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6461A -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6461A KR20240086461A KR1020220172044A KR20220172044A KR20240086461A KR 20240086461 A KR20240086461 A KR 20240086461A KR 1020220172044 A KR1020220172044 A KR 1020220172044A KR 20220172044 A KR20220172044 A KR 20220172044A KR 20240086461 A KR20240086461 A KR 202400864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portion
- sleeve
- reinforcing bar
- wet
- connecting reinforc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종래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예시도,
도 1c는 종래 습식 타입에 의한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연결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제1 실시예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제2 실시예의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충진재주입장치의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의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110: 슬리브몸통부
110a: 습식몸통부 110b: 건식몸통부
120: 나사캡
121: 수나사볼트부 122: 볼트머리부
123: 관통나사부
130: 충진재
140: 충진재주입장치
141: 주입구 142: 배출구
143: 테이퍼링부 144: 주름관
145: 내부구슬
150: 나사부쐐기
210: 일측 연결철근 220: 타측 연결철근
300: 구조물
310: 하부 부재 320: 상부 부재
D1, L1: 습식몸통부의 내경, 연장길이
D2, L2: 건식몸통부의 내경, 연장길이
D3: 일측 연결철근의 외경 D4: 타측 연결철근의 외경
Claims (10)
- 슬리브몸통부(110)를 이용하여 일측 연결철근(210)은 습식 방식, 타측 연결철근(220)은 건식 방식으로 연결시키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100)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몸통부(110)는,
기계식가공에 의한 단조방식로 원통형 몸통부로서 일측은, 일측 연결철근(210)이 삽입되어 충진재(130)에 의하여 매입되도록 제작된 습식몸통부(110a); 및 타측은 상기 습식몸통부(110a)와 연속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습식몸통부(110a)과 외경은 동일하고, 습식몸통부(110a)의 내경(D1)과 연장길이(L1) 보다는 작은 내경(D2<D1)과 연장길이(L2<L1)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타측 연결철근(220)이 회전 삽입되면서 나사 체결되도록 제작되는 타측은 건식몸통부(110b);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몸통부(110a) 내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주입구(141); 및 상기 주입구(1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습식몸통부(110a)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된 배출구(142);를 포함하는 충진재주입장치(140)를 이용하여, 충진재(130)를 일측 연결철근(210)이 삽입된 슬리브몸통부(110) 내부에 주입시키되,
상기 충진재주입장치(140)는, 상기 습식몸통부(110a) 내부로 연결되는 부위는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링부(143)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구(142)는 내부에는 내부구슬(145)이 내부에 다수가 연속하여 세팅되어 잔존 공기는 배출구와 주름관(1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만, 그라우트는 내부구슬(145)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주름관(144)이 연결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몸통부(110b)에는,
건식몸통부(110b)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회전 체결되는 수나사볼트부(121); 및
상기 수나사볼트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건식몸통부(110b)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세팅되는 볼트머리부(122);를 포함하도, 상기 볼트머리부(122)와 수나사볼트부(121)를 관통하는 관통나사부(123) 내측면에 타측 연결철근(220)의 단부가 삽입 체결시켜 타측 연결철근(220)을 슬리브몸통부(110) 타측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나사캡(120)이 더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 슬리브몸통부(110)를 이용하여 일측 연결철근(210)은 습식 방식, 타측 연결철근(220)은 건식 방식으로 연결시키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100)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몸통부(110)는, 기계식가공에 의한 단조방식로 원통형 몸통부로서 일측은, 일측 연결철근(210)이 삽입되어 충진재(130)에 의하여 매입되도록 제작된 습식몸통부(110a); 및 타측은 상기 습식몸통부(110a)와 연속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타측 연결철근(220)이 회전 삽입되면서 나사 체결되도록 제작되는 타측은 건식몸통부(110b);를 포함하며,
상기 건식몸통부(110b)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부쐐기(150)를 삽입하여 슬리브몸통부(110)의 단부가 나사부쐐기(150)에 의하여 정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몸통부(110a) 내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주입구(141); 및 상기 주입구(1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습식몸통부(110a)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된 배출구(142);를 포함하는 충진재주입장치(140)를 이용하여,
충진재(130)를 일측 연결철근(210)이 삽입된 슬리브몸통부(110) 내부에 주입시키되,
상기 충진재주입장치(140)는, 상기 습식몸통부(110a) 내부로 연결되는 부위는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링부(143)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구(142)는 내부에는 내부구슬(145)이 내부에 다수가 연속하여 세팅되어 잔존 공기는 배출구와 주름관(1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만, 그라우트는 내부구슬(145)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주름관(144)이 연결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몸통부(110b)에는
건식몸통부(110b)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회전 체결되는 수나사볼트부(121); 및
상기 수나사볼트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건식몸통부(110b)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세팅되는 볼트머리부(122);를 포함하도, 상기 볼트머리부(122)와 수나사볼트부(121)를 관통하는 관통나사부(123) 내측면에 타측 연결철근(220)의 단부가 삽입 체결시켜 타측 연결철근(220)을 슬리브몸통부(110) 타측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나사캡(120)이 더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 (a) 제1항의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100)를 상부 부재(320)에 내부가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b) 하부 부재(310)의 일측 연결철근(210)이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100)의 습식몸통부(110a)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습식몸통부(110a)에 충진재(130)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부 부재(320)와 하부 부재(310)를 서로 일체화시켜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습식몸통부(110a) 내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주입구(141); 및 상기 주입구(1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습식몸통부(110a)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된 배출구(142);를 포함하는 충진재주입장치(140)를 이용하여, 충진재(130)를 일측 연결철근(210)이 삽입된 슬리브몸통부(110) 내부에 주입시키되, 상기 충진재주입장치(140)는, 상기 습식몸통부(110a) 내부로 연결되는 부위는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링부(143)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구(142)는 내부에는 내부구슬(145)이 내부에 다수가 연속하여 세팅되어 잔존 공기는 배출구와 주름관(1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만, 그라우트는 내부구슬(145)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주름관(144)이 연결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100)의 건식몸통부(110b)에는,
건식몸통부(110b)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회전 체결되는 수나사볼트부(121); 및
상기 수나사볼트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건식몸통부(110b)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세팅되는 볼트머리부(122);를 포함하도, 상기 볼트머리부(122)와 수나사볼트부(121)를 관통하는 관통나사부(123) 내측면에 타측 연결철근(220)의 단부가 삽입 체결시켜 타측 연결철근(220)을 슬리브몸통부(110) 타측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나사캡(120)이 더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몸통부(110b)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부쐐기(150)를 삽입하여 슬리브몸통부(110)의 단부가 나사부쐐기(150)에 의하여 정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2044A KR102778843B1 (ko) | 2022-12-09 | 2022-12-09 |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2044A KR102778843B1 (ko) | 2022-12-09 | 2022-12-09 |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6461A true KR20240086461A (ko) | 2024-06-18 |
KR102778843B1 KR102778843B1 (ko) | 2025-03-11 |
Family
ID=9167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2044A Active KR102778843B1 (ko) | 2022-12-09 | 2022-12-09 |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884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88772B1 (ko) | 2024-09-04 | 2025-04-01 | 와이에스씨앤티 주식회사 | 공극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4379Y1 (ko) | 2004-07-05 | 2004-10-08 | 주식회사 팸택 | 나사형 철근과 이형 철근의 이음장치 |
US20090263185A1 (en) | 2008-04-17 | 2009-10-22 | Yee Alfred A | Rebar splice sleeve and method of splicing |
KR101207411B1 (ko) * | 2010-07-23 | 2012-12-04 | 임인혁 | 경화제 주입 연결구 |
KR20140021288A (ko) * | 2012-08-09 | 2014-02-20 | 동아이엔지(주)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
KR101498616B1 (ko) | 2014-07-03 | 2015-03-04 |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 철근 연결용 슬리브 |
KR102088191B1 (ko) | 2018-09-14 | 2020-03-12 |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 중공 pc 기둥을 이용한 하프 슬래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프 슬래브 공법 |
JP2021059897A (ja) * | 2019-10-07 | 2021-04-15 | 東京鐵鋼株式会社 | コンクリート部材用止栓 |
-
2022
- 2022-12-09 KR KR1020220172044A patent/KR10277884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4379Y1 (ko) | 2004-07-05 | 2004-10-08 | 주식회사 팸택 | 나사형 철근과 이형 철근의 이음장치 |
US20090263185A1 (en) | 2008-04-17 | 2009-10-22 | Yee Alfred A | Rebar splice sleeve and method of splicing |
KR101207411B1 (ko) * | 2010-07-23 | 2012-12-04 | 임인혁 | 경화제 주입 연결구 |
KR20140021288A (ko) * | 2012-08-09 | 2014-02-20 | 동아이엔지(주)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
KR101498616B1 (ko) | 2014-07-03 | 2015-03-04 |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 철근 연결용 슬리브 |
KR102088191B1 (ko) | 2018-09-14 | 2020-03-12 |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 중공 pc 기둥을 이용한 하프 슬래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프 슬래브 공법 |
JP2021059897A (ja) * | 2019-10-07 | 2021-04-15 | 東京鐵鋼株式会社 | コンクリート部材用止栓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88772B1 (ko) | 2024-09-04 | 2025-04-01 | 와이에스씨앤티 주식회사 | 공극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78843B1 (ko) | 2025-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62811B1 (ko) | 양단이 결합된 철근콘크리트속채움 비합성복합강관기둥의시공방법. | |
KR20100066856A (ko) | 급속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합성형 프리캐스트 교각 및 그 시공방법 | |
US10227786B2 (en) | Elongate member reinforcement with a studded collar | |
KR20240086461A (ko) |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 |
KR101615200B1 (ko) | 스플라이스 슬리브 및 그의 체결 방법 | |
KR101056027B1 (ko) | 긴장재를 구비한 변단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복합말뚝과 확대기초의 결합구조 | |
CN101356318B (zh) | 具有使用钢管的连接结构的预制混凝土砌块及其连接结构 | |
KR102023688B1 (ko) | 철근용 커플링 소켓 | |
KR102075437B1 (ko) |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 |
KR101017292B1 (ko) | 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 | |
KR940009460B1 (ko) | 콘크리이트 충전관 기둥 및 그의 시공방법 | |
KR20090016909A (ko) | 지반보강용 말뚝과 팽이말뚝부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 |
KR102657183B1 (ko) | 사후 긴장 및 두부 보강 중공부가 구비된 철근 콘크리트 말뚝의 제조 방법,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말뚝 및 이를 구비한 휨 및 모멘트 보강 말뚝 | |
KR20160012670A (ko) | 철근연결구 및 이의 콘크리트 매입 시공방법 | |
KR20250030794A (ko) | 연장형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 |
JP2013036269A (ja) | Sc杭 | |
CN218090804U (zh) | 一种胶结式连接的预制桩接头 | |
JP5601787B2 (ja) | 柱構造及び柱構造の施工方法 | |
JP2008150910A (ja) | 既製コンクリート杭 | |
KR20120130528A (ko) | 강도 보강 phc 파일 | |
JP4105822B2 (ja) | 鉄筋連結装置および鉄筋連結方法 | |
KR101270502B1 (ko) | 구조물용 논 슬리브 피씨부재 | |
KR20030089754A (ko) | 일축 및 다축 연결이 가능한 죠인트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 시공방법 | |
KR20130038313A (ko) | 강도 보강 phc 파일 | |
JP5081040B2 (ja) | 鉄筋連結構造および鉄筋連結用継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