가 건조실 양측 벽을 따라서 몰려서 이동하지 아니하고 건조실 양측 벽을 따라 공기가 골고루 이동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측부바람막이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측부바람막이사이에 측부공기 이동통로가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은 건조 대상물의 건조량을 늘이면서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하여 건조용 대차가 들어가는 건조실을 분리벽을 하나 이상 설치하여 복수의 건조실을 설치하고, 각각의 건조실 양 측벽에는 공기가 건조실 양측 벽을 따라 골고루 이동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측부바람막이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측부바람막이사이에 측부공기 이동통로가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은 핫개스용 응축기가 건조기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핫개스용 응축기는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에서 건조실 공기를 냉각시킬 때 발생하는 열을 교환기를 통해서 흡수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의 온도를 높일 때 사용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은 건조실 내부의 온도 제어를 위하여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와 원적외선 히터를 건조기 상부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와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10℃ 내지 70℃ 사이의 소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은 급기조정부 및 진공압력 조정밸브를 건조기 일측에 고정 설치하고, 건조실의 공기압을 설정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고, 건조실 바닥에는 건조용 대차의 바퀴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레일이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된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은 진공기능의 선택적 운전 및 냉각시 냉동시스템의 증발기의 송풍량 및 체적의 변화를 통한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제어부를 설치하여, 예약운전, 스케쥴 운전, 온도, 습도, 제어시간의 통제 운전를 포함하는 동작의 자동화 수단을 구비한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건조실의 공기압이 0∼50 torr인 감압 상태보다 낮고, 공기압이 250∼400 torr인 중진공 상태보다는 높은 50∼250 torr 사이에서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여, 감압 상태보다는 건조 효율이 높으면서 중진공 상태에서 발생하는 일부 식품 및 농산물의 영양소와 조직 파열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 온도는 10℃ 내지 70℃ 사이에서 제어되고, 공기압은 50∼250 torr 사이에서 유지하므로 저진공에 견딜 수 있는 구조형상화의 비용부담을 줄이면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농수산물의 영양소 및 조직 상태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건조실 내부에 위치하는 대차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상하좌우 골고루 분산 배분되어 건조용 대차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공기배분 방향판의 상부는 작게 폭을 형성하고, 하부로 갈수록 조금씩 좌측으로 더 튀어 나오게 폭을 넓게 형성하며, 상기 공기배분 방향판의 안내에 따라 건조용 대차측으로 들어온 공기는 측부바람막이와 측부공기 이동통로를 이용하여 건조실 양측 벽면을 따라 아래 또는 윗 방향으로 몰려서 이동하지 아니하고 상하로 골고루 이동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 건조 대상물의 멸균은 70℃의 고온으로 20분∼30분을 유지하거나 60℃에서 2시간 내외로 유지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면서 멸균을 수행한 후, 냉각 운전시스템을 가동하여 효율적 건조에 필요한 설정된 온도로 건조를 수행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 설정된 진공도 유지를 위한 기능의 선택적 운전 및 냉각시 냉동시스템 증발기의 송풍량 및 체적의 변화를 통한 안정적 운전으로 운전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예약운전, 스케쥴 운전, 온도, 습도, 시간의 통제 운전 등의 자동화 및 모바일 운전기능을 구비하고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상승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진공 건조기의 구조 및 기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측면에서 자른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진공 건조기에서 건조실 중앙부를 바닥면에 수평하게 자른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저진공 건조기의 건조실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저진공 건조기의 건조실에 건조용 대차와 채반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두개의 건조실의 구비한 건조기의 구조 및 형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건조실의 공기압이 0∼50 torr인 감압 상태보다 낮고, 공기압이 250∼400 torr인 중진공 상태보다는 높은 50∼250 torr 사이에서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이며, 감압 상태보다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농수산물의 영양소 및 조직 상태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진공 건조기의 구조 및 기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측면에서 자른 단면도 형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진공 건조기에서 건조실 중앙부를 바닥면에 수평하게 자른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 부호는 서로 다른 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에서 대하여서도 서로 다른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명세서를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에 기재된 좌측, 우측, 하부, 상부 등의 표현은 도면에 기초하여 표현한 것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에 기재된 '가로 방향'은 건조실 바닥면에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서 링브로와 또는 2단 링브로와(도1의 109)는 본 발명에서 건조실 내부의 공기압이 50∼250 torr 사이에서 설정된 공기압으로 유지되도록 건조실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에서, 공기배분 방향판(도1의 110)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건조실 내부에 위치하는 건조용 대차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상하좌우 골고루 분산 배분되어 건조용 대차측으로 이동하도록 상부는 작게 하부로 갈수록 조금씩 좌측으로 튀어 나오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공기배분 방향판(도1의 110)은 내부순환용송풍기(도1의 103)에 의하여 도 1의 상부 좌측에 길게 형성된 공기이동통로를 통해서 상부에서 하부까지 공기가 골고루 분상 배분되어 대차에 위치한 건조대상물을 골고루 건조시킬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공기배분 방향판(도1의 110)은 건조실 내부 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되, 건조대상물이 위치하는 건조용 대차측에 인접하여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배분 방향판의 폭은 좁게 형성하고 하부로 갈수록 단계별로 폭을 넓게 형성하여 건조대상물에 공기가 골고루 분배되도록 설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의 사진을 보면, 공기배분 방향판(도5의 509)의 설치 위치, 설치된 방향 및 폭 등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공기배분 방향판은 도 1에서와 같이 좌측 가장자리 부분을 소정각도로 상부 방향으로 절곡시킬 경우에 채반이 위치한 건조용 대차측으로 공기량 및 공기흐름속도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부에는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빠르고 하부로 갈수록 공기의 흐름이 느리기 때문에, 공기배분 방향판은 상부에서는 하부로 이동하는 공기를 적게 막고, 하부로 갈수록 공기배분 방향판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공기를 많이 막아서 대차측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골고루 분산 분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순환용송풍기(도1의 103)는 건조기의 크기 또는 송풍팬의 크기 및 용량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내부순환용송풍기(도1의 103)에 의하여 이동하는 공기를 건조실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도1의 116)는 건조실 상부 좌측에 좁고 길게 건조실의 폭만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순환용송풍기(도1의 103)에 의하여 이동하는 공기는 공기주입구(도1의 116)로 통해서 건조실 하부로 폭 넓게 골고루 분산되어 이동하도록 설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건조기의 내부 공기압력이 50∼250 torr 사이에서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여 감압 상태보다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농수산물의 영양 및 조직 상태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데 있다.
저진공상태에서의 건조는 공기압이 250∼400 torr인 중진공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부 식품 및 농산물의 조직 파열, 영양소 파괴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 등을 방지하면서 구조형상화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고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은 직육면체의 건조용 대차(도1의 115,116)가 하나 이상 복수개 들어올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할 수 있다.
건조용 대차(도1의 115,116)가 건조실 내부로 들어가 위치했을 때, 건조실 좌우 측면과 건조용 대차의 좌우측 프레임사이의 간격은 공간 및 공기 흐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2m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배분 방향판(도1의 110)을 따라 건조용 대차(도1의 115,116)측으로 들어온 공기가 건조용 대차 내부를 통과하여 건조용 대차가 끝나는 지점까지 골고루 이동할 수 있도록 측부바람막이(도1의 112)가 건조실 양쪽 측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부바람막이(도1의 112)는 공기배분 방향판(도1의 110)을 따라 건조실로 들어온 공기가 건조실 양측 벽면을 따라 아래 또는 윗 방향으로 몰려서 이동하지 아니하고 상하로 골고루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측부바람막이(도1의 112)는 도 3에서와 같이 양측 측벽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디귿자 형상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도 2에서, 우측에는 건조실 내부로 건조용 대차를 넣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며, 도어는 저진공에 의한 공기압에 견딜수 있도록 내구성과 밀폐성을 구비하도록 외측으로 라운드진 형태의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측으로 나온 공기는 건조기의 내부순환용송풍기(도1의 103)가 위치한 상부로 공기순환통로(도1의 117)를 통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기순환통로(도1의 117)는 상기 공기주입구(도1의 116)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건조실로 공기를 골고루 분배하기 위한 공기배분 방향판(도2의 205)는 건조실 좌측에 앞서 설명한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 건조실의 공기압이 저진공 상태이므로, 이러한 공기압에 견딜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구조물과 외부 판넬은 견고하게 볼트(도2의 206) 등으로 견고하게 결속시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저진공 건조기의 건조실 내부를 사진 촬영한 것이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연구 개발하기 위하여 설계 제작된 복수의 실험용 건조기 중 하나이다.
도 1의 좌측 상부에는 핫개스용 응축기(도1의 102)가 설치되며, 핫개스용 응축기(도1의 102)는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도1의 104)에서 건조실 공기를 제습 냉각시킬 때 발생하는 열을 교환기를 통해서 흡수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의 온도를 높일 때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도1의 104)는 건조대상물을 건조할 때,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고 건조실 온도를 설정된 저온으로 유지시켜야 할 때 동작하며, 건조기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핫개스용 응축기(도1의 102)는 건조기에 소요되는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며, 설정된 온도가 높을 경우에 건조실 공기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원적외선 히터를 건조기 상부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
진공압력 조정밸브(도1의 106), 급기구(도1의 105), 급기조정부(도1의 107) 및 진공압력 및 해제뎀퍼밸브(도1의 108)가 도 1의 상부 좌측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급기구(도1의 105)는 건조실 내부의 공기압을 저진공 상태로 유지할 때에는 닫힘상태이나, 저진공 상태인 닫힘상태에서 급기구(도1의 105)를 열림상태로 전환시에는 외부공기가 들어오는 주입구이며, 급기구가 열림상태에서는 외부공기가 급기조정부(도1의 107)를 통해서 건조실로 주입된다.
건조기 내부 일측에는 통상의 공기압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시스템에 필요한 센서 또는 유무선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건조실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수분의 증발점을 낮추어 건조효과를 높이며 진공상태를 해제하여 피건조물의 피로도를 이완하는 것과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도1의 104)에서 집수된 물을 밖으로 배출하는(진공상태에서 물을 배출할 수 없음) 과정을 내부습도센서에서 측정한 습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자동시스템을 통하여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저진공 공기압을 유지하는 시간과 해제하는 시간을 적정하게 배분하고, 저진공 상태를 유지할 때에는 진공압력 조정밸브(도1의 106)를 닫고, 이때에 외부공기는 설정된 저진공 공기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진공압력 조정밸브(도1의 106)를 통하여 소량 유입된다.
링브로아 또는 2단 링부로와를 통하여 배출하는 공기의 양과 소량 유입되는 공기량의 차이로 건조실 내부를 설정된 저진공도로 유지하게 된다.
진공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급기조정부(도1의 107)의 급기구(도1의 105)로 외부공기가 유입됨으로 배출공기량과 유입공기량의 차이를 좁혀 저진공 공기압력이 해제되도록 진공압력 조정밸브(도1의 106)를 닫는다.
본 발명은 건조실의 내부 공기압력이 50∼250 torr 사이의 저진공 상태에서 유지하되, 온도는 농수산물의 종류 및 가공 특성 등을 고려하여 a) 적온 건조 : 20∼30℃ 범위, b) 고온 건조 및 c) 저온 건조 등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실 온도는 10℃∼70℃사이에서 저진공 상태로 건조시키는 방법이며, 그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a) 적온 건조
적온 건조는 20∼30℃ 범위에서의 저온 저진공 건조의 실현을 제습, 냉각 및 핫개스가열 등으로 가능한 범위내에서 식물의 성장 적온을 유지하며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 조건이며, 건조시 수분의 증발 및 피건조물의 내부 수분의 증발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종전의 감압(0∼30 torr 이내) 시스템보다 매우 효과가 높은 저진공(50∼250 torr)상태에서 건조함으로 피건조물의 상태변화(열변형, 비타민 등의 영양소 파괴, 색상 변화 등)를 최소화하면서 건조 목표에 도딜할 수 있다.
b) 고온 건조
저진공(50∼250torr)상태에서 건조에 국한하여 30∼70℃사이에서 고온건조가 필요한 피건조물의 건조가 불가능하거나 건조효과가 떨어져 건조물의 적용범위가 좁아지지 않도록 가열시 냉동 시스템을 중지하는 것과 냉동기 정지시 보조열원으로 원적외선 히터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멸균 및 건조 효과를 높이며, 냉각시 냉동기 시스템을 가동하여 온도를 제어 및 제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에도 저진공 기능을 항상 유지하여 수분의 증발점을 낮게 유지하여 건조속도를 높이며, 피건조물의 저진공을 통한 흡인력으로 내부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켜 다소 높은 온도에서의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보다 낳은 품질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다.
b) 저온 건조
저온 건조(10∼20℃) 수산물 등 낮은 온도에서의 건조시에도 저진공 상태의 유지는 수분의 증발점을 낮게 유지하여 건조속도를 높이며 피건조물의 저진공을 통한 흡인력으로 내부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켜 피건조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d) 멸균기능
본 발명의 멸균 방법은 70℃의 고온으로 20분∼30분을 유지하거나 60℃에서 2시간 내지 2시간 30분 동안 유지하는 것이며, 멸균 이후에는 냉각 운전시스템을 가동하여 효율적 건조 조건인 소정의 온도로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e) 스마트 제어기능
또한, 본 발명은 진공기능의 선택적 운전 및 냉각시 냉동시스템의 증발기의 송풍량 및 체적의 변화를 통한 안정적 운전으로 운전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현하되, 예약운전, 스케쥴 운전, 온도, 습도, 시간의 통제 운전 등의 자동화 및 모바일 운전기능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대량으로 효율적인 건조를 위하여 건조용 대차가 복수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도 5에서와 같이 분리벽을 설치하여 직사각형 형상으로 설계 제작하고, 저진공 상태에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건조실 내부 구조물을 견고하게 설계 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는 건조실 내부의 공기압이 50∼250 torr 이기 때문에 내부 구조물이 공기압에 견딜 수 있도록 높은 강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조기 상부는 공기 압력을 지탱할 수 있는 사다리 형태의 구조물로 골조를 보강하고, 구조물과 외부 판넬은 도 1에서와 같이 견고하게 볼트 등으로 결속하며, 건조실내의 대차 높이의 간격을 골조응력 범위내로 유지하여 상부에서 작용하는 버팀강도를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한다.
건조기 후면에는 외부에 위치하는 기계실의 구조를 강도 높게 제작하여 내부 구조물과 볼트로 결속하여 진공시 작용하는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제작한다.
건조기 하부에는 기초 조립대를 견고하게 제작하고, 내부 구조물과의 견고한 결속을 위하여 볼트로 고정하여 저진공 유지시 작용하는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한다.
전면부에는 대차가 들어가는 건조실 문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건조실 문을 지지하고 있는 골조 제작시 건조실 내부 공기압에 견딜 수 있도록 외측으로 라운드진 형태의 밀폐 구조로 구현하며, 건조실 문의 내측에 고정쇠와 견고하게 결속하여 저진공시 작용하는 공기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한다.
건조기 측면부의 외부보강은 건조기의 외형구조를 확장할 경우 건조기의 외형의 확대로 인한 공간면적의 점유가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및 사용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건조실 내에 사용하고 있는 이동형 대차의 구조강도 및 정밀도를 높여(건조실 내측 골조와의 간격을 좌우 2mm이하로 유지함) 골조와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저진공시 작용하는 공기 압력에 충분히 대응하여 견딜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저진공 건조기의 건조실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저진공 건조기의 건조실에 건조용 대차와 건조용 대차 상에 채반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분리벽이 설치된 두 개의 건조실을 가진 구조 및 형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에서, 좌측은 제1 건조실(도5의 501)로 건조용 대차가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이고, 제2 건조실(도5의 502)은 건조용 대차(도5의 503)가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와 도5는 제1 건조실(도5의 501)과 제2 건조실(도5의 502)은 각각 2대의 건조용 대차가 들어갈 수 있는 구조로 설계 제작된 건조기이다.
도 3에서와 같이, 건조실 내부의 양측 측벽에는 측부바람막이(도3의 301,302)가 형성되어 있고, 건조실 내측에는 상부에서 들어오는 공기를 상부에서 하부까지 대차측으로 골고루 들어가도록 공기배분 방향판(도3의 303)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배분 방향판(도3의 303)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속도를 고려하여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배분 방향판의 폭을 좁게 형성하고, 하부로 갈수록 공기배분 방향판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건조실 내부의 공기가 건조용 대차에 위치한 채반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전달되도록 한다.
건조용 대차의 하부에는 대차 바퀴가 고정 설치되고, 건조용 대차의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바퀴레일(도3의 304)이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3에서, 하늘색 화살표 방향은 공기흐름방향(도3의 305)을 나타낸다.
즉, 건조실 내부의 공기배분 방향판(도3의 303)을 통해서 건조대상물이 위치한 건조용 대차를 통과하여 건조실 도어측으로 이동하여 공기순환통로(도1의 117)를 통과하여 상부에 위치한 내부순환용송풍기(도1의 103)으로 이동한다.
앞서 기술한 내용과 도1 내지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구성의 핵심은 건조실을 최대한 크게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하여 건조 대상물을 최대한 많이 수용할 수 있으면서 수용된 건조 대상물을 저진공으로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는 것이다.
건조실의 공기압이 250∼400 torr인 중진공 상태에서는 건조 대상의 일부 식품 및 농산물의 조직 파열, 영양소 파괴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 등이 발생하나, 건조실을 저진공으로 유지할 경우에는 상기 문제점을 방지하면서 구조형상화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으면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건조대상물이 담긴 채반(도4의 402)을 건조용 대차(도4의 401)에 위치시키고 건조실에 들어가면, 도 4와 같이 건조실의 양측벽과 2mm 이하의 틈(도4의 410,411)을 가지도록 설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틈(도4의 410,411)은 도 4에서 건조실 양측 측부바람막이(도4의 404,405)와 건조용 대차(도4의 401)의 양측면 프레임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건조실 양측면의 측부바람막이(도4의 404,405)와 측부바람막이사이에는 공기가 건조실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 제작된 측부공기 이동통로(도4의 406,407)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서, 건조실 바닥에는 대차 바퀴(도4의 408)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 레일(도4의 409)이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내측 상부에서 들어오는 공기흐름은 각각의 공기배분 방향판(도5의 509)을 통해서 제1 건조실(도5의 501)과 제2 건조실(도5의 502)로 들어가 건조용 대차(도5의 503)에 위치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도 5에서, 제1 건조실(도5의 501)과 제2 건조실(도5의 502)은 크기가 서로 동일하게 제작하거나 혹은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건조실로 들어가는 건조용 대차의 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서로 동일하게 또는 다르게 설계 제작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건조실을 하나의 분리벽(도5의 508)을 설치하여 제1 건조실(도5의 501)과 제2 건조실(도5의 502)로 분리하여 설계 제작하였으나, 건조실은 용도, 수요자의 요구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 복수개로 설계 제작할 수 있다.
건조실의 폭이 너무 넓거나 높이가 너무 높을 경우에 공기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지 못하여 건조대상물을 골고루 건조할 수 없거나 건조시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건조대상물의 채반 위치를 좌우 및/또는 앞뒤 서로 교환하거나 혹은 상하로 서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건조비용 및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5에서, 제1 건조실(도5의 501)과 제2 건조실(도5의 502)의 각각의 양측면에는 측부바람막이(504,505)가 설치되고, 측부바람막이사이에는 각각의 건조실 양측면을 따라 공기가 골고루 이동할 수 있도록 측부공기 이동통로(도5의 406,407)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서, 제1 건조실(도5의 501)과 제2 건조실(도5의 502)의 바닥에는 각각 바퀴 레일(도5의 510)이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고, 건조용 대차 하부에는 대차 바퀴(도5의 511)가 설치되어 바퀴 레일(도5의 510)을 따라서 용이하게 들어가고 나올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앞서 기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특허보호범위를 요약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는 건조 대상물의 조직 손상없이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건조실 내부를 저진공으로 유지하며, 저진공을 위해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링브로와가 건조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건조 대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내부순환용송풍기가 건조기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순환용송풍기에서 발생한 공기흐름을 건조실 내부에 골고루 분산 배분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저진공은 건조 대상물의 조직 파열, 영양소 파괴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을 방지하면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50 torr 내지 250 torr 사이에서 설정된 공기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건조 대상물의 멸균은 영양소가 파괴되지 아니하는 70℃ 온도에서 20분∼30분을 유지하거나 혹은 60℃에서 2시간 내지 2시간 30분을 유지하여 멸균하면서 건조를 수행하고, 멸균 수행 후에는 건조 대상물에 적합한 건조 조건으로 설정하여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건조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내부순환용송풍기에서 발생한 공기흐름을 건조실 내부에 골고루 분산 주입되도록 공기주입구가 좁고 길게 형성되고, 공기주입구로 들어온 공기는 건조실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하강하는 공기를 채반이 위치한 건조용 대차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배분 방향판이 건조용 대차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공기 흐름을 건조실 내부에 골고루 배분하기 위하여 공기배분 방향판은 상부 작게 폭을 형성하고, 하부로 갈수록 단계별로 튀어나오도록 폭을 넓게 형성하여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공기가 소정량씩 배분되어 건조용 대차 내부로 골고루 이동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공기배분 방향판의 튀어나온 가장자리의 소정 부분을 상부로 향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하거나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건조용 대차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량과 공기흐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공기배분 방향판을 통해서 건조용 대차로 이동하는 공기가 건조실 양측 벽을 따라서 어느 한 방향으로 몰려서 이동하지 아니하고 건조실 양측 벽을 따라 공기가 골고루 이동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측부바람막이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바람막이사이에 측부공기 이동통로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건조 대상물의 건조량을 늘이면서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하여 건조용 대차가 들어가는 건조실을 분리벽을 하나 이상 설치하여 복수의 건조실을 설치하고, 각각의 건조실 양 측벽에는 공기가 건조실 양측 벽을 따라 골고루 이동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측부바람막이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측부바람막이사이에 측부공기 이동통로가 가로 방향으로 복수 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핫개스용 응축기가 건조기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핫개스용 응축기는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에서 건조실 공기를 냉각시킬 때 발생하는 열을 교환기를 통해서 흡수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의 온도를 높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건조실 내부의 온도 제어를 위하여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와 원적외선 히터를 건조기 상부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와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10℃ 내지 70℃ 사이의 소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건조실의 공기압을 설정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하여 급기조정부 및 진공압력 조정밸브를 건조기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진공기능의 선택적 운전 및 냉각시 냉동시스템의 증발기의 송풍량 및 체적의 변화를 통한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제어부를 설치하여, 예약운전, 스케쥴 운전, 온도, 습도, 제어시간의 통제 운전를 포함하는 동작의 자동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앞서 기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특허권의 보호범위는 필요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권리보호범위를 변형 기재하여 보호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조실의 공기압이 0∼50 torr인 감압 상태보다 낮고, 공기압이 250∼400 torr인 중진공 상태보다는 높은 50∼250 torr 사이에서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이며, 감압 상태보다는 건조 효율이 높으면서 중진공 상태에서 발생하는 일부 식품 및 농산물의 조직 파열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 등을 방지하면서 저진공에 견딜 수 있는 구조형상화를 위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농수산물의 영양 및 조직 상태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100; 건조기 101; 도어(건조실)
102; 핫개스용 응축기 103; 내부순환용송풍기 104;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 105; 급기구 106; 진공압력 조정밸브 107; 급기조정부 108; 진공압력 및 해제뎀퍼밸브 109; 링브로와
110; 공기배분 방향판 111; 건조실측부 공기흐름방향
112; 측부바람막이 113; 건조기전체 공기흐름방향
114; 볼트 115; 제1 대차
116; 제2 대차 117; 공기순환통로
201,202; 도어 203,204; 공기흐름(화살표)
205; 공기배분 방향판 206; 볼트
301,302; 측부바람막이 303; 공기배분 방향판
304; 바퀴레일 305; 공기흐름방향
401; 건조기 대차 402; 채반
403; 채반 걸림턱 404,405; 측부바람막이
406,407; 측부공기 이동통로 408; 대차 바퀴
409; 바퀴 레일 410,411; 틈
501; 제1 건조실 502; 제2 건조실
503; 건조용 대차 504, 505; 측부바람막이
507; 걸림턱(채반) 508; 분리벽
509; 공기배분 방향판 510; 바퀴 레일
511; 대차 바퀴 512; 측부공기 이동통로

Claims (12)

  1.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링브로와가 건조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의 조직 손상없이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건조실 내부를 저진공으로 유지하고,
    건조 대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내부순환용송풍기가 건조실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순환용송풍기에서 발생한 공기흐름을 건조실 내부에 골고루 분산 배분시켜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진공은 건조 대상물의 조직 파열, 영양소 파괴 및 이형화 유막 분리 현상을 방지하면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50 torr 내지 250 torr 사이에서 설정된 공기 압력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 대상물의 멸균은 영양소가 파괴되지 아니하는 70℃ 온도에서 20분∼30분을 유지하거나 혹은 60℃에서 2시간 내지 2시간 30분을 유지하여 멸균하면서 건조를 수행하고,
    멸균 수행 후에는 건조 대상물에 적합한 건조 조건으로 설정하여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건조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내부순환용송풍기에서 발생한 공기흐름을 건조실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어 주입되도록 공기주입구를 좁고 길게 형성되고,
    공기주입구로 들어온 공기는 건조실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건조실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공기를 채반이 위치한 건조용 대차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배분 방향판이 건조용 대차와 인접하여 상하로 복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공기 흐름을 건조실 내부에 골고루 배분하기 위하여 공기배분 방향판은 상부를 작은 폭으로 형성하고, 하부로 갈수록 단계별로 튀어나오도록 폭을 넓게 형성하여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공기가 소정량씩 배분되어 건조용 대차 내부로 골고루 이동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공기배분 방향판의 튀어나온 가장자리는 효율적인 건조를 위하여 상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하거나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건조용 대차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량과 공기흐름 속도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분 방향판을 통해서 건조용 대차로 이동하는 공기가 건조실 양측 벽을 따라서 몰려서 이동하지 아니하고 건조실 양측 벽을 따라 공기가 골고루 이동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측부바람막이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측부바람막이사이에는 측부공기 이동통로가 가로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량을 늘이면서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하여 건조용 대차가 들어가는 건조실을 분리벽을 하나 이상 설치하여 복수의 건조실을 설치하고,
    각각의 건조실 양 측벽에는 공기가 건조실 양측 벽을 따라 골고루 이동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측부바람막이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측부바람막이사이에는 측부공기 이동통로가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핫개스용 응축기가 건조기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핫개스용 응축기는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에서 건조실 공기를 냉각시킬 때 발생하는 열을 교환기를 통해서 흡수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의 온도를 높일 때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건조실 내부의 온도 제어를 위하여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와 원적외선 히터를 건조기 상부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냉각제습용 유니트 쿨러와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10℃ 내지 70℃ 사이의 소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건조실의 공기압을 설정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조정부 및 진공압력 조정밸브가 건조기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건조실 바닥에는 건조용 대차의 바퀴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레일이 소정 높이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진공기능의 선택적 운전 및 냉각시 냉동시스템의 증발기의 송풍량 및 체적의 변화를 통한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제어부를 설치하여,
    예약운전, 스케쥴 운전, 온도, 습도, 제어시간의 통제 운전를 포함하는 동작의 자동화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KR1020230012549A 2023-01-31 2023-01-31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KR20240120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549A KR20240120144A (ko) 2023-01-31 2023-01-31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549A KR20240120144A (ko) 2023-01-31 2023-01-31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0144A true KR20240120144A (ko) 2024-08-07

Family

ID=9237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549A KR20240120144A (ko) 2023-01-31 2023-01-31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201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654B1 (ko) 2011-10-05 2013-06-03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진공 건조기능을 갖는 전기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654B1 (ko) 2011-10-05 2013-06-03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진공 건조기능을 갖는 전기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6526A (en) Drying plant, particularly for timber
KR102206227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CA1211934A (en) Drying process and its apparatus utilizing refrigeration cycle
WO2022031836A1 (en) Greenhouse
KR101095389B1 (ko) 비순환식 공기흐름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180643A (zh) 温控集装箱及集装箱的控温方法
KR100991931B1 (ko) 증감압, 냉온풍 건조 장치
CA2308245C (en) A drying device
KR101452161B1 (ko) 농산물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KR100951628B1 (ko) 농산물 저장창고
KR20240120144A (ko) 저진공 농수산물 건조기
CN212081757U (zh) 一种静压风箱
KR101153464B1 (ko) 마늘 예건 겸용 저온 저장고
NL1037152C2 (nl) Warenhuis en werkwijze voor het circuleren van lucht in een warenhuis.
US7089683B1 (en) Drying device
KR20130104293A (ko) 보조가열장치가 부착된 식품 건조기
CN202350472U (zh) 热风循环装置
KR102124262B1 (ko) 곶감 건조 시스템
KR200411042Y1 (ko) 홍삼제조용 건조기
CN218380168U (zh) 一种烘干药材的烘房
CN205482125U (zh) 一种均热热泵烘干房
CN218087066U (zh) 一种集装箱内气流分配系统
CN215649188U (zh) 一种水分超限烟叶快速烘干房
DE10257148A1 (de) Schnellkühlkammer zum raschen Abkühlen von Teiglingen
EP4137764A1 (en) A racking system for storage rooms, storage rooms with said rack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uring uniform temperature in said storage 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