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2989A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12989A KR20240112989A KR1020247023354A KR20247023354A KR20240112989A KR 20240112989 A KR20240112989 A KR 20240112989A KR 1020247023354 A KR1020247023354 A KR 1020247023354A KR 20247023354 A KR20247023354 A KR 20247023354A KR 20240112989 A KR20240112989 A KR 202401129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tension
- hinge device
- clause
- inclined guid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는,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일끝단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에 각각 회전지지되어 제1 및 제2 본체가 동일 수평선상에 놓이는 '펼침위치'와, 제1 및 제2 본체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접힘위치' 사이에서 소정각도 회전운동하는 제1 및 제2 힌지날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날개가 상대운동하도록 연동시키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날개의 저면에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면에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힌지축선 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 이동가능하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은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는 곡면에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접었다 펼수 있도록 개선된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는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등을 포함하며, 노트북, 휴대폰,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안경 및 시계, 게임기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휴대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더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새로운 형태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휴대단말기가 주목 받고 있다.
다만 휘어짐 또는 구부러지는 휴대단말기의 구현을 위하여 동력을 제공하거나 외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잡한 구성이 필요하며, 이는 외관을 복잡하게 하거나 휴대단말기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접힘시 길이 변화가 발생되어 종래의 폴더 휴대 단말기에 사용된 힌지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에 적용되는 종래의 힌지구조는 두 개의 본체를 상대운동시키는 연동구조를 본체 회전방향으로 단순히 맞물린 기어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국내 특허공개공보 10-2019-0124110). 그런데 이러한 연동구조는 내구성이 떨어지고 진동이나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부품단가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플레기블 디스플레이의 양단을 동일한 각도로 균일하게 접히도록 하면서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효율적인 폴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 힌지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진동이나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부품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새로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일끝단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에 각각 회전지지되어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동일 수평선상에 놓이는 '펼침위치'와,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접힘위치' 사이에서 소정각도 회전운동하는 제1 힌지날개 및 제2 힌지날개; 상기 제1 힌지날개 및 제2 힌지날개가 상대운동하도록 연동시키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힌지날개 및 제2 힌지날개의 저면에 제1 경사가이드홈 및 제2 경사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면에 제1 경사가이드돌기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힌지축선 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 이동가능하게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홈 및 제2 경사가이드홈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홈 및 제2 경사가이드홈이 형성된 부위는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방향으로 장방형의 슬라이드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구멍에 끼워져 안내되는 슬라이드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돌기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돌기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경사가이드홈 및 제2 경사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돌기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벽면에 형성한 한쌍의 반원형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힌지날개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돌기가 끼워맞춤되어 회전지지되는 반원형홈으로 이루어져 회전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반원형돌기는, 상기 '접힘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폴딩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힌지축선 방향으로 제1 가이드축 및 제2 가이드축을 구비한 텐션고정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축 및 제2 가이드축에 끼워져 회전지지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텐션날개 및 제2 텐션날개와, 상기 제1 가이드축 및 제2 가이드축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가동부재와, 상기 텐션가동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기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텐션기구는, 상기 텐션가동부재에 상기 제1 가이드축 및 제2 가이드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경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돌기에 대응하여 끼워맞춤 가능한 또 다른 복수개의 경사돌기가 상기 제1 텐션날개 및 제2 텐션날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텐션기구는, 텐션가이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가이드돌기가 제1 및 제2 힌지날개의 일측에 형성된 텐션가이드구멍에 끼워져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텐션가이드구멍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날개 및 제2 힌지날개와 상기 제1 텐션날개 및 제2 텐션날개의 연동부위 사이에 상기 제1 텐션날개 및 제2 텐션날개의 회전축선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연동부위에 탄력설치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폴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힌지날개와 제2 힌지날개의 회전운동시 가압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펼침위치에서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수평선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제1 힌지날개와 제2 힌지날개 사이에 상기 폴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근접하는 하강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가압수단에 의해 연동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승강판을 가압하여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가압돌기 및 제2 가압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돌기 및 제2 가압돌기는, 텐션기구의 제1 가이드축 및 제2 가이드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부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승강판이 항상 상기 하강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원추형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를 연동시키는 힌지 구조가 폴딩동작시 본체의 힌지축선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폴딩동작시 부하와 유격을 최소화하여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연동구조를 단순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부품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접힘위치에서 승강판이 하강위치로 이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폴딩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수용할 수 있는 폴딩공간을 형성하고, 본체의 펼침위치에서는 힌지장치의 승강판이 상승위치로 이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폴딩부에 대한 수평상태를 연속적으로 확실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펼침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제1 및 제2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1 및 제2 본체와 힌지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주요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제1 및 제2 힌지날개의 회전지지구성을 나타낸 제1 및 힌지날개와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D-D 선 단면도로서, 도 4에서 도시된 제1 및 제2 힌지날개의 회전지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제1 및 제2 힌지날개와 슬라이드부재의 연동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하우징과 슬라이드부재의 저면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슬라이드부재의 동작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제1 및 제2 힌지날개와 슬라이드부재의 연동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텐션기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텐션기구와 제1 및 제2 힌지날개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텐션기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텐션기구의 동작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승강판과 텐션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도 14에서 도시된 승강판의 설치구성 및 가압수단인 탄성부재에 의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a 및 도 16b는 도 2의 C-C선 단면도로서, 도 14에서 도시된 가압수단인 제1 및 제2 가압돌기에 의한 승강판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부호의 설명 >
11,12 : 제1 및 제2 본체 13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14 : 힌지장치 21,22 : 제1 및 제2 힌지날개
31 : 하우징 41 : 슬라이드부재
43a,43b :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
44a,44b :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
50 : 텐션기구 55,56 : 제1 및 제2 텐션날개
70 : 승강판 73,74 : 제1 및 제2 가압돌기
75 : 탄성부재
도 2는 도 1에서 제1 및 제2 본체와 힌지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주요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제1 및 제2 힌지날개의 회전지지구성을 나타낸 제1 및 힌지날개와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D-D 선 단면도로서, 도 4에서 도시된 제1 및 제2 힌지날개의 회전지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제1 및 제2 힌지날개와 슬라이드부재의 연동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하우징과 슬라이드부재의 저면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슬라이드부재의 동작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제1 및 제2 힌지날개와 슬라이드부재의 연동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텐션기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텐션기구와 제1 및 제2 힌지날개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텐션기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텐션기구의 동작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승강판과 텐션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도 14에서 도시된 승강판의 설치구성 및 가압수단인 탄성부재에 의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a 및 도 16b는 도 2의 C-C선 단면도로서, 도 14에서 도시된 가압수단인 제1 및 제2 가압돌기에 의한 승강판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부호의 설명 >
11,12 : 제1 및 제2 본체 13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14 : 힌지장치 21,22 : 제1 및 제2 힌지날개
31 : 하우징 41 : 슬라이드부재
43a,43b :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
44a,44b :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
50 : 텐션기구 55,56 : 제1 및 제2 텐션날개
70 : 승강판 73,74 : 제1 및 제2 가압돌기
75 : 탄성부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펼침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13)을 제1 및 제2 본체(11,12)로부터 분리한 사시도로서,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의 폴딩부가 마주하는 일끝단 사이에 힌지장치(14)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13)은 힌지장치(14)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본체(11,12)의 전체 면적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힌지장치(14)를 제외한 제1 및 제2 본체(11,12)의 내면에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으로 고정된다.
도 2는 제1 및 제2 본체(11,12)와 힌지장치(14)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힌지장치(14)는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를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에 각각 나사(도시안됨)로 고정함으로써 제1 및 제2 본체(11,12)와 결합된다.
도 3은 힌지장치(14)의 주요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장치(14)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가 소정각도, 즉 제1 및 제2 본체(11,12)의 '펼침위치'와 '접힘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하우징(31)과,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회전운동시 '펼침위치'와 '접힘위치' 사이에서 프리스톱기능을 수행하는 텐션기구(5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 하우징(31) 및 텐션기구(50)는 제1 및 제2 본체(11,12)의 안정된 폴딩동작을 위해 제1 및 제2 본체(11,12)의 연결끝단 양쪽 가장자리에 동일한 구성으로 각각 설치되고, 양쪽의 하우징(31)과 텐션기구(50)는 하나의 힌지커버(32)와 나사(도시안됨)로 고정된다.
도 4,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14)에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회전지지구성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D-D선 단면도이나, 도 4에서 도시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회전지지구성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 단면은 생략하고 주요구성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회전지지구성은, 하우징(31)의 양측 내벽면에 각각 소정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한쌍의 반원형돌기(31a,31b)와, 상기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돌기(31a,31b)가 끼워맞춤되어 회전지지되는 반원형홈(21a,22a)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반원형홈(21a,22a)은 제1 및 제2 본체(11,12)가 고정되는 고정부(21b,22b)의 반대쪽 끝단부에 형성하여 반원형홈(21a,22a)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부(21b,22b)측이 소정각도 회전되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 본체(11,12)를 '펼침위치'와 '접힘위치' 사이에서 회전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원형돌기(31a,31b)의 간격은 '접힘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13)의 폴딩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수용할 수 있는 폴딩공간이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에 반원형홈(21a,22a)을 형성하고, 하우징(31)에 반원형돌기(31a,31b)를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대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에 반원형돌기(31a,31b)를 형성하고, 하우징(31)에 반원형홈(21a,22a)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힌지날개(21,22)의 회전지지구성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체(11,12)를 회전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도 후술할 연동수단 또는 승강판을 포함하는 구성에 결합하여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 도 8a 및 도 8b는 도 9는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 하우징(31) 및 연동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하우징(31)에는 상기 제1 힌지날개(21)와 제2 힌지날개(22)를 서로 상대운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으로서 슬라이드부재(41)가 설치된다.
슬라이드부재(41)는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회전축선(이하, '힌지축선'이라 함.)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 이동가능하게 하우징(31)에 설치된다.
슬라이드부재(41)의 이동구조는 하우징(31)에 상기 힌지축선방향으로 장방형의 슬라이드구멍(42a)을 형성하고, 슬라이드부재(41)의 저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구멍(42a)으로 끼워져 안내되는 슬라이드돌기(42b)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연동수단은,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저면에 각각 형성한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43a,43b)과, 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드부재(41) 상면에 형성한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44a,44b)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저면에서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43a,43b)이 형성된 부위는 제1 및 제2 본체(11, 12)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곡면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부재(41)에서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44a,44b)가 형성된 부위도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43a,43b)이 형성된 부위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저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43a,43b)은 슬라이드부재(41)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각각의 곡면을 따라 형성된다. 즉, 제1 경사가이드홈(43a)과 제2 경사가이드홈(43b)은 슬라이드부재(41)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곡면을 따라 형성되되 각각의 경사진 방향(사선 방향)은 서로 같은 방향이 아니라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43a,43b)에 맞물려져 이동되는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44a,44b)는 슬라이드부재(41) 상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44a,44b)는 도 6에서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9에서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44a,44b)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43a,43b)과 맞물림시 마찰을 줄여 진동 및 소음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44a,44b)도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이므로 위와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연동구조는,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중 어느 한쪽만 '접힘위치' 또는 '펼침위치'로 회전시켜도 상기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43a,43b)과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44a,44b)에 의해 슬라이드부재(41)가 힌지축선방향으로 소정길이 직선이동하면서 다른 한쪽이 반대방향으로 상대운동하여 동시에 '접힘위치' 또는 '펼침위치'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14)에서 일부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텐션기구(5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기구(50)는 힌지커버(32)(도 3 참조)에 고정되는 텐션고정부재(51)를 구비하고, 텐션고정부재(51)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축(52a,52b)이 힌지축선방향으로 구비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축(52a,52b)에는 텐션가동부재(53,54)가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텐션가동부재(53,54)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축(52a,52b)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경사돌기(53a,54a)가 각각 힌지축선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또한 텐션기구(50)는 제1 및 제2 가이드축(52a,52b)에 끼워져 회전지지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에는 텐션가동부재(53,54)의 경사돌기(53a,54a)에 대응하여 사이사이에 끼워맞춤 가능한 또 다른 경사돌기(55a,56a)를 형성한다.
텐션가동부재(53)와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 사이에는 제1 스프링(57a)이 설치되고, 텐션가동부재(54)와 텐션고정부재(51) 사이에는 제2 스프링(57b)이 탄력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57a,57b)은 텐션가동부재(53,54)의 경사돌기(53a,54a)가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경사돌기(55a,56a)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다.
도 11은 상기 텐션기구(50)와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연결구성은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일측에 장방형의 텐션가이드구멍(58a)을 형성하고, 텐션기구(50)의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에는 상기 텐션가이드구멍(58a)에 끼워져 안내되는 텐션가이드돌기(58b)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텐션기구(50)의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는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에 연동하여 함께 '펼침위치'와 '접힘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텐션기구(50)는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회전에 따라 텐션가동부재(53,54)의 경사돌기(53a,54a)에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경사돌기(55a,56a)가 끼워맞춤 또는 이탈하고(도 13a 및 도 13b 참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스프링(57a,57b)의 탄성력이 가감되어 '펼침위치' 또는 '접힘위치'에서 제1 및 제2 본체(11,12)의 회전조작을 적은 힘으로 쉽게 하고, '펼침위치'와 '접힘위치' 사이에서 프리스톱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프리스톱기능은 제1 및 제2 본체(11,12)를 '펼침위치' 또는 '접힘위치'로 회전시키는 도중에 회전력을 제거하여 회전을 멈출 경우, 제1 및 제2 본체(11,12)가 회전을 멈춘위치에서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회전에 따라 텐션가동부재(53,54)의 경사돌기(53a,54a)의 최대 만곡부와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경사돌기(55a,56a)의 최대 만곡부가 마주보는 위치에 오게 되면, 제1 및 제2 스프링(57a,57b)이 압축되면서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 본체(11,12)를 회전 도중 정지시킬 때 정지위치에 그대로 유지시키는 프리스톱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13a 및 도 13b 참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텐션기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텐션기구와 달리, 도 12에 도시된 텐션기구는 텐션가동부재(53)와 텐션고정부재(51) 사이에 하나의 스프링(57)만 설치되어 양쪽 힌지장치 사이 간격을 넓힐 수 있다. 이로인해 신호선의 설치가 용이하고, 힌지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텐션가이드돌기(58b)에 또 하나의 스프링(59)이 끼워져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와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에 각각 탄력적으로 밀착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또 하나의 스프링(59)이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회전축선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연동부위에 설치됨에 따라, 회전축선 상에 연이어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회전토크에 대한 스프링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회전축선 상에 집중되었던 스프링력을 분산하여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텐션기구(50)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체(11,12)의 회전조작을 적은 힘으로 쉽게 하고, 프리스톱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도 전술한 연동수단, 후술할 승강판 구성에 결합하여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힌지장치(14)는 본체(11, 12)의 회전축 상부에 회전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상의 승강판(7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판(70)을 2개로 분리형성하였으나, 양쪽의 승강판(70)을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도 14,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70)은 텐션기구(50)의 텐션고정부재(51) 상에 위치하고, 텐션고정부재(51)의 저면에서 나사(72)가 관통하여 승강판(70)에 체결됨으로써 설치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나, 도 14에서 도시된 승강판의 설치구성 및 가압수단인 탄성부재에 의한 동작상태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 단면을 생략하고 주요구성으로 도시하였다.
승강판(70)은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회전운동시 후술하는 가압수단에 의해 연동하여 '펼침위치'에서 수평선을 유지하는 상승위치(도 15a 참조)와, '접힘위치'에서 제1 힌지날개(21)와 제2 힌지날개(22) 사이에 폴딩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하강위치(도 15b)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가압수단은 텐션고정부재(51)와 나사(72)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승강판(70)이 항상 하강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75)와,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기구(50)의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에 형성한 제1 및 제2 가압돌기(73,74)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75)는 도 15a에서와 같이 승강판(70)이 상승위치에 있을 때에는 압축되고, 도 15b에서와 같이 승강판(70)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에는 신장되어 승강판(70)이 항상 하강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탄성부재(7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원통형의 압축코일스프링은 압축시 텐션고정부재(51)와 나사(72) 사이에 코일스프링의 권선수 만큼 복수개의 코일 직경을 합한 두께가 형성되므로 그 만큼 승강판(70)의 승하강 거리가 짧아져 설정된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승하강시킬 수 없다.
이에 반하여 원추형의 압축코일스프링은 도 15a에서와 같이 압축시 텐션고정부재(51)와 나사(72) 사이에 하나의 코일 직경에 해당하는 두께가 형성되므로 승강판(70)의 승하강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설정된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승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2의 C-C선 단면도로서, 도 14에서 도시된 가압수단인 제1 및 제2 가압돌기에 의한 승강판의 동작상태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 단면을 생략하고 주요구성으로 도시하였다. 제1 및 제2 가압돌기(73,74)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축(52a, 52b)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부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압돌기(73,74)는 제1 및 제2 힌지날개(55, 5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돌기(73)는 도 16a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가 펼침위치로 회전할 때, 승강판(70)의 일측(70a)을 가압하여 승강판(70)을 상승위치에 유지시키고, 제2 가압돌기(74)는 도 16b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가 접힘위치로 회전할 때, 승강판(70)의 일측을 가압하여 승강판(70)을 하강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승강판(70)에서 가압수단은 탄성부재(75) 없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돌기(73,74)만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제2 본체(11,12)를 '펼침위치'와 '접힘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면,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본체(11,12)에 각각 고정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반원형홈(21a,22a)이 하우징(31)의 반원형돌기(31a,31b)에 안내되어 회전지지하므로, 제1 및 제2 본체(11,12)를 "펼침위치'에서 "접힘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본체(11) 또는 제2 본체(12)중 어느 한쪽만 회전시켜도 연동수단에 의해 다른 한쪽이 상대운동하여 함께 회전한다.
즉, 도 8a에서와 같이 제1 힌지날개(21)만 '접힘위치'로 회전시켜 제1 힌지날개(21)의 제1 경사가이드홈(43a)이 제1 힌지날개(21)의 힌지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상선상태로 화살표 'a1'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안내되는 제1 경사가이드돌기(44a)에 의해 슬라이드부재(41)가 화살표 'a2'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제2 힌지날개(22)의 제2 경사가이드홈(43b)은 제2 경사가이드돌기(44b)에 안내되어 가상선 상태로 화살표 'a3'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2 힌지날개(22)도 제1 힌지날개(21)와 함께 '접힘위치'로 연동하게 된다.
반대로 제2 힌지날개(22)의 제2 경사가이드홈(43b)을 화살표 'a3'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슬라이드부재(41)의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44a,44b)에 의해 제1 힌지날개(21)의 제1 경사가이드홈(43a)이 화살표 'a1'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 힌지날개(21)를 연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날개(21)만 '펼침위치'로 회전시켜 제1 힌지날개(21)의 제1 경사가이드홈(43a)이 가상선 상태로 화살표 'b1'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경사가이드돌기(44a)에 의해 슬라이드부재(41)가 화살표 'b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힌지날개(22)의 제2 경사가이드홈(43b)은 제2 경사가이드돌기(44b)에 안내되어 가상선 상태로 화살표 'b3'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2 힌지날개(22)도 제1 힌지날개(21)와 함께 '펼침위치'로 연동하게 된다.
반대로 제2 힌지날개(22)의 제2 경사가이드홈(43b)을 화살표 'b3'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슬라이드부재(41)의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44a,44b)에 의해 제1 힌지날개(21)의 제1 경사가이드홈(43a)이 화살표 'b1'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 힌지날개(21)를 연동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서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43a, 43b)은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44a, 44b)가 형성된 슬라이드부재(41)가 a2 또는 b2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에 연동되어, 평면도 상에서는 a1 또는 b1 방향 및 a3 또는 b3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43a, 43b)이 형성된 부위가 회전방향으로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결국 제1 및 제2 경사가이드홈(43a, 43b)이 형성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 22)는 '접힘위치' 또는 '펼침위치'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힌지장치(14)는 제1 및 제2 본체(11,12)의 회전위치가 '펼침위치"와 '접힘위치' 사이에 있을 때 텐션기구(50)에 의해 프리스톱기능이 수행된다.
텐션기구(50)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텐션가이드돌기(58b)가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텐션가이드구멍(58a)에 안내된 것이므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회전시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가 '접힘위치' 또는 '펼침위치'에 있을 때에는 텐션가동부재(53,54)의 경사돌기(53a,54a) 사이에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경사돌기(55a,56a)가 끼워맞춤되고(도 13a 참조), 제1 및 제2 스프링(57a,57b)은 신장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를 힌지축선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57a,57b)의 탄성력은 감소되므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의 회전조작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가 '접힘위치'와 '펼침위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회전에 의해 텐션가동부재(53,54)의 경사돌기(53a,54a)로부터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경사돌기(55a,56a)가 이탈하면서 텐션가동부재(53,54)를 힌지축선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된다(도 13b 참조).
이로 인해 텐션가동부재(53,54)는 제1 및 제2 가이드축(52a,52b)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및 제2 스프링(57a,57b)을 압축시키게 되므로, 텐션가동부재(53,54)를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쪽으로 가압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57a,57b)의 탄성력은 증가되고, 이 증가된 탄성력으로 제1 및 제2 본체(11,12)를 회전 도중 정지시킬 때 정지위치에 그대로 유지시키는 프리스톱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힌지장치(14)는,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가 '펼침위치'와 '접힘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승강판(70)이 연동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본체(11,12)의 '펼침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13)의 폴딩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본체(11,12)의 '접힘위치'에서 디스플레이패널의 폴딩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수용할 수 있는 폴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승강판(70)은 도 15b에서와 같이 탄성부재(75)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위치에 있고, 도 16b에서와 같이 텐션기구(50)의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에 구비된 제1 가압돌기(74)가 승강판(70)의 일측(70a)을 가압하여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접힘위치'에서 제1 및 제2 본체(11,12)를 '펼침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15a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본체(11,12)에 각각 고정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판(70)은 도 16a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텐션날개(55,56)의 회전에 의해 제2 가압돌기(74)가 승강판(70)으로부터 이격되고, 제1 가압돌기(73)가 승강판(70)의 일측(70a)을 가압하여 하강위치에서 상승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도 15a에서와 같이 탄성부재(75)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승강판(70)이 상승위치로 이동하면, 승강판(70)이 상승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13)의 폴딩부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펼침위치'에서 제1 및 제2 본체(11,12)를 '접힘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15b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본체(11,12)에 각각 고정된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판(70)은 도 16b에서와 같이 제1 가압돌기(73)가 승강판(70)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 가압돌기(74)가 승강판(70)의 일측(70a)을 가압하여 상승위치에서 하강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도 15b에서와 같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75)의 탄성력이 승강판(70)의 하강이동을 돕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판(70)이 하강위치로 이동하면, 제1 및 제2 힌지날개(21,22) 사이의 공간이 넓게 확보되고, 이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13)의 폴딩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수용할 수 있는 폴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제 1 및 제2 본체(11, 12)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접힘위치'에서 폴딩부에서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형성하면서도 폴딩부 외에서는 평행하게 접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장치(14)는, 제1 및 제2 본체(11,12)의 '펼침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13)의 폴딩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고, '접힘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패널(13)의 폴딩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수용하는 폴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승강판의 구성은 이와 결합할 수 있는 전술한 일실시예의 회전지지구성, 연동수단 또는 텐션기구 외에도 다양한 회전지지구성, 연동수단 또는 텐션기구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핸드폰과 같은 휴대단말기 외에도 노트북 등 힌지 구조가 적용되는 각종 기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일끝단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에 각각 회전지지되어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동일 수평선상에 놓이는 '펼침위치'와,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접힘위치' 사이에서 소정각도 회전운동하는 제1 힌지날개 및 제2 힌지날개;
상기 제1 힌지날개 및 제2 힌지날개가 상대운동하도록 연동시키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힌지날개 및 제2 힌지날개의 저면에 제1 경사가이드홈 및 제2 경사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면에 제1 경사가이드돌기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힌지축선 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 이동가능하게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홈 및 제2 경사가이드홈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홈 및 제2 경사가이드홈이 형성된 부위는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방향으로 장방형의 슬라이드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구멍에 끼워져 안내되는 슬라이드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돌기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돌기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경사가이드홈 및 제2 경사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돌기 및 제2 경사가이드돌기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벽면에 형성한 한쌍의 반원형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힌지날개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돌기가 끼워맞춤되어 회전지지되는 반원형홈으로 이루어져 회전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반원형돌기는, 상기 '접힘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폴딩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힌지축선 방향으로 제1 가이드축 및 제2 가이드축을 구비한 텐션고정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축 및 제2 가이드축에 끼워져 회전지지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텐션날개 및 제2 텐션날개와, 상기 제1 가이드축 및 제2 가이드축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가동부재와, 상기 텐션가동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텐션기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기구는,
상기 텐션가동부재에 상기 제1 가이드축 및 제2 가이드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경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돌기에 대응하여 끼워맞춤 가능한 또 다른 복수개의 경사돌기가 상기 제1 텐션날개 및 제2 텐션날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기구는,
텐션가이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가이드돌기가 제1 및 제2 힌지날개의 일측에 형성된 텐션가이드구멍에 끼워져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가이드구멍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날개 및 제2 힌지날개와 상기 제1 텐션날개 및 제2 텐션날개의 연동부위 사이에 상기 제1 텐션날개 및 제2 텐션날개의 회전축선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연동부위에 탄력설치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폴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힌지날개와 제2 힌지날개의 회전운동시 가압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펼침위치에서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수평선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제1 힌지날개와 제2 힌지날개 사이에 상기 폴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근접하는 하강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승강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가압수단에 의해 연동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승강판을 가압하여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가압돌기 및 제2 가압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돌기 및 제2 가압돌기는, 텐션기구의 제1 가이드축 및 제2 가이드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부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승강판이 항상 상기 하강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원추형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278 | 2020-12-03 | ||
KR20200167278 | 2020-12-03 | ||
KR1020227014866A KR20220084076A (ko) | 2020-12-03 | 2021-12-02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PCT/KR2021/018131 WO2022119353A1 (ko) | 2020-12-03 | 2021-12-02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4866A Division KR20220084076A (ko) | 2020-12-03 | 2021-12-02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12989A true KR20240112989A (ko) | 2024-07-19 |
Family
ID=818532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23354A KR20240112989A (ko) | 2020-12-03 | 2021-12-02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KR1020227014866A KR20220084076A (ko) | 2020-12-03 | 2021-12-02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4866A KR20220084076A (ko) | 2020-12-03 | 2021-12-02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409090A1 (ko) |
KR (2) | KR20240112989A (ko) |
CN (1) | CN116458145A (ko) |
WO (2) | WO20221193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095208A (zh) * | 2021-05-27 | 2023-05-09 | 荣耀终端有限公司 | 一种转动机构、支撑装置和电子设备 |
EP4318181A4 (en) * | 2021-07-20 | 2024-10-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HINGE MODULE |
CN116123207A (zh) * | 2021-11-12 | 2023-05-16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折叠铰链和电子设备 |
CN116928202A (zh) * | 2022-03-31 | 2023-10-24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转轴装置及折叠式电子设备 |
KR20230174115A (ko) * | 2022-06-20 | 2023-1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를 폴딩시키기 위한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TWI808800B (zh) * | 2022-06-20 | 2023-07-11 | 英業達股份有限公司 | 可動組件 |
WO2024019263A1 (ko) * | 2022-07-20 | 2024-01-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20240028087A1 (en) * | 2022-07-25 | 2024-01-25 | Dell Products L.P. | Seamless dual screen hinge |
CN217935681U (zh) * | 2022-08-25 | 2022-11-29 | 胡海敏 | 一种折叠手机壳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6064B1 (ko) * | 2009-07-02 | 2016-03-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KR101237952B1 (ko) * | 2011-05-19 | 2013-02-28 | (주) 프렉코 |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
KR101727971B1 (ko) * | 2014-02-21 | 2017-04-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접철식 기기 |
KR101752708B1 (ko) * | 2015-04-09 | 2017-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접철식 기기 |
US9274566B1 (en) * | 2015-05-14 | 2016-03-01 | Yuan Deng Metals Industrial Co., Ltd. | Dual-shaft hinge for flip-up electronic product |
KR102619250B1 (ko) * | 2016-09-30 | 2023-12-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폴더블 표시장치 |
KR102108151B1 (ko) * | 2018-02-13 | 2020-05-11 | 주식회사 다이아벨 |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KR102114080B1 (ko) * | 2018-03-20 | 2020-05-26 | 주식회사 다이아벨 |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KR20190124110A (ko) * | 2018-04-25 | 2019-11-04 | (주)오라컴디스플레이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
-
2021
- 2021-12-02 KR KR1020247023354A patent/KR20240112989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02 CN CN202180075884.5A patent/CN116458145A/zh active Pending
- 2021-12-02 US US18/250,611 patent/US20230409090A1/en active Pending
- 2021-12-02 WO PCT/KR2021/018155 patent/WO202211936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02 WO PCT/KR2021/018131 patent/WO202211935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02 KR KR1020227014866A patent/KR20220084076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458145A (zh) | 2023-07-18 |
KR20220084076A (ko) | 2022-06-21 |
US20230409090A1 (en) | 2023-12-21 |
WO2022119353A1 (ko) | 2022-06-09 |
WO2022119360A1 (ko) | 2022-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40112989A (ko)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100909713B1 (ko) |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 |
KR100949839B1 (ko) |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 |
CN100422578C (zh) | 带旋转规制机构的2轴铰链 | |
US20120149438A1 (en) |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and hinge device of the same | |
KR102643877B1 (ko)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101210540B1 (ko) |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 |
CN210488375U (zh) | 竖屏型及滑板型笔记本电脑 | |
KR102296241B1 (ko) | 인폴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
TWI400397B (zh) | 可攜式電子設備及其開闔裝置 | |
KR101023495B1 (ko) |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 |
CN101796737A (zh) | 用于移动电话的转动铰链 | |
KR101296335B1 (ko) |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 |
KR100983105B1 (ko) | 폴딩 겸용 스윙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 |
KR102643878B1 (ko)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20230048385A (ko)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102579763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20110062891A (ko) |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 |
KR102575372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102579764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102523273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102579765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100917435B1 (ko) | 슬라이드 겸용 업-다운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 |
KR102382288B1 (ko)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 힌지 | |
JP5313963B2 (ja) | スライド式電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