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2029A -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 Google Patents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2029A
KR20240112029A KR1020230004124A KR20230004124A KR20240112029A KR 20240112029 A KR20240112029 A KR 20240112029A KR 1020230004124 A KR1020230004124 A KR 1020230004124A KR 20230004124 A KR20230004124 A KR 20230004124A KR 20240112029 A KR20240112029 A KR 20240112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water
medicine cup
pills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안
Original Assignee
이지안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안 filed Critical 이지안
Publication of KR2024011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2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38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46Cups, bottle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흡입하기 위한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둥근 형태 또는 캡슐 형태의 알약을 복용함에 있어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는 관 형태로 길이가 긴 원통 형태의 빨대부와, 알약을 담아둘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빨대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빨대부의 내부와 연통된 약 컵을 포함하며, 빨대부의 하단은 물이 잠김 상태로 물을 흡입함에 있어 약 컵 안의 알약이 물과 함께 입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A straw to take tablet}
본 발명은 물을 흡입하기 위한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둥근 형태 또는 캡슐 형태의 알약을 복용함에 있어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약들의 상태를 살펴보면, 액체 상태, 고체 상태 및 분말 상태의 약들로 구분된다. 액체 상태의 약 경우에는 목 넘김이 편안하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이 복용하기에 다른 상태의 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복용 가능하다. 고체 상태의 약 및 분말 상태의 약은 약의 종류, 약이 체내에서 흡수되어야 하는 장기의 위치 및 약이 체내에서 흡수되는 속도 등을 고려하여 고체 상태의 약 또는 분말 상태의 약으로 제조되며, 통상적으로 고체 상태의 약이 분말 상태의 약에 비해 복용하기에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복용하기에 불편한 분말 상태의 약 경우에는, 보다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제약사에서 분말 상태의 약을 캡슐에 담아 제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분말 상태의 약을 캡슐에 담아 복용하더라도 고체 상태의 약 및 캡슐형태의 약들은 액체 상태의 약에 비해 목 넘김이 불편하고, 특히 일부 어린아이들은 이런 불편함에 때문에 약 먹기에 대한 공포감 또는 트라우마를 느끼게 된다. 약 먹기에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서,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연구팀에서는 둥근 고체 상태의 약과 캡슐 상태의 약(이하 통칭하여 '알약'이라 함)에 대해 보다 먹기 편리한 방법을 연구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를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1119601029)
하지만 알약에 대한 공포감이 있는 어린아이들은 알약을 입속에 넣는 자체부터 어려워하기 때문에 '올바르게 알약을 섭취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지더라도 이를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698호(2008.07.18.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82-0002283호(1982.10.23.공개)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알약을 복용함에 있어 쉽고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는 관 형태로 길이가 긴 원통 형태의 빨대부와, 알약을 담아둘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빨대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빨대부의 내부와 연통된 약 컵을 포함하며, 빨대부의 하단은 물이 잠김 상태로 물을 흡입함에 있어 약 컵 안의 알약이 물과 함께 입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약 컵은 상부로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되고, 약 컵의 하단에는 약 컵의 안쪽 바닥에서 바깥쪽 바닥까지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약 컵의 삽입공의 직경은 빨대부의 직경과 같거나 보다 작아 빨대부의 상단을 삽입공에 강제 삽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빨대부의 길이 중간에는 마개가 위치하며 마개는 물이 든 병의 입구에 체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빨대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마개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병의 입구에 체결되는 마개는 병의 입구 둘레에 위치한 사용안내판을 가압하여 사용안내판이 수평하게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안내판에는 시선을 유도하는 표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안내판에는 사용안내문이 인쇄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빨대는 빨대부를 통해 물을 입속으로 흡입하는 중에 약 컵에 담긴 알약이 먼저 목구멍 안쪽으로 유입되고, 물이 입속으로 유입됨에 따라 알약을 편안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알약이 약 컵에 담긴 상태로, 알약이 보이지 않게 감출 수도 있어 알약에 대한 공포감 또는 트라우마를 갖고 있는 어린이에게도 쉽고 편안하게 알약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고개를 숙인 상태로 알약을 섭취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 사용안내판을 이용하여 고개를 숙인 상태로 알약과 물을 흡입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사용안내판에 표시부 및 안내문을 인쇄함으로써, 올바른 알약 섭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빨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빨대부 및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용안내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빨대부 및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사용안내판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약 컵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빨대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빨대부 및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100)는 물이 든 병(10)에 꽂아 물을 입으로 빨아 마실 수 있는 빨대부(110)와, 사용자의 입속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빨대부(1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알약(T)을 놓아둘 수 있는 약(藥) 컵(cup)(120)과, 물이 든 병(10)의 입구(11)에 체결되며 빨대부(110)가 관통하는 마개(130)를 포함한다.
빨대부(110)의 하단을 물이 든 병(10)의 입구(11)에 끼워 빨대부(110)의 하단이 물에 잠기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개(130)로 병(10)의 입구(11)를 폐쇄한다. 그리고 알약(T)이 놓인 약 컵(120)을 입속에 넣고 빨대부(110)를 통해 병(10)의 물을 흡입하면 알약(T)이 목구멍 쪽으로 물보다 먼저 진입하게 되고, 이후 물이 빨대부(110)를 통해 입속으로 유입되면서 알약(T)의 목 넘김을 보다 효율적으로 편안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약 컵(120)으로 안쪽에 담긴 알약(T)을 감출 수도 있어 알약(T)에 대한 공포감 없이 알약을 복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부(110)는 관 형태의 구조로서,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 플라스틱, 실리콘, 종이 등 다양한 재질 중 어느 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빨대부(110)의 형태는 직선형이거나 상단부가 꺾여 있거나 또는 상단부에 주름관이 형성되어 주름관을 통해 상단부를 쉽게 꺾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빨대부(110)는 앞서 설명한 물이 든 병(10)에서 물을 빨아 마실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빨대부(110)의 상단에는 약 컵(120)이 결합되어 빨대부(110)의 내부와 연통된다.
약 컵(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넓은 반면에 하부는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약 컵(120)의 하단에는 약 컵(120)의 안쪽 바닥에서 바깥쪽 바닥까지 관통하는 삽입공(121)이 형성된다.
약 컵(120)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공(121)의 직경은 빨대부(110)의 직경과 같거나 보다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빨대부(110)의 상단을 약 컵(120)의 삽입공(121)에 강제 삽입할 경우 빨대부(110)와 삽입공(121)의 사이가 밀폐되어 외부 공기가 빨대부(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빨대부(110)의 상단에 약 컵(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약 컵(120)의 개방구(123)를 통해 알약(T)을 약 컵(120)의 안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컵(120)의 형태는 복용하고자 하는 알약(T)의 형태에 따라 개방구(123) 및 약 컵(120)의 모양이 조금씩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둥근 고체 알약을 복용하기 위한 약 컵을 도시한 일 예이고, 도 8에 도시된 약 컵은 캡슐 형태의 약을 복용하기 위한 약 컵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빨대부(110)는 마개(130)를 관통해 위치한다. 마개(130)는 물이 든 병(10)의 입구(11)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면에는 병(10)의 입구(11)에 형성된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빨대부(11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3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관통공(131)은 빨대부(11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병(10)에 든 물을 흡입함에 있어 대기 중의 공기가 관통공(131)을 통해 병(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을 쉽게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마개(130)는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 따른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100)를 사용하여 알약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빨대부(110)의 하단이 병(10)의 입구를 통해 병 속 물에 잠기도록 위치시키고, 마개(130)로 병(10)의 입구(11)를 폐쇄한다. 그리고 알약(T)을 약 컵(120)에 넣고, 약 컵(120)을 입속에 넣은 후에 입을 다물고 빨대부(110)를 통해 병(10)의 물을 흡입한다.
그러면 흡입력에 의해 약 컵(120)에 위치한 알약(T)이 입속으로 유입되어 목구멍 쪽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빨대부(110)를 통해 병(10) 속의 물이 입속으로 유입된다.
통상적으로 유아 때부터 빨대를 통해 액체를 흡입하는 학습훈련을 경험함에 따라 어린아이는 빨대로 물을 삼키는 학습 효과에 의해 목구멍 쪽으로 유입된 알약을 물과 함께 쉽게 목 넘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약(T)을 약 컵(120)에 수용하여 어린아이가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알약(T)을 삼킴에 따른 공포감 없이 빨대로 물을 마시는 경험을 통해 쉽게 알약을 복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빨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 외에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알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사용안내판이 더 추가된 것에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고 제1실시예에서 부여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여 설명을 대신한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용안내판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빨대부 및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안내판(140)은 타원과 유사한 평판 구조이며 평면에 홀(141)이 형성된다. 홀(141)의 중심은 타원의 장축 상에서 한 쪽으로 편심되어 위치한다. 예로서 홀(141)의 중심은 타원의 두 초점 중 어느 한 초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홀(141)의 직경은 병(10)의 입구(11)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병(10)의 입구(11)보다는 크고 병목에 형성된 걸림턱(13)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30)가 제거된 상태에서 사용안내판(140)의 홀(141)에 병(10)의 입구(11)를 삽입하면 사용안내판(140)은 병(10)의 걸림턱(13)에 걸쳐진 상태로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마개(130)를 체결하면 마개(130)와 걸림턱(13)의 사이에 사용안내판(140)이 위치하고, 마개(130)를 체결하면 사용안내판(140)이 마개(130)에 의해 눌리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안내판(140)은 수평하게 위치한다.
사용안내판(14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빨대를 사용하는 방법 및 시선을 유도하는 표시부(143)가 형성된다.
표시부(143)는 인쇄된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또는 사용안내판(140)에 음양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표시부(143)는 장축 상에서 형성되되 홀(141)이 형성된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컵(120)을 입속에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부(143) 및 인쇄된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고개를 숙이게 되고,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병(10)의 물을 흡입하여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알약(T)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약(T)의 종류에 따라서는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목 넘김을 하는 경우가 더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알약(T)을 섭취할 수 있도록 사용안내판(140)을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사용안내판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타원형이 아닌 원형 평판의 중심에 홀(141)을 형성하고 원형 평판의 가장자리에 표시부(143) 및 사용안내문을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100)는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 것이며, 가장 간단한 구성으로는 약 컵(120)과 빨대(100)의 구성만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구현 가능하다. 마개(130)는 병(10)의 입구(11)를 폐쇄함으로써 병(10) 밖으로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빨대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이며, 사용안내판(140)은 사용방법을 숙지시키며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알약(T)을 섭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마개(130) 및 사용안내판(140)의 구성이 없더라도 약 컵(120)에 놓인 알약(T)을 빨대부(110)로 흡입한 물과 함께 복용 가능할 것이다.
10 : 병
11 : 입구
13 : 걸림턱
100 : 빨대
110 : 빨대부
120 : 약 컵
121 : 삽입공
123 : 개방구
130 : 마개
131 : 관통공
140 : 사용안내판
141 : 홀
143 : 표시부
T : 알약

Claims (8)

  1. 관 형태의 빨대부와,
    알약을 담아둘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빨대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빨대부의 내부와 연통된 약 컵을 포함하며,
    빨대부의 하단은 물이 잠김 상태로 물을 흡입함에 있어 약 컵 안의 알약이 물과 함께 입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약 컵은 상부로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되고, 약 컵의 하단에는 약 컵의 안쪽 바닥에서 바깥쪽 바닥까지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약 컵의 삽입공의 직경은 빨대부의 직경과 같거나 보다 작아 빨대부의 상단을 삽입공에 강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빨대부의 길이 중간에는 마개가 위치하며 마개는 물이 든 병의 입구에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5. 제4항에 있어서,
    빨대부가 관통하도록 마개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6. 제4항에 있어서,
    병의 입구에 체결되는 마개는 병의 입구 둘레에 위치한 사용안내판을 가압하여 사용안내판이 수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안내판에는 시선을 유도하는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8. 제6항에 있어서,
    사용안내판에는 사용안내문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KR1020230004124A 2023-01-11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KR20240112029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2029A true KR20240112029A (ko) 2024-07-1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886B2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US4581013A (en) Doser for orally administering medicine
US5078734A (en) Medication dispensing pacifier
US5123915A (en) Medicated pacifier
TW520282B (en) Pre-filled oral liquid disposable plastic container
JPS62258614A (ja) 蓋つきコツプに関する装置
US20140163463A1 (en) Medicup a Medicine dispenser with soft Handles interchangeable with Strawcup
JP2927506B2 (ja) 使い捨て医薬吸入器具
US20150290089A1 (en) Vented pacifier
US20180071466A1 (en) Wrist band structures for convenient access to vital medicaments
US9974714B1 (en) Pacifier dispenser
KR20240112029A (ko) 알약 복용을 위한 빨대
KR101373476B1 (ko) 유아용 투약주사기
WO2009033202A1 (en) Liquid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for a child
JP3173017U (ja) 薬剤服用器具
JP7445326B1 (ja) 飲料用嚥下補助具
US20040006303A1 (en) Oral medicine delivery apparatus
JP2020078395A (ja) 薬剤経口投与器具およびそれに適用される筒部材
US20150148843A1 (en) Liquid Dispensing Pacifier with Interchangeable Parts
JP2007275350A (ja) 薬剤服用器具及び薬剤包装具
US5845808A (en) Disposable sterilized fluid container
KR200197947Y1 (ko) 영ㆍ유아용 투약기
KR100975741B1 (ko) 영유아용 약물 공급기
KR20210059261A (ko) 복용시간에 맞춰 알람이 울리는 약통이 내장된 물병
CN201814849U (zh) 方便取药液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