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8658A -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8658A
KR20240098658A KR1020220180618A KR20220180618A KR20240098658A KR 20240098658 A KR20240098658 A KR 20240098658A KR 1020220180618 A KR1020220180618 A KR 1020220180618A KR 20220180618 A KR20220180618 A KR 20220180618A KR 20240098658 A KR20240098658 A KR 20240098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isson
coupling member
block
neighb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선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8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98658A/ko
Publication of KR2024009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8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2Caissons able to be floated on water and to be lowered into water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 개의 케이슨(100); 및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슨(1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각각 설치되되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평면에 수직 투영한 경우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설치되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포함하는 해양구조물(10)을 제공한다. 각각의 상기 케이블(300)은, 각각의 케이블(300)이 설치된 상기 케이슨(1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에 설치되는 이웃하는 상기 케이블(3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케이슨(100)에 파력에 가해지더라도 케이슨(100)에 설치된 케이블(300)이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이웃하는 케이블(300)에 연결되어서 케이슨(1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해양구조물(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MARIN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슨 또는 상치블록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억제되어서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 안벽 등의 해양구조물은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을 저지하여 항내가 정온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구조물이다.
방파제, 안벽 등의 해양구조물은 케이슨 및 케이슨 상에 타설되어서 케이슨 상에 형성되는 상치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방파제, 안벽 등의 해양구조물의 케이슨은 자중으로 파랑의 수평력을 견뎌야 한다. 그런데 파랑은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며, 어느 하나의 케이슨에 파랑의 수평력이 집중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케이슨에 수평력이 집중되는 때를 상정하여 케이슨을 설계하면 케이슨의 자중이 크게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는 비용의 증가와 시공성의 악화로 이어진다.
이에 종래에는 이웃하는 두 케이슨 사이에 콘크리트 블록을 끼워서 이웃하는 케이슨들을 인터록킹함으로써 케이슨에 작용하는 파랑의 수평력을 평준화해서 케이슨의 필요 하중을 낮추는 방안이 제시된다.
그러나, 두 케이슨 사이에 끼울 콘크리트 블록을 운반하고 양중해야 하며 콘크리트 블록이 끼워질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이웃하는 두 케이슨을 정확히 정렬시켜야 하므로 시공 난이도가 높다.
한편, 케이슨을 해저에 정거치한 후 케이슨 내부에 채움재가 채워지기 전에는 케이슨이 설계 하중을 발휘하지 못하여 파랑에 취약하다. 이에, 예상치 못한 파랑이 발생하면 채움재가 채워지지 않은 케이슨이 파도에 밀려 멀리 떠내려가는 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시공 중 케이슨이 파도에 의해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9609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슨 또는 상치블록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억제되어서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손상되지 않고 케이블의 결합 또는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 개의 케이슨(100)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슨(100) 상에 제1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 및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슨(1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기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각각 설치되되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평면에 수직 투영한 경우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설치되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한다.
각각의 상기 케이블(300)은, 각각의 케이블(300)이 설치된 상기 케이슨(1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에 설치되는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되거나, 각각의 케이블(300)이 설치된 상기 상치블록(2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되 외해보다 내해와 가까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상기 케이블(300)에 걸려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는 걸림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C)는 제1방향으로 일측, 중앙부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각각 상기 케이블(30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걸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C)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상기 호형상의 걸림부(C)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파력이 가해져서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C)가 상기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케이블(300)이 걸림부(C)의 상기 호형상의 표면을 따라 걸림부(C)의 상기 제1부위(C1)부터 상기 제3부위(C3)까지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1삽입관(130)을 내부에 구비하거나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2삽입관(230)을 내부에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걸림부(C)는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의해서 규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의해서 각각 규정될 수 있다.
파력이 가해져서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이 상기 케이블(300)에 걸려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1삽입관(130)을 내부에 구비하거나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2삽입관(230)을 내부에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관(1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삽입관(2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걸림부(C)는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의해서 규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의해서 각각 규정될 수 있다.
파력이 가해져서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이 상기 케이블(300)에 걸리고, 이 때에 케이블(300)이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상기 호형상의 내측 표면을 따라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부터 타측 단부까지 접하고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연속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키는 결합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결합부재(410) 및,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41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20)는 상기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20)가 상기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상기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41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고리(412)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결합부재(4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고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20)가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상기 제1고리(412)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1결합부재(410)가 상기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상기 제2고리(422)와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상기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410) 및 제2결합부재(420)는 각각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제1고리(412) 및 상기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고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제1고리(412) 및 제2고리(4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 또는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한 연결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20)는 상기 연결부재(430)를 통해서 상기 제1결합부재(410)와 결합되고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430)는 상기 케이블(300)의 장력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상기 제1삽입관(130)을 구비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을 제조하거나 내부에 상기 제2삽입관(230)을 구비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을 제조하되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아지도록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을 제조하는 제조단계(S100); 및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삽입하여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S200)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을 제조하는 제조단계(S100);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S200); 및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키는 케이블 연결단계(S300)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케이블 설치단계(S200)에서는, 상기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1결합부재(410)를 설치하고 제1방향의 타측에 이웃하여 설치될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상기 제2결합부재(420)를 설치하거나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이웃하여 설치될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2결합부재(420)를 설치한다.
상기 케이블 연결단계(S300)에서는, 상기 연결부재(430)를 상기 제1결합부재(410)의 상기 제1고리(412) 및 상기 제2결합부재(420)의 상기 제2고리(422)에 결합시키되 제1고리(412)의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 또는 제2고리(422)의 상기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양구조물이,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 개의 케이슨(100)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슨(100) 상에 제1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 및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슨(1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기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각각 설치되되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평면에 수직 투영한 경우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설치되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케이블(300)은, 각각의 케이블(300)이 설치된 상기 케이슨(1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에 설치되는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되거나, 각각의 케이블(300)이 설치된 상기 상치블록(2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에 가해지더라도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된 케이블(300)이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나 상치블록(200) 또는 이웃하는 케이블(300)에 연결되어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해양구조물(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케이슨(100)이나 상치블록(200) 또는 케이블(300)과 서로 결속시키면, 케이블(300)의 전단저항력과 인장력에 의해서 복수 개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연대하여 파력에 저항하게 되므로 파력이 집중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이동 또는 회전이 억제되고 해양구조물(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또는 상치블록(200)들이 케이블(300)로 결합/연결될 뿐 직접 결합하지 않으므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또는 상치블록(200)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해양구조물(10)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등침하에 대비하기 위해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또는 상치블록(200)들을 직접 결합시키지 않되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또는 상치블록(200)들이 맞물려서(인터록킹되어서) 파력에 함께 저항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의 내측 공간(예컨대, 오픈 셀)에 사석 등의 채움재(F)를 채워 넣은 경우에,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또는 상치블록(200)들이 케이블(300)을 통해서 결합/연결되므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에 채워진 사석 등의 채움재(F)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이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되 예컨대 수평면 상에서 복수 개의 케이슨(100)들 또는 상치블록(200)들이 나란히 설치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설치되므로 케이블(300)이 이웃하는 케이슨(100)이나 상치블록(200) 또는 케이블(300)과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력에 의해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는 경우에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상부가 하부보다 변위량이 크므로 케이블(300)이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파력에 의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되 외해보다 내해와 가까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력이 외해에서 내해 쪽으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작용하므로 케이블(300)이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외해 쪽에 설치된 경우보다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해 쪽에 설치된 경우에 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또는 인장응력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이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외해 쪽에 설치된 경우보다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해 쪽에 설치된 경우에 파력에 의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상기 케이블(300)에 걸려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는 걸림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C)는 제1방향으로 일측, 중앙부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각각 상기 케이블(30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걸림부(C)가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된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걸림부(C)의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걸림부(C)의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으므로 걸림부(C)가 케이블(300)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 뿐만 아니라 케이블(300)의 중앙부에도 확실하게 걸릴 수 있다. 이에, 걸림부(C)의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뿐만 아니라 제2부위(C2)도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확실하게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이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을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또는 가압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케이슨(100)과 해저면/기저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전단저항력 또는 인장력이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집중되지 않고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중앙부로 분배/분산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 및 걸림부(C)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300) 및 케이슨(100)이나 상치블록(20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C)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상기 호형상의 걸림부(C)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파력이 가해져서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C)가 상기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케이블(300)이 걸림부(C)의 상기 호형상의 표면을 따라 걸림부(C)의 상기 제1부위(C1)부터 상기 제3부위(C3)까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걸림부(C)가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된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걸림부(C)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고 케이블(300)이 걸림부(C)의 표면을 따라 제1부위(C1)부터 제3부위(C3)까지 접하므로, 걸림부(C)의 제1부위(C1)부터 제3부위(C3)까지의 모든 부위가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이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을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또는 가압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케이슨(100)과 해저면/기저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전단저항력 또는 인장력이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집중되지 않고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부터 타측 단부까지의 부위에 고르게 분배/분산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 및 걸림부(C)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300) 및 케이슨(100)이나 상치블록(20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1삽입관(130)을 내부에 구비하거나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2삽입관(230)을 내부에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걸림부(C)는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의해서 규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의해서 각각 규정될 수 있다. 파력이 가해져서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이 상기 케이블(300)에 걸려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300)이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삽입되어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안쪽에 설치되므로 케이블(300)이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은 걸림부(C)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1삽입관(130)을 내부에 구비하거나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2삽입관(230)을 내부에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관(1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삽입관(2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걸림부(C)는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의해서 규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의해서 각각 규정될 수 있다. 파력이 가해져서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이 상기 케이블(300)에 걸리고, 이 때에 케이블(300)이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상기 호형상의 내측 표면을 따라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부터 타측 단부까지 접하고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300)이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삽입되어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안쪽에 설치되고 케이블(300)이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호형상의 내측 표면을 따라 접하여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을 가압하므로 케이블(300)이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이루는 걸림부(C)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연속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 중에서 어느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집중되든지 무관하게 각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케이블(300)에 걸려서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에, 해양구조물(10)의 안정성,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키는 결합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결합부재(410) 및,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41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20)는 상기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20)가 상기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상기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으면서 케이블(300)이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과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케이블(300)에 의해서 억제될 수 있어서 해양구조물(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슨(100)들 또는 상치블록(200)들이 케이블(300)을 통해서 결합/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가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00)들이 서로 맞물려서(인터록킹되어서) 파력에 함께 저항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 공간(예컨대, 오픈 셀)에 채워 넣은 사석 등의 채움재(F)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부재(41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고리(412)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결합부재(4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고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20)가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상기 제1고리(412)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1결합부재(410)가 상기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상기 제2고리(422)와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상기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에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게 하고 케이블(300)의 결합 또는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결합수단(4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부재(410) 및 제2결합부재(420)는 각각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제1고리(412) 및 상기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고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제1고리(412) 및 제2고리(4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 또는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한 연결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20)는 상기 연결부재(430)를 통해서 상기 제1결합부재(410)와 결합되고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에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게 하고 케이블(300)의 결합 또는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결합수단(4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의 단부와 케이슨(100)이나 상치블록(200), 또는 한 쌍의 케이블(300)의 단부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미리 설치한 후에 나중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연결부재(430)로 체결함으로써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430)는 상기 케이블(300)의 장력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턴버클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중에서도 용이하게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의 장력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양구조물 시공방법이, 내부에 상기 제1삽입관(130)을 구비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을 제조하거나 내부에 상기 제2삽입관(230)을 구비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을 제조하되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아지도록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을 제조하는 제조단계(S100); 및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삽입하여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제1삽입관(130)/걸림부(C) 또는 제2삽입관(230)/걸림부(C)가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된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제1삽입관(130)/걸림부(C) 또는 제2삽입관(230)/걸림부(C)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제1부위(C1) 및 제1방향의 타측 단부/제3부위(C3)뿐만 아니라 제1방향의 중앙부/제2부위(C2)도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확실하게 가압될 수 있는 제1삽입관(130)/걸림부(C) 또는 제2삽입관(230)/걸림부(C)을 구비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양구조물 시공방법이,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을 제조하는 제조단계(S100);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S200); 및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키는 케이블 연결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설치단계(S200)에서는, 상기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1결합부재(410)를 설치하고 제1방향의 타측에 이웃하여 설치될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상기 제2결합부재(420)를 설치하거나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이웃하여 설치될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2결합부재(42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연결단계(S300)에서는, 상기 연결부재(430)를 상기 제1결합부재(410)의 상기 제1고리(412) 및 상기 제2결합부재(420)의 상기 제2고리(422)에 결합시키되 제1고리(412)의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 또는 제2고리(422)의 상기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300)의 단부와 케이슨(100)이나 상치블록(200) 또는 한 쌍의 케이블(300)의 단부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미리 설치한 후에 나중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연결부재(430)로 체결함으로써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고 케이블(300)의 결합 또는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해양구조물(1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해양구조물의 평면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및 결합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해양구조물의 제1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해양구조물의 평면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은 복수 개의 케이슨(100) 및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해양구조물(10)은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양구조물(10)은 한 개 이상의 결합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양구조물(10)은 방파제 또는 안벽 등일 수 있다.
이하, 해양구조물(1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케이슨]
복수 개의 케이슨(100)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예컨대,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케이슨(100)은 해저면 또는 기저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케이슨(100)은 직접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해저면 또는 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해양구조물(10)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케이슨(100)은 복수 개의 벽체들(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슨(10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방향(예컨대,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벽체(110)들과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벽체(1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슨(100)에는 복수 개의 벽체들(110, 120)에 의해서 복수 개의 셀들(S1, S2)이 규정될 수 있다. 각 셀들(S1, S2)은 채움재(F)가 채워지는 빈 공간(H)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슨(100)에는 제1벽체(110)들과 제2벽체(120)들에 의해서 복수 개의 폐쇄 셀(S1) 및 오픈 셀(S2)이 규정될 수 있다. 폐쇄 셀(S1)은 벽체들(110, 120)에 의해서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폐쇄된 셀일 수 있다. 오픈 셀(S2)은 벽체들(110, 120)에 의해서 제2방향으로 폐쇄되지만 제1방향의 일방(예컨대, 왼쪽) 또는 타방(예컨대, 오른쪽)으로 개방된 셀일 수 있다.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케이슨(100)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오픈 셀(S2)에 한 단위 또는 한 묶음의 채움재(F)가 채워질 수 있다(도 4). 이에, 부등침하에 대비하기 위해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케이슨(100)을 직접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케이슨(100)이 맞물려서(인터록킹되어서) 파력에 함께 저항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케이슨(1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는 후술하는 케이블(3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연속설치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이 때에,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8항//이에 따라,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중에서 어느 케이슨(100)에 파력이 집중되든지 무관하게 각 케이슨(1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케이블(300)에 걸려서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에, 해양구조물(10)의 안정성,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은 각각 걸림부(C)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C)는 제1방향으로 일측, 중앙부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각각 걸림부(C) 중에서 제1방향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일 수 있다. 제2부위(C2)는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 사이의 부위일 수 있다.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도 1).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2부위(C2)의 높이위치가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와 같을 수도 있다(도 2).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걸림부(C)는 후술하는 케이블(300)에 걸려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걸림부(C)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룰 수 있다(도 1).
전술한 걸림부(C)의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상기 호형상의 걸림부(C)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은 각각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1삽입관(130)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제1삽입관(130)은 시스(sheath)관일 수 있다.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높이위치가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와 같을 수도 있다(도 2).
상술한 걸림부(C)는 제1삽입관(130)에 의해서 규정될 수 있다. 이에,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제1삽입관(13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의해서 각각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제1삽입관(13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의 하측 내측면에 의해서 각각 규정될 수 있다.
6항//이에 따라,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은 걸림부(C)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 때에, 제1삽입관(1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룰 수 있다.
7항//이에 따라,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이루는 걸림부(C)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치블록]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은 복수 개의 케이슨(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슨(100)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케이슨(100) 상에 상치블록(20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에서는 상치블록(200)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에서는 상치블록(200)이 필수적 구성이므로 생략될 수 없다.
[케이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은 복수 개의 케이슨(1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케이블(300)은 예를 들면 강연선일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은, 도면과 같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면과 달리 일체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결합수단(400)을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반면에,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 각각은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포함하는 단일한 케이블의 서로 다른 일부분일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300)을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400)이 불필요할 수 있다.
각 케이블(300)은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예컨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평면(예컨대, 수평면)에 수직 투영한 경우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설치될 수 있다(도 3, 도 4).
각각의 케이블(300)은, 각각의 케이블(300)이 설치된 케이슨(1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에 설치되는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케이블(300)은 도면과 달리 이웃하는 케이슨(1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1항//이에 따라, 케이슨(100)에 파력에 가해지더라도 케이슨(100)에 설치된 케이블(300)이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이웃하는 케이블(300)에 연결되어서 케이슨(1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해양구조물(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케이블(300)과 서로 결속시키면, 케이블(300)의 전단저항력과 인장력에 의해서 복수 개의 케이슨(100)이 연대하여 파력에 저항하게 되므로 파력이 집중되는 케이슨(100)의 이동 또는 회전이 억제되고 해양구조물(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이 케이블(300)로 결합/연결될 뿐 직접 결합하지 않으므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해양구조물(10)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등침하에 대비하기 위해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을 직접 결합시키지 않되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이 맞물려서(인터록킹되어서) 파력에 함께 저항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의 내측 공간(예컨대, 오픈 셀)에 사석 등의 채움재(F)를 채워 넣은 경우에,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이 케이블(300)을 통해서 결합/연결되므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에 채워진 사석 등의 채움재(F)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이 케이슨(100)에 설치되되 예컨대 수평면 상에서 복수 개의 케이슨(100)들이 나란히 설치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설치되므로 케이블(300)이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케이블(300)과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케이슨(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도 1, 도 2).
2항//이에 따라, 파력에 의해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하는 경우에 케이슨(100)의 상부가 하부보다 변위량이 크므로 케이블(300)이 케이슨(10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파력에 의한 케이슨(100)의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케이슨(100)에 설치되되 외해보다 내해와 가까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슨(100)에 설치되되 제2방향의 일측(예컨대, 전측) 및 타측(예컨대, 후측)에 설치된 도 6의 양쪽 케이블(300) 중에서 제2방향의 타측(예컨대, 후측)에 설치된 케이블(300)과 같이, 케이블(300)이 외해보다 내해와 가까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3항//이에 따라, 파력이 외해에서 내해 쪽으로 케이슨(100)에 작용하므로 케이블(300)이 케이슨(100)의 외해 쪽에 설치된 경우보다 케이슨(100)의 내해 쪽에 설치된 경우에 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또는 인장응력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이 케이슨(100)의 외해 쪽에 설치된 경우보다 케이슨(100)의 내해 쪽에 설치된 경우에 파력에 의한 케이슨(100)의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6의 상기 양쪽 케이블(300) 중에서 제2방향의 일측(예컨대, 전측)에 설치된 케이블(300)과 같이 케이블(300)이 내해보다 외해와 가까운 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슨(100)의 걸림부(C)가 케이블(300)에 걸릴 수 있다. 케이블(300)에 케이슨(100)의 걸림부(C)가 걸리면 걸림부(C)가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 때에, 걸림부(C)의 전술한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가 각각 케이블(30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걸릴 수 있다.
4항//이에 따라, 케이슨(1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의 걸림부(C)가 케이슨(100)에 설치된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걸림부(C)의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걸림부(C)의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으므로 걸림부(C)가 케이블(300)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 뿐만 아니라 케이블(300)의 중앙부에도 확실하게 걸릴 수 있다. 이에, 걸림부(C)의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뿐만 아니라 제2부위(C2)도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확실하게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이 케이슨(100)을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또는 가압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케이슨(100)과 해저면/기저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케이슨(1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슨(1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전단저항력 또는 인장력이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집중되지 않고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중앙부로 분배/분산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 및 걸림부(C)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300) 및 케이슨(10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C)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고 걸림부(C)의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가 제1방향으로 상기 호형상의 걸림부(C)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와 각각 대응하는 경우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걸림부(C)가 케이블(300)에 걸리면, 케이블(300)이 걸림부(C)의 호형상의 표면을 따라 걸림부(C)의 제1부위(C1)부터 상기 제3부위(C3)까지 접할 수 있다.
5항//이에 따라, 케이슨(1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의 걸림부(C)가 케이슨(100)에 설치된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걸림부(C)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고 케이블(300)이 걸림부(C)의 표면을 따라 제1부위(C1)부터 제3부위(C3)까지 접하므로, 걸림부(C)의 제1부위(C1)부터 제3부위(C3)까지의 모든 부위가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이 케이슨(100)을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또는 가압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케이슨(100)과 해저면/기저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케이슨(1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슨(1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전단저항력 또는 인장력이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집중되지 않고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부터 타측 단부까지의 부위에 고르게 분배/분산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 및 걸림부(C)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300) 및 케이슨(10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케이슨(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삽입관(1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은 케이슨(10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케이슨(10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제1삽입관(130)이 케이블(300)에 걸려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케이슨(1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6항//이에 따라, 케이블(300)이 제1삽입관(130)에 삽입되어서 케이슨(100)의 안쪽에 설치되므로 케이블(300)이 케이슨(1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슨(100)의 제1삽입관(130)이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제1삽입관(130)이 케이블(300)에 걸리고, 이 때에 케이블(300)이 제1삽입관(130)의 호형상의 내측 표면(예컨대, 하측 내측면)을 따라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부터 타측 단부까지 접하고 제1삽입관(13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케이슨(1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7항//이에 따라, 케이블(300)이 제1삽입관(130)에 삽입되어서 케이슨(100)의 안쪽에 설치되고 케이블(300)이 제1삽입관(130)의 호형상의 내측 표면을 따라 접하여서 케이슨(100)을 가압하므로 케이블(300)이 케이슨(1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결합수단]
결합수단(400)은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시키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다. 즉, 결합수단(400)은 도면과 달리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시킬 수도 있고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수단(400)이 불필요할 수 있다.
결합수단(400)은 제1결합부재(410) 및 제2결합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수단(400)은 연결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재(410)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예컨대, 오른쪽)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410)는 제1고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20)는 도면과 달리 제1결합부재(410)가 설치된 케이블(3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슨(100)에 설치되거나 도면과 같이 제1결합부재(410)가 설치된 케이블(3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예컨대, 왼쪽)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20)는 제1결합부재(4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20)는 제2고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30)는 제1고리(412) 및 제2고리(4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11항//이에 따라, 케이블(300)의 단부와 케이슨(100) 또는 한 쌍의 케이블(300)의 단부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미리 설치한 후에 나중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연결부재(430)로 체결함으로써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시키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연결부재(430)는 케이블(300)의 장력설정이 가능한 턴버클일 수 있다. 턴버클인 연결부재(430)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턴버클인 연결부재(430)는 몸체 및 한 쌍의 나사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는 양측 끝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나사막대에는 각각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나사막대의 수나사부가 몸체의 양쪽 암나사부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나사막대의 단부에는 제1고리(412) 및 제2고리(422)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측의 나사막대에 형성된 수나사부는 오른나사로 이루어지고 타측의 나사막대에 형성된 수나사부는 왼나사로 이루어져서 몸체를 회전시키면 양측의 나사막대가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질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의 장력설정이 가능하다.
12항//이에 따라, 턴버클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중에서도 용이하게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의 장력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연결부재(430)는 생략될 수 있다. 연결부재(430)가 생략된 경우에는 제1결합부재(410) 및 제2결합부재(420)는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및 결합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제2결합부재(420)는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할 수 있다. 이 때에,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9항//이에 따라,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으면서 케이블(300)이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슨(1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케이블(300)에 의해서 억제될 수 있어서 해양구조물(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슨(100)들이 케이블(300)을 통해서 결합/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가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00)들이 서로 맞물려서(인터록킹되어서) 파력에 함께 저항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 공간(예컨대, 오픈 셀)에 채워 넣은 사석 등의 채움재(F)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에, 제1결합부재(41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고리(412)를 포함하거나 제2결합부재(4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고리(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재(420)가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제1고리(412)와 결합되거나 제1결합부재(410)가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제2고리(422)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상기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10항//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에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게 하고 케이블(300)의 결합 또는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결합수단(4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1결합부재(410) 및 제2결합부재(420)는 각각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고리(412) 및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고리(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연결부재(430)는 제1고리(412) 및 제2고리(4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상하연장부위(VE1) 또는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할 수 있다. 이에, 제2결합부재(420)는 연결부재(430)를 통해서 제1결합부재(410)와 결합되고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할 수 있다.
11항//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에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게 하고 케이블(300)의 결합 또는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결합수단(4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의 단부와 케이슨(100) 또는 한 쌍의 케이블(300)의 단부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미리 설치한 후에 나중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연결부재(430)로 체결함으로써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시키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해양구조물의 제2실시예]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케이슨(100)과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 및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은 한 개 이상의 결합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치블록]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은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 개의 케이슨(100) 상에 제1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치블록(200)은 케이슨(100) 상에 타설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치블록(200)은 직접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해저면 또는 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해양구조물(10)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는 케이블(3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연속설치될 수 있다(도 8 및 도 9). 이 때에,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8 및 도 9).
이에 따라, 어느 케이슨(100) 또는 어느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집중되든지 무관하게 각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케이블(300)에 걸려서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에, 해양구조물(10)의 안정성,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걸림부(C)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C)는 제1방향으로 일측, 중앙부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각각 걸림부(C) 중에서 제1방향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일 수 있다. 제2부위(C2)는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 사이의 부위일 수 있다.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도 8).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2부위(C2)의 높이위치가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와 같을 수도 있다(도 9).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걸림부(C)는 케이블(300)에 걸려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걸림부(C)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룰 수 있다(도 9).
전술한 걸림부(C)의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상기 호형상의 걸림부(C)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2삽입관(230)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제2삽입관(230)은 시스(sheath)관일 수 있다.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높이위치가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와 같을 수도 있다(도 9).
상술한 걸림부(C)는 제2삽입관(230)에 의해서 규정될 수 있다. 이에,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제2삽입관(23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의해서 각각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제2삽입관(23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의 하측 내측면에 의해서 각각 규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은 걸림부(C)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 때에, 제2삽입관(2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이루는 걸림부(C)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케이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은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케이블(300)은 예를 들면 강연선일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은, 도면과 같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면과 달리 일체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합수단(400)을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9). 반면에,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 각각은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포함하는 단일한 케이블의 서로 다른 일부분일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300)을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400)이 불필요할 수 있다.
각 케이블(300)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평면에 수직 투영한 경우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케이블(300)은, 각각의 케이블(300)이 설치된 상치블록(2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케이블(300)은 도면과 달리 이웃하는 상치블록(2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8 및 도 9와 같이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에 가해지더라도 상치블록(200)에 설치된 케이블(300)이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 또는 이웃하는 케이블(300)에 연결되어서 케이슨(100) 및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해양구조물(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상치블록(200) 또는 케이블(300)과 서로 결속시키면, 케이블(300)의 전단저항력과 인장력에 의해서 복수 개의 케이슨(100) 및 상치블록(200)이 연대하여 파력에 저항하게 되므로 파력이 집중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이동 또는 회전이 억제되고 해양구조물(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들이 케이블(300)로 결합/연결될 뿐 직접 결합하지 않고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도 직접 결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및 이웃하는 상치블록(200)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해양구조물(10)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등침하에 대비하기 위해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및 서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들을 직접 결합시키지 않되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및 서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들이 맞물려서(인터록킹되어서) 파력에 함께 저항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 공간(예컨대, 오픈 셀)에 사석 등의 채움재(F)를 채워 넣은 경우에, 서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들이 케이블(300)을 통해서 결합/연결되므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에 채워진 사석 등의 채움재(F)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이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되 예컨대 수평면 상에서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들이 나란히 형성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설치되므로 케이블(300)이 이웃하는 상치블록(200) 또는 케이블(300)과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파력에 의해서 케이슨(100) 및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는 경우에 상치블록(200)이 케이슨(100)보다 변위량이 크므로 케이블(300)이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면 파력에 의한 케이슨(100) 및 상치블록(200)의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상치블록(2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력에 의해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는 경우에 상치블록(200)의 상부가 하부보다 변위량이 크므로 케이블(300)이 상치블록(20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파력에 의한 상치블록(200)의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되 외해보다 내해와 가까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력이 외해에서 내해 쪽으로 상치블록(200)에 작용하므로 케이블(300)이 상치블록(200)의 외해 쪽에 설치된 경우보다 상치블록(200)의 내해 쪽에 설치된 경우에 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또는 인장응력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이 상치블록(200)의 외해 쪽에 설치된 경우보다 상치블록(200)의 내해 쪽에 설치된 경우에 파력에 의한 상치블록(200)의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상치블록(200)의 걸림부(C)가 케이블(300)에 걸릴 수 있다. 케이블(300)에 상치블록(200)의 걸림부(C)가 걸리면 걸림부(C)가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 때에, 걸림부(C)의 전술한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가 각각 상치블록(20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치블록(200)의 걸림부(C)가 상치블록(200)에 설치된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걸림부(C)의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걸림부(C)의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으므로 걸림부(C)가 케이블(300)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 뿐만 아니라 케이블(300)의 중앙부에도 확실하게 걸릴 수 있다. 이에, 걸림부(C)의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뿐만 아니라 제2부위(C2)도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확실하게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이 상치블록(200)을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또는 가압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상치블록(200) 아래의 케이슨(100)과 해저면/기저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전단저항력 또는 인장력이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집중되지 않고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중앙부로 분배/분산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 및 걸림부(C)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300) 및 상치블록(20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C)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고 걸림부(C)의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가 제1방향으로 상기 호형상의 걸림부(C)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와 각각 대응하는 경우에,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걸림부(C)가 케이블(300)에 걸리면, 케이블(300)이 걸림부(C)의 호형상의 표면을 따라 걸림부(C)의 제1부위(C1)부터 상기 제3부위(C3)까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치블록(200)의 걸림부(C)가 상치블록(200)에 설치된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걸림부(C)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고 케이블(300)이 걸림부(C)의 표면을 따라 제1부위(C1)부터 제3부위(C3)까지 접하므로, 걸림부(C)의 제1부위(C1)부터 제3부위(C3)까지의 모든 부위가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이 상치블록(200)을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또는 가압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상치블록(200) 아래의 케이슨(100)과 해저면/기저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전단저항력 또는 인장력이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집중되지 않고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부터 타측 단부까지의 부위에 고르게 분배/분산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 및 걸림부(C)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300) 및 상치블록(20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상치블록(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삽입관(2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300)은 상치블록(20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상치블록(20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에,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제2삽입관(230)이 케이블(300)에 걸려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300)이 제2삽입관(230)에 삽입되어서 상치블록(200)의 안쪽에 설치되므로 케이블(300)이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치블록(200)의 제2삽입관(230)이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제2삽입관(230)이 케이블(300)에 걸리고, 이 때에 케이블(300)이 제2삽입관(230)의 호형상의 내측 표면(예컨대, 하측 내측면)을 따라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부터 타측 단부까지 접하고 제2삽입관(23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300)이 제2삽입관(230)에 삽입되어서 상치블록(200)의 안쪽에 설치되고 케이블(300)이 제2삽입관(230)의 호형상의 내측 표면을 따라 접하여서 상치블록(200)을 가압하므로 케이블(300)이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결합수단]
결합수단(400)은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다. 즉, 결합수단(400)은 도면과 달리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킬 수도 있고 도 8 및 도 9와 같이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도 있다.
제1결합부재(410)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예컨대, 오른쪽) 단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제1고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20)는 도면과 달리 제1결합부재(410)가 설치된 케이블(3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거나 도면과 같이 제1결합부재(410)가 설치된 케이블(3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예컨대, 왼쪽)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20)는 제1결합부재(410)와 결합될 수 있고 제2고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30)는 제1고리(412) 및 제2고리(4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11항//이에 따라, 케이블(300)의 단부와 상치블록(200) 또는 한 쌍의 케이블(300)의 단부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미리 설치한 후에 나중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연결부재(430)로 체결함으로써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결합부재(420)는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할 수 있다. 이 때에,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으면서 케이블(300)이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상치블록(200)의 파력에 의한 이동 또는 회전이 케이블(300)에 의해서 억제될 수 있어서 해양구조물(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상치블록(200)들이 케이블(300)을 통해서 결합/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 사이가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슨(100)들이 서로 맞물려서(인터록킹되어서) 파력에 함께 저항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케이슨(100)들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 공간(예컨대, 오픈 셀)에 채워 넣은 사석 등의 채움재(F)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410) 및 제2결합부재(420)는 각각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고리(412) 및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고리(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30)는 제1고리(412) 및 제2고리(4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상하연장부위(VE1) 또는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할 수 있다. 이에, 제2결합부재(420)는 연결부재(430)를 통해서 제1결합부재(410)와 결합되고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에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게 하고 케이블(300)의 결합 또는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결합수단(4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의 단부와 상치블록(200) 또는 한 쌍의 케이블(300)의 단부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미리 설치한 후에 나중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연결부재(430)로 체결함으로써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과 관련해서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10)로부터 유추적용될 수 있다.
[해양구조물 시공방법의 제1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 시공방법은 제조단계(S100), 케이블 설치단계(S200) 및 케이블 연결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단계(S100)에서는, 케이슨(100)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에 제1삽입관(130)을 구비하는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을 제조하되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아지도록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을 제조할 수 있다.
케이블 설치단계(S200)에서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300)을 제1삽입관(130)에 삽입하여서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설치할 수 있다.
13항//이에 따라, 케이슨(1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의 제1삽입관(130)/걸림부(C)가 케이슨(100)에 설치된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제1삽입관(130)/걸림부(C)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제1부위(C1) 및 제1방향의 타측 단부/제3부위(C3)뿐만 아니라 제1방향의 중앙부/제2부위(C2)도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확실하게 가압될 수 있는 제1삽입관(130)/걸림부(C)을 구비하는 케이슨(1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 전술한 제1결합부재(410)를 설치하고, 제1결합부재(410)가 설치된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에 이웃하여 설치될 케이슨(100)에 전술한 제2결합부재(420)를 설치하거나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이웃하여 설치될 케이슨(100)에 설치되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제2결합부재(420)를 설치할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케이블 설치단계(S200) 이후에, 케이슨(100)을 해저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저에 마련되어서 기저면을 형성하는 사석마운트 상에 케이슨(100)을 예인 및 침설하여 설치할 수 있다.
케이블 연결단계(S300)에서는, 케이블(300)을, 케이블(300)이 설치된 케이슨(1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시키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에 설치된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30)를 제1결합부재(410)의 제1고리(412) 및 제2결합부재(420)의 제2고리(422)에 결합시키되 제1고리(412)의 제1상하연장부위(VE1) 또는 제2고리(422)의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14항//이에 따라, 케이블(300)의 단부와 케이슨(100) 또는 한 쌍의 케이블(300)의 단부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미리 설치한 후에 나중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연결부재(430)로 체결함으로써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시키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고 케이블(300)의 결합 또는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해양구조물(1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에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430)가 턴버클인 경우에 케이블(300)에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턴버클의 몸체를 회전시켜서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케이블 연결단계(S300) 이후에 케이슨(100)의 빈 공간(H)에 채움재(F)를 채워 넣을 수 있고(도 4), 케이슨(100)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케이슨(100) 상에 상치블록(2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설치되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도면과 달리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된 단일한 케이블의 서로 다른 일부분들인 경우에는 케이슨(100)을 설치한 후에 케이블 설치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연결단계(S300)가 불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조단계(S100)에서 제조된 복수 개의 케이슨(100)을 상기 단일한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해저에 나란히 설치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단일한 케이블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케이슨(100)에 보조 줄을 미리 설치할 수 있다.
케이슨(100)을 설치한 후에 케이블 설치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케이블 설치단계(S200)에서는, 상기 단일한 케이블을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일한 케이블을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의 제1삽입관(130)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한 케이블을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의 제1삽입관(130)에 삽입한 후에 상기 단일한 케이블이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도록 긴장시킨 후에 고정할 수 있다.
케이블 설치단계(S200) 이후에, 케이슨(100)의 빈 공간(H)에 채움재(F)를 채워 넣을 수 있고(도 4), 케이슨(100) 상에 상치블록(200)을 형성할 수 있다.
[해양구조물 시공방법의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 시공방법도 제1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 시공방법과 마찬가지로 제조단계(S100), 케이블 설치단계(S200) 및 케이블 연결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0).
제조단계(S100)는, 복수 개의 케이슨(100)을 제조하고 해저에 설치하며 해저에 설치된 복수 개의 케이슨(100)의 빈 공간(H)에 채움재(F)를 채워 넣은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조단계(S100)에서는, 복수 개의 케이슨(100) 상에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슨(100)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케이슨(100) 상에 상치블록(2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에, 내부에 제2삽입관(230)을 구비하는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을 제조하되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아지도록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을 제조할 수 있다.
케이블 설치단계(S200)에서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300)을 제2삽입관(230)에 삽입하여서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설치할 수 있다.
13항//이에 따라, 상치블록(200)에 파력이 가해져서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치블록(200)의 제2삽입관(230)/걸림부(C)가 상치블록(200)에 설치된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제2삽입관(230)/걸림부(C)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제1부위(C1) 및 제1방향의 타측 단부/제3부위(C3)뿐만 아니라 제1방향의 중앙부/제2부위(C2)도 케이블(300)에 의해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확실하게 가압될 수 있는 제2삽입관(230)/걸림부(C)을 구비하는 상치블록(2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 전술한 제1결합부재(410)를 설치하고, 제1결합부재(410)가 설치된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에 이웃하여 설치될 상치블록(200)에 전술한 제2결합부재(420)를 설치하거나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이웃하여 설치될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제2결합부재(420)를 설치할 수 있다(도 8 및 도 9).
케이블 연결단계(S300)에서는, 케이블(300)을, 케이블(300)이 설치된 상치블록(2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상기 이웃하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된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30)를 제1결합부재(410)의 제1고리(412) 및 제2결합부재(420)의 제2고리(422)에 결합시키되 제1고리(412)의 제1상하연장부위(VE1) 또는 제2고리(422)의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14항//이에 따라, 케이블(300)의 단부와 상치블록(200) 또는 한 쌍의 케이블(300)의 단부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미리 설치한 후에 나중에 제1고리(412)와 제2고리(422)를 연결부재(430)로 체결함으로써 케이블(300)을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해저면/기저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케이블(300)에 부등침하에 따른 하중이 걸리지 않고 케이블(300)의 결합 또는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해양구조물(1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에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430)가 턴버클인 경우에 케이블(300)에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턴버클의 몸체를 회전시켜서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 시공방법과 관련해서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 시공방법로부터 유추적용될 수 있다.
한편,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설치되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도면과 달리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된 단일한 케이블의 서로 다른 일부분들인 경우에는 케이블 연결단계(S300)가 불필요할 수 있다.
이 때에, 케이블 설치단계(S200)에서는, 상기 단일한 케이블을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일한 케이블을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의 제2삽입관(230)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한 케이블을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의 제2삽입관(230)에 삽입한 후에 상기 단일한 케이블이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도록 긴장시킨 후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해양구조물
100: 케이슨 110: 제1벽체
120: 제2벽체 130: 삽입관
200: 상치블록 230: 삽입관
300: 케이블
400: 결합수단 410: 제1결합부재
412: 제1고리 420: 제2결합부재
422: 제2고리 430: 연결부재

Claims (14)

  1.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 개의 케이슨(100)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슨(100) 상에 제1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 및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슨(1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기 복수 개의 상치블록(200)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각각 설치되되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평면에 수직 투영한 경우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설치되는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케이블(300)은, 각각의 케이블(300)이 설치된 상기 케이슨(1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케이슨(100)과 결합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에 설치되는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되거나, 각각의 케이블(300)이 설치된 상기 상치블록(200)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치블록(200)과 결합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되는,
    해양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해양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되 외해보다 내해와 가까운 쪽에 설치되는, 해양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파력이 가해져서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상기 케이블(300)에 걸려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는 걸림부(C)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C)는 제1방향으로 일측, 중앙부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위(C2)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1부위(C1) 및 제3부위(C3)의 높이위치보다 높고,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각각 상기 케이블(30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걸리는, 해양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C)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상기 호형상의 걸림부(C)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와 각각 대응하고,
    파력이 가해져서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C)가 상기 케이블(300)에 걸릴 경우에, 케이블(300)이 걸림부(C)의 상기 호형상의 표면을 따라 걸림부(C)의 상기 제1부위(C1)부터 상기 제3부위(C3)까지 접하는, 해양구조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1삽입관(130)을 내부에 구비하거나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2삽입관(230)을 내부에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고,
    상기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고,
    상기 걸림부(C)는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의해서 규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의해서 각각 규정되고,
    파력이 가해져서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이 상기 케이블(300)에 걸려서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는, 해양구조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1삽입관(130)을 내부에 구비하거나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은 각각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2삽입관(230)을 내부에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관(1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삽입관(2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1삽입관(1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고,
    상기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고,
    상기 걸림부(C)는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의해서 규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위(C1), 제2부위(C2) 및 제3부위(C3)는 제1방향으로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일측 단부, 중앙부 및 타측 단부에 의해서 각각 규정되고,
    파력이 가해져서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이동 또는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이 상기 케이블(300)에 걸리고, 이 때에 케이블(300)이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상기 호형상의 내측 표면을 따라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부터 타측 단부까지 접하고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하방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되는, 해양구조물.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연속설치되고,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이 제1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해양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키는 결합수단(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결합부재(410) 및,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41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재(420)는 상기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하고,
    상기 제2결합부재(420)가 상기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상기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해양구조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41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고리(412)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결합부재(4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고리(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재(420)가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상기 제1고리(412)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1결합부재(410)가 상기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상기 제2고리(422)와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420)가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하더라도 상기 결합수단(400)의 제1방향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해양구조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410) 및 제2결합부재(420)는 각각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제1고리(412) 및 상기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고리(422)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제1고리(412) 및 제2고리(4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 또는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한 연결부재(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재(420)는 상기 연결부재(430)를 통해서 상기 제1결합부재(410)와 결합되고 제1결합부재(4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한, 해양구조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30)는 상기 케이블(300)의 장력설정이 가능한 턴버클인, 해양구조물.
  13.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의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내부에 상기 제1삽입관(130)을 구비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을 제조하거나 내부에 상기 제2삽입관(230)을 구비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을 제조하되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높이위치가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높이위치보다 높아지도록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을 제조하는 제조단계(S100); 및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제1삽입관(130) 또는 제2삽입관(230)에 삽입하여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블(300)을 상기 한 개 이상의 케이슨(100) 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상치블록(200)에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S200)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시공방법.
  14. 청구항 11의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을 제조하는 제조단계(S100);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S200); 및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이웃하는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과 결합시키거나 상기 이웃하는 케이블(300)과 연결시키는 케이블 연결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설치단계(S200)에서는, 상기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1결합부재(410)를 설치하고 제1방향의 타측에 이웃하여 설치될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상기 제2결합부재(420)를 설치하거나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이웃하여 설치될 케이슨(100) 또는 상치블록(200)에 설치되는 케이블(3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2결합부재(420)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 연결단계(S300)에서는, 상기 연결부재(430)를 상기 제1결합부재(410)의 상기 제1고리(412) 및 상기 제2결합부재(420)의 상기 제2고리(422)에 결합시키되 제1고리(412)의 상기 제1상하연장부위(VE1) 또는 제2고리(422)의 상기 제2상하연장부위(VE2)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해양구조물 시공방법.
KR1020220180618A 2022-12-21 2022-12-21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40098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618A KR20240098658A (ko) 2022-12-21 2022-12-21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618A KR20240098658A (ko) 2022-12-21 2022-12-21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8658A true KR20240098658A (ko) 2024-06-28

Family

ID=9166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0618A KR20240098658A (ko) 2022-12-21 2022-12-21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986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094B1 (ko) 2010-07-08 2011-12-19 한국해양연구원 중력식 케이슨의 결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094B1 (ko) 2010-07-08 2011-12-19 한국해양연구원 중력식 케이슨의 결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8399B1 (en) Subsea gap self-reducing grout seal
AU2017283742B2 (en) Upgrading subsea foundations of mooring systems
CN105532549A (zh) 含抓力锚钩的组装式锚固系统
GB2473733A (en) A method of forming and installing a J-tube system
AU649427B2 (en) Seabed stabilisation mattresses
KR20240098658A (ko)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5052859A (en) Seabed stabilization mattresses
CN104612105A (zh) 钢筋混凝结构式防汛墙
KR20200137611A (ko) 케이슨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254937B1 (ko) 케이슨 및 그 구조물
KR20120073623A (ko) 벽강관말뚝의 연결구조체
EP3994313B1 (en) Sliding subsea foundations
JP6971874B2 (ja) 鋼構造物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続構造、その接続構造を有する構造壁および鋼構造物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続方法
US8931976B2 (en) Tsunami breakwater wall of multilayered steel pipe pil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0739651A (zh) 连锁-单体预制块相嵌式抗船锚水下管线保护结构及施工方法
JP6679287B2 (ja) 地中構造物の液状化対策工法
JP7240284B2 (ja) 鋼構造物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続構造、その接続構造を有する構造壁および鋼構造物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続方法
JP7471596B2 (ja) 護岸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敷設方法
KR102610720B1 (ko)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CN216664082U (zh) 一种航道护岸用联锁组合板桩结构
KR102613044B1 (ko)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사석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KR102616531B1 (ko)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회전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CN115492046B (zh) 一种防波堤及其施工方法
KR20200085432A (ko) 마찰 증대 오픈 셀 케이슨
GB2562977A (en) Upgrading subsea foundations of mooring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