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7264A -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7264A KR20240087264A KR1020220172800A KR20220172800A KR20240087264A KR 20240087264 A KR20240087264 A KR 20240087264A KR 1020220172800 A KR1020220172800 A KR 1020220172800A KR 20220172800 A KR20220172800 A KR 20220172800A KR 20240087264 A KR20240087264 A KR 202400872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box
- link
- housing
- air conditioner
- wi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17 electrostatic precipit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6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관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 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배관 연결부와 상하방향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배관 연결부와 덜 중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동 구조를 갖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의 대상이 되는 공간(이하 "실내 공간"이라 한다)의 공기를 목적과 용도에 맞게 적합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는, 냉방 모드 운전 시, 실내 공간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한 후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를 냉방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는, 난방 모드 운전 시, 실내 공간의 차가운 공기를 흡입하여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한 후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를 난방 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일체형과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공기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에 설치되고, 실외기가 실외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기는 냉매 배관에 의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된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종류 중 하나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박스가, 실내기 내부 공간 제약으로 인해, 흡입구에 인접하여 공기 유로 상에 마련된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의 동작 시, 컨트롤 박스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여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 구조를 갖는 컨트롤 박스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관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 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배관 연결부와 상하방향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배관 연결부와 덜 중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흡입구에 가까운 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제1 회전축을 정의하며,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제1 연결부를 가지는 링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회전축과 나란한 제2 회전축을 정의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에 연결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제1 연동 홀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환형의 제1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컨트롤 박스에 마련된 제2 연동 홀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환형의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 각각은,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외측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각각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링크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링크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 팬과 상기 컨트롤 박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electric wir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전선 수용부를 갖는 링크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전선 수용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링크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바디에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 커버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은 상기 링크 바디의 상기 전선 수용부와 연통되는 제1 전선 홀 및 제2 전선 홀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선이 상기 제1 전선 홀, 상기 전선 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 홀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상기 링크 바디는, 상기 타 측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 제1 전선 홀과, 상기 제1 전선 홀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타 측에서 상기 제2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 제2 전선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바디는 양 측면 각각에 개구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슬릿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컨트롤 박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면 하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내기의 컨트롤 박스가 흡입구를 통한 공기 유동을 저해하지 않는 외측 위치에 배치되어 실내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내기의 컨트롤 박스는, 냉매 배관 등의 설치나 보수를 위해 필요한 경우, 그러한 설치나 보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위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컨대 냉매 배관이나 드레인 배관 등의 설치나 보수가 필요로 될 때, 상기 배관들을 가로막지 않는 위치로 링크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컨트롤 박스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또는 관리자)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냉매 배관이나 드레인 배관 등의 설치 또는 보수가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링크 어셈블리를 통해 컨트롤 박스를 원래의 위치, 예컨대 상기 배관부에 인접하고 상기 흡입구를 가리지 않는 위치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공기조화기의 구동 시 상기 흡입구를 향한 공기 유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를 선 A-A'를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되고 천장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와 링크 어셈블리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링크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링크 구조물의 링크 바디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링크 바디에 전선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b)는, 링크 바디에 전선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 바디에 링크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링크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예에 따라, 배관 연결부가 노출되도록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상태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공기조화기에서 컨트롤 박스가 배관 연결부 상의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공기조화기의 정상 동작을 위해, 컨트롤 박스가 회전하여 정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되고 천장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배관 연결부가 노출되도록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되고 천장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배관 연결부가 노출되도록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를 선 A-A'를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되고 천장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와 링크 어셈블리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링크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링크 구조물의 링크 바디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링크 바디에 전선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b)는, 링크 바디에 전선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 바디에 링크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링크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예에 따라, 배관 연결부가 노출되도록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상태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공기조화기에서 컨트롤 박스가 배관 연결부 상의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공기조화기의 정상 동작을 위해, 컨트롤 박스가 회전하여 정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되고 천장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배관 연결부가 노출되도록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되고 천장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배관 연결부가 노출되도록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해당하는 문구와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해당하는 용어와 함께 열거된 복수의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커플드", "커넥티드", "연결", "결합", "지지", "접속",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커플드, 커넥티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커플드, 커넥티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 등과 적절히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은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것 만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이,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장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장치일 수도 있고, 해당 동작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 기재된 설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문서가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문서가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예시적 공기조화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를 선 A-A'를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 예에서,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10), 송풍 팬(20), 열교환기(30), 유로 가이드(40), 드레인(50), 응축수 가이드(60), 및 천장 패널(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은, 천장면(C) 내측으로 매립 배치될 수 있다(도 1에서 천장면(C) 내측으로 매립된 영역은 도시되지 않음). 일 예에서, 하우징(10)은, 하부가 개방된, 전체적으로 육면체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개시가 하우징의 특정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면(C) 내측으로 Z축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매립된 하우징(10)은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빈 공간을 에워싸도록 하우징(10)의 내측 외벽 상에 배치되는 단열 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11)는, 예를 들어, 발포 폴리스티렌 등 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의 내부 빈 공간은,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고 공기 조화가 이루어지는 공조 공간(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조 공간(12)에는, 송풍 팬(20), 열교환기(30), 및 응축수 가이드(60)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1)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송풍 팬(20)은, 하우징(10) 내부(예: 공조 공간(1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 팬(20)은,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예: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회전축(미도시)을 구비한 횡류 팬일 수 있다. 상기 송풍 팬(20)은, 회전축에 일측이 결합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 팬(20)의 회전에 의해 공조 공간(12) 내에 공기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은, 후술하는 흡입구(71)로부터 토출구(75)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팬(20)의 회전에 의해 공기 유동이 형성된 경우, 흡입구(71)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되어 가열/냉각된 뒤 토출구(75)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토출 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열교환기(30)는, 하우징(10) 내부(예: 공조 공간(1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는, 후술하는 흡입구(71)와 송풍 팬(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는, 하우징(10)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는, 예를 들어, 하단부가 송풍 팬(20)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단부로부터 상기 흡입구(71)의 상측 공간을 향하여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방의 지면 또는 흡입구(71)에 대향하는 열교환기(30)의 측부 공간(측면적)이 증가하고 흡입구(71)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기(30)의 접촉 면접이 증대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의 경사진 측부는,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예: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열교환기(30)는, 2열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열교환기(30)는, 메인 열교환기와 보조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유로 가이드(40)는, 흡입구(71)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75)로 가이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유로 가이드(40)는, 공조 공간(12) 내 배치된 송풍 팬(20) 및 열교환기(30)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유로 가이드(40)는,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예: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유로 가이드(40)는, 하우징(10) 내부의 공조 공간(12)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유로 가이드(40)는, 송풍 팬(20)에 인접한 공조 공간(12)의 일 영역에서 상기 송풍 팬(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일 부분이 곡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 가이드(40)는, 송풍 팬(20)의 구동 시 흡입구(71)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75)로 유동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가 흡입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예: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드레인(50)은, 열교환기(30)에서 일어나는 열교환 과정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30)의 표면에 맺힌 응축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드레인(50)은, 열교환기(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드레인(50)은, 열교환기(30)의 하단부를 받치는 오목한 형상을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50)의 홈에는 후술하는 응축수 가이드(60)에 의해 가이드된 응축수가 수용될 수 있다. 드레인(50)의 홈에 수용된 응축수는 외부로 연결된 배관 호스(예컨대, 도 8의 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응축수 가이드(60)는, 열교환기(30)의 경사지게 배치된 측부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열교환기(30)가 흡입구(71) 상방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응축수 가이드(60)는 공기 유로 상 열교환기(30)보다 상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응축수 가이드(60)는, 열교환기(30)에 대해 후방(예: -X 방향) 및 하방(예: -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응축수 가이드(60)에, 열교환기(30)에서 일어나는 열교환 과정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30)의 표면에 맺혀 지면 또는 천장면 등을 향해 하방으로 낙하하는 응축수가 떨어질 수 있고, 응축수 가이드(60)는 하방으로 낙하한 응축수를 드레인(50)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응축수 가이드(60)가 열교환기(30)와 지면 또는 천장면에 대해 동일한 각도를 이루며 나란히 배치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천장 패널(70)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의 하측, 즉 공조 공간(12)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천장면(C)에 부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천장 패널(70)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더하여, 하우징(10)의 외부이며 천장면(C) 내 공간에 매립 배치되는 별도의 구성, 예컨대 배관 연결부 및 컨트롤 박스 등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천장면(C)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천장 패널(7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천장 패널(70)은, 흡입구(71), 흡입 그릴(72), 공기 필터(73) 및 토출구(7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흡입구(71)는, 외부 실내 공간의 공기가 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되도록 천장 패널(70)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흡입구(71)는, 천장 패널(70)의 일 측(예: -X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흡입구(71)는, 열교환기(3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흡입구(71)는, 천장 패널(70)의 하측으로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흡입구(71)는, 천장 패널(70)의 길이 방향(예: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흡입 그릴(72)은, 흡입구(7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흡입 그릴(72)은, 하우징(10) 내부로의 이물질 침입을 차단하고, 공기조화기(1)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흡입 그릴(72)은, 가로 세로를 일정한 간격을 갖는 격자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공기 필터(73)는, 흡입구(7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공기 필터(73)는, 흡입구(71)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필터(73)는, 예를 들어, 전기 집진 필터, 헤파 필터, 항균 필터, 및 탈취 필터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특정 필터의 종류 및 개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흡입구(71)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은, 1차적으로 흡입 그릴(72)에 의해 필터링 된 뒤, 2차적으로 공기 필터(73)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토출구(75)는, 하우징(10) 내부에서 열교환을 마친 공기가 외부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천장 패널(70)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토출구(75)는, 흡입구(71)의 형성 위치에 반대되는, 천장 패널(70)의 타 측(예: +X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토출구(75)는, 송풍 팬(2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토출구(75)는, 천장 패널(70)의 하측으로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토출구(75)는, 천장 패널(70)의 길이 방향(예: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토출구(75)에는, 상기 토출구(75)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루버 구조(또는, 베인 구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루버 구조는, 천장면(C)에 대해 소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루버 구조의 회전을 통해 토출구(75)를 통해 외부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상하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되고 천장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와 링크 어셈블리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하우징에 관한 설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노출되는 쪽을 하면이라 하고, 그 반대쪽의 상부 천장벽을 향하는 면을 상면이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상 X축을 기준으로 흡입구(71) 측에서 하면과 상면을 연결하는 면을 전면이라 하고, 그 반대쪽 토출구(75) 측에서 하면과 상면을 연결하는 면을 후면이라 할 것이다. 또한, 전면 측에서 바라볼 때, 우측에서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면을 우측면이라 하고, 그 반대쪽 좌측에서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면을 좌측면이라 할 것이다.
일 예에서, 공기조화기(1)는, 건물 내부의 천장면(예: 도 2의 C) 상측에서 상부 천장벽(미도시)에 매달려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가 천장벽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우징(10)을 지지하는 복수의 행거(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복수의 행거(13) 각각은, 하우징(10)의 각 모서리(또는 코너)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복수의 행거(13) 각각은, 하우징(10)의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행거(13) 각각이 상부 천장벽에 고정된 지지 구조물(미도시)에 결합 배치됨으로써, 하우징(10)이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에서, 하우징(10)은, 전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우측면 쪽에 배치되는 우측부(14)의 외부 일부(예: Z축 방향을 따라, 하우징(10)의 하면 쪽에 가까운 부분)에서, 소정 구간 X축 방향을 따라 중앙을 향해 함몰 형성된 리세스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리세스부(141)는, 우측부(14)의 전면 및 후면 쪽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은, 예컨대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전면과 후면 양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각각 함몰 형성된 양측 두 개의 리세스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리세스부(141) 각각은 후술하는 링크 어셈블리(9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리세스부(141) 각각은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X축 방향을 따라 중앙을 향해 함몰 형성된 위치의 수직 평면에 제1 연동 홀(142)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리세스부(141) 각각에는 후술하는 링크 어셈블리(90)(구체적으로, 각 링크 구조물(90a, 90b))가 배치될 수 있고, 리세스부(141)의 제1 연동 홀(142) 각각에는 후술하는 링크 어셈블리(90)(구체적으로, 각 링크 구조물(90a, 90b))의 제1 연결부(912)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우징(10)의 우측부(14)의 리세스부(141) 각각의 수직 평면에서, 제1 연동 홀(142)은 하우징(10)의 하면 쪽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의 우측면에는, 배관 연결부(33)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배관 연결부(33)에는,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관(31, 32, 5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배관 연결부(33)에는, 열교환기(30)로 유입되는 냉매가 유동하는 제1 냉매관(31)과, 열교환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유동하는 제2 냉매관(32)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배관 연결부(33)에는, 드레인(50)에 연결되어 상기 드레인(50)에 수용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호스(51)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의 우측면(예: 우측부(14)의 우측 외곽 표면)에는, 스토퍼부(15)가 마련될 수 있고,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스토퍼부(15)는, 우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스토퍼부(15)는, 전체적으로, 상면 측(예: Z 방향을 향하는 쪽)에 평탄면을 가지며 하면 측(예: -Z 방향을 향하는 쪽)에 경사면을 갖도록 삼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공기조화기(1)가 공기 조화를 위하여 정상 구동 시, 후술하는 컨트롤 박스(80)가 배관 연결부(33)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배관 연결부(33)의 하측(예: -Z 방향)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컨트롤 박스(80)가 상기 스토퍼부(15)에 걸림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상기 컨트롤 박스(80)는 위치를 고정 유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1)는, 컨트롤 박스(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컨트롤 박스(80)는, 송풍 팬(20)을 비롯한 공기조화기(1)의 각종 구성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PBA(PCB Board Assembly)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는 X축 방향 길이 x, Y축 방향 길이 y, 및 Z축 방향 길이 z를 갖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컨트롤 박스(80)는, X축 방향 길이 x 및 Y축 방향 길이 y에 비해 짧은 Z축 방향 길이 z를 가질 수 있고,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의 PBA는, 전선(미도시)을 통해 송풍 팬(20)과 같은 공기조화기(1)의 각 구성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의 PBA 기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가 공기 조화를 위한 정상 동작 시, XY 평면 상에서 하우징(10)의 하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는, 링크 어셈블리(90)를 통해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우징(10)에 대한 컨트롤 박스(80)의 위치는, 링크 어셈블리(90)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는, 공기조화기(1)의 정상 동작 시,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박스(80)는, 공기 흡입구(71) 또는 토출구(75)를 가리지 않는, 예컨대 배관 연결부(33)와 상하방향 중첩되는 위치(예: 배관 연결부(33)의 하측에 해당하는 위치)(예: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예를 들어, 배관 연결부(33)에 대한 작업(예컨대, 설치 또는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컨트롤 박스(80)는, 작업자를 위해 배관 연결부(33)가 충분히 노출될 수 있도록, 예컨대 배관 연결부(33)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예: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는, 작업자를 위해 배관 연결부(33)가 충분히 노출될 수 있도록, 예컨대 하우징(10)의 흡입구(71) 쪽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 연결부(33)에 대한 작업이 완료된 경우, 컨트롤 박스(8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원래의 위치, 예컨대 상기 배관 연결부(33)와 상하방향 중첩되는 위치(예: 제1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컨트롤 박스(8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는 연동 홀(81)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연동 홀(81)에는 후술하는 링크 어셈블리(90)의 제2 연결부(913)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1)는, 링크 어셈블리(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어셈블리(90)는, 한 쌍의 링크 구조물(90a, 9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은, 하우징(10)과 컨트롤 박스(80)의 전면 및 후면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은, 일 단부가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은, 전술한 제1 연결부(912) 및 제2 연결부(913)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의 제1 연결부(912)가 하우징(10)의 우측부(14)에 마련된 제1 연동 홀(142) 각각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의 양측 제1 연동 홀(142)을 잇는 제1 회전축(R1)이 정의될 수 있다. 링크 구조물(90a, 90b)은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은, 타 단부가 컨트롤 박스(8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의 제2 연결부(913)가 컨트롤 박스(80)에 마련된 제2 연동 홀(81)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 박스(80)의 양측 제2 연동 홀(81)을 잇는 제2 회전축(R2)이 정의될 수 있다. 링크 구조물(90a, 90b)에 연결된 컨트롤 박스(80)가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링크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링크 구조물의 링크 바디를 다양한 각도에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링크 바디에 전선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b)는, 링크 바디에 전선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 바디에 링크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의 (b)를 참고하면, 일 예에서, 링크 어셈블리(90)의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은, 링크 바디(910)와 링크 커버(9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는, 도면 상 X축 방향을 향하여 환형으로 형성된 제1 연결부(912), 제1 연결부(912)로부터 -X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일 단부(9113), 제1 연결부(912)의 반대쪽에서 X축 방향을 향하여 환형으로 형성된 제2 연결부(913), 및 제2 연결부(913)로부터 -X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타 단부(9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는, 일 단부(9113)와 타 단부(9114) 사이에서 Y축을 따라 연장되며 링크 구조물(90a, 90b)의 전반적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바디부(9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는, 내부에 전선(W)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는, 실질적으로 중공(hollow)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는 일측이 개방되며, X축 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전선 수용 공간(9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의 일면(예: Z축 방향을 향하는 면) 및 반대쪽 일면(예: -Z 방향을 향하는 면) 각각에는 후술하는 링크 커버(920)의 끼움 돌기(922)가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끼움 홀(9112)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끼움 홀(9112)은, 바디부(914)의 길이 방향(예: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의 일 단부(9113)는, 하우징(10)의 제1 연동 홀(142)로부터 X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일 단부(9113)는 Y축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부(914)를 향하여 벤딩되며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로 연결되는 상기 일 단부(9113)의 내측면(9113a)의 적어도 일부는, 굴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링크 바디(910)의 수용 공간(9111)에 수용된 전선(W)의 과도한 꺾임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의 일 단부(9113)의 일 측면(예: +Y 방향을 향하는 외측 면)에는 측방으로 개구 형성된 제1 와이어 슬릿(9113b)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와이어 슬릿(9113b)은 링크 바디(910)의 일 단부(9113)의 길이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와이어 슬릿(9113b)은, 다른 방향으로 적어도 2회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제1 와이어 슬릿(9113b)는 후술하는 제1 탄성부(9124)와 개구 연통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의 타 단부(9114)는, 컨트롤 박스(80)의 제2 연동 홀(81)로부터 X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타 단부(9114)는 Y축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부(914)를 향하여 벤딩되며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로 연결되는 타 단부(9114)의 내측면(9114a)의 적어도 일부는, 굴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링크 바디(910)의 수용 공간(9111)에 수용된 전선(W)의 과도한 꺾임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의 타 단부(9114)의 일 측면(예: -Y 방향을 향하는 외측 면)에는 측방으로 개구 형성된 제2 와이어 슬릿(9114b)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와이어 슬릿(9114b)은 링크 바디(910)의 타 단부(9114)의 길이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와이어 슬릿(9114b)은, 다른 방향으로 적어도 2회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제2 와이어 슬릿(9114b)는 후술하는 제2 탄성부(9124)와 개구 연통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912)는, 환형 형상의 제1 연동 돌기(9122) 및 제1 연동 홈(9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환형 형상의 제1 연동 돌기(9122) 및 제1 연동 홈(9123)에 의해 제1 와이어 홀(9121)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연동 돌기(9122)는, 제1 연결부(912)의 선단에서 환형 형상을 이루며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연동 홈(9123)은, 제1 연동 돌기(9122)의 후방에서 상기 제1 연동 돌기(9122)와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도록 둘레 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연동 돌기(9122)와 제1 연동 홈(9123)이 함께, 이들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제1 와이어 홀(9121)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와이어 홀(9121)은, 하우징(10)의 제1 연동 홀(142)과 개구 연통되도록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연동 돌기(9122)는, 하우징(10)의 우측부(14)에 마련된 제1 연동 홀(142)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연동 돌기(9122)는, 하우징(10)의 우측부(14)에 마련된 제1 연동 홀(14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바디(910)의 제1 연결부(912)의 양 측면(예: +Y 방향 및 -Y 방향 각각을 향하는 외측 면) 각각에는, 제1 연동 돌기(9122)와 제1 연동 홈(9123)의 측면을 가로 지르도록 개구 형성된 제1 탄성부(9124)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연동 돌기(9122)는, 상기 제1 연동 홀(142)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연동 홀(142)의 내측면에 의해 접촉되어 상기 제1 탄성부(9124)를 향하여 변형된 뒤, 계속 삽입되어 상기 제1 연동 홀(142)을 통과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제1 연동 홀(142)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림 돌기(9122)는 상기 제1 연동 홀(142)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연결부(913)는, 환형 형상의 제2 연동 돌기(9132) 및 제2 연동 홈(9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환형 형상의 제2 연동 돌기(9132) 및 제2 연동 홈(9133)에 의해 제2 와이어 홀(9131)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연동 돌기(9132)는, 제2 연결부(913)의 선단에서 환형 형상을 이루며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연동 홈(9133)은, 제2 연동 돌기(9132)의 후방에서 상기 제2 연동 돌기(9132)와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도록 둘레 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연동 돌기(9132)와 제2 연동 홈(9133)이 함께, 이들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제2 와이어 홀(9131)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와이어 홀(9131)은, 컨트롤 박스(80)의 제2 연동 홀(81)과 개구 연통되도록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연동 돌기(9132)는, 컨트롤 박스(80)에 마련된 제2 연동 홀(81)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연동 돌기(9132)는, 컨트롤 박스(80)에 마련된 제2 연동 홀(8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바디(910)의 제2 연결부(913)의 양 측면(예: +Y 방향 및 -Y 방향 각각을 향하는 외측 면) 각각에는, 제2 연동 돌기(9132)와 제2 연동 홈(9133)의 측면을 가로 지르도록 개구 형성된 제2 탄성부(9134)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연동 돌기(9132)는, 상기 제2 연동 홀(81)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 연동 홀(81)의 내측면에 의해 접촉되어 상기 제2 탄성부(9134)를 향하여 변형된 뒤, 계속 삽입되어 상기 제2 연동 홀(81)을 통과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제2 연동 홀(81)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걸림 돌기(9132)는 상기 제2 연동 홀(81)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의 양측에 배치된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의 제1 연결부(912)에 제1 회전축(R1)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의 제1 연결부(912)가 하우징(10)의 우측부의 전면과 후면 측에 각각 형성된 제1 연동 홀(142)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경우, 각 제1 연결부(912)의 제1 와이어 홀(9121)의 중심을 잇는 제1 회전축(R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와이어 홀(9121)이, 하우징(10)의 우측부(14)에 마련된 제1 연동 홀(142)과 개구 연통되고, 제1 회전축(R1)을 수용함에 따라, 링크 구조물(90a, 90b)이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링크 구조물(90a, 90b)에 수용된 전선(W)의 꼬임 및/또는 비틀림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바디(910)에 수용된 전선(W)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와이어 홀(9121)과 제1 연동 홀(142)을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연결되어, 송풍 팬(20)을 비롯한 공기조화기(1)의 각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컨트롤 박스(80)의 양측에 배치된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의 제2 연결부(913)에 의해 제2 회전축(R2)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의 제2 연결부(913)가 컨트롤 박스(80)의 전면과 후면 측에 각각 형성된 제2 연동 홀(81)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경우, 각 제2 연결부(913)의 제2 와이어 홀(9131)의 중심을 잇는 제2 회전축(R2)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와이어 홀(9131)은, 컨트롤 박스(80)의 양측 제2 연동 홀(81)과 개구 연통되고 제2 회전축(R2)을 수용함에 따라, 컨트롤 박스(80)가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링크 구조물(90a, 90b)에 수용된 전선(W)의 꼬임 및/또는 비틀림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바디(910)에 수용된 전선(W)의 타 단부는 상기 제2 와이어 홀(9131)과 제2 연동 홀(81)을 통해 컨트롤 박스(80) 내부로 연결되어, 컨트롤 박스(80)에 마련된 PBA의 각 전기 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어셈블리(90)의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은, 링크 커버(9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커버(920)는 전체적으로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의 개방된 면(예컨대, 전선 수용 공간(9111)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과, 양측 단부(9113, 9114) 각각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커버(920)의 상면(예: Z 방향을 향하는 면) 또는 하면(예: -Z 방향을 향하는 면)은 링크 커버(920)의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9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커버(920)는,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의 개방된 면과, 양측 단부(9113, 9114) 각각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수용하는 내측 함몰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커버(920)는, 링크 바디(910)의 전선 수용 공간(9111)을 바라보며 (X축 방향을 따라) 접근하여 링크 바디(9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커버(920)는, 링크 바디(910)의 수용 공간(9111)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링크 바디(9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커버(920)의 절개부(921)에는, 링크 바디(910)의 끼움 홀(9112)을 향해 돌출 형성된 끼움 돌기(922)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끼움 돌기(922)는 링크 바디(910)와 링크 커버(920)가 결합할 때, 링크 바디(910)의 끼움 홀(9112)에 걸림 고정될 수 있는 후크(hook)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링크 바디(910)의 전선 수용 공간(9111)에 수용된 전선(W)이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보호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링크 어셈블리(90)의 각 링크 구조물(90a, 90b)이 하우징(10)과 컨트롤 박스(80) 각각에 결합되기 전에, 링크 바디(910)에 마련된 와이어 홀(9121, 9131)과 와이어 슬릿들(9113b, 9114b)을 통해 전선(W)이 링크 바디(910)의 전선 수용 공간(911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전선(W)은 제1 와이어 홀(9121), 전선 수용 공간(9111), 및 제2 와이어 홀(9131)을 통과하며 안착될 수 있다(도 7의 (a) 참고). 일 예에서, 링크 커버(920)가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의 개방된 면과, 양측 단부(9113, 9114) 각각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바디(910)에 마련된 끼움 홈(9112)에 링크 커버(920)의 끼움 돌기(922)가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어, 링크 바디(910)의 전선 수용 공간(9111)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도 7의 (b) 참고). 이후, 링크 구조물(90a, 90b)의 제1 및 제2 연결부(912 ,913) 각각을 하우징(10)과 컨트롤 박스(80)에 각각 결합시켜 전선 작업 및 링크 어셈블리(90) 조립 작업이 완료될 있다.
일 예에서, 상술한 전선 작업은, 링크 구조물(90a, 90b) 각각의 링크 바디(910)에 전선(W)이 안착된 상태에서 먼저 하우징(10)과 컨트롤 박스(80)에 결합된 후, 링크 커버(920)가 링크 바디(91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하우징(10)과 컨트롤 박스(80)의 각 전기 구성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W)은 링크 바디(910)와 링크 커버(920)에 의해 보호되어 외부의 물리적 요인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과 컨트롤 박스(80)의 각 전기 구성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W)은, 하우징(10)과 컨트롤 박스(80)의 상대적 회전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링크 바디(910) 및 링크 커버(920)에 의해 정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링크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링크 구조물(90c)은, 링크 바디(910')와 링크 커버(9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링크 구조물(90c)은,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링크 구조물(90a, 90b)과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바디(910')는, 도 5 내지 7의 링크 구조물(90a, 90b)의 경우와 유사하게, 도면 상 X축 방향을 향하여 환형으로 형성된 제1 연결부(912'), 제1 연결부(912')로부터 -X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일 단부(9113'), 제1 연결부(912')의 반대쪽에서 X축 방향을 향하여 제1 연결부(912')와 나란히 배치되며 환형으로 형성된 제2 연결부(913'), 및 제2 연결부(913')로부터 -X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타 단부(9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는, 일 단부(9113')와 타 단부(9114') 사이에서 Y축을 따라 연장되며 링크 바디(910')의 전반적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바디부(9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의 내부에는 전선(W)이 수용될 수 있는 전선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5 내지 7의 링크 구조물(90a, 90b)과 유사하게, 링크 구조물(90c)의 제1 연결부(912')는, 환형 형상의 제1 연동 돌기(9122') 및 제1 연동 홈(9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환형 형상의 제1 연동 돌기(9122') 및 제1 연동 홈(9123')에 의해 제1 와이어 홀이 정의될 수 있다. 링크 구조물(90c)의 제2 연결부(913')는, 환형 형상의 제2 연동 돌기(9132') 및 제2 연동 홈(9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환형 형상의 제2 연동 돌기(9132') 및 제2 연동 홈(9133')에 의해 제2 와이어 홀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5 내지 7의 링크 구조물(90a, 90b)과 유사하게, 링크 구조물(90c)은, 제1 및 제2 연결부(912', 913') 각각에 개구 형성된 제1 제2 탄성부(9124', 9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구조물(90c)은, 도 5 내지 7의 링크 구조물(90a, 90b)과 유사하게, 링크 바디(910')의 양측 단부(9113', 9114')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와이어 슬릿(9113b', 9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 슬릿(9113b', 9114b') 각각은 제1 및 제2 탄성부(9124', 9134') 각각과 개구 연통될 수 있다.
그러나, 도 5 내지 7의 링크 구조물(90a, 90b)의 경우 바디부(914)의 전선 수용 공간(9111)의 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데 비해, 그와 달리 링크 구조물(90c)에서는 바디부(914')의 일 측에 Z축을 향한 일면에서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파여진 슬릿 형상의 개방 공간(S)이 형성되고 바디부(914') 내부의 전선 수용 공간의 후면(914b')은 폐쇄된 형태를 갖는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의 제1 및 제2 와이어 슬릿(9113b', 9114b')이 개방 공간(S)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전선(W)이 제1 와이어 슬릿(9113b'), 개방 공간(S) 및 제2 와이어 슬릿(9114b')을 통해 전선 수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선(W)은 제1 와이어 홀(9121'), 전선 수용 공간, 및 제2 와이어 홀(9131')을 통과하며 안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의 링크 구조물(90a, 90b)의 경우 링크 커버(920)가 링크 바디(910)의 전선 수용 공간(9111)을 바라보며 (X축 방향을 따라) 접근하여 링크 바디(910)에 결합하는데 반해, 도 8에 도시된 링크 구조물(90c)의 경우 링크 커버(920')가 링크 바디(910')의 상측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접근하여 링크 바디(910)에 결합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커버(920')는 바디부(914')의 개방 공간(S)과 제1 및 제2 와이어 슬릿(9113b', 9114b')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바디(910')의 바디부(914')에서 개방 공간(S)이 형성된 곳 가까이에 끼움 홀(9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양측 단부(9113', 9114')에서 각 와이어 슬릿(9113b', 9114b') 하단에 또한 끼움 홀(91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바디부(914')의 후면(914b) 중앙에 또한 끼움 홀(9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링크 커버(920')는, 링크 바디(910')와 결합 시, 전술한 바디부(914')의 각 끼움 홀(9112')에 대응 배치되는 각 영역에 후크 구조의 끼움 돌기(922')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링크 커버(920')와 링크 바디(910')가 결합할 때, 각 끼움 돌기(922')가 각 대응하는 끼움 홀(9112')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부 예시적 링크 구조물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의 링크 구조물이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일 예에 따라, 배관 연결부가 노출되도록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상태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공기조화기에서 컨트롤 박스가 배관 연결부 상의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공기조화기의 정상 동작을 위해, 컨트롤 박스가 회전하여 정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공기 조화기(1)의 설치 또는 수리 등을 위해 배관 작업이 필요한 경우, 컨트롤 박스(80)가 배관 연결부(33)를 가리지 않도록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자는 공기조화기(1)의 천장 패널(도 1의 70)을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한 뒤, 배관 연결부(33)가 마련된 공기조화기(1)의 하우징(10) 일 측으로 접근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80)는, 냉매 배관(31, 32) 및/또는 배수 호스(51)가 배치된 배관 연결부(33)의 영역에서 벗어나, 하우징(10)의 흡입구(71)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배관 연결부(33)의 각 배관(31, 32, 52)에 대한 충분한 시야 및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원활한 유지 보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컨트롤 박스(80)는, 배관 연결부(33)의 하측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 있는 중에,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로 된 경우, 링크 어셈블리(90)의 회전을 통해 배관 연결부(33)와 간섭되지 않는 (또는 배관 연결부(33)를 더 많이 노출시키는) 위치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어셈블리(90)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에 연결된 컨트롤 박스(80)를, 예컨대 배관 연결부(33)의 하측 영역과, 도 9에 도시된 컨트롤 박스(80) 위치(예컨대, 흡입구(71)에 인접한 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컨트롤 박스(80)가 배관 연결부(33)와 상하 방향 중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공기 조화기(1)의 배관 작업이 완료된 경우, 하우징(10)의 흡입구(7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었던 컨트롤 박스(80)가 원래의 위치인 배관 연결부(33)의 하측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 어셈블리(90)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에 연결된 컨트롤 박스(80)를, 도 9에 도시된 컨트롤 박스(80) 위치(예컨대, 흡입구(71)에 인접한 영역)에서, 도 10에 도시된 배관 연결부(33)의 하측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어셈블리(90)의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컨트롤 박스(80)의2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 컨트롤 박스(80)의 상하가 반전될 수 있다. 도 11에는, 일 예에 따라, 도 10으로부터 컨트롤 박스(80)가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시 상하 회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1)의 정상 동작 시, 컨트롤 박스(80)는, 배관 연결부(33)의 하측에서 배관 연결부(33)와 상하 중첩 배치되어 흡입구(71)나 토출구(75) 등 공기 유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박스(80)의 PBA 기판은 천장면 하방을 향하도록 정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배관 연결부(33)의 하측에 위치한 컨트롤 박스(80)는, 스토퍼부(15)에 의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15)는, 전체적으로, 상면 측(예: Z 방향을 향하는 쪽)에 평탄면을 가지며 하면 측(예: -Z 방향을 향하는 쪽)에 경사면을 갖는 삼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박스(80)가 배관 연결부(33) 외측 공간, 예컨대 도 9에서와 같이 흡입구(71)에 인접한 공간에 있다가, 링크 어셈블리(90)의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배관 연결부(33)에 중첩되는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 컨트롤 박스(80)는 스토퍼부(15)의 경사면을 따라 무리 없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컨트롤 박스(80)가 배관 연결부(33)에 중첩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동안, 그러한 컨트롤 박스(80)는 스토퍼부(15)의 평탄면에 걸림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80)는 배관 연결부(33)의 하측(예: -Z 방향)에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배관 연결부(33) 하측에 위치한 컨트롤 박스(80)는, 스토퍼부(15)에 걸려서 공기조화기(1) 동작 중에 자중에 의해 회전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스토퍼부(15)는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가 배관 연결부(33)의 하측에 배치되어 스토퍼부(15)의 상면에 접하는 경우, 외력이 없는 한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80)의 회전이 스토퍼부(15)에 의해 제한되고 컨트롤 박스(8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설치나 보수 등 필요로 되어 사용자가 회전을 위한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컨트롤 박스(80)는 스토퍼부(15)를 넘어서 다시 회전하여 배관 연결부(33)를 노출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일 예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1)는 컨트롤 박스(80)의 위치 고정을 위한 또 다른 구성의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구조물(90a, 90b)의 제1 또는 제2 연결부(912, 913)와, 그에 접하는 제1 연동 홀(142) 또는 제2 연동 홀(81)에 형성된 돌기와 스토퍼 구조 간 걸림에 의해, 링크 구조물(90a, 90b)의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링크 구조물(90a, 90b)의 제1 연동 홈(9123)의 둘레 상 소정 영역에 돌기가 형성되고, 제1 연동 홈(9123)에 접하는 하우징(10)의 제1 연동 홀(142)에, 링크 구조물(90a, 90b)이 제1 회전축(R1)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돌기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구조(예컨대, 가이드 홈)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연동 홀(142)에는, 링크 구조물(90a, 90b)이 제1 연동 홀(142)에 삽입되었을 때 제1 연동 홈(9123)의 상기 돌기와 접하게 되는 영역(이하, 돌기 대응 영역)을 중심으로, 제1 연동 홀(142)의 가이드 구조와의 사이 영역에 형성된 제1 스토퍼 구조와, 반대쪽 영역에 형성된 제2 스토퍼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동 홀(142)에는, 상기 돌기 대응 영역을 사이에 두고 제1 스토퍼 구조와 제2 스토퍼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돌기 또는 상기 제1 및 2 스토퍼 구조는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우징(10)의 제1 연동 홀(142)에 링크 구조물(90a)의 제1 연동 돌기(9122)가 삽입되어 제1 연동 홈(9123)의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구조 사이의 돌기 대응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가 링크 구조물(90a, 90b)을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을 인가할 경우, 전술한 제1 연동 홈(9123)의 돌기가 상기 제1 스토퍼 구조를 넘어 상기 가이드 구조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가이드 구조에 진입한 후 가이드 구조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회전의 마지막에는 외력에 기초하여 제1 연동 홈(9123)의 돌기가 상기 제2 스토퍼 구조를 넘어 제1 및 제2 스토퍼 구조 사이의 위치(예컨대,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로써 링크 구조물(90a, 90b)의 회전이 정지하고 컨트롤 박스(80)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추가적인 외력이 없는 한, 제1 연동 홈(9123)의 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구조에 걸려 양방향 어디로도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이로써 링크 구조물(90a, 90b)의 회전이 정지되고 컨트롤 박스(80)는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다시 외력이 인가되면, 제1 연동 홈(9123)의 돌기는 상기 제1 또는 제2 스토퍼 구조를 넘어 가이드 구조에 진입할 수 있고, 가이드 구조를 따라 원하는 위치로 다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와 제1 및 제2 스토퍼 구조는, 제1 연동 홈(9123)과 제1 연동 홀(142)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동일한 구성이 제2 연동 홈(9133)과 제2 연동 홀(81)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돌기와 제1 및 제2 스토퍼 구조에 의한 스토퍼 구성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더 다양한 스토퍼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예에 따르면, 설치 또는 보수 작업이 완료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80)가 배관 연결부(33)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천장 패널(7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조화기(1) 동작 시, 컨트롤 박스(80)가 흡입구(71) 또는 토출구(75)와 간섭(또는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 배치됨에 따라 흡입구(71) 또는 토출구(75)에서의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아 공기조화기(1)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되고 천장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배관 연결부가 노출되도록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
앞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컨트롤 박스(80)가 각각 2개의 연결부(912, 913)를 가지는 한 쌍의 링크 구조물(90a. 90b), 즉 링크 어셈블리(90)에 의해 하우징(10)에 연결되고, 2개의 회전축(R1, R2) 각각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배관 연결부(33)와 상하 중첩되는 위치와 배관 연결부(33)를 노출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경우, 컨트롤 박스(80')가 하우징(1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1개의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배관 연결부(33)와 상하 중첩되는 위치와 배관 연결부(33)를 노출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서, 하우징(10')은, 흡입구(71)와 토출구(75)가 배치된 부분의 우측에서 하우징(1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과 하우징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판이 우측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과 후면 측 각각의 연장부(16)는 이들 사이에 하우징(10')의 우측면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17)을 형성할 수 있다. 공간(17)에 컨트롤 박스(8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컨트롤 박스(80)와 유사하게, 컨트롤 박스(8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PB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가 공기 조화를 위한 정상 동작 시, 컨트롤 박스(80)의 PBA 기판은, XY 평면 상에서 하우징(10')의 하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컨트롤 박스(80)와 유사하게, 컨트롤 박스(80')는 X축 방향 길이 x, Y축 방향 길이 y, 및 Z축 방향 길이 z를 갖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Z축 방향 길이 z는, X축 방향 길이 x 및 Y축 방향 길이 y에 비해 짧은 값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10')의 전면과 후면 각각의 연장부(16)와 컨트롤 박스(80')를 연결하는 링크 구조물(90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는 전면과 후면 양측에서 각 링크 구조물(90d)에 의해 하우징(10')에 연결되고, 양측 링크 구조물(90d)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 박스(8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연결부(33)와 상하 중첩되는 위치(예컨대, 배관 연결부(33)의 하측)에서 그에 포함된 PBA 기판이 XY 평면을 따라 하우징(10')의 하방을 향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할 수 있다. 그러한 회전에 의해, 컨트롤 박스(8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포함된 PBA 기판이 XZ 평면을 따라 좌측을 바라보며 -Z축 하방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에서는 컨트롤 박스(80')가 XY 평면을 기준으로 Y축 방향 길이 y만큼 배관 연결부(33)와 중첩되지만, 도 13에서는 컨트롤 박스(80')가, XY 평면을 기준으로 Z축 방향 길이 z만큼 배관 연결부(33)와 중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Y축 방향 길이 y에 비해 Z축 방향 길이 z가 더 짧기 때문에, 양자의 차이만큼, 도 13의 상태에서 도 12의 경우에 비해, 배관 연결부(33)가 하방으로 더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측에서 올려다볼 때, 배관 연결부(33)의 각 배관(31, 32, 51)이 컨트롤 박스(80') 뒤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우징(10')과 컨트롤 박스(80')의 링크 구조물(90d)에 의한 연결을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링크 구조물(90d)은, 바디부(924)와, 바디부(924)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및 제2 연동 돌기(9322a, 9322b)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구조물(90d)은, 제1 연동 돌기(9322a)와 바디부(924) 사이에서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며 둘레 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한 쌍의 제1 연동 홈(9323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링크 구조물(90d)은, 제1 연동 돌기(9322a)와 제1 연동 홈(9323a)의 측면을 가로 지르도록 개구 형성된 제1 탄성부(9324a)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구조물(90d)은, 또한, 바디부(924)의 반대쪽에, 전술한 제1 연동 돌기(9322a), 제1 연동 홈(9323a), 및 제1 탄성부(9324a)와 대응되는 구성의 제2 연동 돌기(9322b), 제2 연동 홈(9323b), 및 제2 탄성부(9324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우징(10')의 전면과 후면의 각 연장부(16) 사이의 Z축 방향 선단 쪽, 예컨대 하우징(10')의 상면 쪽 가까이에, 배관 연결부(33)가 배치될 수 있다. 배관 연결부(33)에는, 예컨대 제1 및 제2 냉매관(31, 32) 및 응축수 배출 호스(51)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전면과 후면의 각 연장부(16) 각각에서, 공간(17)을 향한 면 상에, 그리고 -Z축 방향 선단 쪽, 예컨대 하우징(10')의 하면 쪽 가까이에, 연동 홀(14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각 연장부(16)의 각 연동 홀(144)에는 전술한 링크 구조물(90d)의 일부, 예컨대 제1 연동 돌기(9322a)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연동 돌기(9322a)는, 하우징(10')의 연장부(16)에 마련된 제1 연동 홀(144)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연동 돌기(9322a)는, 하우징(10')의 제1 연동 홀(14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예에서, 제1 연동 돌기(9322a)는, 제1 연동 홀(144)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될 때, 제1 연동 홀(142)의 내측면에 의해 접촉되어 제1 탄성부(9324a)를 향하여 변형된 뒤, 계속 삽입되어 제1 연동 홀(144)을 통과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제1 연동 홀(144)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동 돌기(9322)는 제1 연동 홀(144)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는 제2 연동 홀(8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동 홀(82) 각각에는 전술한 링크 구조물(90d)의 일부, 예컨대 제2 연동 돌기(9322b)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연동 돌기(9322b)는, 컨트롤 박스(80')의 전면과 후면에 마련된 제2 연동 홀(82) 각각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연동 돌기(9322b)는, 컨트롤 박스(80')의 제2 연동 홀(8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예에서, 제2 연동 돌기(9322b)는, 제2 연동 홀(82)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될 때, 제2 연동 홀(82)의 내측면에 의해 접촉되어 제2 탄성부(9324b)를 향하여 변형된 뒤, 계속 삽입되어 제2 연동 홀(82)을 통과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제2 연동 홀(82)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동 돌기(9322b)는 제2 연동 홀(82)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 구조물(90d)에 의해 컨트롤 박스(8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이 각 대향하는 하우징(10')의 연장부(16)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컨트롤 박스(80')의 전면과 후면 양측에 배치된 링크 구조물(90d)들에 의해 제1 회전축(R1')이 정의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80')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예에 따르면, 컨트롤 박스(80')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배관 연결부(33)와 더 많이 중첩되는 위치와, 배관 연결부(33)와 덜 중첩되고 적어도 일부의 배관 연결부(33)를 하방으로 노출시키는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되고 천장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배관 연결부가 노출되도록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도 3 내지 도 11 또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조화기(1, 1')의 경우, 컨트롤 박스(80, 80')가 회전축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배관 연결부(33)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배관 연결부(33)와의 중첩을 완전히 또는 가급적 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비해,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경우, 컨트롤 박스(80'')가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배관 연결부(33)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배관 연결부(33)와의 중첩을 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서, 하우징(10'')은, 흡입구(71)와 토출구(75)가 배치된 부분의 우측에서 하우징(1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과 하우징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판이 우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과 후면 측 각각의 연장부(16') 사이에서, 하우징(10'')은, Z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리세스부(18)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부(18)는 바닥면(19)을 가질 수 있다.
바닥면(19) 상방의 리세스부(18)에 컨트롤 박스(8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컨트롤 박스(80, 80')와 유사하게, 컨트롤 박스(8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PB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의 컨트롤 박스(80'')의 PBA 기판은, XY 평면 상에서 하우징(10''')의 하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리세스부(18)를 둘러싼 하우징(10'')의 전면과 후면 측 연장부(16') 각각에는 슬라이딩 레일(145)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레일(145)의 우측 단부에는 제1 스토퍼(146)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는 슬라이딩 바(83)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슬라이딩 바(83)의 좌측 단부에는 제2 스토퍼(84)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우징(10'')의 전면과 후면 측 연장부(16') 각각에 배치된 슬라이딩 레일(145)과, 컨트롤 박스(80'')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 배치된 슬라이딩 바(83)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의 슬라이딩 바(83)는, 슬라이딩 레일(145) 내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슬라이딩 레일(145)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트롤 박스(80'')가 배관 연결부(33)와 상하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우측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딩 레일(145)의 우측 단부에 배치된 제1 스토퍼(146)와 슬라이딩 바(83)의 좌측 단부에 배치된 제2 스토퍼(84)가 서로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들 스토퍼(146, 84) 간의 걸림에 의해 컨트롤 박스(80'')는 하우징(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스토퍼들(146, 84) 간의 걸림은, 컨트롤 박스(8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관 연결부(33)와 상하 중첩되는 위치에 도달한 컨트롤 박스(80'')가 이전의 위치로 용이하게 되돌아가는 것을 막아 컨트롤 박스(80'')의 정 위치 유지를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 등과 적절히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이,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장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장치일 수도 있고, 해당 동작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전술한 설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개시가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흡입구(71)를 구비하는 하우징(10, 10', 10'');
상기 하우징(10, 10', 10'')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10, 10', 10'')의 내부로부터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관(31, 32, 51)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33);
상기 하우징(10, 10', 10'')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 팬(20); 및
상기 송풍 팬(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박스(80, 80', 8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80, 80', 80'')는,
상기 배관 연결부(33)와 상하방향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배관 연결부(33)와 덜 중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 10', 10'')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흡입구(71)에 가까운 위치인,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제1 회전축(R1, R1')을 정의하며, 상기 하우징(10, 10')에 연결된 제1 연결부(912, 9322a, 9323a)를 가지는 링크 어셈블리(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80, 80'')는, 상기 제1 회전축(R1, R1')을 중심으로 한 상기 링크 어셈블리(9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90)는, 상기 제1 회전축(R1)과 나란한 제2 회전축(R2)을 정의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80)에 연결된 제2 연결부(913)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80)는, 상기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90)의 상기 제1 연결부(912)는, 상기 하우징(10)에 마련된 제1 연동 홀(142)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환형의 제1 돌기(9122)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어셈블리(90)의 상기 제2 연결부(913)는, 상기 컨트롤 박스(80)에 마련된 제2 연동 홀(81)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환형의 제2 돌기(9132)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9122) 및 상기 제2 돌기(9132) 각각은,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외측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90)는, 각각이 상기 제1 연결부(912) 및 상기 제2 연결부(913)를 포함하는 한 쌍의 링크 구조물(90a, 90b)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90)는 상기 제1 연결부(912)와 상기 제2 연결부(913)를 일체로 연결하는 링크 바디(91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20)과 상기 컨트롤 박스(8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electric wire)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90)는, 상기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전선 수용부(9111)를 갖는 링크 바디(91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90)는,
상기 전선 수용부(9111)를 커버하도록 상기 링크 바디(9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커버(92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바디(910)에는, 결합 홈(9112)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 커버(920)는, 상기 결합 홈(9112)에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922)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912) 및 상기 제2 연결부(913) 각각은, 상기 링크 바디(910)의 상기 전선 수용부(9111)와 연통되는 제1 전선 홀(9121) 및 제2 전선 홀(9131)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전선이, 상기 제1 전선 홀(9121), 상기 전선 수용부(9111), 및 상기 제2 전선 홀(9131)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상기 링크 바디(910)는, 상기 타 측에서 상기 제1 회전축(R1)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 제1 전선 홀(9121)과, 상기 제1 전선 홀(9121)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타 측에서 상기 제2 회전축(R2)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 제2 전선 홀(9131)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바디(910)는, 양 측면 각각에 개구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축(R1) 및 상기 제2 회전축(R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슬릿부(9113b, 9114b)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컨트롤 박스(8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15)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15)는,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일 측면 하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2800A KR20240087264A (ko) | 2022-12-12 | 2022-12-12 |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PCT/KR2023/013162 WO2024128474A1 (ko) | 2022-12-12 | 2023-09-04 |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US18/368,781 US20240191883A1 (en) | 2022-12-12 | 2023-09-15 | Air conditioner including control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2800A KR20240087264A (ko) | 2022-12-12 | 2022-12-12 |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7264A true KR20240087264A (ko) | 2024-06-19 |
Family
ID=9148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2800A KR20240087264A (ko) | 2022-12-12 | 2022-12-12 |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87264A (ko) |
WO (1) | WO2024128474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8584B1 (ko) * | 2013-11-12 | 2020-10-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
JP6257335B2 (ja) * | 2014-01-14 | 2018-01-10 |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KR102396939B1 (ko) * | 2015-08-11 | 2022-05-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JP6576470B2 (ja) * | 2016-01-15 | 2019-09-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調用室内機 |
CN206430316U (zh) * | 2016-12-07 | 2017-08-22 | 爱康森德(深圳)空气技术有限公司 | 空气处理机组及其电控盒结构 |
-
2022
- 2022-12-12 KR KR1020220172800A patent/KR20240087264A/ko unknown
-
2023
- 2023-09-04 WO PCT/KR2023/013162 patent/WO2024128474A1/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28474A1 (ko) | 2024-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8881B1 (ko) | 공기조화기 | |
CN112752928B (zh) | 空调 | |
CN107110555B (zh) | 空调装置的室内机 | |
EP2857763B1 (en) |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 |
CN105992917A (zh) | 空调的室外单元 | |
KR20150055204A (ko) |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 |
EP3070410A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260944B1 (ko) | 크린룸용 팬필터유닛 | |
KR100853455B1 (ko) | 차폐 부재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102476796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2425866B1 (ko)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
KR20190052388A (ko) | 공기조화기 | |
KR20240087264A (ko) |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
JP2019178825A (ja) |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 |
KR102451314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425867B1 (ko)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
KR102411441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392956B1 (ko) | 공기조화기 | |
EP3412983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s | |
US20240191883A1 (en) | Air conditioner including control box | |
KR102461796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2451312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2451313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396939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70044301A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