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8958A -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 Google Patents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8958A
KR20240098958A KR1020220181178A KR20220181178A KR20240098958A KR 20240098958 A KR20240098958 A KR 20240098958A KR 1020220181178 A KR1020220181178 A KR 1020220181178A KR 20220181178 A KR20220181178 A KR 20220181178A KR 20240098958 A KR20240098958 A KR 20240098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eedle
down unit
common spr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진
박준영
이규진
강선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엑스엔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엑스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엑스엔
Publication of KR2024009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8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Abstract

본 발명의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는, 피부에 접촉되는 시스 부재; 상기 시스 부재의 내부에 수납되는 바늘; 상기 시스 부재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업 유니트 및 다운 유니트; 상기 업 유니트 및 다운 유니트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Continuous Anaylyte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 부재의 내부에 공통 스프링을 구비하고, 바늘의 삽입 및 분리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저혈당 상태의 즉각적인 발견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나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 측정기로는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수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연속 혈당 측정장치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신체 피부에 삽입되어 센싱을 위한 센서와, 센서의 삽입시 가이드해주는 바늘을 포함하고, 신체 피부안으로 센서를 삽입할 때, 바늘이 신체 피부에 삽입되면서 센서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어야 하고, 센서가 피부안에 삽입되면 바늘은 피부의 외부로 분리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는 단순하면서도 동작 구현이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공통 스프링으로 바늘의 삽입 및 분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공통 스프링을 구비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는, 피부에 접촉되는 시스 부재; 상기 시스 부재의 내부에 수납되는 바늘; 상기 시스 부재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업 유니트 및 다운 유니트; 상기 업 유니트 및 다운 유니트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운 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바늘이 하강하며 피부에 삽입되고, 상기 업 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바늘이 상승하며 피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바늘의 하강시 상기 바늘을 상기 다운 유니트에 연결하고, 상기 바늘의 상승시 상기 바늘을 상기 업 유니트에 연결하는 클러치 유니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시스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통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이며, 상기 바늘의 상승시에 상기 업 유니트에 상승력을 작용하고 상기 바늘의 하강시에 상기 다운 유니트에 하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된 상기 공통 스프링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다운 유니트 및 업 유니트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클러치 유니트가 상기 바늘을 상기 다운 유니트에 연결하면 상기 공통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바늘이 하강하고, 클러치 유니트가 상기 바늘을 상기 업 유니트에 연결하면 상기 공통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바늘이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시스 내부의 고정 위치를 유지하는 앵커 유니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 유니트는 상기 앵커 유니트를 기준점으로 삼아 상기 앵커 유니트에 대하여 상승되며, 상기 다운 유니트는 상기 앵커 유니트를 기준점으로 삼아 상기 앵커 유니트에 대하여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 수단은 바늘 또는 트랜스미터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구 부재는 시스 부재의 내부에서 이동하며 바늘 또는 트랜스미터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구동 수단은 하나의 단일 스프링인 공통 스프링일 수 있다. 공통 스프링은 양단이 압축 또는 복원되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스 부재의 상부에 마련된 동작 버튼 부재를 회전시키고 누르면, 시스 부재의 내부에 구비된 다운 유니트가 록킹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면서 공통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하강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가 자동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동작 버튼 부재의 회전 및 누름 동작에 의해 1차 자동 발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공통 스프링이 상승 방향 및 하강 방향 모두의 방향으로 압축된 제1 상태에있어서, 시스 부재의 내부에 고정된 앵커 유니트에 대하여 다운 유니트가 제1 다운 위치에서 고정되고 업 유니트도 제1 업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동작 버튼 부재를 누르거나 움직이면, 앵커 유니트에 대한 다운 유니트의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다운 유니트는 제1 다운 위치에서 제2 다운 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제2 다운 위치에서 트랜스미터 및 바늘은 하강된 위치에 있으며 바늘이 피부에 삽입되고 트랜스미터는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다운 위치 또는 제2 다운 위치에서, 압축된 공통 스프링의 상단부는 업 유니트에 의하여 정지 상태로 지지되고, 공통 스프링의 하단부는 다운 유니트를 밀어서 하강시킬 수 있다. 업 유니트 및 공통 스프링의 상단부를 정지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점은 앵커 유니트일 수 있다.
다운 유니트가 제2 다운 위치 또는 제2 다운 위치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에, 앵커 유니트에 대한 업 유니트의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업 유니트의 로킹 해제는 다운 유니트에 달린 탄성 돌출부 또는 탄성 오목부에 의할 수 있다. 로킹이 해제된 업 유니트는 제1 업 위치로부터 제2 업 위치로 상승될 수 있다. 업 유니트가 제2 업 위치를 향하여 상승하면 바늘이 피부로부터 이탈되며 바늘이 트랜스미터의 상부로 상승될 수 있다. 바늘의 내부에 수용된 센서는 트랜스미터에 장착된 상태이며, 트랜스미터는 피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센서는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바늘만 센서 또는 트랜스미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업 위치 또는 제2 업 위치에서, 압축된 공통 스프링의 하단부는 다운 유니트에 의하여 정지 상태 또는 정지하기 바로 직전의 상태로 지지되고, 공통 스프링의 상단부는 업 유니트를 밀어서 상승시킬 수 있다. 다운 유니트 및 공통 스프링의 하단부를 정지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점은 앵커 유니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운 유니트가 제2 다운 위치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에, 앵커 유니트에 대한 업 유니트의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공통 스프링의 하단부는 다운 유니트를 제2 다운 위치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 위치로부터 제2 다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공통 스프링의 상단부는 업 유니트를 제1 업 위치로부터 제2 업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비록 잠깐이지만 공통 스프링에 의하여 다운 유니트의 다운 운동과 업 유니트의 업 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순간이 있을 수 있다. 이는 다운 유니트가 제2 다운 위치에 도달한 후, 기구적 공차나 조립 오차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간 지연을 없애기 위함일 수 있다.
만약, 다운 유니트가 제2 다운 위치로 도달한 순간 시간 지연 등의 이유로 업 유니트의 상승이 즉각 이루어지지 않으면 바늘이 움직여 피부에 고통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다운 유니트가 제2 다운 위치로 완전히 하강한 순간에 업 유니트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공차 등이 발생해도 업 유니트의 상승 운동은 다운 유니트의 하강 완료와 동시에 또는 그보다 약간 전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구 설계되어 있다.
한편, 압축된 공통 스프링의 복원력에 저항하는 수단은 앵커 유니트일 수 있다. 다운 유니트 또는 업 유니트를 후크 등으로 앵커 유니트 또는 시스에 걸어두면 다운 유니트 또는 업 유니트를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다운 유니트의 후크 로킹을 해제하면 트랜스미터 및 바늘의 하강이 개시되고, 삽입 완료후 업 유니트의 후크 로킹을 해제하면 업 유니트의 상승이 개시되며 바늘을 상승시킬 수 있다.
클러치 유니트에는 바늘이 결합되며, 클러치 유니트는 처음에는 다운 유니트에 후크 등으로 물려서 다운 유니트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공통 스프링의 하단부는 다운 유니트를 밀고 공통 스프링의 상단부는 업 유니트에 걸려서 정지되어 있다. 다운 유니트의 하강시 클러치 유니트는 다운 유니트에 대하여 체결 상태이고 업 유니트에 대하여 프리 상태일 수 있다.
삽입 완료후 클러치 유니트와 다운 유니트의 물림이 해제되며 클러치 유니트는 업 유니트에 연결될 수 있다. 업 유니트가 상승하면 클러치 유니트는 바늘과 함께 상승할 수 있다. 공통 스프링의 상단부는 업 유니트를 밀고, 공통 스프링의 하단부는 다운 유니트에 걸려서 정지되어 있다. 업 유니트의 상승시 클러치 유니트는 업 유니트에 대하여 체결 상태이고, 다운 유니트에 대하여 프리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통 스프링은 상단부 및 하단부를 포함하는 양쪽으로 압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양방향으로 압축 또는 복원되는 공통 스프링은 Abbott 사의 손으로 삽입하고 상승시에만 사용하는 상승 스프링에 비하여 큰 스트로크를 가질 수 있으며, 동일한 코일 선경을 감아도 스트로크가 더 커서 많은 이동 변위와 많은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고, 자동 삽입 및 복귀가 가능한 획기적인 삽입기를 제공할 수 있다. 스트로크가 더 크면 스프링이 어딘가에 걸려서 오작동될 염려도 줄어든다.
한편, 삽입 스프링 및 복귀 스프링 2개를 사용하는 Dexcom 사의 삽입기에 비해서도, 스프링의 개수가 2개에서 1개로 줄어들고 스프링을 압축 또는 팽창시키는 기구 구조가 반으로 줄어들며, 스프링을 삽입기의 반경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는 데 따른 조립의 복잡성과 동작 불량 가능성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공통 스프링은 다운 유니트 및 업 유니트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공통 스프링이 이들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에 비하여 동일한 선경의 스프링이라도 스프링 전체의 직경을 키울 수 있으므로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어디에 걸려서 동작 불량되는 경우를 없앨 수 있다.
다운 유니트 및 업 유니트의 내부에 공통 스프링이 수납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양방향 팽창되는 공통 스프링의 직경에 비하여 길이가 너무 길어서 공통 스프링이 수납 공간안에서 좌굴(toggle)될 수 있다. 또한, 다운 유니트 및 업 유니트 중 보다 내부에 위치하는 유니트의 내부에 공통 스프링이 수납되어야 하므로 조립이 매우 복잡하고 스프링의 직경이 작아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공통 스프링을 실제로 기구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우며, 본 발명의 클러치 유니트가 가장 창안하기 어렵다. 단순히 기구적인 후크 결합에 의하여 특정 위치에서 다운 유니트에만 결합했다가 다른 특정 위치에서 업 유니트에만 결합하는 본 발명의 클러치 구조는 선행기술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로킹을 해제하는 후크 구조에도 참신성을 갖는다. 후크는 다운 유니트, 업 유니트, 클러치 유니트, 앵커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에 물려서 이들의 움직임을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후크의 돌출부 및 이에 맞물리는 홈은 다운 유니트, 업 유니트, 클러치 유니트, 앵커 유니트 중 하나 및 나머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운 유니트, 업 유니트, 클러치 유니트는 앵커 유니트에 대하여 시스의 높이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시스의 폭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된 후크의 돌출부가 다운 유니트, 업 유니트, 클러치 유니트 중 어느 하나에 맞물려 있을 때, 시스의 폭 방향을 따라 후크의 돌출부의 반대쪽 면은 다운 유니트, 업 유니트, 클러치 유니트, 앵커 유니트 중 하나에 형성된 블록 벽에 접촉될 수 있다. 블록 벽은 후크의 이동을 저지하므로 후크의 맞물림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후크의 돌출부는 걸림의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고, 후크의 돌출부의 반대쪽면은 블록 벽에 가로막혀서 걸림 해제를 다시 한번 차단하는 이중적 로킹 기능을 할 수 있다.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가 피부안에 삽입된 다음에, 하강한 다운 유니트에 의해 시스 부재의 내부에 고정된 앵커 유니트로부터 업 유니트의 록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공통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다운 유니트의 중앙에 구비된 앵커 유니트와 함께 업 유니트는 앵커 유니트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업 유니트의 상승 동작에 따른 클러치 유니트의 상승에 의해 클러치 유니트와 결합된 바늘 조립체가 업 유니트와 동시에 상승되어서 전기 화학적 센서는 피부안에 그대로 삽입된 상태에서 바늘 조립체만 외부로 빠져 나오고 트랜스미터로부터 이탈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의 삽입 및 바늘의 분리 동작을 공통 스프링 1개로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바늘 조립체가 분리된 후에는 시스 부재를 피부로부터 분리하면 트랜스미터는 피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 부재의 상부에 마련된 동작 버튼 부재는 사용전에는 누르더라도 눌리지 않기 때문에 오작동에 의해 바늘 조립체가 하강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반드시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수동으로 눌러야만 다운 유니트가 하부로 자동 발사되어서 바늘 조립체의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가 피부안에 삽입되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통 스프링에 의해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가 피부안에 삽입되는 1차 동작과, 바늘을 분리하는 2차 동작 구현시, 시스 부재 내부에 마련된 앵커 유니트를 고정 수단으로 삼아, 업 유니트, 다운 유니트가 정 반대 방향으로 흔들림없이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늘 조립체를 업 유니트에 연결하여 상승시키거나, 바늘 조립체를 다운 유니트에 연결하여 하강시키는 수단은 클러치 유니트일 수 있다.
클러치 유니트는 바늘 조립체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승시에는 업 유니트에 연결되고, 하강시에는 다운 유니트에 연결될 수 있다. 클러치 유니트의 연결 절환 동작은 전기 스위치나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돌출부와 오목부의 탄성 결합에 의하는 것이 장점이다.
종래에 미국의 Abbott 사는 손으로 시스를 하강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바늘을 삽입하고, 복귀 공통 스프링의 상승력에 의하여 바늘을 상승시키는 구조였다. 이러한 경우 손으로 누를때 바늘 삽입에 필요한 힘과 타이밍을 얻기 위하여 시스 내부에 복잡한 캠 및 슬라이드 캠 형상을 만들어야 하므로, 플라스틱 몰드로 제작시 금형의 정밀도 유지가 캠 동작 타이밍의 불량 요인을 좌우할 정도인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아무래도 손으로 바늘을 삽입하는 경우 환자는 자신이 스스로 바늘을 삽입하기 때문에 공포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자칫 공포감에 손을 놓치는 경우 바늘이 제대로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가 번번이 공포심을 느끼면서 장치를 사용하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종래에 미국의 Dexcom 및 한국의 아이센스 사는 바늘의 하강시에 제1 공통 스프링을 사용하고, 바늘의 상승시에 제2 공통 스프링을 사용하는 삽입기를 채용한다. 이 경우에는 자동 삽입 및 자동 복귀가 장점이기는 하지만, 두 개의 공통 스프링이 동작되기 위한 내부 구조물이 많이 필요하고, 삽입기의 조립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과연 자동 삽입 및 자동 복귀를 위하여 굳이 2개의 공통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공학적 측면에서 최적설계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가능하면 부재를 최소화하면서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발명일진대, 본 발명은 하나의 공통 스프링을 사용하여 이 모든 동작을 수행하는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을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 부재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의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의 인너 동작 버튼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너 동작 버튼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운 유니트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발명의 시스 부재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업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 부재의 내부에 고정되는 앵커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를 색상으로 구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밀봉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를 색상으로 구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서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를 회전시키고 누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를 색상으로 구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서 어셈블리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하강하여 바늘을 피부에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단면도를 색상으로 구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에서 앵커 유니트가 업 유니트로부터 록킹 해제되어 업 유니트, 트랜스미터 하우징 및 바늘 조립체가 공통 스프링에 의해 상승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단면도를 색상으로 구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 화학적 센서(400)가 간질액(interstitial fluid) 또는 혈중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CGMS,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에 이용되는 경우를 일 실시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속식 혈당기는 체내 포도당 농도의 측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바이오 마커 측정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에 확장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1)는 시스 부재(100), 시스 부재(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동작 버튼 부재(200), 시스 부재(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밀봉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 부재(100)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고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스 부재(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110), 바디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20)은 바디부(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120)은 바디부(110)의 상단과 높이차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차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동작 버튼 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판(120)에는 중앙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121), 제1 관통공(121)의 주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제2 관통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공(121)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삽입홈(12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공(122)의 사이에는 업 유니트(500)의 걸림 부재(54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120)에는 제2 관통공(12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제3 관통공(124)가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120)의 저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록킹 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다. 록킹 돌기(125)는 후술하는 어셈블리를 록킹할 수 있고, 동작 버튼 부재(200)의 동작으로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서 공통 스프링(560)의 반발력에 의해 다운 유니트(400)와 클러치 유니트(800)를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서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판(120)의 저면에는 훅크 부재(126)가 돌출될 수 있다. 훅크 부재(126)는 업 유니트(500)의 상승후 록킹시켜서 업 유니트(500)가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어셈블리는 다운 유니트(400), 업 유니트(500), 공통 스프링(560), 클러치 유니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버튼 부재(200)는 별도로 마련되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1개의 부재는 외부에 배치되는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 나머지 1개의 부재는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외면에는 아웃터 동작 버튼(2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핸들(211)의 주변은 사용자가 파지하고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움푹 들어간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저면에는 중심에 가까운 안쪽 위치에 형성되는 훅크 돌기(212), 훅크 돌기(212)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213)를 포함할 수 있다. 훅크 돌기(212)와 가이드 돌기(213)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이드 홈(221)이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는 관통공(22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21)에는 가이드 돌기(213)의 걸림 돌기(213a)가 삽입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22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관통공(222)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과공(223)이 형성되고, 통과공(223)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개구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통과공(22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크 돌기(225)가 절곡되도록 통과되는 구멍일 수 있고, 개구부(224)는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가이드 돌기(213)가 회전 이동될 때, 탄성 변형이 일어나서 가이드 돌기(213)의 회전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가이드 돌기(213)에 형성된 걸림 돌기(213a)는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의 가이드 홈(221)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221a)중 하나의 걸림홈(221a)에서 다음 위치의 걸림홈(221a)으로 이동되어 걸림될 수 있다.
따라서,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회전 동작시 제1 위치의 걸림홈(221a)에 걸림 상태로 있다가 제2 위치의 걸림홈(221a)으로 회전이동하여 걸림되므로 회전 동작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의 저면에는 관통공(222)에 가까운 위치에 훅크 돌기(225)가 형성되고, 훅크 돌기(225)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록킹 해제 돌기(226)가 형성될 수 있다.
훅크 돌기(225)와 록킹 해제 돌기(224)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훅크 돌기(225)는 시스 부재(110)의 고정판(120)에 형성된 제1 관통공(121)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121a)에 삽입될 수 있다.
록킹 해제 돌기(226)는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의 저면으로부터 끝단부로 갈 수록 폭이 좁아져서 뾰족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록킹 해제 돌기(226)는 시스 부재(100)의 고정판(120)에 형성된 제2 관통공(122)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밀봉 부재(300)는 시스 부재(10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고,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늘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3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는 트랜스미터를 홀딩하는 다운 유니트(40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운 유니트(400)에는 트랜스미터와 바늘 조립체가 구비될 수 있다.
다운 유니트(400)에는 베이스 부재(410)를 포함하고, 베이스 부재(410)의 중심 위치에는 바늘 조립체가 관통되는 관통공(411)이 형성되며, 관통공(411)의 주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훅크 부재(420)가 복수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훅크 부재(420)의 둘레는 가이드 벽(430)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벽(430)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 부재(44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부재(440)는 소정 높이로 돌출될 수 있고, 높이 방향을 따라 장공 구조의 걸림공(441)이 형성될 수 있다.
훅크 부재(42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부재(440)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가이드 부재(450)가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50)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 부재(440)와 대면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는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업 유니트(500)가 마련될 수 있다. 업 유니트(500)는 곡면을 이루는 측벽(510), 측벽(5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면부(520)를 포함하고, 상면부(520)의 중앙에는 가이드 관(530)이 돌출될 수 있으며, 가이드 관(530)의 주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공(52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521)은 제1 삽입공(521a)과 제2 삽입공(52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공(521a)은 제2 삽입공(521b)에 비해 원주 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공(521a)에는 다운 유니트(400)의 걸림 부재(440)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고, 제2 삽입공(521b)에는 업 유니트(500)가 상승후 시스 부재(100)의 고정판(120) 저면에 돌출된 록킹 돌기(125)가 삽입될 수 있다.
측벽(51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오목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511)에는 다운 유니트(400)의 가이드 부재(450)가 대면될 수 있고, 업 유니트(500)의 상승시 오목부(511)가 가이드 부재(450)와 대면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므로,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상승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측벽(510)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경사면(512)이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고, 측벽(510)의 외주면에는 업 유니트(500)의 이동시 가이드해주는 가이드 홈(513)이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관(530)에는 관통공(531)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공(531)의 양측에는 걸림홈(532)이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삽입공(521)의 사이에는 걸림 부재(540)가 돌출될 수 있다. 걸림 부재(540)에는 걸림공(541)이 형성되어서 업 유니트(500)의 상승후 시스 부재(100)의 고정판(120)의 저면에 형성된 훅크 부재(126)에 걸림되어 요동하지 않고 록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업 유니트(500)의 내부에는 지지관(550)이 형성되고, 지지관(550)의 외주면에는 공통 스프링(56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관(550)의 내부에는 바늘 조립체(700)와 결합되고, 업 유니트(500)의 가이드 관(530)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클러치 유니트(8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관(550)의 안쪽에 대면되는 다운 유니트(400)의 훅크 부재(420)는 중심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일 수 있고, 업 유니트(500)의 상승시 지지관(550)이 훅크 부재(420)로부터 벗어나므로 가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다운 유니트(400)의 베이스 부재(410)의 하부에는 트랜스미터(460)가 구비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46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침습되는 전기 화학적 센서(461), 통신부, 배터리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460)는 전기 화학적 센서(461)에서 측정된 신호를 제어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측정된 혈당 수치를 모바일 폰을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는 피부에 부착된 트랜스미터(460)와 별도로 마련되고, 트랜스미터(460)로부터 무선으로 전기 화학적 센서(461)의 측정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글루코스(glucose), 락테이트(lactate)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 마커(biomarker)에 대한 전기 화학적 센서(461)의 측정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진단할 수 있다.
트랜스미터(460)는 하부 뚜껑 및 상부 뚜껑에 해당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460)의 내부 공간에는 메인 기판이 안착될 수 있다.
메인 기판에는 전기 화학적 센서의 끝단부에 해당하는 원위부의 포도당 농도 측정을 위해 필요한 배터리 등의 전원부,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 전기 화학적 센서(461)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제어하고 무선으로 외부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연산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는 작동 전극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전기 화학적 센서의 원위부에서 측정된 분석물의 신호는 연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미터(460)에는 바늘 조립체(700)가 관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늘 조립체(700)는 센서(461)를 피부안에 삽입시키도록 가이드해주는 바늘(710), 바늘(7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늘 홀더(72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 유니트(800)는 업 유니트(500)의 가이드 관(530)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지지관(810), 지지관(8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관(820), 걸림관(820)의 내부에 마련되고 바늘 홀더(720)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부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관(810)의 단부에는 클러치 유니트(800)의 하강시 업 유니트(500)의 걸림홈(532)에 걸림되는 걸림 돌기(81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관(820)의 상부측에는 다운 유니트(400)의 경사면(821)이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부재(830)는 바늘 홀더(720)의 상단부가 끼워져서 가압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걸림관(820)은 다운 유니트(400)의 훅크 부재(420)에 의해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공통 스프링(560)의 반발력에 의해 훅크 부재(420)에 의한 걸림력을 이기고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는 앵커 유니트(600)가 고정되게 마련될 수 있다.
앵커 유니트(600)는 지지판(610), 지지판(610)에 형성되는 삽입공(611), 삽입공(611)의 가장 자리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압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610)은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610)은 다운 유니트(400)와 업 유니트(50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 부재(620)는 삽입공(6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안쪽면에는 각각 제1 걸림 돌기(621)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압 부재(620)는 각각 가압면(622)이 형성되고, 가압면(622)의 바깥쪽에는 제2 걸림 돌기(623)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610)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 돌기(630)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610)에는 다운 유니트(400)의 가이드 부재(450)가 관통되게 삽입되고, 다운 유니트(400)의 이동시 가이드해주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공(612)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공(612)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시스 부재(100)의 바디부(110) 내측면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61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앵커 유니트(600)는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버튼 부재에 의한 제1 동작 모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1)는 밀봉 부재(300)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혈당 체크를 위해 피부에 전기 화학적 센서를 삽입한 상태에서 트랜스미터(460)를 착용할 수 있다.
이때, 밀봉 부재(300)를 시스 부재(100)의 하단부에서 분리하면, 바늘 조립체(700)의 바늘(710)이 밀봉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바늘(710)은 미리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서, 시스 부재(100)의 바디부(110)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동작 버튼 부재(200)를 조작하여 바늘 조립체(700)를 하강시켜서 사용자의 피부에 바늘(71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61)를 삽입할 수 있다.
동작 버튼 부재(200)는 시스 부재(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와 그 내부에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최초 상태에서는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를 누르더라도 눌리지 않을 수 있다.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를 누르는 경우, 그 아래에 배치된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가 하강되어야 하지만,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저면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213)는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의 가이드 홈(221)의 일측에서 관통되어 시스 부재(100)의 고정판(120)에 대면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는 하강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된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핸들(211)을 잡고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13)는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의 가이드 홈(221)을 따라 소정 각도(예를 들어 30도) 회전 이동할 수 있고, 훅크 돌기(212)도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의 관통공(222) 내측면을 따라 회전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의 가이드 돌기(213)는 회전 이동하여 고정판(120)의 최외곽에 형성된 제3 관통공(124)과 만나게 되고, 이 순간에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를 누르면, 가이드 돌기(213)는 제3 관통공(124)을 통해 시스 부재(10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210)가 하강함에 따라, 그 아래에 배치된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도 눌려져서 동시에 하강할 수 있다.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의 저면의 최외곽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록킹 해제 돌기(226)가 돌출되어 있고,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가 하강함에 따라 록킹 해제 돌기(226)는 시스 부재(100)의 고정판(120) 저면에 형성된 록킹 돌기(125)와 다운 유니트(400)의 걸림 부재(440)의 걸림공(441) 상단에 걸린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록킹 돌기(124)는 걸림 부재(440)의 걸림공(441)의 상단에 걸림된 상태로서, 록킹 해제 돌기(226)는 그 사이로 파고들어가면서 록킹 돌기(125)를 걸림 부재(4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록킹 돌기(125)는 걸림 부재(440)의 걸림공(441)으로부터 이탈되어 걸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록킹 해제 돌기(226)는 하단부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인너 버튼 부재(220)가 하강하면, 록킹 해제 돌기(226)는 하강하면서 록킹 돌기(125)와 걸림 부재(440) 사이로 진입하면서 록킹 돌기(125)를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동작을 1차 록킹 해제 동작이라고 할 수 있고, 1차 록킹 해제 동작에 의해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1차 록킹 해제에 의한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를 삽입하는 제2 동작 모드]
동작 버튼 부재(200)의 조작에 의해 어셈블리가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서 1차 록킹 해제 상태가 되면서 하강할 수 있다.
1차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 다운 유니트(400)에 연결된 공통 스프링(560)의 반발력에 의해 어셈블리는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서 하강하여 시스 부재(100)의 하단부에 도달할 수 있다.
공통 스프링(560)은 압축되어 다운 유니트(400)와 업 유니트(500)의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서, 1차 록킹 해제 상태가 되면, 압축되어 있던 공통 스프링(560)의 반발력에 의해 다운 유니트(400)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통 스프링(560)은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반발력에 의해 다운 유니트(400)를 하부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할 수 있고, 또한 업 유니트(500)를 상부 방향으로 미는 힘으로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
이때, 다운 유니트(400)는 시스 부재(100)의 고정판(120) 저면에 형성된 록킹 돌기(125)에 걸림 부재(440)의 걸림공(441)이 걸림되어 하강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업 유니트(500)는 상승되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고정된 상태의 앵커 유니트(600)에 형성된 제2 걸림 돌기(623)가 업 유니트(500)의 측벽(510) 내측으로 돌출된 경사면(512)에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승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앵커 유니트(600)의 제2 걸림 돌기(623)는 그 안쪽에 다운 유니트(400)의 가이드 벽(430)이 삽입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되므로, 제2 걸림 돌기(623)는 밀려서 업 유니트(500)의 경사면(51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앵커 유니트(600)의 제2 걸림 돌기(623)는 가압 부재(620)의 가압면(622) 외측에 돌출되어 있고, 가압면(622)은 가압 부재(620)로부터 자유단으로 형성된 구조로서 탄성을 가지고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620)의 삽입공(611)에 다운 유니트(4000의 가이드 벽(430)이 삽입되면, 자유단의 가압면(622)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고, 따라서, 다운 유니트(4000의 가이드 벽(430)이 없다면, 가압면(622)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처럼, 고정된 상태의 다운 유니트(400)와 업 유니트(500)에 대하여, 1차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 공통 스프링(560)의 반발력에 의해 다운 유니트(400)가 하강하고, 다운 유니트(400)의 하강에 따라 다운 유니트(400)의 가운데에 클램핑된 클러치 유니트(800)도 동시에 하강할 수 있다.
하강하는 클러치 유니트(800)에 형성된 지지관(8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811)가 업 유니트(500)의 가운데에 형성된 가이드 관(530)의 걸림홈(532)에 접촉하면서 걸림이 이루어지면 다운 유니트(400)의 하강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클러치 유니트(800)가 업 유니트(500)와 접촉되는 것은 업 유니트(500)의 상승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클러치 유니트(800)가 업 유니트(500)의 연결은 다운 유니트(400)의 하강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다운 유니트(400)와 클러치 유니트(800)의 연결을 해제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최초 조립된 상태(상승된 상태)에서 다운 유니트(400)가 공통 스프링(560)의 반발력에 의해 하강하면, 클러치 유니트(800)도 동시에 하강하지만, 다운 유니트(400)의 하강 시간 동안에는 업 유니트(50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업 유니트(500)는 앵커 유니트(6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공통 스프링(560)의 반발력에 의해 상승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스프링(560)의 반발력에 의해 다운 유니트(400)와 클러치 유니트(800)만이 하강하고, 업 유니트(600)는 하강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다운 유니트(400)와 클러치 유니트(800)가 하강하여 정지된 상태가 되면, 다운 유니트(400)의 하부에 구비된 트랜스미터(460)는 사용자의 피부(S)에 대면되고, 그에 따라 바늘 조립체(700)의 바늘(710)이 전기 화학적 센서(461)를 가이드하여 피부(S)안으로 삽입할 수 있다.
다운 유니트(400)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운 유니트(400)가 하강하여 정지된 상태가 되면, 다운 유니트(400)의 걸림 부재(440)는 하강하면서 앵커 유니트(600)의 가압 부재(620) 안쪽면에 돌출된 제1 걸림 돌기(621)와 걸림공(441)의 상단에 만나면서 걸림 상태가 되어 정지될 수 있다.
다운 유니트(400)의 하강하여 정지하면, 가이드 벽(430)은 앵커 유니트(600)의 가압면(622)과의 대면된 상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면(622)은 바깥쪽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삽입된 바늘을 분리하는 제3 동작 모드]
바늘(71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61)를 피부안에 삽입한 상태에서, 바늘(710)만을 피부안에서 밖으로 분리하는 분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운 유니트(400)의 하강으로 바늘(710)이 피부안에 삽입된 후, 전기 화학적 센서(461)만을 남겨둔채 바늘(710)을 피부안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다운 유니트(400)가 시스 부재(100)의 내부에서 완전히 하강하여 피부에 대면된 상태가 아닌 시점에 바늘(710)의 분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앵커 유니트(600)의 제2 걸림 돌기(623)가 업 유니트(500)의 경사면(512)에 걸림된 상태가 다운 유니트(400)의 가이드 벽(430)의 하강으로 해제되는 순간, 바늘(710)의 분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앵커 유니트(600)의 제2 걸림 돌기(623)가 업 유니트(500)의 경사면(512)에 걸림된 상태가 다운 유니트(400)의 가이드 벽(430)의 하강으로 해제되는 순간은 이미 바늘(710)이 피부안에 전기 화학적 센서(461)와 함께 삽입된 상태이고, 다운 유니트(400)가 완전히 하강하기 직전 상태일 수 있다.
바늘(710)의 분리가 시작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바늘(710)이 삽입된 시간을 최대한 줄여줄 수 있어 바늘(710) 삽입에 따른 통증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시스 부재(100)의 바디부(110) 하단부와 다운 유니트(400)의 하단부와의 제1 간격을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다운 유니트(400)의 하강시, 화살표에 의한 제1 간격만큼 도달한 상태일 때, 제1 걸림 돌기(621)와 걸림 부재(440)와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은 제2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일 수 있고, 이 상태일때, 피부안에 삽입된 바늘(710)은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간격만큼 다운 유니트(400)가 하강 동작을 완료할 때, 바늘(710)은 이미 피부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할 수 있다.
공통 스프링(560)은 계속해서 반발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운 유니트(400)를 더 이상 하강시키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따라서, 반대로 다운 유니트(400)는 하강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클러치 유니트(800) 및 업 유니트(500)를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다운 유니트(400)는 정지된 상태에서, 공통 스프링(560)의 반발력에 의해 업 유니트(500)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힘이 작용하고, 그러면, 업 유니트(500)의 경사면(512)에 대면되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앵커 유니트(600)의 제2 걸림 돌기(623)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업 유니트(500)는 제2 걸림 돌기(623)와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면서 상승할 수 있다.
업 유니트(500)는 상승시, 가이드 관(530)의 관통공(531)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클러치 유니트(800)의 지지관(8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811)는 가이드 관(530)의 걸림홈(532)에 걸림된 상태이므로, 업 유니트(500)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 클러치 유니트(800)도 걸림된 상태로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클러치 유니트(800)가 업 유니트(500)에 의해 상부로 상승할 때, 클러치 유니트(800)의 걸림관(820)은 다운 유니트(400)의 훅크 부재(420)에 의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걸림 상태를 이기고 클러치 유니트(800)는 상승할 수 있다. 즉, 탄성을 가지는 훅크 부재(420)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벌리면서 클러치 유니트(800)는 상승할 수 있고, 이때 클러치 유니트(800)의 걸림관(820)의 내부에 형성된 클램핑 부재(830)에 의해 클램핑된 바늘 홀더(720)가 동시에 상승할 수 있다.
바늘 홀더(720)가 상승함에 따라 바늘 홀더(720)에 결합된 바늘(710)도 동시에 상승하면서, 피부안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고, 더 나아가 트랜스미터(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업 유니트(500)는 상승하면, 가이드 관(530)의 상단부가 시스 부재(100)의 고정판(120) 저면에 대면되면 상승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하강 한 상태의 동작 버튼 부재(200)는 벌어져 있던 록킹 돌기(125)의 복귀로 인해 인너 동작 버튼 부재(220)의 록킹 해제 돌기(226)가 상부 방향으로 밀려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상승될 수 있다.
바늘(710)을 피부로부터 분리한 다음, 시스 부재(100)를 피부로부터 분리하면, 트랜스미터(400)는 피부에 부착된 상태가 되고, 분리된 시스 부재(100)는 내부에 어셈블리가 구비된 상태에서 폐기 처분할 수 있다.
1...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100... 시스 부재 110... 바디부
120... 고정판 121... 제1 관통공
121a... 삽입홈 122... 제2 관통공
123...지지공 124... 제3 관통공
125… 록킹 돌기 126... 훅크 부재
200... 동작 버튼 부재 210... 아웃터 동작 버튼 부재
211... 핸들 212... 훅크 돌기
213... 가이드 돌기 213a... 걸림 돌기
220... 인너 동작 버튼 부재 221... 가이드 홈2
221a... 걸림홈
222... 관통공 223... 제1 삽입공
224… 제2 삽입공
225... 훅크 돌기 226... 록킹 해제 돌기
300... 밀봉 부재 310... 지지 부재
400... 다운 유니트 410... 베이스 부재
411... 관통공
420... 훅크 부재 430... 가이드 벽
440... 걸림 부재 441... 걸림공
450... 가이드 부재 460... 트랜스미터
461... 전기 화학적 센서
500... 업 유니트 510... 측벽
511... 오목부 512… 경사면
513... 가이드 홈
520... 상면부 ` 521... 삽입공
521a... 제1 삽입공 521b... 제2 삽입공
530... 가이드 관 531... 관통공
532... 걸림홈 540... 걸림 부재
541... 걸림공
550...지지관 560...공통 스프링
600...앵커 유니트 610...지지판
611... 삽입공 612...결합공
613...결합홈 620...가압 부재
621...제1 걸림 돌기 622...가압면
623...제2 걸림 돌기 630... 지지 돌기
700... 바늘 조립체 710... 바늘
720... 바늘 홀더
800... 앵커 유니트 810... 지지관
811...걸림 돌기 820...걸림관
821...경사면 830...클램핑 부재

Claims (5)

  1. 피부에 접촉되는 시스 부재;
    상기 시스 부재의 내부에 수납되는 바늘;
    상기 시스 부재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업 유니트 및 다운 유니트;
    상기 업 유니트 및 다운 유니트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 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바늘이 하강하며 피부에 삽입되고,
    상기 업 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바늘이 상승하며 피부로부터 분리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의 하강시 상기 바늘을 상기 다운 유니트에 연결하고, 상기 바늘의 상승시 상기 바늘을 상기 업 유니트에 연결하는 클러치 유니트; 를 포함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시스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통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이며, 상기 바늘의 상승시에 상기 업 유니트에 상승력을 작용하고 상기 바늘의 하강시에 상기 다운 유니트에 하강력을 제공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시스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통 스프링을 포함하고,
    압축된 상기 공통 스프링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다운 유니트 및 업 유니트에 각각 접촉되며,
    클러치 유니트가 상기 바늘을 상기 다운 유니트에 연결하면 상기 공통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바늘이 하강하고,
    클러치 유니트가 상기 바늘을 상기 업 유니트에 연결하면 상기 공통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바늘이 상승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 내부의 고정 위치를 유지하는 앵커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업 유니트는 상기 앵커 유니트를 기준점으로 삼아 상기 앵커 유니트에 대하여 상승되며,
    상기 다운 유니트는 상기 앵커 유니트를 기준점으로 삼아 상기 앵커 유니트에 대하여 하강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KR1020220181178A 2022-12-21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KR20240098958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8958A true KR20240098958A (ko) 2024-06-2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5019B2 (en) Blood sampling device
CN110720930B (zh) 助针器以及包括助针器的医疗系统
US8211036B2 (en) Disposable lancet device cap with integral lancet and/or test strip and testing device utilizing the cap
CN213758240U (zh) 医疗系统
CN110064098B (zh) 用于将传感器经皮引入患者体内的注射器
US20050096686A1 (en) Lancing device with trigger mechanism for penetration depth control
US11832937B2 (en) Injector for transcutaneously introducing a sensor into a patient
CN113456066B (zh) 一种经皮分析物传感器插入装置
KR20240098958A (ko)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KR20240098960A (ko)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KR20240098957A (ko)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EP2780703B1 (en) Test strip connector with reliable insertion and ejection
KR20240098959A (ko)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CN218852787U (zh) 一种准确定位且方便植入的生物传感器助针装置
CN216455004U (zh) 一种植入性生物传感器植入器
JP4997246B2 (ja) 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
WO2024077771A1 (zh) 一种生物传感器辅助植入装置
KR102595237B1 (ko)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TWM546204U (zh) 採血裝置之針刺深度調整結構
CN114451889B (zh) 一种经皮分析物传感器插入装置
KR20240107624A (ko)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40107623A (ko)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CN215227934U (zh) 植入工具的脱扣结构及植入工具
KR20240035173A (ko) 록킹부를 구비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KR20230146278A (ko)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