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312B1 -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 Google Patents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312B1
KR102436312B1 KR1020200041806A KR20200041806A KR102436312B1 KR 102436312 B1 KR102436312 B1 KR 102436312B1 KR 1020200041806 A KR1020200041806 A KR 1020200041806A KR 20200041806 A KR20200041806 A KR 20200041806A KR 102436312 B1 KR102436312 B1 KR 102436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ilter
water
shaf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935A (ko
Inventor
김영재
권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3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헤드의 삽입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 하우징을 거쳐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유로와,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 하우징을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 및 샤프트와 결합되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며, 개구된 상단을 통해 물이 출입되는 필터 삽입부; 및 상기 헤드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삽입부 상면과 접하며, 상기 헤드와 상기 필터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필터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로 회전 되어 상기 유로가 절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필터 삽입부의 상면과 접하여 기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water purifying apparatus refrigerator}
본 발명은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 장치는 공급되는 물을 필터 또는 여과재 등을 이용하여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 또는 탱크의 물을 정화하여 음용 가능한 상태로 정화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음용 가능한 물을 공급하는 정수 장치는 정수기가 대표적이며, 최근에는 냉장고에도 이와 같은 정수 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가 구비되어 냉장고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받거나 이를 이용하여 얼음을 만들 수도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80168호에는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필터의 장착시 상기 필터의 장착 및 고정 과정에서 상기 필터가 회전 장착되며,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필터가 장착되는 부위에서 오링이 탈락되거나, 오링의 위치가 변경되어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오링은 상기 필터가 헤드에 삽입되는 부분에 필터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와 헤드 사이를 선 접촉하는 방식으로 실링하게 되어 실링되는 면적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의 장착시 회전되면서 장착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오링의 밀착성이 보다 좋지 못하게 되며, 상기 오링의 위치 이탈 또는 밀착성 저하로 인한 누수 문제가 더욱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헤드에 장착된 필터가 회전 조작되더라도 상기 헤더와 필터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터의 상단과 헤드 사이를 면 접촉 방식으로 추가 실링할 수 있도록 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지점을 면 압착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헤드 내부에 필터 상단과 접하는 실링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와 상기 헤드 사이에 물이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헤드의 삽입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 하우징을 거쳐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유로와,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 하우징을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 및 샤프트와 결합되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며, 개구된 상단을 통해 물이 출입되는 필터 삽입부; 및 상기 헤드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삽입부 상면과 접하며, 상기 헤드와 상기 필터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필터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로 회전 되어 상기 유로가 절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필터 삽입부의 상면과 접하여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상기 필터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샤프트의 회전 중심에 상기 제 1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장착시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에 구속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와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어 물이 출입되는 필터 삽입부; 및 상기 헤드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삽입부 상면과 접하여 상기 헤드와 상기 필터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입수관으로 입수된 물이 상기 필터링 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출수관으로 배출되도록 연결하는 필터링 유로와 상기 입수관과 출수관을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 삽입부 외측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오링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헤드 내면에는, 상기 헤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샤프트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헤드 내면에는, 상기 안착부와 하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헤드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 부재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형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 부재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의 하면과 면 접촉하고, 상기 실링 부재의 하면은 상기 필터 삽입부 상면과 면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헤드 내면과 접하고, 상기 실링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샤프트 둘레와 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오링의 외측단은, 상기 실링 부재의 외측단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 장치;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정수 장치에서 정수된 물을 외부에서 취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 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에 구속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와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어 물이 출입되는 필터 삽입부; 및 상기 헤드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삽입부 상면과 접하여 상기 헤드와 상기 필터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필터가 헤드에 삽입되었을 때 필터 삽입부 상면과 접하도록 실링 부재를 헤드 내측에 장착하여, 상기 헤드와 필터 사이를 기밀하여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헤드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부와 필터 삽입부 사이에 실링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에 삽입된 필터의 상방에서 상기 필터 외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해드 내측면에 상기 안착부와 하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고정부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부와 고정부 사이에 상기 실링 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실링 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샤프트나 필터가 회전하더라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실링 부재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실링 부재의 상면 및 하면이 상기 필터 삽입부 상면과 대응하는 면적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와 헤드 사이를 실링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필터 삽입부에는 한쌍의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필터 외측면과 헤드 사이로 누설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필터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급수 유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정수 장치의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필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 8은 상기 헤드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헤드와 상기 하우징 캡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하우징 캡과 헤드가 분리된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은 하우징 캡과 헤드가 분리된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을 위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장치가 장착된 정수기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베리어(13)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되며, 상부의 냉장실(14)과 하부의 냉동실(1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5)은 좌우측으로 더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5)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모두 힌지장치(26)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5)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 중 어느 일측의 도어에는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3)는 냉장실 도어(21)의 전면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3) 상방에는 제빙실(25)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25)은 얼음이 만들어지고 보관되는 단열 공간으로 내부에 상기 아이스메이커(24)가 수용되며 별도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4)의 내부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선반과 서랍(16)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징실(14)의 측방에는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여 상기 디스펜서(23)와 상기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하는 정수 장치(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 장치(17)는 상기 서랍(161)의 수납 공간과 벽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161)의 전면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수 장치(17)의 장착 위치는 서랍(161)의 일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냉장실(14)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21)를 포함한 상기 냉장실(14)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급수 유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 또는 냉각한 후에 상기 디스펜서(23)로 취출하거나, 정수된 물을 상기 디스펜서(23) 또는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하는 급수 유로(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30)는 고외측의 수도와 같은 급수원(2)에 직결되고,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장착되는 튜브 가이드(19)를 통해 고내 공간으로 유입되어 고내측의 정수 장치(17)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30)는 상기 정수 장치(17)와 제 1 분지관(33)을 연결하며, 제 1 분지관에서 분지된 급수 유로는 각각 상기 메인 워터탱크(34)와 제 1 분지밸브(3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분지밸브(35) 출구와 연결되는 급수 유로(30)는 상기 튜브 가이드(19)를 통해서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측벽 또는 캐비닛 외측의 후벽면을 따라 연장된 후 상면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도어 힌지(26)를 거쳐 상기 냉장실 도어(21)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급수 유로는 제 2 분지관(36)에 의해 분지되어 상기 서브 워터탱크(37)의 입구 및 제 2 분지밸브(38)와 연결된다. 상기 서브 워터탱크(37)는 상기 디스펜서(23)와 연결되어 냉각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23)를 통해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분지밸브(38)의 출구는 각각 디스펜서(23) 및 아이스메이커(24)와 상기 급수 유로(3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수 장치(17)를 거쳐 정수된 물은 냉각되어 상기 디스펜서(23)로 공급되거나, 냉각되지 않고 정수된 상태로 상기 디스펜서(23) 또는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 장치(17)는 전체적으로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40)와, 필터(40)가 결합되며 물이 유동되는 유로와 연결되는 헤드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40) 및 헤드 유닛(50)이 수용되는 케이스(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수 장치(17)는, 복수의 필터(40)와 헤드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상기 헤드 유닛(50)의 입수측과 연결되는 제 1 필터(401)와 상기 헤드 유닛(50)의 출수측과 연결되는 제 3 필터(403)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401)와 제 3 필터(40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필터(402)로 조합되어 상기 정수 장치(17)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필터(401)와 제 2 필터(402) 및 제 3 필터(403)는 각각 프리 카본 필터와, 멤브레인 필터, 그리로 포스트 카본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40)의 개수와 종류에는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정수 장치(17)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개수 그리고 효율적인 정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 필터를 조합하여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터 하우징(4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41)은 내부에 정수를 위한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바디(42)와, 상기 하우징 바디(42)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41)의 상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캡(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헤드(60)의 개구된 하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한 쌍의 오링(432)가 구비되어 상기 헤드(60)의 내측면과 접하여 기밀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의 장착시 상기 결합홈(631)과 결합돌기(435)가 서로 결합되며, 상기 필터(40)는 상기 헤드(60)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40)와 상기 헤드(60)가 완전히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40)와 헤드(60)의 유로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필터(40)와 헤드(60) 사이에 물이 서로 출입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유닛(50)은 상기 각각의 필터(40)가 결합되는 다수의 헤드(60)와, 상기 헤드(6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마운팅부재(70)와, 상기 마운팅부재(70)의 양단에서 연결되어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관(301) 및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관(3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70)는 상기 다수의 헤드(6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헤드(60)는 연결관(71)에 의해서 유로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입수관(301)을 통해 입수되는 원수는 각각의 필터를 모두 거친 후 정수되어 상기 출수관(302)으로 출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71)과 대응하는 상기 마운팅부재(70)의 일측에는 커버(72)가 장착되어 상기 연결관(71)을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캡(80)은 상기 회전 지지부(71)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마운팅 부재(7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캡(80)은 상기 헤드(60)와 이웃하는 헤드(60) 사이에서 유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60)를 고정하여 상기 헤드(60)가 회전 조작에도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헤드(60)는 상기 필터(40)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헤드 바디(61)와, 상기 헤드 바디(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40)의 상단과 연결되어 물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샤프트(90) 그리고 헤드 바디(61)의 상면을 차폐하는 헤드 캡(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상기 헤드(60)에 회전 방식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의 장착과정에서 헤드(60)의 내부로 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필터(40) 내부로 정수를 위한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은 상기 헤드(60)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40)의 분리시 상기 헤드(60) 내부의 유로는 전환되어 누수되지 않도록 필터(40)측으로의 유로는 차단되고, 바이패스하여 상기 헤드(60)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의 교환이나 유로의 세척 등과 같은 서비스 작업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상기 필터(40) 제거시 상기 필터(40)가 제거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입수관(30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헤드(60)를 지나 상기 출수관(302)으로 유동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급수유로(30)상에 물 공급이 중단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3) 및 아이스 메이커(24)의 정상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40)는 상기 정수 장치(17)의 기능에 따라서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필터(40)가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유닛(50) 또한 하나의 헤드(60)와 마운팅부재(7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헤드(60)의 구조는 단수 또는 복수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40)와 헤드(60)가 단수로 구성되는 정수 장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정수 장치의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필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정수 장치(17)는 필터(40)와 헤드(60) 그리고 마운팅부재(7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터 하우징(4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41)은 내부에 필터링 부재(도 7에서 44)를 수용하는 하우징 바디(42)와, 상기 하우징 바디(42)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상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캡(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헤드(60)의 개구된 하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한쌍의 오링(4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오링(432)은 상기 헤드(60)의 내측면과 접하여 기밀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부에는 결합돌기(4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기 필터(40)의 상부가 상기 헤드(6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헤드(6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631)을 따라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433)와 결합홈(631)은 상기 필터(40)가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는 상기 헤드(6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상기 결합돌기(433)와 결합홈(631)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40)와 상기 헤드(60)가 완전히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내부의 유로가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이 상기 필터(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70)는 상기 케이스(171) 또는 냉장고(1) 고내 일측 벽면에 장착되는 베이스(73)와, 상기 베이스(73)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헤드(6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7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부(74)에는 입수관(301)과 출수관(302)의 단부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74)에서 상기 입수관(301)과 출수관(302)은 상기 헤드(60)의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헤드(60)는 상기 회전 지지부(74)에 의해 상기 마운팅부재(7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의 탈착시 상기 헤드(60)를 회전 또는 틸팅 조작하여 상기 필터(40)의 탈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의 탈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상기 헤드(60)는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가 삽입 고정되는 헤드 바디(61)와 상기 헤드 바디(61)의 내측에 수용되는 샤프트(90) 그리고, 상기 헤드 바디(6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헤드 캡(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바디(61)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433)의 삽입 위치를 표시하는 삽입 표시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표시부(613)는 인쇄, 성형 또는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 표시부(613)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결합홈(631)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433)와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바디(61)의 외측면에는 상기 필터(40)의 회전 방향을 표시하는 회전 표시부(6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표시부(614) 또한, 인쇄, 성형 또는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표시부(614)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필터(40)를 올바른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상기 결합돌기(433)가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433)의 걸림 구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개구부(63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632)는 상기 결합홈(63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결합홈(631)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40)는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필터 하우징(41)과,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링 부재(44) 및 상기 필터링 부재(44)를 지지하는 어퍼 서포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4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바디(42)와 하우징 캡(43)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필터 삽입부(431)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 삽입부(431)에는 한쌍의 오링(432)이 상하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링(432)은, 상기 헤드(60)의 내측면과 접하여 기밀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상기 한쌍의 오링(432)은, 상기 필터 삽입부(431)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삽입부(431) 외측에는 상기 오링(432)을 고정하기 위한 오링 고정부(4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링 고정부(434)는, 상기 한쌍의 오링(432)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오링(432a)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 고정부(434a)와, 상기 한쌍의 오링(432) 사이에 구비되는 제2 고정부(43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434a)와 상기 제2 고정부(434b) 사이에는 오링(432a)이 장착되어, 상기 오링이 상기 필터 삽입부(431)로부터 이탈 또는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오링 고정부(434)는, 상기 한쌍의 오링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오링(432b)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고정부(43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고정부(434c)는, 상기 하측에 위치한 오링(432b)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434b)와 상기 제3 고정부(434c) 사이에는 오링(432b)이 장착되어, 상기 오링(432b)이 상기 필터 삽입부(431)로부터 이탈 또는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오링 고정부(434)는, 상기 오링(432)이 장착되는 필터 삽입부(431) 외측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432)이 상기 필터 삽입부(43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오링 고정부(434) 외측단은 상기 오링(432)의 외측단과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오링(432)의 외측단보다 더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삽입부(431)에 장착되는 오링(432)은, 상기 필터(40)를 상기 헤드(60)에 삽입하여 장착하였을 때 상기 헤드(60)의 내측면과 상기 오링(432)이 선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접촉 면적을 최소화 하여 필터의 회전 장착시에도 상기 오링이 장착 위치를 이탈하거나 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오링(432)의 하방의 상기 필터 삽입부(431) 외측에는 상기 결합돌기(4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33)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631)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433)에는 돌기 가이드부(4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가이드부(433a)는 상기 결합돌기(433)의 상면에 경사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기 결합홈(631)의 입구로 상기 결합돌기(433)를 안내하는 홈 가이드부(633)와 접하여 상기 결합돌기(433)의 일방향 회전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결합돌기(433)의 하면 일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구속돌기(433b)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돌기(433b)는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433)가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6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부는 중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면에는 상기 어퍼 서포터(80)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체결부(4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체결부(434)와 대응하는 상기 어퍼 서포터(80)에는 서포터 체결부(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체결부(81)의 일단에는 후크부(8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체결부(81)와 하우징 체결부(434)는 서로 형합되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며, 상기 서포터 체결부(81)와 하우징 체결부(434)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필터 하우징(41)과 상기 필터 하우징(41) 내부의 어퍼 서포터(80)는 일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의 장착시 상기 필터(40)가 회전 조작되면 상기 어퍼 서포터(80)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캡(43)은 상기 필터 삽입부(4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바디(42)와 결합되는 바디 연결부(436)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 연결부(436) 상단은 상기 필터 삽입부(431) 하단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 캡(43)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경사면(43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 연결부(436)의 경사면(438)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38)은, 상기 경사면(438)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경사 리브(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리브(437)는, 상기 경사면(438)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438)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 리브(437)는,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강도를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연결부(436)는 상기 경사면(438)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면(439)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면(439) 내부에는 상기 필터링 부재(45)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내부에는 필터링 부재(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44)는 유입되는 물이 통과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링 부재(4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카본 필터 또는 멤브레인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요구되는 정화 성능에 따라서 다양한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서포터(80)는 상기 필터링 부재(44)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입구와 상기 중공(441)을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삽입부(431)를 통해 상기 헤드(6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에서 정화된 물이 상기 헤드(60)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서포터(80)는 상기 필터링 부재(44)의 상단을 수용하는 서포터 수용부(82)와, 상기 서포터 수용부(82)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링 부재(44)의 중공(441)에 삽입되는 서포터 삽입부(83)와, 상기 서포터 삽입부(83) 상면에서 상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는 서포터 단차부(84)와 상기 서포터 단차부(84)의 상면 중앙에서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서포터 연장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연장부(85)는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어퍼 서포터(80)의 결합시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내부에는 필터 입력 유로(871)와 필터 출력유로(86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 내부로의 물 공급 및 필터(40)에서 정수된 물 배출이 상기 서포터 연장부(85)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에는 제 1 연결부(8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851)는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851)는 아래에서 설명할 샤프트(90)의 제 2 연결부(972)가 삽입되어 형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부(851)와 제 2 연결부(97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연결부(851)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되,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내측면의 마주보는 위치에서 돌출되는 돌출부(85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60) 및 상기 헤드 내측에 구비되는 실링 부재(68)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헤드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헤드와 상기 하우징 캡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하우징 캡과 헤드가 분리된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하우징 캡과 헤드가 분리된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을 위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헤드(60)는 상기 필터(40)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헤드 바디(61)와, 헤드 바디(61)의 상면을 차폐하는 헤드 캡(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바디(61)는 로어 바디(63)와 어퍼 바디(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63)는 상기 필터 삽입부(431)가 삽입 및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필터(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63)에는 상기 결합홈(63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433)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63)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필터 삽입부(43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4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성기 필터 삽입부(431)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서포팅 리브(6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64)는 상기 로어 바디(63)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로어 바디(63)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에는 상기 샤프트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상단과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 그리고, 상기 샤프트(90)의 하단이 모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40)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유동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어퍼 바디(64)의 양 측에는 입수부(611)와 출수부(61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수부(611)와 출수부(612)는 각각 상기 입수관(301) 및 출수관(30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수부(611)와 출수부(612)는 상기 샤프트(90)에 형성되는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90)는 상기 헤드(60)의 내측에서 유동되는 물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절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어퍼 바디(64)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90)에는 필터링 유로(96)와 바이패스 유로(95)가 형성되며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 이들 유로는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95)는 상기 어퍼 바디(64)의 중앙을 지나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링 유로(96)를 상단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95)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필터(4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필터(40)측으로 유로가 전환되어 상기 필터(40)를 거쳐 물이 정화될 수 있게 되고, 상기 필터(4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4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되어 상기 헤드(60)를 통과하도록 유로가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90)는 어퍼 파트(91)와 로어 파트(92)로 구성되고, 상기 어퍼 파트(91)는 상기 로어 파트(92)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9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샤프트 오링(93)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 오링(93)은 상기 샤프트(90)와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하여 상기 헤드(60)를 통해 유동되는 물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91) 둘레에는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가 서로 마주보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수를 통과한 물은 상기 샤프트 입구(961)로 유입되고, 상기 샤프트 출구(962)를 통과한 물은 상기 출수부(612)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63)의 내측에는 이너 파이프(97)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파이프(97)는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의 둘레에는 샤프트 실링부재(94)가 장착 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실링부재(94)는 상기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연결될 때 상기 출입되는 물이 상기 샤프트(90)와 상기 헤드(60)의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착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90)의 장착시 상기 어퍼 바디(64)의 하면은 상기 안착부(65)에 안착되어 장착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40)가 상기 헤드(60)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안착부(65) 하방에는 상기 하우징 캡(43) 상단이 위치하여, 상기 헤드(60)의 내측에서 유동 되는 물이 상기 하우징 캡(43)의 개구된 상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 내측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링 부재(44)로 유입되어 정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부(65)와 상기 하우징 캡 사이에는 실링 부재(68)가 장착된다.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필터(40)와 상기 헤드(60) 사이의 공간을 기밀하여 상기 헤드(60) 내측에서 유동되는 물이 상기 하우징 캡(43)의 외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필터 삽입부(431) 외측면과 선 접촉하여 장착되는 오링(432)은, 필터를 헤드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이탈되거나 노후화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헤드(60)와 상기 필터 삽입부(431) 상면 사이에서 면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실링되는 면적을 극대화하고, 상기 실링 부재(68)가 이탈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헤드(60) 내주면에는 상기 안착부(65) 하방에 상기 헤드(60)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6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66)는, 상기 헤드(60)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헤드 고정부라고도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안착부(65)와 상기 고정부(66)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링 부재(68)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헤드(6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65)와 상기 고정부(66) 사이로 상기 실링 부재(68)를 압입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66) 끝단은, 상기 필터 삽입부(431)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필터 삽입부(431) 상면과 접하여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9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실링 부재(68)가 헤드 내측의 일부와 걸리게 되어 상기 실링 부재(68)가 상기 고정부(66)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헤드(60)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필터 삽입부(431) 상면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링 부재(68)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68) 상면과 하면은 상기 하우징 캡(43) 상면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 캡(43) 상단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링 부재(68)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 부재(68) 상면과 하면은 상기 안착부(65) 하면 및 상기 하우징 캡(43) 상면과 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헤드(60)와 필터(40) 사이를 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실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안착부(65) 하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65) 하면과 접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의 외측을 연결하는 외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의 내측을 연결하는 내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하우징 캡(43)에 장착되는 오링(432)과는 달리, 상기 하우징 캡(43) 상면과 면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면과, 상기 안착부(65) 하면 사이를 수평방향으로의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기밀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40)가 헤드(60)와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헤드(60) 내측에 면 접촉하여 상기 필터(40)와 상기 샤프트(90)가 회전하여 유로가 전환되어 상기 필터로 출입되는 물이 상기 샤프트(90)와 상기 헤드(60)의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링 부재(68)의 외주면은 상기 헤드 내면과 접하고, 상기 실링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샤프트(90) 둘레와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68)가 상기 헤드(60)와 상기 샤프트(90) 사이를 기밀하여, 상기 필터(40)를 헤드(60)에 장착하는 과정이나, 상기 샤프트(90)가 회전에 의해 유로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샤프트(90)와 상기 헤드(60)사이에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상면과 하면의 상기 하우징 캡(43) 상단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두께는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의 수직 방향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안착부(65) 사이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 방향의 두께를 최소화 하여,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안착부(65)가 이격되는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68)의 상면과 하면이 상기 안착부(65) 하면과 상기 하우징 캡(43) 상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 캡(43) 상방에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68)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 캡(43) 상단 외경과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링 부재(68)의 외경은 상기 제1 고정부(434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캡(43) 상면이 상기 실링 부재(68)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실링 부재(68)의 외측면이 굴곡되어 상기 하우징 캡(43) 상단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실링 부재(68)가 상기 하우징 캡(43) 상면과 함께, 상기 하우징 캡(43) 상단부 외측면의 일부와 상기 헤드(60) 사이의 공간을 기밀 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68)의 내경은 상기 하우징 캡(43) 상단 내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캡(43) 상면이 상기 실링 부재(68)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헤드 내측으로 유동 되는 물이 상기 실링 부재(68)의 간섭 없이 상기 하우징 캡(43) 내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링 부재(68) 하방에는 상기 오링(432)이 위치한다. 즉, 상기 실링 부재(68)의 외측단은 상기 필터 삽입부(431) 외측에 장착된 오링(432)의 외측단 보다 내측(상기 필터 삽입부(431) 중심과 가까워지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오링(432) 외측단은 상기 실링 부재(68) 외측단보다 더 외측(상기 필터 삽입부(431) 중심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68)를 통해 상기 헤드와 상기 필터 하우징 사이에 누수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삽입부(431)에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오링(432)이 상기 실링 부재(68)를 넘어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물이 누설되는 것을 2차, 3차적으로 방지하여, 누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하우징 캡(43) 상면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헤드 바디(61) 내측에서 유동되는 물이 상기 하우징 캡(43) 상단에서 외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68)는 상기 필터(40)와 상기 헤드(60) 사이를 면 접촉하여 기밀하여, 상기 헤드에 상기 필터(40)가 삽입되었을 때, 누수가 발생되는 지점을 저감하여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정수 장치(17)가 상기 냉장고(1)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정수 장치(20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200)를 비롯하여 필터 교환방식으로 물을 정화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헤드의 삽입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 하우징을 거쳐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유로와,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 하우징을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 및 샤프트와 결합되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며, 개구된 상단을 통해 물이 출입되는 필터 삽입부; 및
    상기 헤드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삽입부 상면과 접하며, 상기 헤드와 상기 필터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필터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로 회전 되어 상기 유로가 절환되며,
    상기 필터 삽입부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오링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샤프트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하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헤드 내측으로 돌출된 헤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형인 고리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와 상기 헤드 고정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외주면이 상기 헤드 내면과 접하고, 내주면이 상기 샤프트 둘레와 접하며,
    상기 필터 삽입부가 상기 헤드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 부재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의 하면과 면 접촉하고, 하면은 상기 오링 고정부의 상면과 면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필터 삽입부의 상면과 접하여 기밀 상태를 유지하는 정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필터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샤프트의 회전 중심에 상기 제 1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장착시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삽입부 외측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오링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수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고정부의 끝단은 상기 오링 고정부의 외측면과 접하는 정수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의 외측단은, 상기 실링 부재의 외측단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는 정수 장치.
  10.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 장치;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정수 장치에서 정수된 물을 외부에서 취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 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에 구속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 하우징을 거쳐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유로와,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 하우징을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와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어 물이 출입되는 필터 삽입부; 및
    상기 헤드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삽입부 상면과 접하여 상기 헤드와 상기 필터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필터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로 회전 되어 상기 유로가 절환되며,
    상기 필터 삽입부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오링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샤프트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하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헤드 내측으로 돌출된 헤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형인 고리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와 상기 헤드 고정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외주면이 상기 헤드 내면과 접하고, 내주면이 상기 샤프트 둘레와 접하며,
    상기 필터 삽입부가 상기 헤드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 부재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의 하면과 면 접촉하고, 하면은 상기 오링 고정부의 상면과 면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필터 삽입부의 상면과 접하여 기밀 상태를 유지하는 냉장고.
KR1020200041806A 2020-04-06 2020-04-06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436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06A KR102436312B1 (ko) 2020-04-06 2020-04-06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06A KR102436312B1 (ko) 2020-04-06 2020-04-06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35A KR20210123935A (ko) 2021-10-14
KR102436312B1 true KR102436312B1 (ko) 2022-08-25

Family

ID=7811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806A KR102436312B1 (ko) 2020-04-06 2020-04-06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3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60Y1 (ko) * 2001-12-11 2002-03-23 지.티.바이오텍 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의 조립구조
KR100804302B1 (ko) * 2006-12-20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KR101478965B1 (ko) 2014-04-30 2015-01-06 주식회사 엠씨엠 필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535A (ko) * 2011-06-30 201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장치
KR101788965B1 (ko) * 2016-03-22 2017-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60Y1 (ko) * 2001-12-11 2002-03-23 지.티.바이오텍 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의 조립구조
KR100804302B1 (ko) * 2006-12-20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KR101478965B1 (ko) 2014-04-30 2015-01-06 주식회사 엠씨엠 필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35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5228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filter structure
KR101760210B1 (ko)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400145B1 (ko) 필터, 필터가 구비된 정수 장치 및 냉장고
KR102436312B1 (ko)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780168B1 (ko) 냉장고의 정수 필터 구조
KR102134459B1 (ko) 필터 구조
KR102206083B1 (ko) 필터 구조
US20230144077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983717B1 (ko) 필터 구조
KR102259330B1 (ko)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897922B1 (ko) 필터 구조
US20230356121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filt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3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913

Effective date: 202205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