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5454A -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5454A
KR20240115454A KR1020230007777A KR20230007777A KR20240115454A KR 20240115454 A KR20240115454 A KR 20240115454A KR 1020230007777 A KR1020230007777 A KR 1020230007777A KR 20230007777 A KR20230007777 A KR 20230007777A KR 20240115454 A KR20240115454 A KR 20240115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late portion
vertical plate
heater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김지형
김하수
오기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30007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15454A/ko
Priority to PCT/KR2024/000340 priority patent/WO2024154997A1/ko
Publication of KR20240115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5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01H71/164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 흡인력이 증대하여 차단 성능이 향상된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의하면 히터가 솔레노이드 형태로 형성되어 원형 전류를 만든다. 따라서, 마그넷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을 아마추어가 동작하는 방향과 일치시켜 순시 흡입력이 강화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Instant Trip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 흡인력이 증대하여 차단 성능이 향상된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또는 단락 사고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배선용 차단기는 보통 저압 계통에 많이 사용된다.
배선용 차단기는 크게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 고정접촉자와 이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접점부,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여 회로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기구, 회로 상에 흐르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감지하여 개폐 기구의 트립(trip) 동작을 유도하는 트립부, 이상전류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고 전류는 여러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보통 정격 전류의 130% 이상의 전류를 과전류라고 하고 정격 전류의 10배 이상이 되는 급격한 전류를 순시 사고 전류하고 한다. 또한 순시 전류를 포함한 급격한 대전류를 단락 전류라고 한다.
과전류 영역에서는 통상 바이메탈 소자를 이용하여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정격전류의 10배 정도의 순시 전류는 전도체(히터)를 마그넷(Magnet)과 아마추어(Armature) 사이에 두고 전도체에 설정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로(Magnetic Path)가 형성되어 아마추어가 마그넷에 흡인되면서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는 정격 과전류에 대응하는 과전류 트립 장치와 순시 전류에 대응하는 순시 트립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1)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트립부(트립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회로에 흐르는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개폐기구를 트립시키기 위한 트립부(10)가 외함(2) 내부에 마련된다. 트립부(10)는 부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보통이다. 트립부(10)는 부하측 단자부(9)에 연결되는 히터(11), 히터(11)에 결합되어 열을 감지하고 열량에 따라 만곡되는 바이메탈(미도시), 히터(11) 주변에 설치되는 마그넷(13)과 아마추어(14), 상기 바이메탈 또는 아마추어(14)의 접촉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크로스바(15), 크로스바(15)의 회전에 의해 구속 또는 해제되어 개폐기구(20)의 네일(18)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슈터(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소전류 지연 차단시에는 히터(11)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바이메탈이 만곡하여 크로스바(15)가 회전하여 개폐기구를 작동시키게 되고, 대전류 순시 차단시에는 마그넷(13)에 여자되는 자력에 의해 아마추어(14)가 흡인되면서 크로스바(15)를 회전시켜 개폐기구(20)가 작동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순시트립장치의 작용도가 도시되어 있다. 배선용 차단기(1)가 설치된 회로 상에 단락전류 등과 같은 큰 사고전류가 발생될 경우 마그넷(13)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마그넷(13)의 자기장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아마추어(14)가 끌어당겨져 크로스바(15)를 밀어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슈터(16)가 회전하면서 개폐기구(20)가 트립된다.
트립부에서는 사고전류 발생시 전류가 흐르는 히터(11)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으로 인하여 마그넷(13)에 흡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아마추어(14)를 당기게 된다.
정상 전류 통전시 이 흡인력은 아마추어(14)의 순시스프링(12)의 장력보다 약하여 아마추어(14)를 당기지 못하지만, 사고전류 발생시 커진 자기장의 힘에 의해 마그넷(13)의 흡인력이 순시 스프링(12)의 장력보다 세지게 되어 아마추어(14)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정상전류 통전시에는 순시스프링(12)의 장력보다 마그넷(13)의 자기 흡인력이 작아서 아마추어(14)는 동작을 안한다.
그러나 사고전류 통전시에는 순시스프링(12)의 장력보다 마그넷(13)의 자기 흡인력이 커져서 아마추어(14)가 동작을 하고, 기구부를 작동시켜 트립 작용을 한다.
그런데, 저정격의 차단기 경우, 전류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고전류 발생시 마그넷의 자기 흡인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순시 기준범위 내에서 아마추어가 동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순시 흡인력을 높이기 위해 마그넷의 크기를 키워야 하는데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키울 수 있는 마그넷의 크기에 한계가 있고 따라서 흡인력의 제한이 생긴다.
도 5에 종래기술에 따른 히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히터(11)에 흐르는 전류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히터에 흐르는 전류를 중심으로 오른 나사 법칙에 따른 자기장이 형성된다.
도 6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히터와 마그넷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히터(1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마그넷(13)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도시되어 있다. 마그넷은 히터를 감싸는 형태, 즉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마그넷의 일측면으로는 후방으로 향하는 자기장이 형성되고 마그넷의 타측면으로는 전방으로 향하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자기장의 방향은 아마추어(14)의 동작 방향에 비껴나 있어서 자기 흡인력 증대 효과가 크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순시 흡인력을 증대하여 저정격에서도 아마추어의 트립동작이 잘 일어나도록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는, 회로에 연결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마그넷;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마그넷이 자화되면 상기 마그넷에 흡인되는 아마추어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의 중앙부에는 자기력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에는 상기 자기력홈에 삽입되어 상기 아마추어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는, 전원측에 연결되는 전원측 히터부와, 일부가 상기 전원측 히터부에 중첩 배치되는 부하측 히터부 및 전원측 히터부와 부하측 히터부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측 히터부는, 전원측에 연결되는 전원측 연결단자, 상기 전원측 연결단자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원측 제1 세로판부, 상기 전원측 제1 세로판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측 중간부, 상기 전원측 중간부에 연결되는 전원측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하측 히터부는, 상기 전원측 결합부에 결합되는 부하측 결합부, 상기 부하측 결합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하측 제1 세로판부, 상기 부하측 제1 세로판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하측 중간부, 상기 부하측 중간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하측 제1 세로판부에 나란히 배치되는 부하측 제2 세로판부, 부하측 제2 세로판부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부하측 평판부 및 상기 부하측 평판부에 연결되는 부하측 단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측 제1 세로판부의 폭은 상기 전원측 연결단자의 폭의 1/2 미만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하측 제1 세로판부 및 부하측 제2 세로판부의 폭은 상기 부하측 평판부의 폭의 1/2 미만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하측 제2 세로판부와 전원측 제1 세로판부는 상기 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중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부하측 제1 세로판부와 부하측 제2 세로판부 사이에는 상기 자기력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절연 세로판부와 절연 가로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트립부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부 및 상기 고정판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기력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부에는 상기 트립부 케이스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의하면 히터가 솔레노이드 형태로 형성되어 원형 전류를 만든다. 따라서, 마그넷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을 아마추어가 동작하는 방향과 일치시켜 순시 흡입력이 강화된다.
더불어, 마그넷이 아마추어의 동작 방향과 일치하는 돌출부에 의해 자기흡인력이 증대된다.
이에 따라 저정격 전류에서도 아마추어가 순시 기준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히터는 전원측 히터부와 이에 결합되는 부하측 히터부의 이중판으로 구성되어 원형 전류를 형성한다.
전원측 히터부와 부하측 히터부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개재되어 이중판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에서 순시 트립 기구의 작용도로서, 도 3은 통전 상태, 도 4는 트립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종래기술에 따른 히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히터와 마그넷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적용되는 트립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에 적용되는 히터와 마그넷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히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재" 또는 "부"라는 용어는 어떤 한정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며,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100)의 순시 트립 장치는, 트립부 케이스(280); 상기 트립부 케이스(280)에 설치되고 회로에 연결되는 히터(210); 상기 히터(21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마그넷(250); 상기 히터(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마그넷(250)이 자화되면 흡인되는 아마추어(260); 및 상기 아마추어(260)의 작용에 의해 회동하여 개폐기구(125)를 트립시키는 크로스바(270); 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210)의 중앙부에는 자기력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250)에는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어 상기 아마추어(26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254)가 마련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100)를 살펴보기로 한다.
외함(101)은 배선용 차단기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지지한다. 외함(101)은 개략적으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외함(101)의 상면에는 핸들(127)이 노출된다. 핸들(127)은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력에 의해 개폐기구(125)를 동작시킨다.
외함(101)의 전,후면에는 전원 또는 부하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108,218)가 마련된다. 단자부(108,218)는 각 상별로 (또는 각 극별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3상 4극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 4개의 단자부가 마련될 수 있다. 단자부(108,218)는 전원측 단자부(108)와 부하측 단자부(218)로 구성된다.
외함(101) 내에는 베이스 어셈블리(102)가 삽입 설치된다. 베이스 어셈블리(102)는 접점부와 소호부를 내장한다. 베이스 어셈블리(102)는 각 상마다 마련된다. 예를 들어 3상의 경우 R상, S상, T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S상 베이스 어셈블리(102)에는 개폐기구부(125)가 설치된다.
고정접촉자(120,121)가 외함(101)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접촉자(120,121)는 단자부(108,218)에 연결된다. 쌍접점형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 고정접촉자(120,121)는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각 마련된다. 즉, 전원측 고정접촉자(120)와 부하측 고정접촉자(121)가 구비된다. 이때, 전원측 고정접촉자(120)는 전원측 단자부(108)에 직접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하측 고정접촉자(121)는 트립기구(특히 히터(210))를 통해 부하측 단자부(218)에 연결될 수 있다.
접점부(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인근에는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하여 소호부(소호장치)(105)가 마련된다. 쌍접점형 배선용 차단기(double circuit breaker)의 경우 소호부(105)는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각 마련된다. 소호부(105)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측벽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로 구성될 수 있다. 접점부에 발생하는 아크는 복수 개의 그리드에 의해 분할된다.
회로에 흐르는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개폐기구를 트립시키기 위한 트립부(200)가 외함(101)의 일부에 마련된다. 트립부(200)는 부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보통이다. 트립부(200)는 부하측 단자부(218)에 연결되는 히터(210), 히터(210)에 결합되어 열을 감지하고 열량에 따라 만곡되는 바이메탈(240), 히터(210) 주변에 설치되어 사고 전류시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넷(250), 히터(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마그넷(250)의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는 아마추어(260), 상기 바이메탈(240) 또는 아마추어(260)의 접촉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크로스바(270), 크로스바(270)의 회전에 의해 구속 또는 해제되어 개폐기구(125)의 네일(118)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슈터(27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소전류 지연 차단시에는 히터(210)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바이메탈(240)이 만곡하여 크로스바(270)가 회전하여 개폐기구(125)를 작동시키게 되고, 대전류 순시 차단시에는 마그넷(250)에 여자되는 자력에 의해 아마추어(260)가 흡인되면서 크로스바(270)를 회전시켜 개폐기구(125)가 작동하게 된다.
사용자의 조작력은 핸들(127)을 통해 개폐기구(125)에 전달된다. 개폐기구(125)의 동력을 각 상에 전달하기 위하여 개폐기구(125)에는 한 쌍의 회전핀(104)이 설치된다. 회전핀(104)은 모든 상을 가로지르는 길이로 형성되어 샤프트 어셈블리(또는 가동자 어셈블리)(130)에 설치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30)가 마련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30)에는 회전핀(104)이 관통 설치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30)는 회전핀(104)에 의해 개폐기구(125)의 개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샤프트 어셈블리(130)가 회전함에 따라 가동접촉자(140)도 회전하여 고정접촉자(120,121)에 접촉되거나 분리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30)는 샤프트 바디(131), 가동접촉자(140), 샤프트 핀(165), 스프링(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동접촉자(140)는 샤프트 바디(131)의 개구부(133)에 삽입 설치된다. 가동접촉자(140)는 샤프트 바디(131)와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접촉자(120,121)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선로를 통전시키거나 차단시킨다.
가동접촉자(140)의 양단부에는 고정접촉자(120,121)의 고정접점(122,123)에 접촉될 수 있는 가동접점(141)이 각각 구비된다. 가동접점(141)은 크롬-동(Cr-Cu) 합금 등 전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140)의 측면에는 스프링(160)의 일단을 걸 수 있는 고정돌기(142)가 돌출 형성된다. 스프링(160)의 일단이 고정돌기(142)에 고정되어, 가동접촉자(140)는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14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 바디(13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가동접촉자(140)는 일반적인 소전류나 대전류 차단 상황에서는 샤프트 바디(131)와 함께 회전하지만, 한류 차단시에는 급격한 전자반발력에 의해 가동접촉자(140)가 독자적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가동접촉자(140)는 개구부의 샤프트 핀(165)에 접하여 회전이 멈추게 된다. 가동접촉자(140)의 배면에는 샤프트 핀(165)에 접할 수 있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140)가 회전하는 것은 3가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 경우는 사용자가 핸들(127)을 조작하여 핸들(127)과 접속되어 있는 개폐 기구(125)가 샤프트 어셈블리(130)를 회동시켜 가동접촉자(140)가 샤프트 바디(131)와 함께 회전하는 경우이다. 즉, 가동접촉자(140)는 스프링(160)의 힘에 의해 구속되어 샤프트 바디(131)와 함께 움직인다. 다시 말하면, 이 경우 샤프트 어셈블리(130)는 가동접촉자(140)와 샤프트 바디(131)가 일체로 움직인다.
두번째 경우는 트립부(200)의 사고전류 검출에 따른 동작에 의해 개폐 기구(125)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샤프트 어셈블리(130)가 회전하면서 가동접촉자(140)도 회전하는 경우이다. 이때에도 가동접촉자(140)는 스프링(160)의 힘에 의해 구속되어 샤프트 바디(131)와 함께 움직인다.
세번째 경우는 단락전류와 같은 큰 사고전류의 발생시 전자반발력에 의해 가동접촉자(140)가 고정접촉자(120,121)로부터 분리되어 회전하는 경우이다(소위 한류차단). 이때 가동접촉자(140)는 샤프트 바디(131)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동접촉자(140)는 샤프트 바디(131)의 개구부(133) 내에서 움직인다. 가동접촉자(140)가 강한 전자반발력에 의하여 스프링(160)의 탄성력을 이기고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가동접촉자(140)는 고정접촉자(120,121)로부터 분리된다. 가동접촉자(140)는 고정접촉자(120,121)로부터 분리되어 가동접촉자(140)가 샤프트 핀(165)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이 경우(한류 차단의 경우)에는 샤프트 어셈블리(130)는 샤프트 바디(131)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동접촉자(140)만 독자적으로 움직인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적용되는 트립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트립부에 적용되는 히터와 마그넷의 사시도, 도 11은 히터와 마그넷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히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회로에 흐르는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개폐기구를 트립시키기 위한 트립부(200)가 외함(101)의 일부에 마련된다. 트립부(200)는 부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보통이다.
트립부(200)는 트립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트립부 케이스(280), 회로의 일부에 연결되는 히터(210), 히터(210)에 결합되어 열을 감지하고 발생하는 열량에 따라 만곡되는 바이메탈(240), 히터(210) 주변에 설치되는 마그넷(250)과 아마추어(260), 상기 바이메탈(240) 또는 아마추어(260)의 접촉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크로스바(270), 크로스바(270)의 회전에 의해 구속 또는 해제되어 개폐기구(125)의 네일(118)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슈터(275)를 포함한다.
트립부 케이스(280)가 마련된다. 트립부 케이스(280)는 트립부(200)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지지한다. 트립부 케이스(280)는 절연을 위하여 합성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립부 케이스(280)의 전면부에는 접촉자 보호부(282)가 돌출 형성된다. 접촉자 보호부(282)는 부하측 고정접촉자(121)를 감싸서 보호하고 절연한다.
트립부 케이스(280)에는 내부에 각 상을 분리하기 위한 상간 격벽(284)이 마련된다. 상간 격벽(284)은 이중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트립부 케이스(280)의 후면은 개방되어 단자부가 연결되거나 외함(101)에 의해 절연된다.
히터(210)는 회로의 일부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거나 유도 전류를 발생시킨다. 히터(210)는 전도체로 구성된다. 히터(210)는 회로에 연결되어 통전된다. 히터(210)의 상단부는 부하측 고정접촉자(121)에 연결되고 히터(210)의 하단부는 부하측 단자부(218)에 연결되어 전류가 통전되도록 한다. 히터(210)는 과전류 및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 트립부에 시그널을 보내는 역할을 한다. 즉, 히터(21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열이 발생하여 바이메탈(240)에 열을 전달한다. 또한, 히터(210)에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 유도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형성하여 마그넷(250)에 자기 흡인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히터(210)는 마그넷(250)의 자기 흡인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형태로 유도 전류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즉, 히터(210)는 솔레노이드처럼 코일 형태의 원형 전류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원형 전류 중심을 관통하는 형태로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코일 형태의 원형 전류를 일으키도록 형성된다. 원형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응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히터(210)는 전원측 히터부(220)와 부하측 히터부(211)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230)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측 히터부(220)와 부하측 히터부(211)가 일부 중첩되는 이중판을 형성하여 코일 형태를 구현하도록 한다.
전원측 히터부(220)는 전원측 연결단자(221),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 전원측 중간부(225), 전원측 결합부(227)를 포함한다. 전원부에서 인가된 전류, 즉, 부하측 고정접촉자(121)를 통해 들어온 전류는 전원측 연결단자(221),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 전원측 중간부(225), 전원측 결합부(227) 순으로 이동한다.
전원측 연결단자(221)는 부하측 고정접촉자(121에 결합된다. 즉, 전원측 연결단자(221)는 단자부 또는 연결부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전원측 연결단자(221)는 회로에 연결되어 되어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흘러들어온다.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는 전원측 연결단자(221)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는 폭이 전원측 연결단자(221)의 폭의 1/2 미만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는 전원측 연결단자(221)의 일측에 연결된다.
전원측 중간부(225)는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의 하단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원측 중간부(225)는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와 전원측 결합부(227)를 연결한다.
전원측 결합부(227)는 전원측 히터부(220)가 부하측 히터부(211)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전원측 결합부(227)는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에 나란히 배치된다. 전원측 결합부(227)는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와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이 간격은 전원측 중간부(225)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이다.
전원측 결합부(227)와 부하측 결합부(212)는 서로 결합된다. 전원측 결합부(227)와 부하측 결합부(212)는 볼트나 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전원측 결합부(227)와 부하측 결합부(212)는 볼트나 핀이 삽입돌 수 있는 결합홀(212a, 227a)이 각각 형성된다.
부하측 히터부(211)는 부하측 결합부(212),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 부하측 중간부(215),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 부하측 평판부(217), 부하측 단자부(218)를 포함한다. 전원측 히터부(220)로부터 들어온 전류는 부하측 결합부(212),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 부하측 중간부(215),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 부하측 평판부(217), 부하측 단자부(218) 순으로 이동한다.
부하측 결합부(212)는 전원측 히터부(220)의 전원측 결합부(227)에 결합된다. 전원측 히터부(220)와 부하측 히터부(211)는 전원측 결합부(227)와 부하측 결합부(212)에서만 직접 결합된다. 이외에 전원측 히터부(220)의 다른 구성 부분과 부하측 히터부(211)의 다른 구성 부분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는 부하측 결합부(21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에서는 전원측 히터부(220)에서 흘러온 전류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부하측 중간부(215)는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의 상단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부하측 중간부(215)는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와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를 연결한다.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는 부하측 중간부(21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는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에 나란히 배치된다.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는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 및 부하측 중간부로부터 흘러온 전류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는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와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즉,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와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 사이에는 자기력홈(213)이 형성된다. 이 자기력홈(213)은 마그넷(250)의 돌출부(254)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는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와 중첩된다. 즉, 이중판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다만,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와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는 절연부재(230)에 의해서 서로 소정 간극을 갖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전류는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로부터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로 바로 흐르지는 않는다.
부하측 평판부(217)는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로부터 절곡 연장된다. 부하측 평판부(217)는 부하측 단자부(218)에 연결된다.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 및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의 폭은 부하측 평판부(217)의 폭의 1/2 미만으로 형성된다. 또한, 부하측 제1 세로판부(214) 및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의 폭은 전원측 연결단자(221)의 폭의 1/2 미만으로 형성된다.
부하측 단자부(218)는 부하측 평판부(217)로부터 연장된다. 부하측 단자부(218)는 부하가 연결되는 단자부를 이룬다. 전원으로부터 히터(210)에 인가된 전류는 부하측 단자부(218)를 통해 부하에 전달된다.
부하측 단자부(219)의 하면에는 지지부(219)가 구비될 수 있다.
절연부재(230)는 전원측 히터부(220)와 부하측 히터부(211) 사이에 개재된다. 절연부재(230)는 절연지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부재(23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연부재(230)는 절연 세로판부(231)와 절연 가로판부(232)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부재(230)는 전원측 히터부(220)와 부하측 히터부(211)가 결합부외에는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절연 세로판부(231)는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와 부하측 제2 세로판부(216) 사이에 개재된다. 절연 가로판부(232)는 전원측 제1 세로판부(223)의 상단부(또는 전원측 연결단자(221)의 일측면)와 부하측 중간부(215) 사이에 개재된다.
전류는 전원측 히터부(220)로부터 부하측 히터부(211)를 거치는 동안 타원형으로 2회전 가까이 돌게 되어 원형 전류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이 원형 전류를 관통하는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 자기장은 자기력홈(213)을 통과한다. 도 10 및 도 12에 히터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바이메탈(240)은 열전도율이 서로 다른 2개의 금속판이 결합되어 열 발생시 만곡된다. 바이메탈(240)은 히터(210)에 접촉되어 있어서 열이 전달되면 만곡되어 크로스바(270)를 회전시킨다. 바이메탈(240)은 과전류 트립 작용을 한다.
아마추어(260)는 히터(2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아마추어(260)는 부하측 히터부(211)의 부하측 평판부(217)에 설치된다. 도 7 및 도 9에 아마추어가 도시되어 있다.
아마추어(260)는 아마추어 지지부(262)와 복귀 스프링(264)에 의해 설치된다. 아마추어(260)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마그넷(250)의 자기력이 복귀 스프링(264)의 탄성저항력보다 강하게 형성되면 이를 이기고 마그넷(250) 방향으로 흡인된다(회동한다).
마그넷(250)은 히터(210)의 배후에 설치된다. 마그넷(250)은 히터(210)에 급격한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면 유도 전류에 의한 자기장에 의해 자기 흡인력이 증대된다. 도 10 및 도 11에 마그넷이 잘 나타나 있다.
마그넷(250)은 위에서 볼때 '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250)은 고정판부(251)와 돌출부(254)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부(251)에는 고정홈(252)이 형성되어 트립부 케이스(280)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판부(251)는 히터(210)의 배후면(접점부 방향)에 배치된다.
돌출부(254)는 고정판부(251)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돌출부(254)는 히터(210)의 자기력홈(213)에 삽입된다. 즉, 돌출부(254)는 전원측 히터부(220)의 전원측 제1 세로판부와 부하측 히터부(211)의 부하측 제1 세로판부 사이로 관통된다. 또한, 돌출부(254)는 부하측 제1 세로판부와 부하측 제2 세로판부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된다.
크로스바(270)는 바이메탈(240)이나 아마추어(260)에 의해 회동하여 슈터(275)의 구속을 해제하여 개폐기구(125)를 작동시킨다. 크로스바(270)에는 바이메탈(240)과의 간격 조절을 위한 조절나사(272)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의하면 히터가 솔레노이드 형태로 형성되어 원형 전류를 만든다. 따라서, 마그넷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이 아마추어가 동작하는 방향과 일치되어 순시 흡입력이 강화된다.
이에 따라 저정격 전류에서도 아마추어가 순시 기준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히터는 전원측 히터부와 이에 결합되는 부하측 히터부의 이중판으로 구성되어 원형 전류를 형성한다.
전원측 히터부와 부하측 히터부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개재되어 이중판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원활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것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들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배선용 차단기
101 외함
108 전원측 단자부
218 부하측 단자부
120,121 고정접촉자
125 개폐기구
130 샤프트 어셈블리
140 가동접촉자
200 트립부
210 히터
211 전원측 히터부
220 부하측 히터부
230 절연부재
240 바이메탈
250 마그넷
251 고정판부
254 돌출부
260 아마추어
270 크로스바
275 슈터
280 트립부 케이스

Claims (11)

  1. 회로에 연결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마그넷;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마그넷이 자화되면 상기 마그넷의 방향으로 흡인되는 아마추어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의 중앙부에는 자기력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에는 상기 자기력홈에 삽입되어 상기 아마추어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전원측에 연결되는 전원측 히터부와,
    일부가 상기 전원측 히터부에 중첩 배치되는 부하측 히터부 및
    전원측 히터부와 부하측 히터부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 히터부는,
    전원측에 연결되는 전원측 연결단자,
    상기 전원측 연결단자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원측 제1 세로판부,
    상기 전원측 제1 세로판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측 중간부,
    상기 전원측 중간부에 연결되는 전원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히터부는,
    상기 전원측 결합부에 결합되는 부하측 결합부,
    상기 부하측 결합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하측 제1 세로판부,
    상기 부하측 제1 세로판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하측 중간부,
    상기 부하측 중간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하측 제1 세로판부에 나란히 배치되는 부하측 제2 세로판부,
    부하측 제2 세로판부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부하측 평판부 및
    상기 부하측 평판부에 연결되는 부하측 단자부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 제1 세로판부의 폭은 상기 전원측 연결단자의 폭의 1/2 미만으로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제1 세로판부 및 부하측 제2 세로판부의 폭은 상기 부하측 평판부의 폭의 1/2 미만으로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제2 세로판부와 전원측 제1 세로판부는 상기 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중첩 배치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제1 세로판부와 부하측 제2 세로판부 사이에는 상기 자기력홈이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절연 세로판부와 절연 가로판부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트립부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부 및
    상기 고정판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기력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에는 상기 트립부 케이스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1020230007777A 2023-01-19 2023-01-19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20240115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777A KR20240115454A (ko) 2023-01-19 2023-01-19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PCT/KR2024/000340 WO2024154997A1 (ko) 2023-01-19 2024-01-08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777A KR20240115454A (ko) 2023-01-19 2023-01-19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5454A true KR20240115454A (ko) 2024-07-26

Family

ID=9195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777A KR20240115454A (ko) 2023-01-19 2023-01-19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15454A (ko)
WO (1) WO20241549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2153B4 (de) * 2012-02-14 2021-09-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Thermomagnetischer Auslöser für kleine Strombereiche sowie elektrisches Schaltgerät damit
CN103903921B (zh) * 2012-12-28 2016-08-17 施耐德电器工业公司 过载保护装置和包括该装置的断路器的热磁可调脱扣器
KR20170003457U (ko) * 2016-03-29 2017-10-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1821966B1 (ko) * 2016-09-12 2018-01-2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누전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101890685B1 (ko) * 2016-12-30 2018-08-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배선용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54997A1 (ko) 202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5781C (en) Circuit breaker with moving magnetic core for low current magnetic trip
US6750743B1 (en) Integrated thermal and magnetic trip unit
KR102056642B1 (ko)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CA2899773C (en) Bimetal and magnetic armature providing an arc splatter resistant offset therebetween, and circuit breaker including the same
US6515569B2 (en) Circuit breaker with bypass conductor commutating current out of the bimetal during short circuit interruption and method of commutating current out of bimetal
KR102026642B1 (ko) 배선용 차단기
US20200027677A1 (en) Arc extinguishing unit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6842096B2 (en) Circuit breaker magnetic trip assembly
US4220935A (en)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with high speed magnetic trip device
KR102521937B1 (ko) 차단기의 트립 기구
KR20110074424A (ko) 회로차단기
EP0148746B1 (en) Circuit breaker with undervoltage release device
KR10268585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KR100831709B1 (ko)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102423488B1 (ko) 소형 차단기용 순시 트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차단기
US3287534A (en) Circuit interrupter structure with improved terminal means
KR20240115454A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102159006B1 (ko) 공용 순시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US3513275A (en)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current path and contact means
KR20240054029A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US6483408B1 (en) Circuit breaker with bypass for redirecting high transient current and associated method
KR20200023975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20200009391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20220131077A (ko) 전자기력 발생부를 갖는 직류 차단기
KR10055749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스압 트립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