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083B1 - 필터 구조 - Google Patents

필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083B1
KR102206083B1 KR1020190164209A KR20190164209A KR102206083B1 KR 102206083 B1 KR102206083 B1 KR 102206083B1 KR 1020190164209 A KR1020190164209 A KR 1020190164209A KR 20190164209 A KR20190164209 A KR 20190164209A KR 102206083 B1 KR102206083 B1 KR 102206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upporter
flow path
wa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818A (ko
Inventor
유지민
안시연
황의선
김영재
권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08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구조는 내측에 제 1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상부 개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바디와, 하측에 제 2 수용공간을 형성되게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부 개방부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캡과,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필터링부재와, 하측이 상기 제 2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하우징 캡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어퍼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구조{Filter structure}
본 발명은 필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치는 공급되는 물을 필터 또는 여과재 등을 이용하여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 또는 탱크의 물을 정화하여 음용 가능한 상태로 정화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음용 가능한 물을 공급하는 정수장치는 정수기가 대표적이며, 최근에는 냉장고에도 이와 같은 정수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가 구비되어 냉장고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받거나 이를 이용하여 얼음을 만들 수도 있다.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서는 필요에 따라 정수장치를 구성하는 필터의 교체 또는 점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필터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필터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물 공급이 가능한 바이패스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필터의 교체 또는 점검 중에도 물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35021호에는 이와 같은 바이패스 구조를 가지는 정수필터용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헤드는 필터의 탈착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유로전환플런저에 의해 유로가 개폐될 수 있도록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생산 및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되는 유로전환플런저의 구조의 특성상 유로의 바이패스 경로가 복잡하여 물의 유동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성능 저하 또는 이상시 유로의 절환을 수 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터의 탈착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가 전환되어 지속적인 물공급이 가능한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간결한 바이패스 유로 전환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생산성과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는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터의 회전 장착에 의해 바이패스 유로가 절환될 수 있는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터의 탈착이 용이한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터 탈착에 의한 바이패스 유로 전환시 물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구조는, 제 1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상부 개방부를 가진 하우징 바디와, 제 2 수용공간을 형성되게 일부가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부 개방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결합돌기와 상부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 체결부를 가진 하우징 캡과,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필터링부재, 그리고 상기 제 2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필터링부재의 상부면과 상기 하우징 캡의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어퍼 서포터를 구비하며, 상기 어퍼 서포터는, 상기 필터링부재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서포터 수용부와, 상기 서포터 수용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링부재의 외주면과 하우징 바디 사이 공간으로 물이 급수되도록, 외주면에 제 2 필터 입력 유로가 형성된 서포터 단차부와, 상기 서포터 단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 제 2 필터 입력 유로와 연통하는 제 1 필터 입력 유로가 형성되고, 제 1 필터 입력 유로 상부에 한 쌍의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의 외측에 필터출력 유로가 형성되어진 서포터 연장부와, 상기 하우징 체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캡 내부에서의 회전 유동을 방지하는 서포터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 연장부는, 상기 서포터 단차부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의 상방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제 1 연장부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출력 유로는 상기 필터링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연장부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에 제 1 연장부 오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연장부에 제 2 연장부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 입력 유로는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의 하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수장치는, 유입되는 물을 정화한 후 배출하는 필터;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부와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내부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입수부로 입수된 물이 상기 필터를 경유하여 상기 출수부로 배출되도록 연결하는 필터링 유로와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필터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샤프트의 회전 중심에 상기 제 1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장착시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가 회전되어 상기 필터링 유로 또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상기 입수부 및 출수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입부수와 출수부의 내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수부 및 출수부의 개구보다 더 상방 및 상방의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헤드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하는 한쌍의 샤프트 오링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출구 및, 상기 필터링 유로의 입/출구는 각각 상기 한쌍의 샤프트 오링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필터링 유로의 입/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필터링 유로의 입/출구와 상기 입수부 및 출수부의 둘레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필터링 유로 입출구의 둘레를 따라 함몰되는 실링부재 장착부에 압입 장착되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를 따라서 돌출되며, 상기 헤드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에는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의 개구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실링부재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링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 리브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는 상기 샤프트가 상방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헤드의 개구된 상면은 헤드 캡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의 내측에는 상기 샤프트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 돌기가 수용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개되는 회전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돌기가 상기 회전 가이드 양단의 스토퍼와 접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링 유로 또는 바이패스 유로가 상기 입수부 및 출수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링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의 입/출구는 상기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90°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연결부 및 와 제 2 연결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홈 및 돌기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접하는 양측면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는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필터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은 상기 필터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은 상기 필터의 회전 방향으로 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연장부 및 제 2 연장부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의 하면은 상기 필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며, 상기 헤드의 내측면 둘레에는 다수의 서포팅 리브가 돌출되어 상기 필터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의 회전시 상기 결합돌기를 구속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홈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샤프트의 필터링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가 상기 입수부 및 출수부에 전환 연결될 때까지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의 일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돌기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홈의 입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삽입시 상기 돌기 가이드부와 접하는 홈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의 입구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장치는, 입수부와 출수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헤드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둘레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입수부 및 출수부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유로; 상기 헤드에 탈착되며, 상기 헤드에 장착시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부가 형성되는 필터;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교차되는 방향의 상기 샤프트 둘레에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필터와 상기 입수부 및 출수부를 연통시키는 필터링 유로; 및 상기 필터 삽입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필터링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어퍼 서포터;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링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돌출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링 유로는, 상기 샤프트 둘레의 샤프트 입구와 상기 어퍼 서포터의 내측을 연결하여 원수를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샤프트 입수 유로와; 상기 어퍼 서포터 외측면 필터 삽입부 내측면 사이 공간과 상기 샤프트 둘레의 샤프트 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필터 내부의 정수를 배출하는 샤프트 출수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 입수 유로는, 상기 샤프트 입구에서 상기 샤프트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샤프트의 외벽과 이격된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이너 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 출수 유로는, 원통 형상의 상기 샤프트 외벽을 상기 샤프트 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평명으로 커팅하여 상기 헤드 내부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출수 안내부와; 상기 출수 안내부의 상단과 상기 샤프트 출구를 연결하는 출수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서포터는, 상기 필터 내부의 필터링 멤버 상단에 고정되는 서포터 수용부와; 상기 서포터 수용부의 상면에 돌출되는 서포터 단차부와; 상기 서포터 단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서포터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서포터에는, 상기 샤프트 입수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필터링 멤버 외측으로 안내하는 필터 입력 유로와; 상기 샤프트 출수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필터링 멤버 내측의 정수된 물을 상기 헤드로 안내하는 필터 출력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입력 유로는, 상기 필터 연장부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 입력 유로와;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에서 분지되어 상기 서포터 단차부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 2 필터 입력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터 연장부는, 상기 단차부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 삽입부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의 상방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제 1 연장부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출력 유로는 상기 필터링 멤버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연장부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연장부에는 상기 필터 입력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출구 상방과 하방의 샤프트의 둘레에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헤드 사이의 공간을 기밀하는 샤프트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링 유로의 입/출구 둘레에는 상기 입수부 및 출수부의 둘레와 접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수부 및 출수부의 개구에는 상기 실링부재와 접하도록 상기 개구를 가로지르는 실링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정수장치에서 정수된 물을 외부에서 취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장치는, 유입되는 물을 정화한 후 배출하는 필터;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부와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내부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입수부로 입수된 물이 상기 필터를 경유하여 상기 출수부로 배출되도록 연결하는 필터링 유로와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필터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샤프트의 회전 중심에 상기 제 1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장착시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가 회전되어 상기 필터링 유로 또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상기 입수부 및 출수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장치는, 상기 필터와 헤드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고내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장치는 상기 필터가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헤드가 병렬 연결되는 헤드 유닛에 상기 복수의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장치는,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고내 벽면에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필터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필터를 상기 헤드로부터 분리하게 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를 연결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고 유로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이패스 유로에 의해 급수유로는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디스펜서 또는 아이스 메이커로의 연속적인 급수가 가능하게 되며, 유로의 세척 등 서비스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필터의 장착을 위한 회전 조작시 필터링 유로가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에 연결되어 정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필터의 분리를 위한 회전 조작시 바이패스 유로가 연결되어 필터 제거시에도 연속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필터의 장착 및 분리를 회전 조작에 의해 별도의 추가 조작 없이 유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필터의 정확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필터가 삽입되는 헤드에 정확한 위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헤드의 내측에 결합돌기와 접하는 홈 가이드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정위치에서 삽입하는 조작 만으로 상기 필터가 자연스럽게 회전하여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헤드와 필터의 유로가 동시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샤프트와 어퍼 서포터의 단부에 형성된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서로 형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게 되어 상기 필터를 삽입하게 되면 경사면 끼리 접하여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의 분리를 위해 상기 필터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의 회전이 제한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의 경사면에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로의 전환을 위한 별도의 밸브 구조와 탄성부재가 구비되지 않고 샤프트의 회전만으로 유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품을 구성을 간결하게 하여 생산성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간결한 동작 구조로 인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뢰성 있는 동작을 보장하고,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바이패스 유로의 내측으로 필터링 유로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샤프트가 장착되는 헤드의 크기 나아가 전체 정수장치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하여 냉장고에 장착시 냉장고의 용량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급수 유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정수장치의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필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9-9'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필터의 어퍼 서포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헤드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헤드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헤드의 결합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헤드의 내부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헤드의 내부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헤드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헤드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상태의 절결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A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상기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상태의 샤프트의 위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22는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을 위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B부 확대도이다.
도 26은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에 결합된 상태의 샤프트 위치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측면을 형성하는 금속소재의 아웃 케이스(11)와, 상기 아웃 케이스(11)와 결합되며 상기 냉장고(1) 내부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수지재의 이너 케이스(1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상기 아웃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2)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고내의 공간을 단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베리어(13)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되며, 상부의 냉장실(14)과 하부의 냉동실(1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5)은 좌우측으로 더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5)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모두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5)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를 위해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모두 힌지장치(23)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좌우 양측에서 한쌍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 중 어느 일측의 도어에는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3)는 냉장실 도어(21)의 전면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3) 상방에는 제빙실(25)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25)은 얼음이 만들어지고 보관되는 단열 공간으로 내부에 상기 아이스메이커(24)가 수용되며 별도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빙실(25)은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냉기 덕트에 의해 상기 냉동실(15)과 연통되어 제빙에 필요한 냉기를 냉동실 증발기(미도시)로부터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4)의 내부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선반과 서랍들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냉장실(14)의 바닥면에는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161)과, 상기 서랍(161)의 상면을 차폐하는 테이블(162)을 포함하는 드로워 어셈블리(16)가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16)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161)에 의해 상기 냉장실(14)의 후측에 구비된 메인 워터탱크(34)가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16)의 측방에는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여 상기 디스펜서(23)와 상기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하는 정수장치(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장치(17)는 상기 서랍(161)의 수납 공간과 벽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161)의 전면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161)이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서랍(161)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개방되어 상기 정수장치(17)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정수장치(17)의 장착 위치는 서랍(161)의 일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냉장실(14)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21)를 포함한 상기 냉장실(14)의 영역 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16) 상방에는 캔틸레버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선반이 높이 조절 가능한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4)의 후면에는 메인 덕트(18)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덕트(18)에 형성되는 다수의 토출구를 통해 증발기(미도시)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장실(14)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급수 유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 또는 냉각한 후에 상기 디스펜서(23)로 취출하거나, 정수된 물을 상기 디스펜서(23) 또는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하는 급수 유로(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30)는 고외측의 수도와 같은 급수원(2)에 직결되고,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장착되는 튜브 가이드(19)를 통해 고내 공간으로 유입되어 고내측의 정수장치(17)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30)에는 급수밸브(31)와 유량센서(32)가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유량센서(32)는 상기 급수밸브(3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 유로(30)는 상기 정수장치(17)와 제 1 분지관(33)을 연결하며, 제 1 분지관에서 분지된 급수 유로는 각각 상기 메인 워터탱크(34)와 제 1 분지밸브(3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분지밸브(35) 출구와 연결되는 급수 유로(30)는 상기 튜브 가이드(19)를 통해서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측벽 또는 캐비닛 외측의 후벽면을 따라 연장된 후 상면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도어 힌지(26)를 거쳐 상기 냉장실 도어(21)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급수 유로는 제 2 분지관(36)에 의해 분지되어 상기 서브 워터탱크(37)의 입구 및 제 2 분지밸브(38)와 연결된다. 상기 서브 워터탱크(37)는 상기 디스펜서(23)와 연결되어 냉각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23)를 통해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분지밸브(38)의 출구는 각각 디스펜서(23) 및 아이스메이커(24)와 상기 급수 유로(3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수장치(17)를 거쳐 정수된 물은 냉각되어 상기 디스펜서(23)로 공급되거나, 냉각되지 않고 정수된 상태로 상기 디스펜서(23) 또는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장치(17)는 전체적으로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40)와, 필터(40)가 결합되며 물이 유동되는 유로와 연결되는 헤드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40) 및 헤드 유닛(50)이 수용되는 케이스(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수장치(17)는, 복수의 필터(40)와 헤드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상기 헤드 유닛(50)의 입수측과 연결되는 제 1 필터(401)와 상기 헤드 유닛(50)의 출수측과 연결되는 제 3 필터(403)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401)와 제 3 필터(40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필터(402)로 조합되어 상기 정수장치(17)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필터(401)와 제 2 필터(402) 및 제 3 필터(403)는 각각 프리 카본 필터와, 멤브레인 필터, 그리로 포스트 카본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40)의 개수와 종류에는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정수장치(17)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개수 그리고 효율적인 정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유닛(50)은 상기 각각의 필터(40)가 결합되는 다수의 헤드(60)와, 상기 헤드(6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마운팅부재(70)와, 상기 마운팅부재(70)의 양단에서 연결되어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관(301) 및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관(3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70)는 상기 다수의 헤드(6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헤드(60)는 연결관(71)에 의해서 유로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입수관(301)을 통해 입수되는 원수는 각각의 필터를 모두 거친 후 정수되어 상기 출수관(302)으로 출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71)은 상기 마운팅부재(70)에 장착되며, 상기 헤드(60)와 헤드(60) 사이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상기 헤드(60)로 물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71)과 대응하는 상기 마운팅부재(70)의 일측에는 커버(72)가 장착되어 상기 연결관(71)을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헤드(60)는 상기 필터(40)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헤드 바디(61)와, 상기 헤드 바디(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40)의 상단과 연결되어 물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샤프트(도 6에서 63) 그리고 상기 샤프트(90)가 삽입되는 헤드 바디(61)의 상면을 차폐하는 헤드 캡(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상기 헤드(60)에 회전 방식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샤프트(90)가 상기 필터(40)와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필터(4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어 유로의 전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샤프트(90)에 의해 상기 필터(4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필터(40)측으로 유로가 전환되어 상기 필터(40)를 거쳐 물이 정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4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공급되는 물이 상기 필터(4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되어 상기 헤드(60)를 통과하도록 유로가 전환될 수 있다. 유로의 전환 및 상세 구조에 관하여서는 아래의 다른 실시 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171)는 상기 필터(40)와 상기 헤드 유닛(5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케이스(171)는 상기 필터(40)와 헤드 유닛(50)을 완전히 수용하는 구조 외에도 상기 필터(40)와 헤드 유닛(5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71)는 상기 냉장실(14) 내부의 일측에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171)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마운팅부재(70)가 직접 상기 냉장실(14)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40)는 상기 정수장치(17)의 기능에 따라서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필터(40)가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유닛(50) 또한 하나의 헤드(60)와 마운팅부재(7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헤드(60)의 구조는 단수 또는 복수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40)와 헤드(60)가 단수로 구성되는 정수장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정수장치의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정수장치(17)는 필터(40)와 헤드(60) 그리고 마운팅부재(7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4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은 내부에 필터링부재(도 7에서 44)를 수용하는 하우징 바디(42)와, 상기 하우징 바디(42)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41)의 상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캡(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42)는 필터링부재(44)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42)는 상부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하우징 바디(42)의 상부 개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필터링부재(44)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 캡(42)의 일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은 하단이 상기 제 2 수용공간과 연통되고, 하측이 개방된 중공부(435)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헤드(60)의 개구된 하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한쌍의 오링(4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오링(432)은 상기 헤드(60)의 내측면과 접하여 기밀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부에는 결합돌기(4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기 필터(40)의 상부가 상기 헤드(6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헤드(6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631)을 따라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433)와 결합홈(631)은 상기 필터(40)가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는 상기 헤드(6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상기 결합돌기(433)와 결합홈(631)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40)와 상기 헤드(60)가 완전히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내부의 유로가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이 상기 필터(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70)는 상기 케이스(171) 또는 냉장고(1) 고내 일측 벽면에 장착되는 베이스(73)와, 상기 베이스(73)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헤드(6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7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부(74)에는 입수관(301)과 출수관(302)의 단부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74)에서 상기 입수관(301)과 출수관(302)은 상기 헤드(60)의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헤드(60)는 상기 회전 지지부(74)에 의해 상기 마운팅부재(7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의 탈착시 상기 헤드(60)를 회전 또는 틸팅 조작하여 상기 필터(40)의 탈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의 탈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상기 헤드(60)는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가 삽입 고정되는 헤드 바디(61)와 상기 헤드 바디(61)의 내측에 수용되는 샤프트(90) 그리고, 상기 헤드 바디(6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헤드 캡(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바디(61)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433)의 삽입 위치를 표시하는 삽입 표시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표시부(613)는 인쇄, 성형 또는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 표시부(613)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결합홈(631)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433)와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바디(61)의 외측면에는 상기 필터(40)의 회전 방향을 표시하는 회전 표시부(6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표시부(614) 또한, 인쇄, 성형 또는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표시부(614)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필터(40)를 올바른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상기 결합돌기(433)가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433)의 걸림 구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개구부(63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632)는 상기 결합홈(63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결합홈(631)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필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8는 도 7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7의 9-9'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6의 10-10'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4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필터(40)는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필터 하우징(41)과,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링부재(44) 및 상기 필터링부재(44)를 지지하는 어퍼 서포터(80)와 로어 서포터(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4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바디(42)와 하우징 캡(43)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필터 삽입부(431)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 삽입부(431)에는 한쌍의 오링(432)이 상하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링(432)의 하방의 상기 필터 삽입부(431) 외측에는 상기 결합돌기(4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33)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631)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433)에는 돌기 가이드부(4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가이드부(433a)는 상기 결합돌기(433)의 상면에 경사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ㄷ으며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기 결합홈(631)의 입구로 상기 결합돌기(433)를 안내하는 홈 가이드부(633)와 접하여 상기 결합돌기(433)의 일방향 회전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결합돌기(433)의 하면 일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구속돌기(433b)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돌기(433b)는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433)가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6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평면(433c)과 제2평면(433d)을 형성한다. 상기 구속돌기(433b)는 상기 제2평면(433d)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433)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도 7을 기준으로, 우측면에 형성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433)는 타측면에 수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면은 도 7을 기준으로 좌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433)의 타측 상단의 모서리 부분에는 경사지거나 소정곡률의 갖는 가이드부(4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33a)는 상기 수직면과 제1평면(433c)에 의해 정의된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부는 중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면에는 상기 어퍼 서포터(80)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체결부(4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서포터(80)는 상기 하우징 캡(43)이 형성하는 제 2 수용 공간 및 중공부(435)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서포터(80)는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상부면과 상기 하우징 캡(43)의 중공부(435)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체결부(434)의 상면(434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체결부(434)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되 경사진 방향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체결부(434)와 대응하는 상기 어퍼 서포터(80)에는 서포터 체결부(81)가 형성될 수 있으다. 상기 서포터 체결부(81)의 일단에는 후크부(8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서포터(80)의 상단이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서포터 체결부(81)의 후크부(811)가 상기 하우징 체결부(434) 상면의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서포터(80)가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포터 체결부(81)의 후크부(811)가 상기 하우징 체결부(434)의 단부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어퍼 서포터(80)가 상기 하우징 캡(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체결부(81)와 하우징 체결부(434)는 서로 형합되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며, 상기 서포터 체결부(81)와 하우징 체결부(434)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필터 하우징(41)과 상기 필터 하우징(41) 내부의 어퍼 서포터(80)는 일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의 장착시 상기 필터(40)가 회전 조작되면 상기 어퍼 서포터(80)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내부에는 필터링부재(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재(44)는 유입되는 물이 통과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링부재(4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카본필터 또는 멤브레인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요구되는 정화 성능에 따라서 다양한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재(44)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중공(441)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상단과 하단에는 어퍼 서포터(80)와 로어 서포터(45)가 결합되어 상기 필터링부재(44)가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외경은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41)과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사이에 물이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서포터(80)는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입구와 상기 중공(441)을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삽입부(431)를 통해 상기 헤드(6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에서 정화된 물이 상기 헤드(60)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서포터(80)는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상단을 수용하는 서포터 수용부(82)와, 상기 서포터 수용부(82)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중공(441)에 삽입되는 서포터 삽입부(83)와, 상기 서포터 삽입부(83) 상면에서 상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는 서포터 단차부(84)와 상기 서포터 단차부(84)의 상면 중앙에서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서포터 연장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필터의 어퍼 서포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어퍼 서포터(8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어퍼 서포터(80)와 상기 필터링부재(44)의 결합시 상기 서포터 수용부(82)는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상면과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삽입부(83)는 상기 중공(441)으로 삽입되어 상기 필터링부재(44)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삽입부(83)는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에 형성되는 필터 출력유로(861)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중공(441)의 정수된 물은 상기 서포터 삽입부(83)와 상기 필터 출력유로(861) 및 상기 필터 출력유로(861) 단부의 필터 출구(862)를 차례로 지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단차부(84)는 상기 서포터 수용부(82)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서포터 수용부(82)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어퍼 서포터(80)의 결합시 상기 서포터 단차부(84)의 둘레는 상기 하우징 캡(43)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단차부(84)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터 연장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연장부(85)는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어퍼 서포터(80)의 결합시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내부에는 필터 입력 유로(871)와 필터 출력유로(86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 내부로의 물 공급 및 필터(40)에서 정수된 물 배출이 상기 서포터 연장부(85)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개구된 상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 입력 유로(872)가 형성된다. 그리고, 서포터 단차부(84)에는 서포터 단차부(84)를 가로질러 관통되는 제 2 필터 입력 유로(8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 입력 유로(873)는 서포터 단차부(84)의 둘레면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872)와 제 2 필터 입력 유로(873)는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하단 즉, 서포터 단차부(84)의 내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삽입부(43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제 1 필터 입력 유로(872)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872)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분지된 상기 제 2 필터 입력 유로(873)를 따라서 외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단차부 둘레의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입력 유로(87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상기 필터 하우징(41)과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사이 공간을 따라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외측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링부재(44)를 통과하여 상기 중공(441)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정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터 연장부(85)는 상기 서포터 단차부(84)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86)와 상기 제 1 연장부(86)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8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86)는 상기 제 2 연장부(87)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장부(86)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 출구(8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출구(862) 상방의 상기 제 2 연장부(87) 외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안내면(874)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874)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출구(862)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출구(862)로 토출되는 정수된 물이 상방으로 유동될 때 상기 안내면(874)에 의해 외측으로 안내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면(874)의 하단에는 상기 제 2 연장부(87)의 일부가 상기 제 1 연장부(86)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장부(86)의 내측면과 상기 제 2 연장부(87)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에 상기 필터 출력유로(861)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872)는 상기 제 2 연장부(87)의 개구된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출력유로(86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872)와 상기 하우징 캡(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연장부(86)의 외경은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필터 출구(862)를 통해 토출되는 정수된 물은 상기 제 1 연장부(86)와 상기 필터 삽입부(431)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출구(862)의 상방은 상기 안내면(874)의 형성에 따라, 상기 제 2 연장부(87)의 둘레를 따라서 함몰된 출구 홈(875)이 형성된다. 따라서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 출구(862)에서 토출되는 물은 상기 출구 홈(875)을 따라서 유동될 수 있으며 하나의 상기 출수 안내부(912)와 연결되어 상기 출수 안내부(912)를 따라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연장부(87)의 외경은 상기 필터 삽입부(431)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90)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90) 내측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 2 연장부(87)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연장부(86)의 외측에는 제 1 연장부 오링(863)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연장부(87)의 외측에는 제 2 연장부 오링(87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장부(86)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수납홈(864)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장부(87)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수납홈(877)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장부 오링(863)은 적어도 일부가 제1수납홈(864)에 수용되고, 제 2 연장부 오링(876)은 적어도 일부가 제2수납홈(877)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 오링(863)에 의해서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과 상기 제 1 연장부(86)의 사이가 기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 오링(876)은 상기 샤프트(9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 2 연장부(87)와 상기 샤프트(90) 사이가 기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과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정수된 물이 누설되거나 서로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인 유로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에는 제 1 연결부(8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851)는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851)는 아래에서 설명할 샤프트(90)의 제 2 연결부(972)가 삽입되어 형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부(851)와 제 2 연결부(97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부(851)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되,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내측면의 마주보는 위치에서 돌출되는 돌출부(85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851)의 양측단, 즉 상기 돌출부(852)의 양측면은 제 1 경사면(8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면(853)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 1 연결부(851)의 폭이 넓어지고, 상기 돌출부(852)의 폭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부(851)는 함몰되는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851)와 상기 돌출부(852)는 원주방향을 따라 번갈아 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851)는 한쌍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852) 역시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851)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852) 역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경사면(853)은 상기 제 1 경사면(853)의 상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852)는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내측면에서 상기 서포터 연장부(85) 내경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제 1 연결부(851)와 제 2 연결부(972)의 형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851)와 제 2 연결부(972)가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비틀림 모멘트가 가해지게 될 경우 상기 제 1 연결부(851)와 제 2 연결부(972)가 슬라이딩 되어 상기 필터(4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헤드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헤드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헤드의 결합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헤드(60)는 상기 헤드 바디(61)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서 상기 샤프트(90)가 삽입되며, 상기 헤드 캡(62)이 상기 헤드 바디(6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헤드 바디(61)는 로어 바디(63)와 어퍼 바디(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63)는 상기 필터 삽입부(431)가 삽입 및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필터(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63)에는 상기 결합홈(63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433)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63)에는 상기 결합홈(631)의 성형을 위한 개구부(6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632)를 통해 상기 결합돌기(433)의 삽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63)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필터 삽입부(43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4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성기 필터 삽입부(431)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서포팅 리브(6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64)는 상기 로어 바디(63)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로어 바디(63)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에는 상기 샤프트(9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90)는 상기 어퍼 바디(64)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어퍼 바디(64) 내측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상단과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 그리고, 상기 샤프트(90)의 하단이 모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40)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유동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어퍼 바디(64)의 양 측에는 입수부(611)와 출수부(61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수부(611)와 출수부(612)는 각각 상기 입수관(301) 및 출수관(30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수부(611)와 출수부(612)는 상기 샤프트(90)에 형성되는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캡(62)은 상기 어퍼 바디(64)의 상면을 차폐하며, 상기 샤프트(90)의 상면을 눌러 상기 샤프트(90)가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헤드 캡(62)의 하면에는 상기 샤프트(90)의 상면까지 연장되는 캡 지지부(6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90)는 상기 헤드(60)의 내측에서 유동되는 물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절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어퍼 바디(64)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90)에는 필터링 유로(96)와 바이패스 유로(95)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 이들 유로는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샤프트(9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샤프트(90)는 어퍼 파트(91)와 로어 파트(9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91)는 상기 로어 파트(92)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9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샤프트 오링(93)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 오링(93)은 상기 샤프트(90)와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하여 상기 헤드(60)를 통해 유동되는 물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오링(93) 사이의 상기 어퍼 파트(91) 둘레에는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수를 통과한 물은 상기 샤프트 입구(961)로 유입되고, 상기 샤프트 출구(962)를 통과한 물은 상기 출수부(612)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의 둘레에는 실링부재(94)가 장착되는 실링부재 장착부(911)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 장착부(911) 및 상기 실링부재(94)는 상기 샤프트 입구(961) 및 샤프트 출구(962)와 대응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94)는 상기 실링부재 장착부(911)의 내측에 압입 장착되는 압입부(941)와 상기 압입부(94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실링부(9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942)는 상기 샤프트(90)의 장착시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연결될 때 상기 출입되는 물이 상기 샤프트(90)와 상기 헤드(60)의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실링부재(94)의 형상은 상기 샤프트(9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90)의 회전 동작중 상기 실링부재(94)가 탈락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에 형성된 입수구(611a)와 출수구(612a)에는 각각 실링 리브(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리브(613)는 상기 실링부재(94)가 분리되거나 실링부재(9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의 상기 어퍼 바디(64) 내측면의 입수구(611a) 및 출수구(162a)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리브(613)는 가로 및 세로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실링 리브(613)는 다수개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9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에 형성되는 입수구(611a)와 출수구(612a)를 스쳐 지나가게 되는 상기 실링부재(94)가 상기 입수구(611a)와 출수구(612a)에 일부가 걸리게 되어 상기 실링부재(94)가 상기 실링부재 장착부(9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90)의 회전 과정 중에 상기 실링 리브(613)가 상기 실링부재(94)의 외측면을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실링부재(94)가 상기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의 개구에 걸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64)의 외측면 중 상기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의 사이에는 각각 바이패스 입구(951)와 바이패스 출구(9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입구(951)와 바이패스 출구(952) 또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입구(951)와 바이패스 출구(952)가 각각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정렬될 경우 상기 입수부(611)로 공공급되는 물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95)를 통과하여 상기 출수부(612)로 바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이패스 입구(951) 및 바이패스 출구(952)는 각각 상기 샤프트 입구(961) 및 샤프트 출구(962)와 동일 높이에서 각각 90°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 유로(96) 또는 바이패스 유로(95)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샤프트(90)를 90°각도만큼 회전시켜야 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링 유로(96)를 상단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95)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90)의 높이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링 유로(96)와 바이패스 유로(95)의 동시 구현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상기 헤드(60) 나아가 상기 정수장치(17)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퍼 바디(64)의 하면에는 회전돌기(9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는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입구(961) 및 샤프트 출구(962)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한쌍의 상기 회전돌기(921)는 서로 90°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바디(64)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바디(63)가 형성된다. 상기 로어 바디(63)는 상기 안착부(65)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65)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로어 바디(63)는 상기 필터(40)가 상기 헤드(6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어퍼 샤프트(90)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63)의 일측면에는 출수 안내부(9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 안내부(912)는 상기 샤프트 출구(962)의 하방에서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 안내부(912)는 원통 형상의 상기 로어 바디(63) 외측면 일부가 평면 형상으로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90)가 상기 헤드(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90)의 출수 안내부(912)는 상기 헤드(6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물의 유동 통로인 샤프트 출수 유로(965)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안내부(912)의 하단은 상기 필터 출구(862)의 상방에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 출구(862)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출수 안내부(912)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샤프트 출구(962)와 출수부(612)를 차례로 거쳐 출수관(302)과 결합된다.
도 15는 상기 헤드의 내부 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헤드의 내부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95)가 상기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와 연결되도록 전환된 상태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바디(64)에는 상기 어퍼 바디(64)의 중앙을 지나 관통하는 바이패스 유로(95)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64)의 둘레 양측에는 각각 바이패스 입구(951)와 바이패스 출구(952)가 개구된다.
상기 바이패스 입구(951)와 바이패스 출구(952)는 각각 입수구(611a)와 출수구(612a)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샤프트 오링(9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95)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95)를 통과하는 물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헤드(60)를 가로질러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헤드(60)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필터(40)를 거치지 않고 헤드(60)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필터(40)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상기 급수 유로(30)상의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 유로(95)의 내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링 유로(96)의 성형을 위해 돌출된 유로 돌출부(963)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 돌출부(963)는 상기 샤프트(9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95)의 바닥에서 돌출되되, 상기 바이패스 유로(95)를 차폐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돌출부(963)의 양단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95)를 지나는 물의 유동시 상기 유로 돌출부(963)에 의한 유속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필터링 유로가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와 연결되도록 전환된 상태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샤프트(9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필터링 유로(96)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 입구(961)와 샤프트 출구(962)는 각각 상기 입수구(611a) 및 출수구(612a)와 접하며, 상기 실링부재(94)에 의해 상기 샤프트 입구(961) 및 샤프트 출구(962)의 외측과 상기 입수구(611a) 및 출수구(612a)의 외측을 완전히 기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63)의 내측에는 이너 파이프(97)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파이프(97)는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90)를 통해 입수되는 물은 상기 어퍼 서포터(80)를 통해 상기 필터(4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정수된 후 상기 어퍼 서포터(80)를 통해 상기 샤프트(90)로 토출된다. 즉, 상기 헤드(60)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필터(40)를 거쳐 정수된 후 상기 헤드(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링 유로(96)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필터링 유로(96)는 샤프트 입수 유로(964)와 샤프트 출수 유로(9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입수 유로(964)는 상기 샤프트 입구(961)에서 상기 샤프트(90)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수평부(964a)와, 상기 수평부(964a)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964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964b)는 상기 이너 파이프(9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파이프(97)는 상기 로어 바디(63)의 내측면과 떨어지도록 배치되어 이격 공간(97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격 공간(971)의 거리는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의 장착시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은 상기 이격 공간(97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63)의 외측면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상기 로어 바디(63)의 내측면에서 상기 이너 파이프(97)와 상기 서포터 연장부(85)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 파이프(97)의 하단에는 제 2 연결부(9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972)는 상기 제 1 연결부(85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972)는 상기 제 1 연결부(851)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90)와 상기 어퍼 서포터(8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파이프(97)와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샤프트 입수 유로(964)는 상기 필터 입력 유로(87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정수를 위한 물을 상기 필터링부재(44)를 향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출수 유로(965)는 상기 로어 바디(6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출수 안내부(912)와 상기 어퍼 바디(64)에 형성되는 출수 연결부(965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 안내부(912)의 상단은 상기 어퍼 바디(64)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출수 연결부(965a)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연결부(965a)는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에서 상기 출수 안내부(912)와 상기 샤프트 출구(962)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출구(862)에서 배출되는 정수는 상기 출수 안내부(91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 연결부(965a)를 지나 상기 샤프트 출구(962)로 토출된다. 상기 샤프트 출구(962)로 토출되는 정수는 상기 출수부(6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과 같이 상기 필터링 유로(96)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입수관(301)을 통해 상기 헤드(60)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40)의 내부로 공급되어 정수될 수 있으며, 다시 상기 필터(40)에서 상기 헤드(60)로 유동되어 상기 출수관(302)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주면에는 상기 바디 안착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90)의 장착시 상기 어퍼 바디(64)의 하면은 상기 바디 안착부(65)에 안착되어 장착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17은 상기 헤드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헤드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 안착부(65)에는 회전 가이드(651)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회전돌기(921)는 상기 회전 가이드(65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가이드(651)는 상기 헤드 바디(61)의 중앙을 기준으로 180°각도만큼 절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돌기(921)는 상기 한쌍이 90°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샤프트(90)는 90°각도만큼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돌기(921)가 상기 회전 가이드(651)의 양단에 형성된 스토퍼(652)에 의해 정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652)에 의해 정지된 위치에서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는 상기 필터링 유로(96) 또는 바이패스 유로(95)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확한 각도를 측정하면서 회전하지 않아도 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지점까지 상기 필터(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유로의 선택 및 정확한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65)의 일측에는 유로 절개부(6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절개부(653)는 상기 회전 가이드(651)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안착부(65)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구(612a)의 수직 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 유로(96)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연결되도록 상기 샤프트(9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 절개부(653)는 상기 출수 안내부(912)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절개부(653)는 상기 출수 안내부(912)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 안내부(912)와 유로 절개부(653)는 서로 접하여 정수된 물이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바디(63)의 내측면에는 한쌍의 상기 결합홈(631)과 다수의 상기 서포팅 리브(6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40)가 상기 헤드(60)에 장착된 후 회전되어 상기 필터링 유로(96)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에 연결될 때,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기 결합홈(631)에 삽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631)은 상기 개구부(63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632)를 통해 상기 구속돌기(433b)와 상기 구속홈(631a)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속홈(631a)의 위치는 상기 결합돌기(433)가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돌기(433b)와 구속홈(631a)이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가 상기 헤드(60)의 내측에 삽입되어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돌기(433)가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에서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홈(631)은 상기 로어 바디(63)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제 1 가이드 돌출부(635)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가이드 돌출부(635)의 상면에 상기 구속홈(6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돌출부(635)는 상기 로어 바디(63)의 개구된 단부에서 상기 결합홈(631)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43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 돌출부(635)의 간섭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기 헤드(60) 하면의 개구 중 일부 구간에서는 삽입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필터(40)가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 돌출부(635)의 일측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결합홈(631)의 입구로 상기 결합돌기(433)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홈 가이드부(6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 가이드부(633)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433)의 삽입시 상기 결합돌기(433)의 돌기 가이드부(433a)와 접하여 상기 결합돌기(433)의 일방향 회전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 1 홈 가이드부(633)의 단부로부터 상기 로어 바디(63)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진 일측에는 제 2 가이드 돌출부(63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돌출부(636)에는 제 2 홈 가이드부(63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홈 가이드부(633)를 지나 회전하는 상기 결합돌기(433)가 상기 제 2 홈 가이드부(633)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결합홈(631)의 입구로 이동을 안내한다. 따리서 상기 제 2 홈 가이드부(633)는 상기 제 1 홈 가이드부(633)와 떨어진 일측에서 상기 결합홈(631)의 입구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40)의 장착시 상기 삽입 표시부(6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433)를 위치시킨 후 상기 로어 바디(63)의 개구된 하면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돌기 가이드부(433a)가 상기 제 1 홈 가이드부(633)를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하게 되며, 이어서 상기 제 2 홈 가이드부(63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여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40)가 상기 헤드(6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필터(40)의 결합돌기(433)를 정렬하여 삽입하게 될 경우 상기 제 1 홈 가이드부(633)에 의해 상기 필터(40)는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결합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필터(40)가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결합돌기(433)가 상기 결합홈(631)의 입구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샤프트(90)와 상기 어퍼 서포터(80)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433)가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40)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샤프트(90)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필터링 유로(96)가 상기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에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샤프트(90)의 하단, 즉 상기 이너 파이프(97)의 하단에는 제 2 연결부(9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97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파이프(97)의 하단 양측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이너 파이프(97)의 하단은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제 2 연결부(972)와 상기 제 2 연결부(972)의 사이에 형성되는 한쌍의 파이프 절개부(97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제 2 연결부(972)는 하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제 2 연결부(972)의 양측단에는 제 2 경사면(97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경사면(974)은 상기 제 1 경사면(853)과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필터(40)가 상기 헤드(60)에 회전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경사면(974)은 상기 제 1 경사면(853)을 따라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40)가 상기 헤드(60)에 완전히 삽입 장착되면, 상기 제 2 연결부(972)는 상기 제 1 연결부(851)와 형합되며, 상기 돌출부(852)는 상기 파이프 절개부(973)와 형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경사면(853)과 제 2 경사면(974)은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경사면(974)은 상기 제 1 경사면(853)과 같이 상기 이너 파이프(97)의 두께 방향으로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9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40)가 더 회전조작될 경우, 회전 방향의 힘이 상기 제 2 경사면(974)과 제 1 경사면(853)에 작용하여 상기 필터(40)가 용이하게 분리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로어 바디(63)의 내측면에는 상기 서포팅 리브(634)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서포팅 리브(634)에 의해 필터 삽입부(431)의 외측면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9는 상기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상태의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도 19의 A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상태의 샤프트의 위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40)가 상기 헤드(6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95)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입수부(6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입수구(611a)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 입구(951)로 유입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95)를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출구(952)와 상기 출수구(612a)를 지나 상기 출수부(612)로 배출된다. 즉, 상기 입수부(611)로 유입되는 물이 정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상기 헤드(60)를 통과하여 바로 급수 유로(30)를 통해 아이스메이커(24) 또는 디스펜서(23)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필터(40)의 교체를 위해서 상기 필터(40)를 분리한 상태이거나 관로의 세척이나 기타 유지보수와 관련된 서비스를 하기 위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필터(40) 중 일부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거나, 정수가 필요 없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더라도 상기 냉장고(1)의 이용에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4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90)의 배치를 도 2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한쌍의 상기 회전돌기(921) 중 제 1 회전돌기(921a)가 상기 회전 가이드(651) 일측의 스토퍼(652)와 접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출수 안내부(912)와 유로 절개부(653)는 대략 90°각도로 어긋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2는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40)의 장착을 위해서 상기 필터 삽입부(431)를 상기 헤드(60) 하면의 개구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헤드(60)의 외측에 형성된 삽입 표시부(613)를 참조하여 상기 결합돌기(433)의 위치를 정렬하여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40)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기 제 1 홈 가이드(633a)와 제 2 홈 가이드(633b)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필터(40)는 자연스럽게 삽입과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40)가 소정의 깊이만큼 삽입되면 도 2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연결부(972)는 상기 제 1 연결부(851)의 내측으로 삽입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부(972)와 제 1 연결부(851)는 각각 상기 제 2 경사면(974)과 제 1 경사면(853)이 서로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부(972)가 상기 제 1 연결부(851)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필터(40)의 삽입 장착시 상기 제 1 홈 가이드(633a)와 제 2 홈 가이드(633b)에 의해 상기 필터(40)는 상기 헤드(6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회전되며,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 2 경사면(974)과 제 1 경사면(853)의 슬라이딩에 의해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샤프트(90)와 상기 서포터 연장부(85)는 완전히 형합될 수 있다.
도 23과 같이 상기 샤프트(90)와 상기 서포터 연장부(85)가 서로 완전히 형합된 상태일 때,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 또는 입구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필터(40)는 단순 삽입된 상태로 상기 헤드(60)와 완전히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샤프트(90)가 회전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95)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연결된 상태가 된다.
도 2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40)를 회전 진행 방향으로 더 회전시킬 수 있으며, 대략 90°가량 회전시켜 상기 결합돌기(433)가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있다.
도 24는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을 위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5는 도 24의 B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필터가 상기 헤드에 결합된 상태의 샤프트 위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2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40)를 90°각도로 더 회전시켜, 상기 결합돌기(433)와 결합홈(631)이 완전히 결합되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샤프트(90) 또한 함께 회전하여 도 2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연결부가 상기 제 1 연결부에 삽입되어 서로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필터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샤프트(90)는 상기 제 2 회전돌기(921b)가 상기 스토퍼(652)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대략 90°각도만큼 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90)가 완전히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필터링 유로(96)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서로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이너 파이프(97)와 상기 서포터 연장부(85)는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헤드(60)와 필터(40) 사이에 원수와 정수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필터(40)는 사용자가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상기 필터(40)를 상기 헤드(60)로부터 분리하기 전까지는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4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입수부(611)를 통해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입수구(611a)와 샤프트 입구(961)를 통패 샤프트 입수 유로(964)를 따라 유동된다. 즉, 상기 수평부(964a)와 수직부(964b)를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이너 파이프(97)를 지나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872)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된 후 제 2 필터 입력 유로(873)에 의해 분지되어 상기 하우징(41)의 내측면과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부재(44)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링부재(44) 내측의 중공(441)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필터링부재(4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부재(44) 내측의 정화된 물은 상기 제 1 연장부(86)의 내측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 1 연장부(86) 상단의 양측에 배치된 필터 출구(862)에서 상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필터 삽입부(431)의 내측은 상기 제 1 연장부(86)와 외측면과 삽입된 로어 바디(63)에 의해 정수된 물이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링 유로(96)가 상기 입수부(611) 및 출수부(612)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출수 안내부(912)와 상기 유로 절개부(653)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어 정수된 물이 상기 어퍼 바디(64)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정수된 물은 상기 로어 바디(63)에 형성된 상기 출수 안내부(912)를 따라서 상방으로 유동되며, 상기 어퍼 바디(64)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샤프트 출구(962)와 상기 출수부(612)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출수부(612)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612)의 출수관(302)은 상기 급수 유로(30)의 일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2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40)의 교환주기가 되거나 기타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필터(40)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필터(40)를 결합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필터(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433)는 상기 결합홈(631)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서포터 연장부(85)는 상기 샤프트(9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샤프트(90)가 90°만큼 회전되어 상기 필터링 유로(96)가 닫히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95)가 연결되면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돌기(921)는 상기 스토터(652)와 접하여 상기 샤프트(9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40)를 더 회전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90)는 상기 스토퍼(652)에 의해 더 회전될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제 1 경사면(853)과 제 2 경사면(974)에 비틀림 모멘트가 가해지게 되어 상기 제 2 경사면(974)이 상기 제 1 경사면(853)을 따라서 자연스럽게 분리되면서 슬라이딩 된다. 더불어 상기 결합홈(631)을 빠져나온 결합돌기(433)는 상기 제 2 홈 가이드부(633)와 제 1 홈 가이드부(633)를 차례로 지나면서 상기 필터(40)가 상기 헤드(6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정수장치(17)가 상기 냉장고(1)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정수장치(17)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를 비롯하여 필터 교환방식으로 물을 정화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필터링 부재;
    내측에 상기 필터링 부재가 수용되는 제 1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바디;
    상기 하우징 바디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링 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 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캡;
    상기 하우징 캡의 상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필터가 회전되도록 평평한 평면을 구비하는 결합돌기;
    상기 제 2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링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캡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어퍼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서포터는, 상기 필터링부재와 결합되는 서포터 수용부와, 상기 서포터 수용부에서 연장되는 서포터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 연장부는,
    상기 필터링부재로 물이 유동하도록 상기 서포터 연장부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중공형태의 제1필터 입력유로와,
    상기 제1필터 입력유로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서포터 연장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제1연결부와,
    상기 제1필터 입력유로와 분리된 필터 출력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제1연결부는, 상기 하우징 캡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필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평면과 제2평면을 형성하는 필터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상단의 일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돌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필터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구속돌기가 형성된 필터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제1연결부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필터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연장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돌출부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는 필터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그 폭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어퍼 서포터는, 하부에, 양쪽으로 원수가 분기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서포터 단차부를 포함하는 필터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단차부는, 상기 서포터 수용부의 상면에서 돌출되게 상기 서포터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 수용부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캡과 상기 어퍼 서포터의 결합시 상기 서포터 단차부의 둘레는 상기 하우징 캡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필터 구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단차부에는, 상기 필터링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 바디 사이 공간으로 원수가 급수되도록, 양측 단부를 관통하는 제 2 필터 입력 유로가 형성된 필터 구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와 제 2 필터 입력 유로는 상기 서포터 연장부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서포터 단차부의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는 필터 구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분지되는 상기 제 2 필터 입력 유로를 따라서 외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서포터 단차부의 둘레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필터 구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필터 입력 유로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필터 구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는 상기 서포터 연장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필터 구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출력유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필터 입력 유로와 상기 하우징 캡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 구조.

KR1020190164209A 2019-12-10 2019-12-10 필터 구조 KR102206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209A KR102206083B1 (ko) 2019-12-10 2019-12-10 필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209A KR102206083B1 (ko) 2019-12-10 2019-12-10 필터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683A Division KR102134459B1 (ko) 2019-05-20 2019-05-20 필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818A KR20190139818A (ko) 2019-12-18
KR102206083B1 true KR102206083B1 (ko) 2021-01-21

Family

ID=6905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209A KR102206083B1 (ko) 2019-12-10 2019-12-10 필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655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에이치앤엔코퍼레이션 필터카트리지 내부거치형 필터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91Y1 (ko) 2005-09-26 2005-12-15 김선경 정수기용 필터장치
JP2007503985A (ja) 2003-08-27 2007-03-01 スリーエム イノベーティブ プロパティーズ カンパニー 一体型バルブを備えた水フィルタマニホールド
JP2008534255A (ja) 2005-03-24 2008-08-28 株式会社ピコグラム コネクターを用いて容易に交替できる浄水用フィル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浄水システム
JP2012030218A (ja) 2010-07-02 2012-02-16 Lixil Corp 浄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804B1 (ko) * 2014-05-24 2016-10-25 주식회사 피코그램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3985A (ja) 2003-08-27 2007-03-01 スリーエム イノベーティブ プロパティーズ カンパニー 一体型バルブを備えた水フィルタマニホールド
JP2008534255A (ja) 2005-03-24 2008-08-28 株式会社ピコグラム コネクターを用いて容易に交替できる浄水用フィル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浄水システム
KR200403991Y1 (ko) 2005-09-26 2005-12-15 김선경 정수기용 필터장치
JP2012030218A (ja) 2010-07-02 2012-02-16 Lixil Corp 浄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818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965B1 (ko)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780168B1 (ko) 냉장고의 정수 필터 구조
KR102206083B1 (ko) 필터 구조
AU2024200152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134459B1 (ko) 필터 구조
KR101983717B1 (ko) 필터 구조
KR102259330B1 (ko)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897922B1 (ko) 필터 구조
US20230144077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10123935A (ko)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