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7083A -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 Google Patents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7083A
KR20240087083A KR1020220172438A KR20220172438A KR20240087083A KR 20240087083 A KR20240087083 A KR 20240087083A KR 1020220172438 A KR1020220172438 A KR 1020220172438A KR 20220172438 A KR20220172438 A KR 20220172438A KR 20240087083 A KR20240087083 A KR 20240087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pad
glasses
nose
coupl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진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7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7083A/ko
Publication of KR2024008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7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렌즈 고정틀과, 렌즈 고정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와, 렌즈 고정틀이 안경 착용자의 안면부에 위치되도록 렌즈 고정틀의 양 측단에 일정 길이로 구비되는 귀걸이부와, 렌즈 고정틀의 외주연 일측에 결합된 종(縱)지지대 및 종(縱)지지대에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횡(橫)지지대를 구비하는 코받침 설치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코받침 설치대의 외주연에 탈부착 가능한 집게 연결부와, 집게 연결부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콧등에 안착되는 한 쌍의 코받침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안경 착용자가 자신의 코형태에 따라 안경을 받쳐주는 코받침대의 높낮이와 내외측 방향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안경착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Glasses with nose pad possible to adjust of height and direction}
본 발명은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 착용자가 자신의 코형태에 따라 안경을 받쳐주는 코받침대의 높낮이와 내외측 방향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안경착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시력을 유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안경은 일반적으로 구형으로 이루어진 일정 크기의 렌즈와, 상기 렌즈가 고정되는 안경테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경테는 두 개의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렌즈 고정틀과, 상기 렌즈가 얼굴 전방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상기 렌즈 고정틀의 양단에 일정 길이로 구성되는 귀걸이부와, 상기 렌즈가 착용자의 눈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렌즈의 중량에 의해 렌즈 고정틀이 안면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해 상기 렌즈 고정틀의 외주연 일측에 코받침설치대로 연결되는 코받침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안경의 구성 중 본 발명은 안경테에 고정된 렌즈가 안경 착용자의 눈과 적당한 거리가 유지되면서 적정한 각도가 유지되도록 렌즈 고정틀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콧등에 접촉되는 코받침대 및 코받침이 결합되는 코받침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안경테에 구비된 코받침대는 일반적으로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 등으로 구성되어 렌즈 고정틀에 연결된 코받침 설치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을 맞추는 과정에서 착용자의 얼굴 형태나 콧등의 높이 등에 따라 안경사가 소정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코받침 설치대의 높낮이나 콧등의 접촉방향에 따라 일부 조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다.
또한, 비록 안경사가 안경 착용자의 얼굴에 맞춰 코받침대의 접촉위치와 방향 등을 조정하여 주더라도, 안경을 착용하다 보면 안경테를 고정하는 귀걸이부가 이완되거나 코받침대가 콧등에서 미끄러져 내리는 경우가 많아 안경 착용자는 수시로 안경을 고쳐 쓰는 과정에서 안경의 착용위치가 변경되어 코받침대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지만 특별한 도구가 없는 안경 착용자는 코받침대의 위치조절을 하지 못하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경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상태로 일상생활을 하거나 스포츠 활동 등을 하는 과정에서 외부 물체나 다른 사람과의 접촉 등에 의해 안경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그 외력이 콧등에 걸쳐진 코받침대에 작용하게 되고, 콧등에 밀착되어 이동이 어려운 코받침대에 작용한 반력에 의해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코받침 설치대가 휘어지면서 외부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해 코받침 설치대가 휘어짐으로 인해서 상기 코받침대의 위치도 함께 가변되어 최초 안경을 맞출때 정해진 바른 위치가 틀어지게 됨으로써 렌즈와 눈의 초점이 비뚤어지게 되어 안경 착용자는 임의로 휘어진 코받침 설치대를 펴서 코받침대의 방향을 맞추게 되지만, 적절한 도구가 없어 코받침대의 위치조절 작업에 불편을 겪어야 했으며, 미숙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코받침 설치대가 부러져 안경테를 다시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자주 발생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형 코받침대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코받침대를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개량된 안경 코받침대가 일부 안출되기도 하였다.
종래에 안출된 안경 코받침대의 개량된 일부 실시예를 살펴보면, 특허등록 제10-1696512호의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대 및 그 코받침대가 구성된 안경」이 안출된 바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안경테와 결합되는 한 쌍의 코기둥의 외주에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기둥에 일측에 결합홈이 구비된 코패드의 삽입홈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결합부재가 끼움 결합된 후에 결합부재의 끝단이 걸림홈에 맞닿도록 회전결합하여 코기둥에 코패드가 고정되도록 구성되면서, 코패드의 높이와 각도를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발명은 결합부재의 내측단이 코기둥의 걸림홈 내면에 강하게 밀착되더라도록 걸림홈의 내주면과의 면접촉으로 인해 코패드에 일정한 힘의 비틀림력이 작용하게 되면 걸림홈의 내면에서 쉽게 미끄러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패드의 높이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일정한 도구를 이용하여 풀거나 조여야 하기 때문에, 도구가 없는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하는 경우 코패드의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특허공개 제10-2021-20772호(2021.02.24,공개)에 공지된 「안경」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홈을 구비하는 코다리를 포함하는 안경테와, 상기 홈에 슬라이딩 설치되고 복수개의 걸림홈과 위치한정홈을 구비하는 위치고정구간 및 상기 위치고정구간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지지구간을 포함하는 코받침과, 상기 안경테에 조정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홈의 일측에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홈 및 상기 위치한정홈에 관통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푸시되어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고정 위치에 위치할 때 하나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릴리스 위치로 이동되면 코받침이 상기 조정수단에 대한 상기 위치한정홈의 제한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코받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발명의 「안경」은 코받침의 위치 조정수단의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일반 안경에는 설치하기 곤란하고, 상하방향으로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단점이 있어서 일반 안경 착용자의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 등록실용신안 제20-0222093호(등록일:2001.02.17) - 특허등록 제10-1696512호(등록일: 2017.01.09) - 특허공개 제10-2021-20772호(공개일 : 2021.02.24)
본 발명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안경 착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별도의 도구 없이 간편하게 코받침대의 높이와 좌우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안경착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테에 일체로 구성된 코받침 설치대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일정기간 사용되면서 오염된 코받침대의 교체가 용이하고, 외력이 가해져 코받침대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안경 착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코받침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은 렌즈 고정틀, 연결대, 귀걸이부, 코받침 설치대, 집게 연결부, 코받침대를 포함한다. 렌즈 고정틀은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이다, 연결대는 한쌍의 렌즈 고정틀을 서로 연결한다. 귀걸이부는 렌즈 고정틀이 안경 착용자의 안면부에 위치되도록 렌즈 고정틀의 양 측단에 일정 길이로 구비된다. 코받침 설치대는 렌즈 고정틀의 외주연 일측에 결합된 종(縱)지지대와, 종(縱)지지대에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횡(橫)지지대를 구비한다. 집게 연결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코받침 설치대의 외주연에 탈부착 가능하다. 코받침대는 한 쌍으로 집게 연결부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콧등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에서 집게 연결부는, 외주연 일측이 상기 코받침대에 결합되고 내주연이 코받침 설치대의 외주연과 결합되는 좌우 개폐형 구조의 중공형 끼움결합부와, 중공형 끼움결합부의 외주면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탄성부재가 구비된 힌지결합부에 상호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끼움결합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압파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에서 집게연결부는 끼움결합부의 내주면에 미끌림방지부가 형성되며, 코받침 설치대의 외주면에는 미끌림방지부에 대응하는 미끌림방지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에서 끼움결합부는 코받침대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에서 가압파지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을 유지한 상태로 서로 결합된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를 구비하며, 끼움결합부의 개폐 부분과 먼 곳에 위치하는 제2 파지부가 제1 파지부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에서 코받침 설치대는 횡(橫)지지대보다 종(縱)지지대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코받침대가 안경테에 일체로 구성된 코받침 설치대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안경 착용자가 간편하게 코받침대의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이와 방향 조절이 용이하여 안경 착용에 따른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코받침 설치대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코받침대의 집게연결부 내주연에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방지부에 대응하는 미끄럼방지 접촉부가 코받침 설치대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용이한 분리와 결합시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안경 착용자가 일상 생활 중 외부 충격이 안경에 가해져 코받침대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안경 착용자가 직접 코받침대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코받침대의 위치조절시 별도의 공구나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언제든지 조절 가능하여 무리한 힘을 가해 코받침 설치대가 부러져 안경테를 다시 맞추어야 하는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위의 발췌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코받침 설치대에 조립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가 코받침 설치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 연결부의 끼움결합부가 코받침대를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파지부에서 제2 파지부가 제1 파지부보다 더 큰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이하, ‘안경’으로 약칭함)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위의 발췌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B부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코받침 설치대에 조립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가 코받침 설치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100)은 렌즈(15)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렌즈 고정틀(20)과, 한 쌍의 렌즈 고정틀(2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30)와, 렌즈 고정틀(20)이 안경 착용자의 안면부 전방에 위치되도록 잡아주기 위한 귀걸이부(10)가 렌즈 고정틀(20)의 양 측단에 일정 길이로 구비된다.
또한, 안경 착용시 상기 렌즈 고정틀(20)이 안면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양쪽 렌즈 고정틀(20)의 외주연에 일측, 즉 안경테가 안경 착용자의 콧등에 안착되는 부위에 코받침 설치대(40, 41)가 각각 구비된다. 코받침 설치대(40, 41)에는 코받침대(50)가 각각 구비되어 안경 착용자의 콧등에 안착된다.
코받침대(50)가 결합되는 코받침 설치대(40, 41)는 렌즈 고정틀(20)의 외주연 일측에 결합된 종(縱)지지대(43)와, 종(縱)지지대에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횡(橫)지지대(44)를 구비한다. 한 쌍의 코받침대(50)의 이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코받침 설치대(40,41)의 외주연에 탈부착되는 집게 연결부(60)가 구비된다. 집게 연결부(60)를 통해 안경 착용자는 코받침대(50)의 높이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코받침대(50)의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코받침대(50)의 이면에는 집게연결부(60)가 구비되어, 코받침 설치대(40, 41)에 코받침대(50)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경착용시 코받침대(50)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코받침대(50)의 이면에 구비된 집게 연결부(60)는 코받침대(50)의 이면에 외주연 일측이 결합되는 개폐 구조 가능한 구조의 끼움결합부(63, 64)와, 끼움결합부(63, 64)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끼움결합부(63,64)의 일측에 가압파지부(62)가 구비된다.
끼움결합부(63, 64)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코받침 설치대(40, 41)가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끼움결합부(63, 64)는 두 부분으로 나눠지며, 두 부분이 서로 개폐되는 부분이 있다. 원통형 구조를 갖는 끼움결합부(63, 64)는 일측 끼움결합부(63)가 타측 끼움결합부(64)보다 다소 긴 테두리부를 갖는 비대칭 구조를 갖도록 분리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큰 테두리부를 갖는 일측 끼움결합부(63)의 외주면에 코받침대(50)가 결합되어 전체 원통형상의 끼움결합부(63, 64) 중심부에 코받침대(50)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구조를 이루면서 좌우 개폐 가능한 형태를 갖는 중공형 끼움결합부(63, 63)의 외주면에 연결된 한 쌍의 가압파지부(62)는 중심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힌지결합부(66)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양 손가락으로 한 쌍의 가압파지부(62)를 가압할 경우 양쪽의 끼움결합부(63, 63)가 개방되고, 가압파지부(62)에서 가압력을 제거할 경우 양쪽 끼움결합부(63,63)의 양단이 서로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끼움결합부(63,64)의 내주면에는 코받침 설치대(40, 41)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벼운 외력에 의해 코받침대(50)가 쉽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끌림방지부(65)가 구비되어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끌림방지부(65)는 다수개의 요철부나 빗살무늬 형태의 다수의 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집게연결부(60)를 구성하는 가압파지부(62) 및 힌지결합부(66)는 통상적으로 널리 공지된 집게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집게연결부(60)가 결합되는 코받침 설치대(40, 41)의 외주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결합부(63, 64)의 내주면에 형성된 미끌림방지부(65)에 대응하는 미끌림방지 접촉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끼움결합부(63, 64)가 코받침 설치대(40, 41)의 외주연에 결합된 후에 견고한 밀착력을 가질 수 있다.
코받침 설치대(40, 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코받침대(50)가 설치되는 종(縱)지지대(43)의 길이가 상단측 횡(橫)지지대(44)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코받침대(50)를 다양한 높이로 상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받침대(50)를 렌즈 고정틀(20)에 설치된 코받침 설치대(40, 41)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집게연결부(60)의 가압파지부(62)를 양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원통형의 끼움결합부(63, 64)가 개방되고, 개방된 공간을 통해 코받침 설치대(40, 41)에 끼운 후에 적당한 높이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파지부(62)를 놓으면 개방되었던 끼움결합부(63, 64)가 닫혀지면서 코받침 설치대(40, 41)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코받침대(50)가 코받침 설치대(40, 41)의 외주연에 결합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받침대(50)가 코받침 설치대(40, 41)의 외주연에 결합된 상태에서 코받침대(50)의 방향과 높낮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집게연결부(60)의 가압파지부(62)를 눌러 코받침대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안경을 착용하는 중에 안경에 외력이 작용하여 코받침대(50)의 방향이 틀어지는 경우, 안경을 벗어 코받침 설치대(40, 41)에 고정된 집게연결부(60)의 가압파지부(62)를 가압과 해제를 통해 코받침대(50)를 본래 위치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안경 착용중 쉽게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코받침대의 방향이나 높낮이를 집게연결부를 통해 안경 착용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 연결부의 끼움결합부가 코받침대를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받침대(50)에는 관통구(51)가 형성된다. 집게연결부(60)의 끼움결합부(63)는 관통구(51)를 관통하여 코받침대(5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안경 착용자는 집게 연결부(60)를 누르지 않고도 코받침대(50)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끼움결합부(63)와 코받침 설치대(40, 41) 사이에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공간에는 간격 조정부재(70)를 삽입하여 끼움결합부(63)와 코받침 설치대(40, 41)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파지부에서 제2 파지부가 제1 파지부보다 더 큰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파지부(62)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을 유지한 상태로 서로 결합된 제1 파지부(62a)와 제2 파지부(62b)를 구비한다. 제2 파지부(62b)는 제1 파지부(62a)보다 끼움결합부(63, 64)의 개폐 부분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파지부(62b)가 제1 파지부(62a)보다 더 큰 형태이다. 안경 착용자가 제1 파지부(62a)와 제2 파지부(62b)를 눌러서 끼움결합부(63, 63)를 개방시킬 때, 개폐 부분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제2 파지부(62b)에 더 많은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제2 파지부(62b)를 제1 파지부(62a)보다 더 크게 만들면 끼움결합부(63, 63)의 개폐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한 설명을 하였으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일부 구성을 변경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귀걸이부 15 : 렌즈
20 : 렌즈 고정틀 30 : 연결대
40,41 : 코받침 설치대 42 : 미끌림방지접촉부
43 : 종(縱)지지대 44 : 횡(橫)지지대
50 : 코받침대 60 : 집게연결부
62 : 가압파지부 63,64 : 끼움결합부
65 : 미끌림방지부 66 : 힌지고정부
100 : 안경

Claims (6)

  1.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렌즈 고정틀;
    상기 한쌍의 렌즈 고정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렌즈 고정틀이 안경 착용자의 안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렌즈 고정틀의 양 측단에 일정 길이로 구비되는 귀걸이부;
    상기 렌즈 고정틀의 외주연 일측에 결합된 종(縱)지지대와, 상기 종(縱)지지대에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횡(橫)지지대를 구비하는 코받침 설치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상기 코받침 설치대의 외주연에 탈부착 가능한 집게 연결부; 및
    상기 집게 연결부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콧등에 안착되는 한 쌍의 코받침대;를 포함하는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 연결부는,
    외주연 일측이 상기 코받침대에 결합되고, 내주연이 상기 코받침 설치대의 외주연과 결합되는 좌우 개폐형 구조의 중공형 끼움결합부와,
    상기 중공형 끼움결합부의 외주면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탄성부재가 구비된 힌지결합부에 상호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끼움결합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압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연결부는 끼움결합부의 내주면에 미끌림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받침 설치대의 외주면에는 상기 미끌림방지부에 대응하는 미끌림방지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부는 상기 코받침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파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을 유지한 상태로 서로 결합된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끼움결합부의 개폐 부분과 먼 곳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1 파지부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 설치대는 횡(橫)지지대보다 종(縱)지지대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KR1020220172438A 2022-12-12 2022-12-12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KR20240087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438A KR20240087083A (ko) 2022-12-12 2022-12-12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438A KR20240087083A (ko) 2022-12-12 2022-12-12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7083A true KR20240087083A (ko) 2024-06-19

Family

ID=9171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438A KR20240087083A (ko) 2022-12-12 2022-12-12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708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093Y1 (ko) 2000-12-05 2001-05-02 최현규 안경 높낮이 조절장치
KR101696512B1 (ko) 2014-06-10 2017-01-13 김식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대 및 그 코받침대가 구성된 안경
KR20210020772A (ko) 2019-08-13 2021-02-24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안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093Y1 (ko) 2000-12-05 2001-05-02 최현규 안경 높낮이 조절장치
KR101696512B1 (ko) 2014-06-10 2017-01-13 김식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대 및 그 코받침대가 구성된 안경
KR20210020772A (ko) 2019-08-13 2021-02-24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8716A (en) Goggles, in particular for sports and/or leisure wear
US5533207A (en) Positionable sunglasses and cap combination
US8287123B2 (en) Eyeglass frame without nose pad and eyeglass supporting method thereof
JPH10239642A (ja) 着脱可能な保護シールドを有する眼鏡
US7926937B2 (en) Eyewear
JP6413052B1 (ja) 眼鏡
US7051406B1 (en) Apparatus holder for hats
CN105700183B (zh) 镜脚与镜片组件的铰接机构及眼镜
KR20080070211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AU2006225274A1 (en) A Set of Eyeglasses with Attachment System
US20070115424A1 (en) Prescription insert for safety eyewear and conversion kit to make a presciption insert into functional eyeglasses
KR102027312B1 (ko) 사용자맞춤 코받침대 구비형 안경
KR20240087083A (ko)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KR101289168B1 (ko) 기능성 안경의 구조
US20190353922A1 (en) Stemless mounting system for an eyewear lens
JPH0756536B2 (ja) 眼鏡のつるの挾持装置
JP2016206388A (ja) メガネフレーム
CN212781520U (zh) 一种可替换眼镜鼻托以及眼镜
KR101853486B1 (ko) 안경 다리용 힌지 장치
KR20090005955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탈부착식 코 받침대
KR102562601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코패드를 구비한 안경
KR200348930Y1 (ko) 코받침과 귀걸이가 없는 패션안경
JP3216159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475958Y1 (ko) 플라스틱 안경테
CN214122587U (zh) 一种变形太阳眼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