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4199A -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ing of 3d output - Google Patents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ing of 3d out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4199A
KR20240094199A KR1020220175569A KR20220175569A KR20240094199A KR 20240094199 A KR20240094199 A KR 20240094199A KR 1020220175569 A KR1020220175569 A KR 1020220175569A KR 20220175569 A KR20220175569 A KR 20220175569A KR 20240094199 A KR20240094199 A KR 20240094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fect
conveyor belt
captured image
colle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재영
배진만
황창욱
황기환
황선미
안상현
박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텍
Priority to KR102022017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94199A/en
Publication of KR20240094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41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은,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마련된 프린팅 헤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프린팅 재료를 출력하여 3D 출력물을 생성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된 컨베이어 벨트에 상기 3D 출력물이 안착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상기 3D 출력물을 자동 배출하는 3D 프린터;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3D 프린터로부터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3D 출력물을 상기 수용공간에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수거함; 상기 3D 프린터의 적어도 일 측면 및 상기 수거함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3D 출력물,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수거함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및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상기 3D 출력물의 제1 촬영영상,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제2 촬영영상 및 상기 수거함의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3D 프린터와 상기 수거함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판단하고, 상기 불량원인의 해소를 위한 조치 메시지를 생성하는 불량 처리모듈을 포함한다.A 3D printing system is provided for mass production of 3D output. The 3D pri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3D output by outputting a printing material toward the base plate from a printing head provid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base plate provid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base plate A 3D printer that automatically discharges the 3D output through the conveyor belt after the 3D output is placed on a conveyor belt provided at the top of the 3D printer; A collection box having a receiv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sequentially receiving one or more 3D outputs discharged from the 3D printer into the receiving space; At least one imaging device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3D printer and the collection box to photograph the 3D output, the conveyor belt, and the collection box; And analyzing the first captured image of the 3D output, the second captured image of the conveyor belt,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of the collection box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3D printer and the collection box are defective and the cause of the defect. , and includes a defect processing module that generates an action message to resolve the cause of the defect.

Description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ING OF 3D OUTPUT}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3D output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ING OF 3D OUTPU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3D output.

최근, 3D 프린터를 이용한 다양한 3차원 형상의 출력물 제작이 늘어남에 따라 3D 프린터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3D 프린터는 고온으로 재료를 녹인 후 노즐을 통해 일정 압력으로 압출해가면서 적층하는 방식으로 출력물을 제작한다. Recently, as the production of various three-dimensional printed objects using 3D printers increases, the demand for 3D printers is gradually increasing. 3D printers produce prints by melting materials at high temperatures and then extruding them at a certain pressure through a nozzle and layering them.

일반적으로, 3D 프린터의 노즐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프린팅 재료를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의 아래쪽부터 프린팅 재료가 적층되어 3D 출력물이 제작된다.Generally, the nozzle of a 3D printer is arranged perpendicularly toward the base plate to output printing material. Accordingly, the printing material is stacke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to produce a 3D print.

또한, 종래의 3D 프린터는 고정된 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프린팅 재료를 수직으로 적층시켜 3D 출력물을 제작한다는 점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면적에 따라 3D 출력물의 규격이 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작 속도가 느려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다.In addition, conventional 3D printers produce 3D prints by vertically stacking printing materials on a base plate at a fixed position,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3D print is determined by the area of the base plate, and the production speed is slow, making mass production difficult. Not suitable for production.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19565(2022.08.30)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19565 (2022.08.3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사지게 마련된 프린팅 헤드와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3D 출력물을 보다 신속하게 대량생산하고,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3D 출력물의 제작과정에서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보다 빠르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an inclined printing head and conveyor belt to mass-produce 3D prints more quickly, and use a imaging device to identify defects and causes of defects in the 3D print production process in real time to produce more quickl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ans to take act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마련된 프린팅 헤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프린팅 재료를 출력하여 3D 출력물을 생성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된 컨베이어 벨트에 상기 3D 출력물이 안착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상기 3D 출력물을 자동 배출하는 3D 프린터;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3D 프린터로부터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3D 출력물을 상기 수용공간에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수거함; 상기 3D 프린터의 적어도 일 측면 및 상기 수거함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3D 출력물,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수거함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및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상기 3D 출력물의 제1 촬영영상,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제2 촬영영상 및 상기 수거함의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3D 출력물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판단하고, 상기 불량원인의 해소를 위한 조치 메시지를 생성하는 불량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3D output is generated by outputting a printing material toward the base plate from a printing head provid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base plate provid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a conveyor bel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3D printer that automatically discharges the 3D output through the conveyor belt after the 3D output is placed on the 3D printer; A collection box having a receiv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sequentially receiving one or more 3D outputs discharged from the 3D printer into the receiving space; At least one imaging device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3D printer and the collection box to photograph the 3D output, the conveyor belt, and the collection box; And the first captured image of the 3D output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the second captured image of the conveyor belt,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of the collection box a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3D output is defective and the cause of the defect, and determine the defect. A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3D printed objects is provided, including a defect processing module that generates an action message to resolve the cause.

상기 불량 처리모듈은, 상기 제1 촬영영상, 상기 제2 촬영영상 및 상기 제3 촬영영상을 기 학습된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3D 출력물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촬영영상, 상기 제2 촬영영상 및 상기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불량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3D output is defective by comparing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with pre-learned learning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he 3D output is defective, and 2 The cause of the defect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상기 불량 처리모듈은, 상기 제1 촬영영상으로부터 상기 3D 프린터에서 생성된 각 3D 출력물의 출력시간을 수집하고 상기 출력시간이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상기 프린팅 헤드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3D 출력물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또는 상기 제2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수평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 중 일 영역으로 상기 3D 출력물의 적재가 집중되어 상기 3D 출력물이 상기 수거함을 이탈한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상기 수거함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collects the output time of each 3D output generated by the 3D printer from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when the output time is outside a set error range, determines the cause of the defect to be the printing head, and the first 2 If a foreign substance exists on the conveyor bel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the cause of the defect is determined to be a foreign substance in the conveyor belt, and if the 3D output is tilted beyond a set ang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rst captured image 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cond captured image, if the conveyor belt is inclined more than a set angle, the cause of the defect is determined to be the horizontality of the conveyor belt,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ird captured image, a plurality of areas in the receiving space are determined. If the loading of the 3D output is concentrated in one area and the 3D output leaves the collection box, the cause of the defect may be determined by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output in the collection box.

상기 수거함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적재되는 3D 출력물들의 총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불량 처리모듈은, 상기 3D 출력물이 상기 수거함의 상기 수용공간에 하나씩 적재될 때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상기 3D 출력물들의 총 무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총 무게에 관한 정보로부터 각 3D 출력물의 무게를 계산한 후 계산된 상기 무게가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상기 프린팅 헤드 또는 상기 수거함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A weight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box to detect the total weight of the 3D prints loaded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detects each time the 3D prints are load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llection box one by one.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otal weight of the 3D printed objects from the weight detection sensor, calculates the weight of each 3D printed object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total weight, and if the calculated weight is outside the set error range, determines the cause of the defect. It can be judged by the printing head or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output in the collection box.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단에는, 상기 3D 출력물의 배출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타단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열풍 발생기 및 브러쉬가 구비되고,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가이드부, 상기 열풍 발생기 및 상기 브러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불량 처리모듈로부터 상기 불량원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불량원인의 해소를 위한 조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불량원인이 상기 수거함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인 경우 상기 조치 메시지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불량원인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인 경우 상기 조치 메시지에 따라 상기 열풍 발생기 및 상기 브러쉬를 동작시킬 수 있다. At one end of the conveyor belt, one or more guide parts are formed to guide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3D output, and at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belt, a hot air generator and a brush are provid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onveyor belt, and the 3D The printer is provided with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guide unit, the hot air generator, and the brush, and the control module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ause of the defect and measures to resolve the cause of the defect from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Upon receiving the message, if the cause of the defect is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output in the collection box, the guide un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action message, and if the cause of the defect is a foreign substance on the conveyor belt, the hot air generator and The brush can be operated.

상기 불량 처리모듈은, 상기 불량여부 및 상기 불량원인으로부터 불량이 최초로 발생된 3D 출력물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3D 출력물로부터 폐기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3D 출력물을 결정할 수 있다.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may identify the 3D output in which the defect first occurred based on whether the defect is defective and the cause of the defect, and determine one or more 3D outputs to be discarded from the identified 3D output.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는, 설정된 복수 개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각 구획별로 히팅베드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3D 출력물이 안착된 컨베이어 벨트의 영역에 대응되는 구획의 상기 히팅베드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base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a heating bed is provided for each section, and the control module can only operate the heating bed in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conveyor belt where the 3D printed object is placed.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출력물은 프린팅 재료가 수직 방향이 아닌 대각선 방향으로 적층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일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실시간으로 이동함으로써 3D 출력물의 제작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3D 출력물의 규격에 대한 제한이 불필요하게 되며 제작 속도 또한 종래의 3D 프린터에 비해 현저히 상승하여 3D 출력물의 대량 생산에 용이해진다. 또한, 수직 적층방식이 아닌 대각선 적층방식으로 3D 출력물이 제작됨으로써 3D 출력물의 제작에 필요한 지지대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A 3D pr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stacking printing materials diagonally rather than vertically. Additionally, during this process, the conveyor belt moves in on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in real time, allowing the production of 3D prints to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In this case, restrictions on the specifications of 3D printed products become unnecessary, and production speed also increases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ventional 3D printers, making mass production of 3D printed products easier. In addition, by producing 3D prints using a diagonal stacking method rather than a vertical stacking method, the consumption of supports required for producing 3D prints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3D 출력물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따른 조치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3D 프린터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보다 신속하게 불량해소를 위한 조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판단된 3D 출력물의 불량원인에 따라 상기 불량원인의 해소를 위한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된 불량감지 및 처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ects and causes of defects in 3D output that may occur during the conveyor belt movement are immediately detected and action messages are automatically generated accordingly, allowing the manager to use the 3D printer.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and take action to resolve defects more quickly.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ed defect detection and process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by automatically taking measures to resolve the cause of the defect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defect in the 3D output determined in real tim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가 장착된 3D 프린터를 나타낸 예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헤드의 예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출력물이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에서 3D 출력물의 제작과정에서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실시간으로 파악해서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를 통해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가이드부의 동작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프린팅 헤드의 위치가 제어되어 3D 출력물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안착되는 위치가 동적으로 변경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함의 위치가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열풍 발생기 및 브러쉬의 동작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히팅베드의 동작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3D pri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4 is an example showing a 3D printer equipped with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of a printing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ample showing the process of producing a 3D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ample showing the process of identifying and processing defects and causes of defects in real time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3D output in the 3D pri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ample showing the process of acquiring a first captured image, a second captured image, and a third captured image through a photograp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ample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guide par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ample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3D print is placed on the conveyor belt is dynamically changed.
Figure 13 is an example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position of a collection box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example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hot air generator and brush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n example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be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s provided to facilit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meaning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or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5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500)은 3D 프린터(100), 수거함(200), 복수 개의 촬영장치(300) 및 불량 처리모듈(400)을 포함한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3D printing system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3D printing system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3D printer 100, a collection box 200, a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300, and a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do.

3D 프린터(100)는 3D 출력물을 생성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3D 출력물은 3D 프린터(100)를 통해 생성되는 3차원 형상의 물체로서 예를 들어, 3차원 형상의 액세서리, 장난감, 조형물 등이 될 수 있다. 3D 프린터(100)는 종래의 3D 프린터와 달리 경사지게 마련된 프린팅 헤드와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3D 출력물을 연속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 3D 프린터(10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3D printer 100 is a device that generates and discharges 3D output. In these embodiments, a 3D output is a three-dimensional object created through the 3D printer 100 and may be, for example, a three-dimensional accessory, toy, or sculpture. Unlike conventional 3D printers, the 3D printer 100 is equipped with an inclined printing head and a conveyor belt, through which 3D output can be continuously mass-produce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3D print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5.

수거함(200)은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3D 프린터(100)로부터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3D 출력물을 상기 수용공간에 순차적으로 수용한다. 수거함(200)은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형태의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수거함(200)의 형태, 크기 등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llection box 200 has a receiv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sequentially receives one or more 3D outputs discharged from the 3D printer 100 in the receiving space. For example, the collection box 200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receiving space with an open top, but the shape and size of the collection box 20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촬영장치(300)는 3D 프린터(100)의 적어도 일 측면 및 수거함(200)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어 3D 출력물, 3D 프린터(100)의 컨베이어 벨트 및 수거함(200)을 촬영하는 장치이다. 촬영장치(300)는 예를 들어, 카메라, 캠코더 등이 될 수 있다. 촬영장치(300)는 후술할 3D 프린터(100)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제4 프레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촬영장치(300)는 수거함(200)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촬영장치(300)는 3D 출력물, 3D 프린터(100)의 컨베이어 벨트 및 수거함(200)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하나 이상 설치되면 족하며, 촬영장치(300)의 설치위치, 설치개수 등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e or more imaging devices 300 ar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3D printer 100 and the collection box 200 to photograph the 3D output, the conveyor belt of the 3D printer 100, and the collection box 200. The photographing device 300 may be, for example, a camera or camcorder. The imaging device 300 may be installed in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a third frame, a fourth frame, etc. of the 3D printer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ly, the imaging device 300 may be installed on one upper side of the collection box 200. However, it is sufficient for at least one photographing device 300 to be installed in a location where it can photograph 3D output, the conveyor belt of the 3D printer 100, and the collection box 200,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number of photographing devices 300, etc.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불량 처리모듈(400)은 촬영장치(300)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으로부터 3D 출력물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판단하는 모듈이다. 불량 처리모듈(400)은 3D 프린터(100) 및 수거함(200)과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D 프린터(100) 또는 수거함(200)의 내부에서 이들의 일 부품으로서 장착될 수도 있다.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is a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3D output is defective and the cause of the defect from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300. The defect handling module 400 may be composed of hardware separate from the 3D printer 100 and the collection box 20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installed as a part of the 3D printer 100 or the collection box 200. It could be.

촬영장치(300)에서 3D 출력물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되는 영상을 제1 촬영영상, 촬영장치(300)에서 3D 프린터(100)의 컨베이어 벨트를 촬영함으로써 획득되는 영상을 제2 촬영영상, 촬영장치(300)에서 수거함(200)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되는 영상을 제3 촬영영상이라 가정하는 경우, 불량 처리모듈(400)은 상기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을 기 학습된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고 이들을 분석함으로써 3D 출력물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불량 처리모듈(400)이 3D 출력물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3D output in the photographing device 300 is called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image acquired by photographing the conveyor belt of the 3D printer 100 in the photographing device 300 is called the second captured image. ), if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obtained by shooting the collection box 200 is the third captured imag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uses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as pre-learned learning dat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3D printed product is defective and the cause of the defect. A specific method by which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determines whether a 3D output is defective and the cause of the defec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5.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100)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1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112)가 장착된 3D 프린터(100)를 나타낸 예시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100)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100)의 정면도이다.Figures 2 to 6 are diagrams showing a 3D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3D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one direc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3D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nother direction. . Additionally, Figure 4 is an example showing a 3D printer 100 equipped with a conveyor belt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3D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3D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100)는 제1 프레임(102), 제2 프레임(104), 제3 프레임(106), 제4 프레임(108), 베이스 플레이트(110), 컨베이어 벨트(112), 노즐 가이드부(114) 및 프린팅 헤드(116)를 포함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3D 프린터(100)는 제어모듈(150), 가이드부(160), 열풍 발생기(170), 브러쉬(180) 및 히팅베드(19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 가이드부(160), 열풍 발생기(170), 브러쉬(180) 및 히팅베드(190)는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2 to 6, the 3D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102, a second frame 104, a third frame 106, and a fourth frame ( 108), a base plate 110, a conveyor belt 112, a nozzle guide unit 114, and a printing head 116.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S. 2 to 6, the 3D printer 100 may be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control module 150, a guide unit 160, a hot air generator 170, a brush 180, and a heated bed 190. You can. The control module 150, guide unit 160, hot air generator 170, brush 180, and heated bed 19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5.

제1 프레임(102)은 3D 프린터(100)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중 하나로서, 3D 프린터(100)의 바닥 부분에 형성된다. 제1 프레임(102)은 XY 평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02)은 지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프레임(102) 사이에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frame 102 is one of the frames that form the exterior of the 3D printer 100 an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3D printer 100. The first frame 102 may be provided on the XY plane. The first frame 102 may be seated on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first frames 102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will be described later, one or more base plates 1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frames 102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제2 프레임(104)은 3D 프린터(100)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중 하나로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04)은 제1 프레임(102)의 일단에서 제1 프레임(102)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104)은 제1 프레임(102)의 일단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대신 제1 프레임(102)의 일단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각도는 예를 들어, 45도일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제1 프레임(102)과 제2 프레임(104)은 상호 연결되어 45도 각도를 이룰 수 있다.The second frame 104 is one of the frames that form the exterior of the 3D printer 10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The second frame 104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frame 102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ame 102 . At this time, the second frame 104 may be formed to exten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one end of the first frame 102 instead of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one end of the first frame 102 .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for example, 45 degrees. As an example, the first frame 102 and the second frame 10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angle of 45 degrees.

또한, 제2 프레임(104)의 내측에는 제1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노즐 가이브부(114)는 상기 제2 프레임(104)의 내측에 마련된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 및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의 거리(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irst guide rail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frame 104.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nozzle guide portion 114 can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provided inside the second frame 104,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116 and the distance from the base plate 110 Distance (height) can be variable.

제3 프레임(106)은 3D 프린터(100)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중 하나로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06)은 제1 프레임(102)의 타단에서 제1 프레임(102)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프레임(106)은 제1 프레임(102)의 타단에서 제1 프레임(102)과 각각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제2 프레임(104)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각도는 예를 들어, 45도일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제1 프레임(102)과 제3 프레임(106)은 상호 연결되어 45도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02), 제2 프레임(104) 및 제3 프레임(106)은 삼각 형태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프레임(104)과 제3 프레임(106) 간의 각도는 90도가 될 수 있다. The third frame 106 is one of the frames that form the exterior of the 3D printer 10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The third frame 106 may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102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ame 102 . At this time, the third frame 106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104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102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frame 102.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for example, 45 degrees. As an example, the first frame 102 and the third frame 106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angle of 45 degrees. That is, the first frame 102, the second frame 104, and the third frame 106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triangular shape, and in this case,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frame 104 and the third frame 106 is 90 It can be a way.

제4 프레임(108)은 3D 프린터(100)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중 하나로서, 3D 프린터(100)의 최상층에 구비된다. 제4 프레임(108)은 제2 프레임(104)과 제3 프레임(106)이 만나는 지점에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2 프레임(104) 사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프레임(104)과 각각 연결되며 복수 개의 제3 프레임(106) 사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3 프레임(106)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4 프레임(108)은 제2 프레임(104) 및 제3 프레임(106)과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지지하며, 이에 따라 3D 프린터(100)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fourth frame 108 is one of the frames that form the exterior of the 3D printer 100 and is provided on the top layer of the 3D printer 100. The fourth frame 108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second frame 104 and the third frame 106 meet, and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frames 104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frames 104, respectively. It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ird frames 106, respectively. The fourth frame 108 is connected to and supports the second frame 104 and the third frame 106, respectively, and thus the stability of the 3D printer 100 can be further improved.

여기서, 제1 프레임(102), 제2 프레임(104), 제3 프레임(106) 및 제4 프레임(108)은 브라켓에 볼트/너트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호 연결, 체결될 수 있으나 제1 프레임(102), 제2 프레임(104), 제3 프레임(106) 및 제4 프레임(108) 간의 연결 및 체결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first frame 102, the second frame 104, the third frame 106, and the fourth frame 108 may be connect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in a manner in which bolts/nuts are coupled to the bracket, but the first frame The connection and fastening method between 102, the second frame 104, the third frame 106, and the fourth frame 108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3D 출력물을 지지하기 위한 판으로서, 복수 개의 제1 프레임(102) 사이에서 지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제1 프레임(102) 사이에서 지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D 출력물은 고정된 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직접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컨베이어 벨트(112)에 안착되어 3D 출력물의 제작 과정에서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The base plate 110 is a plate for supporting a 3D output, and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frames 102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S. 2 to 6 , the base plate 110 is made of one or more plates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frames 102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However, the 3D outpu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rectly mounted on the base plate 110 in a fixed position, but is mounted on the conveyor belt 1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its position may change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3D output. You can.

컨베이어 벨트(112)는 3D 출력물이 직접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12)는 제1 프레임(102)의 일단과 제1 프레임(102)의 타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베이어 벨트(112)의 양 끝단에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이동을 위한 풀리(pulley)가 마련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12)는 양 끝단의 풀리가 회전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12)는 3D 출력물의 제작 과정에서 그 진행상태에 따라 이동방향 및 속도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린팅 재료가 3D 출력물에 적층되는 위치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3D 출력물은 그 제작이 완성되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112)에 의해 3D 프린터(100)의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 3D 출력물의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컨베이어 벨트(112)에 의해 3D 출력물의 작업 위치가 실시간으로 이동 및 변동되므로, 3D 출력물의 크기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크기보다 작아야 할 필요가 없다. The conveyor belt 112 is a part on which the 3D output is directly seated, an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110. The conveyor belt 112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frame 10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102 . For this purpose, pulleys for movement of the conveyor belt 112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veyor belt 112. The conveyor belt 112 can move in one direction while the pulleys at both ends rotate. The conveyor belt 112 may be configured so that its moving direction and speed are controlled according to its progress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3D printed product,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at which the printing material is laminated on the 3D printed product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ddition, when the production of the 3D print is completed, it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3D printer 100 by the conveyor belt 112, and thus the work on the next 3D print can proceed more quickly. Furthermore, because the working position of the 3D printed product moves and changes in real time by the conveyor belt 112, the size of the 3D printed product does not need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base plate 110.

노즐 가이드부(114)는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 개의 제2 프레임(104) 사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프레임(104) 각각에 연결된다. 노즐 가이드부(114)는 양 끝단이 제2 프레임(104)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레일에 장착될 수 있다. 노즐 가이브부(114)는 상기 제2 프레임(104)의 내측에 마련된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 및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의 거리(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nozzle guide unit 114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116,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frames 104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frames 104. Both ends of the nozzle guide unit 114 may be mounted on a first guide rail formed inside the second frame 104. The nozzle guide unit 114 can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provided inside the second frame 104,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116 and the distance (height) from the base plate 110 are adjusted. It can be variable.

또한, 노즐 가이드부(114)의 일측에도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프린팅 헤드(116)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팅 헤드(116)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의 거리(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104)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second guide rail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nozzle guide unit 114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116. The printing head 116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guide rail and may mov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In this case, the printing head 116 can move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rails 104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height) from the base plate 110.

프린팅 헤드(116)는 노즐 가이드부(114)에 결합되어 3D 출력물의 제작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10)(또는 컨베이어 벨트(112))를 향해 프린팅 재료를 출력한다. 여기서, 프린팅 재료는 예를 들어 PLA(Poly Lactic Acid),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등과 같은 필라멘트일 수 있다. 상기 프린팅 재료는 펠렛(pellet) 형태의 원료로부터 생성되며, 히팅 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된 상태로 프린팅 헤드(11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프린팅 헤드(116)는 끝단에 프린팅 재료의 배출을 위한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을 통해 프린팅 재료를 배출할 수 있다. 프린팅 헤드(116)는 노즐 가이드부(114)에 결합되어 그 위치 및 높이가 변동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노즐 가이드부(114)가 제2 프레임(10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즉, 노즐 가이드부(114)가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프린팅 헤드(116)가 노즐 가이드부(11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즉, 프린팅 헤드(116)가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 및 높이가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 및 높이는 3D 출력물의 제작상태 또는 진행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inting head 116 is coupled to the nozzle guide unit 114 and outputs printing material toward the base plate 110 (or conveyor belt 112) to produce a 3D print. Here, the printing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 filament such as Poly Lactic Acid (PLA),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etc. The printing material is produced from raw materials in the form of pellets, and can be heated by a heating means and discharged through the printing head 116 in a molten state. The printing head 116 has a nozzle at its end for discharging printing material, and can discharge printing material through the nozzle. The printing head 116 is coupled to the nozzle guide unit 114 and its position and height may vary. As an example, the nozzle guide unit 114 mov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104 (that is, the nozzle guide unit 114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or the printing head 116 moves along the nozzle guide. When the portion 114 mov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that is, the printing head 116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printing head 116 may change.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printing head 116 can change in real time depending on the production status or progress of the 3D output, and this can be do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헤드(116)의 예시이다.Figure 7 is an example of a printing head 1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헤드(116)는 그 끝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컨베이어 벨트(112)를 향하도록 이루어지되, 수직 방향이 아닌 대각선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프린팅 헤드(116)에서 출력되는 프린팅 재료의 출력방향과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컨베이어 벨트(112)는 45도 각도를 이룰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printing head 116 may be configured so that its end faces the base plate 110 and the conveyor belt 112, but in a diagonal direction rather than a vertical direction. As an example, the output direction of the printing material output from the printing head 116, the base plate 110, and the conveyor belt 112 may form an angle of 45 degree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출력물이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Figure 8 is an example showing the process of producing a 3D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출력물은 프린팅 재료가 수직 방향이 아닌 대각선 방향으로 적층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112)가 일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실시간으로 이동함으로써 3D 출력물의 제작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3D 출력물의 규격에 대한 제한이 불필요하게 되며 제작 속도 또한 종래의 3D 프린터에 비해 현저히 상승하여 3D 출력물의 대량 생산에 용이해진다. 또한, 수직 적층방식이 아닌 대각선 적층방식으로 3D 출력물이 제작됨으로써 3D 출력물의 제작에 필요한 지지대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a 3D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stacking printing materials in a diagonal direction rather than a vertical direction. Additionally, during this process, the conveyor belt 112 moves in real time in on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production of 3D output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In this case, restrictions on the specifications of 3D printed products become unnecessary, and production speed also increases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ventional 3D printers, making mass production of 3D printed products easier. In addition, by producing 3D prints using a diagonal stacking method rather than a vertical stacking method, the consumption of supports required for producing 3D prints can be minimized.

이하에서는, 3D 프린터(100)의 제어모듈(150), 가이드부(160), 열풍 발생기(170), 브러쉬(180) 및 히팅베드(190) 구성과 상술한 수거함(200), 촬영장치(300), 불량 처리모듈(400)을 통해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3D 프린터(100)의 각종 구성들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150, guide unit 160, hot air generator 170, brush 180, and heated bed 190 of the 3D printer 100, the collection box 200, and the imaging device 300 described above. ), we will look in detail at the process of identifying defects and causes of defects through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and controll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3D printer 100 based on thi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500)에서 3D 출력물의 제작과정에서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실시간으로 파악해서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300)를 통해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Figure 9 is an example showing the process of identifying and processing defects and causes of defects in real time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3D output in the 3D printing system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showing the process of acquiring a first captured image, a second captured image, and a third captured image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3D 프린터(100)는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마련된 프린팅 헤드(116)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향해 프린팅 재료를 출력하여 3D 출력물을 생성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마련된 컨베이어 벨트(112)에 3D 출력물이 안착된 후 컨베이어 벨트(112)를 통해 상기 3D 출력물을 자동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된 3D 출력물은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는 수거함(200)으로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수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3D printer 100 outputs the printing material toward the base plate 110 from the printing head 116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plate 110 provided parallel to the ground to produce a 3D output. After the 3D output is placed on the conveyor belt 112 provided on the top of the base plate 110, the 3D output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hrough the conveyor belt 112. In this way, the discharged 3D outputs can be sequentially loaded and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box 200 having a receiv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이때, 촬영장치(300)는 3D 프린터(100)의 적어도 일 측면 및 수거함(200)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어 3D 출력물, 컨베이어 벨트(112) 및 수거함(200)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장치(300)는 3D 출력물 및 컨베이어 벨트(112)의 촬영을 위해 제1 프레임(102), 제2 프레임(104), 제3 프레임(106) 및 제4 프레임(108) 중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촬영장치(300)는 수거함(200)의 촬영을 위해 수거함(200)의 상부 일측면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촬영장치(300)는 3D 프린터(100) 및 수거함(200)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 설치되어 다양한 각도로 3D 출력물, 컨베이어 벨트(112) 및 수거함(200)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장치(300)는 이와 같이 촬영된 3D 출력물의 제1 촬영영상, 컨베이어 벨트(112)의 제2 촬영영상 및 수거함(200)의 제3 촬영영상을 불량 처리모듈(400)로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imaging devices 300 ar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3D printer 100 and the collection box 200 to photograph the 3D output, the conveyor belt 112, and the collection box 200. Specifically, the photographing device 300 uses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102, the second frame 104, the third frame 106, and the fourth frame 108 for photographing the 3D output and the conveyor belt 112. More than one can be installed at a time. Additionally, one or more photographing devices 300 may be installed on one upper side of the collection box 200 to photograph the collection box 200. A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300 ar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3D printer 100 and the collection box 200 and can photograph the 3D output, the conveyor belt 112, and the collection box 200 from various angles. The imaging device 300 may transmit the first captured image of the 3D output, the second captured image of the conveyor belt 112,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of the collection box 200 to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3D 출력물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판단하고, 상기 불량원인의 해소를 위한 조치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analyzes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3D output is defective and the cause of the defect, and generates an action message to resolve the cause of the defect.

구체적으로,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을 기 학습된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여 3D 출력물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고,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불량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데이터는 기 촬영된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으로부터 학습된 정상상태의 이미지 패턴과 불량상태의 이미지 패턴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을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에 정상상태의 이미지 패턴과 상이한 이미지 패턴이 포함되어 있거나 불량상태의 이미지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3D 출력물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정상상태의 이미지 패턴과 상이한 이미지 패턴이 포함되어 있거나 불량상태의 이미지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불량 처리모듈(400)은 3D 프린터(100) 또는 수거함(200)이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불량원인을 탐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determines whether the 3D output is defective by comparing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with pre-learned learning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are defective. The cause of the defect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video and the third captured video. Here, the learning data may be data about image patterns in a normal state and an image pattern in a defective state learn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ptured images.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compares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with learning data, and generates an image that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image pattern in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You can determine whether a 3D print is defective by checking whether it contains a pattern or a defective image pattern. If at least one of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contains an image pattern that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image pattern or contains an image pattern in a defective stat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may determine that the 3D printer 100 or the collection box 200 is defective and search for the cause of the defect.

일 예시로서,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1 촬영영상으로부터 3D 프린터(100)에서 생성된 각 3D 출력물의 출력시간을 수집하고 상기 출력시간이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프린팅 헤드(116)(또는 프린팅 헤드의 노즐)로 판단할 수 있다.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1 촬영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3D 프린터(100)에서 생성된 각 3D 출력물의 출력시간을 카운팅(counting)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3D 출력물의 출력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3D 출력물을 출력하는 데 걸리는 기준 출력시간이 1,800초라 가정하는 경우, 불량 처리모듈(400)은 수집된 출력시간이 1,797초 이하이거나 1,803초 이상이면 기 출력시간이 설정된 오차범위(즉, 3초)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불량원인을 프린팅 헤드(116)(또는 프린팅 헤드의 노즐)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출력시간 및 오차범위는 3D 출력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collects the output time of each 3D output generated by the 3D printer 100 from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when the output time is outside the set error rang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determines the cause of the defect by the printing head ( 116) (or the nozzle of the printing head).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can count the output time of each 3D output generated by the 3D printer 100 by analyzing the first captured image in real time, and can calculate the output time of each 3D output accordingly. there is. At this time, assuming that the standard output time required to output one 3D output is 1,800 seconds,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determines if the collected output time is 1,797 seconds or less or 1,803 seconds or more, the existing output time is within the set error range (i.e. , 3 seconds), the cause of the defect can be determined to be the printing head 116 (or the nozzle of the printing head). These standard output times and error ranges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3D output and can be set or changed by the administrator.

다른 예시로서,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2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컨베이어 벨트(112)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컨베이어 벨트(112)의 이물질로 판단할 수 있다. 불량 처리모듈(400)은 이미지 패턴분석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112)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은 컨베이어 벨트(112) 상에 존재하는 3D 출력물 이외의 물질로서, 예를 들어 먼지, 프린팅 재료의 잔여물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을 3D 출력물뿐 아니라 컨베이어 벨트(112)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제거가 필요하다.As another example, if a foreign substance exists on the conveyor belt 11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cond captured imag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may determine that the cause of the defect is a foreign substance on the conveyor belt 112.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can determine whether foreign substances exist on the conveyor belt 112 through image pattern analysis. The foreign matter is a material other than the 3D printed object existing on the conveyor belt 112, and may be, for example, dust or residue of printing material. These foreign substances can cause defects not only in the 3D printed product but also in the conveyor belt 112, so they need to be removed quickly.

다른 예시로서,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1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3D 출력물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또는 제2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컨베이어 벨트(112)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컨베이어 벨트(112)의 수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12)는 초기 세팅(setting)을 통해 수평이 편평한 상태(즉,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맞춰질 수 있으며,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컨베이어 벨트(112)의 수평이 초기 세팅(기준치)과 다르게 변경되는 경우, 3D 출력물이 기울어진 채로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1 촬영영상 내 3D 출력물의 이미지와 학습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기준치로부터 상기 3D 출력물의 기울어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2 촬영영상 내 컨베이어 벨트(112)의 이미지와 학습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기준치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벨트(112)의 기울어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3D 출력물 또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기울어진 정도가 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불량 처리모듈(400)은 상기 불량원인을 컨베이어 벨트(112)의 수평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analyzes the first captured image when the 3D output is tilted more than a set angle, or when the second captured image is analyzed when the conveyor belt 112 tilts more than the set angle. In this case, the cause of the defect can be determined by the horizontality of the conveyor belt 112. The conveyor belt 112 can be adjusted to a flat horizontal state (i.e., parallel to the ground) through initial setting, and must be operated while maintaining this state. However, if the horizontality of the conveyor belt 112 is changed to differ from the initial setting (reference value), the 3D output may be generated at an angle. Accordingly,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can determin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3D output from the re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image of the 3D output in the first captured image with the learning data. Additionally,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can determin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conveyor belt 112 from the re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image of the conveyor belt 112 in the second captured image with learning data. If the 3D output or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conveyor belt 112 is greater than a set angl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may determine that the cause of the defect is the horizontality of the conveyor belt 112.

다른 예시로서,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 중 일 영역으로 3D 출력물의 적재가 집중되어 3D 출력물이 수거함(200)을 이탈한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수거함(200)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거함(200)은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은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으며, 3D 출력물은 3D 프린터(100)로부터 배출되어 수용공간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 개의 영역 중 하나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3D 출력물이 상기 복수 개의 영역 중 일 영역으로 반복되어 적재되는 경우, 3D 출력물이 수거함(200)을 초과하여 이탈할 수 있다. 이 경우, 3D 출력물이 수거함(200)을 이탈하는 과정에서 3D 출력물이 파손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3D 출력물이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에 고르게 적재될 수 있도록 3D 출력물의 적재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analyzes the third captured image and, as a result, if the loading of the 3D output is concentrated in one area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3D output leaves the collection box 200, the defect is detected. The cause can be determined by the loading location of the 3D output in the collection box 200. As described above, the collection box 20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Here, the receiving spac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the 3D output may be plac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areas during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from the 3D printer 100 and loaded into the receiving space. However, if the 3D output is repeatedly load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areas, the 3D output may exceed the collection box 200 and fall out. In this case, defects such as damage to the 3D printed work may occur while the 3D printed work leaves the collection box 20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output so that the 3D output can be evenly stacked in a plurality of areas within the receiving space.

다른 예시로서, 수거함(200)의 바닥면에는 수용공간으로 적재되는 3D 출력물들의 총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며, 불량 처리모듈(400)은 상기 무게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총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불량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량 처리모듈(400)은 3D 출력물이 수거함(200)의 수용공간에 하나씩 적재될 때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3D 출력물들의 총 무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총 무게에 관한 정보로부터 각 3D 출력물의 무게를 계산한 후 계산된 상기 무게가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프린팅 헤드(116) 또는 수거함(200)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box 200 is equipped with a weight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the total weight of 3D printed objects loaded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detects the total weight of the 3D printed objects loaded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cause of the defect can be determined using the total weight. Specifically,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otal weight of the 3D printed objects from the weight detection sensor each time the 3D printed objects are loaded one by one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llection box 200,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otal weight of the 3D printed objects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total weight. After calculating the weight of each 3D print, if the calculated weight is outside the set error range, the cause of the defect can be determined to be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print in the printing head 116 or the collection box 200.

이와 같이,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1 촬영영상, 제2 촬영영상 및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하거나 수거함(200)의 무게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불량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불량 처리모듈(400)은 상기 불량원인의 해소를 위한 조치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3D 프린터(100)의 제어모듈(150) 또는 수거함(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can analyze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or determine the cause of the defect using the weight sensor of the collection box 200. Additionally,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may generate an action message to resolve the cause of the defect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module 150 of the 3D printer 100 or the collection box 200.

일 예시로서, 상기 불량원인이 프린팅 헤드(116)인 경우, 조치 메시지는 프린팅 헤드(116) 또는 노즐에 대한 점검 또는 교체조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if the cause of the defect is the printing head 116, the action message may include inspection or replacement measures for the printing head 116 or the nozzle.

다른 예시로서, 상기 불량원인이 컨베이어 벨트(112)의 이물질인 경우, 조치 메시지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이물질 제거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치 메시지는 상기 이물질이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12)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영역마다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2 촬영영상으로부터 이물질이 존재하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영역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불량 처리모듈(400)은 특정된 상기 영역 내 이물질의 위치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좌표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12)의 각 영역에 대한 좌표정보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불량 처리모듈(4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이물질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cause of the defect is foreign matter on the conveyor belt 112, the action message may include measures to remove foreign matter on the conveyor belt 112. At this time, the action message may additionall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nveyor belt 112 where the foreign matter is located. The conveyor belt 112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ssigned to each area.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may specify an area of the conveyor belt 112 where foreign substances exist from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extra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area. In addition,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can specify the location of the foreign matter in the specified area and determine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nveyor belt 112 where the foreign material is located from the specified location.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area of the conveyor belt 112 may be pre-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and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may refer to the database to obtain coordinate information of foreign substances.

다른 예시로서, 상기 불량원인이 컨베이어 벨트(112)의 수평인 경우, 조치 메시지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수평조절 조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치 메시지는 기준치로부터 3D 출력물의 기울어진 정도(각도) 또는 기준치로부터 컨베이어 벨트(112)의 기울어진 정도(각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1 촬영영상을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또는 제2 촬영영상을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여 기준치로부터 3D 출력물의 기울어진 정도(각도) 또는 기준치로부터 컨베이어 벨트(112)의 기울어진 정도(각도)를 파악하고, 상기 조치 메시지에 상기 기울어진 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cause of the defect is the level of the conveyor belt 112, the action message may be a measure to adjust the level of the conveyor belt 112. At this time, the ac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3D output from the reference value or the degre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onveyor belt 112 from the reference valu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compares the first captured image with learning data, or compares the second captured image with learning data to determine the degre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3D output from the reference value or the inclination of the conveyor belt 112 from the reference value. The degree (angle) of tilt may be determined,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degree of inclination may be included in the action message.

다른 예시로서, 상기 불량원인이 수거함(200)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인 경우, 조치 메시지는 3D 출력물의 적재위치 조절조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치 메시지는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 중 3D 출력물이 수거함(200)을 이탈한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3 촬영영상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 중 3D 출력물이 수거함(200)을 이탈한 영역을 특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cause of the defect is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printed object in the collection box 200, the action message may be an action to adjust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printed object. At this time, the ac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area where the 3D output left the collection box 200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receiving spac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may identify the area where the 3D output left the collection box 200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receiving space from the third captured image and obtain information about it.

불량 처리모듈(400)은 이러한 조치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3D 프린터(100)의 제어모듈(150) 또는 수거함(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may generate such an action messag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module 150 of the 3D printer 100 or the collection box 200.

또한, 불량 처리모듈(400)은 상기 불량여부 및 상기 불량원인으로부터 불량이 최초로 발생된 3D 출력물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3D 출력물로부터 폐기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3D 출력물을 결정할 수 있다. 불량 처리모듈(400)은 폐기대상이 되는 3D 출력물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3D 출력물의 식별정보로부터 폐기대상이 되는 3D 출력물을 확인하고, 이를 폐기처리하거나 재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may identify the 3D output in which the defect first occurred based on whether the defect is defective and the cause of the defect, and determine one or more 3D outputs to be discarded from the identified 3D output.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can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3D output object to be discarded and transmit it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not shown). The manager can check the 3D output subject to disposal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3D output and dispose of or recycle it.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어모듈(150) 및 수거함(200)이 상기 조치 메시지에 따라 불량원인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we will look in more detail at the process by which the control module 150 and the collection box 200 automatically process the cause of defects according to the action messag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가이드부(160)의 동작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Figure 11 is an example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16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12)의 일단에는 3D 출력물의 배출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6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60)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60)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one or more guide parts 16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veyor belt 112 to guide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3D printed object. The guide portion 160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112. Additionally, the guide unit 16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112, and may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도 11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112)의 일단 양측면에는 제1 가이드부(160-1) 및 제2 가이드부(160-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first guide part 160-1 and a second guide part 160-2 may be formed on both ends of the conveyor belt 112, respectively.

도 11의 (a)는 제1 가이드부(160-1) 및 제2 가이드부(160-2)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의 (b)는 제1 가이드부(160-1)가 제2 가이드부(160-2) 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의 (c)는 제2 가이드부(160-2)가 제1 가이드부(160-1) 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FIG. 11(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guide unit 160-1 and the second guide unit 160-2 are not operating. In addition, Figure 11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guide part 160-1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second guide part 160-2, and Figure 11 (c) shows the second guide part 160-2. This indicates a state in which (160-2)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irst guide unit (160-1).

상술한 바와 같이, 불량 처리모듈(400)은 상기 불량원인이 수거함(200)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인 경우 상기 불량원인에 관한 정보와 조치 메시지, 즉 3D 출력물의 적재위치 조절조치에 관한 정보를 제어모듈(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치 메시지는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 중 3D 출력물이 수거함(200)을 이탈한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150)은 상기 조치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가이드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150)은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 중 일 영역으로 상기 3D 출력물의 적재가 집중되지 않도록 제1 가이드부(160-1) 및 제2 가이드부(16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D 출력물은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으로 고르게 적재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use of the defect is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output in the collection box 200,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provides information regarding the cause of the defect and an action message, that is, information regarding measures to adjust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outpu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50. At this time, the ac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area where the 3D output left the collection box 200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receiving space. 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5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160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tion message. That is, the control module 150 operates the first guide unit 160-1 and the second guide unit 160-2 to prevent the loading of the 3D output from being concentrated in one area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receiving space. You can control it. Accordingly, 3D outputs can be evenly stacked in a plurality of areas within the receiving spac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가 제어되어 3D 출력물이 컨베이어 벨트(112) 상에 안착되는 위치가 동적으로 변경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 Figure 12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116 is contro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3D print is placed on the conveyor belt 112 is dynamically changed. This is an example shown.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불량원인이 수거함(200)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인 경우, 제어모듈(150)은 상기 조치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노즐 가이드부(114) 및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when the cause of the defect is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output in the collection box 200, the control module 150 controls the nozzle guide unit 114 and the printing head 116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tion message. ) can be controlled.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 가이브부(114)는 상기 제2 프레임(104)의 내측에 마련된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 및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의 거리(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노즐 가이드부(114)의 일측에도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프린팅 헤드(116)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팅 헤드(116)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의 거리(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레일(104)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ozzle guide portion 114 can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provided inside the second frame 104,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116 and the distance from the base plate 110 Distance (height) can be variable. Additionally, a second guide rail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nozzle guide unit 114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116. The printing head 116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guide rail and may mov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In this case, the printing head 116 can move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rails 104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height) from the base plate 110.

제어모듈(150)은 상기 조치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 중 일 영역으로 상기 3D 출력물의 적재가 집중되지 않도록 노즐 가이드부(114) 및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150)은 3D 출력물을 하나씩 생성할 때마다 노즐 가이드부(114) 및 프린팅 헤드(116)의 위치를 다르게 제어하여 컨베이어 벨트(112) 상에서의 각 3D 출력물의 안착위치를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3D 출력물은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으로 고르게 적재될 수 있다.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tion message, the control module 150 positions the nozzle guide unit 114 and the printing head 116 so that the loading of the 3D output is not concentra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receiving space.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control module 150 controls the positions of the nozzle guide unit 114 and the printing head 116 differently each time a 3D print is created, dynamically adjusting the seating position of each 3D print on the conveyor belt 112. It can change. Accordingly, the 3D output can be evenly stacked in a plurality of areas within the receiving spac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함(200)의 위치가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Figure 13 is an example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collection box 2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불량원인이 수거함(200)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인 경우, 수거함(200)은 불량 처리모듈(400)로부터 상기 불량원인에 관한 정보와 조치 메시지, 즉 3D 출력물의 적재위치 조절조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거함(200)은 상기 조치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 중 일 영역으로 상기 3D 출력물의 적재가 집중되지 않도록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거함(200)은 상하 이동을 위한 승강장치(미도시)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거함(200)은 바닥면에 좌우 이동(즉, 전진 이동 및 후진 이동)을 위한 이동 레일(미도시)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레일 상에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거함(200)은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 중 일 영역으로 상기 3D 출력물의 적재가 집중되지 않도록 3D 출력물의 배출 과정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cause of the defect is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output in the collection box 200, the collection box 200 receives information and an action message regarding the cause of the defect from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that is, loading of the 3D output. Information regarding position adjustment measures may be received. The collection box 200 may mov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tion message so that the loading of the 3D output is not concentra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receiving space. To this end, the collection box 200 can be mounted on a lifting device (not shown) for up and down movement and can move up and down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lifting device. Additionally, the collection box 200 can be mounted on a moving rail (not shown) for left and right movement (i.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n the floor and can move left and right on the moving rail. In this way, the collection box 200 may mov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3D prints so that the loading of the 3D prints is not concentra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receiving spac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열풍 발생기(170) 및 브러쉬(180)의 동작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Figure 14 is an example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operations of the hot air generator 170 and the brush 180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112)의 타단에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열풍 발생기(170) 및 브러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열풍 발생기(170)는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12)의 타단 측 풀리(112a) 측으로 열풍을 발생시킴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12)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E)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E)과 컨베이어 벨트(112) 간의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후, 브러쉬(180)는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12) 상의 이물질(E)을 제거할 수 있다. 브러쉬(180)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112)의 타단 측 풀리(112a)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브러쉬(180)는 예를 들어,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전후 또는 좌우로 반복운동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12) 상의 이물질(E)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E)은 브러쉬(180)의 동작 전 열풍 발생기(170)에 의해 열이 가해진 상태이므로 브러쉬(180)의 동작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12)로부터 손쉽게 제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a hot air generator 170 and a brush 18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belt 112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onveyor belt 112. The hot air generator 170 can apply heat to the foreign matter (E) present on the conveyor belt 112 by generating hot air toward the pulley 112a at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belt 11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there is. Accordingly,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oreign matter (E) and the conveyor belt 112 may be weakened. Thereafter, the brush 180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E) on the conveyor belt 112 by oper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For example, the brush 180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pulley 112a at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belt 112. For example, the brush 180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E) on the conveyor belt 112 by repeatedly moving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Since the foreign matter (E) is in a state of being heated by the hot air generator 170 before the operation of the brush 180, i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conveyor belt 11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rush 180.

상술한 바와 같이, 불량 처리모듈(400)은 제2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컨베이어 벨트(112)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불량원인을 컨베이어 벨트(112)의 이물질로 판단하고, 컨베이어 벨트(112)의 이물질 제거조치를 포함하는 조치 메시지를 제어모듈(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치 메시지는 상기 이물질이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상기 이물질의 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열풍 발생기(170)에서 발생되는 열풍의 발생방향과 브러쉬(180)의 동작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열풍 발생기(170)와 브러쉬(180)는 평상시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이물질(E) 발생시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열풍 발생기(170)에서 발생되는 열풍의 발생방향과 브러쉬(180)의 동작방향 또한 이물질의 좌표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analyzes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determines that the cause of the defect is a foreign object on the conveyor belt 112 when there is a foreign material on the conveyor belt 112. )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50. At this time, the action message may additionall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nveyor belt 112 where the foreign matter is located. The control module 150 may control the direction of generation of hot air generated from the hot air generator 170 and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rush 180 with reference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oreign matter. That is, the hot air generator 170 and the brush 180 do not operate in normal times, and can be selectively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when foreign substances (E) are generated, and the hot air generated from the hot air generator 170 is generated. The direction and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brush 180 may also dynamically change depending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oreign matter.

또한,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컨베이어 벨트(112)의 하면에는 컨베이어 벨트(112)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 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관리자는 수평 조절부를 조작하여 컨베이어 벨트(112)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12)는 초기 세팅을 통해 수평이 편평한 상태(즉,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맞춰질 수 있으며,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컨베이어 벨트(112)의 수평이 초기 세팅(기준치)과 다르게 변경되는 경우, 3D 출력물이 기울어진 채로 생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불량 처리모듈(400)로부터 불량원인에 관한 정보 및 조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치 메시지는 기준치로부터 3D 출력물의 기울어진 정도(각도) 또는 기준치로부터 컨베이어 벨트(112)의 기울어진 정도(각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상기 조치 메시지에 포함된 기울어진 정도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수평 조절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12)의 수평이 초기 세팅과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horizontal adjustmen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112 to adjust the level of the conveyor belt 112. The manager can adjust the level of the conveyor belt 112 by manipulating the leveling unit. As described above, the conveyor belt 112 can be adjusted to a flat horizontal state (i.e., parallel to the ground) through initial setting, and must be operated while maintaining this state. However, if the horizontality of the conveyor belt 112 is changed to differ from the initial setting (reference value), the 3D output may be generated at an angle. The control module 150 may receive information and action messages regarding the cause of defects from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400. At this time, the ac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3D output from the reference value or the degre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onveyor belt 112 from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module 150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veling unit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inclination included in the action message, and accordingly adjusts the level of the conveyor belt 112 to be the same as the initial setting. It can b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히팅베드(190)의 동작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Figure 15 is an example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heated bed 19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112)(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면에는 열 전달을 위한 히팅베드(19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히팅베드(190)는 3D 출력물이 컨베이어 벨트(112)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12)(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부는 설정된 복수 개의 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획별로 히팅베드(190)가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a heating bed 190 for heat transfe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112 (or base plate 110). The heating bed 190 is a device that generates heat so that the 3D printed object can be stably seated on the conveyor belt 112. As shown in FIG. 15, the lower part of the conveyor belt 112 (or base plate 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a heating bed 190 may be provided for each section.

도 15의 (a)는 컨베이어 벨트(112)(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부가 6개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6개의 히팅베드(190)가 마련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의 (b)는 컨베이어 벨트(112)(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부가 8개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8개의 히팅베드(190)가 마련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5 (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conveyor belt 112 (or base plate 110) is divided into six sections and six heating beds 190 are provided, and Figure 15 (b) )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conveyor belt 112 (or base plate 110) is divided into eight sections and eight heating beds 190 are provided.

이때, 제어모듈(150)은 3D 출력물이 안착된 컨베이어 벨트(112)의 영역에 대응되는 구획의 히팅베드(190)만을 동작시키고 나머지 히팅베드(190)에 대해서는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제어모듈(150)은 3D 출력물이 안착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구획의 히팅베드(190)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50 may operate only the heating bed 190 in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conveyor belt 112 on which the 3D printed object is placed and turn off the remaining heating beds 190. That is, the control module 150 can minimize power loss by selectively operating only the heating bed 190 in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3D output is placed.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but also by equivalents to the claims.

100 : 3D 프린터
102 : 제1 프레임
104 : 제2 프레임
106 : 제3 프레임
108 : 제4 프레임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2 : 컨베이어 벨트
112a : 풀리
114 : 노즐 가이드부
116 : 프린팅 헤드
150 : 제어모듈
160 : 가이드부
170 : 열풍 발생기
180 : 브러쉬
190 : 히팅베드
200 : 수거함
300 : 촬영장치
400 : 불량 처리모듈
500 : 3D 프린팅 시스템
100: 3D printer
102: first frame
104: 2nd frame
106: third frame
108: 4th frame
110: base plate
112: conveyor belt
112a: pulley
114: nozzle guide part
116: printing head
150: Control module
160: Guide part
170: hot air generator
180: brush
190: Heated bed
200: Collection box
300: filming device
400: defect processing module
500: 3D printing system

Claims (7)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마련된 프린팅 헤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프린팅 재료를 출력하여 3D 출력물을 생성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된 컨베이어 벨트에 상기 3D 출력물이 안착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상기 3D 출력물을 자동 배출하는 3D 프린터;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3D 프린터로부터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3D 출력물을 상기 수용공간에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수거함;
상기 3D 프린터의 적어도 일 측면 및 상기 수거함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3D 출력물,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수거함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및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상기 3D 출력물의 제1 촬영영상,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제2 촬영영상 및 상기 수거함의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3D 출력물의 불량여부 및 불량원인을 판단하고, 상기 불량원인의 해소를 위한 조치 메시지를 생성하는 불량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
A printing head provid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base plate provided parallel to the ground outputs a printing material toward the base plate to create a 3D print, and the 3D print is seated on a conveyor bel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3D printer that automatically discharges the 3D output through the conveyor belt;
A collection box having a receiv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sequentially receiving one or more 3D outputs discharged from the 3D printer into the receiving space;
At least one imaging device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3D printer and the collection box to photograph the 3D output, the conveyor belt, and the collection box; and
Analyze the first captured image of the 3D output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the second captured image of the conveyor belt,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of the collection box to determine whether the 3D printed product is defective and the cause of the defect, and determine the cause of the defect. A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3D output, including a defect processing module that generates an action message to resolve the probl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량 처리모듈은, 상기 제1 촬영영상, 상기 제2 촬영영상 및 상기 제3 촬영영상을 기 학습된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3D 출력물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촬영영상, 상기 제2 촬영영상 및 상기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불량원인을 판단하는,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
In claim 1,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3D output is defective by comparing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with pre-learned learning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he 3D output is defective, and 2 A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3D printed products that analyzes the captured image and the third captured image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defec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불량 처리모듈은, 상기 제1 촬영영상으로부터 상기 3D 프린터에서 생성된 각 3D 출력물의 출력시간을 수집하고 상기 출력시간이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상기 프린팅 헤드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3D 출력물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또는 상기 제2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수평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3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수용공간 내 복수 개의 영역 중 일 영역으로 상기 3D 출력물의 적재가 집중되어 상기 3D 출력물이 상기 수거함을 이탈한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상기 수거함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로 판단하는,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
In claim 2,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collects the output time of each 3D output generated by the 3D printer from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when the output time is outside a set error range, determines the cause of the defect to be the printing head, and the first 2 If a foreign substance exists on the conveyor bel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the cause of the defect is determined to be a foreign substance in the conveyor belt, and if the 3D output is tilted beyond a set ang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rst captured image 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cond captured image, if the conveyor belt is inclined more than a set angle, the cause of the defect is determined to be the horizontality of the conveyor belt,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ird captured image, a plurality of areas in the receiving space are determined. A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3D prints, wherein when the loading of the 3D prints is concentrated in one area and the 3D prints leave the collection box, the cause of the defect is determined by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prints in the collection box.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적재되는 3D 출력물들의 총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불량 처리모듈은, 상기 3D 출력물이 상기 수거함의 상기 수용공간에 하나씩 적재될 때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상기 3D 출력물들의 총 무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총 무게에 관한 정보로부터 각 3D 출력물의 무게를 계산한 후 계산된 상기 무게가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불량원인을 상기 프린팅 헤드 또는 상기 수거함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로 판단하는,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
In claim 3,
A weight sensor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box to detect the total weight of the 3D printed objects loaded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otal weight of the 3D prints from the weight detection sensor each time the 3D prints are loaded one by one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llection box,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otal weight of each 3D print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total weight. A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3D prints that calculates the weight and, if the calculated weight is outside the set error range, determines that the cause of the defect is the printing head or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print in the collection box.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단에는, 상기 3D 출력물의 배출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타단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열풍 발생기 및 브러쉬가 구비되고,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가이드부, 상기 열풍 발생기 및 상기 브러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불량 처리모듈로부터 상기 불량원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불량원인의 해소를 위한 조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불량원인이 상기 수거함 내 3D 출력물의 적재위치인 경우 상기 조치 메시지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불량원인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인 경우 상기 조치 메시지에 따라 상기 열풍 발생기 및 상기 브러쉬를 동작시키는,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
In claim 4,
At one end of the conveyor belt, one or more guide parts are formed to guide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3D printed object,
At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belt, a hot air generator and a brush are provid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onveyor belt,
The 3D printer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the hot air generator, and the brush,
The control module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ause of the defect and an action message for resolving the cause of the defect from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and when the cause of the defect is the loading position of the 3D output in the collection box, the control module performs the ac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action message. A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3D printed objects that operates the guide unit and operates the hot air generator and the brush according to the action message when the cause of the defect is foreign matter on the conveyor bel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불량 처리모듈은, 상기 불량여부 및 상기 불량원인으로부터 불량이 최초로 발생된 3D 출력물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3D 출력물로부터 폐기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3D 출력물을 결정하는,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
In claim 5,
The defect processing module identifies the 3D output in which the defect first occurred based on whether the defect is defective and the cause of the defect, and determines one or more 3D outputs to be discarded from the identified 3D output for mass production of 3D output. 3D printing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는, 설정된 복수 개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각 구획별로 히팅베드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3D 출력물이 안착된 컨베이어 벨트의 영역에 대응되는 구획의 상기 히팅베드만을 동작시키는, 3D 출력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
In claim 5,
The lower part of the base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nd a heating bed is provided for each compartment,
The control module is a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3D printed objects that operates only the heating bed in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conveyor belt on which the 3D printed object is mounted.
KR1020220175569A 2022-12-15 2022-12-15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ing of 3d output KR202400941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569A KR20240094199A (en) 2022-12-15 2022-12-15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ing of 3d out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569A KR20240094199A (en) 2022-12-15 2022-12-15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ing of 3d outp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4199A true KR20240094199A (en) 2024-06-25

Family

ID=9171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569A KR20240094199A (en) 2022-12-15 2022-12-15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ing of 3d out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9419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565A (en) 2020-02-11 2022-08-30 주식회사 캐리마 3D Prin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565A (en) 2020-02-11 2022-08-30 주식회사 캐리마 3D Pri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4268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artificial intelligence feedback control in laminated molding
CN106040600B (en) The automatic sorting method of cylindrical parts
TWI620700B (en) Speed detecting device for parts feeding and parts feeding machine
CN104487368B (en) Control th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traveling of value document stacking
US10183445B2 (en) Method for using multiple optical sensor arrays to measure features on objects produced in a three-dimensional object printer
CN105818374A (en) Three dimensional printing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297395B1 (en) Secondary battery eloctrode panel vision detection method
US11993007B2 (en) Measuring system for a device for the generative manufacturing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KR101718144B1 (en) Vision inspection device of contact lens
US201700593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optical sensor focus to identify feature heights on objects being produced in a three-dimensional object printer
JP2010023459A (en) Nozzle defect examination method
CN112996615A (en) Method of identifying abnormal events in additive manufacturing
US9352572B2 (en) System for detecting inoperative inkjets in three-dimensional object printing using an optical sensor and movable test substrates
ES2901250T3 (en) Integration of an inline scanning camera in a single pass inkjet printer
US11225066B2 (en) In-line detection and correction of underperforming light emitting diodes in a curing station of a three dimensional object printer
KR20240094199A (en) 3d printing system for mass producing of 3d output
US20210252646A1 (en) Laser cutting system and method
CN105538927B (en) Sheet detect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aper
US20200406344A1 (en) Mold-shift detection device for upper and lower molds and mold-shift detection method for upper and lower molds
US7245756B2 (en) Liquid ejection inspecting method, liquid ejection inspec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U2022395642A1 (en) Printing apparatus and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utomatic position calibration
CN108029233B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US20140347420A1 (en) Nozzle ejection trajectory detection
KR1024790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ellets Sorting Using Frequency and Vibration Control
CN116457111A (en) Particle defect inspection system using multi-tone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