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5407A -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 Google Patents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5407A
KR20240085407A KR1020220170229A KR20220170229A KR20240085407A KR 20240085407 A KR20240085407 A KR 20240085407A KR 1020220170229 A KR1020220170229 A KR 1020220170229A KR 20220170229 A KR20220170229 A KR 20220170229A KR 20240085407 A KR20240085407 A KR 20240085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ner pipe
filter
shaf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정순기
윤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5407A/ko
Priority to PCT/KR2023/014268 priority patent/WO2024122826A1/ko
Publication of KR20240085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5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필터; 입수부와 출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가 회전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및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입수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를 경유하여 상기 출수부로 배출되도록 연결하는 필터링 유로가 형성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필터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링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너 파이프;와 상기 이너 파이프 내측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너 파이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본 발명은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치는 필터 또는 여과재 등을 이용하여 물을 음용 가능한 상태로 정화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정수 장치는, 냉장고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와 함께 사용자가 외부에서 정수된 물을 취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80168호에는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는 필요에 따라 정수장치를 구성하는 필터를 교체하거나 점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필터는 정수장치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필터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물 공급이 가능한 바이패스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35021호에는 이와 같은 바이패스 구조를 가지는 정수필터용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정수필터용 헤드는 정수장치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따라 필터로 유입되는 유량이 달라지게 되어, 디스펜서로 출수되는 유량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를 헤드에서 분리하거나, 장착시키는 과정에서 외부의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러한 외부 힘의 작용으로 헤드에 삽입되는 필터 부분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수장치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과 관계없이 필터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일정 범위로 유지할 수 있어, 필터로부터 출수되는 유량이 균일한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터를 헤드에서 분리 또는 장착하는 과정에서 헤드의 일부 구성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수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필터; 입수부와 출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가 회전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및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입수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를 경유하여 상기 출수부로 배출되도록 연결하는 필터링 유로가 형성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필터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링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너 파이프;와 상기 이너 파이프 내측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너 파이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헤드를 구성하는 샤프트에 필터링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이 필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안내부는, 필터링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물의 수압과 관계없이 필터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안내부는 샤프트 내부에 형성되어, 필터를 헤드에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조작시, 샤프트가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냉장고의 급수 유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정수장치의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필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 7은 헤드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헤드의 결합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헤드의 내부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헤드의 내부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샤프트의 내부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샤프트의 내부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샤프트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헤드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필터가 헤드에 완전히 삽입되어 필터링 유로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필터가 헤드에서 분리된 상태에서의 바이패스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샤프트의 내부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샤프트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1)와, 아웃 케이스(11)와 결합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고내 공간을 단열할 수 있다.
저장공간은 베리어(13)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되며, 상부의 냉장실(14)과 하부의 냉동실(15)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냉장실(14)과 냉동실(15)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힌지 장치(26)에 의해 좌우 양측에서 한 쌍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냉장실 도어(21) 중 어느 일측의 도어에는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23)는 냉장실 도어(21)의 전면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도록 있다.
디스펜서(23)의 상방에는 제빙실(25)이 구비될 수 있다. 제빙실(25)은 얼음이 만들어지고 보관되는 단열 공간으로 내부에 아이스메이커(24)가 수용되며 별도의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14)의 내부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선반과 서랍(16)들이 구비될 수 있다. 서랍(16)의 측방에는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여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하는 정수장치(1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냉장고의 급수 유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냉장고(1)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 또는 냉각한 후에 디스펜서(23)로 취출하거나, 정수된 물을 디스펜서(23) 또는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하는 급수 유로(3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유로(30)는 고외측의 수도와 같은 급수원(2)에 직결되고, 캐비닛(10) 내부에 장착되는 튜브 가이드(19)를 통해 고내 공간으로 유입되어 고내측의 정수장치(17)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 유로(30)에는 필요에 따라, 급수밸브(31)와 유량센서(32)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 유로(30)는 정수장치(17)와 제1 분지관(33)을 연결하며, 제1 분지관(33)에서 분지된 급수 유로(30)는 각각 메인 워터탱크(34)와 제1 분지밸브(35)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분지밸브(35)의 출구와 연결되는 급수 유로(30)는 튜브 가이드(19)를 통해서 캐비닛(10) 내측의 측벽 또는 캐비닛 외측의 후벽면을 따라 연장된 후 상면을 따라 연장되며, 냉장실 도어(21)로 인입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1)의 급수 유로는 제2 분지관(36)에 의해 분지되어 서브 워터탱크(37)의 입구 및 제2 분지밸브(38)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분지밸브(38)의 출구는 각각 디스펜서(23) 및 아이스메이커(24)와 급수 유로(30)에 의해 연결되어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정수장치의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정수장치(17)는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40)와, 필터(40) 각각이 결합되며 물이 유동되는 유로와 연결되는 헤드(60)를 포함한다. 정수장치(17)는 필터(40) 및 헤드(60)가 수용되는 케이스(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장치(17)는 헤드(6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마운팅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부재(70)의 일단에는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관(301)이 연결될 수 있고, 타단에는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관(302)이 연결될 수 있다. 헤드(60)는 입수관(301)을 통해 입수되는 원수는 각각의 필터를 모두 거친 후 정수되어 출수관(302)으로 출수될 수 있다.
헤드(60)는 필터(40)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헤드 바디(61)와, 헤드 바디(61)의 내부에서 필터(40)의 상단과 연결되어 물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샤프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40)는 헤드(60)에 회전 방식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필터(40)의 장착 과정에서 샤프트(90)가 필터(40)와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40)의 회전 시 샤프트(90)가 함께 회전되어 샤프트(90)의 유로가 전환될 수 있다.
샤프트(90)에 의해 필터(4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필터(40) 측으로 유로가 전환되어 필터(40)를 거쳐 물이 정화될 수 있게 된다. 필터(4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공급되는 물이 필터(4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되어 헤드(60)를 통과하도록 유로가 전환될 수 있다.
케이스(171)는 필터(40)와 헤드(60)를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71)는 기 냉장실(14) 내부의 일측에서 고정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필터(40)는 정수장치(17)의 기능에 따라서 단일로 구비되거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40)가 복수개로 구성될 경우, 각각의 필터가 결합되는 다수의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헤드는 서로 연결관에 의해 유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필터(40)는 하우징(4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1)은 내부에 필터링부재(44)를 수용하는 하우징 바디(42)와, 하우징 바디(42)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캡(4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캡(43)의 상부 개방부를 통하여 샤프트(90)의 일부가 인입될 수 있다. 하우징 캡(43)은 헤드(60)의 개구된 하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한쌍의 오링(432)이 구비되어, 헤드(60)의 내측면과 기밀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캡(43)의 상부 외주면에는 결합돌기(4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433)는 필터(40)의 상부가 헤드(6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헤드(6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6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433)와 결합홈(631)은 필터(40)가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40)는 헤드(6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필터(40)의 회전에 의해 결합돌기(433)와 결합홈(631)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터(40)와 헤드(60)가 완전히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내부의 필터(40)와 헤드(60)의 유로가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이 필터(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마운팅부재(70)는 케이스(171) 또는 냉장고(1) 고내 일측 벽면에 장착되는 베이스(73)와, 베이스(73)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헤드(6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74)에는 입수관(301)과 출수관(302)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입수관(301)과 출수관(302)은 헤드(60)의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헤드(60)는 하면이 개구되고, 필터(40)가 삽입 고정되는 헤드 바디(61)와, 헤드 바디(61)의 내측에 수용되는 샤프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60)는 헤드 바디(6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헤드 캡(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바디(61)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433)의 걸림 구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개구부(63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필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다.
필터(40)는 외형을 형성하는 필터 하우징(41)과, 필터 하우징(41)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링부재(44) 및 필터링부재(44)를 지지하는 어퍼 서포터(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필터 삽입부(431)가 형성되며, 필터 삽입부(431)에는 복수의 오링(432)이 상하 연속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삽입부(431) 외측에는 결합돌기(43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433)의 하면 일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구속돌기(433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속돌기(433b)는 결합홈(631)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어퍼 서포터(80)는 하우징 캡(43)이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어퍼 서포터(80)는 필터링부재(44)의 상부면과 하우징 캡(43)의 내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어퍼 서포터(80)에는 서포터 체결부(81)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서포터(80)의 상단이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어퍼 서포터(80)가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서포터 체결부(81)의 후크부(811)가 하우징 체결부의 단부에 걸림 구속되어 어퍼 서포터(80)가 하우징 캡(43)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41)의 내부에는 필터링부재(44)가 수용될 수 있다. 필터링부재(44)는 유입되는 물이 통과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재(4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카본필터 또는 멤브레인필터 등일 수 있다.
필터 하우징(41)과 필터링부재(44)의 외측면 사이에 물이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서포터(80)는 필터링부재(44)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필터 삽입부(431)의 입구와 중공(441)을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 삽입부(431)를 통해 헤드(6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필터링부재(44)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필터링부재(44)에서 정화된 물이 헤드(60)로 유출될 수 있다.
어퍼 서포터(80)는 필터링부재(44)의 상단을 수용하는 서포터 수용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서포터(80)는, 서포터 삽입부(83) 상면에서 상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는 서포터 단차부(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서포터(80)는, 서포터 단차부(84)의 상면 중앙에서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서포터 연장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 연장부(85)의 내부에는 필터 입력 유로(871)와 필터 출력 유로(86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40) 내부로의 물 공급 및 필터(40)에서 정수된 물 배출이 서포터 연장부(85)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서포터 연장부(85)의 개구된 상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 입력 유로(872)가 형성된다. 서포터 단차부(84)에는 서포터 단차부(84)를 가로질러 관통되는 제 2 필터 입력 유로(873)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입력 유로(87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필터 하우징(41)과 필터링부재(44)의 사이 공간을 따라서 유동된다. 그리고, 필터링부재(44)의 외측으로 유입된 물은 필터링부재(44)를 통과하여 중공(441)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정수될 수 있다.
서포터 연장부(85)에는 필터 출구(862)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출구(862)에서 토출되는 물은 출구 홈(875)을 따라서 샤프트(90) 외측면에 형성되는 출수 안내부(965b)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은 샤프트(9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 연장부(85)와 샤프트(9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90)와 필터(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7은 헤드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헤드의 결합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헤드의 내부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헤드의 내부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헤드(60)는 헤드 바디(61)와, 샤프트(90)를 포함한다. 헤드 바디(61)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서 샤프트(90)가 삽입될 수 있다.
헤드 바디(61)는 로어 바디(63)와 어퍼 바디(64)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63)는 필터(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구된다. 로어 바디(63)에는 결합돌기(433)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631)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63)의 내측면 둘레에는 필터 삽입부(431)가 삽입된 상태에서 필터(4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서포팅 리브(634)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64)는 로어 바디(63)의 상단에 형성된다. 어퍼 바디(64)는 로어 바디(63)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90)는 어퍼 바디(64)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삽입되며, 어퍼 바디(64)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 바디(64)의 내측에는 필터 삽입부(431) 상단과, 서포터 연장부(85) 상단, 샤프트(90)의 하단이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들 구성의 결합에 의해 필터(40)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64)에는 입수부(611)와 출수부(61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입수부(611)와 출수부(612)는 각각 입수관(301) 및 출수관(302)과 연통될 수 있다. 입수부(611)와 출수부(612)는 샤프트(90)에 형성되는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입수부(611)와 출수부(612)는 헤드에서 서로 대향되게 일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헤드(60)는 샤프트(90)가 삽입되는 헤드 바디(61)의 상면을 차폐하는 헤드 캡(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캡(62)의 하면에는 샤프트(90)의 상면까지 연장되는 캡 지지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90)는 어퍼 바디(64)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샤프트(90)에는 필터링 유로(96)와 바이패스 유로(95)가 형성된다.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 이들 유로는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90)는 어퍼 파트(91)와 로어 파트(9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파트(9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샤프트 오링(93)이 각각 구비되어 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어퍼 파트(91) 둘레에는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입수부(611)를 통과한 물은 샤프트 입구(961)로 유입되고, 샤프트 출구(962)를 통과한 물은 출수부(612)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의 둘레에는 실링부재(94)가 장착되는 실링부재 장착부(911)가 형성될 수 있다.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에 형성된 입수구(611a)와 출수구(612a)에는 실링 리브(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90)의 회전 과정 중에 실링 리브(613)가 실링부재(94)를 가압하여 실링부재(94)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어퍼 파트(91)의 외측면 중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의 사이에는 각각 바이패스 입구(951)와 바이패스 출구(952)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 바이패스 입구(951)와 바이패스 출구(952)가 각각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정렬될 경우 입수부(611)로 공급되는 물은 바이패스 유로(95)를 통과하여 출수부(612)로 바로 배출될 수 있다.
어퍼 파트(91)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로어 파트(92)가 연장될 수 있다. 로어 파트(92)는 안착부(65)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부(65)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파트(92)의 일측면에는 출수 안내부(965b)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90)가 헤드(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샤프트(90)의 출수 안내부(965b)는 헤드(6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물의 유동 통로인 샤프트 출수 유로(96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바이패스 유로(95)가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와 연결되도록 전환된 상태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바이패스 입구(951)와 바이패스 출구(952)는 각각 입수구(611a)와 출수구(612a)와 정렬된 상태에서 바이패스 유로(95)와 연통할 수 있다.
헤드(60)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40)를 거치지 않고 헤드(60)를 통과하게 된다. 필터(40)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필터(40)가 장착되는 측으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급수 유로(30) 상의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바이패스 유로(95)의 내측면에는 필터링 유로(96)의 성형을 위해 돌출된 유로 돌출부(963)가 형성된다. 유로 돌출부(963)는 바이패스 유로(95)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필터링 유로가 입수부와 출수부와 연결되도록 전환된 상태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필터링 유로(96)는 샤프트(90)의 회전에 따라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수관(301)을 통해 헤드(60)로 유입된 물이 필터(40)의 내부로 공급되어 정수될 수 있다.
로어 파트(92)의 내측에는 이너 파이프(97)가 형성되며, 이너 파이프(97)는 서포터 연장부(85)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링 유로(96)는 샤프트 입수 유로(964)와 샤프트 출수 유로(965)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입수 유로(964)는 샤프트 입구(961)에서 샤프트(90)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수평부(964a)와, 수직부(964a)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964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964b)는 이너 파이프(9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의 외측면은 로어 파트(92)의 내측면과 떨어지도록 배치되어 이격 공간(971)을 형성하게 된다. 필터(40)의 장착시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은 이격 공간(97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로어 파트(92)의 내측면에서 이너 파이프(97)와 서포터 연장부(85)가 연결되어, 샤프트(90)와 어퍼 서포터(8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와 서포터 연장부(85)의 결합에 의해 샤프트 입수 유로(964)는 필터 입력 유로(87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정수를 위한 물을 필터링부재(44)로 공급할 수 있다.
샤프트 출수 유로(965)는 로어 파트(9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출수 안내부(965b)와 어퍼 파트(91)에 형성되는 출수 연결부(965a)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 안내부(965b)의 상단은 어퍼 파트(91)의 하면을 관통하여 출수 연결부(965a)와 연통된다. 그리고, 출수 연결부(965a)는 어퍼 파트(91)의 내측에서 출수 안내부(965b)와 샤프트 출구(962)를 연결한다.
필터 출구(862)에서 배출되는 정수는 출수 안내부(965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출수 연결부(965a)를 지나 샤프트 출구(962)로 토출될 수 있다. 샤프트 출구(962)로 토출되는 정수는 출수부(6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1은 샤프트의 내부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샤프트의 내부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샤프트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샤프트(90)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샤프트(90)에는 필터링 유로(96)와 바이패스 유로(95)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서 필터링 유로(96) 또는 바이패스 유로(95)가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90)는 어퍼 파트(91)와 로어 파트(9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파트(91) 내부에는, 바이패스 유로(95)와, 필터링 유로(96)의 수평부(964a)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가 각각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정렬될 수 있다. 입수부(611)로 공급되는 물은 필터링 유로(96)를 통과하여 필터(40)를 거친 후 정수된 물이 출수부(612)로 배출될 수 있다.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 바이패스 입구(951)와 바이패스 출구(952)가 각각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정렬될 수 있다. 입수부(611)로 공급되는 물은 바이패스 유로(95)를 통과하여 출수부(612)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로어 파트(92)는 어퍼 파트(91)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파트(92)의 내측에는 이너 파이프(97)가 형성된다.
이너 파이프(97)는, 필터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는 서포터 연장부(85)와 연결되어, 샤프트(90)를 통해 입수되는 물을 필터(4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는, 하단이 개구되고 중공으로 형성되어 필터링 유로(96)의 수직부(964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로어 파트(92)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 하단은 로어 파트(92) 하단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 하단에는 한 쌍의 파이프 절개부(973)가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절개부(973)는 서포터 연장부(85)에 형성된 돌출부(852)와 형합될 수 있다. 한쌍의 파이프 절개부(973)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 하단에는 한 쌍의 파이프 절개부(973) 사이에 한 쌍의 연결부(972)가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연결부(97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972)는 서포터 연장부(85) 상단에 형성된 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972)의 하단은 파이프 절개부(973) 하단보다 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40)의 회전에 의해 서포터 연장부(85)가 이너 파이프(97)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이너 파이프(97) 내면, 즉 필터링 유로 상에는 안내부(98)가 형성된다. 여기서, 이너 파이프(97) 외면은, 로어 파트(92)를 마주보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 외면은 이격 공간(971)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 내면은, 필터링 유로(96)의 수직부(964b)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 내측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고, 이너 파이프(97)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에 형성된 중공을 가로지르도록 제1 부분(981)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의 제1 부분(981)에서 이너 파이프(97) 내측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의 제1 부분(981)과, 이너 파이프(97)의 제2 부분(982)을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 제1 부분(981)에서 제2 부분(982)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안내부(98)는 제1 부분(981)을 기준으로 필터링 유로(96)의 수평부(964a)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너 파이프(97)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부분(981)은 이너 파이프(97) 내면에서 이너 파이프(97)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제2 부분(982)은 이너 파이프(97) 내면에서 이너 파이프(97)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제1 부분(981)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분(982)은 제1 부분(98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981)은 한쌍의 연결부(97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결부(972)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부분(982)은 한쌍의 연결부(972) 중에서 다른 하나의 연결부(972)상에 위치할 수 있다.
안내부(98)는 제1 부분(981)과 제2 부분(982)을 연결한 상태에서 이너 파이프(97)가 연장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98)는 연결부(972)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98) 하단은, 파이프 절개부(973)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40)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샤프트(90) 손상을 방지하도록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필터(40)의 회전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안내부(98)는 연결부(972) 하단에서, 이너 파이프(97)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부(98)는 필터링 유로(96)의 수평부(964a)와 연결될 수 있다.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 내측으로 흐르는 물을 필터(40)에 직접적으로 입수가 가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 상단으로 유입된 물은 이너 파이프(97) 내면 일부와 안내부(98)을 따라 필터(40)가 위치한 하방으로 직접적으로 가이드해줄 수 있다.
안내부(98)는 제1 부분(981)과 제2 부분(982)을 연결하여, 이너 파이프(97)의 내부를 제1 영역(97a)과 제2 영역(97b)으로 구획할 수 있다.
안내부(98)는 제1 영역(97a)과 제2 영역(97b)으로 구획하도록 이너 파이프(97) 내부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의 개구된 하단을 기준으로, 안내부(98)는 개구된 하단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98)의 두께(L1)는 이너 파이프(97)의 두께(L2)와 대응하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98)의 두께가 너무 두껍게 형성되면, 수직부(964b)로 흐르는 물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 두께 이하의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내부(98)의 두께는 수직 단면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97a)은 필터링 유로(96)의 수평부(964a)를 따라 유동된 물이 필터링 유로(96)의 수직부(964b)를 따라 유동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97b)은 필터링 유로(96)의 수평부(964a)를 따라 유동된 물이 안내부(98)에 의해 차단되어 물의 유동이 제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샤프트 입구(961)를 기준으로, 제1 영역(97a)은 제2 영역(97b) 보다 샤프트 입구(961)에 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샤프트 출구(962)를 기준으로 제2 영역(97b)은 제1 영역(97a) 보다 샤프트 출구(962)에 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영역(97a)은 제2 영역(97b) 보다 샤프트 입수 유로(964)에 더 가깝게 위치되며, 제2 영역(97b)은 제1 영역(97a) 보다 샤프트 출수 유로(965)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필터링 유로(96)의 수평부(964a)에서 필터링 유로(96)의 수직부(964b)로 유동한 물은, 안내부(98)에 의해 제2 영역(97b)에서 유동하지 못하고. 제1 영역(97a)에서 유동한 후, 필터(4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이너 파이프(97)는 안내부(98)에 의해, 수직부(964b) 상에 물이 유동하는 면적을 제1 영역(97a)으로 제한될 수 있다.
제1 영역(97a)에서 흐르는 물의 유량은 제2 영역(97b)에서 흐르는 물의 유량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97a)와 제2 영역(97b)에서 흐르는 물의 유량 차이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안내부(98) 상단이 이너 파이프(97)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평부(964a)를 흐르는 물이 모두 제1 영역(97a)으로 입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파이프(97)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속이 증가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를 흐르는 물의 유속이 증가됨에 따라, 제1 영역(97a)에서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이 증대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로 흐르는 물의 수압이 증대됨에 따라,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증대될 수 있다.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증대됨에 따라 필터(40)를 거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터(40)를 거쳐 정수된 물이 출수부(612)로 배출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냉장고(1)가 설치된 장소마다 급수원(2)의 수압이 다를 수 있다. 급수원(2)의 수압이 낮은 경우, 필터링 유로(96)를 흐르는 물의 수압이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직부(964b)를 유동하는 물은 안내부(98)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 되어, 필터(40)에 직접적으로 입수될 수 있다.
또한, 이너 파이프(97)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낮더라도, 안내부(98)에 의해 이너 파이프(97) 수직부(964b)를 유동하는 물의 유속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증대되어, 필터(40)를 거쳐 정수되는 물의 유량을 일정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급수원(2)의 수압이 높은 경우, 필터링 유로(96)를 흐르는 물의 수압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높을 수 있다. 이너 파이프(97)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일정 범위보다 높은 경우, 이너 파이프(97) 수직부(964b)를 유동하는 물은, 안내부(98)에 의해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회전력을 얻은 물은 이너 파이프(97)의 적어도 일부와 안내부(98)를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하면서 하방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 파이프(97)에서 물이 유동하는 거리가 증대됨에 따라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감속될 수 있다.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감속되어, 필터(40)를 통해 물이 정수되기 위한 최소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필터(40)를 거쳐 정수되는 물의 유량을 일정 이상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정수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너 파이프(97)에 안내부(98)를 구비함에 따라, 급수원(2)의 수압과 관계없이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일정 범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급수원(2) 수압 차에 따른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필터(40)를 거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을 확보하여, 정수된 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4는 헤드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필터가 헤드에 완전히 삽입되어 필터링 유로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필터가 헤드에서 분리된 상태에서의 바이패스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필터(40)를 90도 각도로 더 회전시켜, 결합돌기(433)와 결합홈(631)이 완전히 결합되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샤프트(90) 또한 함께 회전하여 도 1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샤프트(90)가 완전히 회전하게 되면, 필터링 유로(96)가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서로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이너 파이프(97)와 서포터 연장부(85)는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헤드(60)와 필터(40) 사이에 원수와 정수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필터(40)가 헤드(6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입수부(611)를 통해서 유입되는 물은 입수구(611a)와 샤프트 입구(961)를 통해 샤프트 입수 유로(964)를 따라 유동된다.
즉, 수평부(964a)와 수직부(964b)를 따라 유동되는 물은 이너 파이프(97)를 지나 서포터 연장부(85)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수직부(964b)를 따라 유동되는 물은 안내부(98)에 의해 제1 영역(97a)으로 유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안내부(98)에 의해 이너 파이프(97) 내부에서 물이 흐르는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수직부(964b)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낮은 경우, 이너 파이프(97) 내부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됨에 따라 수압이 증대된 상태로, 필터(40)에 유입될 수 있다.
수직부(964b)를 따라 유동되는 물의 수압이 높은 경우에는 도 15와 같이, 이너 파이프(97) 내부에서 안내부(98)에 의해 나선형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안내부(98)에 의해 물의 유동을 직간접적으로 방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물의 유속이 감속된 상태로 필터(40)에 유입될 수 있다.
그 다음, 하우징(41)의 내측면과 필터링부재(44)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필터링부재(44)의 외측에서 필터링부재(44) 내측의 중공(441)으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링부재(4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될 수 있다. 필터링부재(44) 내측의 정화된 물은 필터 출구(862)에서 상방으로 배출된다.
정수된 물은 로어 파트(92)에 형성된 출수 안내부(965b)를 따라서 상방으로 유동되며, 어퍼 파트(91)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샤프트 출구(962)와 출수부(612)를 차례로 통과한 후 출수부(612)로 배출된다. 그리고, 출수부(612)의 출수관(302)은 급수 유로(30)의 일부분을 형성하여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필터(40)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먼저 필터(40)를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필터(40)의 회전에 따라 결합돌기(433)는 결합홈(631)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서포터 연장부(85)는 샤프트(9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샤프트(90)가 90도만큼 회전되어 바이패스 유로(95)가 연결되면, 회전돌기(921)는 스토퍼(652)와 접하여 샤프트(9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필터(40)를 더 회전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게 되면 필터(40)가 헤드(6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필터(40)가 헤드(6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바이패스 유로(95)가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연결된다.
안내부(98)는 연결부(97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이너 파이프(97) 하단부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의 강도를 보강하여 필터(40)를 헤드(6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너 파이프(97)가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95)를 지난 물은 정수 과정을 거치지 않고 헤드(60)를 통과하여 바로 급수 유로(30)를 통해 아이스메이커(24) 또는 디스펜서(23)로 공급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샤프트의 내부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샤프트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90)는 이너 파이프(97) 내부에 수직부(964b) 유로를 가이드 하는 안내부(98')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98')는, 필터링 유로(96) 수직부(964b)를 형성하는 이너 파이프(97) 상에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리브(985, 986)가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의 제3 부분(983)에서 수직부(964b) 중심을 향해 돌출된 제1 리브(9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985)는 이너 파이프(97) 하단에서 이너 파이프(97)가 연장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안내부(98')는 이너 파이프(97)의 제4 부분(984)에서 수직부(964b) 중심을 향해 돌출된 제2 리브(98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브(986)는 이너 파이프(97) 하단에서, 이너 파이프(97)가 연장된 상방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부분(983)과 제4 부분(984)은 한 쌍의 연결부(972)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제3 부분(983)과 제4 부분(984)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제1 리브(985)와 제2 리브(986)는 이너 파이프(97) 내면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리브(985)는 이너 파이프(97) 중심을 향해 돌출된 길이(L3)가 제2 리브(986)가 돌출된 길이(L4)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985) 단부는 이너 파이프(97) 중심과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리브(986) 단부는 이너 파이프(97) 중심과 설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리브(985)와 제2 리브(986)는 바이패스 유로(95)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달리 설명하면, 제1 리브(985)와 제2 리브(986)는 서로 설정 간격으로 이격 공간(987)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리브(985), 제2 리브(986) 및 이격 공간(987)에 의해 수직부(964b)는 제3 영역(97c)과 제4 영역(97d)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3 영역(97c)은, 수직부(964b)로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4 영역(97d)은 수직부(964b)로 유입된 물의 유동이 제한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안내부(98')는 이격 공간(987)이 형성되어, 수직부(964b)로 유입된 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3 영역(97c)과 제4 영역(97d)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수직부(964b)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과 관계없이, 필터(40)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일정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98')에 의해 샤프트(90) 회전에 의해 이너 파이프(97)의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이너 파이프(97) 하단의 탄성을 확보하여 필터의 분리 또는 장착시, 필터의 회전이 보다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필터;
    입수부와 출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가 회전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및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입수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를 경유하여 상기 출수부로 배출되도록 연결하는 필터링 유로가 형성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필터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링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너 파이프;와
    상기 이너 파이프 내측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너 파이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안내부를 포함하는 정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된 제2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정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이너 파이프 내면에서 상기 이너 파이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이너 파이프 내면에서 상기 이너 파이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 부분과 마주보는 위치인 정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이너 파이프의 중심선을 가로지르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정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파이프 하단에는, 상기 필터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정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한쌍의 연결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결부를 따라 연장된 제1 부분과, 상기 한쌍의 연결부 중에서 다른 하나의 연결부를 따라 연장된 제2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정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수직 단면의 두께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두께와 대응하거나, 더 작게 형성된 정수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내부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하는 정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유로는,
    샤프트 입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너 파이프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상기 샤프트 입구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는 정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의 물의 유량이 상기 제2 영역에서 물의 유량보다 더 크게 형성된 정수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 상단은 상기 이너 파이프 상단과 대응하게 위치된 정수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연결부 사이에는 파이프 절개부가 위치되고,
    상기 안내부 하단은, 상기 파이프 절개부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정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이너 파이프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리브와,
    상기 제1 리브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이너 파이프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리브를 포함하는 정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이너 파이프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정수장치.
  15.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고,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정수장치;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정수장치에서의 물을 외부로 취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20170229A 2022-12-08 2022-12-08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240085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229A KR20240085407A (ko) 2022-12-08 2022-12-08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PCT/KR2023/014268 WO2024122826A1 (ko) 2022-12-08 2023-09-20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229A KR20240085407A (ko) 2022-12-08 2022-12-08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5407A true KR20240085407A (ko) 2024-06-17

Family

ID=9137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0229A KR20240085407A (ko) 2022-12-08 2022-12-08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85407A (ko)
WO (1) WO20241228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3326A1 (en) * 2004-08-05 2006-02-09 Domnick Hunter Limited Filter assembly
KR101206673B1 (ko) * 2010-12-10 2012-11-2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
KR101764352B1 (ko) * 2016-05-12 2017-08-03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워터필터
KR20220026371A (ko) * 2020-08-25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141605A (ko) * 2021-04-13 2022-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22826A1 (ko) 202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9570B2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filter structure
EP3225293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KR101760177B1 (ko) 냉장고
EP2772714B1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KR10160139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필터장치
KR20120041450A (ko) 냉장고용 워터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081910A (ko)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240085407A (ko)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134459B1 (ko) 필터 구조
KR20220026371A (ko) 냉장고
US20230144077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220381507A1 (en) Refrigerator
KR102436312B1 (ko)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131232B1 (ko) 냉장고
KR100324519B1 (ko) 냉장고의 물 공급장치
KR100748521B1 (ko) 정수필터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