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346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3460A
KR20240103460A KR1020220185661A KR20220185661A KR20240103460A KR 20240103460 A KR20240103460 A KR 20240103460A KR 1020220185661 A KR1020220185661 A KR 1020220185661A KR 20220185661 A KR20220185661 A KR 20220185661A KR 20240103460 A KR20240103460 A KR 20240103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ce
contact
housing
support portion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경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10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34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와이어(210) 및 상기 와이어(210)를 둘러싸고 와이어(210)의 쉴드선과 연결되는 클림프링(220)을 포함하는, 와이어조립체(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싸며, 축방향의 일단이 자유단인 외팔보 형상이고 반경방향으로 상기 클림프링(220)과 접하며 탄성변형가능한 접촉편(320)을 포함하는, 쉴드쉘(300);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접촉편(320)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접촉편(320)과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는 지지부(400); 및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축방향으로 상기 접촉편(320)의 자유단 및 지지부(400)보다 일측에 배치되며, 축방향의 타방으로 개방되어서 접촉편(320)의 자유단을 수용하되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닫힌 삽입홈(510)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접촉편(320)과 간섭되는, 간섭부(500)를 포함하는 커넥터(10)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10)의 차폐효과가 향상되고 진동에도 신뢰성 높은 차폐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조립체(200)를 하우징(100)에 삽입하거나 탈거할 때에 접촉편(320)의 소성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커넥터(10)의 조립 및 리워크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폐효과가 향상되고 진동에도 신뢰성 높은 차폐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조립체를 하우징에 삽입하거나 탈거할 때에 쉴드쉘의 접촉편의 소성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조립 및 리워크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와이어 하네스 또는/및 전장 부품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장 부품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저전압용과 고전압용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 자동차 등이 개발되면서 고전압 커넥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고전압 커넥터에는 고전류가 인가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데, 이때 케이블의 주변에는 고전류로 인한 전자파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파 등의 전기적인 간섭을 차단하기 위하여 고전압 커넥터에는 쉴드쉘이 마련된다.
한편, 고전압 커넥터에는 전자파 차폐용 쉴드 케이블이 사용된다. 쉴드 케이블의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 사이에는 쉴드선이 구비되며, 쉴드선은 쉴드 클립에 의해 압착된다. 이러한 쉴드 케이블은 쉴드 클립을 통해 고전압 커넥터의 쉴드쉘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4-0054811호에는 쉴드쉘을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 구비되는 쉴드쉘은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이다. 쉴드쉘의 일단은 막음판에 의해 밀폐되되, 막음판에는 쉴드 케이블의 설치를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공에는 쉴드 케이블의 쉴드 클립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접촉편이 형성된다.
종래의 접촉편(36)은 도 1과 같이 쉴드쉘(20)의 내측을 향해 벤딩된 L자 외팔보 형상이다. 그러나, 접촉편(36)의 안쪽 공간(E)이 비어 있어서 접촉편(36)과 쉴드 클립 사이에 접압력이 약하고 진동에 취약하다. 또한, 접촉편(36)의 자유단이 구속되지 않아서 쉴드 케이블 분리 시 쉴드 클립과의 접촉에 의해 화살표 Z1, Z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쉽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14-00548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폐효과가 향상되고 진동에도 신뢰성 높은 차폐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조립체를 하우징에 삽입하거나 탈거할 때에 쉴드쉘의 접촉편의 소성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조립 및 리워크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조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구현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와이어(210) 및 상기 와이어(210)를 둘러싸고 와이어(210)의 쉴드선과 연결되는 클림프링(220)을 포함하는, 와이어조립체(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싸며, 축방향의 일단이 자유단인 외팔보 형상이고 반경방향으로 상기 클림프링(220)과 접하며 탄성변형가능한 접촉편(320)을 포함하는, 쉴드쉘(300);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접촉편(320)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접촉편(320)과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는 지지부(400); 및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축방향으로 상기 접촉편(320)의 자유단 및 지지부(400)보다 일측에 배치되며, 축방향의 타방으로 개방되어서 접촉편(320)의 자유단을 수용하되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닫힌 삽입홈(510)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접촉편(320)과 간섭되는, 간섭부(500)를 포함하는 커넥터(10)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쉴드쉘(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싸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가 관통하는 관통홀(H)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편(320)과 결합되는 본체(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편(320)은, 축방향 또는 축방향을 향해서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축방향의 타단이 상기 본체(310)와 결합되는 기초부(322); 축방향의 타단이 상기 기초부(322)의 축방향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클림프링(220)을 향해서 U자 또는 V자 형태로 볼록하게 벤딩되며 상기 클림프링(220)과 접하는 접촉부(324); 및 축방향의 타단이 상기 접촉부(324)의 축방향의 일단과 연결되고 축방향 또는 축방향을 향해서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며 축방향의 일단이 상기 자유단인 걸림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기초부(322)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와 반경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간섭부(500)의 상기 삽입홈(510)은 상기 걸림부(326)의 축방향의 일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위(410)의 반경방향의 내측 단부의 축방향의 타측면(S)은 축방향의 일방을 향해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기초부(322)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거나 접하는 제1부위(410) 및 상기 제1부위(410)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제1부위(410)와 결합되며 상기 접촉편(320) 중에서 상기 기초부(322)보다 축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거나 접하는 제2부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위(420)의 축방향 구간 중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의 반경방향의 내측단은 상기 제1부위(410)의 반경방향 내측단보다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촉편(320) 중에서 상기 기초부(322)보다 축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반경방향의 외측단은 상기 제1부위(410)의 반경방향 내측단보다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편(320)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둘레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상기 제1부위(410)와 제2부위(420)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00a)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00b)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400a)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 단부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 단부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00b)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 단부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 단부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편(320)에는 접촉편(320)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330)은 상기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과 대응하는 접촉편(320)의 둘레방향 구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접촉편(3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편(320)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둘레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상기 제1부위(410)와 제2부위(420)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00a)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00b)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촉편(320) 중에서 상기 기초부(322)와 상기 지지부(400)가 접하는 지점보다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과 대응하는 접촉편(320)의 둘레방향 구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편(320)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둘레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상기 제1부위(410)와 제2부위(420)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00a)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00b)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부(326)의 축방향의 일측 단부는, 둘레방향 길이(L)가 상기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거리(D)보다 작거나 같고,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과 대응하는 상기 접촉편(320)의 둘레방향 구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편(320)과 지지부(400)는 면접촉하고 접촉편(320)과 지지부(400)의 접촉면은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쉴드쉘(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싸며 상기 와이어조립체(200)가 관통하는 관통홀(H)을 구비하는 본체(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편(320)은 상기 본체(3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본체(310)와 축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00) 및 간섭부(500)는 상기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축방향의 타측 및 일측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결합되며 상기 쉴드쉘(300)의 축방향의 타측부 및 일측부가 각각 삽입되는 아우터하우징(110)과 리어하우징(130) 및 상기 쉴드쉘(300)에 삽입되는 이너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쉘(300)은, 상기 아우터하우징(110) 및 리어하우징(13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싸며 축방향 일단에 상기 와이어조립체(200)가 관통하는 관통홀(H)을 구비하는 본체(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편(320)은 상기 본체(310)와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H)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본체(310) 및 관통홀(H)보다 축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리어하우징(13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 및 간섭부(500)는 상기 리어하우징(130)과 결합되고 리어하우징(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10)의 차폐효과가 향상되고 진동에도 신뢰성 높은 차폐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조립체(200)를 하우징(100)에 삽입하거나 탈거할 때에 접촉편(320)의 소성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커넥터(10)의 조립 및 리워크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조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간단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쉴드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점선 사각형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6의 쉴드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쉴드쉘의 일부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2 내지 도 6의 리어하우징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6 내지 도 8의 접촉편이 도 6, 도 9 및 도 10의 리어하우징에 상대적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편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커넥터(10)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커넥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점선 사각형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10)는 하우징(100), 와이어조립체(200), 쉴드쉘(300), 지지부(400), 간섭부(500) 및 리어홀더(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을 살펴본다.
[하우징, 와이어조립체, 리어홀더]
하우징(100)은 커넥터(1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100)은 아우터하우징(110) 및 이너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리어하우징(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하우징(100)이 리어하우징(130)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 아우터하우징(110)과 리어하우징(130)은 축방향의 타측(예컨대 전측) 및 일측(예컨대 후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하우징(110)과 리어하우징(13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하우징(110)과 리어하우징(130)에는 쉴드쉘(300)의 축방향의 타측부 및 일측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도 5).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축방향은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된 와이어조립체(200)의 연장방향일 수 있다. 축방향은 와이어조립체(200)의 가상의 중심축(X)과 평행할 수 있다.
한편, 리어하우징(130)이 생략된 경우에 아우터하우징(110)에 쉴드쉘(300) 전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너하우징(120)은 쉴드쉘(300)에 삽입될 수 있다.
와이어조립체(2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와이어조립체(200)는 와이어(210) 및 클림프링(22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210)는 도체인 도선, 도선을 감싸는 쉴드선 및 쉴드선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림프링(220)은 와이어(210)를 둘러쌀 수 있다. 클림프링(220)은 와이어(210)의 쉴드선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210)의 외피를 벗겨내고 쉴드선을 뒤집어서 클림프링(220)과 서포트링 사이에 압착 고정시킬 수 있다.
리어홀더(600)는 하우징(100)의 축방향의 타측 단부(예컨대, 후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쉴드쉘]
쉴드쉘(300)은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쉴드쉘(300)은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쌀 수 있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6의 쉴드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쉴드쉘의 일부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쉴드쉘(300)은 본체(310) 및 접촉편(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바디(312) 및 커버(3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바디(312)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310)/바디(312)는 아우터하우징(110) 및 리어하우징(13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본체(310)/바디(312)는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쌀 수 있다.
본체(310)는 축방향 일단(예컨대, 후단)에 와이어조립체(200)가 관통하는 관통홀(H)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310)는 접촉편(32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314)가 관통홀(H)을 구비할 수 있고 접촉편(320)과 결합될 수 있다.
접촉편(320)은 본체(310)와 결합될 수 있다. 접촉편(320)은 관통홀(H)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촉편(320)은 본체(310) 및 관통홀(H)보다 축방향의 일측(예컨대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편(320)은 도면과 같이 리어하우징(13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면과 달리 접촉편(320)은 관통홀(H)보다 축방향의 타측(예컨대 전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너하우징(120)에 삽입될 수 있다.
접촉편(320)은 축방향의 일단(예컨대, 후단)이 자유단인 외팔보 형상일 수 있다. 접촉편(320)은 반경방향으로 클림프링(220)과 접할 수 있다. 접촉편(320)은 탄성변형가능할 수 있다.
접촉편(320)은 기초부(322), 접촉부(324) 및 걸림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부(322)는 축방향 또는 축방향을 향해서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초부(322)의 축방향의 타단(예컨대 전단)이 본체(310)와 결합될 수 있다.
접촉부(324)의 축방향의 타단은 기초부(322)의 축방향의 일단(예컨대 후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324)는 클림프링(220)을 향해서 U자 또는 V자 형태로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접촉부(324)는 클림프링(220)과 접할 수 있다(도 6).
걸림부(326)의 축방향의 타단은 접촉부(324)의 축방향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걸림부(326)는 축방향 또는 축방향을 향해서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326)의 축방향의 일단은 자유단일 수 있다.
접촉편(320)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7, 도 8). 여기에서, 둘레방향은 가상의 중심축(X)을 둘러싸는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지지부, 간섭부]
도 9 및 도 10은 도 2 내지 도 6의 리어하우징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6 내지 도 8의 접촉편이 도 6, 도 9 및 도 10의 리어하우징에 상대적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하면, 지지부(400)는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4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400)는 리어하우징(130)과 결합될 수 있고 리어하우징(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400)는 접촉편(320)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6). 지지부(400)는 접촉편(320)과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도 6). 예를 들면, 지지부(400)는 기초부(322)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와 반경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반경방향은 가상의 중심축(X)으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거나(원심) 수직으로 가까워지는(구심)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반경방향의 내측은 반경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축(X)과 가까워지는 쪽을 의미할 수 있고 반경방향의 외측은 반경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축(X)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의미할 수 있다.
지지부(400)과 접촉편(320)는 면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400)과 접촉편(320)의 접촉면은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400)과 기초부(322)는 면접촉할 수 있고, 지지부(400)과 기초부(322)의 접촉면은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6).
10항//이에 따라, 접촉편(320)(예컨대, 기초부)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서 소성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접촉편(320)(예컨대, 기초부)이 클림프링(220)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쉴드쉘(300)이 하우징(100)에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상대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400)는 제1부위(410) 및 제2부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위(410)는 기초부(322)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1부위(410)의 반경방향의 내측 단부의 축방향의 타측면(S)은 축방향의 일방(예컨대, 후방)을 향해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도 6).
3항//이에 따라, 쉴드쉘(300)이 하우징(100)에 축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삽입될 때에 접촉편(320)이 지지부(400)의 제1부위(410)와 축방향으로 간섭되더라도 탄성변형 되어서 경사진 제1부위(410)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의 조립 및 리워크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2부위(420)는 제1부위(410)의 축방향 일측(예컨대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위(420)는 제1부위(4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부위(420)는 접촉편(320) 중에서 기초부(322)보다 축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2부위(420)의 축방향 구간 중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의 반경방향의 내측단은 제1부위(410)의 반경방향 내측단보다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에, 접촉편(320) 중에서 기초부(322)보다 축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위(예컨대 걸림부)의 반경방향의 외측단은 제1부위(410)의 반경방향 내측단보다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4항//이에 따라, 쉴드쉘(300)이 하우징(100)에 축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삽입될 때에 접촉편(320)이 지지부(400)의 제1부위(410)와 축방향으로 간섭되더라도 탄성변형 되어서 제1부위(410)를 통과하면 제2부위(420)의 적어도 일부분과 축방향으로 간섭되지 않거나 간섭이 완화되므로 쉴드쉘(300)의 삽입이 용이하게 완료될 수 있고 접촉편(320)의 자유단이 간섭부(500)의 삽입홈(51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00)의 제1부위(410)가 접촉편(320) 중에서 기초부(322)보다 축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반경방향의 외측단보다 반경방향의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으므로 접촉편(320)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부위(420)는 제1부위(410)를 지지할 수 있고 하우징(100)의 리브일 수 있다.
지지부(400)는 본체(310)와 축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도 6). 예를 들면, 제1부위(410)는 본체(310)와 축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도 6).
11항//이에 따라, 쉴드쉘(300)의 축방향의 삽입 깊이를 규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간섭부(500)는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간섭부(5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섭부(500)는 리어하우징(130)과 결합될 수 있고 리어하우징(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9, 도 10).
간섭부(500)는 축방향으로 접촉편(320)의 자유단 및 지지부(400)보다 일측(예컨대,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6). 간섭부(500)는 삽입홈(510)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홈(510)은 축방향의 타방(예컨대 전방)으로 개방되어서 접촉편(320)의 자유단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홈(510)은 걸림부(326)의 축방향의 일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삽입홈(510)은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닫힐 수 있다. 이에, 간섭부(500)는 접촉편(320)과 간섭될 수 있다.
1항//이에 따라, 지지부(400)에 의해서 접촉편(320)과 클림프링(220) 사이의 접압력이 증가하는 동시에 간섭부(500)에 의해서 접촉편(320)의 변형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의 차폐효과가 향상되고 진동에도 신뢰성 높은 차폐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조립체(200)를 하우징(100)에 삽입하거나 탈거할 때에 접촉편(320)의 소성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커넥터(10)의 조립 및 리워크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편(320)이 기초부(322), 접촉부(324) 및 걸림부(326)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400)는 기초부(322)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와 반경방향으로 접할 수 있으며, 간섭부(500)의 삽입홈(510)은 걸림부(326)의 축방향의 일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2항//이에 따라, 지지부(400)에 의해서 지지되고 간섭부(500)에 의해서 간섭되는 접촉편(320)이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제조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체(310)와 결합되는 기초부(322)가 지지부(400)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접촉부(324)가 클림프링(220)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편(320)의 소성변형 또는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400) 및 간섭부(500)는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12항//이에 따라, 지지부(400) 및 간섭부(5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400) 및 간섭부(500)는 리어하우징(130)과 결합되고 리어하우징(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이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편(320)이 본체(310) 및 관통홀(H)보다 축방향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리어하우징(130)에 삽입될 수 있다.
13항//이에 따라,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 접촉편(320)을 본체(310)의 축방향의 일측에 배치하고 지지부(400) 및 간섭부(500)를 리어하우징(130)에 배치하면 충분하고 나머지 구성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접촉편, 제1지지부, 제2지지부, 간섭부]
지지부(400)는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는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는 리어하우징(130)과 결합될 수 있고 리어하우징(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는 둘레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는 각각 전술한 제1부위(410)와 제2부위(42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도 6, 도 11).
제1지지부(400a)는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400a)는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도 6).
제2지지부(400b)는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400b)는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도 6).
5항//이에 따라, 쉴드쉘(300)이 하우징(100)에 축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삽입될 때에 접촉편(320)의 둘레방향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분이 지지부(400)(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와 축방향으로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편(320)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더라도 접촉편(320)이 용이하게 탄성변형 되어서 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지지부(400)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에, 접촉편(320)과 클림프링(220) 사이의 접촉길이 또는 접촉면적 증대를 위해서 접촉편(320)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더라도 커넥터의 조립 및 리워크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지지부(400a)는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 단부(322a)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400a)는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 단부(322a)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도 6, 도 11).
제2지지부(400b)는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 단부(322b)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400b)는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 단부(322b)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도 6, 도 11).
6항//이에 따라, 쉴드쉘(300)이 하우징(100)에 축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삽입될 때에 접촉편(320) 중에서 지지부(400)(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와 축방향으로 간섭되는 부위의 둘레방향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편(320)이 용이하게 탄성변형되어서 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지지부(400)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접촉편(320)에는 접촉편(320)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330)이 형성될 수 있다(도 8, 도 11). 관통구멍(330)은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과 대응하는 접촉편(320)의 둘레방향 구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멍(330)은 접촉편(3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7항//이에 따라, 접촉편(320)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더라도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과 대응하는 구간에서 접촉편(320)이 관통구멍(330)에 의해서 더욱 용이하게 탄성변형 되므로 접촉편(320)이 지지부(400)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편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2를 더 참조하면,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는 도 7, 도 8, 도 11의 접촉편(320)과 달리,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편(320)은 대략 이등변 삼각 형상을 가진다. 접촉편(320)의 형상을 제외하면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 이에, 도 12의 대략 이등변 삼각 형상의 접촉편(320)을 구부리면 전술한 도 7, 도 8, 도 11의 대략 사각 형상의 접촉편(320)을 대체할 수 있다. 도 12의 대략 이등변 삼각 형상의 접촉편(320)을 구부릴 때에 기초부(322), 접촉부(324) 및 걸림부(326)가 도 6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를 전제로, 대략 이등변 삼각 형상의 접촉편(320)과 관련된 특징을 살펴본다.
접촉편(320) 중에서 기초부(322)와 지지부(400)가 접하는 지점보다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즉, 삽입 시 지지부와 간섭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서 D로 표시된 구간)과 대응하는 접촉편(320)의 둘레방향 구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접촉편(320)을 구부리면 도 6에서 기초부(322)와 지지부(400)가 접하는 지점보다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해서 쉴드쉘(300)을 리어하우징(130)에 상대적으로 삽입 시 지지부(400)와 간섭될 수도 있는 걸림부(326)가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서 D로 표시된 구간)과 대응하는 접촉편(320)의 둘레방향 구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8항//이에 따라, 쉴드쉘(300)이 하우징(100)에 축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삽입될 때에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가 연결되었더라면 지지부(400)와 간섭될 수 있는 접촉편(320)의 일부분이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빈 공간으로 간섭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편(320)과 클림프링(220) 사이의 접촉길이 또는 접촉면적 증대를 위해서 접촉편(320)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더라도 커넥터(10)의 조립 및 리워크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걸림부(326)의 축방향의 일측 단부는, 둘레방향 길이(L, 도 12)가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거리(D, 도 10, 도 11)보다 작거나 같고,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과 대응하는 접촉편(320)의 둘레방향 구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9항//이에 따라, 쉴드쉘(300)이 하우징(100)에 축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삽입될 때에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가 연결되었더라면 지지부(400)와 간섭될 수 있는 걸림부(326)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빈 공간으로 간섭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편(320)과 클림프링(220) 사이의 접촉길이 또는 접촉면적 증대를 위해서 접촉편(320)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더라도 커넥터(10)의 조립 및 리워크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커넥터
100: 하우징 110: 아우터하우징
120: 이너하우징 130: 리어하우징
200: 와이어조립체 210: 와이어
220: 클림프링 230: 터미널
300: 쉴드쉘 310: 본체
312: 바디 314: 커버
320: 접촉편 322: 기초부
324: 접촉부 326: 걸림부
330: 관통구멍 H: 관통홀
400: 지지부
400a: 제1지지부 400b: 제2지지부
410: 제1부위 420: 제2부위
500: 간섭부 510: 삽입홈
600: 리어커버

Claims (13)

  1.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와이어(210) 및 상기 와이어(210)를 둘러싸고 와이어(210)의 쉴드선과 연결되는 클림프링(220)을 포함하는, 와이어조립체(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싸며, 축방향의 일단이 자유단인 외팔보 형상이고 반경방향으로 상기 클림프링(220)과 접하며 탄성변형가능한 접촉편(320)을 포함하는, 쉴드쉘(300);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접촉편(320)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접촉편(320)과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는 지지부(400); 및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축방향으로 상기 접촉편(320)의 자유단 및 지지부(400)보다 일측에 배치되며, 축방향의 타방으로 개방되어서 접촉편(320)의 자유단을 수용하되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닫힌 삽입홈(510)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접촉편(320)과 간섭되는, 간섭부(500)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쉴드쉘(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싸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가 관통하는 관통홀(H)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편(320)과 결합되는 본체(3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320)은,
    축방향 또는 축방향을 향해서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축방향의 타단이 상기 본체(310)와 결합되는 기초부(322);
    축방향의 타단이 상기 기초부(322)의 축방향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클림프링(220)을 향해서 U자 또는 V자 형태로 볼록하게 벤딩되며 상기 클림프링(220)과 접하는 접촉부(324); 및
    축방향의 타단이 상기 접촉부(324)의 축방향의 일단과 연결되고 축방향 또는 축방향을 향해서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며 축방향의 일단이 상기 자유단인 걸림부(326)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기초부(322)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와 반경방향으로 접하고,
    상기 간섭부(500)의 상기 삽입홈(510)은 상기 걸림부(326)의 축방향의 일측 단부를 수용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위(410)의 반경방향의 내측 단부의 축방향의 타측면(S)은 축방향의 일방을 향해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기초부(322)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거나 접하는 제1부위(410) 및 상기 제1부위(410)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제1부위(410)와 결합되며 상기 접촉편(320) 중에서 상기 기초부(322)보다 축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거나 접하는 제2부위(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위(420)의 축방향 구간 중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의 반경방향의 내측단은 상기 제1부위(410)의 반경방향 내측단보다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접촉편(320) 중에서 상기 기초부(322)보다 축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반경방향의 외측단은 상기 제1부위(410)의 반경방향 내측단보다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320)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둘레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상기 제1부위(410)와 제2부위(420)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400a)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지지부(400b)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는,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400a)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 단부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 단부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지지부(400b)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 단부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 단부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는, 커넥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320)에는 접촉편(320)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3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330)은 상기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과 대응하는 접촉편(320)의 둘레방향 구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접촉편(3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320)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둘레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상기 제1부위(410)와 제2부위(420)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400a)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지지부(400b)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접촉편(320) 중에서 상기 기초부(322)와 상기 지지부(400)가 접하는 지점보다 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과 대응하는 접촉편(320)의 둘레방향 구간 내에 위치하는, 커넥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320)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되 둘레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상기 제1부위(410)와 제2부위(420)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400a)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일측부(322a)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지지부(400b)는 상기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기초부(322)의 둘레방향의 타측부(322b)와 반경방향으로 접하여서 접촉편(320)을 상기 클림프링(220)에 밀착시키고,
    상기 걸림부(326)의 축방향의 일측 단부는, 둘레방향 길이(L)가 상기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거리(D)보다 작거나 같고,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 사이의 둘레방향 구간과 대응하는 상기 접촉편(320)의 둘레방향 구간 내에 위치하는,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320)과 지지부(400)는 면접촉하고 접촉편(320)과 지지부(400)의 접촉면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쉴드쉘(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싸며 상기 와이어조립체(200)가 관통하는 관통홀(H)을 구비하는 본체(3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320)은 상기 본체(310)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본체(310)와 축방향으로 접하는, 커넥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0) 및 간섭부(500)는 상기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축방향의 타측 및 일측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결합되며 상기 쉴드쉘(300)의 축방향의 타측부 및 일측부가 각각 삽입되는 아우터하우징(110)과 리어하우징(130) 및 상기 쉴드쉘(300)에 삽입되는 이너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쉘(300)은, 상기 아우터하우징(110) 및 리어하우징(13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립체(200)를 둘러싸며 축방향 일단에 상기 와이어조립체(200)가 관통하는 관통홀(H)을 구비하는 본체(3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320)은 상기 본체(310)와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H)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본체(310) 및 관통홀(H)보다 축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리어하우징(130)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400) 및 간섭부(500)는 상기 리어하우징(130)과 결합되고 리어하우징(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KR1020220185661A 2022-12-27 커넥터 KR20240103460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3460A true KR20240103460A (ko) 2024-07-0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1153B2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655118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US20150140851A1 (en) Shield connector structure
JP3097816B2 (ja) シールド線のシースずれ防止構造
EP2980931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9053937A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方法
JP5342884B2 (ja) 電線接続ユニット
US7909645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housing
KR100800789B1 (ko) 실드 커넥터
KR20240103460A (ko) 커넥터
US20220190526A1 (en) Connector
CN112490781A (zh) 电连接器
CN110504597A (zh) 屏蔽连接器
KR102499819B1 (ko) 커넥터
JP5325698B2 (ja) 電線接続ユニット
KR20210078321A (ko) 커넥터
US20220216651A1 (en) Connector
KR102517170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CN111525360A (zh) 可以实现多芯连接器单通道密封的方法以及多芯连接器
KR100918135B1 (ko)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KR20240103302A (ko) 와이어 압착용 클램프
US11515675B2 (en) Electrical cable assembly
CN218975954U (zh) 一种金属d-sub连接器高屏蔽连接结构
CN220628326U (zh) 一种集成式线束穿孔密封塞
CN218958185U (zh) 具有屏蔽导通结构的连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