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1975A - 건물의 코너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코너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1975A
KR20240111975A KR1020230004013A KR20230004013A KR20240111975A KR 20240111975 A KR20240111975 A KR 20240111975A KR 1020230004013 A KR1020230004013 A KR 1020230004013A KR 20230004013 A KR20230004013 A KR 20230004013A KR 20240111975 A KR20240111975 A KR 20240111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corner finishing
corner
wall
decorativ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현
Original Assignee
(주) 함라에이원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함라에이원 filed Critical (주) 함라에이원
Publication of KR20240111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1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입체적인 벽체의 내·외측 코너는 물론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연결부위)를 마감할 수 있고, 벽면에 시공할 벽체를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전술한 코너를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마감할 수 있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이고, 또한 용이한 코너 마감재의 제조와 저렴한 제조비용을 추구하고, 하나의 제조설비로 입체적인 벽체의 내·외측 코너는 물론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연결부위)용 마감재들을 단일 프로세스를 통해 제조할 수 있는 코너 마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의 코너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BUIDING CORNER FINISHING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건물의 입체적인 벽체의 내·외측 코너는 물론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연결부위)를 마감할 수 있고, 벽면에 시공할 벽체를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전술한 코너를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마감할 수 있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이고, 또한 용이한 코너 마감재의 제조와 저렴한 제조비용을 추구하고, 하나의 제조설비로 입체적인 벽체의 내·외측 코너는 물론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연결부위)용 마감재들을 단일 프로세스를 통해 제조할 수 있는 코너 마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입체적인 벽체의 코너"는 건물에서 3차원적인 벽체의 모서리를 말하고,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는 2차원적인 벽체에서, 벽체의 표면간 연결부위를 말한다.
그리고, 코너를 세분하여 "외측 코너"는 입체적인 벽체의 외측 모서리를 말하고, "내측 코너"는 입체적인 벽체의 내측 모서리를 말한다.
그리고, 본발명과 관련하여 언급하는 "판재"는 금속판재로서, 코너 마감재로 제조되는 모재를 말하고, "판재의 내측"이라는 말은 코너 마감재를 제조할 때 모재로 사용되는 판재의 후면 즉, 코너 마감재 시공시 벽체의 후면에 위치되는 쪽을 말하고, "판내의 외측"는 전술한 판재의 내측에 대한 반대 쪽, 즉 벽체의 전면 쪽을 말한다.
건물 벽체는 내·외측 코너의 시각적 건축미와 시공면의 장식적 미감을 높이고, 각 코너의 연결부위에서 침수나 누수가 생기지 않도록 마감하는데,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코너 마감방식으로는 코너를 강철, 합성수지, 목재 등으로 제조한 외장 마감재로 마감하거나, 지붕은 지붕판재의 형상에 금속판을 중첩하여 용접(또는 나사체결)하거나, 서로 이웃하게 만나는 부위나 코너는 그 사이에 시멘트 몰탈이나 실리콘을 충진하여 마감한다. 전술한 코너 마감방식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건물의 코너를 마감하기 위한 코너 마감재와 관련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8566(등록일:2003.03.11)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55478(2016,05.18)가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등록실용신안 20-0308566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을 대면하는 면에 끼움돌부를 각각 마련하고, 각 끼움돌부에 마련된 톱니형상의 나사부를 통해 서로 맞물리도록 한 건축용 외장마감재의 연결결합구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등록실용신안 20-0308566은 벽체 두께에 대응하여 나사부의 체결깊이를 달리하면 해당 벽체 두께에 상관없이 해당 코너를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에는 채용할 수 없고, 또한 벽체의 하중이 고중량인 경우 코너 마감재 만으로는 견고하게 지지하기 어려운 뚜렷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해당 문헌의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코너 마감재는 제조방식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내·외부 프레임가 합성수지라는 기술내용에 비추어 볼 때, 압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전술한 양 프레임은 각각 제조시 나사부를 마련해야 하는 구조적 특성상 압출방식으로는 양 프레임을 일체형으로 압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양 프레임을 따로따로 각각 제조해야 하지만 이는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불리함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코너 마감재만으로 벽체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경량 벽체의 코너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으나 고중량 벽체의 코너 마감재로는 사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내·외부 프레임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므로 다양한 소재로 시공된 벽체가 지닌 색감과 소재에 조화롭게 제조하기 어렵고, 내구성이 불충분하여 옥외용으로는 채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물론, 도금 기법을 통해 양 프레임의 표면을 원하는 색감을 표현하는 것은 가능하긴 하지만 그에 따른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불리함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내·외부 프레임 사이로 빗물등이 유입될 수 있어 명확한 실링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코너 마감재의 제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을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본 발명을 통해 이를 제안하려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적 건물 벽체의 내·외측 코너는 물론 평면적 건물의 벽체의 코너(연결부위)를 마감할 수 있고, 벽체를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전술한 코너를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마감할 수 있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한 코너 마감재의 제조와 저렴한 제조비용을 추구하고, 하나의 제조설비로 입체적인 벽체의 내·외측 코너는 물론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연결부위)용 마감재들을 단일 프로세스를 통해 제조할 수 있는 코너 마감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단일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제조되는 코너 마감재로서,
장식면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된 탄성부와;
상기 장식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벽체의 3개의 면에 수용하여 각 면에 접해지고 상기 탄성부로부터 장식면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기 탄성부로부터 각각 절곡되되,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심재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탄성부와 대향되는 면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결합부의 길이는 탄성부를 포함한 장식면을 2등분한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탄성부에 내재된 탄성에 의해 코너 마감재가 벽체에 밀착시키고 코너 마감재와 벽체 간의 결속력을 높이는데 더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건물의 코너 마감재는 자체로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 마감재를 구현할 수 있고, 전술한 장식면의 길이를 2등분한 센터를 기준으로 판재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하면 입체적인 벽체의 내측 코너 또는 외측 코너용 마감재로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내측 코너 또는 외측 코너용 마감재로 제조하기 위해 판재를 절곡하는 각도는 제조자에 의해 변결될 수 있으나 이웃한 장식면은 직각이 되도록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전술한 탄성부는 장식면에 대하여 판재의 내측방향으로 45°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장식면과 탄성부가 만나는 부위는 둥글게 또는 직선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웃하게 접한 전술한 양 장식면의 모서리는 둥글게 연결되거나 시공된 입체적인 벽체의 각도와 같은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장식면 또는 탄성부 또는 장식면 또는 탄성부 사이에 코너 마감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단차부를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단차부에 의해 길이가 긴 코너 마감재의 휨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할 수 있고, 코너 마감재의 시각적인 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전술한 장식면은 다양한 문양의 패턴이 제조시 각인되거나 제조 후 특정 컬러가 도장 또는 도금될 수 있다.
전술한 코너 마감재는 다양한 종류의 금속 판재로 제조될 수 있고, 제조방법으로는 권취롤러에서 배출되는 판재를 포밍기속으로 공급하여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성형롤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의 요철(빗물 유입방지용 턱)과 V자형 절곡부(102b)을 예비 성형하고, 후속적으로 쌍으로 이루어진 압착롤러들을 차례로 통과할 때 제1 절곡부(103,도 4c)와 제2 절곡부(104, 도 4d)가 차례로 판재 외측방향으로 절곡되고, 도 4d에 도시된 형태로 절곡된 판재는 전술한 압착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 도 4e의 도면부호 "P1"의 부위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후속 압착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 도면부호 P2 부위가 압착되고 동시에 도 4a에 도시된 형태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전술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및 탄성부를 포함하는 평면적인 벽체 코너용 마감재가 제조되고, 이를 전술한 포밍기를 통해 장식부의 중앙을 판재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하면 입체적인 벽체의 내측 또는 외측 코너용 마감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는, 마련된 탄성부에 의해 벽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므로 틈이 없게 시공할 수 있고, 또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 심재(기둥)를 설치하여 이를 의존하여 고중량 벽체의 코너 마감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고, 또한 판재의 절곡에 의해 일체로 제조되어 누수(또는 침수)요인이 전혀 없고, 또한 빗물 유입방지용 턱에 의해 빗물의 유입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단일 제조설비를 통해 마감재 판재의 절곡방향 또는 절곡 유무에 따라 입체적인 벽체의 내·외측 코너 마감재는 물론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 마감재를 단일 프로세스를 통해 일괄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입체적 또는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 마감재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용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너 마감재는 금속 판재를 모재로 사용하므로 다양한 재질적 선택에 따라 도금할 필요 없이 그 자체로 건물의 벽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옥외용으로 채용하는데 전혀 부족함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너 마감재는 실내 또는 실외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건물의 코너 마감재로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너 마감재들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각 코너 마감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의 시계열적 공정을 예시한 코너 마감재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조공정에 의해 세분된 코너 마감재의 평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의 응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c에 도시된 코너 마감재를 벽면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간행물, 특허출원, 및 특허를 포함한 모든 참고문헌은, 마치 각 참고문헌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것으로 개별적으로 그리고 명시적으로 표시되고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맥락에서(특히하기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단수 지시어 및 "적어도 하나" 및 유사한 지시어의 사용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문맥 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목록 다음에 "적어도 하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예를 들어, "A 및 B 중 적어도 하나")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문맥 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나열된 항목들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항목(A 또는 B), 또는 나열된 항목들 중 둘 이상의 조합(A 및 B)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포함하는", "갖는", "포함하는"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개방형 용어(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함)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값들의 범위들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그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것의 약식 방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의도되고, 각각의 개별 값은 마치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 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임의의 모든 예, 또는 예시적 표현(예를 들어, "~와 같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어떤 표현도, 임의의 비청구된 요소를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여기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들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코너 마감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의 유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각 코너 마감재(100)(200)(300)의 평면도로, 도 1 및 도 3에서, 해당 도면에서 도 1a와 도 1b는 입체적인 벽체의 외측과 내측 코너 마감재(100)(200)이며, 도 1c는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 마감재(300)이다.
도 1a, 도 1b에 도시된 외측 및 내측 코너 마감재(100,200)는 도 2에 사용 예처럼 입체적인 벽체(210)의 외측과 내측 코너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도 1c에 도시된 코너 마감재(300)는 도 2에 평면적인 벽체의 연결부위(도면에는 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각 코너 마감재(100,200,300)는 공통적으로 빗물 유입방지용 턱(102b)을 갖추고 벽체(210)의 3면에 밀착되도록 수용하는 제1 및 제 2 결합부(111)(112)를 포함하고, 벽체(210)의 표면에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절곡된 탄성부(113)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1 및 제 2 결합부(111)(112)는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 절곡부(103,104,105)와 V자형 절곡부(102b)에 의해 벽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제1 및 제 2 결합부(111)(112) 사이에 심재(또는 지지대, 도면에는 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8)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각 코너 마감재(100)(200)(300)는 두께가 얇은 금속 판재(101a)를 절곡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다. 이에 대해서는 제조방법의 설명을 통해 구체화 될 것이다.
전술한 코너 마감재(100)(200)는 도 2에서 샌드위치판넬로 이루어진 벽체(210)의 코너에 시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시공 예의 하나일 일 뿐 이웃한 면이 만나는 입체적인 벽체의 코너에 시공될 수 있다. 그 예로는 지붕의 용마루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벽체(210)는, 샌드위치판넬, 루버, 목재 합판, 벽돌,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 구조물, 금속 또는 천연(또는 인조) 대리석 또는 타일 등 건축에 사용되는 건축소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 2 결합부(111)(112)는 해당 부위에 결합되는 벽체(210)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술한 제1 및 제 2 결합부(111)(112)의 양 축선은 전술한 장식면(101)과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입체적인 벽체(210) 또는 평면적인 벽체(210)의 배치각도와 같은 각도로 채용될 수 있다.
전술한 장식면은 마감재 제조시 성형롤러에 의해 다양한 문양의 패턴이 각인되거나 제조 후 특정 컬러가 도장 또는 도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예로서, 타일(또는 샌드위치판넬)을 벽체(210)에 부착할 때 그 코너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벽체(210)의 일측 면에 타일을 부착하고, 외측 코너에 제1 결합부(111)를 끼우고, 제2 결합부(112)에 타일이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코너 마감재(100)를 사용하여 벽체(210)를 시공할 수 있다. 내측 코너 역시 전술한 방식으로 코너 마감재(200)를 사용하여 벽면에 설치하면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코너 마감재들의 평면을 도시한 것으로, 그 중 도 3a는 입체적인 벽체의 외측 코너용 마감재(100)이고, 도 3b는 입체적인 벽체의 내측 코너용 마감재(200)이며, 도3c는 평면적인 벽체용 코너 마감재(300)이다.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코너 마감재(100)(200)(300)들은 공통적으로, 장식면(101)과, 상기 장식면(10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심재 수용부(114)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결합부(111)(112)와, 상기 장식면(101)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및 제2 결합부(111)(112)와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부(113)를 포함한다.
전술한 장식면(101)의 중심을 기준으로 판재(101a)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된 경우 이웃한 양 장식면(101)을 연결함에 있어 모서리가 직선 또는 둥글게 연결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면(101)과 탄성부(113) 사이에 장식면(101)으로부터 판재(101a)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단차부(11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단차부(115)에 의해 코너 마감재(100)의 휨 저항성을 증강시킬 수 있고, 코너 마감재(100)를 설치하였을 때 코너 마감재(100)의 전체에서 감득되는 미감을 더 높여 인테리어 효과를 특별하게 부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코너 마감재(100, 도 5a)(200, 도 5b)(300,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벽체(210)의 내·외측 코너 뿐만 아니라 평면적인 벽체(210)의 코너(연결부위)를 마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코너 마감재(100)(200)(300)의 제1 및 제2 결합부(111)(112) 사이에 마련된 수용부(114)에 심재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심재를 지지대 삼아 제1 및 제2 결합부(111)(112)를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벽체의 내·외측 코너를 마감 할 수 있고, 해당 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코너 마감재(100)(200)(300)의 제1 및 제2 결합부(111)(112)는 판재의 내측에 위치되는 빗물 유입방지용 턱(102b)에 의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부의 단부보다 더 길게 외부로 노출된 제1 및 제2 결합부(111)(112)를 나사를 관통하여 벽면에 코너 마감재(100)(200)(30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코너 마감재(100)(200)(300)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의 시계열적 공정을 예시한 공정도이다.
도 4에서, 중심선(도면부호 미표기)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후술하는 포밍기(도면에는 미도시)의 성형롤러에 의해 대칭되게 성형되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전술한 코너 마감재는 1 내지 3mm 두께를 지닌 금속 판재(101a)가 감긴 권취롤러(도면에는 미도시)에서 도 4a에 도시된 금속재 판재(101a) 형태로 포밍기속으로 공급되어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성형롤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판재(101a)는 도 4f에 도시된 형태로 성형된다.
1차로, 포밍기는 권취롤러에서 공급되는 판재(101a)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 홈이 마련된 성형롤러(도면에는 미도시)를 통과할 때 판재(101a) 표면에 빗물 유입방지용 턱(102b)과 V자형 절곡부(102b)가 마련되고, 후속적으로 쌍으로 이루어진 압착롤러들을 차례로 통과할 때 제1 절곡부(103,도 4c)와 제2 절곡부(104, 도 4d)가 판재(101a) 외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절곡된다.
이후 도 4d에 도시된 형태로 절곡된 판재(101a)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압착롤러(도면에는 미도시) 사이를 통과하면서 도 4e의 도면부호 "P1"의 부위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01a)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후속 압착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도면부호 P2 부위가 압착되고 동시에 도 4a에 도시된 판재(101a)의 판재 내측방향으로 대략 45°로 절곡된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도 4f에 도시된 형태에서 보는 것처럼 제1 결합부(11)와 제2 결합부(112, 도 4f와 도 5c)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평면적인 벽체용 코너 마감재(300)로 제조된다.
그리고, 전술한 포밍기를 통해 전술한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 마감재(300)의 길이를 이등분한 부위를 절곡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측 코너 마감재(100, 도 1a, 도 5a) 또는 내측 코너 마감재(200, 도 1b, 도 5b)로 제조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 마감재(300) 뿐만 아니라 내·외측 코너 마감재(200)(100)를 하나의 제조설비로 단일 프로세스를 통해 쉽게 제조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발명은 내·외측 코너 마감재(200)(100)는 물론이고 평면적인 벽체 코너 마감재(300)로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종래 기술 대비 높은 생산성과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코너 마감재의 설치 및 설치시 견고한 지지력이 발휘된다는 사실을 입증된다.
제조된 코너 마감재에서, 전술한 제1 절곡부(103, 도 4c)의 길이는 도 4e의 제3 절곡부(105)와 상기한 V자형 절곡부(102b)의 길이를 합한 것과 같거나 보다 더 길게 즉, 빗물유입방지 턱이 장식면 전면에서 보이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전술한 탄성부(113)의 단부에 내재된 탄성에 의해 코너마감재의 장식면(101)은 벽체(210)에 틈새가 없게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내재된 탄성에 의해 코너 마감재와 벽체(210)의 체결력을 증강시킬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결합부(111)(112)의 단부가 탄성부보다 더 밖으로 노출되므로 볼트(또는 나사)를 체결이 용이하게 되고 벽체를 양 결합부속으로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코너 마감재(100)(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벽체(210)의 코너 마감을 위해 사용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지붕의 용마루(도면에는 미도시)의 내·외측 코너 마감재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코너 마감재(300)는 건물의 각종 평면적인 벽체(210)의 코너를 효과적으로 마감하는데 채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기초로 다양한 응용 예나 변경 예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나, 이러한 응용예나 변경예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 두는 바이다.
100: 입체적인 벽체의 외측 코너 마감재
200: 입체적인 벽체의 내측 코너 마감재
300: 평면적인 벽체의 코너 마감재
101: 장식면
101a: 금속 판재
102b: V자형 절곡부
103: 제1 절곡부
104: 제2 절곡부
105: 제3 절곡부
111: 제1 결합부
112: 제2 결합부
114: 심재 수용부
115: 단차형 리브

Claims (8)

  1. 단일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제조되는 코너 마감재로서,
    장식면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된 탄성부와;
    상기 장식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벽체의 3개의 면에 수용하여 해당 면에 접해지고 상기 탄성부로부터 상기 장식면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기 탄성부로부터 각각 절곡되되,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심재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대향되는 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길이는 상기 탄성부를 포함한 장식면을 2등분한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마감재는 상기 장식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판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장식면으로부토 판재의 내측방향으로 45°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마감재의 장식면 모서리는 둥글게 또는 직선형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을 하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면 또는 상기 탄성부 또는 상기 장식면과 탄성부 사이에 장식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축선은 장식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면은 그 표면에 패턴 또는 특정 컬러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코너 마감재.
KR1020230004013A 2023-01-11 건물의 코너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40111975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1975A true KR20240111975A (ko) 2024-07-1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8975B2 (en) Dry-hang wall panel using a thin stone slab
CA2615937C (en) Bracket structure for external wall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CN101821465B (zh) 具有装饰条的表面覆盖物
KR101669522B1 (ko) 방수, 방화, 단열, 장식 효과가 있는 일체형 발포유리판
WO2008106735A1 (en) Building system
US7678219B2 (en) Method for making segmented composite panel with false joints
KR101147011B1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KR20240111975A (ko) 건물의 코너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N215166847U (zh) 外墙系统
CN211229304U (zh) 一种方便安装的轻质仿大理石单板
KR100704923B1 (ko) 건축용 외장재
KR20170047087A (ko) 조립식 건축물의 베이스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204208B1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AU2016231466B2 (en) A Fence
RU165594U1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с невидимым креплением
JP3025144U (ja) 金属サイディング材
KR20060107480A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CN216276389U (zh) 一种免拆模钢筋桁架现浇混凝土楼板
RU95005U1 (ru) Конструкция стен из трехслойных панелей с наполнителем из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а
CN219604748U (zh) 一种装配式板材拼接卡条
CN220469220U (zh) 烤漆龙骨系统吊装结构
CN203514682U (zh) 一种y型钢板包柱系统
CN216195864U (zh) 一种新型免拆模钢筋桁架现浇混凝土楼板
KR20090126499A (ko) 건축용 패널
CN214463548U (zh) 一种铝合金门扇装饰型材连接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